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661B1 -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 olt, onu/ont 및 그 제공 방법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 olt, onu/ont 및 그 제공 방법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661B1
KR101711661B1 KR1020100134065A KR20100134065A KR101711661B1 KR 101711661 B1 KR101711661 B1 KR 101711661B1 KR 1020100134065 A KR1020100134065 A KR 1020100134065A KR 20100134065 A KR20100134065 A KR 20100134065A KR 101711661 B1 KR101711661 B1 KR 101711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ont
onu
connection
pt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230A (ko
Inventor
권율
김홍주
예병호
전경규
김영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4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661B1/ko
Priority to US13/330,717 priority patent/US8837945B2/en
Publication of KR20120072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58Access network architectures
    • H04L12/2861Point-to-multipoint connection from the data network to the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6Provisions for optical burst or packe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79Operation or maintenance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의 가입자 종단의 ONU/ONT와 타방의 가입자 종단의 ONU/ONT 간에 PTL 커넥션을 설정하고, ONU/ONT와 OLT 간의 PON 구간에는 PTL-PON 방식을 적용하여, 망 전체적으로 단일화된 PTL 커넥션을 관리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 수신되는 패킷의 커넥션을 관리하며 상기 패킷의 전송 방향에 따라 포맷 변환하여 전송하는 OLT; 및 상기 PTL 커넥션의 앤드 포인트(End Point)가 되어, 수신되는 패킷의 전송 방향에 따라 패킷을 포맷 변환하여 가입자 단말 또는 상기 OLT에 전송하는 ONU/ONT를 포함하는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PTL)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PON)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여, 가입자 종단의 ONU/ONT까지 PTL 방식이 확장되고, 메트로 망, 코어 망, 액세스 망, 전체가 하나의 커넥션으로 관리됨으로써, 고 신뢰의 패킷 정보를 가입자 종단까지 전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 OLT, ONU/ONT 및 그 제공 방법과 시스템{Connection management server, OLT, ONU/ONT and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thernet-based PTL-PON}
본 발명은 패킷 전달 계층 (Packet Transport Layer, PTL) 기술이 적용된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 OLT, ONU/ONT 및 그 제공 방법과 시스템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 네트워크 유니트 (Optical Network Unit, ONU)나 광 네트워크 터미널 (Optical Network Terminal, ONT)과, 광선로 종단장치 (Optical Line Termination, OLT) 사이의 커넥션 관리를 위한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 OLT, ONU/ONT 및 그 제공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 출원한 특허인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출원번호 2009-0128433)에 기반하여 더 구체화 한 것이다.
최근 통신망에서는 인터넷의 비중이 커지면서 모든 통신 서비스가 패킷화되고 있으며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의 음성 서비스와,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의 영상 서비스를 유무선 패킷 네트워크에서 안정되게 제공하기 위하여 신뢰성이 높은 패킷 전달 계층 (Packet Transport Layer, PTL, 이하, PTL이라 한다.) 방식의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PTL 방식은 전달의 다양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모든 통신 서비스가 패킷으로 이루어지며 패킷을 서킷 수준으로 정확하게 전달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패킷의 전달 품질이 보장되는 반면 액세스 망에서 적용되지 않아서 가입자 종단 간에 보장되지 못하고 국사 간의 통신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Passive Optical Network, 이하, PON이라 한다.) 방식에서는 이더넷 PON (Ethernet PON, E-PON)과 기가비트 PON (Gigabit PON, G-PON) 방식이 있다. E-PON 방식은 이더넷을 사용하는 통신에 적합하여 이더넷 스위치로 구성된 이더넷 망에 적용되고, G-PON 방식은 이더넷과 비동기 전송 방식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그리고 서킷 통신이 가능한 방식이다. 이러한 PON 방식은 주로 이더넷 망에 적용하기에 용이하며 품질 보장을 위해 연결 설정이 필요한 PTL 망에는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이하, 이더넷을 기반으로 하는 PON (이하, E-PON이라 한다.)에 적용된 PTL 방식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가입자 종단의 광 네트워크 유니트 (Optical Network Unit, ONU, 이하 ONU라 한다.)나 광 네트워크 터미널 (Optical Network Terminal, ONT, 이하 ONT라 한다.)에서 전송된 패킷은 광선로 종단장치 (Optical Line Termination, OLT, 이하 OLT라 한다.)를 거쳐 일방의 패킷 스위치에 수집된다. 수집된 패킷은 메트로 망과 코어 망의 패킷 스위치나 라우터를 거쳐 타방의 패킷 스위치에 전달되어 다른 가입자 종단에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메트로 망과 코어 망에서는 커넥션 관리 서버에 의해 채널이 설정되어 커넥션의 상태가 관리된다. 그러나 액세스 망의 OLT와 ONU/ONT 사이는 E-PON 측 서버에 의해 물리적인 링크만 관리되고 커넥션 상태가 관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전달 정보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메트로 망과 코어 망에서 발생된 것인지 여부는 파악이 가능하지만, 액세스 망에서 발생된 것인지는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PON에서 PTL 방식을 적용할 때, 패킷 스위치에서 가입자 종단의 ONU/ONT까지 커넥션 관리가 능동적으로 가능한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 OLT, ONU/ONT 및 그 제공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의 커넥션 관리 서버에 있어서, 일방의 가입자 종단의 ONU/ONT와 타방의 가입자 종단의 ONU/ONT 간에 PTL 커넥션을 설정하고, ONU/ONT와 OLT 간의 PON 구간에는 PTL-PON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망 전체적으로 단일화된 PTL 커넥션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커넥션 관리 서버는 패킷의 정보를 포함하는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하여 상기 OLT에 내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르면,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의 OLT에 있어서, 수신되는 패킷의 커넥션을 관리하며 상기 패킷의 전송 방향에 따라 포맷 변환하여 ONU/ONT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T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킷의 커넥션 관리는, 커넥션 관리 서버로부터 패킷의 정보를 포함하는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을 전달받고, 상기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상기 ONU/ONT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상기 ONU/ONT에 사용하는 제 2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하여,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을 상기 ONU/ONT에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넥션 관리 서버로부터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 및 해지 요청이 있으면,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을 갱신하고, 상기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 및 해지 요청과 함께 상기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ONU/ONT에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패킷이 입력되면, 입력된 패킷이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에 등록된 패킷인지를 판단하고, 등록되지 않는 패킷이라면 폐기하고, 등록된 패킷이라면, 상기 패킷의 방향이 ONU/ONT를 향하는 제 1방향인지, 패킷 스위치를 향하는 제 2방향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패킷의 전송방향이 제 1방향이면, 상기 패킷에 상기 ONU/ONT의 로지컬 링크 식별자 (Logical Link Identifier)와 상기 ONU/ONT를 구별하는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PTL-PON 헤더를 붙여서 변환 출력하고, 상기 패킷의 전송방향이 제 2방향이면, 상기 패킷에 상기 PTL-PON 헤더를 제거하여 변환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OLT는 상기 ONU/ONT와 연결되어 패킷을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폰 포트 (PON port); 패킷 스위치와 연결되어 패킷을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포트 (Uplink port); 상기 폰 포트 (PON port) 및 업링크 포트 (Uplink port)와 연결되어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해당 패킷을 소정의 폰 포트 (PON port) 또는 업링크 포트 (Uplink port)로 스위칭하는 패킷 스위칭 블록;및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패킷 스위칭 블록에 패킷 스위치 제어 신호를 보내고, 패킷을 특정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르면,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의 ONU/ONT에 있어서, PTL 커넥션의 앤드 포인트(End Point)가 되어, 수신되는 패킷의 전송 방향에 따라 패킷을 포맷 변환하여 가입자 단말 또는 OLT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NU/ONT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ONU/ONT는 상기 OLT로부터 ONU/ONT에서 사용되는 제 2커넥션 테이블을 전달 받고, 상기 OLT로부터 상기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 및 해지 요청 및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을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패킷이 입력되면, 입력된 패킷이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에 등록된 패킷인지를 판단하고, 등록되지 않는 패킷이라면 폐기하고, 등록된 패킷이라면, 상기 패킷의 방향이 가입자 단말장치를 향하는 제 3방향인지, 상기 OLT를 향하는 제 4방향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패킷의 전송방향이 제 3방향이면, 상기 패킷에서 ONU/ONT의 로지컬 링크 식별자와 ONU/ONT를 구별하는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PTL-PON 헤더를 제거하고, 패킷이 소속된 채널에 대한 구분자를 포함하는 PTL 헤더를 제거하여 변환 출력하고, 상기 패킷의 전송방향이 제 4방향이면, 상기 패킷에서 상기 PTL 헤더를 붙이고, 상기 PTL-PON 헤더를 추가적으로 더 붙여 변환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ONU/ONT는 상기 OLT와 연결되어 패킷을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폰 포트 (PON port);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와 연결되어 패킷을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더넷 포트; 상기 폰 포트 (PON port)및 이더넷 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해당 패킷을 소정의 폰 포트 (PON port) 또는 이더넷 포트로 스위칭하는 패킷 스위칭 블록; 및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패킷 스위칭 블록에 제어 신호를 보내고, 패킷을 특정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르면, 가입자 종단의 ONU/ONT와 OLT 간의 커넥션을 커넥션 관리 서버가 설정하는 PTL 방식의 PON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관리 서버로부터 패킷의 커넥션 정보를 포함하는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을 전달받는 단계; 상기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상기 ONU/ONT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상기 ONU/ONT에서 사용하는 제 2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을 상기 ONU/ONT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더넷에 기반을 둔 PTL 방식의 PON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션 관리 서버로부터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 및 해지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 및 해지 요청이 있으면, 상기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ONU/ONT에게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 및 해지 요청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패킷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패킷이 입력되었으면, 입력된 패킷이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에 등록된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패킷이 등록되지 않는 패킷이라면 폐기하고, 등록된 패킷이라면, 상기 패킷의 방향이 ONU/ONT를 향하는 제 1방향인지, 패킷 스위치를 향하는 제 2방향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패킷의 전송방향이 제 1방향이면, 상기 패킷을 스위칭 한 후, 상기 ONU/ONT의 로지컬 링크 식별자 (Logical Link Identifier, LLID)와 상기 ONU/ONT를 구별하는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PTL-PON 헤더를 상기 패킷에 붙여서 출력하고, 상기 패킷의 전송방향이 제 2방향이면, 상기 패킷에 상기 PTL-PON 헤더를 제거한 후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OLT로부터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 및 해지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 및 해지 요청이 있으면, 상기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패킷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패킷이 입력되었으면, 입력된 패킷이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에 등록된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패킷이 등록되지 않는 패킷이라면 폐기하고, 등록된 패킷이라면, 상기 패킷의 방향이 가입자 단말장치를 향하는 제 3방향인지, 상기 OLT를 향하는 제 4방향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패킷의 전송방향이 제 3방향이면, 상기 패킷에서 상기 ONU/ONT의 LLID와 상기 ONU/ONT를 구별하는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PTL-PON 헤더를 제거한 후 스위칭하고, 스위칭된 패킷에서 패킷이 소속된 채널에 대한 구분자를 포함하는 PTL 헤더를 제거하여 출력하고, 상기 패킷의 전송방향이 제 4방향이면, 상기 패킷에서 상기 PTL 헤더를 붙여서 변환한 후 스위칭하고, 스위칭된 패킷에 상기 PTL-PON 헤더를 추가적으로 더 붙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은, 각 PTL 커넥션에 대해, 백본 도착지 주소 (Backbone Destination Address, B-DA)와 및 백본 가상랜 구분자 (Backbone VLAN Identifier, B-VID)를 주소로 하여, 통신 품질 파라미터 (QoS parameters), 서비스 타입 (Service type), 패킷 스위치의 입력 포트 (Switch Ingress port)와 출력 포트 (Switch Egress por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은, 각 PTL 방식의 PON 커넥션에 대해, 백본 도착지 주소 (Backbone Destination Address, B-DA)와 및 백본 가상랜 구분자 (Backbone VLAN Identifier, B-VID)를 주소로 하여, 상기 ONU/ONT의 입력 포트 (Ingress port), 출력 포트 (Egress port), LLID와 포트 번호(port #), 통신 품질 등급 (QoS class), 서비스 타입 (Service typ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은, 각 PTL 방식의 PON 커넥션에 대해, 백본 도착지 주소 (Backbone Destination Address, B-DA)와 및 백본 가상랜 구분자 (Backbone VLAN Identifier, B-VID)를 주소로 하여, 상기 ONU/ONT의 LLID와 포트 번호 (port #), 가입자 방향의 포트 (User side port), 통신 품질 등급 (QoS class), 서비스 타입 (Service typ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OLT 및 ONU/ONT는 상기 액세스 망에서 운용유지보수 (OAM, (Operation and Maintenanc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르면, 일방의 가입자 종단의 ONU/ONT와 타방의 가입자 종단의 ONU/ONT 간에 PTL 커넥션을 설정하고, ONU/ONT와 OLT 간의 PON 구간에는 PTL-PON 방식을 적용하여, 망 전체적으로 단일화된 PTL 커넥션을 관리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 수신되는 패킷의 커넥션을 관리하며 상기 패킷의 전송 방향에 따라 포맷 변환하여 전송하는 OLT; 및 상기 PTL 커넥션의 앤드 포인트(End Point)가 되어, 수신되는 패킷의 전송 방향에 따라 패킷을 포맷 변환하여 가입자 단말 또는 상기 OLT에 전송하는 ONU/ONT를 포함하는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 OLT, ONU/ONT 및 그 제공 방법과 시스템 에 따르면, 가입자 종단의 ONU/ONT까지 PTL방식의 기술을 확장 적용하여, ONU/ONT와 OLT 간에도 PTL 커넥션을 설정하고 운용함으로써, 메트로 망, 코어 망, 액세스 망, 전체가 단일 커넥션으로 운용관리 가능하여, 고 신뢰의 패킷 정보를 가입자 종단까지 전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에 기반을 둔 PTL 방식의 PON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포함하여 커넥션이 연결된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PTL-PON 헤더 및 PTL 헤더를 포함하는 패킷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의 포맷 변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커넥션 관리 서버가 생성하는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표,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OLT가 생성하는 제 1커넥션 테이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표,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OLT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도 1에서 ONU/ONT가 사용하는 제 2커넥션 테이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표,
도 8은, 도 1에서 도시한 ONU/ONT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PTL 방식의 PON 제공 방법의 일 실시 예에서 OLT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PTL 방식의 PON 제공 방법의 일 실시 예에서 ONU/ONT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PTL 방식의 PON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TL 방식의 PON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포함하여 커넥션이 연결된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PTL 방식의 PON 제공 시스템은 가입자 종단 (P1, P2, P3, P4, P5)에 설치되는 ONU/ONT (130)와 OLT (120), 광 집속/분배를 위한 광 접속점 (Remote Node, RN) (R) 및 커넥션 관리 서버 (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입자 종단 (P1, P2, P3, P4, P5)에서 단일 가입자에게 포트를 제공하면 ONT (120)라 하고, 복수의 가입자에게 복수의 포트를 제공하면 ONU (120)라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ONT와 ONU를 묶어서 ONU/ONT (130)라 표시한다.
ONU/ONT (130)에서 전송된 패킷은 OLT (120)를 거쳐 패킷 스위치(SW1)에서 수집되고 수집된 패킷 중 같은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들은 같이 묶여서 메트로 망과 코어 망을 거쳐 상대 가입자에게 전달된다. 이때 커넥션 관리 서버 (110)는 패킷이 전달되는 경로를 채널 (C1, C2, C3)로 설정하여 관리하는데, 동일한 출발지와 도착지를 가진 채널은 PTL 채널 그룹 (10)으로 묶어서 관리한다. 여기서 채널 (C1, C2, C3)은 한쪽편의 ONU/ONT (130)에서 상대편의 ONU/ONT (130) 간에 연결되어 있는 채널을 의미하며, PTL 채널 그룹 (10)은 패킷 스위치 (SW1, SW2, SW3, SW4) 간을 연결하는 채널들의 연결 통로를 의미한다. 채널이나 채널 그룹은 각각, PTL 커넥션으로 관리된다.
커넥션 관리 서버 (110)는 이러한 채널 (C1, C2, C3)과 채널 그룹 (10)을 설정하여 모든 구간의 커넥션 상태를 관리한다. 여기서, 커넥션 관리 서버 (110)가 설정하는 채널 (C1, C2, C3)은, 액세스 망의 ONU/ONT(130)과 OLT(120)에서는 PTL-PON 방식이 적용되고, 국사 간에는 PTL 방식이 적용되며, 또한 국사 간에는 채널 그룹 (10)을 설정하여, PTL 커넥션을 종합적으로 관리한다.
패킷 스위치 (SW1, SW2, SW3, SW4)와 OLT (120)와 ONU/ONT (130)는 액세스 망, 메트로 망 및 코어 망에서 PTL 커넥션에 대해 PBB-TE (Provider Backbone Bridges-Traffic Engineering)에서 정의한 OAM (Operation and Maintenance) 기능인, 연속성 검사 (Continuity Check), 루프백 검사 (Loopback Check), AIS/RDI (Alarm Indication Signal/Remote Detect Indication) 상태 알림, 등의 커넥션 상태 감시 기능을 수행하고, 그 결과인 커넥션 상태를 커넥션 관리 서버 (110)에게 보고한다.
다음으로, OLT (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OLT (120)는 상술한 커넥션 관리 서버 (110)로부터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을 내려 받아, 이를 기초로 하여 패킷의 커넥션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1커넥션 테이블을 생성 및 갱신하고, ONU/ONT (130)에서 사용하는 제 2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하여 후술될 ONU/ONT (130)에 내려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PTL-PON 헤더 및 PTL 헤더를 포함하는 패킷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PTL 기술이 적용되는 OLT (120)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면, OLT (120)는 패킷을 OLT (120)와 ONU/ONT (130) 사이 구간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포맷 변환한다.
즉, OLT (120)와 ONU/ONT (130) 사이 구간에서는 PTL-PON 패킷의 포맷이 사용되고, 메트로 망과 코어 망에서는 PTL 패킷의 포맷이 사용되는데,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PTL-PON 패킷의 포맷은 “B-DA”와 “B-VID” 등과 같은 패킷이 소속된 구분자 (Identifier)가 포함된 헤더 (도 2의 H1, 이하 PTL 헤더라 한다.)에, 추가적으로 ONU/ONT (130)의 로지컬 링크 식별자 (Logical Link Identifier, LLID)와 ONU/ONT (130)를 구별하는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헤더 (도 2의 H2, 이하 PTL-PON 헤더라 한다.)를 붙인 것을 말한다.
여기서, 로지컬 링크 식별자는 복수개의 가상링크를 식별하는 구분자로서, OLT (120)의 한 포트에 복수개의 ONT/ONU (130)가 연결되는데, 이때 ONT/ONU를 구별하는데 사용한다. 그리고 포트 번호는 ONU/ONT (130)가 가지는 포트 번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ONU/ONT (130)에 IP 전화기와 IPTV가 연결된 경우 두 개의 포트로 구분된다.
도 3은,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킷의 포맷 변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PTL 커넥션은 일방의 가입자에서 타방의 가입자까지 연결되는데, PTL 방식이 적용되는 패킷 스위치 (SW1, SW2, SW3, SW4) 간의 구간에는 PTL 포맷의 패킷이 흘러 다니고, PTL-PON 방식이 적용된 OLT (120)와 ONU/ONT (130) 사이에서는 PTL-PON 포맷의 패킷이 전달된다.
상술하였듯이, PTL-PON 패킷의 포맷에는 PTL 헤더 (H1)외에 PTL-PON 헤더 (H2)가 더 포함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킷이 ONU/ONT (130) 방향으로 전달되는 경우, OLT(120)는 PTL 패킷에 PTL-PON 헤더 (H2)를 더 붙인 PTL-PON 패킷을 만들어 광 접속점 (Remote Node, RN) (R)을 거쳐 ONU/ONT (130)에 전달하고, 패킷이 패킷 스위치 (SW1)방향으로 전달되는 경우, ONU/ONT (130)에서 전송된 PTL-PON 패킷에서 PTL-PON 헤더 (H2)를 제거한 PTL 패킷을 패킷 스위치 (SW1)로 전달한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커넥션 관리 서버가 생성하는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표이다.
한편, 커넥션 관리 서버 (110)가 생성한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의 구성은 도 4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은 패킷이 소속된 채널 (커넥션)에 대한 구분자를 기반으로 여러 가지 커넥션 정보를 포함한다, 즉, PTL 커넥션에 대해 “B-DA”와 “B-VID”를 주소로 하여 커넥션의 각 파라미터인, QoS 파라미터, 서비스 타입 (Service type), 패킷 스위치 (SW1, SW2, SW3, SW4)의 입력 포트 (Switch Ingress port)와 출력 포트 (Switch Egress port) 등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B-DA는 백본 도착지 주소 (Backbone Destination Address, 이하, B-DA라 한다.)를 말하며, B-VID는 백본 가상랜 구분자 (Backbone VLAN Identifier, 이하, B-VID라 한다.)를 말하는 것으로, 패킷이 소속된 구분자 (Identifier)로 사용된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OLT가 생성하는 제 1커넥션 테이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표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OLT (120)는 OLT (120) 및 ONU/ONT (130)에서 커넥션에 대역폭을 할당하고 스위칭할 수 있는 정보 및 ONU/ONT (13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 1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하여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은,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OLT (120)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PTL 커넥션에 대해 “B-DA”와 “B-VID”를 주소로 하여 OLT (120)의 입력 포트 (Ingress port)와 출력 포트 (Egress port), ONT/ONU (130)를 구분하는 로지컬 링크 식별자 (LLID)와 그 포트 번호 (port #), PTL 커넥션의 통신 품질 등급 (QoS class)과 서비스 타입 (Service type),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OLT (120)는 상술한 커넥션 관리 서버 (110)로부터 새로운 커넥션 정보를 전달받으면, 제 1커넥션 테이블을 갱신한다. 즉, 기존 PTL 커넥션에 대한 해지 또는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 OLT (120)는 “B-DA”와 “B-VID”를 주소로 하여 제 1커넥션 테이블에서 해당 PTL 커넥션을 해지 또는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OLT (120)는 새로운 커넥션 정보를 ONU/ONT (130)에 내려 주어 제 2커넥션 테이블을 갱신하도록 요청한다.
그리고, OLT (120)에 입력된 패킷이 있는 경우, OLT (120)는 제 1커넥션 테이블에 해당 패킷이 등록이 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등록되지 않은 경우, 해당 패킷을 폐기하고, 등록된 경우, 전송방향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패킷의 포맷 변환을 수행한다.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OLT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블록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OLT (120)는 ONU/ONT (130)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폰 포트 (PON port) (121)와 패킷 스위치 (SW1, SW4)와 연결되는 업링크 포트 (Uplink port) (123)와 패킷 스위칭 블록 (122)과 제 1커넥션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는 제어부 (124)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만약, 업링크 포트 (123)로 패킷이 입력되면, 제어부 (124)의 제 1커넥션 테이블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패킷은 패킷 스위칭 블록 (122)에 의해 특정 폰 포트 (121)로 스위칭되고, 패킷에 PTL-PON 헤더가 더 붙어서 포맷 변환되어 해당 폰 포트 (121)로 출력될 것이다. 이러한 패킷의 전송방향은 ONU/ONT (130)로 향하는 방향으로 판단된 것이다.
반면에, 폰 포트 (121)로 패킷이 입력되면, 제어부 (124)의 제 1커넥션 테이블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패킷은 패킷 스위칭 블록(122)에 의해 특정 업링크 포트 (123)로 스위칭되고, 패킷에 PTL-PON 헤더가 제거되어 포맷 변환된 상태로 해당 업링크 포트 (123)로 출력될 것이다. 이러한 패킷의 전송방향은 패킷 스위치 (SW1, SW4)로 향하는 방향으로 판단된 것이다.
한편, OLT (120)는 커넥션의 대역폭을 할당하고 스위칭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 2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하여 ONU/ONT (130)에 내려 준다. 때문에,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은 ONU/ONT (130)에서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 7은, 도 1에서 ONU/ONT가 사용하는 제 2커넥션 테이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표이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은 “B-DA”와 및 “B-VID”를 주소로 하여, 상기 OLT (120)의 로지컬 링크 식별자 (LLID)와 포트 번호 (port #), 가입자 방향의 포트 (User side port), 통신 품질 등급 (QoS class), 서비스 타입 (Service type)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ONU/ONT (13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ONU/ONT (130)는 상술한 OLT (120)로부터 제 2커넥션 테이블을 내려 받아 사용하고, 새로운 커넥션 정보를 내려 받는 경우, 제 2커넥션 테이블을 갱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8은, 도 1에서 도시한 ONU/ONT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ONU/ONT (130)는 OLT (120)와 더불어 PTL-PON 시스템을 구성하여 PTL-PON 구간에서 PTL-PON 포맷이 패킷에 적용될 수 있도록 포맷 변환한다.
이하, 제 2커넥션 테이블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ONU/ONT (130)의 구성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ONU/ONT (130)는 OLT (120)와 연결되는 폰 포트 (133)와 가입자 단말장치와 연결되는 이더넷 포트 (131)와 패킷 스위칭 블록 (132)과 제 2커넥션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는 제어부 (134)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폰 포트 (133)로 패킷이 입력되면, 제어부 (134)의 제 2커넥션 테이블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패킷은 패킷 스위칭 블록 (132)에 의해 특정 이더넷 포트 (131)로 스위칭되고, 패킷에서 PTL-PON 헤더와 PTL 헤더가 제거되어 포맷 변환된 상태로 해당 이더넷 포트 (131)로 출력될 것이다. 이러한 패킷의 전송방향은 가입자 단말장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판단된 것이다.
반면에, 이더넷 포트 (131)로 패킷이 입력되면, 제어부 (134)의 제 2커넥션 테이블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패킷에 PTL 헤더를 붙인 다음 스위칭 블록 (132)에 의해 특정 폰 포트 (133)로 스위칭하고, 다시 패킷에 PTL-PON 헤더를 더 붙여 포맷 변환되어 해당 폰 포트 (133)로 출력될 것이다. 이러한 패킷의 전송방향은 OLT (120)로 향하는 방향으로 판단된 것이다.
이러한 ONU/ONT (130)는 상술한 커넥션 관리 서버 (110)에서 PTL방식으로 커넥션을 관리할 수 있는 종단점 (End Point)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으로,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PTL 방식의 PON 제공 방법의 일 실시 예에서 OLT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PTL 방식의 PON 제공 방법의 일 실시 예에서 ONU/ONT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OLT (120)는 먼저, 초기화 과정에서 커넥션 관리 서버 (110)로부터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을 내려 받아, 이를 기초로 하여 제 1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한다.(S110)
이후, S120 단계에서는, OLT (120)가 상기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ONU/ONT (13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한다.(S120)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ONU/ONT (130)가 사용하는 PTL-PON 방식의 제 2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하여 ONU/ONT (130)에게 내려 준다.(S130)
다음으로, 초기화 과정이 끝나면 일반적인 동작으로, OLT (120)는 커넥션 관리 서버 (110)로부터 새로운 커넥션 정보가 있는지 판단한다.(S140) 여기서, 새로운 커넥션 정보는 앞서 살펴 보았듯이, 기존 PTL 커넥션에 대한 해지 또는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에 관한 것으로, 새로운 커넥션 정보가 있는 경우, 제 1커넥션 테이블을 갱신한다.(S141)
제 1커넥션 테이블의 갱신은 “B-DA”와 “B-VID”를 주소로 하여 제 1커넥션 테이블에서 해당 PTL 커넥션을 해지 또는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후, OLT (120)는 새로운 커넥션 정보를 ONU/ONT (130)에 내려 주어 제 2커넥션 테이블을 갱신하도록 요청한다.(S142)
다음 과정으로, OLT (120)는 입력된 패킷이 있는지 판단 (S150)하고, 입력된 패킷이 있다면, 해당 패킷이 제 1커넥션 테이블에 등록된 패킷인지를 판단한다.(S160) 해당 패킷이 등록된 패킷이 아니라면, 이를 폐기하고 (S161), 등록된 패킷이라면, 해당 패킷의 전송방향을 판단한다.(S170)
해당 패킷의 전송방향이 ONU/ONT (130)를 향하면, 폰 포트 (121)로 스위칭한 다음, 패킷에 PTL-PON 헤더를 붙여서 포맷을 변환하고 출력한다.(S171) 반면에, 패킷의 전송방향이 패킷 스위치 (SW1, SW4)를 향하면, 패킷에 PTL-PON 헤더를 제거하여 포맷을 변환하고 업링크 포트 (123)로 스위칭하여 출력한다.(S172)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ONU/ONT (130)는 먼저 자체 초기화 시에, OLT (120)로부터 제 2커넥션 테이블을 내려 받는다.(S210) 그리고, 초기화가 끝나면 OLT (120)로부터 새로운 커넥션 정보가 있는지 판단한다.(S220) 새로운 커넥션 정보가 있는 경우, 제 2커넥션 테이블을 갱신한다.(S221)
제 2커넥션 테이블의 갱신은 “B-DA”와 “B-VID”를 주소로 하여 제 2커넥션 테이블에서 해당 PTL 커넥션을 해지 또는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음 과정으로, ONU/ONT (130)는 입력된 패킷이 있는지 판단 (S230)하고, 입력된 패킷이 있다면, 해당 패킷이 제 2커넥션 테이블에 등록된 패킷인지를 판단한다.(S240) 해당 패킷이 등록된 패킷이 아니라면, 이를 폐기하고,(S241) 등록된 패킷이라면, 해당 패킷의 전송방향을 판단한다.(S250)
해당 패킷의 전송방향이 OLT (120)를 향하면, 입력 이더넷 포트 (131)에서 패킷에 PTL 헤더를 불이고,(S251) 폰 포트 (133)로 스위칭한 다음, 패킷에 추가적으로 PTL-PON 헤더를 더 붙여 포맷을 변환하고 출력한다.(S252) 반면에, 패킷의 전송방향이 가입자 단말장치를 향하면, 패킷에 PTL-PON 헤더를 제거한 다음. 이더넷 포트 (131)로 스위칭하고, PTL 헤더를 제거하여 포맷을 변환하고 출력한다.(S254)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커넥션 관리 서버 120: OLT
121: OLT의 폰 포트 122: OLT의 패킷 스위칭 블록
123: OLT의 업링크 포트 124: OLT의 제어부
130: ONU/ONT 131: ONU/ONT의 이더넷 포트
132: ONU/ONT의 패킷 스위칭 블록 133: ONU/ONT의 폰 포트
134: ONU/ONT의 제어부 SW1, SW2, SW3, SW4: 패킷 스위치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의 OLT에 있어서,
    수신되는 패킷의 커넥션을 관리하며 상기 패킷의 전송 방향에 따라 포맷 변환하여 ONU/ONT에 전송하고,
    상기 패킷의 커넥션 관리는,
    커넥션 관리 서버로부터 패킷의 정보를 포함하는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을 전달받고, 상기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상기 ONU/ONT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상기 ONU/ONT에 사용하는 제 2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하여,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을 상기 ONU/ONT에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T.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관리 서버로부터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 및 해지 요청이 있으면,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을 갱신하고, 상기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 및 해지 요청과 함께 상기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ONU/ONT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T.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이 입력되면, 입력된 패킷이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에 등록된 패킷인지를 판단하고, 등록되지 않는 패킷이라면 폐기하고, 등록된 패킷이라면, 상기 패킷의 방향이 ONU/ONT를 향하는 제 1방향인지, 패킷 스위치를 향하는 제 2방향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패킷의 전송방향이 제 1방향이면, 상기 패킷에 상기 ONU/ONT의 로지컬 링크 식별자 (Logical Link Identifier)와 상기 ONU/ONT를 구별하는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PTL-PON 헤더를 붙여서 변환 출력하고,
    상기 패킷의 전송방향이 제 2방향이면, 상기 패킷에 상기 PTL-PON 헤더를 제거하여 변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T.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ONU/ONT와 연결되어 패킷을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폰 포트 (PON port);
    패킷 스위치와 연결되어 패킷을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포트 (Uplink port);
    상기 폰 포트 (PON port) 및 업링크 포트 (Uplink port)와 연결되어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해당 패킷을 소정의 폰 포트 (PON port) 또는 업링크 포트 (Uplink port)로 스위칭하는 패킷 스위칭 블록;및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패킷 스위칭 블록에 패킷 스위치 제어 신호를 보내고, 패킷을 특정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T.
  8.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의 ONU/ONT에 있어서,
    PTL 커넥션의 앤드 포인트(End Point)가 되어, 수신되는 패킷의 전송 방향에 따라 패킷을 포맷 변환하여 가입자 단말 또는 OLT에 전송하며, 상기 OLT로부터 상기 ONU/ONT에 사용하는 제2 커넥션 테이블을 전달받고,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은,
    상기 OLT가 커넥션 관리 서버로부터 패킷의 정보를 포함하는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상기 ONU/ONT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NU/ONT.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OLT로부터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 및 해지 요청 및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NU/ONT.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이 입력되면, 입력된 패킷이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에 등록된 패킷인지를 판단하고, 등록되지 않는 패킷이라면 폐기하고, 등록된 패킷이라면, 상기 패킷의 방향이 가입자 단말장치를 향하는 제 3방향인지, 상기 OLT를 향하는 제 4방향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패킷의 전송방향이 제 3방향이면, 상기 패킷에서 ONU/ONT의 로지컬 링크 식별자와 ONU/ONT를 구별하는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PTL-PON 헤더를 제거하고, 패킷이 소속된 채널에 대한 구분자를 포함하는 PTL 헤더를 제거하여 변환 출력하고,
    상기 패킷의 전송방향이 제 4방향이면, 상기 패킷에서 상기 PTL 헤더를 붙이고, 상기 PTL-PON 헤더를 추가적으로 더 붙여 변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NU/ONT.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OLT와 연결되어 패킷을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폰 포트 (PON port);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와 연결되어 패킷을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더넷 포트;
    상기 폰 포트 (PON port)및 이더넷 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에 기초하여 해당 패킷을 소정의 폰 포트 (PON port) 또는 이더넷 포트로 스위칭하는 패킷 스위칭 블록; 및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패킷 스위칭 블록에 제어 신호를 보내고, 패킷을 특정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NU/ONT.
  12. 가입자 종단의 ONU/ONT와 OLT의 커넥션을 커넥션 관리 서버가 설정하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관리 서버로부터 커넥션 정보를 포함하는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을 전달받는 단계;
    상기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상기 ONU/ONT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상기 ONU/ONT에서 사용하는 제 2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을 상기 ONU/ONT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관리 서버로부터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 및 해지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 및 해지 요청이 있으면, 상기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ONU/ONT에게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 및 해지 요청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패킷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패킷이 입력되었으면, 입력된 패킷이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에 등록된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패킷이 등록되지 않는 패킷이라면 폐기하고, 등록된 패킷이라면, 상기 패킷의 방향이 ONU/ONT를 향하는 제 1방향인지, 패킷 스위치를 향하는 제 2방향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패킷의 전송방향이 제 1방향이면, 상기 패킷을 스위칭 한 후, 상기 ONU/ONT의 로지컬 링크 식별자 (Logical Link Identifier)와 상기 ONU/ONT를 구별하는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PTL-PON 헤더를 상기 패킷에 붙여서 변환 출력하고,
    상기 패킷의 전송방향이 제 2방향이면, 상기 패킷에 상기 PTL-PON 헤더를 제거하여 변환한 후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OLT로부터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 및 해지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등록 및 해지 요청이 있으면, 상기 새로운 커넥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패킷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패킷이 입력되었으면, 입력된 패킷이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에 등록된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패킷이 등록되지 않는 패킷이라면 폐기하고, 등록된 패킷이라면, 상기 패킷의 방향이 가입자 단말장치를 향하는 제 3방향인지, 상기 OLT를 향하는 제 4방향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패킷의 전송방향이 제 3방향이면, 상기 패킷에서 상기 ONU/ONT의 로지컬 링크 식별자 (Logical Link Identifier)와 상기 ONU/ONT를 구별하는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PTL-PON 헤더를 제거한 후 스위칭하고, 스위칭된 패킷에서 패킷이 소속된 채널에 대한 구분자를 포함하는 PTL 헤더를 제거하여 변환 출력하고,
    상기 패킷의 전송방향이 제 4방향이면, 상기 패킷에서 상기 PTL 헤더를 붙여서 변환한 후 스위칭하고, 스위칭된 패킷에 상기 PTL-PON 헤더를 추가적으로 더 붙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방법.
  17. 일방의 가입자 종단의 ONU/ONT와 타방의 가입자 종단의 ONU/ONT 간에 PTL 커넥션을 설정하고, ONU/ONT와 OLT 간의 PON 구간에는 PTL-PON 방식을 적용하여, 망 전체적으로 단일화된 PTL 커넥션을 관리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
    수신되는 패킷의 커넥션을 관리하며 상기 패킷의 전송 방향에 따라 포맷 변환하여 전송하는 OLT; 및
    상기 PTL 커넥션의 앤드 포인트(End Point)가 되어, 수신되는 패킷의 전송 방향에 따라 패킷을 포맷 변환하여 가입자 단말 또는 상기 OLT에 전송하는 ONU/ONT를 포함하고,
    상기 OLT는,
    상기 커넥션 관리 서버로부터 패킷의 정보를 포함하는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을 전달받고, 상기 베이스 커넥션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상기 ONU/ONT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제 1커넥션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상기 ONU/ONT에 사용하는 제 2커넥션 테이블을 생성하여, 상기 제 2커넥션 테이블을 상기 ONU/ONT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
KR1020100134065A 2010-12-23 2010-12-23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 olt, onu/ont 및 그 제공 방법과 시스템 KR101711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065A KR101711661B1 (ko) 2010-12-23 2010-12-23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 olt, onu/ont 및 그 제공 방법과 시스템
US13/330,717 US8837945B2 (en) 2010-12-23 2011-12-20 Connection management server, OLT, ONU/ONT and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thernet-based PTL-P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065A KR101711661B1 (ko) 2010-12-23 2010-12-23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 olt, onu/ont 및 그 제공 방법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230A KR20120072230A (ko) 2012-07-03
KR101711661B1 true KR101711661B1 (ko) 2017-03-13

Family

ID=46316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065A KR101711661B1 (ko) 2010-12-23 2010-12-23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 olt, onu/ont 및 그 제공 방법과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37945B2 (ko)
KR (1) KR1017116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963B1 (ko) 2018-11-30 2019-10-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Tdm-pon 시스템에서 fbg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814B1 (ko) * 2009-12-21 2013-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503381B2 (en) * 2013-01-23 2016-11-22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rrying control data in a preamble
US20140362853A1 (en) * 2013-06-11 2014-12-11 National Chung Cheng University Layer-2 multicast-based packet forwarding method for passive optical network
WO2015023948A1 (en) * 2013-08-16 2015-02-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Traffic-bearing entity identification in multiple-wavelength passive optical networks (pons)
EP3105139A4 (en) * 2014-02-10 2017-03-22 Big Belly Solar, Inc. Security technologies for electrically-powered trash compactors and receptacles
CN103916188B (zh) * 2014-03-24 2016-11-23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端子与pon口的对应关系的方法、装置和系统
KR102456413B1 (ko) * 2016-07-12 2022-10-20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선로 상태 확인장치
CN110427179B (zh) * 2019-06-26 2020-10-16 西安电子科技大学 面向智能合约语言的msvl程序自动生成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2492A1 (en) * 2006-12-15 2009-10-08 Fujitsu Limite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 and optical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unit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0886B1 (en) 1997-06-19 2003-05-27 Alcatel Time slot management method and a main station and substation realizing such a method
US6023467A (en) 1997-05-08 2000-02-08 Ericsson, Inc. Operations and maintenance data flows over a point to multipoint broadband access network
US20090060503A1 (en) * 2007-09-05 2009-03-05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Storage over optical/wireless integrated broadband access network (soba) architecture
KR101290814B1 (ko) * 2009-12-21 2013-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2492A1 (en) * 2006-12-15 2009-10-08 Fujitsu Limite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 and optical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unit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963B1 (ko) 2018-11-30 2019-10-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Tdm-pon 시스템에서 fbg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37945B2 (en) 2014-09-16
US20120163817A1 (en) 2012-06-28
KR20120072230A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661B1 (ko)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 olt, onu/ont 및 그 제공 방법과 시스템
US9455785B2 (en) Unified network management of hybrid fiber coaxial (HFC) network
US9130878B2 (en) Traffic switching in hybrid fiber coaxial (HFC) network
CN104541518B (zh) 一种构建以太网无源光网络的同轴汇聚层的方法和装置
JP5094675B2 (ja) 光受動網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および光受動網
US8027586B2 (en)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and optical line terminating apparatus
US7675936B2 (en) Passive optical network (PON) system
KR100480366B1 (ko) E-pon의 가상 랜 구성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US20230216584A1 (en) Cable modem system management of passive optical networks (pons)
US7860121B2 (en) Forwarding loop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s
JP4888515B2 (ja) 動的帯域割当装置及び方法とponシステムの局側装置
US84626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ervice adaptation and carriage
US7876762B2 (en) Ethernet service configuration device, method, and system in passive optical network
US20140348505A1 (en) 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 (docsis) over passive optical network (pon)
US20130343761A1 (en) Access Equipment that Runs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PON) or Ethernet PON Over Coax Network
JP5295273B2 (ja) データストリームフィルタリング装置及び方法
KR101290814B1 (ko)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bos Melià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Passive Optical Networks
WO2009000725A1 (en) Method and device for routing data traffic using a valan scheme and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suc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