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276B1 - 치과용 탐지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276B1
KR101719276B1 KR1020150146655A KR20150146655A KR101719276B1 KR 101719276 B1 KR101719276 B1 KR 101719276B1 KR 1020150146655 A KR1020150146655 A KR 1020150146655A KR 20150146655 A KR20150146655 A KR 20150146655A KR 101719276 B1 KR101719276 B1 KR 101719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frequency
light emitting
cente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성욱
이승연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6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식립된 물체의 중심을 찾기 위한 치과용 탐지 장치에 있어서, 몸체; 몸체에 구비되는 센서부;로서,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과 코일의 주파수 변동을 인지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센서부; 그리고, 몸체에 구비되고, 물체의 중심에 접근할수록 단계에 따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탐지 장치{DENTAL DETECTING APPARATUS}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치과용 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으로 사용가능하며, 물체의 중심을 알려주는 치과용 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도 1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9095호에 개시된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 탐색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탐색장치(1)는 손잡이부(100), 연결부(200), 헤드부(300), 탐색돌기(410), 누름부재(423)을 포함한다. 자성을 이용하여 탐색돌기(410)가 이동할 때, 픽스쳐(100)에 구비된 스크류(510)를 찾는 탐지 장치이다. 잇몸 위를 탐색하여 자성으로 끌어당겨지는 부분을 느껴 탐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자성을 조절할 수 없어 물체가 끌어당겨질 수 있거나, 깊이 심어진 물체의 경우 정확히 찾기 힘든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식립된 물체의 중심을 찾기 위한 치과용 탐지 장치에 있어서, 몸체; 몸체에 구비되는 센서부;로서, 코일과 코일에 흐르는 교류의 주파수 변동을 인지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센서부; 그리고, 몸체에 구비되고, 물체의 중심에 접근할수록 단계에 따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탐지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9095호에 개시된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 탐색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탐지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센서부의 코일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표시부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센서부의 작동회로를 블럭도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물체를 단계별로 감지하는 표시부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탐지 장치의 이용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탐지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식립된 물체의 중심을 찾기 위한 치과용 탐지 장치에 있어서, 치과용 탐지 장치는 몸체(100), 센서부(미도시;도 5의 200 참조) 및 표시부(3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센서부와 표시부(300)를 구비한다. 센서부는 물체의 중심을 탐색하고, 표시부(300)는 물체의 중심을 알릴 수 있다. 센서부는 코일(210)과 처리부(미도시;도 5의 220 참조)를 포함한다. 코일(210)은 몸체(100)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코일(210)은 몸체(100)의 외부에 구비된다. 처리부는 센서 감도 유지 버튼(2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 감도 유지 버튼(223)은 치과용 탐지 장치의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 민감하게 반응을 하거나 둔하게 반응할 경우 버튼을 눌러 신호를 처리부로 전달함으로써 발광소자를 발광하기 위한 기준 주파수를 조정하여 치과용 탐지 장치의 물체 중심 탐색 성능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처리부는 몸체(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신호에 따라 표시부(300)는 물체의 중심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300)는 주파수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광원이 발광하거나, 광원의 색이 달라짐을 이용하여 표시부(300)에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00)의 광원 대신에 진동기 또는 스피커를 사용하여 진동이나 소리로 중심을 표시할 수 있다. 센서부의 코일(210)과 처리부는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고, 코일(210)은 몸체(100)에서 분리되어 교체 될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도 5의 500 참조)은 몸체(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부에는 전원스위치(501), 전원 변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스위치(501)는 치과용 탐지장치의 전원을 켜고 끈다. 전원 변환 회로는 입력된 전원을 표시부(300), 전원부 및 센서부에서 사용하는 전원에 맞추어 변환한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센서부의 코일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와 같이 코일(210)은 원형일 수 있다. 코일(210)의 중심에는 홀(212)을 구비할 수 있고, 홀(212)을 통해 물체의 중심을 표시할 수 있다. 홀(212)은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b)와 같이 코일(210)을 감싸는 코일커버(211)는 다각형일 수 있다. 코일(210)의 중심에는 홀(212)을 구비할 수 있고, 홀(212)을 통해 물체의 중심을 인체에 표시할 수 있다. 홀(212)은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표시부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와 같이 표시부(300)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301)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200)는 물체의 중심에 가까운 정도를 탐지하여 표시부(300)에 나타낸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도 5의 221 참조)에서 물체의 중심에 가까운 정도를 단계적으로 나누어 표시부(300)의 반도체 발광소자(301)가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301)가 단계적으로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b)와 같이 표시부(300)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301)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301)가 단계적으로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도록 형성된 다른 예이다.
도 4(c)와 같이 표시부(300)는 단일의 반도체 발광소자(301)로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 발광소자(301)가 단계에 따라 색이 변화되도록 한 예이다. 물체의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반도체 발광소자(301)의 색이 바뀌어 가장 가까울 때를 색으로 알아차릴 수 있도록 한 예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센서부의 작동회로를 블럭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센서부(200)는 처리부(220) 및 코일(210)을 포함한다. 처리부(220)는 발진회로(222)및 제어부(221)를 포함한다. 발진회로(222)는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를 발생시켜, 코일(210)에 전달한다. 일정한 주파수를 코일에 전달하면 코일 주변에는 자기장이 발생하고, 자기장이 발생한 코일(210)이 물체에 다가가면 물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물체에 자기장이 형성된다. 물체에 형성되는 자기장은 코일(210)의 자기장을 방해하는 역자기장이 된다. 역자기장으로 인해 코일(210)에 흐르는 자기장이 줄어든다. 자기장이 줄어들면 코일(210)의 전류가 줄어들게 된다. 코일(210)의 전류가 줄어든다는 것은 코일의 저항치가 증가함을 의미하며 주파수의 변화를 발생하게 된다. 제어부(221)는 코일에 흐르는 코일의 주파수 변동을 인지하고, 제어부(221)는 주파수의 변동 정도를 복수의 단계로 나누고, 단계에 따라 표시하도록 표시부(300)에 제어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221)는 교류의 주파수를 발진회로(222)에서 발생한 교류의 주파수와 코일(210)에 흐르는 교류의 주파수를 비교한 차를 이용하여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진회로(222)의 교류의 주파수와 코일(210)의 교류의 주파수가 차이가 없으면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는다. 발진회로(222)의 교류의 주파수와 코일(210)의 교류의 주파수가 1~100Hz 차이가 나면 표시부에 1개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발광하고, 발진회로(222)의 주파수와 코일(210)의 주파수가 100~200Hz 차이가 나면 표시부(300)에 2개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발광하게하고, 200~300Hz 차이가 나면 표시부(300)에 3개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발광시킬 수 있다. 300~400Hz 차이가 나면 표시부(300)에 4개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발광시키며, 400Hz 이상 차이가 나면 표시부(300)에 5개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발광시킬 수 있다. 표시부(300)는 광원(301)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원(301)은 반도체 발광소자로서, 반도체 발광소자는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주파수 변동 정도에 대한 복수의 단계에 따라 표시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221)는 1개 이상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코일(210)이 물체의 중간에 있을 때 코일(210)의 자기장이 가장 많이 줄어들며, 코일(210)에서 흐르는 교류에 가장 높은 주파수가 발생한다.
전원부(500)에서는 전원의 크기를 회로에 맞도록 변환하며, 처리부(220)에 전원을 공급하고, 스위치를 포함하여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은 배터리로 공급할 수 있고, 외부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물체를 단계별로 감지하는 표시부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물체(400)가 잇몸(410)에 식립되어 있는 모습이다.
도 6(a)는 코일(210)이 물체(400) 위에 있지 않을 때의 일 예이다. 물체(400)와 떨어져 코일(210)이 있을 때에는 물체(400)를 감지하지 못해 표시부(300)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 코일(210)의 자기장이 물체(400)에 영향을 주지 못해 코일(210)의 교류 주파수가 변함이 없어, 차이가 생기지 않는다.
도 6(b)는 코일(210)이 물체(400) 위에 있을 때의 일 예이다. 물체(400) 주위에 코일(210)이 있을 때는 코일(210)이 물체(400)를 감지하여 표시부(300)의 광원(301)이 발광한다. 코일(210)의 자기장이 물체(400)에 영향을 주어 코일(210)의 교류 주파수가 변하여 표시부에 표현되었다.
도 6(c)는 코일(210)이 물체(400) 중심에 가까이 있을 때의 일 예이다. 코일(210)의 교류 주파수는 물체(400)의 중심 위에 있을 때 변화량이 제일 크다. 도 7(c)와 같이 물체(400)의 중심 위에 위치할 때, 표시부(300)의 가장 많은 광원(301)이 발광한다.
단계를 도 6(a), 도 6(b), 도 6(c) 3단계로 나누었지만 단계는 물체(400)의 종류에 따라서 변할 수 있고, 물체(400)가 식립된 깊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단계는 세부적으로 더 나눌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a에서는 코일(210)이 물체(400)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코일(210)의 교류 주파수와 발진회로의 주파수는 변화가 거의 없다. 그러므로 표시부(300)의 반도체 발광소자(301)은 켜지지 않는다. 도 6b에서는 코일(210)에 근접한다. 이때, 코일(210)의 교류 주파수와 발진회로의 주파수의 차는 100Hz~200Hz 이하의 차가 나게 된다. 이 차이를 감지한 제어부는 표시부(300)에 반도체 발광소자(301)가 2개를 켜지도록 한다. 도 6c에서는 코일(210)이 물체(400)의 중심에 있다. 이때, 코일(210)의 교류 주파수와 발진회로의 주파수의 차는 200Hz~300Hz 의 차가 나게 된다. 이 차이를 감지한 제어부는 표시부(300)에 반도체 발광소자(301)가 3개를 켜지도록 한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탐지 장치를 이용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마커(600)는 끝이 뾰족하며, 끝으로 잇몸을 눌러 표시하는 장치이다. 그림과 같이 코일(210)에 홀(212)이 있는 경우, 코일(210)의 홀(212)을 통과하여 마커(600)로 잇몸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식립된 물체의 중심을 찾기 위한 치과용 탐지 장치에 있어서, 몸체 몸체에 구비되는 센서부로서, 코일과 코일에 흐르는 교류의 주파수 변동을 인지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센서부 그리고, 몸체에 구비되고, 물체의 중심에 접근할수록 단계에 따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탐지 장치.
(2) 처리부는 발진회로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발진회로는 코일에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를 공급하며, 제어부는 코일에 흐르는 교류의 주파수 변동을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탐지장치.
(3) 제어부는 코일에 흐르는 교류의 주파수의 변동을 복수의 단계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탐지장치.
(4) 제어부는 나뉘어진 단계에 따라 표시를 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탐지장치.
(5)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광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탐지장치.
(6) 광원은 반도체 발광소자로서, 1개 이상의 반도체 발광소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탐지 장치.
(7) 광원은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로서, 반도체 발광소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개수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탐지 장치.
(8) 물체의 중심에서 가장 많은 반도체 발광소자가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탐지 장치.
(9) 코일이 물체의 중심에 있을 때, 코일에 흐르는 교류가 가장 높은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탐지장치.
(10) 처리부는 발진회로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발진회로는 코일에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를 공급하며, 제어부는 코일에 흐르는 교류의 주파수 변동을 인지하며, 코일에 흐르는 교류의 주파수 변동을 복수의 단계로 나누며, 단계에 따라 표시를 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며,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반도체 발광소자는 물체의 중심 단계에 따라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개수가 달라지며, 코일이 물체의 중심에 있을 때, 코일에서 가장 높은 주파수를 발생시키며, 물체의 중심에서 가장 많은 반도체 발광소자가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탐지 장치.
본 개시에 의하면, 식립된 물체의 중심을 알려주는 치과용 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식립된 물체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함으로서 수술부위의 절개를 최소화하여, 회복기간을 줄이는 치과용 탐지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10)

  1. 식립된 물체의 중심을 찾기 위한 치과용 탐지 장치에 있어서,
    몸체;
    몸체에 구비되는 센서부;로서, 코일과 코일에 흐르는 교류의 주파수 변동을 인지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센서부; 그리고,
    몸체에 구비되고, 물체의 중심에 접근할수록 단계에 따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처리부는 발진회로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발진회로는 코일에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를 공급하며,
    제어부는 코일에 흐르는 교류의 주파수 변동을 인지하며,
    제어부는 코일에 흐르는 교류의 주파수의 변동을 복수의 단계로 나누며,
    제어부는 나뉘어진 단계에 따라 표시를 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며,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광원을 가지며,
    광원은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로서,
    반도체 발광소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개수가 달라지며, 물체의 중심에서 가장 많은 반도체 발광소자가 발광하며,
    코일이 물체의 중심에 있을 때, 코일에 흐르는 교류가 가장 높은 주파수가 형성되며,
    처리부는 치과용 탐지 장치의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 민감하게 반응을 하거나 둔하게 반응할 경우 버튼을 눌러 신호를 처리부로 전달함으로써 발광소자를 발광하기 위한 기준 주파수를 조정하여 치과용 탐지 장치의 물체 중심 탐색 성능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센서 감도 유지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탐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46655A 2015-10-21 2015-10-21 치과용 탐지 장치 KR101719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655A KR101719276B1 (ko) 2015-10-21 2015-10-21 치과용 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655A KR101719276B1 (ko) 2015-10-21 2015-10-21 치과용 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276B1 true KR101719276B1 (ko) 2017-03-23

Family

ID=5849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655A KR101719276B1 (ko) 2015-10-21 2015-10-21 치과용 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2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602B1 (ko) * 2018-12-14 2020-06-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식립된 치과용 물체의 중심을 찾는 방법
KR102118590B1 (ko) * 2018-12-14 2020-06-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탐지 장치
KR20220065958A (ko) * 2020-11-13 2022-05-2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비접촉식 구강 내부 신경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3244A1 (en) * 2010-12-01 2012-06-07 Forum Engineering Technologies (96) Ltd. Implant locator
WO2012147077A1 (en) * 2011-04-25 2012-11-01 Creative Team Instruments Ltd. A sensor for use in an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fixture location determination
US20140087326A1 (en) * 2009-11-24 2014-03-27 Mark Reifm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ntal implant fixture location determin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7326A1 (en) * 2009-11-24 2014-03-27 Mark Reifm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ntal implant fixture location determination
WO2012073244A1 (en) * 2010-12-01 2012-06-07 Forum Engineering Technologies (96) Ltd. Implant locator
WO2012147077A1 (en) * 2011-04-25 2012-11-01 Creative Team Instruments Ltd. A sensor for use in an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fixture location determination
US20140099595A1 (en) * 2011-04-25 2014-04-10 Abraham Taub Sensor for use in an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fixture location determin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602B1 (ko) * 2018-12-14 2020-06-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식립된 치과용 물체의 중심을 찾는 방법
KR102118590B1 (ko) * 2018-12-14 2020-06-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탐지 장치
KR20220065958A (ko) * 2020-11-13 2022-05-2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비접촉식 구강 내부 신경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102594091B1 (ko) * 2020-11-13 2023-10-26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비접촉식 구강 내부 신경 검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276B1 (ko) 치과용 탐지 장치
US8860547B2 (en) Control terminal
EP2629737B1 (en) White cane with integrated electronic travel aid using 3d tof sensor
US956072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with a portable pointer device
DK1382308T3 (da) Distal målretning af låseskruer i intramedullære söm
US20120326911A1 (en) Electrical device
KR101898582B1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EP3498165B1 (en) Swallowing action measuring device and swallowing action supporting system
ATE441833T1 (de) Positionssensor
WO2008008109A3 (en) Wrist-wearable electrical detection device
EP3105655A1 (en) Movement detection apparatus for detecting a hand movement
JP6180224B2 (ja) 赤外線体温計
US20200003623A1 (en) Infrared thermometer
US20160247495A1 (en) Optical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20160088983A (ko) 시각장애인용 물체감지 장갑
KR20200093255A (ko) 초음파 센서 기반 스마트 지팡이
KR102118590B1 (ko) 치과용 탐지 장치
KR102118602B1 (ko) 식립된 치과용 물체의 중심을 찾는 방법
US9726778B2 (en) Portable detector for metals detection including an advanced system for automatic standby
US10143891B2 (en) Exercise assistance apparatus, exercise assistance method, and exercise assistance program
JP4665174B2 (ja) 演奏装置
JP6330093B1 (ja) 動作判定プログラム、動作判定装置、動作判定用画像生成プログラム、動作判定用画像生成装置
KR20160013657A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손목시계
EP3897274A1 (en) A method of detecting a fall for use at a mobility-assistive device, and a mobility-assistive device implementing said method
ATE312339T1 (de) Vorrichtung zur konduktiven grenzstandmess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