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195B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195B1
KR101714195B1 KR1020150118237A KR20150118237A KR101714195B1 KR 101714195 B1 KR101714195 B1 KR 101714195B1 KR 1020150118237 A KR1020150118237 A KR 1020150118237A KR 20150118237 A KR20150118237 A KR 20150118237A KR 101714195 B1 KR101714195 B1 KR 101714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mode
suction motor
suction
referenc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2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22786A (en
Inventor
이창훈
하건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8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195B1/en
Priority to TW105125441A priority patent/TWI594721B/en
Priority to RU2016133751A priority patent/RU2641493C1/en
Priority to CN201610694603.5A priority patent/CN106466152B/en
Publication of KR20170022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7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1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 상기 흡입 모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 어셈블리; 상기 흡입 모터의 흡입력 세기를 선택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흡입 모터의 흡입력 세기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 모터의 기준 출력 변경을 위한 모드 선택부; 및 상기모드 선택부에서 선택된 모드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흡입력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vacuum cleaner main body having a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suc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cleaner main body and sucking air and dust; A battery assembly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suction motor;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suction strength of the suction motor; A mode selector for changing the referenc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uction motor based on the mode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and the suction force intensity selected in the user interface.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Generally,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for sucking dust-containing air using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mounted inside a main body, and then filtering dust inside the main body.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수동 청소기와 자동 청소기로 구분된다. 수동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를 수행하여야 하는 청소기이고, 자동 청소기는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기이다. Such a vacuum cleaner is divided into a manual vacuum cleaner and an automatic vacuum cleaner. The manual vacuum cleaner is a vacuum cleaner to be manually cleaned by the user, and the vacuum cleaner is a vacuum cleaner that performs cleaning while traveling on its own.

상기 수동 청소기는, 흡입 노즐이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과, 흡입 노즐이 본체와 결합되는 업라이트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The manual cleaner can be distinguished by a canister type in which the suction nozzle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and connected by a connection pipe, and an upright type in which the suction nozzle is coupled to the main body.

선행문헌1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8796호(공개일 2006.11.24.)에는 청소기의 전원코드 인출구가 개시된다.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118796 (published on November 24, 2006), the power cord outlet of the vacuum cleaner is started.

선행문헌1에는 본체 내에 코드릴어셈블리가 구비되고, 전원코드를 콘센트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본체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The prior art document 1 is provided with a nose drill assembly in the body, and by connecting the power cord to an outlet, the body can be powered.

이와 같은 선행문헌1의 경우 코드릴어셈블리에 의해서 청소기가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 수행 시 청소기는 코드릴어셈블리에 감긴 코드의 길이 만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청소에 제약이 있다. In this prior art document 1, since the vacuum cleaner is supplied with power by the cord drill assembly, the vacuum cleaner can be moved by the length of the cord wound on the nose drill assembly.

선행문헌2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5847호(공개일 2008.12.04.)에는 진공 청소기가 개시된다. A vacuum clean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8-0105847 (published on December 24, 2008).

선행문헌2의 진공 청소기는, 배터리와 충전기를 가지는 본체와,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코드릴 조립체를 포함한다. The vacuum cleaner of the prior art document 2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battery and a charger, and a nose drill assembly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상기 진공 청소기는, 본체를 코드릴 조립체에 연결하여 상용 전원을 공급받고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코드릴 조립체가 본체에 분리된 상태에서는 배터리의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된다. The vacuum cleaner may be connected to the nose drill assembly to receive a commercial power source to charge the battery. When the nose drill assembly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the vacuum cleaner operates by receiving a DC power from the battery.

선행문헌2의 경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진공 청소기가 작동하는 경우, 배터리의 충전 용량 제한으로 인하여 사용 시간이 제한되어 있으며, 특히 흡입력 세기가 최대인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작동 시간이 현저히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document 2, when the vacuum cleaner is operated by supplying power from the battery, the use time is limite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battery. Particularly, when the suction power is maximized, the operation time is significantly reduced .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흡입력 세기의 정도를 변경함으로써, 사용 시간이 증가될 수 있고,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which can increase the use time by changing the degree of the suction force intensity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can satisfy various tastes of the us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의 진공 청소기는 흡입 모터의 흡입력 세기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흡입 모터의 흡입력 세기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 모터의 기준 출력 변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select the suction force intensity of the suction motor, and can change the referenc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force intensity of the suction motor.

일 예로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흡입 모터의 흡입력 세기를 선택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흡입 모터의 흡입력 세기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 모터의 기준 출력 변경을 위한 모드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vacuum cleaner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suction strength of the suction motor. The vacuum cleaner may include a mode selection unit for changing the referenc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그리고, 본 실시 예의 컨트롤러는 선택된 모드 및 선택된 해당 모드에서 선택된 흡입력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ntrol the suction motor based on the selected suction force intensity in the selected mode and the selected corresponding mode.

본 실시 예의 모드 선택부를 이용하여 제1모드와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Any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can be selected using the mode selection unit of this embodiment.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특정 흡입력 세기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 모터의 기준 출력은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상기 특정 흡입력 세기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 모터의 기준 출력 보다 작다. In this embodiment, the referenc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uction force intensity selected in the user interface in the second mode is set to the reference of the suction moto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uction force intensity selected in the user interface in the first mode Output is less than.

상기 제2모드에서 흡입력 세기로, 강, 중, 약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의 상기 흡입 모터의 기준 출력은, 상기 제1모드에서 동일한 흡입력 세기가 선택된 경우의 흡입 모터의 기준 출력 보다 작다. The referenc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when one of the strong, medium or weak is selected as the suction force intensity in the second mod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when the same suction force intensity is selected in the first mode.

그리고,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상기 특정 흡입력 세기로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할 때의 상기 흡입 모터의 작동 시간은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상기 특정 흡입력 세기로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할 때의 상기 흡입 모터의 작동 시간 보다 길다. The operating time of the suction motor when the suction motor is operated with the specific suction force intensity selected in the user interface in the second mode is set to the specific suction force intensity selected in the user interface in the first mode, Is longer than the operating time of the suction motor when the suction motor is operated.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드 선택부에 의해서 선택되는 모드와 무관하게,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특정 흡입력 세기가 선택된 경우, 상기 흡입 모터가 기준 시간 동안 기준 출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so that the suction motor maintains the reference output for a reference time when the specific suction force intensity is selected in the user interface regardless of the mode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have.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흡입 모터가 상기 기준 출력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의 입력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input current of the suction motor so that the suction motor operates with the reference output.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의 전압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흡입 모터의 입력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increase the input current of the suction motor in response to a decrease in the voltage of the battery assembly.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흡입 모터의 입력 전류 조절을 중단하고, 상기 흡입 모터의 출력이 제한 출력에 도달하면, 상기 흡입 모터의 출력이 상기 제한 출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stops the adjustment of the input current of the suction motor when the reference time elapses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so that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maintains the limited output when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reaches the limit output Can be adjusted.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흡입 모터의 출력이 상기 제한 출력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흡입 모터의 입력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input current of the suction motor such that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is maintained at the limited output.

상기 제2모드에서, 최대 흡입력 세기로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할 때의 상기 흡입 모터의 최대 출력은, 상기 제1모드에서, 최대 흡입력 세기로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할 때의 상기 흡입 모터의 최대 출력 보다 작을 수 있다. The maximum output of the suction motor when the suction motor is operated with the maximum suction force intensity in the second mode is set to a maximum output of the suction motor when the suction motor is operated at the maximum suction force intensity in the first mode, .

상기 제2모드에서, 최소 흡입력 세기로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할 때의 상기 흡입 모터의 최대 출력은, 상기 제1모드에서, 최소 흡입력 세기로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할 때의 상기 흡입 모터의 최대 출력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In the second mode, the maximum output of the suction motor when the suction motor is operated with the minimum suction force intensity is the maximum output of the suction motor when the suction motor is operated with the minimum suction force intensity in the first mode May be the same as or smaller than.

상기 청소기 본체와 상기 흡입부를 연결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는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핸들에 구비되고,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될 수 있다. And a handle disposed on a path connecting the cleaner main body and the suction unit, wherein the user interface is provided in the handle, and the mode selection unit is provided in the cleaner main body.

상기 모드 선택부는 스위치일 수 있다. The mode selector may be a switch.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흡입 모터의 흡입력 세기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흡입 모터의 흡입력 세기에 대한 기준 출력을 달리하는 다수의 모드 중 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vacuum cleaner can select the suction strength of the suction motor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can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modes that differ in the reference output with respect to the suction force intensity of the suction motor.

그리고, 컨트롤러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모드 및 해당 모드에서 선택된 흡입력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suction motor based on the mode selected in the user interface and the suction force intensity selected in the mode.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흡입 모터의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은 다소 크나 강한 흡입력으로 짧은 시간에 청소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모드 선택부를 이용하여 제1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반면, 적절한 흡입력으로 소음이 적으면서 장시간 청소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모드 선택부를 이용하여 제2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when the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is rather large, but it is desired to perform the cleaning in a short time with a strong suction force, the user can select the first mode using the mode selection unit.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sired to perform cleaning for a long time while noise is small due to a proper suction force, the user can select the second mode using the mode selection unit.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제1모드나 제2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various preferences of the user can be satisfied.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핸들의 사시도.
도 5는 제1모드에서의 흡입 모터의 출력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제2모드에서의 흡입 모터의 출력을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5 is a view showing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in the first mode;
6 is a view showing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in the second mode;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며,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핸들의 사시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4 is a cross-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160)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1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와 연통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로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4,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vacuum cleaner main body 10 having a suction motor 160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a suction device 20 for guiding air containing dust to the cleaner main body 10.

도 1에는 일 예로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가 도시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청소기 본체(10)가 흡입부(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업라이트 방식의 청소기 뿐만 아니라, 스틱 타입의 스틱형 청소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1 is a canister-type vacuum cleaner. However,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in which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21,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stick typ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흡입 장치(2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와 연통되며, 청소면 일 예로 바닥면의 먼지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21)와, 상기 흡입부(21)를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22, 23, 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ction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cleaner main body 10 and includes a suction part 21 for suctioning dust and air on a clean surface, for example, and a suction part 21 connected to the cleaner main body 10 (22, 23, 24).

상기 연결부(22, 23, 24)는, 상기 흡입부(21)에 연결되는 연장관(24)과, 상기 연장관(24)에 연결되는 핸들(handle: 22)과, 상기 핸들(22)을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연결시키는 흡입 호스(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s 22, 23 and 24 include an extension pipe 24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ion 21, a handle 22 connected to the extension pipe 24, And a suction hose 23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그리고,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상기 흡입 장치(20)에서 흡입된 공기와 먼지를 서로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미도시)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통(110)은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먼지 분리부는 상기 먼지통(110)과 별도의 물품으로 제조되거나 상기 먼지통(110)과 하나의 모듈을 이룰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1 includes a dust separator (not shown) for separating dust and air from the suction device 20, a dust container 110 for storing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or, As shown in FIG. The dust container 11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cleaner body 10. The dust separator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article from the dust container 110 or may form one module with the dust container 110.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controller: 150)와, 상기 흡입 모터(16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어셈블리(battery assembly: 120)와,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기(14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로 상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코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1 includes a controller 1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160 and a battery assembly 120 for supplying power to operate the suction motor 160. [ A charger 140 for charging the battery assembly 120 and a power cord 3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leaner main body 10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the cleaner main body 10, .

상기 전원 코드(30)는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31)와,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연결되는 코드 커넥터(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상기 코드 커넥터(32)가 연결되는 본체 커넥터(10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cord 30 may include a plug 31 connected to an outlet and a cord connector 32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 The cleaner main body 10 may include a main body connector 102 to which the cord connector 32 is connected.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양측에는 바퀴(105)과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 커넥터(10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일측 바퀴(105)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main body connector 102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leaner main body 10, and the main body connector 102 may be located above the one wheel 105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는, 다수의 배터리 셀(12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다수의 배터리 셀의 집합을 배터리 유닛이라 할 수 있다. The battery assembly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21. That i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referred to as a battery unit.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121)은 충전 및 방전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121) 전체에 충전된 최대 직류 전압은 일 예로 42.4V를 초과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의 최대 충전 전압은 84.8V 이상일 수 있다.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21 may be a secondary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The maximum DC voltage charged i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21 may have a value exceeding 42.4 V, for example. For example, the maximum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assembly 120 may be 84.8 V or more.

상기 충전기(140)는 정류 및 평활 동작을 수행하여, 상용 교류 전압을 인가받아 직류 전압 형태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기(140)는 변환된 직류 전압을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로 공급한다. 일 예로 상기 충전기(140)는 220V 상용 교류 전압을 42.4V를 초과하는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강압함), 상기 배터리 어셈브리(120)로 공급한다. The charger 140 performs a rectifying and smoothing operation to convert a commercial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Then, the charger 140 supplies the converted DC voltage to the battery assembly 120. For example, the charger 140 converts a 220V commercial AC voltage to a DC voltage exceeding 42.4V, and supplies the DC voltage to the battery assembly 120.

상기 충전기(140)는, 입력된 교류 전압을 변압시키기 위한 변압기(141)와, 상기 변압기(141)에서 출력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AC-DC 컨버터(142)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압은 42.4V를 초과할 수 있다. The charger 140 may include a transformer 141 for transforming the input AC voltage and an AC-DC converter 142 for converting the AC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141 to a DC voltage. At this time,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AC-DC converter 142 may exceed 42.4V.

다른 예로서, 상기 A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직류 전압을 상기 변압기가 변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변압기(141)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압이 42.4V를 초과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transformer to transform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AC-DC converter. In this case,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141 may exceed 42.4V.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충전기(140)가 변압기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AC-DC 컨버터(142)가 직류 전압이 교류 전압으로 변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AC-DC 컨버터(142)가 절연형 컨버터인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서 AC-DC 컨버터는 공지의 구성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harger 140 does not have a transformer and that the AC-DC converter 142 has a circuit for preventing DC voltage from being converted into an AC voltage. That is, the AC-DC converter 142 may be an insulated conver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known configuration can be used for the AC-DC convert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흡입 모터(160)는 일 예로 BLDC 모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160)의 최대 출력은 일 예로 600W 이상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uction motor 160 may be, for example, a BLDC motor. The maximum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may be 600 W or more, for example.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에 충전된 전압이 42.4V 이하인 경우, 고출력의 흡입 모터(160)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전류가 최소 14.15A 이상이어야 하므로 상기 흡입 모터(160)를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회로 구성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When the voltage charged in the battery assembly 120 is 42.4 V or less, the current needs to be at least 14.15 A to operate the high-power suction motor 160, so that the circuit configuration required for driving the suction motor 160 is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그러나,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에 충전된 최대 전압이 84.8V 이상이므로, 상기 흡입 모터(16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전류가 대략 7.1A 보다 작을 수 있어, 상기 흡입 모터(160)를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회로 구성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aximum voltage charged in the battery assembly 120 is 84.8 V or more, the current required to operate the suction motor 160 may be less than approximately 7.1 A,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ircuit configur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switching elements 160 is simplified.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충전기(140)에서 42.4V를 초과하는 직류 전압이 출력되고,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의 최대 충전 전압이 84.8V 이상이므로 상기 흡입 모터(160)가 고출력을 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진공 청소기(1)의 흡입력이 증가되어 청소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rect current voltage exceeding 42.4 V is output from the charger 140, and the maximum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assembly 120 is 84.8 V or more, so that the suction motor 160 can generate a high output So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1 is increased to improve cleaning performance.

또한, 상기 전원 코드(30)는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의 충전 시에만 상기 진공 청소기(1)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진공 청소기(1)를 이용하여 청소 시에는 상기 전원 코드(30)를 상기 진공 청소기(1)에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이동 자유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The power cord 30 may be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1 only when the battery assembly 120 is charged. When the vacuum cleaner 1 is used to clean the power cord 30, The vacuum cleaner 1 can be used separately from the vacuum cleaner 1, so that the vacuum cleaner 1 can be easily moved.

즉, 상기 진공 청소기(1)가 코드릴(cord reel)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이동 거리에 제한이 없고, 상기 진공 청소기(1)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코드릴에 감긴 코드를 타고 넘거나 코드를 정리하면서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동이 원활한 장점이 있다. That is, since the vacuum cleaner 1 is not provided with a cord reel but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battery assembly 120, the moving distance of the vacuum cleaner 1 is not limited, There is no need to move over the cord while winding the cord around the cord drill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ord 1, or moving the cord while arranging the cord.

한편,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유저 인터페이스(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90)는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작동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Meanwhile, 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terface 190. The user interface 190 can receive an operation command of the vacuum cleaner 1.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90)는 추가적으로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작동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190 may further display operation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acuum cleaner 1.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90)는 상기 핸들(22) 및 본체(10)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90)는, 입력부와 표시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형태로 제공되거나, 별개의 입력부와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와 별개로 표시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본체 커넥터(102)의 일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user interface 190 may be provided in one or more of the handle 22 and the main body 10. The user interface 19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or may include a separate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When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input unit, the display unit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connector 102.

도 4에는 일 예로 유저 인터페이스(190) 중 적어도 입력부가 상기 핸들(22)에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In FIG. 4, at least an input part of the user interface 190 is shown in the handle 22 as an example.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90)를 이용하여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전원 온 선택, 청소 모드, 흡입력의 강약 정도 등을 선택할 수 있다. The power on selection, the cleaning mode, and the strength of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1 can be selected using the user interface 190.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90)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슬라이딩 부재(191)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191)의 위치에 따라 저항이 가변되는 가변 저항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91)는 상기 핸들(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190 may include a sliding member 191 for a user's operation and a variable resistance unit (not shown) having a variable resista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liding member 191. The sliding member 191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handle 22.

상기 슬라이딩 부재(191)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서,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전원을 온시킴과 동시에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작동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91)가 오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가변 저항부의 저항값은 0일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191)가 온 위치(오프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도 4에는 강, 중, 약 중 어느 하나의 위치임), 상기 가변 저항부의 저항값음 0보다 커질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1 can be adjusted b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vacuum cleaner 1 or turning on the power by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liding member 191. [ When the sliding member 191 is in the off positio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ance unit may be 0. When the sliding member 191 is located at the on position (the position other than the off position) , Middle, or middl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ance portion may be greater than zero.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191)의 구조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191)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가변 저항부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resistance unit for sensing the structure of the sliding member 191 and the position of the sliding member 191 can be realized by a known techniqu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슬라이딩 부재(191)를 이용하여 흡입 모터(160)의 흡입력의 세기를 다수의 단계로 조절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흡입 모터(160)의 흡입력의 세기를 일 예로 강, 중, 약 세 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The strength of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160 can be adjusted in a plurality of steps by using the sliding member 191. In this embodiment,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160 is, for exampl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191)를 이용하여 흡입력의 세기 및 진공 청소기의 온/오프를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다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흡입력의 세기를 선택하거나 진공 청소기의 온/오프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liding member 191 is used to select the intensity of the suction force and on / off of the vacuum cleaner. Alternatively, the suction force may be selected using a plurality of buttons,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off.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흡입력의 세기의 기준치를 가변시키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부(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er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mode selection unit 192 that can be selected to vary the reference value of the intensity of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160.

본 실시 예에서는 모드 선택부(192)를 이용하여 제1모드와 제2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can be selected by using the mode selection unit 192.

상기 모드 선택부(192)는 일 예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드 선택부(192)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에서 일측 바퀴(105)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mode selector 192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0, for example. That is, the mode selector 192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one wheel 105 of the cleaner main body 10.

다른 예로서, 상기 모드 선택부(192)가 상기 핸들(192)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As another example, the mode selection unit 192 may be disposed on the handle 192.

상기 모드 선택부(192)는 일 예로 기구적으로 동작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를 온시키면 상기 제1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키면 상기 제2모드가 선택될 수 있으므로, 이와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모드 선택을 위한 구조 및 방법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mode selection unit 192 may be a switch that operates mechanically.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the first mode is selected, and 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the second mode can be selected, and vice versa.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mode sel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상기 제1모드에서, 흡입력의 세기가 강, 중, 약일 때의 흡입력의 기준치(흡입 모터의 출력 기준임)는 상기 제2모드에서 흡입력의 세기가 강, 중, 약일 때의 흡입력의 기준치와 다르다. In the first mode, the reference value of the suction force when the intensity of the suction force is strong, medium or weak (the output reference of the suction motor)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value of the suction force when the suction force is strong, medium or weak in the second mode .

이하에서는 모드 별 흡입력의 기준치 차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difference in the reference value of the suction force for each mode will be described.

도 5는 제1모드에서의 흡입 모터의 출력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제2모드에서 흡입 모터의 출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showing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in the first mode, 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in the second mod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모드에서, 흡입력의 세기가 강, 중, 약일 때의 각 흡입력의 세기에 대응하는 흡입 모터의 기준 출력은 P1, P2, P3이다(P1 내지 P3의 단위는 와트(W)임). 5 and 6, in the first mode, the reference outputs of the suction motors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ies of the respective suction forces when the intensities of the intensities are strong, medium and weak are P1, P2, and P3 (P1 to P3 The unit is watts (W)).

반면, 상기 제2모드에서는 흡입력의 세기가 강, 중 약일 때의 각 흡입력의 세기에 대응하는 기준 출력은 P4, P5, P6일 수 있다(P1 내지 P3의 단위는 와트(W)임).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mode, the reference outputs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ies of the suction forces when the suction force is strong and medium are weak can be P4, P5, and P6 (P1 to P3 are in watts).

이때, P4는 P1보다 작고, P5는 P2보다 작으며, P6은 P3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P4는 P2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P5는 P3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At this time, P4 is smaller than P1, P5 is smaller than P2, and P6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P3. Although not limiting, P4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P2. P5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P3.

사용자가 상기 모드 선택부(192)를 이용하여 제1모드를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력의 세기로 강을 선택한 경우, 상기 흡입 모터(160)의 흡입력 "강"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 모터의 기준 출력은 P1이다. 이때, 상기 흡입 모터의 기준 출력은 상기 흡입 모터(160)의 해당 흡입력 세기에서의 최대 출력일 수 있다. The referenc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force "strong" of the suction motor 160, when the user selects the first mode using the mode selection unit 192 as the strength of the suction force, P1. At this time, the referenc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may be the maximum output at the suction power of the suction motor 160.

이하에서는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가 만충전인 상태에서 상기 진공 청소기가 온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vacuum cleaner is turned on when the battery assembly 120 is fully charged.

제1모드 하에서, 흡입력의 세기로 강이 선택되면,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1기준시간(T1) 동안 제1기준 출력(P1)을 유지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suction motor 160 such that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maintains the first reference output P1 during the first reference time T1, And the output of the controller 160 can be adjusted.

이때, 상기 컨트롤러(150)는 흡입력의 세기로 강이 선택된 경우,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에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기준시간 동안 제1기준 출력(P1)을 유지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assembly 120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the controller 150 outputs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to the first reference output P1 during the reference time,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can be adjusted.

일반적으로,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의 전압은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의 사용시간이 증가할 수록 줄어들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에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1기준시간(T1) 동안 제1기준 출력(P1)을 유지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160)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입력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Generally, the voltage of the battery assembly 120 decreases as the use time of the battery assembly 120 increases.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suction motor 160 such that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maintains the first reference output P1 during the first reference time T1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assembly 120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The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160 can be adjust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150 may increase the input current of the suction motor 160.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1기준 출력(P1)으로 제1기준시간(T1) 동안 유지된 후에는 상기 컨트롤러(150)는 입력 전류의 조절을 중단할 수 있다. After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is maintained for the first reference time T1 to the first reference output P1, the controller 150 may stop the adjustment of the input current.

그러면,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의 사용 시간이 증가할 수록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의 전압이 감소되고,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의 전압 감소에 의해서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감소하게 된다. As the use time of the battery assembly 120 increas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assembly 120 decreases and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decreases due to the decrease of the voltage of the battery assembly 120 .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1제한 출력(PC1)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1제한 출력(PC1)에 도달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상기 제1제한 출력(PC1)을 유지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reaches the first limiting output PC1 and when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reaches the first limiting output PC1 ,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so that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maintains the first limiting output PC1.

즉,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입력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150 can control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by adjusting the input current of the suction motor 160.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의 전압이 제한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흡입 모터(160)의 작동을 정지하고, 배터리 어셈블리(120)의 충전 필요 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90) 또는 도시되지 않은 알림부에서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assembly 120 reaches the limit voltage, the controller 150 stops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160, and th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battery assembly 120 is supplied to the user interface 190. [ Or may be generated in a notification unit not shown.

여기서, 상기 제1모드 하에서, 상기 흡입력의 세기로 강이 선택된 경우의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1제한 출력(PC1)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은 제2기준 시간(T2)일 수 있다. Here, under the first mode, the time required until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reaches the first limit output PC1 when the strength of the suction force is selected is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time T2 .

한편, 제1모드 하에서, 흡입력의 세기로 중 또는 약이 선택되면,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1기준시간(T1) 동안 제2기준 출력(P2) 또는 제3기준 출력(P3)을 유지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medium or the weak is selected as the intensity of the suction force in the first mode,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output P2 or the second reference output P2 during the first reference time T1.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may be adjusted so as to maintain the three reference output P3.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2기준 출력(P2) 또는 제3기준 출력(P3)으로 제1기준시간(T1) 동안 유지된 후에는 상기 컨트롤러(150)는 입력 전류의 조절을 중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의 전압 감소에 의해서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감소하게 된다. After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is maintained at the second reference output P2 or the third reference output P3 for the first reference time T1, the controller 150 stops controlling the input current . Then,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decreases due to the decrease in the voltage of the battery assembly 120.

흡입력의 세기로 중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2제한 출력(PC2)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2제한 출력(PC2)에 도달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상기 제2제한 출력(PC2)을 유지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has reached the second limit output PC2 and if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reaches the second limit When the output PC2 is reached, the controller 150 can control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so that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maintains the second limiting output PC2.

흡입력의 세기로 약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3제한 출력(PC3)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3제한 출력(PC3)에 도달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상기 제3제한 출력(PC3)을 유지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has reached the third limiting output PC3 and if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reaches the third limiting output PC3, When the limit output PC3 is reached, the controller 150 can control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so that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maintains the third limiting output PC3.

이때, 흡입력의 세기에 따른 제한 출력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제2제한 출력(PC2)은 제1제한 출력(PC1) 보다 작고, 제3제한 출력(PC3)은 제2제한 출력(PC2) 보다 작을 수 있다. The second limiting output PC2 is smaller than the first limiting output PC1 and the third limiting output PC3 is smaller than the second limiting output PC2. In this case, the limiting output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suction forc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컨트롤러(150)에 의해서 흡입 모터(160)가 정지될 때의 흡입 모터(160)의 작동 종료 시간은 상기 흡입력의 세기가 작을 수록 늦어질 수 있음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력의 세기가 작을 수록 상기 흡입 모터(160)의 작동 시간을 길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기준 출력(P1), 제2기준 출력(P2) 및 제3기준 출력(P3)은 제1모드 기준출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1제한 출력(PC1), 제2제한 출력(PC2) 및 제3제한 출력(PC3)은 제1모드 제한출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It can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operation termination time of the suction motor 160 when the suction motor 160 is stopped by the controller 150 may be delayed as the suction force is small . That is, the operating time of the suction motor 160 may be longer as the suction force is smaller.
The first reference output P1, the second reference output P2 and the third reference output P3 may be defined as a first mode reference output and the first limit output PC1, PC2 and the third limit output PC3 may be defined as a first mode limit output.

한편, 사용자는 상기 모드 선택부(192)를 이용하여 제2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select the second mode using the mode selection unit 192.

상기 제2모드 하에서, 흡입력의 세기로 강을 선택한 경우, 상기 흡입 모터(160)의 흡입력의 기준치는 제4기준 출력(P4)으로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4기준 출력(P4)은 제1기준 출력(P1) 보다 작다. In the second mode, when the strength is selected as the strength of the suction force, the reference value of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160 is set to the fourth reference output P4. As described above, the fourth reference output P4 is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output P1.

상기 제2모드 하에서, 흡입력의 세기로 강이 선택되면,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1기준시간(T1) 동안 제4기준 출력(P4)을 유지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In the second mode, when the strength is selected as the strength of the suction force,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suction motor 160 such that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maintains the fourth reference output P4 during the first reference time T1, The output of the motor 160 can be adjusted.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4기준 출력(P4)으로 제1기준시간(T1) 동안 유지된 후에는 상기 컨트롤러(150)는 입력 전류의 조절을 중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의 전압 감소에 의해서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감소하게 된다. After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is maintained at the fourth reference output P4 for the first reference time T1, the controller 150 may stop the adjustment of the input current. Then,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decreases due to the decrease in the voltage of the battery assembly 120.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4제한 출력(PC4)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4제한 출력(PC4)에 도달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상기 제4제한 출력(PC4)을 유지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입력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reaches the fourth limiting output PC4 and when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reaches the fourth limiting output PC4 ,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so that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maintains the fourth limiting output PC4. That is, the controller 150 can control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by adjusting the input current of the suction motor 160.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의 전압이 제한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흡입 모터(160)의 작동을 정지하고, 배터리 어셈블리(120)의 충전 필요 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90) 또는 도시되지 않은 알림부에서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assembly 120 reaches the limit voltage, the controller 150 stops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160, and th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battery assembly 120 is supplied to the user interface 190. [ Or may be generated in a notification unit not shown.

상기 제2모드 하에서, 흡입력의 세기로 중 또는 약이 선택되면,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1기준시간(T1) 동안 제5기준 출력(P5) 또는 제6기준 출력(P6)을 유지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fth reference output P5 or the sixth reference output P5 during the first reference time T1,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can be adjusted to maintain the reference output P6.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5기준 출력(P5) 또는 제6기준 출력(P6)으로 제1기준시간(T1) 동안 유지된 후에는 상기 컨트롤러(150)는 입력 전류의 조절을 중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120)의 전압 감소에 의해서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감소하게 된다. After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is maintained at the fifth reference output P5 or the sixth reference output P6 for the first reference time T1, the controller 150 stops controlling the input current . Then,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decreases due to the decrease in the voltage of the battery assembly 120.

흡입력의 세기로 중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5제한 출력(PC5)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5제한 출력(PC5)에 도달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상기 제5제한 출력(PC5)을 유지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has reached the fifth limiting output PC5 and if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is lower than the fifth limit When the output PC5 is reached,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so that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maintains the fifth limiting output PC5.

흡입력의 세기로 약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6제한 출력(PC6)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제6제한 출력(PC6에 도달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이 상기 제6제한 출력(PC6)을 유지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16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4기준 출력(P4), 제5기준 출력(P5) 및 제6기준 출력(P6)은 제2모드 기준출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4제한 출력(PC4), 제5제한 출력(PC5) 및 제6제한 출력(PC6)은 제2모드 제한출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has reached the sixth limiting output PC6 and if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reaches the sixth limiting output PC6,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so that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60 maintains the sixth limiting output PC6 when the limit output PC6 is reached.
The fourth reference output P4, the fifth reference output P5 and the sixth reference output P6 may be defined as a second mode reference output and the fourth limit output PC4, PC5 and the sixth limit output PC6 may be defined as a second mode limit output.

정리하면, 제2모드에서, 최대 흡입력 세기로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할 때의 상기 흡입 모터의 최대 출력은, 상기 제1모드에서, 최대 흡입력 세기로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할 때의 상기 흡입 모터의 최대 출력 보다 작을 수 있다. In summary, in the second mode, the maximum output of the suction motor when the suction motor is operated at the maximum suction force intensity is the maximum output power of the suction motor when the suction motor is operated at the maximum suction force intensity in the first mode. May be less than maximum output.

또한, 상기 제2모드에서, 선택된 최소 흡입력 세기로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할 때의 상기 흡입 모터의 최대 출력은, 상기 제1모드에서, 선택된 최소 흡입력 세기로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할 때의 상기 흡입 모터의 최대 출력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econd mode, the maximum output of the suction motor when the suction motor is operated at the selected minimum suction force intensity is determin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when the suction motor is operated at the selected minimum suction force intensity in the first mode It can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maximum output of the motor.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모드 하에서, 상기 흡입력의 세기가 강으로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의 출력이 제1제한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은 제2기준 시간(T2)이고, 상기 제2모드 하에서, 상기 흡입력의 세기가 강으로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의 출력이 제1제한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은 제3기준 시간(T3)이다. 이때, 제3기준 시간(T3)은 상기 제2기준 시간(T2) 보다 크다. 5 and 6, under the first mode, the time required until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reaches the first limit output while the suction force is selected to be strong is the second reference time T2 ), And the time required until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reaches the first limit output in a state where the strength of the suction force is selected as the strong under the second mode is the third reference time (T3). At this time, the third reference time T3 is larg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ime T2.

이때, 상기 제2기준 시간(T2)에서 작동 종료 시간까지의 기간은 상기 제3기준 시간(T3)에서 작동 종료 시간까지의 기간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eriod from the second reference time T2 to the operation end time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period from the third reference time T3 to the operation end time.

따라서, 제2모드 하에서 상기 흡입 모터(160)가 작동할 때의 작동 시간은 제1모드 하에서 상기 흡입 모터(160)가 작동할 때의 작동 시간 보다 길다. Therefore, the operation time when the suction motor 160 is operated under the second mode is longer than the operation time when the suction motor 160 is operated under the first mode.

물론, 상기 제2모드 하에서, 상기 흡입력의 세기가 중 또는 약으로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의 출력이 제한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은 상기 제1모드 하에서, 상기 흡입력의 세기가 중 또는 약으로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의 출력이 제한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 보다 길다. Of course, under the second mode, the time required until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reaches the limit output in a state in which the intensity of the suction force is selected to be medium or weak is determined by the intensity of the suction force Is longer than the time required for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to reach the limit output in the state of being selected.

상기 흡입 모터의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은 다소 크나 강한 흡입력으로 짧은 시간에 청소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1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The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is rather large, but the user can select the first mode when cleaning is performed in a short time with a strong suction force.

반면, 적절한 흡입력으로 소음이 적으면서 장시간 청소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2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select the second mode when it is desired to perform cleaning for a long time while the noise is small due to proper suction force.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제1모드나 제2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various preferences of the user can be satisfi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진공 청소기 10: 청소기 본체
120: 배터리 어셈블리 150: 컨트롤러
160: 흡입 모터 190: 유저 인터페이스
192: 모드 선택부
1: Vacuum cleaner 10: Cleaner body
120: battery assembly 150: controller
160: Suction motor 190: User interface
192:

Claims (13)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
상기 흡입 모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 어셈블리;
상기 흡입 모터의 흡입력 세기를 선택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흡입 모터의 흡입력 세기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 모터의 기준 출력 변경을 위한 모드 선택부; 및
상기 모드 선택부에서 선택된 모드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흡입력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선택부에 의해서 제1 모드와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특정 흡입력 세기에 대응하여 제1 기준시간동안 상기 흡입모터의 제1모드 기준출력이 유지되고, 제1 기준시간에서 제2 기준시간까지 제1모드 제한출력에 도달할 때 까지 상기 제1모드 기준출력이 감소한 뒤, 제2 기준시간이 지나면 제1모드 제한출력이 유지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특정 흡입력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준시간동안 상기 흡입모터의 제2모드 기준출력이 유지되고, 제1 기준시간에서 제3 기준시간까지 제2모드 제한출력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2모드 기준출력이 감소하며, 상기 제3 기준시간이 지나면 제2모드 제한출력이 유지되며,
상기 제1모드 기준출력은 상기 제2모드 기준출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suc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cleaner main body and sucking air and dust;
A battery assembly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suction motor;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suction strength of the suction motor;
A mode selector for changing the referenc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uction motor based on the mode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and the suction force intensity selected in the user interface,
The mode selection unit may select either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The first mode referenc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is maintained for a first reference tim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uction force intensity selected in the user interface in the first mode and the first mode referenc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is maintained for a first reference time The first mode reference output is decreased until the second reference time is reached, the first mode limit output is maintained after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second mode referenc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is maintained during the first reference tim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uction force intensity selected in the user interface in the second mode and the second mode reference output is maintained from the first reference time to the third reference time, The second mode reference output is decreased until the third reference time is reached, and the second mode limit output is maintained after the third reference time,
Wherein the first mode reference output is greater than the second mode reference outpu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준시간은 상기 제2 기준시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reference time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im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특정 흡입력 세기가 선택된 경우,
상기 흡입 모터가 선택된 특정 흡입력 세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모드 기준출력 또는 상기 제2모드 기준출력을 상기 제1 기준시간동안 유지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ler comprising:
When the specific suction strength is selected in the user interface,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such that the suction motor maintains the first mode reference output or the second mode reference outpu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pecific suction force intensity for the first reference tim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흡입 모터가 상기 제1 기준출력 또는 상기 제2 기준출력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의 입력 전류를 조절하는 진공 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ler regulates the input current of the suction motor such that the suction motor operates with the first reference output or the second reference outpu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의 전압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흡입 모터의 입력 전류를 증가시키는 진공 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input current of the suction motor in response to a decrease in voltage of the battery assembl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기준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흡입 모터의 입력 전류 조절을 중단하고,
상기 흡입 모터의 출력이 상기 제1모드 제한출력 또는 상기 제2모드 제한출력에 도달하면, 상기 흡입 모터의 출력이 상기 제1모드 제한출력 또는 상기 제2모드 제한출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흡입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진공 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ler stops the adjustment of the input current of the suction motor when the first reference time elapses,
When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reaches the first mode-limiting output or the second mode-limiting output,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maintains the first mode-limiting output or the second mode- A vacuum clean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흡입 모터의 출력이 상기 제1모드 제한출력 또는 상기 제2모드 제한출력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흡입 모터의 입력 전류를 조절하는 진공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ler adjusts an input current of the suction motor such that an output of the suction motor is maintained at the first mode limit output or the second mode limit outpu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와 상기 흡입부를 연결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는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핸들에 구비되고,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andle disposed on a path connecting the cleaner main body and the suction unit,
Wherein the user interface is provided in the handle,
Wherein the mode selection unit is provided in the cleaner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스위치인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de selector is a switch.
삭제delete
KR1020150118237A 2015-08-21 2015-08-21 Vacuum cleaner KR1017141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237A KR101714195B1 (en) 2015-08-21 2015-08-21 Vacuum cleaner
TW105125441A TWI594721B (en) 2015-08-21 2016-08-10 Vacuum cleaner
RU2016133751A RU2641493C1 (en) 2015-08-21 2016-08-18 Vacuum cleaner
CN201610694603.5A CN106466152B (en) 2015-08-21 2016-08-19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237A KR101714195B1 (en) 2015-08-21 2015-08-21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786A KR20170022786A (en) 2017-03-02
KR101714195B1 true KR101714195B1 (en) 2017-03-08

Family

ID=5822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237A KR101714195B1 (en) 2015-08-21 2015-08-21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714195B1 (en)
CN (1) CN106466152B (en)
RU (1) RU2641493C1 (en)
TW (1) TWI594721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2349B (en) * 2019-03-20 2021-09-15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JP2021003271A (en) * 2019-06-26 2021-01-14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Vacuum cleaner
CN112641376A (en) * 2020-12-11 2021-04-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Control method of dust collector and dust colle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552A (en) * 2003-11-06 2005-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hargeable vacuum cleaner
JP2007222261A (en) * 2006-02-22 2007-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cuum cleaner
JP2014236780A (en) * 2013-06-06 2014-12-18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2257B2 (en) * 2001-02-26 2006-10-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Synchronous motor start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JP2005013460A (en) * 2003-06-26 2005-0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hargeable vacuum cleaner
KR101284492B1 (en) * 2005-03-08 2013-07-16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Electric vacuum cleaner
US7900315B2 (en) * 2005-10-07 2011-03-08 Cube Investments Limited Integrated central vacuum cleaner suction device and control
JP2007143818A (en) * 2005-11-28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cuum cleaner
CN100425191C (en) * 2006-05-24 2008-10-15 宁波富达电器有限公司 Air pressure sensing vacuum cleaner
JP2014136013A (en) * 2013-01-16 2014-07-28 Sharp Corp Battery driven type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552A (en) * 2003-11-06 2005-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hargeable vacuum cleaner
JP2007222261A (en) * 2006-02-22 2007-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cuum cleaner
JP2014236780A (en) * 2013-06-06 2014-12-18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07631A (en) 2017-03-01
RU2641493C1 (en) 2018-01-17
KR20170022786A (en) 2017-03-02
CN106466152A (en) 2017-03-01
CN106466152B (en) 2019-04-23
TWI594721B (en)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12856B2 (en) Vacuum cleaner
KR101668520B1 (en) Vacuum cleaner
EP3313252B1 (en) Vacuum cleaner system
KR101615430B1 (en) Vacuum cleaner
KR101645808B1 (en) Vacuum cleaner
US10178933B2 (en) Vacuum cleaner
US10182694B2 (en) Vacuum cleaner
KR101562136B1 (en) Vacuum cleaner
KR101714195B1 (en) Vacuum cleaner
US10085607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electric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US10874273B2 (en) Vacuum cleaner
EP2941993B1 (en) Vacuum cleaner
US10791901B2 (en) Cleaner
KR20160075450A (en) Vacuum cleaner
KR101714181B1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