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894B1 - Retaing wall using pin - Google Patents
Retaing wall using p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3894B1 KR101713894B1 KR1020160120676A KR20160120676A KR101713894B1 KR 101713894 B1 KR101713894 B1 KR 101713894B1 KR 1020160120676 A KR1020160120676 A KR 1020160120676A KR 20160120676 A KR20160120676 A KR 20160120676A KR 101713894 B1 KR101713894 B1 KR 1017138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pin
- block
- rear wing
- narrow
- p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고정핀을 이용한 옹벽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fie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taining wall using a fixing pin.
고정핀을 이용하여 옹벽의 경사를 조절하는 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searches on the techniqu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retaining wall by using the fixing pin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도 1 내지 3은 한국등록실안공보 제20-0354134호(블록식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이다.1 to 3 relate to Korean Registered Practice Bulletin 20-0354134 (block 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몸체(110)와 배면벽체(120)가 일체로 옹벽블록(100)을 이루고, 블록몸체(110)는 전면(111), 상면(113), 하면(115), 및 측면(117)을 가진다.1, the
상기 전면(111)은 직선부의 양측으로 경사부가 연장된 형태를 이루나 미관을 고려하여 전체적인 원호 형상을 이룰 수도 있는 것으로, 다양한 무늬가 도안될 수도 있다.The
상기 측면(117)은 배면벽체(120)로 갈수록 축소되다가 배면벽체(120)에서 확장되는 형상을 갖는다.The
상기 블록몸체(110)에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수직관통된 충진부(112a,112b)가 격벽(119)을 기준으로 전후에 각각 형성된다.In the
이 충진부(112a,112b)의 옹벽블록(10)의 중량을 줄이는 역할을 하며, 적층된 상태에서 모르타르, 골재, 토사 등이 충진될 수 있다.And serves to reduce the weight of the
불록몸체(110)의 상면(113) 및 하면(115) 좌우에는, 아래로 수직되게 핀수용부(114a,114b)가 형성되고, 이 핀수용부에는 후술하는 결합클립(200)의 핀부(202a,202b)가 삽입되며, 핀수용부(114a,114b)는 핀부(202a,202b)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The
블록몸체(110)의 하면(115)에는 좌우의 핀수용부를 통하는 클립연결홈(118)이 가로로 형성되고 이 클립연결홈에는 결합클립(200)의 연결부(204)가 끼워진다.The
상기 클립연결홈(118)은 결합클립의 연결부(204)가 끼워지기 때문에 연결부의 길이 및 두께를 감안하여 형성된다.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된 옹벽블록(100)과 옹벽블록(100)을 연결하는 결합클립(200)은 인접한 옹벽블록의 상면(113)에 수직되게 형성된 핀수용부(114a,114b)에 삽입되어 연결한다.2, the
상기 결합클립(200)은 인접하는 두 옹벽블록(100)의 핀수용부(114a,114b)에 삽입되는 세로방향의 핀부(202a,202b)와, 핀부를 연결하는 가로방향의 연결부(204)로 이루어져 결합클립(200)은 H 형상을 이룬다.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블록(100)과 결합클립(200)을 이용한 옹벽 축조의 예로서, 먼저 하부의 옹벽블록(DB)을 옹벽의 형태에 따라 좌우로 배열한다.As shown in FIG. 3, as an example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using the
하부의 옹벽블록(DB)이 배열되면 인접하는 옹벽블록의 좌우측 핀수용부(114a,114b) 각각에, 결합클립(200)의 핀부(202a,202b)를 삽입하여 인접하는 옹벽블록과 옹벽블록을 연결한다.When the lower retaining wall blocks DB are arranged, the
하부의 옹벽블록(DB)이 결합클립(200)을 통해 연결한 후에는, 그 상부로 상부의 옹벽블록(UB)을 하부의 옹벽블록(DB)과 엇갈리게 적층한다.After the lower retaining wall block DB is connected through the
이때 하부의 옹벽블록(DB)을 연결하는 결합클립의 클립연결부(204)는 상부 옹벽블록(UB)의 하면(115)에 형성된 클립연결홈(118)에 끼워지고, 핀부(202a,202b)의 일부는 상부 옹벽블록(UB)의 핀수용부(114a,114b)에 나머지 일부는 이웃된 하부 옹벽블록(DB)의 핀수용부에 삽입된다.The
상기 적층된 옹벽블록의 충진부(112a,112b)에 모르타르, 골재, 토사등을 충진함으로써 옹벽이 견고하게 축조된다.The retaining walls are solidly formed by filling mortar, aggregate, gravel and the like into the
이는 결합클립(200)으로 인접된 옹벽블록(100)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부의 옹벽블록(UB)을 결합함으로써 결합클립의 유동과 웅벽블록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옹벽을 축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adjacent
도 4 내지 7은 한국등록특허 제10-0460284호(생태 블록들의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4 to 7 relate to Korean Patent No. 10-0460284 (a combination of ecological blocks).
이 옹벽블록(30)은, 몸통부(31)의 내측에 요홈 형상의 토사채움부(32)가 형성되며, 상기 토사 체움부의 저면은 특히 다공성 콘크리트로 형성되어, 식물의 뿌리가 상기 토사채움부의 저면을 통과하여 토양에 안착되도록 한다.The
상기 몸통부의 측면 상부에는 좌우측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고정핀 삽입홀(34)이 수직방향으로 몸통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각 좌우쌍을 이루는 고정 핀 삽입홀의 연장선상에는 고정핀 안착홈(33)이 형성된다. 고정핀 삽입홀의 상단(34a)은 깔대기 모양으로 형성된다.A fixing pin insertion hole (34) is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fixing pin insertion groove (33) is formed on an extension of the fixing pin insertion hole . The upper end (34a) of the fixing pin insertion hole is formed into a funnel shape.
따라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H" 자 형상의 고정핀(35)의 수직방향 가지부(35a)가 상기 고정핀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며, 가로방향 가지부(35b)는 상기 고정핀 안착홈(33)에 안착된다. 따라서, 최소 2개 내지 최대 4개의 옹벽블록이 하나의 고정핀으로 견고하게 결합가능하며, 깔대기 형상의 상단부로 인하여 고정핀의 삽입도 용이하다. 상기 고정핀의 수직방향 가지부(35a)의 길이는 상기 옹벽블록의 높이의 절반에 약간 미치지 못하는 정도가 좋다.4, the
아울러, 상기 몸통부의 후면은 각각 굴곡지게 형성되어 인접 블록들이 상호 나란히 정렬하여 만곡부(36)를 형성함으로써, 토사의 적토시 최대한 많은 토사가 쌓이게 되며, 일단 쌓인 토사가 쉽게 유출되지 않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ar surface of the trunk portion is formed to be bent, adjacent blocks are arranged side by side to form a
상기 고정핀 삽입홀(34)의 수평방향 가지부(35b)는 상기 고정핀 안착홈(33)에 완전히 묻힐 정도의 깊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왜냐하면, 상기 옹벽블록(30)의 저면에 홈을 형성하기는 기술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t is technically difficult to form a groov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도 8 내지 22는 한국등록특허 제10-0400169호(벽면 구축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8-22 relate to Korean Patent No. 10-0400169 (wall building block).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적층되어 옹벽 구조물을 형성하는 블록(10)은 대체로 사다리꼴의 평면형상을 가지는 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블록(10)은 전방을 향하는 전면(11), 전면에 대향하는 후면(13), 상부면(15), 하부면(17) 및 양측부의 측면(19)을 가진다. 후면(13)의 좌우방향 폭이 전면(11)의 것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만곡된 다양한 형태의 곡면벽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10)의 평면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각 블록(10)에는 적층방향을 따라 상부면(15)으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된 복수의 핀수용부(2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핀수용부(21)에는 후술할 결합핀(30)의 핀부(31, 도 10 참조)가 삽입된다. 각 핀수용부(21)는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다. 그리고, 핀수용부(21)는 결합핀(30)의 핀부(31)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 단면형상을 가진다.Each of the
여기서, 핀수용부(21)는 결합핀(30)의 핀부(31)의 단면형상에 따라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혹은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블록(10)의 하부면(17)에는 인접한 다른 블록의 적층면의 핀수용부(21)에 대응하여 하부면(17)으로부터 함몰된 복수의 핀헤드수용부(23)가 마련되어 있다. 핀헤드수용부(23)는 후술할 결합핀(30)의 핀헤드부(33, 도 3 참조)를 수용한다. 그 리고, 핀헤드수용부(23)는 핀수용부(21)의 축선에 대해 전방으로 편위되어 있다. 또한, 핀헤드수용부(23)는, 상호 적층되는 블록(10)의 설치 기준면으로서, 결합핀(30)의 핀헤드부(33)의 접촉부가 접촉하는 핀헤드수용부(23) 내의 후벽면(23a)이 핀수용부(21) 내의 후벽면과 일치하도록 핀수용부(21)와 연통되어 있다. 핀헤드수용부(23)는 사각형 단면형상을 가진다.The
그리고, 핀수용부(21) 및 핀헤드수용부(23)와 후면(13) 사이에는 상부면(15)으로부터 하부면(17)으로 수직으로 관통된 개방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개방부(25)는 블록(10)의 중량을 줄이는 역할을 하며, 적층된 상태에서 모르타르 또는 골재 및/또는 토사가 충진될 수 있다.Between the
블록 옹벽 구조물용 결합핀(30)은, 블록(10)의 핀수용부(21)에 삽입되는 막대상의 핀부(31)와, 핀부(3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블록(10)의 핀헤드수용부(23)의 적어도 일 내벽면과 접촉하도록 핀헤드수용부(23)에 수용되며 핀부(31)의 축선으로부터 핀헤드수용부(23)의 내벽면까지의 반경방향 접촉거리, 즉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거리가 상이한 복수의 접촉부를 구비한 핀헤드부(33)를 포함한다. 결합핀(30)은 성형이 용이하고 충분한 전단강도를 갖는 금속, 플라스틱, 콘크리트 성형물 등으로 제작된다.The
핀부(31)는 블록(10)의 핀수용부(21)에 대응하는 사각형 단면형상을 가진다.The
여기서, 핀부(31)는 블록(10)의 핀수용부(21)의 단면형상에 따라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혹은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한편, 핀헤드부(33)는 핀부(31)의 단면적 보다 크게 연장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헤드부(33)는 사각형 단면형상을 가지며 핀부(31)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4패턴의 상이한 돌출거리를 가진다. 핀부(31)의 일측면으로부터 수직 연장선 상측으로 핀헤드부(33)의 일측면이 일치하는 핀헤드부(33)의 D면은 돌출거리가 영 또는 영에 가까운 거리(d 0 )를 형성하고, 기타 측면인 A,B,C면은 d 1 <d 2 <d 3 로서 순차적으로 거리가 증가하는 값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2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의 핀수용부(21)에 결합핀(30)을 결합할 때, 블록(10)의 핀헤드수용부(23) 내의 설치 기준면(23a)에 접촉되는 접촉부로서, 핀부(31)의 일측면의 수직 연장선 상측으로 핀헤드부(33)의 일측면과 일치하는 면(도 11의 D), 즉 핀부(31)의 일측면의 수직 연장선 상측과 이격거리가 거의 영(도 11의 d 0 )인 핀헤드부(33)의 일측면이 블록(10)의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결합핀(30)이 결합된 블록(10)상의 핀헤드부(33)의 접촉부가 인접한 다른 블록의 핀헤드수용부(23) 내의 설치 기준면(23a)과 접촉하도록 블록을 적층한다. 또한, 각 블록(10)의 핀수용부(21)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적층되는 각 블록(10)들이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엇갈리게 적층한다. 상기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상방으로 블록을 적층하면,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이 하부의 블록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거리가 거의 영이므로 항상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적층된 각 블록(10)들은 거의 수직상태인 수직벽의 옹벽 구조물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적층된 각 블록(10)의 개방부(25)에 모르타르 또는 골재 및/또는 토사를 충진함으로써, 옹벽 구조물 자체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수직벽의 옹벽 구조물은 높이가 낮으며 토압의 저항이 없는 곳에 사용된다.12 to 15, when the
도 16 내지 20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의 핀수용부(21)에 결합핀(30)을 결합할 때, 블록(10)의 핀헤드수용부(23) 내의 설치 기준면(23a)에 접촉되는 접촉부로서, 핀부(31)의 일측면의 수직 연장선 상측과 d 3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핀헤드부(33)의 일측면(도 11의 C)이 블록(10)의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결합핀(30)이 결합된 블록(10)상의 핀헤드부(33)의 접촉부가 인접한 다른 블록의 핀헤드수용부(23) 내의 설치 기준면(23a)과 접촉하도록 블록을 적층한다. 또한, 각 블록(10)의 핀수용부(21)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적층되는 각 블록(10)들이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엇갈리게 적층한다. 상기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상방으로 다른 블록을 적층하면,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이 하부의 블록에 대해 d 3 거리만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면서 계단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적층된 각 블록(10)들은 수직선상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경사지게 축조되는 옹벽 구조물을 이루게 된다. 이로써,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을 지면으로부터 매립하고, 계단형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적층된 각 블록(10)의 개방부(25)에 모르타르 또는 골재 및/또는 토사를 충진함으로써, 옹벽 구조물 자체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경사벽의 옹벽 구조물은 수직벽의 옹벽 구조물 보다 높이가 높으면서, 토압의 저항이 큰 곳에 사용된다.When the engaging
블록(10)의 핀수용부(33)에 결합핀(30)을 결합할 때, 블록(10)의 핀헤드수용부(23) 내의 설치 기준면(23a)에 접촉되는 접촉부로서, 핀부(31)의 일측면의 수직 연장선 상측과 d 1 또는 d 2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핀헤드부(33)의 일측면(도 4의 A 또는 B)이 블록(10)의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상방으로 다른 블록을 적층하면,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이 하부의 블록에 대해 d 1 또는 d 2 거리만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면서 계단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 적층된 각 블록들은 수직선상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형성 하며 경사지게 축조되는 옹벽 구조물을 이룰 수 있다.When the engaging
도 21,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헤드수용부(123)가 블록(110)의 좌우방향으로 그루브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1 and 22, the pin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좌우방향에서 상하 블록(110)을 엇갈림 적층할 때 상하 블록(110)간의 엇갈림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pper and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한 종류의 핀을 사용하되, 그 결합방식의 변화에 의해 블록 축조에 의한 옹벽의 경사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를 위하여 블록의 심부에 상당히 큰 관통공을 형성해야 하므로, 블록의 강도에 불리하다.First, it is advantageous to use a single pin, bu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inclination of the retaining wall by block building due to the change of the coupling method. However, since a considerably larg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deep portion of the block, It is disadvantageous to strength.
둘째, 핀이 블록의 중앙부에 삽입되는 방식이므로, 하부블록의 상부삽입공에 핀을 삽입하고 상부블록을 전체적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부블록의 하부삽입공에 핀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해야 하는바, 시공성이 좋지 못하다.Secondly, since the pin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lock, it is required that the pin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hole of the lower block and the upper end of the pin is inserted into the lower insertion hole of the upper block with the upper block being entirely lifted. This is not good.
셋째, 결합핀이 블록의 내측영역에 위치하므로, 그리드와 같은 보강재를 결합할 수 없어, 블록에 대하여 별도의 보강재 걸림구조를 형성하여야 한다.Third, since the coupling pin is locat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block, it is not possible to join the stiffener such as the grid, and a separate stiffener engagement structure should be formed for the block.
위 종래기술의 도면부호는 당해 종래기술의 설명에 대하여만 한정되는 것으로 한다.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prior art are intended to be limited only by the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블록의 강도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시공성이 우수하며, 보강재와의 결합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핀을 이용한 옹벽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taining wall using a retaining pin which is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can be combined with a reinforcing member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strength of the block. .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날개부(110), 연결부(120), 후방날개부(130)를 구비한 블록(100) 다수가 고정핀(200)에 의해 상하로 축조되어 형성되는 옹벽으로서, 상기 후방날개부(130)의 상하 중 일방에는 협폭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날개부(130)의 상하 중 타방에는 위 협폭부(131)에 비해 폭이 넓은 광폭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200)의 상하 중 일방에는 상기 후방날개부(130)의 광폭부(132)가 삽입되도록 광폭삽입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200)의 상하 중 타방에는 상기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가 삽입되도록 협폭삽입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을 제시한다.A plurality of
상기 블록(100)의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가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핀(200)의 광폭삽입부(220)가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블록(100) 중 하부블록(100b)의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가 상기 고정핀(200)의 협폭삽입부(230)에 삽입되고, 다수의 블록(100) 중 상부블록(100a)의 후방날개부(130)의 광폭부(132)가 상기 고정핀(200)의 광폭삽입부(2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옹벽은 상측을 향하여 급경사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상기 블록(100)의 후방날개부(130)의 광폭부(132)가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핀(200)의 협폭삽입부(230)가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블록(100) 중 상부블록(100a)의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가 상기 고정핀(200)의 협폭삽입부(230)에 삽입되고, 상기 다수의 블록(100) 중 하부블록(100b)의 후방날개부(130)의 광폭부(132)가 상기 고정핀(200)의 광폭삽입부(2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옹벽은 수직구조 또는 완경사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상기 협폭부(131)의 전단은 상기 광폭부(132)의 전단에 비해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협폭부(131) 및 광폭부(132)의 후단은 상하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에 형성된 단차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ront end of the
상기 고정핀(200)은, 중앙연결부(210); 상기 중앙연결부(210)의 일단에서 일측 및 타측에 연장형성된 일단일측돌출부(221) 및 일단타측돌출부(231); 상기 중앙연결부(210)의 타단에서 연장형성된 타단일측돌출부(222) 및 타단타측돌출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일단일측돌출부(221)와 상기 타단일측돌출부(222) 사이에 상기 후방날개부(130)의 광폭부(132)가 삽입되도록 상기 광폭삽입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타측돌출부(231)와 상기 타단타측돌출부(232) 사이에 상기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가 삽입되도록 상기 협폭삽입부(23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상기 일단일측돌출부(221), 일단타측돌출부(231), 타단일측돌출부(222) 및 타단타측돌출부(232)의 단부에는 외측을 향하여 절곡된 고리부(a)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portion of the one
상기 중앙연결부(210), 일단일측돌출부(221), 일단타측돌출부(231), 타단일측돌출부(222) 및 타단타측돌출부(2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마찰증대용 돌부(24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friction increasing protrusion 240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central connecting
상기 마찰증대용 돌부(240)는,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링부(24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iction increasing protrusion 240 preferably includes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241 formed at mutually spaced intervals.
상기 후방날개부(130)는 전방이 함몰되고, 후방이 돌출된 만곡진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 양측에는, 상기 고정핀(200)의 삽입홈(133)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후방날개부(130)의 삽입홈(133)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핀(200)의 설치위치를 제한하도록 턱부(134)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본 발명은 블록의 강도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시공성이 우수하며, 보강재와의 결합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핀을 이용한 옹벽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retaining wall that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strength of a block, has a good workability, and can be combined with a reinforcing member.
도 1 내지 3은 한국등록실안공보 제20-0354134호(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도면.
도 4 내지 7은 한국등록특허 제10-0460284호(생태 블록들의 결합체)의 도면.
도 8 내지 22는 한국등록특허 제10-0400169호(벽면 구축용 블록)의 도면.
도 23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3은 블록의 평면도.
도 24는 블록의 측단면도.
도 25는 고정핀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
도 26은 고정핀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7은 옹벽의 제1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28은 옹벽의 제1 실시예의 결합상태도.
도 29는 옹벽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30은 옹벽의 제2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31은 옹벽의 제2 실시예의 결합상태도.
도 32는 옹벽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33은 고정핀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
도 34는 옹벽의 결합구조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35는 옹벽의 결합구조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36은 옹벽의 결합구조의 제3 실시예의 평면도.1 to 3 are views of Korean Registered Practice Bulletin No. 20-0354134 (Block 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igs. 4 to 7 are views of Korean Patent No. 10-0460284 (a combination of ecological blocks). Fig.
8 to 22 are views of Korean Patent No. 10-0400169 (block for building a wall).
23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plan view of the block.
2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ock.
25 is a sid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xing pin;
2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fixing pin;
27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taining wall.
28 is a coupled stat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taining wall.
2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retaining wall.
3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retaining wall.
31 is an assembled stat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retaining wall.
3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retaining wall;
33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xing pin;
34 is a plan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engaging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35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engaging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36 is a plan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engagement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방날개부(110), 연결부(120), 후방날개부(130)를 구비한 블록(100) 다수가 고정핀(200)에 의해 상하로 축조되어 형성되는 옹벽에 관한 것이다.23,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plurality of
후방날개부(130)의 상하 중 일방에는 협폭부(131)가 형성되고, 후방날개부(130)의 상하 중 타방에는 위 협폭부(131)에 비해 폭이 넓은 광폭부(132)가 형성된다(도 23,24).A
고정핀(200)의 상하 중 일방에는 후방날개부(130)의 광폭부(132)가 삽입되도록 광폭삽입부(220)가 형성되고, 고정핀(200)의 상하 중 타방에는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가 삽입되도록 협폭삽입부(230)가 형성된다(도 25,26).The
이는 다음과 같은 2가지 종류의 경사를 갖는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This can form a retaining wall having the following two kinds of inclination.
첫째, 급경사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다(도 27 내지 29).First, it is a case of forming a steep slant structure (Figs. 27 to 29).
블록(100)의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가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고정핀(200)의 광폭삽입부(220)가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다수의 블록(100) 중 하부블록(100b)의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가 고정핀(200)의 협폭삽입부(230)에 삽입되고, 다수의 블록(100) 중 상부블록(100a)의 후방날개부(130)의 광폭부(132)가 고정핀(200)의 광폭삽입부(220)에 삽입됨으로써, 옹벽은 상측을 향하여 급경사 구조를 이루게 된다.When the
둘째, 수직구조 또는 완경사 구조(위 급경사에 대하여 상대적인 완경사)를 이루는 경우이다(도 30 내지 32).Second, it is a vertical structure or a mild slope structure (mild slope relative to the above steep slope) (Figs. 30 to 32).
블록(100)의 후방날개부(130)의 광폭부(132)가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고정핀(200)의 협폭삽입부(230)가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다수의 블록(100) 중 상부블록(100a)의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가 고정핀(200)의 협폭삽입부(230)에 삽입되고, 다수의 블록(100) 중 하부블록(100b)의 후방날개부(130)의 광폭부(132)가 상기 고정핀(200)의 광폭삽입부(2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옹벽은 수직구조 또는 완경사 구조를 이루게 된다.When the
즉, 한 종류(동일한 구조)의 블록(100), 고정핀(200)을 사용하되, 고정핀(200)을 블록(200)의 관통공이 아닌 후방날개부 표면에 끼우는 방식으로 고정하고, 블록(100)과 고정핀(200)을 바로 설치하는가(도 27), 뒤집어서 설치하는가(도 30)에 따라 옹벽의 경사가 달라지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종래와 같이 블록의 심부에 별도의 관통공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블록의 강도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First, since no separat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deep portion of the block as in the prior art, the strength of the block is not adversely affected.
둘째, 고정핀이 블록의 후방날개부에 끼워지는 방식이므로, 하부블록의 후방날개부에 고정핀을 결합하고 상부블록의 전방을 하부블록의 상면에 걸쳐놓은 상태에서, 상부블록의 후방날개부만을 들어올려 고정핀에 결합하면 되는바, 시공성이 우수하다.Secondly, since the fixing pin is fitted to the rear wing portion of the block, the fixing pin is engaged with the rear wing portion of the lower block, and only the rear wing portion of the upper block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lock. It can be lifted up and coupled to the fixing pin, so that the workability is excellent.
셋째, 고정핀의 블록의 후방영역에 위치하므로, 그리드와 같은 보강재를 결합할 수 있어, 블록에 대하여 별도의 보강재 걸림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Thirdly, since it is located in the rear region of the block of the fixing pin,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stiffener such as the grid, and there is no need to form a separate stiffener holding structure for the block.
협폭부(131)의 전단은 광폭부(132)의 전단에 비해 후방에 형성되고, 협폭부(131) 및 광폭부(132)의 후단은 상하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에 형성된 단차구조를 취하는 경우, 상술한 효과를 더욱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도 24).The front end of the
블록(100)의 전방날개부(110)의 상하 중 일방에는 돌부(111)가 형성되고, 타방에는 타 블록의 돌부(111)가 삽입되도록 홈부(112)가 형성되는데, 옹벽의 경사가 달라지는 경우를 위하여, 홈부(112)의 크기가 돌부(111)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된다.A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의 2가지 축조방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급경사 구조(도 27)의 경우에는, 블록(100)의 돌부(111)가 상방, 홈부(112)가 하방에 배치되고, 수직구조 또는 완경사 구조(도 30)의 경우에는, 블록(100)이 뒤집어서 설치되므로 블록(100)의 홈부(112)가 상방, 돌부(111)가 하방에 배치된다.27), the
이러한 돌부(111)와 홈부(112)의 결합구조는, 고정핀(200)의 손상 등에 의해 상하부 블록 상호의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위 결합구조에 의해 임시로 상부블록이 하부블록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 옹벽의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다.Wh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due to the damage of the fixing
고정핀(200)은 구체적으로, 중앙연결부(210); 중앙연결부(210)의 일단에서 일측 및 타측에 연장형성된 일단일측돌출부(221) 및 일단타측돌출부(231); 중앙연결부(210)의 타단에서 연장형성된 타단일측돌출부(222) 및 타단타측돌출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5,26).The fixing
일단일측돌출부(221)와 타단일측돌출부(222) 사이에 후방날개부(130)의 광폭부(132)가 삽입되도록 광폭삽입부(220)가 형성되고, 일단타측돌출부(231)와 타단타측돌출부(232) 사이에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가 삽입되도록 협폭삽입부(230)가 형성된다.The
일단일측돌출부(221), 일단타측돌출부(231), 타단일측돌출부(222) 및 타단타측돌출부(232)의 단부에 외측을 향하여 절곡된 고리부(a)가 형성되는 경우, 그리드, 띠 등의 보강재를 위 돌출부 및 고리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추가된다.When the annular portion a bent outward is formed at the ends of the one
즉, 위 돌출부들(221,231,222,232)이 단지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여 돌출된 구조만을 취하는 경우, 이에 결합한 보강재가 슬라이딩 등에 의해 고정핀(200)으로부터 이탈할 우려가 있는데, 위 돌출부들(221,231,222,232)의 단부에 고리부(a)가 형성되는 경우, 이와 같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only the
고정핀(200)은 합성수지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제조의 용이성, 시공성,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The fixing
고정핀(200)의 중앙연결부(210), 일단일측돌출부(221), 일단타측돌출부(231), 타단일측돌출부(222) 및 타단타측돌출부(2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마찰증대용 돌부(240)가 형성되는 경우, 블록(100)과의 결합력이 증대됨에 따라, 옹벽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central connecting
이 마찰증대용 돌부(240)는,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링부(241) 등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The friction increasing protrusion 240 can be realized by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241 formed at mutually spaced intervals.
도 25,26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핀(200)은 일단일측돌출부(221)와 일단타측돌출부(231)가 일직선 구조를 이루므로, 도 30의 결합구조를 취하는 경우, 수직구조의 옹벽을 이루게 된다.25 and 26, since the one-
도 33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핀(200)과 같이 일단일측돌출부(221)와 일단타측돌출부(231)가 단차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타단일측돌출부(222)와 타단타측돌출부(232)의 단차 구조보다는 작은 간격을 가짐), 도 30의 결합구조를 취하는 경우, 완경사 구조의 옹벽을 이루게 된다.When the one
위 고정핀(200)의 사용에 더하여, 후방날개부(130)가 전방이 함몰되고, 후방이 돌출된 만곡진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옹벽 표면의 선형을 쉽게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In addition to the use of the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상부블록(100a)과 하부블록(100b)의 엇갈림 축조 시, 상부블록의 만곡진 후방날개부(130a)의 좌측하면과 하부블록의 만곡진 후방날개부(130b)의 후측상면의 사이에 고정핀(200)이 설치되는데, 고정핀(200)은 그 상하에 각각 삽입부(220,230)가 형성되어 끼워 결합하는 구조이므로, 상부블록의 후방날개부(130a)과 하부블록의 후방날개부(130b)의 교차지점에 고정핀(200)이 위치하게 된다.When the
그런데 상부블록의 후방날개부(130a)과 하부블록의 후방날개부(130b)가 모두 만곡진 구조를 취하므로, 그 교차지점(고정핀을 끼울 수 있는 지점)은 양 블록의 결합각도에 따라 특정한 한 지점으로 정해진다.However, since both the
일반 직선구간의 축조 시에는, 상부블록의 후방날개부(130a)와 하부블록의 후방날개부(130b)의 중앙부 교차지점에 고정핀(200)이 위치하게 된다(도 34).The fixing
코너부(옹벽의 전면이 돌출되는 경우) 구간의 축조 시에는, 위 중앙부 교차지점보다 내측의 교차지점에 고정핀(200)이 위치하게 된다(도 35).When the corner portion (in the case where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protrudes) is constructed, the fixing
코너부(옹벽의 전면이 함몰되는 경우) 구간의 축조 시에는, 위 중앙부 교차지점보다 외측의 교차지점에 고정핀(200)이 위치하게 된다(도 36).When the corner portion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is recessed) is constructed, the fixing
이를 반대로 말하면, 고정핀(200)의 설치위치에 따라 블록의 결합각도가 결정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oupling angle of the block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xing
따라서 별도의 선형확인을 위한 작업의 필요없이, 정해진 위치에 고정핀(200)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옹벽 표면의 선형을 쉽게 맞출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align the linear shape of the retaining wall by merely providing the fixing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 양측에는, 고정핀(200)의 삽입홈(133)이 형성되는데, 이는 고정핀(200)의 중앙연결부(210)가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후방날개부(130)의 삽입홈(133)의 양측에는, 고정핀(200)의 설치위치를 제한하도록 턱부(134)가 형성되는데, 이는 블록의 결합각도의 변화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도 35,36), 블록의 안정적인 축조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100a,100b : 블록 110 : 전방날개부
120 : 연결부 130 : 후방날개부
131 : 협폭부 132 : 광폭부
133 : 삽입홈 134 : 턱부
200 : 고정핀 210 : 중앙연결부
220 :광폭삽입부 221 : 일단일측돌출부
222 : 타단일측돌출부 230 :협폭삽입부
231 : 일단타측돌출부 232 : 타단타측돌출부
240 : 마찰증대용 돌부 241 : 링부100, 100a, 100b: block 110: front wing
120: connection part 130: rear wing part
131: narrow width part 132: wide width part
133: insertion groove 134: jaw
200: fixing pin 210: central connecting portion
220: Wide insertion portion 221:
222: other single side projecting portion 230: narrower insertion portion
231: one end protruding portion 232: one end protruding portion
240: Friction increase protrusion 241: Ring portion
Claims (11)
상기 후방날개부(130)의 상하 중 일방에는 협폭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날개부(130)의 상하 중 타방에는 위 협폭부(131)에 비해 폭이 넓은 광폭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200)의 상하 중 일방에는 상기 후방날개부(130)의 광폭부(132)가 삽입되도록 광폭삽입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200)의 상하 중 타방에는 상기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가 삽입되도록 협폭삽입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200)은,
중앙연결부(210);
상기 중앙연결부(210)의 일단에서 일측 및 타측에 연장형성된 일단일측돌출부(221) 및 일단타측돌출부(231);
상기 중앙연결부(210)의 타단에서 연장형성된 타단일측돌출부(222) 및 타단타측돌출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일단일측돌출부(221), 일단타측돌출부(231), 타단일측돌출부(222) 및 타단타측돌출부(232)의 단부에는 외측을 향하여 절곡된 고리부(a)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연결부(210), 일단일측돌출부(221), 일단타측돌출부(231), 타단일측돌출부(222) 및 타단타측돌출부(2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링부(241)가 포함되는 마찰증대용 돌부(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A retaining wall formed by vertically forming a plurality of blocks 100 having a front wing 110, a connecting portion 120 and a rear wing 130 by a fixing pin 200,
A narrow width portion 13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wing portion 130 and a wide width portion 132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narrow width portion 131 is formed on the other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wing portion 130 Formed,
A wide insertion portion 22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xing pin 200 so as to insert the wider portion 132 of the rear wing portion 130 and a wedge insertion portion 220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in 200, The narrow insertion portion 230 is formed to insert the narrow portion 131 of the wing portion 130,
The fixing pin (200)
A central connection 210;
One end side protrusion 221 and one end side protrusion 231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210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the other single side protrusion 222 and the other side protrusion 232 extended from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210,
An annular bent portion a is formed at the ends of the one end side projecting portion 221, the one end side projecting portion 231, the other single side projecting portion 222 and the other end projecting portion 232,
At least one of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210, the one-side protruding portion 221, the one-side other-side protruding portion 231, the other single-side protruding portion 222 and the other-side protruding portion 232 has a plurality of ring- And a frictional thickening protrusion (240) including the protrusion (241) is formed.
상기 블록(100)의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가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핀(200)의 광폭삽입부(220)가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블록(100) 중 하부블록(100b)의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가 상기 고정핀(200)의 협폭삽입부(230)에 삽입되고, 다수의 블록(100) 중 상부블록(100a)의 후방날개부(130)의 광폭부(132)가 상기 고정핀(200)의 광폭삽입부(2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옹벽은 상측을 향하여 급경사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narrow width portion 131 of the rear wing portion 130 of the block 100 is set to face upward and the wide insertion portion 220 of the fixing pin 200 is installed to face upward, The narrow width portion 131 of the rear wing portion 130 of the lower block 100b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100 is inserted into the narrow width insertion portion 230 of the fixing pin 200, The wide portion 132 of the rear wing portion 130 of the upper block 100a is inserted into the wide insertion portion 220 of the fixing pin 200 so that the retaining wall has a steeply- The retaining wall.
상기 블록(100)의 후방날개부(130)의 광폭부(132)가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핀(200)의 협폭삽입부(230)가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블록(100) 중 상부블록(100a)의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가 상기 고정핀(200)의 협폭삽입부(230)에 삽입되고, 상기 다수의 블록(100) 중 하부블록(100b)의 후방날개부(130)의 광폭부(132)가 상기 고정핀(200)의 광폭삽입부(2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옹벽은 수직구조 또는 완경사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wider portion 132 of the rear wing portion 130 of the block 100 faces upward and the narrow insertion portion 230 of the fixing pin 200 faces upward, The narrow width portion 131 of the rear wing portion 130 of the upper block 100a of the plurality of blocks 100 is inserted into the narrow width insertion portion 230 of the fixing pin 200, The wide portion 132 of the rear wing 130 of the middle block 100b is inserted into the wide insertion portion 220 of the fixing pin 200 so that the retaining wall has a vertical structure or a milder slant structure .
상기 협폭부(131)의 전단은 상기 광폭부(132)의 전단에 비해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협폭부(131) 및 광폭부(132)의 후단은 상하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에 형성된 단차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end of the narrow portion 131 is formed behind the front end of the wide portion 132 and the rear ends of the narrow portion 131 and the wide portion 132 are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
상기 일단일측돌출부(221)와 상기 타단일측돌출부(222) 사이에 상기 후방날개부(130)의 광폭부(132)가 삽입되도록 상기 광폭삽입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타측돌출부(231)와 상기 타단타측돌출부(232) 사이에 상기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가 삽입되도록 상기 협폭삽입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de insertion portion 220 is formed between the one-side protrusion 221 and the other single side protrusion 222 so that the wide portion 132 of the rear wing portion 130 is inserted,
Wherein the narrow insertion portion (230) is formed between the one-side protrusion (231) and the other-side protrusion (232) to insert the narrow portion (131) of the rear wing portion (130).
상기 후방날개부(130)는 전방이 함몰되고, 후방이 돌출된 만곡진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wing portion (130) is formed in a curved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portion is recessed and the rear portion is protruded.
상기 후방날개부(130)의 협폭부(131) 양측에는, 상기 고정핀(200)의 삽입홈(1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n insertion groove (133) of the fixing pin (20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arrow width portion (131) of the rear wing portion (130).
상기 후방날개부(130)의 삽입홈(133)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핀(200)의 설치위치를 제한하도록 턱부(1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 jaw portion (134)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133) of the rear wing portion (130) so as to restrict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xing pin (2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0676A KR101713894B1 (en) | 2016-09-21 | 2016-09-21 | Retaing wall using p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0676A KR101713894B1 (en) | 2016-09-21 | 2016-09-21 | Retaing wall using pi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13894B1 true KR101713894B1 (en) | 2017-03-09 |
Family
ID=5840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0676A KR101713894B1 (en) | 2016-09-21 | 2016-09-21 | Retaing wall using pi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389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5445A (en) * | 2017-10-24 | 2019-05-03 | 공학봉 | Concrete panel for Cutting retaining wall that is Cutting retaining wall by the Concrete panel |
KR102696345B1 (en) * | 2024-02-26 | 2024-08-19 | 성운산업개발(주) | Step-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4921A (en) * | 2000-09-27 | 2002-04-03 | 김철수 | Block for breast wall |
KR100400169B1 (en) | 2000-06-29 | 2003-10-01 | 공학봉 | Block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interlocking pin therefor |
KR200354134Y1 (en) | 2004-03-08 | 2004-06-23 | 김목치 | Block type retaining wall |
KR100460284B1 (en) | 2003-12-17 | 2004-12-04 | 김갑중 | Assembly of ecological blocks |
KR200376796Y1 (en) * | 2004-12-06 | 2005-03-11 | 고월환 | Constructing structure of block type reventment of reinforied earth |
KR20110037320A (en) * | 2009-10-06 | 2011-04-13 | 김봉수 |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2016
- 2016-09-21 KR KR1020160120676A patent/KR10171389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0169B1 (en) | 2000-06-29 | 2003-10-01 | 공학봉 | Block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interlocking pin therefor |
KR20020024921A (en) * | 2000-09-27 | 2002-04-03 | 김철수 | Block for breast wall |
KR100460284B1 (en) | 2003-12-17 | 2004-12-04 | 김갑중 | Assembly of ecological blocks |
KR200354134Y1 (en) | 2004-03-08 | 2004-06-23 | 김목치 | Block type retaining wall |
KR200376796Y1 (en) * | 2004-12-06 | 2005-03-11 | 고월환 | Constructing structure of block type reventment of reinforied earth |
KR20110037320A (en) * | 2009-10-06 | 2011-04-13 | 김봉수 |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5445A (en) * | 2017-10-24 | 2019-05-03 | 공학봉 | Concrete panel for Cutting retaining wall that is Cutting retaining wall by the Concrete panel |
KR102112388B1 (en) * | 2017-10-24 | 2020-06-04 | 공학봉 | Concrete panel for Cutting retaining wall that is Cutting retaining wall by the Concrete panel |
KR102696345B1 (en) * | 2024-02-26 | 2024-08-19 | 성운산업개발(주) | Step-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523667A (en) | Conduit spacer | |
US7367752B2 (en) | Extended width retaining wall block | |
US7497646B2 (en) | Extended width retaining wall block | |
KR101501930B1 (en) |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 |
KR101713894B1 (en) | Retaing wall using pin | |
CA2861019A1 (en) | Drainage body connecting element | |
KR101920138B1 (en) | retaining wall block | |
KR101700830B1 (en) | The Constructing Block and Method Of Constructing Block For Wall | |
KR101598148B1 (en) | Block unit for vertical retaining wall | |
KR100878716B1 (en) | Coupling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with Vegetation | |
KR200339448Y1 (en) | Block for reinforced earth revetment | |
KR102267291B1 (en) | Block and retaing wall using the same | |
KR101804342B1 (en) | Pc pile structure and pc pile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101564352B1 (en) | Block unit for vertical retaining wall | |
KR100400169B1 (en) | Block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interlocking pin therefor | |
KR200491914Y1 (en) | Assembled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102191389B1 (en) | Bar connec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 |
KR102135225B1 (en) | The fluid barrier | |
JP6860311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side wall for lightweight embankment | |
KR101937968B1 (en) |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interlocking block | |
KR20210001908U (en) | Assembled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102331654B1 (en) | Pin joint apparatus for block and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102316592B1 (en) | Retaining Wall Connection Structure | |
KR100593181B1 (en) | A terrace-revetment unit and a process of construction unsing the same | |
KR102146634B1 (en) | Block retaining wall with corner b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