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391B1 -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 - Google Patents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391B1
KR101715391B1 KR1020160172333A KR20160172333A KR101715391B1 KR 101715391 B1 KR101715391 B1 KR 101715391B1 KR 1020160172333 A KR1020160172333 A KR 1020160172333A KR 20160172333 A KR20160172333 A KR 20160172333A KR 101715391 B1 KR101715391 B1 KR 101715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using
filter
region
longitudinal direction
main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우
최병민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36Apparatus dislodging all of the dirt by suction ; Suction nozz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05Mobile installations, particularly for upkeeping in situ road or railway furniture, for instance road barricades, traffic signs; Mobile installations particularly for upkeeping tunnel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2Mobile apparatus, e.g. watering-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노면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수용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에 수용된 이물질이 공기와 혼합되는 기류가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이루는 메인 덕트, 차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형성되는 필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메인 덕트와 연통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측벽에서, 상기 기류에 물을 공급하는 살수 노즐,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 상기 각각의 영역에 종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필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호로 형성되는 와류 형성 부재, 상기 복수의 격벽 중 마주보는 한 쌍의 격벽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형성되되, 종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류를 차기 영역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튜브, 상기 차기 영역으로 전달된 기류를 상류측의 이전 영역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출공,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의 흡입력을 생성하기 위한 보조 구동 엔진 및 상기 보조 구동 엔진 배기관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필터 유입구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를 포함하는,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WET TYPE ROAD SWEEPING VEHICLE CAPABLE OF REDUCING EXHAUST GAS OF AUXILLIARY ENGINE}
본 발명은 습식 노면 청소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지방자치단체 또는 도로를 관리하는 기관에서는 이미 건설되어 사용하고 있는 도로에 쌓인 이물 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을 주기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노면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관리하고 있다.
도시 미관과 관련하여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그 중에서도 도로 및 도로 주변에 대하여 청소가 실시되는 것은 높은 인구가 밀집되어 생활하고 있는 도시 특성상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적은 인력으로도 노면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관리할 수 있는 노면 청소차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노면 청소차는 일반도로, 고속도로, 주차장, 대단위 공단, 비행장 활주로, 대운동장 등에 버려진 쓰레기를 청소하게 된다.
상기 노면 청소차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노면으로부터 공기와 이물질을 함께 흡입하는데, 흡입된 공기는 필터 장치를 거치게 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 대기 중으로 재방출되며, 걸러진 이물질은 적재함에 적재된 후 별도로 처리된다.
노면의 이물질은 계절 및 기후 조건 등에 따라 습하거나 건조한 형태를 이루게 되며, 노면의 이물질 상태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청소차로서, 습식 진공흡입청소차와 건식 진공흡입청소차가 택일적으로 사용되어 노면을 청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노면 청소차는 통상적으로 흡입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차량 엔진과는 별도로 보조 구동 엔진이 탑재된다.
그런데, 보조 구동 엔진에서 발생되는 매연 및 이물질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6194(2013.08.1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면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수용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에 수용된 이물질이 공기와 혼합되는 기류가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이루는 메인 덕트, 차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형성되는 필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메인 덕트와 연통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측벽에서, 상기 기류에 물을 공급하는 살수 노즐,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 상기 각각의 영역에 종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필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호로 형성되는 와류 형성 부재, 상기 복수의 격벽 중 마주보는 한 쌍의 격벽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형성되되, 종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류를 차기 영역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튜브, 상기 차기 영역으로 전달된 기류를 상류측의 이전 영역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출공,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의 흡입력을 생성하기 위한 보조 구동 엔진 및 상기 보조 구동 엔진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류측을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를 포함하는,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노면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수용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에 수용된 이물질이 공기와 혼합되는 기류가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이루는 메인 덕트, 차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형성되는 필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메인 덕트와 연통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측벽에서, 상기 기류에 물을 공급하는 살수 노즐,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 상기 각각의 영역에 종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필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호로 형성되는 와류 형성 부재, 상기 복수의 격벽 중 마주보는 한 쌍의 격벽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형성되되, 종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류를 차기 영역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튜브, 상기 차기 영역으로 전달된 기류를 상류측의 이전 영역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출공,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의 흡입력을 생성하기 위한 보조 구동 엔진 및 상기 보조 구동 엔진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필터 유입구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제1 영역에 배치되는 튜브와 제2 영역에 배치되는 튜브는 서로 다른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출공은 상기 튜브가 관통하는 한 쌍의 격벽 중 상류측 격벽에 형성되되, 상기 유출공은 상기 튜브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살수 노즐은 상기 각각의 영역의 내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물을 비산시킬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유입구를 통과하는 기류를 상기 필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른 타단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와류 형성 부재는 상기 각각의 영역의 종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되되, 중간이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와류 형성 부재의 폭 방향의 하측 양단에는 상기 살수 노즐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하측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배수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보조 구동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매연 및 유해가스를 정화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필터 교체 작업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후에 제약없이 노면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필터를 구비하는 노면 청소차의 내부가 나타나도록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필터를 구비하는 노면 청소차의 내부가 나타나도록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필터를 구비하는 노면 청소차의 필터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내부가 나타나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필터를 구비하는 노면 청소차의 기류의 유동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구동 엔진 및 마운팅 프레임이 노면 청소차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필터를 구비하는 노면 청소차의 내부가 나타나도록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필터를 구비하는 노면 청소차의 내부가 나타나도록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필터를 구비하는 노면 청소차의 필터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내부가 나타나도록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필터를 구비하는 노면 청소차는 적재부(110), 메인 덕트(120), 필터 하우징(200), 살수 노즐(210), 격벽(230, 240, 250, 260, 270, 280), 와류 형성 부재(201c, 202c, 203c), 튜브(208a, 208b, 208c, 208d) 및 유출공(c)을 포함할 수 있다.
적재부(110)는 노면 청소차(1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차량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흡입 장치(12)에 의해 흡입되는 노면의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소정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는 노면의 이물질을 포함한 상태로 적재부(11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력은 노면 청소차에 구비되는 블로워(11)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11)의 흡입력은 후술하는 여과부(111), 메인 덕트(120) 및 적재부(110)까지 전달될 수 있다.
노면 청소차(10)의 적재부(110)에 수용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은 보조 구동부(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적재부(110)로 안내하게 된다.
블로워(11)는 송풍팬 등이 회전함에 따라 송풍력이 발생되는 송풍기(blower)일 수 있다.
노면의 이물질은 노면 청소차(10)의 측면에 측면 흡입부(12)가 장착된 경우 측면 브러쉬 조립체(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이탈된 노면 청소차(10)의 측면 공간에 위치되는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노면 청소차(10)의 중앙에 중앙 흡입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경우, 롤링 브러쉬 조립체(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이탈된 노면 청소차(10)가 이동되는 하면 공간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측면 흡입부(12)와 중앙 흡입부로부터 유입된 이물질 및 먼지 등은 적재부(110)로 안내될 수 있다.
적재부(110) 내부에 수용된 공기 및 이물질은 적재부(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여과부(111)에서 이물질에 대한 1차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과부(111)가 적재부(110)의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메인 덕트(120)로 이동되는 이물질 및 먼지 중에 모래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중량이 높은 이물질은 바닥을 따라 흘러내려 적재부(110)의 하측에서부터 쌓이게 된다.
여과부(111)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특히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이루어진다. 즉, 여과부(111)는 그물 형태(mesh)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기 중의 다습한 이물질을 걸러내게 된다.
그리고, 여과부(111)는 노면 상태가 습한 상태에서 적재부(110)로 흡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낸 후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를 메인 덕트(120)로 안내하도록 한다.
일 예로, 여과부(111)에 의해 여과되는 이물질은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흙, 모래, 먼지,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일 수 있다.
여기서 여과부(111)는 걸러내기 위한 대상 이물질이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이물질인 점을 감안하여, 부직포나 종이 재질 보다는 내수성이 강한 합성섬유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걸러진 이물질이 부착됨으로 인하여 공기의 흐름 저항이 증가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때, 공기 중의 다습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부(111)의 형상 및 모양 등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여과부(111)는 장방향의 직사각형태를 이루어 적재부(110)의 넓은 면적에 대해 공기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과부(111)의 필터면(미도시)은 그물망 구조의 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필터면의 단위 면적 당 그물의 수는 도로면의 오염 상태에 따라 걸러지는 이물질의 크기가 달라지는 바, 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과부(111)에서 1차 필터링이 이루어진 공기는 메인 덕트(12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메인 덕트(120)로 이동되는 공기는 필터 하우징(200)으로 이동된 후,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최종적으로 노면 청소차(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200)의 상부에는 필터 유입구(201)가 구비되어 메인 덕트(120)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수용하도록 한다.
필터 하우징(200)의 상부는 메인 덕트(120)의 하면과 연통 결합되되, 메인 덕트(1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필터 하우징(2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적재부(110)의 공기는 여과부(111)를 통해 메인 덕트(120)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재부(110)에서 여과부(111)를 통해 메인 덕트(120)를 경유하여 필터 하우징(200) 측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적재부(110)의 공기가 여과부(111)를 통과하여 필터 하우징(200) 측으로 유입될 때, 공기 중의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200)은 차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그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는 메인 덕트(120)와 연통되는 필터 유입구(201)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200)의 내측벽에는 적재부(110)에서 혼합된 공기와 이물질로 이루어진 기류에 물을 비산시킬 수 있도록 살수 노즐(210)이 형성될 수 있다.
살수 노즐(210)은 필터 하우징(200)의 외측 일면으로부터 형성되는 물 공급 라인(203)에 의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고, 물 공급 라인(203)은 필터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각각의 영역에 물을 비산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로 분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살수 노즐(210)은 상호 인접하는 격벽이 이루는 영역(A1, A2, A3, A4, A5)에 형성되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물을 비산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고, 필터 하우징(200)의 필터 유입구(201)를 통하여 유입되는 기류에 물을 비산시킴으로써 기류에 포함된 이물질이 수분에 의해 낙하되며 정제된 공기만 잔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필터 유입구(201)를 통과한 기류가 필터 하우징(200)의 반대측을 향하여 유동하기 시작하는 도입부에는 여과 플레이트(220)가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큰 이물질을 걸러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여과 플레이트(220)는 복수의 여과홀(2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과 플레이트(220)의 여과홀(221)은 복수의 홀로 형성되거나, 메시(mesh) 구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필터 유입구(201)를 통과하는 기류를 필터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타단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207)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부재(207)는 필터 하우징(200)의 내측벽에 고정될 수 있고, 하측으로 유동하는 기류와 마주보는 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대략 90˚를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입사각 및 반사각이 90˚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 플레이트(220)로부터 하류측에는 필터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획되도록 복수의 격벽(230, 240, 250, 260, 270, 280)이 연속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230, 240, 250, 260, 270, 280)이 6개로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필터 하우징(200)의 길이는 노면 청소차(10)의 폭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 하우징(200)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격벽(230, 240, 250, 260, 270, 280)의 개수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격벽(230, 240, 250, 260, 270, 280)이 6개로 형성되는 경우 필터 유입구(201)와 가장 가까운 상류측에 위치한 제1 격벽(230)으로부터 하류측을 따라 제2 격벽(240), 제3 격벽(250), 제4 격벽(260), 제5 격벽(270) 및 제6 격벽(28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격벽(230)과 제2 격벽(240)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은 제1 영역(A1), 제2 격벽(240)과 제3 격벽(250)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은 제2 영역(A2), 제3 격벽(250)과 제4 격벽(260)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은 제3영역(A3), 제4 격벽(260)과 제5 격벽(270)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은 제4 영역(A4), 제5 격벽(270)과 제6 격벽(280)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은 제5 영역(A5)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격벽(230, 240, 250, 260, 270, 280) 중 마주보는 한 쌍의 격벽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형성되되, 종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류를 차기 영역(기류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측 영역)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튜브(208a, 208b, 208c, 208d)가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제1 영역(A1)에 배치되는 튜브(208a)는 제1 격벽(230)과 제2 격벽(240)을 관통함으로써 기류가 제1 격벽(230)의 유입홀(231)을 통해 기류가 통과하여, 제2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하여,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에 위치하는 튜브(208b)의 경우, 제1 영역(A1)의 기류가 통과하여 제4 영역(A4)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영역(A1)의 기류가 통과하여 제4 영역(A4)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배치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필터 하우징(200)의 길이 및 필터 하우징(200)의 길이에 따른 격벽의 개수를 고려할 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의 튜브(208b)의 길이를 그 외의 영역에 배치된 튜브(208b, 208c, 208d)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제1 영역(A1)의 기류가 제3 영역(A3) 또는 제5 영역(A5)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격벽(230)과 제2 격벽(240)을 관통하는 튜브(208a)가 형성됨과 동시에, 제2 격벽(240)과 제4 격벽(260)을 관통하는 튜브(208b)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격벽(230)과 제2 격벽(240)을 관통하는 튜브(208a)가 제2 격벽(240)과 제4 격벽(260)을 관통하는 튜브(208b)는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필터 하우징(200)의 최상단으로부터 최하단으로 갈수록 상하로 인접하는 튜브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영역에는 와류 형성 부재(201c, 202c, 203c)가 종방향으로 배열되되, 필터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호로 형성될 수 있다.
와류 형성 부재(201c, 202c, 203c)는 필터 하우징(200)의 폭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그 횡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중앙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류 형성 부재(201c, 202c, 203c)는 돌출된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경사면을 이용하여 기류에 와류가 형성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와류 형성 부재(201c, 202c, 203c)의 폭 방향의 하측 양단에는 살수 노즐(210)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하측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수홈(203d)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살수 노즐(210)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고이지 않고 통과하도록 와류 형성 부재(201c, 202c, 203c)의 하단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와류 형성 부재(201c, 202c, 203c)에도 각각의 배수홈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대표적으로, 제5 영역(A5)에 배치된 와류 형성 부재(203c)의 배수홈을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차기 영역으로 전달된 기류를 상류측의 이전 영역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출공(c)이 형성될 수 있다.
유출공(c)은 튜브(208a, 208b, 208c, 208d)가 관통하는 한 쌍의 격벽 중 상류측 격벽에 형성되되, 유출공(c)의 직경이 튜브(208a, 208b, 208c, 208d)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마련되는 틈새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필터를 구비하는 노면 청소차의 기류의 유동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필터를 구비하는 노면 청소차의 필터 유입구(201)를 통과한 기류는 살수 노즐(210)의 물에 의해 수분을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기류는 가이드 부재(207)의 경사면에 의해 필터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반대측으로 유동되고, 여과 플레이트(220)의 여과홀(221)을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며 하측의 제1 포집부(205)로 낙하하게 된다.
제1 포집부(205)는 필터 유입구(201)의 최하단에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포집된 이물질을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개폐 부재(미도시)의 개폐 제어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 포집부(205)에 근접하는 필터 하우징(200)의 측벽에는 물 배출 라인(204)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포집부(205) 내부에 수용된 물을 물 배출 라인(204)을 통하여 배출할 수 있으며, 별도로 구비되는 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물 공급 라인(203)으로 재순환시킴으로써 총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여과홀(221)을 통과한 기류는 제1 영역(A1)의 튜브(208a)를 경유하여 제2 영역(A2)으로 공급된다.
이후, 제2 영역(A2) 내부에서 제3 격벽(250)에 충돌하여 제2 격벽(240)의 유출공을 통하여 차기 영역인 제1 영역(A1)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와류 형성 부재(201c)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며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의 튜브(208b)를 통하여 이전의 영역인 제4 영역(A4)으로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기류가 제4 영역(A4)의 제5 격벽(270)에 충돌하여 제5 격벽(270)의 유출공(c)을 통하여 이전의 영역인 제3 영역(A3)으로 전달되고, 와류 형성 부재(202c)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며 제2 영역(A2)의 튜브(208d)를 통하여 차기 영역인 제5 영역(A5)으로 전달된다.
이후, 제5 영역(A5)의 기류가 제6 격벽(280)에 충돌하고, 와류 형성 부재(203c)에 의해 와류가 형성됨과 동시에 제5 격벽(270)의 유출공(c)을 통하여 이전 영역인 제4 영역(A4)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5 영역(A5)의 튜브(208d)를 경유하고 필터 배출구(202)를 향하여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필터 배출구(202)를 통하여 배출된 기류는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외기로 배출됨으로써 환경 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아울러, 필터 배출구(202)의 하단에는 최하류측의 격벽인 제6 격벽(280)의 튜브를 통과한 기류에 잔여하는 이물질 및 물이 낙하되어 포집될 수 있도록 필터 하우징(20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제2 포집부(20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구동부 및 마운팅 프레임이 노면 청소차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구동부(20)는 마운팅 프레임(21) 상에 탑재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구동부(20)에 설치되는 보조 구동 엔진(22)으로부터 공급되는 구동력은 벨트(24) 및 풀리(25)를 통하여 흡입력을 생성할 수 있는 컴프레서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보조 구동 엔진(22)은 일반적인 차량의 엔진에서 휘발성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생성하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배기 가스는 필터 하우징(200)의 필터 유입구(210)측으로 연통되는 연결 파이프(23)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연결 파이프(23)의 일단은 보조 구동 엔진(22)의 배기관에 연결되고, 타단은 필터 하우징(200)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필터 하우징(200)의 상류측에 연결됨으로써 보조 구동 엔진(22)의 배기 가스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조 구동 엔진(22)으로부터 발생되는 매연 및 유해가스는 필터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정화되어 배출되므로 환경 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보조 구동부
22: 보조 구동 엔진
23: 연결 파이프
110: 적재부
120: 메인 덕트
200: 필터 하우징
210: 살수 노즐
230, 240, 250, 260, 270, 280: 격벽
201c, 202c, 203c: 와류 형성 부재
208a, 208b, 208c, 208d: 튜브
C: 유출공

Claims (8)

  1. 노면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수용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에 수용된 이물질이 공기와 혼합되는 기류가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이루는 메인 덕트;
    차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형성되는 필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메인 덕트와 연통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측벽에서, 상기 기류에 물을 공급하는 살수 노즐;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
    상기 각각의 영역에 종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필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호로 형성되는 와류 형성 부재;
    상기 복수의 격벽 중 마주보는 한 쌍의 격벽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형성되되, 종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류를 차기 영역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튜브;
    상기 차기 영역으로 전달된 기류를 상류측의 이전 영역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출공;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의 흡입력을 생성하기 위한 보조 구동 엔진; 및
    상기 보조 구동 엔진의 배기가스가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류측을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살수 노즐은 상기 각각의 영역의 내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물을 비산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제1 영역에 배치되는 튜브와 제2 영역에 배치되는 튜브는 서로 다른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은 상기 튜브가 관통하는 한 쌍의 격벽 중 상류측 격벽에 형성되되, 상기 유출공은 상기 튜브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입구를 통과하는 기류를 상기 필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른 타단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형성 부재는 상기 각각의 영역의 종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되되, 중간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형성 부재의 폭 방향의 하측 양단에는 상기 살수 노즐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하측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배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
KR1020160172333A 2016-12-16 2016-12-16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 KR101715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333A KR101715391B1 (ko) 2016-12-16 2016-12-16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333A KR101715391B1 (ko) 2016-12-16 2016-12-16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391B1 true KR101715391B1 (ko) 2017-03-14

Family

ID=5845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333A KR101715391B1 (ko) 2016-12-16 2016-12-16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39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8300A (zh) * 2018-04-13 2018-08-31 郭斌 一种用于道路施工的洒水车
CN114960511A (zh) * 2022-01-24 2022-08-30 淮阴师范学院 人行道清扫车
KR20220154900A (ko)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드웰링 대기오염 융복합 청정 처리기술 스마트 공기청정차량
KR20220154898A (ko)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드웰링 공공 및 자체 측정 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공기청정차량의 정화방법
KR20220154899A (ko)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드웰링 복합필터장착형 스마트 공기청정차량
KR20220154896A (ko)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드웰링 초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가진 복합필터장착형 스마트 공기청정차량 정화방법
KR20220154897A (ko)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드웰링 유해가스 제거 기능을 가진 복합필터장착형 스마트 공기청정차량 정화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014Y1 (ko) * 2005-03-18 2005-06-07 김종순 다공다판식 피엠10 필터여과장치
KR20100010668A (ko) * 2008-07-23 2010-02-02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이엔지 노면 청소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KR101296194B1 (ko) 2013-03-29 2013-08-14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미세먼지제거용 건식 및 습식 진공흡입청소차
KR101583540B1 (ko) * 2015-10-19 2016-01-08 주식회사 라온테크 발전기용 매연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014Y1 (ko) * 2005-03-18 2005-06-07 김종순 다공다판식 피엠10 필터여과장치
KR20100010668A (ko) * 2008-07-23 2010-02-02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이엔지 노면 청소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KR101296194B1 (ko) 2013-03-29 2013-08-14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미세먼지제거용 건식 및 습식 진공흡입청소차
KR101583540B1 (ko) * 2015-10-19 2016-01-08 주식회사 라온테크 발전기용 매연 저감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8300A (zh) * 2018-04-13 2018-08-31 郭斌 一种用于道路施工的洒水车
KR20220154900A (ko)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드웰링 대기오염 융복합 청정 처리기술 스마트 공기청정차량
KR20220154898A (ko)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드웰링 공공 및 자체 측정 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공기청정차량의 정화방법
KR20220154899A (ko)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드웰링 복합필터장착형 스마트 공기청정차량
KR20220154896A (ko)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드웰링 초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가진 복합필터장착형 스마트 공기청정차량 정화방법
KR20220154897A (ko)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드웰링 유해가스 제거 기능을 가진 복합필터장착형 스마트 공기청정차량 정화방법
CN114960511A (zh) * 2022-01-24 2022-08-30 淮阴师范学院 人行道清扫车
CN114960511B (zh) * 2022-01-24 2024-05-17 淮阴师范学院 人行道清扫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391B1 (ko)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
KR100732411B1 (ko) 건식 청소차
CN1974934B (zh) 道路的清洁单元
KR101552163B1 (ko) 고효율 건식 노면 청소차
US4006511A (en) Sweeper with recirculation hood and independent filter system
KR100926900B1 (ko) 사계절 운영이 가능한 도로 분진 청소차
US7662199B2 (en) Cyclonic filter for surface maintenance machine
US4554701A (en) Vacuum street sweeper and filter apparatus therefor
US7867323B2 (en) Apparatus for on-site cleaning of landscape rock
KR101970624B1 (ko) 펄싱 작업에 필터링 공기를 이용하는 도로분진 흡입청소차
KR101296194B1 (ko) 미세먼지제거용 건식 및 습식 진공흡입청소차
KR101942482B1 (ko) 풍력을 이용한 자가발전형 노면 청소장치
KR101595838B1 (ko) 건식 노면 청소차
KR100849416B1 (ko) 세정 기능을 갖는 집진 장치
EP3375937A1 (en) Suction-type cleaning vehicle
KR100977510B1 (ko) 백필터 장치가 구비된 도로 분진 청소차
KR20150144465A (ko) 건식 청소차의 공기정화 시스템
KR102130710B1 (ko) 바닥 전기청소차
KR101715390B1 (ko) 습식 필터를 구비하는 노면 청소차
CN107816003B (zh) 清扫车
EP1707678A2 (en) Street sweeper having a mechanical vacuum filter system for refuse collection
KR101037340B1 (ko) 분진 진공 흡입 청소차
US3406423A (en) Street cleaning machine
KR200187940Y1 (ko) 물 재활용 장치를 구비한 노면 청소차
KR20160083234A (ko) 건습식 필터 유닛 및 이를 갖는 도로 청소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