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190B1 - 우선순위에 따라 기기를 충전하는 회로 - Google Patents

우선순위에 따라 기기를 충전하는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190B1
KR101717190B1 KR1020150152292A KR20150152292A KR101717190B1 KR 101717190 B1 KR101717190 B1 KR 101717190B1 KR 1020150152292 A KR1020150152292 A KR 1020150152292A KR 20150152292 A KR20150152292 A KR 20150152292A KR 101717190 B1 KR101717190 B1 KR 101717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signal
transis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종남
이도훈
조영준
최훈석
김선민
Original Assignee
배종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남 filed Critical 배종남
Priority to KR102015015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027
    • H02J7/0021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휴대용 기기를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의 전원 공급 장치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회로는 충전단자에 연결된 휴대용 기기의 완충상태 여부를 확인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충전을 수행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전원의 공급을 중지한다. 따라서 다수의 휴대용 기기를 하나의 전원 공급 장치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며,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우선순위에 따라 기기를 충전하는 회로 {CIRCUIT FOR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PRIORITY}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에 연결되어 휴대용 단말의 충전을 제어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4인 가족의 평균 휴대폰의 수는 3대 이상이며 일반적으로 휴대폰을 충전하는 충전기도 휴대폰의 수만큼 사용된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휴대폰마다 별도의 충전기를 사용하며 수면시간 동안 휴대폰을 충전기에 연결해 휴대폰을 충전한다. 휴대폰이 완충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수면시간보다 짧으므로 휴대폰의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는 나머지 시간만큼 전력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휴대폰마다 별도의 충전기가 사용되므로 휴대폰의 수에 비례하여 소모되는 전력이 증가하여 전력 낭비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 휴대폰을 충전하는 충전기는 각각의 휴대폰을 별도의 충전기로 충전하며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도 전력을 공급한다는 점에서 전력 낭비의 문제가 있으며, 충전하는 휴대폰의 수에 따라 증가하는 충전기의 개수만큼 비용 문제도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6416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전력원으로 다수의 휴대용 단말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우선순위에 따라 다수의 휴대용 단말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단말의 충전 시에 발생하는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충전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기준 전압과 제1 충전 단자에 연결된 제1 배터리의 전압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1 충전부; 상기 기준 전압과 제2 충전 단자에 연결된 제2 배터리의 전압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2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2 충전부; 및 상기 기준 전압과 제N 충전 단자에 연결된 제N 배터리의 전압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N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신호, 상기 제2 신호 및 상기 제N 신호에 따라 상기 제N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N 충전부를 포함하는 우선순위에 따라 기기를 충전하는 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충전부는,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1 배터리의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1 배터리가 완충상태가 아니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비교기가 출력하는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가 동작하면 게이트단으로 로우 신호가 입력되어 드레인단으로 기설정된 전압을 출력하는 제1 모스펫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충전부는,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2 배터리의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2 배터리가 완충상태가 아니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기;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하는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단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비교기가 하이 신호를 출력하면 동작하여 상기 제2 비교기에서 출력된 하이 신호를 로우 신호로 반전시키는 제3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가 동작하면 게이트단으로 로우 신호가 입력되어 드레인단으로 기설정된 전압을 출력하는 제2 모스펫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단과 상기 제3 트랜지스터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전력원으로 다수의 휴대용 단말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단말의 수만큼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의 충전상태를 확인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휴대용 단말의 충전을 제어함으로써, 휴대용 단말이 충전회로에 연결된 시간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기기를 충전하는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기기를 충전하는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기기를 충전하는 회로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기기를 충전하는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기기를 충전하는 회로(이하, "우선순위 충전회로"라 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충전회로(100)는 제1 충전부(110)와 제2 충전부(120)를 포함하며, 다수 개의 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N개의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충전부(110)와 제2 충전부(12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충전부(110)의 충전단자(이하, "제1 충전단자"라 함)를 통해 연결된 기기의 배터리를 제1 배터리(10)라 하고, 제2 충전부(120)의 충전단자(이하, "제2 충전단자"라 함)를 통해 연결된 기기의 배터리를 제2 배터리(20)라 한다.
제1 충전부(110)와 제2 충전부(120)는 전원 공급 장치(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 제1 배터리(10)와 제2 배터리(20)를 충전한다.
구체적으로, 제1 충전부(110)는 제1 충전단자에 제1 배터리(10)가 연결되면, 제1 배터리(10)의 전압(Vbat1)을 기준 전압(Vset1)과 비교한다. 기준 전압(Vset1)은 제1 배터리(10)가 완충상태일 때의 전압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5V인 경우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충전부(110)는 제1 배터리(10)의 전압(Vbat1)이 기준 전압(Vset1)보다 작으면 제1 배터리(1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제1 배터리(10)가 완충상태가 되면 제1 배터리(10)로 전원의 공급을 중지한다.
제2 충전부(120)는 제2 충전단자에 제2 배터리(20)가 연결되면 제2 배터리(20)의 전압(Vbat2)을 기준 전압(Vset1)과 비교한다. 그리고 제2 배터리(20)의 전압(Vbat2)이 기준 전압(Vset1)보다 작고 제1 배터리(10)가 충전중이 아니면 제2 배터리(20)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우선순위 충전회로(100)는 다수의 기기를 하나의 전원 공급 장치(40)를 통해 충전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기기의 충전상태에 따라 순차적으로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충전 시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의 회로도 및 도 3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선순위 충전회로(100)가 작동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충전회로(100)를 나타낸 회로도이며, 도 3은 우선순위 충전회로(100)의 각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200은 제1 충전부(110)를 나타낸 것이며 210은 제2 충전부(120)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제1 충전부를 200으로 지시하고 제2 충전부를 210으로 지시한다.
제1 충전부(200)를 먼저 설명하면, 제1 충전부(200)는 제1 비교기(201), 제1 트랜지스터(202) 및 제1 모스펫(203)을 포함한다.
제1 비교기(201)에는 제1 충전단자에 연결된 제1 배터리(10)의 전압(Vbat1)과 기준 전압(Vset1)이 입력된다.
제1 비교기(201)의 출력단은 제1 트랜지스터(202)의 베이스단과 연결되며 제1 트랜지스터(202)의 베이스단으로 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을 노드 A라 한다.
제1 트랜지스터(202)는 컬렉터단이 제1 모스펫(203)의 게이트단과 연결되며 제1 모스펫(203)의 게이트단으로 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을 노드 B라 한다.
제1 모스펫(203)은 게이트단으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드레인단으로 전압을 출력한다.
제1 비교기(201)는 제1 충전단자에 제1 배터리(10)가 연결되어 제1 배터리(10)의 전압(Vbat1)이 입력되면 제1 배터리(10)의 전압(Vbat1)을 기준 전압(Vset1)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제1 배터리(10)의 전압(Vbat1)이 기준 전압(Vset1)보다 작으면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1 배터리(10)의 전압(Vbat1)이 기준 전압(Vset1)보다 작지 않으면 로우(LOW)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비교기(201)가 출력하는 신호는 제1 트랜지스터(202)의 베이스단으로 입력된다.
도 3의 300은 제1 비교기(201)의 출력단과 제1 트랜지스터(202)의 베이스단 사이의 노드 A에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301은 노드 A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 배터리(10)의 전압(Vbat1)이 기준 전압(Vset1)보다 작은 상태를 의미한다. 302는 제1 배터리(10)의 충전이 완료되어 제1 비교기(201)가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비교기(201)가 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도 3의 301과 같이 하이 신호가 노드 A에 입력되면, 노드 A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202)의 베이스단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어 제1 트랜지스터(202)가 동작한다.
제1 트랜지스터(202)가 동작하면 제1 트랜지스터(202)의 컬렉터단과 제1 모스펫(203)의 게이트단 사이의 노드 B에는 로우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도 3의 310은 노드 B에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낸 것으로서, 노드 A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301) 제1 트랜지스터(202)가 동작하게 되므로 노드 B에는 로우 신호가 입력된다(311). 그리고 노드 A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302) 제1 트랜지스터(202)가 동작하지 아니하므로 노드 B에는 하이 신호가 입력된다(312).
제1 트랜지스터(202)가 동작하여 노드 B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제1 모스펫(203)의 게이트단으로 로우 신호가 입력되어 제1 모스펫(203)의 드레인단에서 기설정된 전압(예컨대, 5V)가 출력되어 제1 배터리(10)가 충전된다.
도 3의 320은 제1 모스펫(203)이 출력하는 전압을 나타낸 것으로서, 노드 B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311) 제1 모스펫(203)의 게이트단으로 로우 신호가 입력되므로 제1 모스펫(203)의 드레인단으로 5V가 출력된다(321). 노드 A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어(302) 제1 트랜지스터(202)가 동작하지 않고 노드 B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312), 제1 모스펫(203)의 게이트단으로 하이 신호가 입력되므로 제1 모스펫(203)의 드레인단으로 전압이 출력되지 않게 된다(322).
따라서 제1 충전부(200)는 제1 충전단자에 연결된 제1 배터리(10)가 완충상태가 아닌 경우에만 제1 배터리(10)에 전원을 공급하며, 제1 배터리(10)의 충전이 완료되면 제1 배터리(10)에 전원 공급을 중지한다. 그러므로 기기의 충전시간 이상 배터리를 전원 공급 장치(40)에 연결하더라도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제2 충전부(210)를 참조하여 다수의 기기가 우선순위 충전회로(100)에 연결된 경우에 기기를 충전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제2 충전부(210)은 제2 비교기(211), 제2 트랜지스터(212), 제2 모스펫(213) 그리고 제3 트랜지스터(214)를 포함한다.
제2 비교기(211)에는 제2 충전단자를 통해 연결된 제2 배터리(20)의 전압(Vbat2)과 기준 전압(Vset1)이 입력된다.
제2 비교기(211)의 출력단은 제2 트랜지스터(212)의 베이스단과 연결되며, 제2 비교기(211)의 출력단에서 제2 트랜지스터(212)의 베이스단으로 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을 노드 A'라 한다.
제2 트랜지스터(212)는 컬렉터단이 제2 모스펫(213)의 게이트단과 연결되며, 제2 트랜지스터(212)의 컬렉터단으로부터 제2 모스펫(213)의 게이트단으로 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을 노드 B'라 한다.
제2 충전부(210)는 제3 트랜지스터(214)를 포함하며, 제3 트랜지스터(214)의 컬렉터단이 노드 A'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3 트랜지스터(214)의 베이스단에는 제1 충전부(200)의 노드 A의 신호가 입력된다.
제2 비교기(211)는 제2 배터리(20)의 전압(Vbat2)과 기준 전압(Vset1)이 입력되면, 제2 배터리(20)의 전압(Vbat2)과 기준 전압(Vset1)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제2 배터리(20)의 전압(Vbat2)이 기준 전압(Vset1)보다 작으면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2 배터리(20)의 전압(Vbat2)이 기준 전압(Vset1)보다 작지 않으면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제2 비교기(211)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2 트랜지스터(212)의 베이스단으로 입력되며, 제2 트랜지스터(212)의 베이스단으로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제2 트랜지스터(212)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제2 트랜지스터(212)의 베이스단으로 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인 노드 A'에는 제3 트랜지스터(214)의 컬렉터단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3 트랜지스터(214)의 베이스단에는 제1 충전부(200)의 노드 A의 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제2 비교기(211)에서 하이 신호를 출력하더라도 제3 트랜지스터(214)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노드 A'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여 제2 트랜지스터(212)의 베이스단에 로우 신호가 입력된다. 즉, 제1 충전부(200)가 제1 배터리(10)를 충전하는 동안에는 제2 배터리(20)의 전압(Vbat2)이 기준 전압(Vset1)보다 작더라도 제2 배터리(20)를 충전하지 않도록 한다.
도 3의 330은 노드 A'에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331, 332는 제2 비교기(211)가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나, 331에서는 노드 A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이므로(301) 노드 A'에는 로우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노드 A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302) 노드 A'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332).
즉, 제1 충전부(20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제2 충전부(210)의 동작을 반전시킴으로써 다수의 기기가 순차적으로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트랜지스터(212)는 베이스단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한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212)가 동작하면 제2 모스펫(213)의 게이트단으로 로우 신호가 입력된다.
도 3의 340은 노드 B'에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제2 비교기(211)가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구간인 341, 342 중 노드 A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어 노드 A'에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로 반전되는 341에서 노드 B'에는 하이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노드 A에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로 변경되는 342에서 노드 A'에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 신호가 되어 노드 B'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제2 모스펫(213)은 노드 B'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어 게이트단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드레인단으로 전압을 출력한다.
도 3의 350은 제2 모스펫(213)의 드레인단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나타낸 것으로서, 노드 B'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는 구간(342)에서 드레인단으로 전압을 출력한다(352). 즉, 제2 배터리(20)가 완충상태가 아니나 제1 배터리(10)가 충전중인 구간(351)에서는 제2 배터리(20)를 충전하지 않고, 제1 배터리(10)가 충전이 완료되면 제2 배터리(20)로 전원을 공급하며(352) 제2 배터리(20)의 충전이 완료되면 전압을 출력하지 않는다(353).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충전부(200)의 노드 A로부터 제2 충전부(210)의 제3 트랜지스터(214)로 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에 스위치를 포함함으로써,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다수의 기기가 동시에 충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충전부가 두 개인 경우만 설명한 것이나, 충전부가 N개인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다수의 기기를 순차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기기의 충전이 완료되면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선순위 충전회로(100)는 다수의 기기를 순차적으로 충전함으로써 충전하는 배터리의 수만큼 전원 공급 장치(40)의 용량이 증가할 필요가 없도록 하며, 기존의 배터리 충전회로에 간단한 우선순위 충전회로(100)를 부가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른 기기의 충전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순위 충전회로(100)는 제1 충전단자에 제1 배터리가 연결되면(S400) 제1 배터리의 전압(Vbat1)을 기준 전압(Vset1)과 비교한다(S410).
제1 배터리의 전압(Vbat1)이 기준 전압(Vset1)보다 작으면(S410의 "예") 제1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한다(S420). 그리고 제1 배터리의 전압(Vbat1)이 기준 전압(Vset1)보다 작지 않으면(S410의 "아니오") 제1 배터리는 충전이 완료된 상태이므로 제2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결정한다.
우선순위 충전회로(100)는 제1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제2 배터리의 전압(Vbat2)을 기준 전압(Vset1)과 비교한다(S440).
제2 배터리의 전압(Vbat2)이 기준 전압(Vset1)보다 작으면(S440의 "예") 제2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한다(S450), 제2 배터리의 전압(Vbat2)이 기준 전압(Vset1)보다 작지 않으면(S440의 "아니오") 제2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상태이므로 전원 공급을 중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기기의 완충 여부를 확인하고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하나의 전원 공급 장치에 부가된 간단한 회로를 이용하여 다수의 기기를 충전하고 충전 시 낭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20, 30: 배터리 40: 전원 공급 장치
100: 우선순위 충전회로 110, 120, 130: 충전부
201: 제1 비교기 202: 제1 트랜지스터
203: 제1 모스펫 211: 제2 비교기
212: 제2 트랜지스터 213: 제2 모스펫
214: 제3 트랜지스터

Claims (5)

  1. 기준 전압과 제1 충전 단자에 연결된 제1 배터리의 전압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1 충전부; 및
    상기 기준 전압과 제2 충전 단자에 연결된 제2 배터리의 전압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2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2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충전부는,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1 배터리의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1 배터리가 완충상태가 아니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비교기가 출력하는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가 동작하면 게이트단으로 로우 신호가 입력되어 드레인단으로 기설정된 전압을 출력하는 제1 모스펫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충전부는,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2 배터리의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2 배터리가 완충상태가 아니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기;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하는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단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비교기가 하이 신호를 출력하면 동작하여 상기 제2 비교기에서 출력된 하이 신호를 로우 신호로 반전시키는 제3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가 동작하면 게이트단으로 로우 신호가 입력되어 드레인단으로 기설정된 전압을 출력하는 제2 모스펫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단과 상기 제3 트랜지스터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우선순위에 따라 기기를 충전하는 회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과 제N 충전 단자에 연결된 제N 배터리의 전압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N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신호, 상기 제2 신호 및 상기 제N 신호에 따라 상기 제N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N 충전부
    를 더 포함하는 우선순위에 따라 기기를 충전하는 회로.
KR1020150152292A 2015-10-30 2015-10-30 우선순위에 따라 기기를 충전하는 회로 KR101717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292A KR101717190B1 (ko) 2015-10-30 2015-10-30 우선순위에 따라 기기를 충전하는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292A KR101717190B1 (ko) 2015-10-30 2015-10-30 우선순위에 따라 기기를 충전하는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190B1 true KR101717190B1 (ko) 2017-03-17

Family

ID=5850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292A KR101717190B1 (ko) 2015-10-30 2015-10-30 우선순위에 따라 기기를 충전하는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1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320A (ko) * 1997-05-31 1998-12-05 윤종용 배터리 충전제어장치
KR20070016416A (ko) * 2005-08-03 2007-02-08 이해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충전지를 순차적으로 충전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00390A (ko) * 2006-06-27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배터리 셀 제어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형 기기
KR20140142598A (ko) * 2013-06-04 2014-12-12 중앙제어 주식회사 멀티채널방식의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320A (ko) * 1997-05-31 1998-12-05 윤종용 배터리 충전제어장치
KR20070016416A (ko) * 2005-08-03 2007-02-08 이해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충전지를 순차적으로 충전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00390A (ko) * 2006-06-27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배터리 셀 제어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형 기기
KR20140142598A (ko) * 2013-06-04 2014-12-12 중앙제어 주식회사 멀티채널방식의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666B1 (ko) 양방향 전력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8896155B2 (en)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US8829979B2 (en) Power-efficient multi-mode charge pump
US9654005B2 (en) Battery charge and discharge management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561386B1 (ko) 배터리 사이클 수명 연장 메커니즘
EP3357150B1 (en) Bi-directional current sensing circuit
US10727677B2 (en) Fast charging circuit
JP4965496B2 (ja) 充放電制御回路及びバッテリ装置
US92939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current in device using rechargeable battery
US10897134B2 (en) Electronic device
US20110163604A1 (en) Power supply circuit of terminal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using the same
US20180069428A1 (en) Charging-discharging module of energy storage unit and charging-discharging method thereof
US76880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erving battery charge
US20110095615A1 (en) Power source selection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7683584B2 (en) Power source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40125273A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TWI505593B (zh) 可配置電源供應系統及電源供應配置方法
JP2006262610A (ja) 電源回路
US9985445B2 (en) Charging/discharging control circuit, charging/discharging control device, and battery apparatus
CN109217407B (zh) 电子装置
KR101717190B1 (ko) 우선순위에 따라 기기를 충전하는 회로
US20130003428A1 (en) Power supply system and electrical device with same
CN110050401B (zh) 电力供给系统、电子设备及电力供给方法
CN105896640B (zh) 移动设备及其分配电流的方法
CN219960173U (zh) 具有快充功能的充电电路及具有快充功能的充电线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