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21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3210B1 KR101713210B1 KR1020100001557A KR20100001557A KR101713210B1 KR 101713210 B1 KR101713210 B1 KR 101713210B1 KR 1020100001557 A KR1020100001557 A KR 1020100001557A KR 20100001557 A KR20100001557 A KR 20100001557A KR 101713210 B1 KR101713210 B1 KR 1017132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device
- receiving tube
- delete delete
- receiving
- shelf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품의 냉장 보관을 위한 저장공간이 마련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서 복수의 캔(Can)을 수용한 상태로 회동가능한 캔 보관장치가 포함된다.
이에 의하면, 캔의 보관 및 인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식품의 냉장 보관을 위한 저장공간이 마련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서 복수의 캔(Can)을 수용한 상태로 회동가능한 캔 보관장치가 포함된다.
이에 의하면, 캔의 보관 및 인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캔(Can)의 보관 및 인출이 용이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식품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식품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에는 저장공간을 구획하여 식품을 구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반 및 서랍 그리고, 상기 도어의 배면에 구비되어 음료 등의 식품이 보관되는 바스켓과 같은 수납부재가 더 구비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캔(Can)의 보관을 위해 별도의 캔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00214에는 냉장고의 도어 내측에 장착되어 캔을 적층 보관하고 적층 된 캔을 하측에서부터 하나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캔 공급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도어 내측에 장착되는 캔 공급장치에 의해 도어의 하중이 증가하게 되어 도어 단차가 발생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캔 공급장치에서는 다수의 캔이 적층 보관되어 저장된 캔의 종류를 확인하기 어려우며, 캔의 인출이 하측에서부터 하나씩 순차적으로 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원하는 캔의 위치를 확인한다고 하더라도 인출이 곤란한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캔이 수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한 캔 보관장치가 구비되어 캔의 보관 및 인출이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캔 보관장치의 회동 시 작동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흥미가 유발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캔 보관장치의 수용용량이 증대되며 캔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 공간에 분류하여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선반; 상기 선반에 구비되며, 복수의 캔이 수용되는 캔 보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캔 보관장치는, 상기 선반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고정부; 상기 회동고정부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캔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제공되는 다수개의 캔 수용관; 상기 회동 고정부에 상기 다수개의 캔 수용관 각각을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다수개의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캔 수용관은, 상기 힌지부에 의해서 단부가 하측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서 단부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도록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회동고정부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회동각 조절힌지; 상기 회동각 조절힌지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캔 수용관과 결합되는 캔 수용관 체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캔 수용관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에는, 회동에 의해서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캔 수용관에 수용된 캔의 낙하를 방지하는 캔 스토퍼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캔 스토퍼는,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캔 스토퍼는,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에서 상기 캔 수용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캔 스토퍼는 스프링 힌지에 의해서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서 상기 제2부분이 상기 개구의 전방에서 외측으로 회동되며, 사용자의 조작력이 해제되면 상기 개구의 전방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선반에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고정부에는, 상기 다수개의 캔 수용관이 결합되는 메인바디; 상기 고정축에 상기 메인바디를 회동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나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간섭턱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바디에는, 내주면에서 등 간격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턱이 구비되며, 상기 캔 보관장치의 회전시, 상기 간섭턱과 걸림턱이 간섭되면서 작동음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회동고정부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회동각 조절힌지; 상기 회동각 조절힌지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캔 수용관과 결합되는 캔 수용관 체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캔 수용관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에는, 회동에 의해서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캔 수용관에 수용된 캔의 낙하를 방지하는 캔 스토퍼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캔 스토퍼는,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캔 스토퍼는,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에서 상기 캔 수용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캔 스토퍼는 스프링 힌지에 의해서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서 상기 제2부분이 상기 개구의 전방에서 외측으로 회동되며, 사용자의 조작력이 해제되면 상기 개구의 전방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선반에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고정부에는, 상기 다수개의 캔 수용관이 결합되는 메인바디; 상기 고정축에 상기 메인바디를 회동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나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간섭턱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바디에는, 내주면에서 등 간격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턱이 구비되며, 상기 캔 보관장치의 회전시, 상기 간섭턱과 걸림턱이 간섭되면서 작동음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내부에 복수의 캔을 수용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한 캔 보관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캔 보관장치를 회전시키면서 수용된 캔을 용이하게 확인하여 인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캔 보관장치는 선반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므로, 도어의 하중을 증가시키지 않으며, 캐비닛 내부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되므로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캔 보관장치는 회전시 작동음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의 흥미가 유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캔 보관장치에서는 복수의 캔 수용부가 마련되어 캔의 저장용량이 증대될 수 있으며, 캔 수용부가 구분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복수의 캔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일실시 예가 선반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일실시 예와 선반의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다른 실시 예가 선반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다른 실시 예와 선반의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8 은 도 7 에 도시된 캔 보관장치의 캔 수용부 체결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서 캔의 인/출입 과정을 보이기 위한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가 선반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11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와 선반의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일실시 예가 선반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일실시 예와 선반의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다른 실시 예가 선반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다른 실시 예와 선반의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8 은 도 7 에 도시된 캔 보관장치의 캔 수용부 체결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서 캔의 인/출입 과정을 보이기 위한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가 선반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11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와 선반의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양문형 도어 타입의 냉장고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는 탑마운트와 바텀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도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의 외관은 대략 전면(前面)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식품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0)은 베리어(12)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어 좌측은 식품의 냉동 보관에 적합한 온도조건이 유지되는 냉동실(20), 우측은 식품의 냉장 보관에 적합한 온도조건이 유지되는 냉장실(3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30)을 차폐하는 냉장실도어(32)와, 냉동실(20)을 차폐하는 냉동실도어(22)로 구분되며, 각각 상기 캐비닛(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내부에는 다수의 선반(100), 서랍(200), 바스켓(300) 등과 같은 수납부재들이 구비된다. 상기 수납부재들은 저장공간 내부를 구획하여 식품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에는 상기 냉장실(30)을 구획하는 선반(100)의 일측에 캔(Can, 2)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캔 보관장치(400)가 제공된다.
상기 캔 보관장치(4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선반(100)에 평행하게 가로방향으로 장착되며,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도 2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일실시 예가 선반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일실시 예와 선반의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캔 보관장치(400)에는 상기 선반(100)과 연결되어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회동고정부(440)와, 상기 회동고정부(440)에 연결되어 캔(2)이 내부에 수용되는 캔 수용부(42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캔 수용부(420)에는 캔(2)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캔 트레이(421)와, 상기 캔 트레이(421)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캔 걸림턱(422)이 포함된다.
상기 캔 트레이(421)는 대략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분이 절개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캔 트레이(421)는 내부에 수용되는 캔(2)의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가지도록 중앙 부분이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로 인해 캔(2)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적층 되면서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캔(2)이 내부에 수용되는 캔 트레이(421)는 상단과 하단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캔 트레이(421)의 상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베이스 플레이트(441)에 연결되어 하향 경사를 가지며, 이로 인해 내부에 수용된 캔(2)은 경사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캔 트레이(421)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한 캔(2)은 상기 캔 걸림턱(422)에 의해 이동 위치가 고정되어 캔(2)의 보관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고정부(440)에는 상기 복수의 캔 수용부(420)를 연결하는 베이스 플레이트(441)와, 상기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선반(100)에 끼움 장착되는 제 1 부시(446)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41)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시(446) 내부에서 회동하는 제 2 부시(444)와, 상기 제 1 부시(446)의 직경보다 헤드 부분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부시(444)에 체결되는 고정나사(448)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4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캔 트레이(421)의 상단이 등 간격을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41)와 캔 트레이(4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도 있고, 상기 캔 트레이(421)와 베이스 플레이트(441)가 별도로 구성되어 각각 체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41)의 상면 중앙 부분에는 상기 제 2 부시(444)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선반(100)에 고정되면서 회전중심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선반(120)에는 상기 제 2 부시(444)의 장착을 위해 천공 형성되는 캔 보관장치 체결홀(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캔 보관장치 체결홀(120)에는 상기 제 2 부시(444)가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부시(446)가 끼움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부시(446)는 상/하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고정돌기(445)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부시(446)는 상기 선반(10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며, 상기 제 2 부시(444)가 내측에서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선반(100)에는 상기 캔 보관장치 체결홀(120)의 가장자리에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121)이 마련되어, 상기 제 1 부시(446)의 고정돌기(445)가 상기 고정홈(121)에 안착되면서 상기 제 1 부시(446)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된 제 1 부시(446)에는 상기 캔 수용부(420)와 연결된 베이스 플레이트(441)가 접근하면서 상기 제 2 부시(444)가 상기 제 1 부시(446) 내부로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부시(446)의 상측에서 상기 고정나사(448)가 상기 제 2 부시(444)에 체결된다.
상기 고정나사(448)는 헤드 부분이 상기 제 1 부시(446)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부시(446)의 상단에 안착되며, 하부에는 나선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부시(446) 내부에 제 2 부시(444)가 수용된 이후 상기 고정나사(448)가 상기 제 2 부시(444)에 회전하면서 체결되면, 상기 고정나사(448)와 연결된 제 2 부시(444)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41)에 연결된 캔 수용부(42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고정나사(448)와 제 1 부시(446) 사이에는 볼베어링(448A)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체결관계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나사(448)의 나선이 상기 제 2 부시(444)를 관통하여 하단에서 노출되고, 노출된 고정나사(448)의 하단에 조임볼트(44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부시(444)에는 상기 고정나사(448)의 체결을 위한 고정나사 체결홀(443)이 상기 제 2 부시(444)의 상/하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부시(444)의 돌출 높이가 상기 고정나사(448)의 하부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449)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캔 보관장치(400)가 선반(100)에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되는 제 1 부시(446)의 내주에는 등 간격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돌기(447)가 마련된다.
상기 다수의 걸림돌기(447)는 상기 제 2 부시(444)의 외주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간섭돌기(442)와 간섭되면서 회전이 일시 정지되는 구간을 형성하게 되며, 간섭이 해지되면서 충격에 의한 작동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세히, 상기 걸림돌기(447) 및 간섭돌기(442)는 적어도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캔 수용부(420)가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걸림돌기(447) 및 간섭돌기(442)가 접하게 되면서 캔 수용부(420)의 회전이 일시 정지된다.
상기와 같은 정지상태에서 사용자가 계속해서 캔 수용부(4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간섭돌기(442)가 상기 걸림돌기(44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이 진행되고, 경사면을 모두 통과하여 간섭이 해지되면 상기 간섭돌기(442)가 상기 제 1 부시(446)의 내부와 충돌하면서 작동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캔 보관장치(400)에 캔(2)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캔 트레이(421)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면서 원하는 종류의 캔(2)을 선택하여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캔 트레이(421)에는 캔(2)의 수용공간이 구분되어 캔 트레이(421)를 회전시키면서 사용자가 캔 보관장치(400)에 수용된 캔(2)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캔 트레이(421)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간섭돌기(442) 및 걸림돌기(442)에 의해 일정 위치에서 회전이 정지하게 되고, 정지된 위치의 캔 트레이(421)에 사용자가 인출하고자하는 캔(2)이 확인되면 사용자는 상기 캔 걸림턱(422)에서 캔(2)의 단부를 들어올려 캔(2)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캔 보관장치(400)에 캔(2)을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도 상기 캔 트레이(421)를 회전시키면서 복수로 구분된 캔 트레이(421)에 종류별로 캔(2)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캔 보관장치(400)는 캔 수용부(420) 및 회동고정부(440)의 구조가 다양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고, 도 6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다른 실시 예가 선반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며, 도 7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다른 실시 예와 선반의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고, 도 8 에는 도 7 에 도시된 캔 보관장치의 캔 수용부 체결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된다. 그리고, 도 9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서 캔의 인/출입 과정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캔 보관장치(400)도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선반(100)의 하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선반(100) 평행하게 장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캔 보관장치(400)에는 캔(2)이 수용되는 복수의 캔 수용부(420)와, 상기 복수의 캔 수용부(420)를 연결하면서 상기 선반(100)에 고정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고정부(440) 및 상기 회동고정부(440)에 연결된 캔 수용부(420)가 상하로 소정각도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46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캔 수용부(420)에는 캔(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 형상의 캔 수용관(424)과, 상기 캔 수용관(424)의 단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된 캔(2)의 자중에 의한 낙하를 방지하는 캔 스토퍼(426)가 포함된다.
상기 캔 수용관(424)은 투명 재질로, 일측이 개구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캔(2)이 길이방향으로 적층 보관될 수 있으며 내부에 보관되는 캔(2)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캔 수용관(424)은 후단이 차폐되어 상기 힌지부(460)와 스크류나 리벳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개구된 전단에는 상기 캔 스토퍼(426)가 선택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회동 여부에 따라 캔(2)의 보관 또는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캔 스토퍼(426)는 상기 캔 수용관(424)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며,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캔 수용관(424) 내부에 수용된 캔(2)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캔 스토퍼(426)는 상기 캔 수용관(424)에 스프링힌지(427)에 의해 고정되어 사용자가 일방향으로 회동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조작력이 해지될 경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동고정부(440)에는 상기 힌지부(460)가 구비되어 상기 캔 수용부(42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메인바디(441A)와, 상기 선반(1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441A)의 회동 중심을 형성하는 고정축(140) 및 상기 고정축(140)에 상기 메인바디(441A)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나사(448)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메인바디(441A)는 상/하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441A)의 외주에는 연결된 캔 수용부(42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등 간격을 이루는 복수의 힌지부(460)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460)는 상기 메인바디(441A)의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중심을 형성하며, 회동조작이 일어날 때 스프링에 의해 탄성 압축되었다가 회동조작력이 해지될 경우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회동각 조절힌지(464)와, 상기 회동각 조절힌지(464)와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캔 수용관(424)과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캔 수용관 체결판(4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캔 수용관 체결판(462)에 고정된 캔 수용관(424)은 상기 회동각 조절힌지(464)에 의해 사용자가 상하로 소정각도 회동시킬 수 있게 되며, 회동을 위한 사용자 조작력이 해지될 경우에는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460)에 의한 캔 수용관(424)의 초기 위치는 사용자가 캔(2)의 수용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캔 수용관(424)의 단부가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캔 수용관(424)에 캔(2)을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캔 수용관(424)을 상측으로 들어올린 후 상기 캔 스토퍼(426)을 회동시키면서 집어넣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기 메인바디(441A)에 캔 수용부(420)가 장착되면, 상기 고정축(140)이 상기 메인바디(441A)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나사(448)와 고정축(140)이 회전하면서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축(140)에는 내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고정나사 체결홀(1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나사(448)의 헤드는 상기 메인바디(441A)의 하면에 형성되는 홀(미도시)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441A)가 하측으로 낙하하지 않으면서 상기 고정나사(448)와 선반(100)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고정나사(448)와 메인바디(441A) 사이에는 볼 베어링(44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바디(441A)의 내면에도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등 간격을 이루며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걸림턱(447A)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축(140)의 외면에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턱(447A)와 간섭되는 간섭턱(144)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447A) 및 간섭턱(144)에도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일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캔 수용관(424)를 파지하여 회전시키게 될 경우, 상기 걸림턱(447A)와 간섭턱(144)이 접하게 되면서 회전이 일시 정지된다.
상기와 같은 정지상태에서 사용자가 계속해서 캔 수용부(4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턱(447A)이 상기 간섭턱(144)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이 진행되고, 경사면을 모두 통과하여 간섭이 해지되면 상기 간섭턱(144)이 상기 메인바디(441A)의 내부와 충돌하면서 작동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캔 보관장치(400)에서 캔(2)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캔 수용관(424)을 파지하여 회전시키면서 원하는 종류의 캔(2)을 선택하여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캔 수용관(424)은 각각이 상기 힌지부(460)에 결합되어 상기 캔 수용관(424)을 회전시키면서 사용자가 캔 보관장치(400)에 수용된 캔(2)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캔 수용관(424)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간섭턱(144)이 걸림턱(447A)의 선택적인 간섭에 의해 작동음을 발생하면서 일정위치에서 회전이 정지하게 되고, 정지된 위치의 캔 수용관(424)에서 사용자가 인출하고자하는 캔(2)이 확인되면 사용자는 상기 캔 수용관(424)을 상측으로 회동시킨 다음 상기 캔 스토퍼(426)를 회전시켜 캔(2)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캔 스토퍼(426)는 캔(2)의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초기 위치가 유지되어 캔 수용부(424)에 보관중인 캔(2)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캔 수용부(424)에서 캔(2)을 인출 또는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힌지(426A)를 중심으로 캔 스토퍼(426)를 회전시켜 캔(2)의 인출 또는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캔(2)의 인출 또는 보관이 완료된어 사용자 조작력이 해지된 경우에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캔(2)의 낙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캔 보관장치(400)에 캔(2)을 보관할 경우 상기 캔 수용관(424)을 회전시키면서 복수로 구분된 캔 수용관(424)에 종류별로 캔(2)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가 선반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1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캔 보관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와 선반의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캔 보관장치(400)는 냉장실(30)을 구획하는 선반(100)의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선반(100)에는 상기 캔 보관장치(400)가 모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캔 보관장치 수용부(18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캔 보관장치 수용부(180)에는 상기 캔 보관장치(400)가 상기 선반(100)에 수직을 이루는 회전방향을 가지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캔 보관장치 수용부(180)에는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캔 보관장치 장착홈(182)이 마련되며, 상기 캔 보관장치(400)의 요부구성인 회동고정부(440)가 상기 캔 보관장치 장착홈(182)에 상측에서 끼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고정부(440)에는 도 5 내지 9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한 형태의 캔 수용부(420)가 복수 개 연결된다.
즉, 상기 캔 수용부(420)에는 전측이 개구되어 캔(2)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캔 수용관(424)과 상기 캔 수용관(424)의 개구된 전측에서 선택적으로 회동하면서 캔(2)의 인출 또는 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캔 스토퍼(426)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회동고정부(440)에는 상기 복수의 캔 수용부(420)를 연결하면서 회전하는 메인바디(441A)와, 상기 메인바디(441A)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캔 보관장치 장착홈(182)에 고정되는 회전중심축(140A)이 포함된다.
즉, 상기 회전중심축(140A)은 상기 선반(100)에 장착되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면서 상기 메인바디(441A)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게 되며,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외주에 돌출 형성되는 간섭턱(144)이 마련되어 상기 메인바디(441A)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447A)과 간섭되면서 작동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중심축(140A)의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중심축 고정돌기(140B)가 마련되고, 상기 캔 보관장치 장착홈(182)은 상기 중심축 고정돌기(140B)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캔 보관장치 수용부(180)에 장착된 회전중심축(140A)이 상기 메인바디(441A)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캔 보관장치(400)에서 캔(2)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캔 수용관(424)을 파지하여 상하로 회전시키면서 원하는 종류의 캔(2)을 선택하여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캔 수용관(424)은 각각이 상기 힌지부(460)에 결합되어 상기 캔 수용관(424)을 회전시키면서 사용자가 캔 보관장치(400)에 수용된 캔(2)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캔 수용관(424)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간섭턱(144)이 걸림턱(447A)의 선택적인 간섭에 의해 작동음을 발생하면서 일정위치에서 회전이 정지하게 되고, 정지된 위치의 캔 수용관(424)에서 사용자가 인출하고자하는 캔(2)이 확인되면 사용자는 상기 캔 스토퍼(426)를 회전시켜 캔(2)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캔 보관장치(400)에 캔(2)을 보관할 경우 상기 캔 수용관(424)을 회전시키면서 복수로 구분된 캔 수용관(424)에 종류별로 캔(2)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100..... 선반 200..... 서랍
300..... 바스켓 400..... 캔 보관장치
420..... 캔 수용부 440..... 회동고정부
460..... 힌지부
300..... 바스켓 400..... 캔 보관장치
420..... 캔 수용부 440..... 회동고정부
460..... 힌지부
Claims (19)
-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선반;
상기 선반에 구비되며, 복수의 캔이 수용되는 캔 보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캔 보관장치는,
상기 선반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고정부;
상기 회동고정부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캔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제공되는 다수개의 캔 수용관;
상기 회동 고정부에 상기 다수개의 캔 수용관 각각을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다수개의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캔 수용관은,
상기 힌지부에 의해서 단부가 하측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서 단부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도록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회동고정부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회동각 조절힌지;
상기 회동각 조절힌지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캔 수용관과 결합되는 캔 수용관 체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 수용관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에는,
회동에 의해서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캔 수용관에 수용된 캔의 낙하를 방지하는 캔 스토퍼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캔 스토퍼는,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캔 스토퍼는,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에서 상기 캔 수용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캔 스토퍼는 스프링 힌지에 의해서 상기 캔 수용관의 단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서 상기 제2부분이 상기 개구의 전방에서 외측으로 회동되며,
사용자의 조작력이 해제되면 상기 개구의 전방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에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고정부에는,
상기 다수개의 캔 수용관이 결합되는 메인바디;
상기 고정축에 상기 메인바디를 회동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나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간섭턱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바디에는, 내주면에서 등 간격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턱이 구비되며,
상기 캔 보관장치의 회전시, 상기 간섭턱과 걸림턱이 간섭되면서 작동음이 발생되는 냉장고.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1557A KR101713210B1 (ko) | 2010-01-08 | 2010-01-08 | 냉장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1557A KR101713210B1 (ko) | 2010-01-08 | 2010-01-08 | 냉장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1411A KR20110081411A (ko) | 2011-07-14 |
KR101713210B1 true KR101713210B1 (ko) | 2017-03-09 |
Family
ID=4491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1557A KR101713210B1 (ko) | 2010-01-08 | 2010-01-08 | 냉장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3210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6421Y1 (ko) * | 2003-09-09 | 2003-12-18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탈착가능한 냉장고 음료 디스펜서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6043U (ko) * | 1997-05-12 | 1998-12-05 | 배순훈 | 냉장고용 회전식 수납용기 |
KR200316727Y1 (ko) * | 1998-07-30 | 2003-09-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도어의캔저장장치 |
KR20080006268U (ko) * | 2007-06-12 | 2008-12-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
2010
- 2010-01-08 KR KR1020100001557A patent/KR1017132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6421Y1 (ko) * | 2003-09-09 | 2003-12-18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탈착가능한 냉장고 음료 디스펜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1411A (ko) | 2011-07-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02367B2 (en) | Food refrigerator | |
KR101631091B1 (ko) | 냉장고 및 그 저장용기 어셈블리 | |
US20060213852A1 (en) | Beverage refrigerator | |
US9207011B2 (en) | Food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US20130257255A1 (en) | Refrigerator | |
US20130119844A1 (en) | Refrigerator | |
KR102174511B1 (ko) | 디바이더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
US20180038632A1 (en) | Refrigerator | |
US20200166272A1 (en) |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EP3315886B1 (en) |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US6799818B2 (en) | Tiltable storage module for refrigerator | |
US7334853B2 (en) | Refrigerator door beverage storage module | |
KR20130055178A (ko) | 냉장고 | |
US9513047B2 (en) | Door module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 |
KR100476450B1 (ko) | 냉장고의 트레이장치 | |
KR101713210B1 (ko) | 냉장고 | |
EP2682699B1 (en) | Tower pantry in refrigerator | |
KR20140060399A (ko) |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
JP2003279243A (ja) | 冷蔵庫 | |
WO2022262807A1 (zh) | 制冷电器及其储存组件 | |
WO2023114065A1 (en) | Refrigerator | |
JP2840587B2 (ja) | 回動棚を有する冷蔵庫 | |
US20060283854A1 (en) | Rack for storing containers | |
KR20020057633A (ko) | 냉장고의 도어선반 | |
KR101271961B1 (ko) | 냉장고의 야채실도어 고정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