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153B1 -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단열구조 - Google Patents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단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153B1
KR101714153B1 KR1020150078145A KR20150078145A KR101714153B1 KR 101714153 B1 KR101714153 B1 KR 101714153B1 KR 1020150078145 A KR1020150078145 A KR 1020150078145A KR 20150078145 A KR20150078145 A KR 20150078145A KR 101714153 B1 KR101714153 B1 KR 101714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compression plate
plate
compression module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471A (ko
Inventor
조용기
이희영
김형준
김영호
신동현
박성순
Original Assignee
청원화학 주식회사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세계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원화학 주식회사,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세계건설(주) filed Critical 청원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15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04B1/0038Anch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eans for preventing cold brid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코니와 건축물 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열교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본체로부터 발코니 측으로 배근되는 슬래브 철근의 연속화가 가능하고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전단성능이 강화된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단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는 판상형의 압축판, 압축판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상향 돌출되는 압축돌기 및 압축판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하향 연장되는 전단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 압축모듈; 판상형의 압축판, 압축판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하향 돌출되는 압축돌기 및 압축판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상향 연장되는 전단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전단격판이 상부 압축모듈 전단격판에 결합되는 하부 압축모듈; 상부 압축모듈의 압축판, 상부 압축모듈의 전단격판, 하부 압축모듈의 전단격판 및 하부 압축모듈의 압축판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구성되는 단열블럭; 압축모듈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양단이 압축판의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압축판에 수평하게 매립되는 다웰바; X자로 교차되며 단열블럭에 폭방향으로 매립되는 경사부, 경사부의 양단부에서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어 단열블럭을 관통하여 연장단이 단열블럭으로부터 노출되는 수평부로 구성되는 전단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단열구조{Thermal break device and slab-wall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코니와 건축물 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열교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본체로부터 발코니 측으로 배근되는 슬래브 철근의 연속화가 가능하고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전단성능이 강화된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단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열교(Thermal bridge)란, 건축물 구조체 연결부위에 단열이 연속되지 않은 부분이 있을 때 이 부분이 열적 취약부가 되어 외부로 많은 열량 및 에너지가 손실되는 부위를 말한다. 열교의 발생에 따라 건축물에는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고, 열교현상이 발생하는 부위는 표면온도가 낮아지므로 결로가 발생되는 원인이 되며 이에 따라 건축물의 내장재를 훼손시켜 건축물의 가치를 저하시킨다.
열교차단(Thermal break)이란 열교(Thermal bridge) 현상을 차단하는 것으로, 열교현상이 발생하는 부위에 단열설계 및 단열재가 불연속됨이 없도록 단열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취약부위를 강화시키는 설계 및 시공을 하여 열교의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실내와 실외의 열교(Thermal bridge)를 차단하면 단열효과를 향상시켜 실내 난방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CO2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 현상에 따라 발생하는 결로현상과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내 공기의 질적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 물론 결로 발생으로 인한 내장재 훼손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가치를 유지할 수 있다.
열교는 건축물의 구조가 변하는 부분과 자재가 달라지는 부분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특히 발코니의 경우 구조성 열교, 자재성 열교가 모두 일어나는 곳으로 유명하다. 이는 건축물 전체 열교현상의 15~30%를 차지하므로 열교차단을 위해서는 발코니의 열교를 반드시 차단해야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10-0969244‘열교 차단용 구조 단열재'(특허문헌1)가 있다. 이 특허는 "상하 2열로 등간격의 블록 고정홀이 형성된 사각 패널 형상의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저면에 부착되는 내화판과; 상기 각각의 블록 고정홀을 관통하여 배근되는 상, 하부 철근과; 서로 대응되는 상기 상, 하부 철근에 결합되는 경사 철근; 및 상기 단열재의 블록 고정홀에 상기 상, 하부 철근 및 경사 철근을 고정시키는 콘크리트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 차단용 구조 단열재"를 제안한다.
그러나 이 특허가 제안하는 열교 차단용 구조 단열재는 건축물 본체로부터 발코니 방향으로 배근되는 발코니 슬래브 철근은 열교 차단용 구조 단열재가 구성된 부분에서 단절되어 다시 이음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현장 슬래브 배근 작업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안정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0-0969244호‘열교 차단용 구조 단열재'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코니와 건축물 본체 사이에 열교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건축물의 단열효과를 향상시키고 결로 발생으로 인한 내장재 훼손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가치를 유지할 수 있는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단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건축물 본체로부터 발코니 측으로 배근되는 철근을 절단하거나 별도의 추가이음 없이 그대로 사용하도록 하는 슬래브 철근의 연속화가 가능하고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전단성능이 강화된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단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는 판상형의 압축판, 압축판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상향 돌출되는 압축돌기 및 압축판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하향 연장되는 전단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 압축모듈; 판상형의 압축판, 압축판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하향 돌출되는 압축돌기 및 압축판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상향 연장되는 전단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전단격판이 상부 압축모듈 전단격판에 결합되는 하부 압축모듈; 상부 압축모듈의 압축판, 상부 압축모듈의 전단격판, 하부 압축모듈의 전단격판 및 하부 압축모듈의 압축판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구성되는 단열블럭; 압축모듈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양단이 압축판의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압축판에 수평하게 매립되는 다웰바; X자로 교차되며 단열블럭에 폭방향으로 매립되는 경사부, 경사부의 양단부에서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어 단열블럭을 관통하여 연장단이 단열블럭으로부터 노출되는 수평부로 구성되는 전단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웰바와 전단근은 스테인레스 강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하부 압축모듈은, ECC(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하부 전단격판은 단부가 폭방향으로 단차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하부 전단격판의 단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다웰바는 양단이 압축판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압축판에 수평하게 매립되는 매립철근, 매립철근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절곡 연장되는 수직철근, 및 수직철근의 연장단에서 매립철근과 같은 방향으로 매립철근과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는 수평철근으로 구성되어 상,하부 압축모듈에 각각 매립된 다웰바가 서로 폐합된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다웰바의 절곡부에는 다웰바가 형성된 방향과 직교하도록 길이근이 배근되어 다웰바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를 이용한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단열구조는,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의 연결부위에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가 설치되고, 압축돌기 사이에 건축물 본체로부터 발코니 측으로 슬래브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이 연속하게 배근되며,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 상하로 연접되도록 단열재가 건축물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는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위에 열교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므로 건축물의 단열효과를 향상시켜 실내 난방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CO2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 현상에 따라 발생하는 곰팡이, 결로 및 부식 등이 구조체 및 마감재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각적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여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건축물 본체로부터 발코니 측으로 배근되는 슬래브 철근을 절단하거나 별도의 추가이음 없이 그대로 사용하도록 슬래브 철근의 연속화가 가능하므로 발코니에 발생하는 휨모멘트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며 압축모듈에 의해 충분한 압축강도가 보장되어 발코니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어 단순하중 뿐만 아니라 지진과 같은 반복하중에 대하여서도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를 이용한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단열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단격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는 상,하부 압축모듈(10,10a)과 상,하부 압축모듈(10,10a)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블럭(20), 압축모듈(10,10a)에 매립되어 있는 다웰바(30) 및 단열블럭(20)에 삽입되는 전단근(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하부 압축모듈(10,10a)은 동일하게 제작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상하로 대칭되는 것으로 구성과 기능이 동일하므로 편의상 상부 압축모듈(1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압축모듈(10)은 판상형의 압축판(11), 압축판(11)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상향 돌출되는 압축돌기(12) 및 압축판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하향 연장되는 전단격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축모듈의 압축돌기(12)는 서로 인접하는 압축돌기(12,12) 사이에 배근홈(14)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근홈(14)에는 건축물 본체로부터 발코니 측으로 슬래브 철근이 연속하게 배근되도록 고안된 것으로 압축돌기(12)의 형성 간격은 슬래브 철근 배근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배근홈(14)에는 슬래브 철근이 절단이나 별도의 이음없이 건축물 본체로부터 발코니 측으로 배근된다. 이에 따라 철근의 배근 방식을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설치가 쉬워질 뿐만 아니라 발코니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대해서 슬래브 철근이 인장력으로 저항하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는 콘크리트 슬래브 내에 매립되는 것으로, 압축돌기(12)의 돌출길이는 슬래브 철근의 피복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압축모듈의 전단격판(13)은 상,하부 압축모듈의 전단격판(13,13)이 서로 결합되어 열교차단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격벽이 형성되게 하는 것으로 압축면을 증가시켜 전단력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는 수단이다. 전단격판(13)의 형성 간격은 단열블럭(20)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압축모듈(10)은 소정의 단열성능을 가지면서 동시에 충분한 압축력이 보장되는 재료로 구성한다. 예를 들면, 시멘트계 재료를 화학섬유나 유리 섬유 등의 다양한 섬유로 보강한 복합재료인 섬유 보강 콘크리트고 구성될 수 있다.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ECC, SIFCON, SIMCON, Ductal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압축모듈(10)은 이러한 종류의 섬유보강 콘크리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ECC(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로 구성되어 열저항도와 강도를 증진할 수 있다. 참고로 ECC의 압축강도는 고강도 콘크리트와 비슷한 70MPa에 이른다.
열교를 차단하기 위하여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구성되는 기존의 장치들은 대부분 충분한 압축강도를 발휘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위에 전단성능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차단장치는 압축모듈이 충분한 강도가 보장되도록 구성되며 특히 전단격판이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격벽으로 형성되어 발코니에 작용하는 연직하중에 대해서 전단력으로 저항하므로 단순하중 뿐만 아니라 지진과 같은 반복하중에 대하여서도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압축모듈의 전단격판(13)의 높이는 단열블럭(20)의 높이, 설치되는 슬래브의 두께 등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부 압축모듈의 전단격판(13,13)의 결합은 전단격판(13) 단부에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하부 압축모듈의 압축판(11)과 전단격판(13)으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단열블럭(20)이 구성된다. 단열블럭(20)은 암면, 발포폴리스틸렌 등 일반적인 단열기능을 갖는 섬유계, 기포계의 소재의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모양으로 구성되어 하부 압축모듈(10a), 단열블럭(20), 상부 압축모듈(10)의 순서로 적층, 결합될 수 있다.
압축모듈(10)의 압축판(11)에는 다웰바(30)가 매립된다.
다웰바(30)는 압축판(11)을 폭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일종의 인장 보강 철근이다. 다웰바(30)는 금속 중에서도 가장 낮은 열전도율을 갖고 있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는 단열블럭(20)에 의하여 열교가 차단되더라도, 다웰바(30)가 철근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철근의 높은 열전도율에 의하여 외기로 많은 열량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다웰바(30)를 금속 중에 열전도율이 가장 낮은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다웰바(30)는 양단이 압축판(1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압축모듈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압축판(11)에 수평하게 매립되는 매립철근(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철근(31), 매립철근(31)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절곡 연장되는 수직철근(32) 및 수직철근의 연장단에서 매립철근(31)과 같은 방향으로 매립철근(31)과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는 수평철근(33)으로 구성되어 상,하부 압축모듈(10,10a)에 각각 매립된 다웰바(30,30)가 서로 폐합된 단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는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폐합된 단면을 구성하는 다웰바(30)는 발코니측 콘크리트와 건축물 본체측 콘크리트와 일체적 결합을 하기 위한 수단임과 동시에 발코니측 콘크리트와 건축물 본체측 콘크리트를 구속하여 다웰작용을 구현하는 수단이다. 즉,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위에 본 발명에 따른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가 설치된 후 콘크리트가 타설됨에 있어 압축모듈(10)으로부터 각각 발코니측과 건축물 본체측으로 돌출된 다웰바(30)에 의해 열교차단장치는 발코니측 콘크리트 및 건축물 본체측 콘크리트와 일체화되며, 폐합된 단면을 구성하는 다웰바(30)에 의해 발코니측 콘크리트와 건축물 본체측 콘크리트가 효과적으로 폐쇄형으로 구속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길이방향으로 배근되는 길이근(50)이 다웰바(30)의 절곡부에 결합될 수 있다. 길이근(50)은 다웰바(30)가 형성된 방향과 직교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다웰바(30)와 길이근(50)이 입체적으로 결합하여 서로 구속되어 부재의 좌굴을 방지하도록 한다.
단열블럭(20)에 전단근(40)이 삽입된다. 전단근(40)은 다웰바(30)와 마찬가지로 스테일레스 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열블럭(20)을 폭방향으로 경사를 갖고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일종의 전단 보강 철근이다. 전단근(40)은 X자로 교차되며 단열블럭(20)에 매립되는 경사부(41), 경사부(41)의 양단부에서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어 연장단이 단열블럭(20)으로부터 노출되는 수평부(42)로 구성된다.
전단근(40)을 X자 형으로 구성하는 것은, 전단력에 대하여 트러스 폐쇄형 삼각구조를 구현하도록 스트럿(strut)-타이(tie) 형태로 형성되어, 발코니 등의 수직하중에 대해 전단 저항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전단근(40)은 다웰바(30)와 인접하도록 동일 축선상에 구성되어 띠철근 등을 이용하여 다웰바(30)에 결속되도록 하여 운반 및 시공시 재료의 변형의 위험성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열교차단장치를 이용한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단열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를 이용한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단열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를 이용한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단열구조는 건축물 본체(2)의 외부에 발코니(3)를 형성함에 있어서 건축물 본체(2)와 발코니(3) 연결부위에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1)가 설치된다.
또한 단열을 위하여 건축물 본체(2)의 내측 또는 외측에 단열재(4)가 부착되는데 이때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1) 상하로 단열재(4)가 연접되도록 부착된다.
즉, 건축물 본체(2)의 내측 또는 외측에 단열재(4)를 부착하여 단열시공을 할 때 건축물 본체(2)와 발코니(3)의 연결부위는 하중전달을 위하여 구조부재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단열재(4)의 시공이 끊어져 열교가 형성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재 및 구조부재로 동시에 역할하는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1)가 건축물 본체(2)와 발코니(3)의 연결부위에 설치되고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1) 상하로 단열재(4)가 연접되도록 부착되어 열교가 차단된다.
특히, 압축모듈(10)의 서로 인접하는 압축돌기(12,12) 사이에는 배근홈(14)을 형성되어 있어 배근홈(14)에 건축물 본체(2)로부터 발코니(3) 측으로 슬래브 상부철근(5)과 하부철근(6)이 연속하게 배근된다. 슬래브 상부철근(5)과 하부철근(6)이 절단이나 별도의 이음없이 배근되므로, 철근의 배근 방식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설치가 쉬워지는 등 시공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발코니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대해서 슬래브 철근이 인장력으로 저항하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이 보장된다.
다웰바(30)와 전단근(40)을 압축모듈(10)과 단열블럭(20)의 폭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구성하되므로 건축물 본체(2)와 발코니(3)의 연결부위에 열교차단장치(1)를 설치할 때 정착길이를 확보되어 일체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단격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지금까지 도시 및 설명한 상,하부 전단격판(13,13a)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서로 평행하게 구성되어 결합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부 전단격판의 단부가 폭방향으로 단차를 갖도록 구성되어 서로 맞물리거나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톱니형상으로 구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제작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위에 열교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므로 건축물의 단열효과를 향상시켜 실내 난방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CO2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 현상에 따라 발생하는 곰팡이, 결로 및 부식 등이 구조체 및 마감재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각적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여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건축물 본체로부터 발코니 측으로 배근되는 슬래브 철근을 절단하거나 별도의 추가이음 없이 그대로 사용하도록 슬래브 철근의 연속화가 가능하므로 발코니에 발생하는 휨모멘트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며 압축모듈에 의해 충분한 압축강도가 보장되어 발코니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어 단순하중 뿐만 아니라 지진과 같은 반복하중에 대하여서도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압축모듈 11: 압축판
12: 압축돌기 13: 전단격판
14: 배근홈 20: 단열블럭
30: 다웰바 31: 매립철근
32: 수직철근 33: 수평철근
40: 전단근 41: 경사부
42: 수평부 50: 길이근
1: 열교차단장치 2: 건축물 본체
3: 발코니 4: 단열재
5: 슬래브 상부철근 6: 하부철근

Claims (7)

  1. 판상형의 압축판(11), 압축판(11)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상향 돌출되는 압축돌기(12) 및 압축판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하향 연장되는 전단격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 압축모듈(10);
    판상형의 압축판(11a), 압축판(11a)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하향 돌출되는 압축돌기(12a) 및 압축판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상향 연장되는 전단격판(13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전단격판(13a)이 상부 압축모듈(10) 전단격판(13)에 결합되는 하부 압축모듈(10a);
    상부 압축모듈의 압축판(11), 상부 압축모듈의 전단격판(13), 하부 압축모듈의 전단격판(13a) 및 하부 압축모듈의 압축판(11a)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구성되는 단열블럭(20);
    압축모듈(10)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양단이 압축판(11)의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압축판(11)에 수평하게 매립되는 다웰바(30); 및
    X자로 교차되며 단열블럭(20)에 폭방향으로 매립되는 경사부(41), 경사부(41)의 양단부에서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어 단열블럭(20)을 관통하여 연장단이 단열블럭(20)으로부터 노출되는 수평부(42)로 구성되는 전단근(40);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압축모듈(10,10a)은 ECC(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로 구성되고,
    상기 다웰바(30)는 양단이 압축판(1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압축판(11)에 수평하게 매립되는 매립철근(31), 매립철근(31)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절곡 연장되는 수직철근(32), 및 수직철근의 연장단에서 매립철근(31)과 같은 방향으로 매립철근(31)과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는 수평철근(33)으로 구성되어 상,하부 압축모듈(10,10a)에 각각 매립된 다웰바(30,30)가 서로 폐합된 단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다웰바(30)와 전단근(40)은 스테인레스 강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하부 전단격판(13,13a)은,
    단부가 폭방향으로 단차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하부 전단격판(13,13a)의 단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다웰바(30)의 절곡부에는 다웰바(30)가 형성된 방향과 직교하도록 길이근(50)이 배근되어 다웰바(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
  7. 건축물 본체(2)와 발코니(3)의 연결부위에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1)가 설치되고,
    압축돌기(12) 사이에 건축물 본체(2)로부터 발코니(3) 측으로 슬래브 상부철근(5)과 하부철근(6)이 연속하게 배근되며,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1) 상하로 연접되도록 단열재(4)가 건축물 본체(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차단장치를 이용한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단열구조.
KR1020150078145A 2015-06-02 2015-06-02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단열구조 KR101714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145A KR101714153B1 (ko) 2015-06-02 2015-06-02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단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145A KR101714153B1 (ko) 2015-06-02 2015-06-02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단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471A KR20160142471A (ko) 2016-12-13
KR101714153B1 true KR101714153B1 (ko) 2017-03-31

Family

ID=5757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145A KR101714153B1 (ko) 2015-06-02 2015-06-02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단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1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7364A (ja) * 2004-12-27 2006-08-10 Nippon Kaiser Kk 外断熱形成具、外断熱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462802B1 (ko) * 2013-07-26 2014-11-21 청원화학 주식회사 상하부 덮개를 이용하여 슬래브 철근의 연속화가 가능한 열교차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244B1 (ko) 2008-06-12 2010-07-09 (주)대우건설 열교 차단용 구조 단열재
KR20150047702A (ko) * 2013-10-24 2015-05-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열교 차단용 구조단열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7364A (ja) * 2004-12-27 2006-08-10 Nippon Kaiser Kk 外断熱形成具、外断熱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462802B1 (ko) * 2013-07-26 2014-11-21 청원화학 주식회사 상하부 덮개를 이용하여 슬래브 철근의 연속화가 가능한 열교차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471A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800B1 (ko) 불연속 철근을 이용한 열교차단 장치
US8590241B2 (en) Compressive force transmitting connection element
KR101552057B1 (ko) 고하중용 열교차단 장치
EP3040497B1 (en) Antiseismic masonry infill
KR101462801B1 (ko) 불연속 철근 및 결합 부재를 이용한 열교차단 장치
KR102004419B1 (ko) V형 띠철근을 이용한 기둥 보강 구조
US20030101669A1 (en) Elementary module for producing a breaker strip for thermal bridge between a wall and a concrete slab and building structure comprising same
CN102808462B (zh) 一种现浇保温剪力墙、柱、梁
KR101948812B1 (ko)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KR101178168B1 (ko)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CA1216122A (en) Compression member in a heat-insulating construction element for projecting building structures
KR101676951B1 (ko)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 시공방법
KR101630045B1 (ko) 경사형 전단철근을 갖는 열교차단 장치
KR101706731B1 (ko) 덮개블럭을 갖는 조립형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단열구조
KR101714153B1 (ko) 전단격판을 갖는 매립형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연결부의 단열구조
KR101462802B1 (ko) 상하부 덮개를 이용하여 슬래브 철근의 연속화가 가능한 열교차단 장치
TR201808337T4 (tr) Duvar elemanı, bir duvar elemanının üretilmesine yönelik yöntem ve bir duvar elemanına yönelik bir ankraj elemanı.
KR101209367B1 (ko) 철골 모멘트 골조 내진보강용 가새의 좌굴방지 후보강구조
KR101482977B1 (ko)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1860849B1 (ko) 힌지접합 인방보형 슬릿강재댐퍼
KR101209363B1 (ko) 에이치형강 기둥의 내진보강용 콘크리트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방법
KR102035495B1 (ko) 수평전단보강수단을 이용한 이중합성 pc벽체 구조
KR100944000B1 (ko) 국부변형방지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KR101860851B1 (ko) 힌지접합 연결보형 슬릿강재댐퍼
CN204370646U (zh) 一种预制楼板及预制楼板结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