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604B1 - 진동 저감형 펌프 - Google Patents

진동 저감형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604B1
KR101715604B1 KR1020160069387A KR20160069387A KR101715604B1 KR 101715604 B1 KR101715604 B1 KR 101715604B1 KR 1020160069387 A KR1020160069387 A KR 1020160069387A KR 20160069387 A KR20160069387 A KR 20160069387A KR 101715604 B1 KR101715604 B1 KR 101715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sliding bearing
carbon composite
sleeve
composit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대준
Original Assignee
(유)한성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성산기 filed Critical (유)한성산기
Priority to KR1020160069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9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04H1/4242Carbon fib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4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 F04D29/043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4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 F04D29/046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6Lubrication
    • F04D29/061Lubrication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4Special methods of manufacture; Running-i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형 펌프는,
모터축과 임펠러축이 복수개의 축으로 연결된 펌프에 있어서,
상기 축이 진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축에 삽입되는 자기 윤활성을 가지며 고강도인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 및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를 일정간격 떨어져 감싸는, 자기 윤활성을 가지며 고강도인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 저감형 펌프{VIBRATION REDUCED PUMP}
본 발명은 진동 저감형 펌프에 관한 것이다.
입축 펌프는 우수 배수, 상수원수 공급, 관개용수 공급 등 대규모의 급.배수 시설에 사용된다.
입축 펌프는 모터로부터 임펠러까지 거리가 멀다. 따라서, 모터축의 회전력을 임펠러까지 전달하기 위해서, 모터축과 임펠러축 사이를 복수개의 축으로 연결한다. 복수개의 축은 커플링으로 서로 연결된다. 복수개의 축을 연결할 때 동심을 맞추기 위해, 커플링에 유격을 준다.
입축 펌프에는 축이 흔들리는 것을 잡아주는 슬리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이 설치된다. 슬리브는 축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베이링은 슬리브와 소정 간극으로 떨어져 슬리브를 감싼다.
커플링에 유격이 있으므로 슬리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이 지속적으로 마찰된다.
슬리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이 지속적으로 마찰되면, 슬리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이 소착, 마모, 파손된다. 이렇게 슬리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이 소착, 마모, 파손되면, 축이 심하게 흔들려 펌프가 진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슬리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이 소착, 마모, 파손되기 전에, 슬라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교체해야 한다.
이렇게 슬리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교체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한국등록특허(10-1317443)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리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이 소착, 마모, 파손되지 않아, 슬리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진동 저감형 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진동 저감형 펌프는,
모터축과 임펠러축이 복수개의 축으로 연결된 펌프에 있어서,
상기 축이 진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축에 삽입되는 자기 윤활성을 가지며 고강도인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 및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를 일정간격 떨어져 감싸는, 자기 윤활성을 가지며 고강도인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기 윤활성을 가지며 고강도인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을 구비한다.
따라서, 슬리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이 지속적으로 마찰되더라도, 슬리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이 소착, 마모, 파손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슬라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교체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진동이 저감된 상태로 펌프를 지속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슬리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이 자기 윤활성을 가지는 탄소-탄소 복합재로 만들어지므로, 물이 공급되는 급수 상태는 물론, 펌프 점검 시 물이 공급되지 않는 무급수 상태에서도, 슬리브 및 슬라이딩 베어링이 소착, 변형, 파손되지 않는다. 따라서, 펌프 점검 시, 인위적으로 펌프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가 필요 없어, 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형 펌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면 A-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와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과, 그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와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의 마찰계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도 4(a)는 DRY 조건에서 마찰계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b)는 WET 조건에서 마찰계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와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의 온도에 따른 부피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제1변형예에 따른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와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과, 그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2변형예에 따른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와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과, 그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3변형예에 따른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와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과, 그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형 펌프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형 펌프(1)는 입축펌프다.
진동 저감형 펌프(1)는, 복수개의 축(S), 리테이너(R),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으로 구성된다.
복수개의 축(S)은 커플링(U)으로 연결된다.
복수개의 축(S)은 모터의 축(미도시)과 임펠러(I)의 축을 연결한다.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와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은 축(S)이 진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는 축(S)에 삽입된 후, 무드볼트(B)로 고정된다.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은 리테이너(R)의 내측홈(R1)에 삽입된 후, 리테이너(R)의 상측에서 리테이너(R)의 내측탭(R2)과 나사결합되는 링너트(N)에 의해 고정된다. 링너트(N)는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을 위에서 아래로 눌러 내측홈(R1)에서 빠지지 못하게 만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은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를 일정 간격을 두고 감싼다.
도 3에 도시된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은, 다음과 같이 만들어진다.
탄소섬유직물들과 그 사이에 탄소섬유웹을 적층하고, 적층 방향(수직 방향)으로 니들펀칭(Needle Punching)한다.
탄소섬유직물은 탄소섬유(Cf1)들이 교차되어 만들어진다.
탄소섬유웹은 짧은(3~10cm) 탄소섬유(Cf2)들이 서로 얽혀져 만들어진다.
니들펀칭은 니들판에 배열된 니들이 탄소섬유웹을 구성하는 섬유(Cf2)를 아래로 끌고 내려가, 탄소섬유직물들을 층간 결속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의 형상대로 층간 결속된 탄소섬유직물을 컷팅한다.
컷팅된 탄소섬유직물을 900~1000℃로 탄화시킨다.
탄화된 탄소섬유직물에 탄화수소가스를 침투시키고 그 탄화수소 가스를 열분해하여 탄소(C)로 밀도를 높인다.
밀도화된 탄소섬유직물의 표면을 다이아몬드 연마기로 연마한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이 만들어진다.
이하,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의 마찰계수 측정결과를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공급되지 않은 조건(DRY 조건)에서 마찰계수 측정 결과,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의 마찰계수는 평균 0.166로 측정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공급된 조건(WET 조건)에서 마찰계수 측정 결과,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의 마찰계수는 평균 0.225로 측정된다.
이렇게 측정된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의 마찰계수는 종래 복합성분(Elastomeric Polymer Alloy)으로 만들어진 슬라이딩 베어링의 마찰계수와 거의 같다.
따라서,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으로, 종래 슬리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을 충분히 대처할 수 있다.
이하,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의 온도에 따른 부피변화 측정결과를 설명한다.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의 부피변화를 온도(0~800℃)에 따라 측정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5㎛ 내외의 부피변화가 측정되었다. 이는 종래 슬리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의 부피변화보다 훨씬 작은 것이다.
이렇게,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는 온도에 따른 부피변화가 작기 때문에,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와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 사이의 간격 변화가 거의 없다.
따라서, 종래 슬리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을 사용한 경우 보다, 우수한 진동 저감 효과를 일으킨다.
또한, 종래 슬라이딩 베어링은 최대 107℃까지 사용할 수 있는 것에 비해,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은 최대 400℃까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용 온도를 종래보다 4배까지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6에 도시된 제1변형예에 따른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와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제1변형예에 따른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은 탄소나노튜브(Cn)를 전체적으로 포함하며, 다음과 같이 만들어진다.
탄소섬유직물들과 그 사이에 탄소섬유웹을 적층하고, 적층 방향(수직 방향)으로 니들펀칭(Needle Punching)한다.
탄소섬유직물은 탄소섬유(Cf1)들이 교차되어 만들어진다.
탄소섬유웹은 짧은(3~10cm) 탄소섬유(Cf2)들이 서로 얽혀져 만들어진다.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의 형상대로 층간 결속된 탄소섬유직물을 컷팅한다.
컷팅된 탄소섬유직물을 탄소나노튜브(Cn)가 포함된 용액에 담그고 꺼내서 건조시킨다.
탄소나노튜브(Cn)는 평균직경 1~수십nm, 평균길이가 100nm~수십㎛, 순도 140% 이상인 것이 사용된다. 탄소나노튜브(Cn)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들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고 있는 물질로써, 그 강도가 철강보다 100배나 뛰어나다.
용액은 디메일 설폭사이드 용액, 디메틸 포름아마이드 용액,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용액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컷팅된 탄소섬유직물을 900~1000℃로 탄화시킨다.
탄화된 탄소섬유직물에 탄화수소가스를 침투시키고 그 탄화수소 가스를 열분해하여 탄소(C)로 밀도를 높인다.
밀도화된 탄소섬유직물의 표면을 다이아몬드 연마기로 연마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제1변형예에 따른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이 만들어진다.
이하, 도 7에 도시된 제2변형예에 따른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와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제2변형예에 따른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은 탄소나노튜브(Cn)를 부분적으로 포함하며, 다음과 같이 만들어진다.
탄소섬유직물들과 그 사이에 탄소섬유웹을 적층하고, 적층 방향(수직 방향)으로 니들펀칭(Needle Punching)한다.
탄소섬유직물은 탄소섬유(Cf1)들이 교차되어 만들어진다.
탄소섬유웹은 짧은(3~10cm) 탄소섬유(Cf2)들이 서로 얽혀져 만들어진다.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의 형상대로 층간 결속된 탄소섬유직물을 컷팅한다.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와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이 마찰될 부분이 될 탄소섬유직물 부분에만, 탄소나노튜브(Cn)가 포함된 용액을 바르고 건조시킨다. 그러면,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와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이 마찰될 부분만 더 강화된다.
탄소섬유직물을 900~1000℃로 탄화시킨다.
탄화된 탄소섬유직물에 탄화수소가스를 침투시키고 그 탄화수소 가스를 열분해하여 탄소(C)로 밀도를 높인다.
밀도화된 탄소섬유직물의 표면을 다이아몬드 연마기로 연마한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제2변형예에 따른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이 만들어진다.
이하, 도 8에 도시된 제3변형예에 따른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와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제3변형예에 따른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은 부분적으로 고밀도화 되며, 다음과 같이 만들어진다.
탄소섬유직물들과 그 사이에 탄소섬유웹을 적층하고, 적층 방향(수직 방향)으로 니들펀칭(Needle Punching)한다.
탄소섬유직물은 탄소섬유(Cf1)들이 교차되어 만들어진다.
탄소섬유웹은 짧은(3~10cm) 탄소섬유(Cf2)들이 서로 얽혀져 만들어진다.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의 형상대로 층간 결속된 탄소섬유직물을 컷팅한다.
컷팅된 탄소섬유직물을 900~1000℃로 탄화시킨다.
탄화된 탄소섬유직물에 탄화수소가스를 침투시키고 그 탄화수소 가스를 열분해하여 탄소(C)로 밀도를 높인다. 이때,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와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이 마찰될 부분이 될 탄소섬유직물 부분에, 탄소(C)를 더 많이 침투시켜 밀도를 더 높인다. 그러면,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와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이 마찰될 부분이 더 강화된다.
밀도화된 탄소섬유직물의 표면을 다이아몬드 연마기로 연마한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제3변형예에 따른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110) 및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120)이 만들어진다.
1: 진동 저감형 펌프 S: 축
R: 리테이너 I: 임펠러
110: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
120: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

Claims (5)

  1. 모터의 축과 임펠러의 축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축, 상기 복수개의 축을 연결하는 커플링, 리테이너로 구성된 펌프에 있어서,
    상기 축이 진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축에 삽입되어 무드볼트로 고정되며, 자기 윤활성을 가지며 고강도인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 및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를 일정간격 떨어져 감싸도록, 상기 리테이너의 내측홈에 삽입된 후, 상기 리테이너의 상측에서 상기 리테이너의 내측탭과 나사결합되는 링너트에 의해 위에서 아래로 눌러져 고정되며, 자기 윤활성을 가지며 고강도인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와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이 지속적으로 마찰되더라도,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와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의 자기 윤활성으로 인해,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와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은 소착, 마모, 파손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형 펌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 및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은,
    탄소섬유직물들과 그 사이에 탄소섬유웹을 적층하고, 적층 방향(수직 방향)으로 니들펀칭(Needle Punching)한 후,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 및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의 형상대로 컷팅한 후,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와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이 마찰될 부분이 될 탄소섬유직물 부분에만, 탄소나노튜브가 포함된 용액을 바르고 건조시키고,
    탄화시키고, 탄화된 탄소섬유직물에 탄화수소가스를 침투시키고 그 탄화수소 가스를 열분해하여 탄소로 밀도화 시킨 후, 연마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형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 및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은,
    탄소섬유직물들과 그 사이에 탄소섬유웹을 적층하고, 적층 방향(수직 방향)으로 니들펀칭(Needle Punching)한 후,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 및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의 형상대로 컷팅한 후, 탄화시키고, 탄화된 탄소섬유직물에 탄화수소가스를 침투시키고 그 탄화수소 가스를 열분해하여 탄소로 밀도화시킨 후, 연마하여 형성되되,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와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이 마찰될 부분이 될 탄소섬유직물 부분에 탄소가 더 많이 포함되게 밀도화가 진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형 펌프.
KR1020160069387A 2016-06-03 2016-06-03 진동 저감형 펌프 KR101715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387A KR101715604B1 (ko) 2016-06-03 2016-06-03 진동 저감형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387A KR101715604B1 (ko) 2016-06-03 2016-06-03 진동 저감형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604B1 true KR101715604B1 (ko) 2017-03-13

Family

ID=5841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387A KR101715604B1 (ko) 2016-06-03 2016-06-03 진동 저감형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6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558B1 (ko) 2019-09-26 2020-05-19 하서산업(주) 스마트 감시제어형 펌프수문
KR102135431B1 (ko) 2019-09-26 2020-07-17 김상국 스마트 감시제어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펌프
EP3967883A1 (de) * 2020-09-15 2022-03-16 Lutz Pumpen GmbH Pumpwer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1192A1 (en) * 2004-02-13 2005-09-01 Ksb Aktiengesselschaft Vertical centrifugal pump assembly
KR101317443B1 (ko) 2012-10-10 2013-10-10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가스터빈의 냉각블레이드
JP2015161171A (ja) * 2014-02-25 2015-09-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中軸受及びポンプ
KR101572913B1 (ko) * 2015-07-24 2015-11-30 (유)한성산기 탄소-탄소 복합재 라이너 링이 장착된 펌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1192A1 (en) * 2004-02-13 2005-09-01 Ksb Aktiengesselschaft Vertical centrifugal pump assembly
KR101317443B1 (ko) 2012-10-10 2013-10-10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가스터빈의 냉각블레이드
JP2015161171A (ja) * 2014-02-25 2015-09-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中軸受及びポンプ
KR101572913B1 (ko) * 2015-07-24 2015-11-30 (유)한성산기 탄소-탄소 복합재 라이너 링이 장착된 펌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558B1 (ko) 2019-09-26 2020-05-19 하서산업(주) 스마트 감시제어형 펌프수문
KR102135431B1 (ko) 2019-09-26 2020-07-17 김상국 스마트 감시제어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펌프
EP3967883A1 (de) * 2020-09-15 2022-03-16 Lutz Pumpen GmbH Pumpwerk
US11555506B2 (en) 2020-09-15 2023-01-17 Lutz Pumpen Gmbh Pump arran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604B1 (ko) 진동 저감형 펌프
KR101670230B1 (ko) 무급수 구동이 가능한 펌프
KR101572913B1 (ko) 탄소-탄소 복합재 라이너 링이 장착된 펌프
US20150307321A1 (en) Elevator Hoisting Member and Method of Use
SE518527C2 (sv) Lagringstappstätning för användning av en borrkrona med roterande kon, borrkrona med roterande kon försedd med sådan tätning samt förfarande för formande av en lagringstappstätning för användning i en borrkrona med roterande kon
US9400013B2 (en) Bearing liner
TWI658219B (zh) Sliding isolation device
KR101883649B1 (ko) 무간격 웨어링이 구비된 펌프
US6318614B1 (en) Ceramic wire feed rollers
JP5502108B2 (ja) すべり軸受装置および圧縮機
CN105477935A (zh) 一种耐高温复合过滤布
Fengxia et al. Effect of surface treatment on carbon fibre by rare earth on the tribological properties of carbon fiber reinforced polyimide composite at elevated temperatures
JP2010534806A5 (ko)
EP1210244B1 (fr) Element de contact electrique frottant en composite carbone/carbone
RU2462626C1 (ru) Узел трения с подшипником из прессованной древесины
Xiang et al. Friction and wear behavior of polytetrafluoroethylene fabric composite spherical bearing in swaying.
US20180038172A1 (en) Polymer-based centralizer for downhole drilling apparatus
JP2011106665A (ja) 高速回転用転がり軸受
CN100585246C (zh) 新型采煤机主电缆固定装置
FR3057863B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 materiau composite ceramique renforce de fibres a base de carbone contenant du carbure de silicium, ou a base de carbure de silicium.
Li et al. Evaluation of the friction and wear properties of PTFE composites filled with glass and carbon fiber
US20160002009A1 (en) Hoisting rope arrangement in crane trolley
CN102729147A (zh) 一种荔枝面辊轮组件及荔枝面磨头
US176171A (en) Improvement in temple-rollers
Kumar et al. Morphological behaviour of carbon/carbon and carbon/carbon-silicon carbide composites under reciprocating sliding conditions against uniphase and multiphas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