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337B1 - 통신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통신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337B1
KR101715337B1 KR1020150041037A KR20150041037A KR101715337B1 KR 101715337 B1 KR101715337 B1 KR 101715337B1 KR 1020150041037 A KR1020150041037 A KR 1020150041037A KR 20150041037 A KR20150041037 A KR 20150041037A KR 101715337 B1 KR101715337 B1 KR 10171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oaxial cable
back nut
fixed
oute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477A (ko
Inventor
임진훈
박승수
권경훈
안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콘
Priority to KR1020150041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337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100)와, 원통형의 형상에 축방향으로 하나의 슬릿부(210)가 형성되어 반경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동축 케이블(400)의 일단 외면에 고정되는 클램프(200)와, 상기 동축 케이블(400)을 고정하는 클램프(200)를 내측에 수용하며, 상기 몸체부(100)와 체결되어 상기 클램프(200)에 고정된 동축 케이블(400)을 상기 몸체부(100)에 연결하는 백너트(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원통형의 구조에 하나의 슬릿이 형성되어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클램프를 사용하며, 체결시 클램프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클램프로 동축 케이블을 몸체부에 체결할 때 접속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신용 커넥터{Telecommunication connector}
본 발명은 통신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설치상태에서 동축 케이블의 중량에 따른 부하에 대하여 안정적인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통신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교환국장비, 기지국장비 및 중계기 등의 설비와 부품에는 주파수가 높은 RF 신호와 같은 특정신호를 상호 송수신하기 위하여 RF 동축 케이블이 연결된다. 이러한 RF 케이블은 용도 및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에 연결된다.
이러한 RF 커넥터는 상호 끼움 결합되거나, 나사조임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결합상태가 외부의 힘의 작용이나 케이블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느슨하게 결합 된 경우 신호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외부의 힘이나 케이블 자체의 하중에 의한 부하에도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좀 더 특별한 구조의 커넥터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특별한 구조의 커넥터들의 예로는 공개특허 10-2011-0124762호(플렉시블 핑거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연관된 방법, 2011년 11월 17일 공개)가 있다.
위 공개특허의 내용은 내부 컨덕터, 외부 컨덕터 및 그 사이의 유전체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에 부착되는 것으로,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외부 컨덕터에 맞대어 수용하도록 램프를 규정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백 너트는 링 베이스 및 캐링됨으로써 램프와 마주해서 외부 컨덕터를 맞대어 클램핑하도록 캐링되는 복수의 플렉시블 핑거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 및 백 너트는 완전히 맞물리게될 때 포지티브 스탑을 규정하는 각각의 부분들을 포함하며, 센터 컨택트는 내부 컨덕터에 결합 된다. 압축가능한 링과 마주해서 외부 컨덕터를 방사상으로 지지하도록 방사상 외부 지지부를 포함하고 센터 컨택트를 캐링하도록 커넥터 하우징에 적어도 하나의 절연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통신용 커넥터는 그 구성에서 다음의 문제점들을 쉽게 추정할 수 있다.
1. 핑거부의 파손 - 백너트에 다분할 된 핑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백너트를 체결할 때 회전에 의해 핑거부가 파손이 되거나, 체결 후 필요에 의해 다시 분리한 상태에서 재체결시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2. 리텐션 토크의 상대적 저하 - 종래 통신용 커넥터는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50의 세레이션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세레이션들은 동축 케이블을 커넥터 하우징에 안전하게 부착하고 리텐션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0037] 문단 참고).
그러나 종래의 세레이션들은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를 바이팅하는 것이며, 금속재인 외부 컨덕터에 물려 있어 리텐션 토크가 상대적으로 작으며, 따라서 동축 케이블의 중량이나 외부의 힘의 작용에 의해 결합이 느슨하게 풀린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처럼 결합이 느슨하게 된다는 것은 부정합에 의한 신호의 왜곡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3. 핑거의 체결성 저하 - 위 공개특허의 도면3에는 백너트와 하우징의 체결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다. 먼저 백너트는 동축 케이블의 외측에 결합된 상태가 되며, 이때 동축 케이블의 전단부는 피복이 제거된 상태이며, 외부 컨덕터가 핑거의 안쪽에 완전히 밀착된 구조가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다시 백너트를 하우징에 체결을 할 때 핑거부가 벌어져 체결이 된 후 다시 중심방향으로 충분한 복원력이 작용해야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종래에는 핑거부가 견고한 체결을 유지할 수 있는 상대 수단이 없으며, 동축 케이블에 백너트가 결합된 상태 그대로 하우징에 결합되는 구조라서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체결력의 저하 역시 케이블의 하중 등에 의해 느슨한 결합이 발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호변조왜곡 등 신호의 왜곡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핑거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통신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리텐션 토크를 증가시켜 느슨한 결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통신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체결성을 향상시켜 보다 견고한 체결이 유지될 수 있는 통신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통신용 커넥터는, 몸체부(100)와, 원통형의 형상에 축방향으로 하나의 슬릿부(210)가 형성되어 반경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동축 케이블(400)의 일단 외면에 고정되는 클램프(200)와, 상기 동축 케이블(400)을 고정하는 클램프(200)를 내측에 수용하며, 상기 몸체부(100)와 체결되어 상기 클램프(200)에 고정된 동축 케이블(400)을 상기 몸체부(100)에 연결하는 백너트(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 통신용 커넥터는, 원통형의 구조에 하나의 슬릿이 형성되어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클램프를 사용하며, 체결시 클램프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클램프로 동축 케이블을 몸체부에 체결할 때 접속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클램프의 내경부에 다수의 세레이션(serration)을 구비하되, 다수의 세레이션이 동축 케이블의 외피를 바이트(bite)하도록 함으로써, 리텐션 토크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느슨한 결합의 발생을 방지하여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프와 몸체부의 체결부분에 금속재 경사링을 몸체부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마련하여, 상기 클램프와 몸체부 사이의 체결력을 높여 리텐션 토크를 더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커넥터의 분리 상태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클램프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체결 전후의 접속부 부분의 상세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 통신용 커넥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커넥터의 분리상태 일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클램프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커넥터는, 몸체부(100)와, 원통형의 형상에 축방향으로 하나의 슬릿부(210)가 형성되어 반경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동축 케이블(400)의 일단 외면에 고정되는 클램프(200)와, 상기 동축 케이블(400)을 고정하는 클램프(200)를 내측에 수용하며, 상기 몸체부(100)와 체결되어 상기 클램프(200)에 고정된 동축 케이블(400)을 상기 몸체부(100)에 연결하는 백너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커넥터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몸체부(100)는 중앙 컨덕터(110)와, 외부 컨덕터(130)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컨덕터(100)와 외부 컨덕터(130) 사이의 유전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몸체부(1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의 외면에는 상기 백너트(30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체결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상기 클램프(200)가 체결되는 일단에는 상기 클램프(200)가 백너트(300)에 의해 밀착 결합될 때 그 클램프(200)의 접속부(220)를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밀어 클램프(200)가 중심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하는 경사링(140)을 포함한다.
이때 경사링(140)은 몸체부(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일 수 있다.
상기 클램프(20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구조이며, 상기 원통형 구조의 축방향으로 슬릿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부(210)의 형성에 의하여 금속재인 클램프(200)는 반경방향으로 벌리거나 오므렸을 때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려는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클램프(200)의 일단 내경측으로는 경사지게 돌출된 접속부(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부(220)는 종래 커넥터의 핑거와 같이 몸체부(100)에 동축 케이블(400)의 외부 컨덕터(430)가 접하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클램프(200)의 내측 일부에는 다수의 세레이션(2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세레이션(230)들은 동축 케이블(400)의 외부 컨덕터(430)가 아닌 피복(440)을 바이트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축 케이블(400)의 피복(440)은 탄성을 가지는 비금속재질이며, 종래 금속재 외부 컨덕터(430)를 바이트 하는 방식에 비하여 보다 리텐션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램프(200)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면 또는 돌출부를 가지며, 이러한 경사면 또는 돌출부는 상기 백너트(300)의 내경에 마련된 단차에 접하여 백너트(300)가 몸체부(100)에 회전결합될 때 체결력을 전달받아 몸체부(100)에 밀착되도록 하는 걸림부(240)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백너트(300)는 내경 일부에 상기 몸체부(1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체결부(160)에 체결되는 너트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240)에 걸려 체결력을 클램프(200)에 전달하는 단턱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동축 케이블(400)의 외면과의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3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체결 전후의 접속부(220) 부분의 상세 단면 구성도이다.
도 4와 함께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각각 참조하면, 먼저 동축 케이블(400)은 중앙 컨덕터(410)가 돌출되고, 외부 컨덕터(340)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피복(440)이 벗겨진 상태로, 백너트(300)의 후단측에서 삽입되고, 다시 클램프(200)가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200)에 결합된 동축 케이블(400)은 중앙 컨덕터(410)가 클램프(200)의 전단부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클램프(200)의 접속부(220)는 상기 외부 컨덕터(430)에 접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다수의 세레이션(230)들은 동축 케이블(400)의 피복(440)에 접하여 바이팅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백너트(300)와 몸체부(100)를 상호 체결한다. 백너트(300)의 내측에 마련된 너트부(310)와 몸체부(1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체결부(160)를 체결하기 위하여 백너트(30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몸체부(100)와 백너트(300)의 체결시 백너트(300) 내의 단턱부(320)가 상기 클램프(200)의 걸림부(240)에 접하여 클램프(200)와 클램프(200)에 결합된 동축 케이블(400)을 몸체부(100)측으로 밀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동축 케이블(400)의 중앙 컨덕터(410)는 몸체부(100)의 중앙 컨덕터(110)에 결합되고, 동축 케이블(400)의 상기 중앙 컨덕터(410)와는 절연체(420)에 의해 절연되는 외부 컨덕터(430)는 몸체부(100)의 외부 컨덕터(130)에 접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 컨덕터(130)는 경사링(140)과 일체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접해 있으며, 상기 백너트(300)와 몸체부(100)의 체결시 상기 클램프(200)의 접속부(220)는 상기 경사링(140)의 경사면에 외부 컨덕터(430)을 사이에 둔 상태로 접하게 되며, 백너트(300)와 몸체부(100)가 체결됨에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세레이션(230)들은 피복(440)을 바이트하여 동축 케이블(400)을 몸체부(100)측으로 견인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220)는 반경의 중심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며, 경사링(140)에 밀착 고정이 되며, 동축 케이블(400)은 피복(440)이 세레이션(230)들에 바이트되어 리텐션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실험적으로 종래 커넥터의 리텐션 토크는 20.5Kgf이며, 30Kgf 정도에서 느슨한 결합이 발생하여 왜곡이 발생하게 되지만, 본 발명은 60Kgf에서도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바디부 110:중앙 컨덕터
120,150:유전체 130:외부 컨덕터
140:경사링 160:나사체결부
200:클램프 210:슬릿부
220:접속부 230:세레이션
240:걸림부 300:백너트
310:너트부 320:단턱부
400:동축 케이블 410:중앙 컨덕터
420:절연체 430:외부 컨덕터
440:피복

Claims (4)

  1. 중앙 컨덕터(110)와, 외부 컨덕터(130)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컨덕터(100)와 외부 컨덕터(130) 사이의 유전체(120)를 포함하는 몸체부(100)와,
    원통형의 형상에 축방향으로 하나의 슬릿부(210)가 형성되어 반경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동축 케이블(400)의 일단 외면에 고정되는 클램프(200)와,
    상기 동축 케이블(400)을 고정하는 클램프(200)를 내측에 수용하며, 상기 몸체부(100)와 체결되어 상기 클램프(200)에 고정된 동축 케이블(400)을 상기 몸체부(100)에 연결하는 백너트(30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00)의 외면에는 상기 백너트(30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체결부(160)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클램프(200)가 체결되는 일단에는 상기 클램프(200)가 백너트(300)에 의해 밀착 결합 될 때 상기 클램프(200)의 접속부(220)를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밀어 클램프(200)가 중심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하는 경사링(140)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링(140)과 상기 접속부(220)의 상호 마주하는 경사면의 사이에 상기 동축 케이블(400)의 외부 컨덕터(430)의 단부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0)는,
    내측에 상기 동축 케이블(400)의 피복(440)에 접하는 다수의 세레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커넥터.
  3. 삭제
  4. 삭제
KR1020150041037A 2015-03-24 2015-03-24 통신용 커넥터 KR101715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037A KR101715337B1 (ko) 2015-03-24 2015-03-24 통신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037A KR101715337B1 (ko) 2015-03-24 2015-03-24 통신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477A KR20160114477A (ko) 2016-10-05
KR101715337B1 true KR101715337B1 (ko) 2017-03-14

Family

ID=5715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037A KR101715337B1 (ko) 2015-03-24 2015-03-24 통신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3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1325A (ja) 2001-07-16 2003-01-31 Fujikura Ltd 独立リング型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3115359A (ja) 2001-10-04 2003-04-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同軸コネクタ
JP2010177107A (ja) 2009-01-30 2010-08-12 Hitachi Cable Ltd ケーブル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262U (ja) * 1991-12-02 1993-06-25 東光電子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1325A (ja) 2001-07-16 2003-01-31 Fujikura Ltd 独立リング型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3115359A (ja) 2001-10-04 2003-04-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同軸コネクタ
JP2010177107A (ja) 2009-01-30 2010-08-12 Hitachi Cable Ltd ケーブル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477A (ko)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143B1 (en) Connector with positive stop and compressible ring for coaxial cable and associated methods
US7785144B1 (en) Connector with positive stop for coaxial cable and associated methods
US7857661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having jacket gripping ferrule and associated methods
US7635283B1 (en) Connector with retaining ring for coaxial cable and associated methods
TWI787278B (zh) 用於連接及接地同軸電纜連接器的連接裝置
US3622952A (en) Shield termination for electrical connectors
US7011546B2 (en) Coaxial connector with enhanced insulator member and associated methods
US8075337B2 (en) Cable connector
US20140273578A1 (en) Coaxial cable connector having a continuity element
CN110521075B (zh) 用于保持屏蔽电缆的保持设备
CN101919126A (zh) 用于波纹电缆的同轴电缆连接器
WO2019046517A1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GROUND COUPLING NUT
KR101704788B1 (ko) 케이블 커넥터
AU2018232932A1 (en) Quickly-demountable highly-reliable radio frequency coaxial connector
KR200468838Y1 (ko) 스프링과 나선 체결 압입방식에 의해 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동축케이블용 컨넥터
US4076367A (en) Solderless connector
WO2010138905A2 (en) Cable connector with supported center conductor contact
KR101715337B1 (ko) 통신용 커넥터
KR101457499B1 (ko) 케이블 유동방지를 통해 전기적 연결이 향상된 동축케이블과 동축컨넥터
JP2019087517A (ja) 電気コネクタ
KR101630684B1 (ko) 강제 압착방식의 알에프 동축 커넥터
JP2620377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11075471B2 (en) Coaxial cable and connector with dielectric spacer that inhibits unwanted solder flow
KR102299293B1 (ko) 동축 커넥터
KR200482139Y1 (ko) 밀착형 접지체가 구비된 케이블 그랜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