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878B1 -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878B1
KR101717878B1 KR1020160030381A KR20160030381A KR101717878B1 KR 101717878 B1 KR101717878 B1 KR 101717878B1 KR 1020160030381 A KR1020160030381 A KR 1020160030381A KR 20160030381 A KR20160030381 A KR 20160030381A KR 101717878 B1 KR101717878 B1 KR 101717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signal
medicine
storage unit
sto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to KR1020160030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 A62C35/15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with a system for topping-up the supply of extinguishing material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은, 복수의 방호구역으로부터 화재 신호가 수신되는 수신부, 화재 진압을 위한 약제가 저장되며 수신부로부터 화재 신호가 입력되면 약제의 공급이 개방되는 저장부 및 저장부로부터 약제를 각각 공급받도록 복수의 방호구역 각각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어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제어부 각각은 화재 신호가 정지되더라도 설정된 지연시간 동안 약제가 공급된 후 정지되도록 약제의 공급을 지연시키는 타이머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방호구역 각각에 대응되는 최적의 약제 공급량 제어가 용이해져, 화재 진압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OF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본 발명은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재 발생 지역에 대응하여 정지 지연시간을 제어하여 화재 진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시에 소화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기, 장치 및 용구를 총칭하여 소화설비라 한다. 여기서, 소화설비는 화재현장에서 사람이 사용하는 소화기구인 초기소화설비와, 초기소화설비로 화재 진압이 곤란한 장소나 대량의 위험물이 존재하는 장소에 마련되어 화재 발생시 대량의 약제를 투입하는 고정식 소화설비로 구분된다. 이때, 고정식 소화설비는 옥내 및 옥외 소화전 설비나 스프링쿨러 설비, 화학 소화설비 등을 포함한다.
한편, 소화설비는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 진압을 위한 약제를 분사하도록 제어된다. 이때, 소화설비가 약제가 저장된 하나의 저장탱크가 복수의 영역의 방호구역과 연결될 경우, 정밀한 약제 분사량 제어가 용이하지 않는다. 즉, 저장탱크와 복수의 방호구역 사이에 하나의 주밸브와 복수의 선택밸브가 마련됨으로써, 방호구역의 특성에 따른 최적 약제 공급 제어가 용이하지 못하다.
이러한 약제의 정확한 공급 제어의 어려움은 화재 진압율을 낮추는 요인이 됨에 따라, 대형 화재로 확산됨에 따른 손실이 우려된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소화시설의 정밀하고 정확한 제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774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발생시 해당 방호구역에 대한 최적화된 약제 방출을 통한 소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은, 복수의 방호구역으로부터 화재 신호가 수신되는 수신부, 화재 진압을 위한 약제가 저장되며, 상기 수신부로부터 화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약제의 공급이 개방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약제를 각각 공급받도록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 각각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어부 각각은 상기 화재 신호가 정지되더라도 설정된 지연시간 동안 상기 약제가 공급된 후 정지되도록 상기 약제의 공급을 지연시키는 타이머가 마련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타이머의 지연시간은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이 변경 가능하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 각각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화재 감지기는 상기 수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화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타이머와 연결되어 상기 화재 신호가 입력된 후 정지되면 상기 타이머를 동작시킨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화재 신호가 입력되면 제1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저장부에 마련된 주밸브를 개방시킨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 중 화재가 발생된 해당 방호구역에 마련된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개방에 의해 상기 해당 방호구역의 선택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해당 방호구역으로 상기 약제를 공급시킨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타이머는 상기 화재 신호의 입력이 정지되면 동작되어, 상기 지연시간 후에 상기 해당 방호구역의 선택밸브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은, 복수의 방호구역으로부터 화재 신호가 수신되는 수신부, 화재 진압을 위한 약제가 저장되며, 상기 수신부로부터 화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약제의 공급이 개방되는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받는 상기 약제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어부 각각은 상기 화재 신호가 입력된 후 정지되면, 설정된 지연시간 동안 상기 약제가 공급된 후 정지되도록 상기 약제의 공급을 지연시키는 타이머가 마련되고, 상기 지연시간은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 각각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화재 감지기는 상기 수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화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타이머와 연결되어 상기 화재 신호가 입력된 후 정지되면 상기 타이머를 동작시킨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화재 신호가 입력되면 제1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저장부에 마련된 주밸브를 개방시킨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 중 화재가 발생된 해당 방호구역에 마련된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개방에 의해 상기 해당 방호구역의 선택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해당 방호구역으로 상기 약제를 공급시킨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타이머는 상기 화재 신호의 입력이 정지된 후 동작되어, 상기 지연시간 후에 상기 해당 방호구역의 선택밸브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복수의 방호구역 각각의 조건에 대응되도록 약제의 공급이 지연되는 시간의 설정이 가능해짐으로써, 각 방호구역에 대한 최적화된 약제 배출로 인한 화재 진압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화재가 발생된 해당 방호구역에 최적화된 약제 배출량을 설정할 수 있음으로 인해, 화재의 완벽한 진압을 통한 재산피해 방지는 물론 방재 업무에 대한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타이머가 수동 조작함에 마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의 제어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은 수신부(2), 저장부(3) 및 제어부(4)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은 발전소와 같은 시설물을 감시 및 제어하는 원격소에서 시설물 내의 복수의 방호구역(A1~A3)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설비에 적용된다. 이때, 도 1의 도시에서는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A1~A3)이 3개인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상기 수신부(2)는 복수의 방호구역(A1~A3)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화재 신호가 수신된다. 상기 수신부(2)는 화재 발생에 의해 연동하여 개방되는 제1솔레이노이드 밸브(2a)를 구비한다. 참고로, 상기 제1솔레이노이드 밸브(2a)는 화재 발생에 의해 발생된 이산화탄소의 유입에 연동하여 개방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상기 저장부(3)는 수신부(2)로부터 화재 신호가 입력되면 화재 진압을 위해 공급되는 약제가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3)는 약제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부(3)는 제1솔레이노이드 밸브(2a)의 개방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주밸브(3a)를 구비한다. 상기 주밸브(3a)는 제1솔레이노이드 밸브(2a)의 개방에 의해 유입된 공압제어라인(미도시)의 이산화탄소에 의해 개방된다.
상기 제어부(4)는 복수개 마련되어, 저장부(3)로부터 약제를 각각 공급받도록 복수의 방호구역(A1~A3) 각각에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4)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복수의 방호구역(A1~A3) 각각에 마련되는 수동 제어반(7)에 내장된다. 이러한 수동 제어반(7)은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방호구역(A1~A3)의 외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방호구역(A1~A3)에 진입하지 않도록 작업자에 의해 수동 조작이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수동 제어반(7)이 복수의 방호구역(A1~A3)의 출입구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만 도시하였으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작업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수신부(2) 및 저장부(3)가 설치되는 인접 지역에 모두 설치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제어부(4)는 화재가 발생된 해당 방호구역(A1~A3)의 미도시된 공압제어라인의 이산화탄소에 의해 개방되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4a)를 포함한다.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4a)는 각 방호구역(A1~A3)에 마련된 선택밸브(4b)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개방된 주밸브(3a)에 의해 공급되는 약제가 개방된 선택밸브(4b)를 통해 해당 방호구역(A1~A3)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선택밸브(4b)는 오리피스(4c)와 연결되며, 오리피스(4c)는 약제가 해당 방호구역(A1~A3)으로 방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오리피스(4c)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약제를 분사하는 노즐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화재 진압을 위해 분사되는 상기 약제는 이산화탄소인 것으로 예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는 각각 수신부(2)로부터 화재 신호가 입력된 후 정지되면 일정 지연시간 동안 약제가 공급된 후, 약제의 공급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타이머(5)가 마련된다. 상기 타이머(5)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어부(4)가 각각 내장되는 수동 조작함(7)에 설치됨으로써, 복수의 방호구역(A1~A3) 각각의 환경에 따라 설정 시간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타이머(5)는 복수의 방호구역(A1~A3) 각각에 마련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6)와 연결된다. 그로 인해, 상기 타이머(5)는 화재 감지기(6)로부터 화재 신호가 입력(ON)되었다가 입력 신호가 정지(OFF)된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지연시간 동안만 제2솔레노이드 밸브(4a)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 후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타이머(5)는 화재 신호의 입력 시간에 상관없이, 화재 신호가 입력된 후 정지되면 작동된다.
참고로, 상기 화재 감지기(6)는 수신부(2)와 연결되어, 화재 신호를 입력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의 제어동작을 도 3을 참고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A1~A3) 각각에 마련된 화재 감지기(6)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수신부(2)가 화재 신호를 입력받는다(10). 상기 수신부(2)는 입력된 화재 신호에 대응하여 제1솔레이노이드 밸브(2a)를 개방시킨다(20). 상기 개방된 제1솔레이노이드 밸브(2a)에 연동하여 저장부(3)의 주밸브(3a)가 개방된다(30).
이 후, 화재가 발생된 해당 방호구역(A1~A3)의 제2솔레노이드 밸브(4a)가 개방되어(40) 해당 방호구역(A1~A3)의 선택밸브(4b)가 개방된다(50). 그로 인해, 상기 개방된 주밸브(3a)와 선택밸브(4b)에 의해 저장부(3)의 약제가 해당 방호구역(A1~A3)으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선택밸브(4b)의 개방을 통해 연결된 미도시된 노즐의 내부에 마련된 오리피스(4c)를 거쳐 약제를 화재가 발생된 해당 방호구역(A1~A3)의 내부로 방출한다.
상기 화재 감지기(6)에 의해 화재 발생 감지가 정지되어 신호 입력이 정지되면, 타이머(5)가 작동된다(60). 그로 인해, 상기 타이머(5)는 설정된 지연시간 예컨대, 30초 동안 제2솔레노이드 밸브(4a)가 계속 개방되도록 정지를 지연시킨다(70). 그 후,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4a)가 다시 폐쇄됨으로써 선택밸브(4b)가 폐쇄되어 화재 진압이 완료된다(80). 이때, 상기 선택밸브(4b)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솔레노이드 밸브(4a)로부터 유입되는 이산화탄소가 제거되면 내장된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된다.
참고로, 상기 타이머(5)에 의한 지연시간은 각 방호구역(A1~A3)의 크기와 같은 조건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그로 인해,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A1~A3) 각각에 대응되는 최적의 약제 방출을 선택밸브(4b)의 개방시간 제어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머(5)가 수신부(2)가 아닌 수동 조작반(7)에 마련된 제어부(4)에 마련됨으로써,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의 가스계 소화설비의 약제 방출량 규제로부터 자유롭게 제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
2: 수신부
2a: 제1솔레노이드 밸브
3: 저장부
3a: 주밸브
4: 제어부
4a: 제2솔레노이드 밸브
4b: 선택밸브
4c: 오리피스
5: 타이머
6: 화재 감지기
7: 수동 조작함

Claims (11)

  1. 복수의 방호구역으로부터 화재 신호가 수신되는 수신부;
    화재 진압을 위한 약제가 저장되며, 상기 수신부로부터 화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약제의 공급이 개방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약제를 각각 공급받도록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에 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 각각의 외부에 마련되어 작업자에 의해 수동 조작이 가능한 복수의 수동 제어반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어부는, 상기 화재 신호가 입력된 후 정지되면, 구동되어 설정된 지연시간 동안 상기 약제가 공급된 후 정지되도록, 상기 약제의 공급을 지연시키는 복수의 타이머가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각각 마련되고,
    상기 수신부는 화재 신호가 입력되면 제1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저장부에 마련된 주밸브를 개방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 중 화재가 발생된 해당 방호구역에 마련된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개방에 의해 상기 해당 방호구역의 선택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해당 방호구역으로 상기 약제를 공급시키고,
    상기 타이머는 상기 화재 신호의 입력이 정지되면 동작되어, 상기 지연시간 후에 상기 해당 방호구역의 선택밸브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시키는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지연시간은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이 변경 가능한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 각각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화재 감지기는 상기 수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화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타이머와 연결되어 상기 화재 신호가 입력된 후 정지되면 상기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복수의 방호구역으로부터 화재 신호가 수신되는 수신부;
    화재 진압을 위한 약제가 저장되며, 상기 수신부로부터 화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약제의 공급이 개방되는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 각각의 외부에 마련되어 작업자에 의해 수동 조작이 가능한 복수의 수동 제어반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받는 상기 약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어부는, 상기 화재 신호가 입력된 후 정지되면, 구동되어 설정된 지연시간 동안 상기 약제가 공급된 후 정지되도록 상기 약제의 공급을 지연시키는 복수의 타이머가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각각 마련되고,
    상기 지연시간은 상기 작업자에 의한 상기 수동 제어반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상기 수신부는 화재 신호가 입력되면 제1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저장부에 마련된 주밸브를 개방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 중 화재가 발생된 해당 방호구역에 마련된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개방에 의해 상기 해당 방호구역의 선택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해당 방호구역으로 상기 약제를 공급시키고,
    상기 타이머는 상기 화재 신호의 입력이 정지되면 동작되어, 상기 지연시간 후에 상기 해당 방호구역의 선택밸브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시키는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방호구역 각각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화재 감지기는 상기 수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화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타이머와 연결되어 상기 화재 신호가 입력된 후 정지되면 상기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30381A 2016-03-14 2016-03-14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 KR101717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381A KR101717878B1 (ko) 2016-03-14 2016-03-14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381A KR101717878B1 (ko) 2016-03-14 2016-03-14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878B1 true KR101717878B1 (ko) 2017-03-17

Family

ID=5850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381A KR101717878B1 (ko) 2016-03-14 2016-03-14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8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077B1 (ko) * 2020-02-12 2020-10-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옥내소화전을 이용한 터널 진입 차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 화재 원격 자동화 소화 시스템
KR20220055568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디오하베스트 다중 분사라인 및 스위칭모듈을 포함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747Y1 (ko) 2002-08-23 2002-12-11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다선출력 화재감지기 및 포소화약제를 이용한 구역차단식지하공동구 화재진압시스템
KR20120069334A (ko) * 2010-12-20 2012-06-2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보호장치
KR20130000084U (ko) * 2011-06-24 2013-01-03 (주)동신소방 화재시 소화 약제를 방출시키는 솔레노이드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747Y1 (ko) 2002-08-23 2002-12-11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다선출력 화재감지기 및 포소화약제를 이용한 구역차단식지하공동구 화재진압시스템
KR20120069334A (ko) * 2010-12-20 2012-06-2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보호장치
KR20130000084U (ko) * 2011-06-24 2013-01-03 (주)동신소방 화재시 소화 약제를 방출시키는 솔레노이드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077B1 (ko) * 2020-02-12 2020-10-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옥내소화전을 이용한 터널 진입 차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 화재 원격 자동화 소화 시스템
KR20220055568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디오하베스트 다중 분사라인 및 스위칭모듈을 포함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시스템
KR102586376B1 (ko) * 2020-10-27 2023-10-06 주식회사 디오하베스트 다중 분사라인 및 스위칭모듈을 포함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14046A1 (en) Fire suppression system
US10074253B2 (en) Marker deployment
KR101681515B1 (ko) 소화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717878B1 (ko) 원격 소화설비 제어시스템
KR101654704B1 (ko)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를 구비한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RU2414966C1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1738879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HU0201260D0 (ko)
KR101794327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화염차단기능을 갖춘 소방용 출입문
JP6957316B2 (ja) 消火システム
JP2012100819A (ja) 泡消火装置
KR101685512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CN114667170A (zh) 灭火器具、灭火设备以及灭火方法
CN205127213U (zh) 一种适用于设备电气间使用的自动灭火装置
JP2021087754A (ja) 消火器具及び消火設備
WO2004098718A1 (en) Combined water spray fire protection system using common piping with gaseous fire protection system
KR101301344B1 (ko) 가스 자동소화설비의 화이어 락아웃 시스템
CA2954103C (en) Gas extinguishing system
KR101505897B1 (ko) 과유량 자동차단장치를 이용한 복합 소화시스템
CN102058949B (zh) 灭火系统的操作方法和灭火系统
JPH11276610A (ja) 消火警報装置
JP5046315B2 (ja) 防火区画形成システム
US8448377B1 (en) Closed-circuit pest extermination system
CN202516209U (zh) 消防系统
CN211584979U (zh) 发电厂集控室的气体消防与火灾排烟集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