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063B1 - 화장대 - Google Patents

화장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063B1
KR101715063B1 KR1020150001411A KR20150001411A KR101715063B1 KR 101715063 B1 KR101715063 B1 KR 101715063B1 KR 1020150001411 A KR1020150001411 A KR 1020150001411A KR 20150001411 A KR20150001411 A KR 20150001411A KR 101715063 B1 KR101715063 B1 KR 101715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user
dressing table
light sourc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752A (ko
Inventor
감동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01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063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05Mirror cabinets; Dressing-tables
    • A47B2067/00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을 비출 수 있고,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는 화장대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대는, 거울;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및 상기 거울의 뒤편에 위치하고, 상기 거울의 앞편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울의 양면 중 상기 카메라와 마주보는 일면은 빛을 투과하는 투과면이고, 다른 한면은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일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대{DRESSING TABLE}
본 발명은 조명을 비출 수 있고,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는 화장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대는 여성들이 단정한 용모 및 유행에 대응하는 멋을 창출하기 위해 가정용 또는 미용실 등에 널리 이용되는 미용 용품용 가구이다. 이러한 종래의 화장대는 각종 화장품이나 화장도구 등을 진열하기 위한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에 수납식으로 설치된 다수의 서랍과, 테이블의 전방측에 사용자가 육안으로 자신의 화장상태 등의 확인이 가능한 전면 거울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종래의 화장대는 단순히 물건을 보관하고 거울로 사용자의 얼굴을 비추는 가구로서만 기능하였을 뿐 별다른 기능을 제공하지는 못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여성들이 화장대 앞에 앉아 화장을 할 때 도움을 주거나, 화장품 보관에 만전을 기할 수 있는 화장대에 대해 개시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5168호(2011.02.15.) 일본특허공보 특허 제5204477호(2013.06.05.)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60929호(2008.09.29.)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에 빛을 비추고,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화장대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한 뒤, 사용자 상황에 알맞은 조명을 비출 수 있는 화장대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품 냉장고가 포함된 화장대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화장대는, 거울;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및 상기 거울의 뒤편에 위치하고, 상기 거울의 앞편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울의 양면 중 상기 카메라와 마주보는 일면은 빛을 투과하는 투과면이고, 다른 한면은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에 빛을 비추고,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화장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한 뒤, 사용자 상황에 알맞은 조명을 비출 수 있는 화장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품 냉장고가 포함된 화장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화장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화장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광원부와 제 2 광원부가 배치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열 관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히트 싱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히트 싱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화장대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각 입력 영상 별 사용자가 화장대를 사용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화장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화장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예를 살펴보면, 화장대의 전면부에는 거울(120)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거울(120)의 적어도 일부는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5)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거울(120)에 자신의 모습을 비추어 보면서, 디스플레이부(125)를 통해 출력되는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화장대는 광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40)는 사용자가 화장대 앞에 위치하였을 때, 사용자의 얼굴을 향해 빛을 비추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얼굴을 밝게 비춤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톤 및 화장 상태가 거울에 보다 뚜렷이 비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화장대의 좌측 및 우측 테두리에 광원부(140)가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광원부(140)의 위치는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거울(120)의 배면에는 전자 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케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케이스(110) 는 전면 케이스, 후면 케이스 및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 안에는, 통신부, 카메라, 메모리, 제어부 등의 전자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케이스(110)에 실장된 카메라(130)는 디스플레이부를 넘어 외부를 촬영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울(120)의 배면부(즉, 케이스(110)에 맞닿아 있는 면)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대의 일부에는 화장품을 수납하기 위한 화장품 냉장고가 구비될 수 있다. 화장품 냉장고의 도어(150)에는 거울이 부착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화장대 중 화장품 냉장고에 해당하는 부분을 냉장고 영역(20)이라 호칭하고, 화장품 냉장고가 차지하는 영역을 제외한 잔여 영역을 화장대 영역(10)이라 호칭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화장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화장대의 전면에는 거울(310)이 배치될 수 있다. 거울(310)의 양끝에는 광원부에서 발생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312)가 결합할 수 있다. 반사부(312)는 광원부에서 발생하는 빛의 일부를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원부에서 발생하는 빛의 일부를 반사시킴으로써, 빛의 발생으로 인한 눈부심을 경감시킬 수 있다.
거울(310)은 어느 한면은 반대쪽이 보이지 않는 반사면으로 동작하고, 다른 한면은 반대쪽이 투과되는 투과면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예로, 거울(310)의 투과율을 70%, 반사율을 30%로 조정할 경우, 어느 한쪽에서 거울(310)을 바라볼 경우, 반대쪽이 보이지 않지만, 다른 한쪽에서 거울(310)을 바라볼 경우, 반대쪽이 보이게 될 수 있다.
이때, 거울(310)의 반사면은 화장대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화장대에 비추어진 자신의 얼굴을 비춰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거울(310)의 투과면은 화장대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화장대 내부에 카메라가 설치되더라도, 카메라를 통해 거울(310)을 마주보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거울(310)은 SIO2, CIO2 등의 비금속 재질로 광학 증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비금속 재질로 제작된 거울(310)에 터치 스크린 패널을 부착하는 경우, 거울(310)의 일부는 정보를 출력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거울(310)은 화장대 영역(10)을 형성하는 제 1 거울 파트(310-1) 및 냉장고 영역(20)을 형성하는 제 2 거울 파트(310-2)로 구획될 수 있다.
제 1 거울 파트(310-1)의 배면 일부는 전면 케이스(320)와 결합할 수 있다. 전면 케이스(320)의 일부 영역에는 터치 스크린 패널(350)과 결합하기 위한 개구부(324)가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350)이 전면 케이스(320)의 개구부(324)에 결합하면, 터치 스크린(350) 및 거울(310)은 개구부(324)를 통해 직접 맞닿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거울 파트(310-1)의 전체 영역 중 터치 스크린 패널(350)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일부 영역은 정보를 출력하거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부(125)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전면 케이스(320)의 한쪽 끝에는 광원부(330)를 삽입하기 위한 홈(322)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케이스(322)가 거울(310)과 결합하게 되면, 홈(322) 위에는 반사부(312)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322)에 안착된 광원부(330)를 통해 발생하는 빛의 일부는 반사부(312)에 의해 반사될 것이다.
제 2 거울 파트(310-2)의 배면에는 냉장실(364)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34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냉장실(364)의 보온을 위해, 제 2 거울 파트(310-2)와 도어(340) 사이에는 단열재(예컨대, 스티로폼)(345)가 삽입될 수 있다. 단열재(345) 및 도어(340) 중 어느 하나의 끝에도 광원부(330)를 삽입하기 위한 홈(347)이 형성될 수 있다. 단열재(345) 및 도어(340) 위 거울(310)이 부착되면, 홈(347) 위에는 반사부(312)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347)에 안착된 광원부(330)를 통해 발생하는 빛의 일부는 반사부(312)에 의해 반사될 것이다. 도 3에서는 단열재(345)의 한쪽 끝에 광원부(330)를 삽입하기 위한 홈(347)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광원부(330)는 LED(Light Emmiting Unit), 백열등, 형광등 등과 같이, 빛을 낼 수 있는 발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의 점등 및 소등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고, 수동 입력(예컨대, 광원부를 On/Off 하기 위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광원부에서 비추는 빛을 이용하여 보다 손쉽게 화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광원부(330)는 제 1 색상을 발하는 제 1 광원부와 제 2 색상을 발하는 제 2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광원부는 사용자의 화장 중 켜지고, 제 2 광원부는 사용자의 화장이 종료된 이후 켜지는 것으로, 제 1 광원부 및 제 2 광원부는 주광색, 백색, 웜 화이트 및 전구색 중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할 수 있다.
제 1 광원부를 구성하는 발광 유닛과 제 2 광원부를 구성하는 발광 유닛은 서로 번갈아가며 배치될 수도 있고, 제 1 광원부를 구성하는 어레이(array) 및 제 2 광원부를 구성하는 어레이가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4는 제 1 광원부와 제 2 광원부가 배치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1 광원부를 구성하는 발광 유닛과 및 제 2 광원부를 구성하는 발광 유닛은 하나씩 번갈아 가며 배치될 수도 있고, 도 4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1 광원부를 구성하는 어레이 및 제 2 광원부를 구성하는 어레이는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른 방법으로 제 1 광원부 및 제 2 광원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 1 광원부를 구성하는 발광 유닛과 제 2 광원부를 구성하는 발광 유닛을 N:M(N, M은 서로 다른 자연수)의 비율로 번갈아 배치할 수도 있고, 제 1 광원부 및 제 2 광원부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일예로, 제 1 광원부는 전면 케이스에 배치하고, 제 2 광원부는 도어에 배치할 수 있다.
전면 케이스(320) 및 도어(340)는 몸체(360)와 결합할 수 있다. 몸체(360)는 화장대의 전반적인 형상을 결정하고, 전자 부품을 실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몸체(360)에는 화장대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함(362) 및 화장품을 보관하기 위한 냉장실(364)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함(362)은 전면 케이스(320)에 의해 보호되고, 냉장실(364)은 도어(34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이때, 도어(340)는 몸체(360)와 결합한 채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수납함(362)에는 터치 스크린, 통신부, 메모리, 제어부, 카메라 등의 전자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가 거울(310)부를 넘어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가 배치될 위치에 대응하는 전면 케이스의 일부는 천공되어 있을 수 있다(326).
냉장실(364)은 몸체(360)의 뒤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냉장실(364)의 튀어 나온 부분에는 열 관리부(380)가 결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열 관리부(38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열 관리부(38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외부에서 바라봤을 때 열 관리부(38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하우징(510)을 제외한 열 관리부(38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열 관리부(380)는 하우징(510), 열전 소자(520), 히트 싱크(540) 및 트레이(5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10)은 냉장실(364)과 별도의 격리된 공간을 제공한다. 하우징(510) 안쪽에는 열전 소자(520) 및 히트 싱크(540)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하우징(510)의 바깥에 트레이(530)가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도시된 예와 달리, 하우징(510)의 안쪽에 트레이(530)가 위치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열전 소자(520)의 어느 한 면은 냉기를 발생시키는 저온부로 동작하고, 저온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다른 한면은 열기를 발생시키는 고온부로 동작할 수 있다. 외부 전원 또는 상기 수납함(362)에 실장된 배터리로부터 열전 소자(520)로 전기가 공급되면, 열전 소자(520)의 저온부는 냉기를, 고온부는 열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열전 소자(520)는 N형 불순물 이온이 섞인 반도체 또는 P형 불순물 이온이 섞인 반도체로 이루어진 열전요소(thermoelectric element)가 병렬 배치되고, 열전요소 상부측 및 하부측에는 구리판 등으로 된 전극이 각각 접합되며, 상기 전극을 감싸도록 세라믹 기판 등이 부착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열전 소자(520)는 접합부에 전류를 인가하면 N형 반도체에서는 전자가 P형 반도체에서는 정공(正孔)이 상부의 전극에서 하부의 전극으로 이동하면서 상부의 열을 빼앗아 하부로 방출하기 때문에 상부는 냉각되고 하부는 가열되는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가 발생된다. 즉,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는 전기현상(現象)의 하나로, 두 개의 다른 금속(金屬)의 접속(接續)을 통하여 전류를 통하면 그 접속점에 있어서 열의 발생 또는 흡수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열전 소자(5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열전 소자(520)의 일측은 온도가 낮은 저온부를 이루고, 타측은 온도가 높은 고온부를 이루게 된다. 만약 상기와 달리 전류를 역방향으로 인가하면, 상기 저온부와 상기 고온부는 바뀌게 된다.
이때 열전 소자(520)의 저온부는 냉장실(364)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도록 배치되어서, 저온부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냉장실(364)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냉장실(364)의 내부는 냉장실(364)의 외부에 비해서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열전 소자(520)의 저온부는 냉장실(364)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냉장실(364)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열전 소자(520)의 고온부는 냉장실(364)의 반대편에 배치되어서, 고온부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냉장실(364)로 쉽게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 관리부(380)는 고온부의 열기를 방출하는 히트 싱크(540)와 열전 소자(520)의 하부에 마련되어,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트레이(53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 싱크(540)는 고온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전도에 의해서 전달받도록 열전달이 용이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히트 싱크(54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히트 싱크(540)는, 전체적으로 고온부에 접촉한 부분보다 고온부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부분의 단면적이 커지도록 배치되어서, 고온부의 열기가 외부 공기와 쉽게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트레이(530)는 하부에 배치되어서 열전 소자(52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트레이(53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경계에 소정 높이를 가지는 격벽이 형성되어서 물이 일시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특히, 트레이(530)는 열전 소자(520)의 저온부에서 응축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다. 저온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온을 이루기 때문에 공기가 접촉하면서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발생되는 응축수는 트레이(530)에 수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열전 소자(520)와 트레이(530)가 평판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 경우, 열전 소자(520)에서 발생하는 물은 평판을 타고 트레이(530)로 떨어지게 될 것이다. 도시된 예와 달리, 트레이(530)는, 냉장실(364)에서 열전 소자(520)의 저온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수용되도록 냉장실(364)에 저온부가 결합되는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저온부가 냉장실(364)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저온부에 인접한 곳에 응축수 배출을 위한 파이프 등을 구비하고, 파이프를 통해서 배출되는 응축수가 트레이(530)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트레이(530)에 수용된 물은 고온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증발되는 것이 가능하다.
열전 소자(520)에 전류가 공급되어서 저온부에서 냉기가 발생되면 냉장실(364)은 냉각될 수 있다. 이때 동시에 고온부에서는 열기가 발생되어서 하우징(510)의 내부는 가열될 수 있다.
히트 싱크(540)로 열기가 전도에 의해서 전달되어서 하우징(510) 내부의 공기와 히트 싱크(540)가 서로 열교환이 되는 것이 가능하다.
히트 싱크(540)와 열교환이 이루어져서 가열된 하우징(510) 내부의 공기는 트레이(530)의 물을 가열하게 되고, 트레이(530)에 수용된 물은 뜨거워진 공기에 의해서 증발될 수 있다.
트레이(530)는 저온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수용하기 때문에, 물의 양이 고온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로 증발시키지 못할 정도로 많지는 않다. 통상적으로 아주 작은 양의 물은 열기가 아닌 자연 바람에 의해서도 증발되는 것이 일반적인 자연 현상이다.
즉, 트레이(530)에 수용된 물은 히트 싱크(540)의 열기를 대류에 의해서 전달받아서, 트레이(530)로부터 증발되어 제거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하우징(510)에는 외부 공기가 하우징(510)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관통공(512)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냉장실(364)은 외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온을 유지하기 위해서 도어에 의해서 냉장실(364)의 내부가 개폐될 수 있는 반면에, 열 관리부(380)는 외부 공기가 항상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공은 하우징(510)(20)의 상면에 형성된 제1관통공(24)과, 하우징(510)(20)의 측면에 형성된 제2관통공(2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트레이(530)는 히트 싱크(540)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트레이(530)에 수용된 물이 히트 싱크(540)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히트 싱크(540)의 열기가 트레이(530)에 수용된 물이 쉽게 전달될 수 있고, 증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트레이(53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트레이(530)에 수용되는 물을 흡수하는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흡수 부재는 트레이(530)에 수용된 물이 흡수될 수 있도록 흡수 부재가 트레이(530)의 내부에 연통된 연통관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흡수 부재는 냉장실(364)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냉장실(364)의 하부 공간은 일정한 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흡수 부재의 두께를 얇게 하는 대신에, 면적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흡수 부재는 물의 흡수가 용이한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흡수 부재는 냉장실(364)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흡수 부재는 저온으로 유지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히트 싱크(540)는, 고온부에 접촉하는 접촉부(542)와, 접촉부(542)에서 연장되는 연장관(544)과, 연장관(544)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핀(548)(fin)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예로, 도 7은 히트 싱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히트 싱크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5를 참조해서 히트 싱크(5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접촉부(542), 연장관(544) 및 핀(548)은 열전도가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용접 등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접촉부(542), 연장관(544) 및 핀(548)이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되어서 고온부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전도에 의해서 용이하게 히트 싱크(540)에서 전체적으로 퍼져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관(544)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연장관(544)은 접촉부(54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확산되도록 절곡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연장관(544)이 접촉부(542)를 중심으로 외부로 벌어지도록 배치되는 형태에 의해서 연장관(544)이 하우징(510) 내부의 공기와 쉽게 접촉해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핀(548)은 복수 개의 연장관(544)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핀(548)은 복수 개의 연장관(544)으로부터 열기를 전달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핀(548)에 의해서 복수 개의 연장관(544)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핀(548)은 고온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가능하다. 핀(548)은 하우징(510)(20)의 내부 공기와 열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연장관(544)의 단면 보다 얇은 두께를 이루면서, 면적이 넓은 평판을 이룰 수 있다.
반면에 연장관(544)은 접촉부(542)로부터 연장되면서 핀(548)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원통형상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연장관은 히트 싱크(540)의 골격을 이룰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몸체(360)의 하단부에는 근접 센서(366)가 부착될 수 있다. 근접 센서(366)를 통해, 제어부는 사용자가 화장대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몸체(360)의 하단부에는 받침대(370)와 결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받침대(370)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보(372)가 포함될 수 있다. 받침대(370)와 몸체(360)가 결합하게 되면, 2개 이상의 보(372)가 몸체(360)를 지지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보(372)로 화장대를 지지함으로써, 화장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몸체(360)의 뒷편에는 후면 케이스(380)가 결합할 수 있다. 후면 케이스의 재질(380)은 ABS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화장대에 삽입될 수 있는 전자 부품들을 기초로 한, 화장대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대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5), 카메라(130), 광원부(140), 메모리(150), 센싱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를 통해 화장대는 외부 서버 또는 외부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예컨대, Bluetooth, Zigbee 또는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 이동 통신 기술(예컨대, LTE (Long Term Evolution),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W-CDMA (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 무선 랜(Wireless LAN (Local Area Network), Wi-Fi (Wireless Fidelity) 등) 등의 무선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고, 유선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25)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5)는 거울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거울(120)은 입사되는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비추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적어도 일부 영역(즉, 디스플레이부(125)가 결합된 영역)을 통해서는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25)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거울(120) 전면부를 촬영할 수 있다. 일예로, 카메라(130)는 거울(120)을 바라보고 있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30)가 거울(120)을 넘어 영상 신호를 입력 받도록 하기 위해, 거울(120)의 전면부(즉, 사용자와 마주보는 면)은 빛을 반사시키고, 배면부(즉, 케이스(12)와 마주보는 면)은 빛을 통과시키는 반투명 형태를 띌 수 있다.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이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사용자는 거울에 자신의 모습을 비춰볼 수 있을 것이다. 빛을 통과시키는 투과면이 카메라(130)를 향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카메라(130)는 화장대 외부를 촬영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130)를 통해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어부(170)는 카메라(130)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화장대 앞에 위치하는지 여부 및 영상 속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에 의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제어부는 평소 카메라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화장대에 근접하는 경우 비로소 카메라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광원부(140)는 빛을 비출 수 있다. 광원부(140)는 LED(Light Emmiting Unit), 백열등, 형광등 등과 같이, 빛을 낼 수 있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40)의 점등 및 소등은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고, 수동 입력(예컨대, 광원부(140)를 On/Off 하기 위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일예로, 제어부는 광원부를 Off 상태로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화장대에 근접하는 경우, 또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였을 때, 사용자가 화장대를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 광원부를 On 시킬 수 있다.
일예로, 도 10은 각 입력 영상 별 사용자가 화장대를 사용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고, 얼굴의 주요 요소(예컨대, 양 눈, 코, 입 등)이 모두 포착되며, 얼굴 크기도 소정 크기 이상이라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화장대를 사용하고자 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0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었으나, 얼굴의 주요 요소 중 일부가 포착되지 않은 경우라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화장대를 사용하고자 하는 상태는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 및 얼굴의 주요 요소가 모두 포착되었으나, 사용자의 얼굴 크기가 작은 경우라면, 사용자가 화장대에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화장대를 사용하고자 하는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추가로, 제어부는 사용자가 화장하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조명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화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라면, 제어부는 제 2 광원부는 Off 시킨 상태에서 제 1 광원부를 On 시킬수 있고, 사용자가 화장을 끝마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라면, 제 1 광원부는 Off 시키고 제 2 광원부를 On 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가 화장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50)는 이동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예컨대, 피부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과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5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는 제어부(170)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150)에는 화장대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센싱부(160)는 화장대로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도 있다. 화장대로 사용자가 근접한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170)는 카메라(130)를 활성화하고, 카메라(13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근접한 사용자가 화장대를 이용하고자 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화장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화장대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화장대 영역
20 : 냉장고 영역
110 : 케이스
120 : 거울
125 : 디스플레이부
130 : 카메라
140 : 광원부
150 : 도어

Claims (16)

  1. 화장대에 있어서,
    거울;
    화장 중 켜지는 제1 광원부와 화장이 완료된 후 켜지는 제2 광원부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거울의 뒤편에 위치하고, 상기 거울의 앞편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및
    사용자가 상기 화장대를 사용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거울의 양면 중 상기 카메라와 마주보는 일면은 빛을 투과하는 투과면이고, 다른 한면은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화장대를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광원부를 켜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화장을 끝마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광원부를 끄고 상기 제2 광원부를 켜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얼굴 중 주요 요소가 포착되고, 상기 주요 요소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화장대를 사용할 것이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대는 상기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센싱부가 상기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한 경우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대는 상기 화장대의 형상을 조성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화장품을 보관하기 위한 냉장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대.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카메라를 실장하기 위한 수납함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면 케이스 및 후면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전면 케이스는 상기 거울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전면 케이스의 일부는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대.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대는 상기 냉장실과 인접하는 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관리부는,
    하우징;
    냉기를 발생시키는 저온부와, 상기 저온부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열기를 발생시키는 고온부를 구비하는 열전소자;
    상기 고온부의 열기를 방출하는 히트 싱크; 및
    상기 열전소자의 하부에 마련되어,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물은 상기 고온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증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터치 스크린 패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대는 상기 화장대의 형상을 조성하고 전면 케이스 및 후면 케이스와 결합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케이스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거울에 부착되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과 결합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대.
KR1020150001411A 2015-01-06 2015-01-06 화장대 KR101715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411A KR101715063B1 (ko) 2015-01-06 2015-01-06 화장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411A KR101715063B1 (ko) 2015-01-06 2015-01-06 화장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752A KR20160084752A (ko) 2016-07-14
KR101715063B1 true KR101715063B1 (ko) 2017-03-10

Family

ID=5649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411A KR101715063B1 (ko) 2015-01-06 2015-01-06 화장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0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989B1 (ko) * 2017-04-07 2018-06-05 함인식 복합기능을 갖는 화장대
US20200268148A1 (en) * 2017-10-10 2020-08-27 Lg Electronics Inc. Mirror cabinet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400B1 (ko) * 2017-04-05 2022-04-14 코웨이 주식회사 화장용품 거치대
KR102009359B1 (ko) * 2017-08-29 2019-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장대
KR102098874B1 (ko) * 2017-08-29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장대
CN111788622A (zh) * 2018-01-05 2020-10-16 莱雅公司 利用客户端装置指导化妆涂抹的化妆盒
KR102202067B1 (ko) * 2018-11-26 2021-01-11 강윤재 화장품 냉장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929B1 (ko) * 2007-06-23 2008-09-29 이진영 음용수 냉각기
JP5204477B2 (ja) * 2007-12-25 2013-06-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健康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388B1 (ko) 2009-08-07 2011-09-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다용도 화장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929B1 (ko) * 2007-06-23 2008-09-29 이진영 음용수 냉각기
JP5204477B2 (ja) * 2007-12-25 2013-06-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健康管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989B1 (ko) * 2017-04-07 2018-06-05 함인식 복합기능을 갖는 화장대
US20200268148A1 (en) * 2017-10-10 2020-08-27 Lg Electronics Inc. Mirror cabine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752A (ko)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063B1 (ko) 화장대
US10398260B2 (en) Ov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229142B2 (ja) 冷蔵庫及び冷蔵庫システム
KR102602911B1 (ko) 미러 캐비닛 장치
TWI558216B (zh) 攝影系統以及攝影裝置
EP2843336A1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system for monitoring food
JP6348278B2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
KR20170106143A (ko) 오븐 및 그 제어방법
EP2843337A1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system for monitoring food
JP6167289B2 (ja) 冷蔵庫及びその冷蔵庫システム
KR200485065Y1 (ko) 조명 거울
TW201711599A (zh) 化妝台
KR102089160B1 (ko) 화장거울
KR101648049B1 (ko) 화장대 및 이의 제어 방법
JP6671002B2 (ja) 冷蔵庫
JP6167329B2 (ja) 冷蔵庫
JP2012148029A (ja) 光源付ミラー
KR20210081991A (ko) 냉장고
WO2023160682A1 (zh) 用于制冷电器的齐平安装灯组件
KR102596929B1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JP6145701B2 (ja) 冷蔵庫
JP2020038055A (ja) 貯蔵庫
KR20240015557A (ko) 냉장고, 가전기기 및 패널들 간의 색상 보정 방법
JP6145702B2 (ja) 冷蔵庫
JP2022125367A (ja) システム、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