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365B1 - 셀프 등팩 - Google Patents

셀프 등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365B1
KR101714365B1 KR1020160050182A KR20160050182A KR101714365B1 KR 101714365 B1 KR101714365 B1 KR 101714365B1 KR 1020160050182 A KR1020160050182 A KR 1020160050182A KR 20160050182 A KR20160050182 A KR 20160050182A KR 101714365 B1 KR101714365 B1 KR 101714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sheet
self
skincare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계성
Original Assignee
안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계성 filed Critical 안계성
Priority to KR102016005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 등팩에 관한 것으로서, 신체의 등(back)에 부착되는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 및 상기 등 피부관리용 시트의 상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어깨에 거는 한 쌍의 어깨걸이 끈(120); 상기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를 밀착시키는 쿠션바디(141)와, 등의 날개 뼈(어깨 뼈) 부분에 맞게 굴곡진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등굴곡 배치부(142a)와, 척추에 맞게 굴곡진 모양으로 형성된 제2 등굴곡 배치부(142b)와, 사용자의 신체인 어깨 부분에 맞게 굴곡진 모양으로 형성된 제3 등굴곡 배치부(142c)로 구성된 등굴곡 배치부(142), 상기 어깨걸이 끈(120)을 끼울 수 있는 끈 홀더(143)로 구성된 셀프 등팩 부착용 쿠션(140); 을 포함하되, 상기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다수의 절개선(111)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절개선은 상기 등 피부관리용 시트의 상하부 중앙에 서로 대칭으로 각각 하나씩 형성되고, 상기 등 피부관리용 시트의 양측부에 각각 상하로 서로 이격된 2개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셀프 등팩{Self back pack}
본 발명은, 셀프 등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손쉽게 등 관리를 진행할 수 있는 셀프 등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피부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때문에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의 경우에도 팩(pack), 특히 마스크 팩(mask pack)을 하는 경우가 잦다.
피부관리의 대세라 불리우는 마스크 팩은 예컨대, 5분 내지 20분 정도만 얼굴에 붙이더라도 얼굴 피부의 각질을 없애주는 한편 피부를 촉촉하고 윤기있게 해준다. 따라서 시중에는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 팩이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비단 얼굴 외에도 신체 모든 부위의 피부에 대한 관리는 중요하다. 특히, 건성 피부와 같이 일반적이지 않은 피부 상태이거나 노인의 경우에는 더더욱 피부관리에 신경을 써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목욕을 한 후에는 온 몸에 오일(oil)이나 수분크림, 로션 등을 발라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수분을 유지시켜 주는 것이 유익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신체 구조 상 혼자서 등에 오일이나 수분크림, 로션 등을 바르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등은 다른 피부보다 촉촉하지 못하고 건조된 상태로 방치되는 경우가 잦다.
그렇지만, 신체의 일부인 등 역시, 일정하게 관리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마스크 팩처럼 등에 팩(pack)을 붙이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510307호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등팩의 구조도이다. 도 1은 전술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510307호에 개시된 기술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등팩은 신체의 뒷부분에 잘 부착될 수 있도록 목부(11), 어깨부(13) 및 몸체부(15)를 포함하며, 각 부분들 사이에는 잘 접힐 수 있도록 절개선(12), 제1 및 제2 절개부(14,16)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과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등이나 목, 혹은 어깨에 팩을 붙일 수 있기 때문에 등이나 목, 혹은 어깨와 같이 다소 소홀한 부분에 대한 피부관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하지만, 도 1과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구조상 자신이 혼자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주변 사람이 반드시 도와주어야 한다는 점에서 주변 사람의 도움 없이도(self) 등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신개념의 셀프 등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51030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손쉽게 등 관리를 진행할 수 있는 셀프 등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신체의 등(back)에 부착되어 상기 등의 피부를 관리하는 등 피부관리용 시트; 및 상기 등 피부관리용 시트의 양측에 연결되며, 어깨에 거는 다수의 어깨걸이 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등팩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등 피부관리용 시트에는 절개가 가능한 다수의 절개선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어깨걸이 끈에는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 조절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손쉽게 등 관리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등팩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셀프 등팩의 구조도이다.
도 3은 셀프 등팩 부착용 쿠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셀프 등팩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셀프 등팩의 구조도, 도 3은 셀프 등팩 부착용 쿠션의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셀프 등팩(100)은 주변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손쉽게 등 관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와, 어깨걸이 끈(120)을 포함한다.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는 신체의 등(back)에 부착되어 상기 등의 피부를 관리하는 부분이다.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에는 등 피부관리를 위한 화장품이 도포될 수 있다.
소위, 마스크 팩(mask pack)이라는 시트가 얼굴에 붙이는 것이라면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는 등에 부착되어 등 피부를 관리한다. 즉 등 피부에 수분을 유지시켜 주어 촉촉하게 유지시키는 한편 등 피부에 영양성분을 공급한다. 따라서 등의 피부트러블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에는 분리 가능한 보호지(130)가 점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셀프 등팩(100)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우선 점착되어 있는 보호지(130)를 미리 떼어낸 후,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의 내면을 등에 붙이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에는 위치별로 다수의 절개선(111)이 마련된다. 절개선(111)들은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의 각 변에서 내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형성된다.
신체의 등은 완전 평면이 아니고 사람마다 등의 사이즈가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사항을 보완하기 위해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에 다수의 절개선(111)이 위치별로 마련된다.
이에, 등의 굴곡진 부위로 인해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가 잘 점착되지 않으면 해당 부분의 절개선(111)을 일정 부분 잘라 그 양쪽면이 쉽게 벌어지거나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등 표면에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아랫부분의 절개선(111)을 횡으로 완전히 자르면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의 사이즈 조절도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때는 절개선(111)으로 인해 가위 없이 맨손으로도 작업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절개선(111)은 미리 잘라진 형태일 수도 있다.
어깨걸이 끈(120)은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의 양측에 연결되는 끈으로서, 어깨에 거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어깨걸이 끈(120)은 피부관리용 시트(110)의 양측에 한 쌍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셀프 등팩(100)의 경우, 한 쌍의 어깨걸이 끈(12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어깨걸이 끈(120)를 양 어깨에 집어넣어 마치 조끼를 입듯이 입으면 자연스럽게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가 등에 배치되면서 점착될 수 있다. 따라서 혼자서 하기 힘들었던 등 피부관리를 혼자서도 충분히 할 수 있다.
한편,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가 등에 잘 점착되지 않을 경우, 도 3 및 도 4와 같은 형태의 셀프 등팩 부착용 쿠션(140)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신체의 등은 굴곡진 반면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은 평면 구조이기 때문에 등에 잘 붙지 않는 부분이 생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셀프 등팩 부착용 쿠션(140)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셀프 등팩 부착용 쿠션(140)은 셀프 등팩(100)이 등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효용이 감소될 수도 있다는 점을 한 번의 접촉만으로 손쉽게 밀착, 부착될 수 있게 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고탄성 스펀지의 쿠션이다.
이러한 셀프 등팩 부착용 쿠션(140)은 쿠션 바디(141)와, 한 쌍의 끈 홀더(143)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 바디(141)의 일측에는 등의 굴곡와 대응되는 등 굴곡 배치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셀프 등팩(100)의 고리 부분을 셀프 등팩 부착용 쿠션(140)의 끈 홀더(143)에 끼우고 구멍에 양쪽 팔을 넣은 후, 등을 셀프 등팩 부착용 쿠션(140)에 갖다 대면 셀프 등팩 부착용 쿠션(140)의 형상적인 특징으로 인해 셀프 등팩(100)은 등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게 되며, 이후 등을 떼면 자연히 고리부분이 끈 홀더(143)에서 이탈됨으로써 셀프 등팩(100)을 아주 간단하고 손쉽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손쉽게 등 관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셀프 등팩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셀프 등팩(200) 역시, 다수의 절개선(211)을 구비하는 등 피부관리용 시트(210)와, 어깨걸이 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어깨걸이 끈(220)에는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 조절부(22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처럼 어깨걸이 끈(220)에 길이 조절부(221)가 마련될 경우, 신체의 사이즈가 다른 남녀노소 모두가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인 셀프 등팩 부착용 쿠션의 사시도의 구성요소들과 기능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등굴곡 배치부(142)는 제1 등굴곡 배치부(142a)와 제2 등굴곡 배치부(142b), 제3 등굴곡 배치부(142c)로 분할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등굴곡 배치부(142a)는 사용자의 신체인 등의 날개 뼈(어깨 뼈) 부분에 맞게 굴곡진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부관리용 시트(110)를 등의 날개 뼈(어깨 뼈) 부분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등굴곡 배치부(142a)는 상기 제3 등굴곡 배치부(142c)의 하부에 한 쌍으로 대칭 형성된다.
상기 제2 등굴곡 배치부(142b)는 사용자의 신체인 척추에 맞게 굴곡진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부관리용 시트(110)를 등의 척추부분 피부에 밀착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등굴곡 배치부(142b)는 상기 제3 등굴곡 배치부(142c)의 하부와 상기 제1 등굴곡 배치부(142a)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3 등굴곡 배치부(142c)는 상기 끈 홀더(143)의 하부에 사용자의 신체인 어깨 부분에 맞게 굴곡진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부관리용 시트(110)를 등의 어깨 부분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 등굴곡 배치부(142c)는 상기 끈 홀더(143)의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 형성된다.
상기 등굴곡 배치부(142)의 일측의 제1 등굴곡 배치부(142a)와 제2 등굴곡 배치부(142b), 제2 등굴곡 배치부(142b)와 타측의 제1 등굴곡 배치부(142a) 사이에는 등굴곡 오목부(150a)가 배치되어 사람 등의 볼록부를 수용하여 밀착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3 등굴곡 배치부(142c)의 하단에도 사용자의 신체인 어깨 부분에 맞게 굴곡진 제3 등굴곡 오목부(142d)가 형성되어, 상기 피부관리용 시트(110)를 등의 어깨 부분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등굴곡 배치부(142)는 인체공학적으로 사용자의 등의 모양에 맞도록 설계되어, 평상시 의자에 놓고 사용할 시 자세 교정기능을 가지며, 척추를 지탱해주어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한다.
상기 셀프 등팩 부착용 쿠션(140)은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고려하여 여러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주변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손쉽게 등 관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셀프 등팩 110 : 등 피부관리용 시트
111 : 절개선 120 : 어깨걸이 끈
130 : 보호지 140 : 셀프 등팩 부착용 쿠션
141 : 쿠션 바디 142 : 등 굴곡 배치부
143 : 끈 홀더
142a: 제1 등굴곡 배치부
142b: 제2 등굴곡 배치부
142c: 제3 등굴곡 배치부

Claims (3)

  1. 신체의 등(back)에 부착되는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 및
    상기 등 피부관리용 시트의 상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어깨에 거는 한 쌍의 어깨걸이 끈(120);
    상기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를 밀착시키는 쿠션바디(141)와, 등의 날개 뼈(어깨 뼈) 부분에 맞게 굴곡진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등굴곡 배치부(142a)와, 척추에 맞게 굴곡진 모양으로 형성된 제2 등굴곡 배치부(142b)와, 사용자의 신체인 어깨 부분에 맞게 굴곡진 모양으로 형성된 제3 등굴곡 배치부(142c)로 구성된 등굴곡 배치부(142), 상기 어깨걸이 끈(120)을 끼울 수 있는 끈 홀더(143)로 구성된 셀프 등팩 부착용 쿠션(140); 을 포함하되,
    상기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다수의 절개선(111)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절개선은 상기 등 피부관리용 시트의 상하부 중앙에 서로 대칭으로 각각 하나씩 형성되고, 상기 등 피부관리용 시트의 양측부에 각각 상하로 서로 이격된 2개가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등굴곡 배치부(142a)는 제3 등굴곡 배치부(142c)의 하부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등굴곡 배치부(142b)는 상기 제3 등굴곡 배치부(142c)의 하부와 상기 제1 등굴곡 배치부(142a) 사이에 위치 형성되고, 상기 제3 등굴곡 배치부(142c)는 끈 홀더(143)의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 형성하여 상기 등 피부관리용 시트(110)를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등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걸이 끈에는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 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등팩.
KR1020160050182A 2016-04-25 2016-04-25 셀프 등팩 KR101714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182A KR101714365B1 (ko) 2016-04-25 2016-04-25 셀프 등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182A KR101714365B1 (ko) 2016-04-25 2016-04-25 셀프 등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365B1 true KR101714365B1 (ko) 2017-03-09

Family

ID=5840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182A KR101714365B1 (ko) 2016-04-25 2016-04-25 셀프 등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3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584A (ko) * 2007-10-16 2009-04-21 이승헌 턱과 목 전용 미용팩
KR101510307B1 (ko) 2013-12-13 2015-04-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등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584A (ko) * 2007-10-16 2009-04-21 이승헌 턱과 목 전용 미용팩
KR101510307B1 (ko) 2013-12-13 2015-04-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등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3792A (en) Anti-slipping brassiere strap bridging and support member
JP2007020983A (ja) 顔面装着用被覆具
US20180317632A1 (en) Self-Aligning and Self-Adhering Cosmetic Stencil System
AU2021201983B2 (en) A nasal splint
US9649249B1 (en) Penile prosthetic system
US8454156B2 (en) Eyeglass support
US5539931A (en) Bare shoulder protector
US6698030B2 (en) Neck pressure relief pad
US6453904B1 (en) Arm-sling vest
KR101714365B1 (ko) 셀프 등팩
US20040255971A1 (en) Eye makeup application device
US20010023695A1 (en) Nasal dilator
KR102255648B1 (ko) 귀걸이끈에 의한 귀등 통증을 보호하는 보조구
JP6918335B2 (ja) 美容用マスク
US5474487A (en) Brassiere strap bridging and support member
CN111493393A (zh) 一种用于医疗人员职业卫生防护口罩
US20090071485A1 (en) Protective Shields and Covers and Methods for Installing the Same
JP7080948B2 (ja) マスク及びフェイスシールド等に用いられるフレーム具並びに当該フレーム具を有するマスク
JP3125805U (ja) 耳栓で固定する洗髪用補助具
CN111449342A (zh) 一种外耳配合式保护装置和口罩
TWI462705B (zh) 睫毛條支撐結構
CN212437418U (zh) 一种外耳配合式延展型保持装置及口罩
JP7406231B2 (ja) 保湿用キット
CA2618242C (en) Breathing aid device that reduces incidence of snoring
JP2009261890A (ja) 理美容用フェース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