KR101719760B1 -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 Google Patents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760B1
KR101719760B1 KR1020150187682A KR20150187682A KR101719760B1 KR 101719760 B1 KR101719760 B1 KR 101719760B1 KR 1020150187682 A KR1020150187682 A KR 1020150187682A KR 20150187682 A KR20150187682 A KR 20150187682A KR 101719760 B1 KR101719760 B1 KR 101719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seating
roller
seating portio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행우
김용성
서장후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7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4Beach chairs ; Chairs for outdoor use, e.g. chairs for relaxation or sun-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8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using translating operativ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4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using rotary operative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안착되는 외부몸체(10)와, 상기 외부몸체(1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착석부(40)와, 상기 착석부(40)의 회전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착석부(40)의 일부를 감싸고 내부에는 세척롤러(50)가 구비되는 청소수단(20)을 포함한다. 상기 청소수단(20)의 세척롤러(50)는 상기 착석부(40)의 회전에 연동하여 세척부(52)를 착석부(40)를 향해 권출시켜 착석부(40) 상면을 세척한다. 본 발명에서는 청소수단(20)이 착석부(40)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착석부(40)가 회전하여 청소수단(20)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착석부(40)의 세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청소수단(20)을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원이나 구동원 없이도 착석부(40)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A bench equipped with the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벤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벤치의 착석부의 회전을 통해 척석부의 상부가 세척되는 벤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된 벤치는 많은 사용자가 사용하고, 또한 항상 노출된 상태에 있으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게 되며, 쉽게 오염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착석하기에 앞서 착석할 부분을 스스로 닦은 후에 착석하기도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휴지 등이 필요하고 사용자의 불편함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벤치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기술들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별도의 전원장치를 요구하거나 세척구조가 복잡하여 실제 적용이 어려운 면이 있었다. 특히, 벤치를 세척하기 위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작동되는 경우에는 고장의 위험이 크고 청소수단 자체가 오염될 가능성이 높아 실용성이 떨어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890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외부전원 없이 착석부의 회전을 통해 착석부가 자동으로 세척될 수 있는 벤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소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착석부가 회전하면서 세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면에 안착되는 외부몸체와, 상기 외부몸체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의 회전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착석부의 일부를 감싸고 내부에는 세척롤러가 구비되는 청소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수단의 세척롤러는 상기 착석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세척부를 착석부를 향해 권출시켜 착석부 상면을 세척한다.
상기 청소수단에는 상기 착석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편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편은 회전하면서 상기 세척수단을 권출한다.
상기 착석부에는 가이드슬릿이 상기 착석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청소수단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슬릿에 적어도 그 일부가 삽입되는 회전편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슬릿에는 상기 회전편과 간섭하여 회전편을 회전시키는 걸림부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착석부에 화살표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청소수단은 상기 외부몸체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청소공간이 형성된 커버부과, 상기 청소공간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착석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권취하고 있던 세척부를 점차적으로 착석부 방향으로 권출하는 세척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부는 그 양단이 각각 제1롤러 및 제2롤러에 권취되고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세척롤러의 롤러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착석부를 세척하며, 상기 세척롤러의 회전편이 회전하면서 제1롤러로부터 세척부를 권출시켜 제2롤러에 권취한다.
상기 세척부는 상기 롤러하우징에 이격되어 형성된 배출구와 삽입구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롤러하우징의 외면에 노출되어 상기 착석부를 세척한다.
상기 커버부의 청소공간 입구에는 상기 척석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솔부재가 구비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회전되는 착석부의 상면을 청소한다.
상기 외부몸체의 설치공간에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착석부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착석부에는 회전전가이드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고, 상기 회전가이드와 상기 외부몸체의 설치공간 가장자리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부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착석부 및 회전가이드가 한 방향으로만 일정각도로 회전되도록 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청소수단이 착석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착석부가 회전하여 청소수단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착석부의 세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청소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원이나 구동원 없이도 착석부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청소수단의 구조가 간단해져 제조비용이 감소하고 고장 및 불량율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청소수단의 세척롤러가 착석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세척부를 조금씩 권출하고, 새로 권출된 세척부의 미사용 부분이 착석부를 세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부를 세착하기 위하여 일일이 세척부를 교체하거나 세척부의 사용되지 않은 깨끗한 부분을 꺼낼 필요가 없어 청소수단의 사용성 및 착석부의 세척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청소수단의 세척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걸림부가 착석부의 상면에 화살표 형태로 음각되어 형성되므로, 그 자체로 사용자에게 사용방법을 직감시킬 수 있고 세척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아 청소수단의 전체구조가 더욱 간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청소수단 및 착석부가 외부몸체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청소수단을 구성하는 세척롤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를 구성하는 세척롤러의 서로 다른 실시례를 각각 보인 내부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수단(20)이 구비된 벤치(이하 '벤치'라고 함)는 실내 또는 실외의 지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착석부(40)가 구비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벤치는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의자를 의미하며, 반드시 실외에서 사용되는 것에 한정되는 의미를 갖지는 않는다. 본 실시례에서 벤치에는 총 3개의 착석부(4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 노출된 착석부(40)가 청소수단(20)에 의해 세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벤치의 외관 및 골격은 외부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외부몸체(1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착석하기 용이한 높이를 갖는다. 상기 외부몸체(10)는 금속재질, 목재, 합성수지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외부몸체(10)의 외면(11)은 연속된 곡면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외부몸체(10)의 형상은 반드시 이헤 한정될 필요는 없고, 다양한 입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몸체(10)에는 설치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12)은 상기 외부몸체(10)의 내부로 요입되어 형성된 것으로, 도 2에서 보듯이 상부로 개방되고, 하부로 요입된 형상이다. 상기 설치공간(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착석부(40), 회전가이드(30), 회전축(35) 등이 설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설치공간(12)의 바닥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설치공간(12)은 상기 외부몸체(10)에 총 3개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12)에는 착석부(40)가 설치된다. 상기 착석부(40)는 상기 설치공간(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실제 착석하게 되는 부분이다. 상기 착석부(40)는 상기 설치공간(12)의 개구된 상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착석부(40)는 상기 설치공간(1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착석부(40)는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35)은 양단이 설치공간(12) 하부 및 착석부(40)의 중심홀(4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착석부(40)는 원판형태이다. 이는 상기 착석부(4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원판형태의 착석부(40)의 상면이 실제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는 부분이고, 상기 착석부(40)는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착석부(40) 상면이 자동으로 세척될 수 있다. 상기 착석부(40)의 세척기능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착석부(40)에는 가이드슬릿(4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43)은 상기 착석부(4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원형상이다. 상기 가이드슬릿(43)은 상기 착석부(40)를 관통하거나, 또는 착석부(40)의 상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슬롯은 착석부(40)에 음각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4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청소수단(20)의 회전편(55)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착석부(4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회전편(55)은 가이드슬릿(43)을 따라 상대이동할 수 있으므로, 착석부(40)와 회전편(55)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43)에는 청소수단(20)의 회전편(55)과 간섭하여 회전편(55)을 회전시키는 걸림부(45)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45)는 상기 가이드슬릿(43)에 돌출되어 구비된 것으로, 착석부(4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걸림부(45)는 회전편(55)의 돌출된 일부를 건드려 회전편(55)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회전편(55)의 일부는 가이드슬릿(43)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착석부(40)가 회전되더라도 간섭되지 않지만, 가이드슬릿(43)에 구비된 걸림부(45)와 만나면 걸림부(45)에 의해 착석부(40)의 회전방향으로 밀려 회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부(45)는 상기 가이드슬릿(43)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회전편(55)을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품 없이 걸림부(45)에 의해 회전편(55)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걸림부(45)는 대략 화살표모양으로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걸림부(45)는 화살표모양의 상부인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부(45)가 화살표모양으로 돌출됨에 따라, 돌출된 부분에 청소수단(20)의 회전편(55)이 걸려 밀리면서 회전된다. 상기 걸림부(45)가 화살표모양을 가짐에 따라 그 자체로 사용자에게 사용방법을 직감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걸림부(45)의 형상을 보고 착석부(40)의 회전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걸림부(45)는 상기 가이드슬릿(43)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걸림부(45)는 상기 가이드슬릿(43)에 두 개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걸림부(45)는 한 개 또는 세 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착석부(40)의 하부에는 회전가이드(30)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가이드(30)는 상기 착석부(40)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착석부(40)의 강도를 보강하여 착석부(40)의 허용하중을 늘인다.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30)의 내면과 상기 외부몸체(10)의 설치공간(12) 가장자리(13)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부(15,36)가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기어부(15,36)는 상기 착석부(40) 및 회전가이드(30)가 일정각도로, 한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착석부(4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상기 기어부(15,36)를 통해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착석부(40)가 회전하면서 후술할 청소수단(20)의 세척롤러(50)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세척부(52)를 권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회전가이드(30)는 대략 원형틀 형상을 갖는다. 상기 회전가이드(30)의 외주면에는 파지부(37)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37)는 회전가이드(30)의 외주면이 음각되어 상대적으로 돌출된 부분이며, 상기 파지부(37)를 통해 사용자가 회전가이드(30) 및 착석부(40)를 보다 쉽게 회전시킬 수도 있고, 음각된 형상을 통해 심미감을 높일 수도 있다. 도면부호 32는 '+'자형태의 연결부이다.
다음으로 청소수단(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청소수단(20)은 상기 착석부(4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착석부(40)의 상면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외부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청소수단(20) 자체는 외부몸체(10)의 상부에서 이동하지 않고, 착석부(40)가 회전하여 청소수단(20)을 거치는 과정에서 착석부(40)가 세척되는 것이다.
상기 청소수단(20)의 골격 및 외관은 커버부(21)가 형성한다. 상기 커버부(21)는 상기 외부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청소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착석부(40)를 향해 개구된 입구(23)를 갖는다. 상기 커버부(21)의 청소공간은 상기 착석부(40)의 회전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착석부(40)의 일부를 감싼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커버부(21)는 착석부(40)의 대략 50% 정도를 감싸고 있으나, 이보다 작은 부분을 감쌀 수도 있다.
상기 청소공간에는 세척롤러(50)가 설치된다. 상기 세척롤러(50)는 상기 착석부(4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착석부(40)를 세척한다. 이를 위해 상가 세척롤러(50)에는 세척부(52)가 구비되는데, 상기 세척부(52)는 휴지, 종이, 면 등 얇은 재질로 만들어져 롤러에 감길 수 있는 형태이다. 상기 세척부(52)는 상기 세척롤러(50)의 회전과정에서 조금씩 외부로 배출되고, 이미 사용된 부분은 반대편에 감기는 구조를 갖는데,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세척롤러(50)는 롤러하우징(51)이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롤러하우징(51)으로부터 세척부(52)가 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세척부(52)는 사용되지 않은 새로운 부분이 상기 롤러하우징(51)으로부터 권출되어 착석부(40)를 세척하고, 사용후에는 회전편(55)의 회전에 의해 일정 장소에 감겨 보관될 수 있다.
그 구조는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상기 세척부(52)는 그 양단이 각각 제1롤러(52') 및 제2롤러(52'')에 권취되고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롤러하우징(51)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착석부(40)를 세척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롤러(50)의 회전편(55)이 회전하면서 제1롤러(52')로부터 세척부(52)를 권출시켜 제2롤러(52'')에 권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척부(52)의 사용된 부분은 제2롤러(52'')에 감기고, 동시에 세척부(52)의 사용되지 않은 깨끗한 부분이 제1롤러(52')부터 권출되어 다음 사용시에 사용된다. 미설명부호 R은 제1롤러(52') 및 제2롤러(52'')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를 나타낸다.
상기 롤러하우징(51)에는 세척부(52)가 배출되는 배출구(51')와, 세척부(52)가 삽입되는 삽입구(51'')가 형성되는데, 상기 세척부(52)는 상기 배출구(51')로부터 삽입구(51'') 사이에 해당하는 롤러하우징(51) 외면을 감싼 상태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배출구(51')로부터 삽입구(51'') 사이에 노출된 세척부(52) 중에서, 특히 상기 롤러하우징(51)의 하부에 노출된 부분이 실질적으로 상기 착석부(40)의 상면을 세척한다.
상기 회전편(55)은 상기 세척롤러(5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 상기 세척부(52)를 감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편(55)은 다양한 실시례가 가능한데, 도 5(a)에는 회전날개가 한 쌍으로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회전편(55)은 상기 걸림부(45)에 밀려 일정한 각도, 예를 들어 180°씩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편(55)에는 토션스프링(미도시)과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편(55)은 다수개의 회전날개를 갖는 기어형태일 수도 있다. 도 5(b)에 도시된 실시례는 도 5(a)의 실시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일정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편(55)은 상기 착석부(40)의 상면 하부로 더 돌출되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편(55)은 착석부(40)와 간섭될 수 있으나, 상기 착석부(40)에 형성된 가이드슬릿(43)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므로, 착석부(40)의 회전과정에서 착석부(40)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편(55)이 가이스들릿의 걸림부(45)와 간섭되면 밀리면서 회전된다.
참고로 상기 회전편(55)은 상기 제2롤러(52'')와 동축으로 회전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회전편(55)이 회전하면 상기 제2롤러(52'')가 함께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세척부(52)를 매개로 연결된 제1롤러(52')가 연동하여 회전된다.
상기 커버부(21)의 청소공간 입구(23)에는 솔부재(60)가 구비된다. 상기 솔부재(60)는 솔부분(65)이 상기 커버부(21)의 청소공간 입구(23)를 가로막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입구(23)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회전되는 착석부(40)의 상면을 1차적으로 청소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솔부재(60)는 중심에 형성된 홈 부분(67)이 상기 청소수단(20)의 롤러하우징(51)에 구비된 돌출부(57)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벤치의 착석부(40)에 착석하기에 앞서 착석부(40)를 회전시켠 착석부(40)의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착석부(40)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쌓이기 쉬우므로 사용자가 착석부(40)를 청소한 후에 착석을 원할 경우에 이러한 세척과정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착석부(40)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착석부(40)의 상면을 파지하고 회전시키거나, 또는 착석부(40) 하부에 위치한 회전가이드(30) 측면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30)의 측면에는 파지부(37)가 음각되어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석부(40)의 상부에는 걸림부(45)가 화살표 형태로 음각되어 있어, 그 자체로 사용자에게 사용방법을 직감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걸림부(45)의 형상에 따라 상기 착석부(40)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착석부(40)가 회전하면서 세척된다.
상기 착석부(40)가 회전되면 상기 착석부(40)가 상기 청소수단(20)의 커버부 내측으로 진입한 후에 빠져나오게 되는데,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설치된 세척롤러(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착석부(40)의 상면이 세척된다. 즉, 상기 착석부(40)의 상면이 세척롤러(50)의 외부로 노출된 세척부(52)와 마찰하면서 닦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세척롤러(50)는 상기 착석부(4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사용되지 않은 깨끗한 세척부(52)를 권출하여 세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착석부(4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세척롤러(50)의 회전편(55)의 돌출된 일부, 즉 롤러하우징(51)의 하부로 돌출된 일부는 착석부(40)의 가이드슬릿(43)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가이드슬릿(43)은 상기 착석부(40)의 상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므로, 회전편(55)은 가이드슬릿(43)에 삽입되어 착석부(40)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이드슬릿(43)에 형성된 걸림부(45)가 돌출되므로, 상기 착석부(4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걸림부(45)가 간헐적으로 회전편(55)을 밀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편(55)이 회전하면 세척부(52)를 회전시키게 된다. 세척부(52)가 회전되면 제1롤러(52')로부터 새로운 부분이 권출됨과 동시에 사용되었던 부분은 제2롤러(52'')에 권취된다. 따라서 착석부(40)가 회전되면 착석부(40)의 상면은 깨끗한 세척부(52)에 의해 청소될 수 있다.
한편, 착석부(40)가 회전되면, 상기 커버부의 입구(23)에 구비된 솔부재(60)가 일차적으로 착석부(40) 상면을 쓸어내고, 그 후에 청소공간으로 유입된 착석부(40)의 상면은 세척롤러(50)에 구비된 세척부(52)에 의해 닦이게 된다. 상기 세척부(52)는 고정된 상태로 착석부(40)가 회전되면서 닦이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청소수단(20) 자체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착석부(40)가 회전되면서 세척부(52)에 의해 세척됨과 동시에, 착석부(40)의 회전에 연동하여 세척부(52)가 감기게 되므로, 사용자는 일일이 세척부(52)를 교체하거나 세척부(52)의 사용되지 않은 깨끗한 부분을 꺼낼 필요가 없다. 물론 상기 제1롤러(52')에 권취되어 있던 세척부(52)가 모두 권출되어 제2롤러(52'')에 감기게 되면, 제2롤러(52'')에 감긴 롤형태의 세척부(52)를 분리하여 새로운 세척부(52)로 교체해줄 수는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례에서 상기 청소수단(20)의 세척롤러(50)에 권취된 세척부(52)는 사용된 부분은 제2롤러(52'')에 감기고, 사용되지 않은 부분이 제1롤러(52')로부터 권출되었으나, 상기 세척부(52)는 단순히 세척롤러(50) 외면에 감겨 세척롤러(50)와 함께 회전되는 구조이거나, 별도의 세척부(52) 없이 상기 세척롤러(50)의 외면자체가 세척부(52)일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착석부(40)의 하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착석부(40)가 어느 정도 승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종의 댐퍼 기능을 수행하여 착석부(40)에 착석시 발생하는 충격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착석부(40) 및 이에 결합된 착석가이드가 함께 하강하여, 하강되었을 때에는 상기 착석가이드가 스토퍼(미도시)에 걸려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착석부(40)에 착석한 상태에서는 착석부(4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10: 외부몸체 15: 기어부
20: 청소수단 21: 커버부
30: 회전가이드 35: 회전축
36: 기어부 40: 착석부
43: 가이드슬릿 45: 걸림부
50: 세척롤러 52: 세척부
52': 제1롤러 52'': 제2롤러
55: 회전편 60: 솔부재

Claims (10)

  1. 지면에 안착되는 외부몸체와,
    상기 외부몸체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의 회전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착석부의 일부를 감싸고 내부에는 세척롤러가 구비되는 청소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수단의 세척롤러는 상기 착석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세척부를 착석부를 향해 권출시켜 착석부 상면을 세척하는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수단에는 상기 착석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편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편은 회전하면서 상기 세척부을 권출하는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에는 가이드슬릿이 상기 착석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청소수단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슬릿에 적어도 그 일부가 삽입되는 회전편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슬릿에는 상기 회전편과 간섭하여 회전편을 회전시키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착석부의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수단은
    상기 외부몸체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청소공간이 형성된 커버부과,
    상기 청소공간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착석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권취하고 있던 세척부를 점차적으로 착석부 방향으로 권출하는 세척롤러를 포함하는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그 양단이 각각 제1롤러 및 제2롤러에 권취되고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세척롤러의 롤러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착석부를 세척하며, 상기 세척롤러의 회전편이 회전하면서 제1롤러로부터 세척부를 권출시켜 제2롤러에 권취하는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롤러하우징에 이격되어 형성된 배출구와 삽입구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롤러하우징의 외면에 노출되어 상기 착석부를 세척하는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청소공간 입구에는 상기 착석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솔부재가 구비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회전되는 착석부의 상면을 청소하는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몸체의 설치공간에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착석부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에는 회전가이드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고, 상기 회전가이드와 상기 외부몸체의 설치공간 가장자리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부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착석부 및 회전가이드가 한 방향으로만 일정각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KR1020150187682A 2015-12-28 2015-12-28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KR101719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682A KR101719760B1 (ko) 2015-12-28 2015-12-28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682A KR101719760B1 (ko) 2015-12-28 2015-12-28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760B1 true KR101719760B1 (ko) 2017-04-04

Family

ID=58588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682A KR101719760B1 (ko) 2015-12-28 2015-12-28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7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908B1 (ko) * 2019-11-11 2020-06-04 이승제 태양광 모듈을 구비한 벤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842Y1 (ko) * 2002-04-10 2002-07-06 강응태 청소기능이 구비된 벤치
KR20140076810A (ko) * 2012-12-13 2014-06-23 정진국 변좌 세척장치
KR101488908B1 (ko) 2013-11-13 2015-02-06 최광현 자가 충전식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842Y1 (ko) * 2002-04-10 2002-07-06 강응태 청소기능이 구비된 벤치
KR20140076810A (ko) * 2012-12-13 2014-06-23 정진국 변좌 세척장치
KR101488908B1 (ko) 2013-11-13 2015-02-06 최광현 자가 충전식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908B1 (ko) * 2019-11-11 2020-06-04 이승제 태양광 모듈을 구비한 벤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3002B1 (en) Cleaning head
KR101719760B1 (ko) 청소수단이 구비된 벤치
DE102016110997B4 (de) Zusammensetzbare Reinigungstuch-Baueinheit für eine automatische Reinigungsmaschine
RU2015117786A (ru) Насадка для чистя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KR20130141256A (ko) 테이프 클리너
CN213787168U (zh) 一种滚刷组件、地刷装置和清洁设备
JP5380092B2 (ja) 床面等用清掃機のブラシ装置
DK2725959T3 (en) Drive System for cleaning machine
US7653964B2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suction brush
CN103271712B (zh) 自动地毯
KR200464138Y1 (ko) 노즐 세척커버 및 이를 갖는 비데
CN208059093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160004449U (ko) 창틀 먼지제거용 클리너
CN101658393A (zh) 厨房器具盖
CN205658697U (zh) 一种镜子以及应用该镜子的浴室柜
KR102124266B1 (ko) 일회용 매트커버 공급장치
KR100708424B1 (ko) 유리창 분리가 가능한 주택용 샤시
KR101998597B1 (ko) 타이어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에이징 쳄버의 타이어 거치대
US20130318729A1 (en) Electric back scrub brush
US20160089645A1 (en) Devices for Cleaning Automated Blenders
US8769759B2 (en) Toilet rim and seat cleaning tongs
KR101252379B1 (ko) 용기 세척장치
CN105029888B (zh) 可折叠便携式牙刷
CN210383848U (zh) 洗鞋机
CN216702461U (zh) 滚刷、地刷组件及洗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