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879B1 -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879B1
KR101711879B1 KR1020150188166A KR20150188166A KR101711879B1 KR 101711879 B1 KR101711879 B1 KR 101711879B1 KR 1020150188166 A KR1020150188166 A KR 1020150188166A KR 20150188166 A KR20150188166 A KR 20150188166A KR 101711879 B1 KR101711879 B1 KR 101711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ttle
water
hydrogen
main body
apparatu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미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미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미소
Priority to KR1020150188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02F2001/46104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bott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02E60/366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수소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소생성모듈과 물병목부가 상기 수소안내공에 연통하도록 물이 저장된 물병을 도립(倒立)상태로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물병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수소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수소를 상기 수소안내공을 통해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물병의 내부로 공급하는 방법으로 수소수를 제조하기 위한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병지지부는 원형관형태의 홀더바디부와 상기 홀더바디부의 외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밀폐리브와 상기 밀폐리브의 하측에서 상기 홀더바디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상기 밀폐리브와 나란하게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밀폐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홀더바디부의 내부공간이 상기 수소안내공에 연통하고 상기 밀폐플랜지가 상기 수소안내공과 상기 홀더바디부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홀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물병의 종류를 증가시킬 수 있고, 물병의 설치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며, 물병과 수소수 제조장치 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Portable Manufacturing Device of Hydrogen Water}
본 발명은 수소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소수는 높은 용존량으로 수소가 용해되어 있는 물로서, 노화를 방지하고,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암, 치매를 예방하며, 피부미용, 다이어트, 피로회복, 성기능 개선, 운동능력 향상, 면역력 강화, 숙취 해소 등에 효과가 있다.
이러한 수소수는 전기분해식, 자화처리, 초음파처리, 광석처리 등의 제조되고 있다.
최근에는 수소수를 야외 활동 등에도 음용할 수 있도록 휴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의 수소수 제조장치 즉,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1은 종래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단면의 외관을 갖는 중공(中空)의 장치본체(111)와, 장치본체(111)의 내부에 설치된 수소생성모듈(112)과, 물이 저장된 물병을 도립(倒立)상태로 장치본체(111)에 설치하기 위한 호환뭉치(120)와, 장치본체(111)에 설치된 온오프버튼(113)을 갖고 있다.
장치본체(111)는 상면에 본체결합홈부(111b)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결합홈부(111b)는 2개의 계단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 계단수직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결합홈부(111b)의 바닥면에는 수소안내공(111a)이 형성되어 있다.
수소생성모듈(112)은 종래 널리 알려진 전기분해식 등의 방법으로 수소를 생성한다.
수소생성모듈(112)의 구조와 기능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호환뭉치(120)는 하단에 협경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뭉치결합홈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협경부(121)는 외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뭉치결합홈부(122)는 3개의 계단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 계단수직면(122a)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뭉치결합홈부(122)는 바닥면으로부터 협경부(121)의 하단에 도달할 때까지 수소안내유로(12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호환뭉치(120)는 수소안내유로(121a)가 수소안내공(111a)에 연통하도록 협경부(121)를 통해 장치본체(111)에 나사결합된다. 호환뭉치(120)를 설치할 때 장치본체(111)와의 사이에 밀폐링이 설치될 수 있다.
온오프버튼(113)이 온상태로 조작되면 수소생성모듈(112)에 동작전압이 인가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를 가게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반 물병에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병(200)은 요형(凹形)의 물병바디부(201)와 물병바디부(201)의 개구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물병목부(202)와 물병목부(202)에 결합된 물병캡(도시되지 않음)을 갖고 있고, 물병목부(202)의 외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먼저 호환뭉치(120)를 장치본체(111)에 나사결합한다.
다음에 물병캡(도시되지 않음)을 물병목부(202)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에 호환뭉치(120)가 장치본체(111)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장치본체(111)를 뒤집은 상태에서 물병목부(202)를 호환뭉치(120)에 결합한다.
다음에 호환뭉치(120)가 장치본체(111)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물병목부(202)가 물병바디부(201)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뒤집는다.
물병목부(202)가 물병바디부(201)보다 아래쪽으로 배치되면 물병바디부(201)에 저장된 물은 수소안내공(111a)과 수소배출공(112a)을 통해 수소생성모듈(112)로 들어간다.
다음에 온오프버튼(113)을 온상태로 조작한다.
온오프버튼(113)이 온상태로 조작되면 수소생성모듈(112)의 음극에서 수소가 생성되고, 양극에서는 산소가 생성된다.
수소생성모듈(112)에서 생성된 수소는 수소배출공(112a)과 수소안내공(111a)을 통해 물병바디부(201)에 들어가고, 이에 따라 물병바디부(201)에 저장된 물은 수소수로 변한다.
한편 수소생성모듈(112)의 양극에서 생성된 산소는 장치본체(111)의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에 온오프버튼(113)을 오프상태로 조작하여 수소생성모듈(112)에서의 수소수 생성동작을 중지한다.
다음에 호환뭉치(120)가 장치본체(111)보다 아래쪽에 배치되고 물병목부(202)가 물병바디부(201)보다 위쪽에 배치되도록 뒤집는다.
다음에 물병목부(202)를 호환뭉치(120)로부터 분리한다.
마지막으로 호환뭉치(120)를 장치본체(111)로부터 분리하면, 수소수를 음용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를 전용(專用)물병에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용물병(200)은 본체결합홈부(111b)의 상측 계단수직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물병을 의미한다.
다음에 장치본체(111)를 뒤집은 상태에서 전용물병(200)을 장치본체(111)에 나사결합한다.
다음에 전용물병이 장치본체(111)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전용물병(200)을 뒤집는다.
전용물병(200)을 뒤집으면 전용물병에 저장된 물은 수소안내공(111a)과 수소배출공(112a)을 통해 수소생성모듈(112)로 들어간다.
다음에 온오프버튼(113)을 온상태로 조작한다.
온오프버튼(113)이 온상태로 조작되면 수소생성모듈(112)의 음극에서 수소가 생성되고, 양극에서는 산소가 생성된다.
수소생성모듈(112)에서 생성된 수소는 수소배출공(112a)과 수소안내공(111a)을 통해 전용물병(200)에 들어가고, 이에 따라 전용물병(200)에 저장된 물은 수소수로 변한다.
한편 수소생성모듈(112)의 양극에서 생성된 산소는 장치본체(111)의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에 온오프버튼(113)을 오프상태로 조작하여 수소생성모듈(112)에서의 수소수 생성동작을 중지한다.
다음에 전용물병이 장치본체(111)보다 위쪽에 배치되도록 전용물병(200)을 뒤집는다.
마지막으로 장치본체(111)를 전용물병(200)으로부터 분리하면, 전용물병(200)에 저장된 음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에 따르면, 뭉치결합홈부(122)의 계단수직면(122a)에 형성된 나사부에 물병목부(202)가 나사결합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물병의 종류(물병목부의 직경 및 두께, 나사산, 결합리브 등과 같은 물병목부의 외표면에 형성된 결합돌부의 형태에 따라 나누어지는 종류)가 뭉치결합홈부(122)에 형성된 계단수직면(122a)의 개수로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물병목부(202)가 뭉치결합홈부(122)에 나사결합되기 때문에 물병(200)의 설치 및 분리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병목부(202)가 뭉치결합홈부(122)에 나사결합되기 때문에 물병(200)과 수소수 제조장치 사이의 밀폐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15-0126547호(공개일자: 2015년 11월 12일, 발명의 명칭 : 호환가능한 수소수 제조장치)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할 수 있는 물병의 종류를 증가시킬 수 있고, 물병의 설치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며, 물병과 수소수 제조장치 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된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면에 수소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소생성모듈과 물병목부가 상기 수소안내공에 연통하도록 물이 저장된 물병을 도립(倒立)상태로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물병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수소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수소를 상기 수소안내공을 통해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물병의 내부로 공급하는 방법으로 수소수를 제조하기 위한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병지지부는 원형관형태의 홀더바디부와 상기 홀더바디부의 외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밀폐리브와 상기 밀폐리브의 하측에서 상기 홀더바디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상기 밀폐리브와 나란하게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밀폐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홀더바디부의 내부공간이 상기 수소안내공에 연통하고 상기 밀폐플랜지가 상기 수소안내공과 상기 홀더바디부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홀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홀더부재를 이용하여 보호캡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장치본체의 내부로 진입하는 이물질의 양을 줄일 수 있도록, 덮개판부와 상기 덮개판부의 저면으로부터 원형관 형태로 연장형성된 다리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판부가 상기 홀더바디부의 상측 영역을 가리도록 상기 장치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밀폐리브와 상기 밀폐플랜지의 사이에서 상기 밀폐리브와 나란하고 상기 밀폐리브보다 더 높이 돌출되며 종단이 상기 다리부의 내표면에 가압접촉하도록 상기 홀더바디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용(專用)물병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물병지지부는 상기 홀더부재를 둘러싸도록 상기 장치본체의 상면에 기립 형성되고 내표면에는 물병결합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지지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관형태의 홀더바디부와 홀더바디부의 외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밀폐리브와 밀폐리브의 하측에서 홀더바디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밀폐플랜지를 구비한 탄성재질의 홀더부재를 포함하도록 물병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물병의 종류(물병목부의 직경 및 두께, 나사산, 결합리브 등과 같은 물병목부의 외표면에 형성된 결합돌부의 형태에 따라 나누어지는 종류)를 증가시킬 수 있고, 물병의 설치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며, 물병과 수소수 제조장치 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된다(장치본체를 직선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물병목부를 홀더부재에 결합할 수 있고 물병목부가 홀더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물병목부의 내표면이 홀더부재의 밀폐리브에 가압접촉됨).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의 종단면도,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의 홀더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의 홀더부재의 종단면도,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의 보호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의 보호캡의 종단면도,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종래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의 홀더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의 홀더부재의 종단면도이며,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의 보호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의 보호캡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단면의 외관을 갖는 중공(中空)의 장치본체(11)와, 장치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된 수소생성모듈(12)과, 물이 저장된 물병을 도립(倒立)상태로 장치본체(11)에 설치하기 위한 물병지지부(20)와, 장치본체(11)에 설치된 보호캡(40) 및 온오프버튼(13)을 갖고 있다.
장치본체(11)는 상면에 수소안내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수소생성모듈(12)은 상면에 수소배출공(12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수소생성모듈(12)은 종래 널리 알려진 전기분해식 등의 방법으로 수소를 생성한다.
수소생성모듈(12)의 구조와 기능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병지지부(20)는 장치본체(11)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홀더부재(30)와, 홀더부재(30)를 둘러싸도록 장치본체(1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외지지벽부(21)와, 홀더부재(30)와 외지지벽부(21) 사이 영역에 배치되도록 장치본체(1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내지지벽부(22)를 갖고 있다.
홀더부재(30)는 원형관형태의 홀더바디부(31)와, 홀더바디부(31)의 외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밀폐리브(32)와, 밀폐리브(32)의 하측에서 홀더바디부(31)의 외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밀폐플랜지(34)와, 밀폐리브(32)와 밀폐플랜지(34)의 사이에서 홀더바디부(31)의 외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리브(33)와, 밀폐플랜지(34)의 저면에 형성된 연결관부(35)를 갖고 있다.
밀폐리브(32)는 한 쌍이 상호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밀폐플랜지(34)는 밀폐리브(32)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리브(33)는 한 쌍이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 지지리브(33)는 밀폐리브(32)와 나란하고 밀폐리브(32)보다 더 높이 돌출되며, 종단이 후술하는 다리부(42)의 내표면에 가압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연결관부(35)는 홀더바디부(31)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홀더부재(30)는 연결관부(35)의 하단이 수소안내공(11a)의 외측에서 수소생성모듈(12)의 상단에 가압접촉하고, 밀폐플랜지(34)가 수소생성모듈(12)의 상면과 장치본체(11)의 상면 사이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홀더바디부(31)의 내부공간은 수소안내공(11a)에 연통하게 되고, 밀폐플랜지(34)가 수소안내공(11a)과 홀더바디부(31) 사이를 밀폐하게 된다.
홀더부재(30)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외지지벽부(21)는 내표면에 물병결합돌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물병결합돌부(21a)로는 결합리브(한 쌍이 1조를 이루어 결합홈을 형성하도록 형성됨, 도1 참조), 나사산 등이 될 수 있다.
내지지벽부(22)는 내표면에 가압턱(22a)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캡(40)은 덮개판부(41)와, 덮개판부(41)의 저면으로부터 원형관 형태로 연장형성된 다리부(42)와, 다리부(42)의 둘레영역에 형성된 한 쌍의 파지요홈부(43)를 갖고 있다.
덮개판부(41)는 중앙영역에 하방향을 향해 개방된 요형부(凹形部, 41a)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42)는 요형부(凹形部, 41a)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각 파지요홈부(43)는 상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호캡(40)은 덮개판부(41)가 홀더바디부(31)의 상측 영역을 가리고, 다리부(42)의 내표면에 지지리브(33)의 종단이 가압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온오프버튼(13)이 온상태로 조작되면 수소생성모듈(12)에 동작전압이 인가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를 가게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반 물병에 사용하는 방법을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병(200)은 요형(凹形)의 물병바디부(201)와 물병바디부(201)의 개구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물병목부(202)와 물병목부(202)에 결합된 물병캡(도시되지 않음)을 갖고 있고, 물병목부(202)의 외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먼저 물병캡(도시되지 않음)을 물병목부(202)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에 홀더부재(30)가 장치본체(11)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장치본체(11)를 뒤집은 상태에서 물병목부(202)를 홀더부재(30)에 결합한다. 여기서 물병목부(202)의 결합은 장치본체(11)를 물병바디부(201)를 향해 직선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고 물병목부(202)가 홀더부재(30)에 결합된 상태에서 물병목부(202)의 내표면이 밀폐리브(32)의 종단에 가압접촉된다.
다음에 홀더부재(30)가 장치본체(11)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물병목부(202)가 물병바디부(201)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뒤집는다.
물병목부(202)가 물병바디부(201)보다 아래쪽으로 배치되면 물병바디부(201)에 저장된 물은 수소안내공(11a)과 수소배출공(12a)을 통해 수소생성모듈(12)로 들어간다.
다음에 온오프버튼(13)을 온상태로 조작한다.
온오프버튼(13)이 온상태로 조작되면 수소생성모듈(12)의 음극에서 수소가 생성되고, 양극에서는 산소가 생성된다.
수소생성모듈(12)에서 생성된 수소는 수소배출공(12a)과 수소안내공(11a)을 통해 물병바디부(201)에 들어가고, 이에 따라 물병바디부(201)에 저장된 물은 수소수로 변한다.
한편 수소생성모듈(12)의 양극에서 생성된 산소는 장치본체(111)의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에 온오프버튼(13)을 오프상태로 조작하여 수소생성모듈(12)에서의 수소수 생성동작을 중지한다.
다음에 홀더부재(30)가 장치본체(11)보다 아래쪽에 배치되고 물병목부(202)가 물병바디부(201)보다 위쪽에 배치되도록 뒤집는다.
마지막으로 물병목부(202)를 홀더부재(30)로부터 분리하면, 수소수를 음용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를 전용(專用)물병에 사용하는 방법을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용물병(200)은 외지지벽부(21)에 형성된 물병결합돌부(21a)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물병을 의미한다.
다음에 장치본체(11)를 뒤집은 상태에서 전용물병(200)을 장치본체(11)에 결합한다.
다음에 전용물병이 장치본체(11)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전용물병(200)을 뒤집는다.
전용물병(200)을 뒤집으면 전용물병에 저장된 물은 수소안내공(11a)과 수소배출공(12a)을 통해 수소생성모듈(12)로 들어간다.
다음에 온오프버튼(13)을 온상태로 조작한다.
온오프버튼(13)이 온상태로 조작되면 수소생성모듈(12)의 음극에서 수소가 생성되고, 양극에서는 산소가 생성된다.
수소생성모듈(12)에서 생성된 수소는 수소배출공(12a)과 수소안내공(11a)을 통해 전용물병(200)에 들어가고, 이에 따라 전용물병(200)에 저장된 물은 수소수로 변한다.
한편 수소생성모듈(12)의 양극에서 생성된 산소는 장치본체(11)의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에 온오프버튼(13)을 오프상태로 조작하여 수소생성모듈(12)에서의 수소수 생성동작을 중지시킨다.
다음에 전용물병이 장치본체(11)보다 위쪽에 배치되도록 전용물병(200)을 뒤집는다.
마지막으로 장치본체(11)를 전용물병(200)으로부터 분리하면, 전용물병(200)에 저장된 음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밀폐리브(32)와 한 쌍의 지지리브(33)를 갖도록 홀더부재(30)를 구성하고 있으나, 한 개 또는 3개 이상의 밀폐리브(32) 또는 한 개 또는 3개 이상의 지지리브(33)를 갖도록 홀더부재를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관형태의 홀더바디부(31)와 홀더바디부(31)의 외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밀폐리브(32)와 밀폐리브(32)의 하측에서 홀더바디부(31)의 외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밀폐플랜지(34)를 구비한 탄성재질의 홀더부재(30)를 포함하도록 물병지지부(20)를 구성함으로써, 물병의 종류(물병목부의 직경 및 두께, 나사산, 결합리브 등과 같은 물병목부의 외표면에 형성된 결합돌부의 형태에 따라 나누어지는 종류)를 증가시킬 수 있고, 물병의 설치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며, 물병과 수소수 제조장치 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된다(장치본체를 직선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물병목부를 홀더부재에 결합할 수 있고 물병목부가 홀더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물병목부의 내표면이 홀더부재의 밀폐리브에 가압접촉됨).
그리고 원형관 형태의 다리부(42)를 구비한 보호캡(40)을 장치본체(11)의 상단에 설치하는 한편, 종단이 다리부(42)의 내표면에 가압접촉하도록 홀더바디부(31)의 외표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리브(33)를 더 포함하도록 홀더부재(30)를 구성함으로써, 홀더부재(30)를 이용하여 보호캡(40)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장치본체(11)의 내부로 진입하는 이물질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내표면에 물병결합돌부(21a)가 형성되어 있는 외지지벽부(21)를 더 포함하도록 물병지지부(20)를 구성함으로써, 전용(專用)물병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1, 111 : 장치본체 12, 112 : 수소생성모듈
13, 113 : 온오프버튼 20 : 물병지지부
21 : 외지지벽부 30 : 홀더부재
31 : 홀더바디부 32 : 밀폐리브
33 : 지지리브 34 : 밀폐플랜지
40 : 보호캡 41 : 덮개판부
42 : 다리부 120 : 호환뭉치
121 : 협경부 122 : 뭉치결합홈부

Claims (3)

  1. 삭제
  2. 상면에 수소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소생성모듈과 물병목부가 상기 수소안내공에 연통하도록 물이 저장된 물병을 도립(倒立)상태로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물병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수소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수소를 상기 수소안내공을 통해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물병의 내부로 공급하는 방법으로 수소수를 제조하기 위한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병지지부는 원형관형태의 홀더바디부와 상기 홀더바디부의 외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밀폐리브와 상기 밀폐리브의 하측에서 상기 홀더바디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상기 밀폐리브와 나란하게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밀폐플랜지와 상기 밀폐리브와 상기 밀폐플랜지의 사이에서 상기 밀폐리브와 나란하고 상기 밀폐리브보다 더 높이 돌출되도록 상기 홀더바디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리브를 가지고, 상기 홀더바디부의 내부공간이 상기 수소안내공에 연통하고 상기 밀폐플랜지가 상기 수소안내공과 상기 홀더바디부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홀더부재를 포함하고;
    덮개판부와 상기 덮개판부의 저면으로부터 원형관 형태로 연장형성된 다리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판부가 상기 홀더바디부의 상측 영역을 가리고 상기 다리부의 내표면에 상기 지지리브의 종단이 가압접촉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병지지부는 상기 홀더부재를 둘러싸도록 상기 장치본체의 상면에 기립 형성되고 내표면에는 물병결합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지지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KR1020150188166A 2015-12-29 2015-12-29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KR101711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166A KR101711879B1 (ko) 2015-12-29 2015-12-29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166A KR101711879B1 (ko) 2015-12-29 2015-12-29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879B1 true KR101711879B1 (ko) 2017-03-03

Family

ID=5841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166A KR101711879B1 (ko) 2015-12-29 2015-12-29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8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152B1 (ko) * 2017-03-10 2018-10-11 주식회사 파이노 기능수 생성모듈 및 기능수 생성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387A (ja) * 2005-09-30 2007-04-19 Makoto Fukada 浄化層ユニット弁
JP2011051656A (ja) * 2009-08-06 2011-03-17 Hiromaito Co Ltd ガス発生用蓋及び水へのガス溶解方法
KR20150085152A (ko) * 2014-01-13 2015-07-23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KR20150126547A (ko) * 2014-05-02 2015-11-12 (주)기성 호환 가능한 수소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387A (ja) * 2005-09-30 2007-04-19 Makoto Fukada 浄化層ユニット弁
JP2011051656A (ja) * 2009-08-06 2011-03-17 Hiromaito Co Ltd ガス発生用蓋及び水へのガス溶解方法
KR20150085152A (ko) * 2014-01-13 2015-07-23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KR20150126547A (ko) * 2014-05-02 2015-11-12 (주)기성 호환 가능한 수소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152B1 (ko) * 2017-03-10 2018-10-11 주식회사 파이노 기능수 생성모듈 및 기능수 생성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8795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functional water
KR101728010B1 (ko) 초음파 수소수 미스트 발생장치
JP3220389U (ja) 機能水生成装置
US7377711B2 (en) Liquid cosmetic case
CN104775131A (zh) 便携式氢水制备装置
KR20180070881A (ko) 휴대용 수소수 분무기
KR20160133621A (ko) 수소수 분무기
KR101805760B1 (ko) 휴대용 수소수 생성 장치
KR101624323B1 (ko) 호환 가능한 수소수 제조장치
JP5965742B2 (ja) 吐出容器
KR101711879B1 (ko)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KR101935568B1 (ko) 수소 함유 화장수 제공장치 및 방법
KR102104374B1 (ko) 봉타입 전극이 구비된 휴대용 수소수 미스트기
KR20180065616A (ko) 수소미스트 분사장치
KR102125778B1 (ko) 수소수미스트분사장치
KR101606805B1 (ko) 누수방지용 캡을 가진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KR101867370B1 (ko) 휴대형 수소수 제조 장치
KR101211390B1 (ko) 음료 공급장치용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KR20150145351A (ko) 물병형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
KR20150085152A (ko)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KR101727619B1 (ko) 내부누수 방지형 수소발생 모듈
KR20110122286A (ko) 산소수 제조용 물통
JP5311475B2 (ja) 液体吐出ポンプ
US20180008509A1 (en) Solution bottle
KR20180114564A (ko) 휴대용 유격막 수소수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