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631B1 - 압력조절유로를 구비하는 분배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관수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조절유로를 구비하는 분배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관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631B1
KR101711631B1 KR1020160003204A KR20160003204A KR101711631B1 KR 101711631 B1 KR101711631 B1 KR 101711631B1 KR 1020160003204 A KR1020160003204 A KR 1020160003204A KR 20160003204 A KR20160003204 A KR 20160003204A KR 101711631 B1 KR101711631 B1 KR 101711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pressure
flow path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톨트리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톨트리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톨트리디자인
Priority to KR1020160003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관로들의 저류 기능을 제공하고 각각의 저류관에 등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분배수단에서 분지되는 출수부가 저류관 내부의 수위에 의한 압력의 균등화 작용에 의하여 저류관에 분배되는 수량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등수위로써 각각의 저류관에 수체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분배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압력조절유로를 구비하는 분배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관수장치{WATER DISTRIBUTION MEANS WITH PRESSURE REGULATING CHANNEL AND WATER SUPPL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높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관로들의 저류 기능을 제공하고 각각의 저류관에 등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압력조절유로를 구비하는 분배수단 및 이를 구비하는 관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급수시설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급수시설로서 관수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관수란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의미하며 관수장치는 다수의 식물에 대해 간편한 방법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소정의 시설을 통하여 유로를 형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관수장치는 일반적으로 식물의 줄기 측에서 토양측으로 살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분수살수장치와 토양측에서 직접 수분을 공급하는 지중관수장치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지중관수의 경우 종래 미세공이 다수 분포되는 튜브를 사용하였는데, 최근에는 점적호스나 점적테이프를 이용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점적(點滴)이란 물방울을 하나씩 떨어지게 하거나 천천히 흘러나오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부위에 대해 제한적으로 소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관수방법을 말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50387호는 이러한 종래의 관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관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관수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배관이나 호스와 같은 관로(10)에 하나 이상의 홀과 같은 배출부(11)가 열을 지어 배치되어 있다. 도면의 예는 상기의 다공의 튜브의 예를 도시하는데, 점적관수의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배출부(11)를 이루는 홀들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지중 또는 토양에 물을 조금씩 균등하게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관로(10)는 워터펌프와 같은 펌프(12)에 의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물을 공급받게 되는데, 펌프(12)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관로(10)의 내부를 따라 유입되어 관로(10)의 지류를 따라 유동되면서 단부측에서 막히면서 소정의 압력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배출부(11)들을 통하여 균등한 압력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구조로 삼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지류의 유입측과 단부측에서 각각 압력이 균일하지 못하기 때문에 각각의 배출부(11)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균일하지 않게 되는 문제를 가진다. 이는 지중이나 토양에 적절하게 물이 공급되지 않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데 결과적으로 식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점적관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관로(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동력원인 펌프(12)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과도한 동력의 소요가 발생되고 이렇게 사용되는 전력은 식물 생육비용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상수도의 연결이나 지하관정을 사용하는 외에 소정의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류시설인 탱크 등을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펌프(12)는 이러한 저류시설에 연결되어 물을 끌어올리는 동력으로서도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하가 증가되고, 시설을 구비함에 있어서 과도한 공간과 설비비용이 소요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우수의 저장과 배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식생 등에 필요한 물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분배수단 및 이를 구비하는 관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저류시설을 구비하지 않고도 관로 내부에 우수나 유수를 균등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비에 따른 비용과 노력의 소모를 최소화하고 물의 공급을 위한 동력소모 없이 동작될 수 있는 압력조절유로를 구비하는 분배수단 및 이를 구비하는 관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2111), 수체가 상측으로부터 유입되며 바디(2111)의 중심측에 배치되는 입수부(2120), 입수부에 유입된 수체을 저부에 일시 저장하는 저장공간과 입수부의 하단 외주측에서 상측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상승유로를 가지는 저장유로(2130), 저장유로로부터의 수체에 대한 물넘이 격벽으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월류부(2151), 월류부로부터 물넘이된 수체를 전달받아 각각의 저류관으로 분지라인(2200)을 통하여 공급하는 복수의 출수부(2150) 및 각각의 상승유로 및 출수부(2150)와 상측에서 연통되며 각각의 저류관의 저장된 수체의 양에 따라 압력을 전달하는 에어라인이 연결되는 복수의 압력조절유로(2140)를 포함하며, 각각의 출수부, 상승유로 및 압력조절유로는, 각각의 저류관에 저장된 수체의 수위가 다른 경우 서로 다른 압력을 전달받아 출수부에 배출되는 수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수위를 균등하도록 하는 분배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분지라인은, 에어라인보다 직경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유로와 출수부를 구획하는 압력조절격벽(2141)은 월류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기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정확한 수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각각의 출수부, 상승유로 및 압력조절유로는,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압력조절공간에서 연통되며 각각의 세트는 저류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바디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배수단을 포함하는 관수장치로서, 높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저류관(110), 각각의 저류관에서 하측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수단(1000), 일단이 분배수단의 출수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수단의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분지라인(2200) 및 일단이 분배수단의 압력조절유로와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수단의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에어라인(2210)을 포함하며, 각각의 연결수단과 저장유로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분배수단은, 저류관 내부의 수위에 의한 공기 압력이 상승유로에 전달되어 출수부로 배출되는 수량을 조절하는 관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에 결합되고 최초 저장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외부로 개방되는 배수부를 구비하는 밸브부(1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은, 수평관로와, 수평관로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관로를 포함하며, 밸브부에 의하여 수체의 배출시 수직관로의 최저수위는 저류관의 저면의 높이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저류관이 벽체 등에 설치된 식생부에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내부에 우수 등의 자연발생된 물을 균등하게 저장함으로써 불규칙한 강우 또는 건기와 같은 환경에서도 상수의 공급 없이도 관수가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분배수단에 의하여 수체를 균등하게 저수부로 배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저류관의 수량에 대응하여 외부 동력원 없이도 수위를 균등하게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저류의 효율성은 극대화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관수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배수단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배수단에서 상단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분배수단이 결합된 관수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관수장치에서 연결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관수장치에 식생부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유로를 구비하는 분배수단 및 이를 구비하는 관수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기본적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저류관들을 소정의 유로를 통하여 연결하며, 복수의 저류관에 우수 등의 수체를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는 분배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분배수단 및 관수장치는 벽면에 부착되거나 소정의 벽면을 구성하고 저류관들에 저장되는 우수와 같은 수체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기능하는데, 이러한 관로의 형태나 배치상태는 도시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저류관들은 대략 수평한 상대로 배치되고 상호 간에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상태를 주로 설명하나 경우에 따라 관로들이 상호 간에 평행하지 않거나, 중력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상하방향으로의 배열의 개념에 포함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유로를 구비하는 분배수단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분배수단(2100)은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2111)와, 유수가 상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입관(210)에 연결되고 바디(2111)의 중심측에 배치되는 입수부(2120)와, 입수부(2120)에 유입된 물을 일시 저장하고 입수부(2120)의 외주측에서 상측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상승유로를 가지는 저장유로(2130)와, 저장유로(2130)의 외벽을 형성하며 물넘이 격벽으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월류부(2151)와, 월류부(2151)의 외주측에 형성되고 각각의 분지라인(2200)에 연결되어 물을 각각의 저류관으로 저장유로의 물을 배수하는 출수부(2150)와, 각각의 상승유로 및 출수부(2150)와 상측에서 연통되며 각각의 저류관의 저장된 물의 양에 따라 압력을 조절하는 에어라인(2210)에 연결되는 압력조절유로(2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2111)는 상측에서 체결부(2110)에 의하여 유입관(210)과 연결되고 그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물을 저장하고, 흐르도록 하며,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그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획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2110)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부재(참조번호 미표시)에 형성되는 나사홈에 결합될 수 있고, 내주측으로는 연통유로인 입수부가 형성되어 상측의 유수를 전달받아 바디(2111)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바디(2111)의 내측에는 소정의 수용 및 유통 공간이 형성되고 이에 연결되는 각각의 분배유로인 출수부(2150)가 형성되는데, 각각의 출수부(2150)는 각각의 저류관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분배유로로 기능할 수 있다.
다만, 단순히 저장유로(2130)에서의 수체가 출수부에 수두차에 의하여 전달되는 경우 저류관의 일부로 수량이 치우쳐 전달될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후술될 바와 같이 각각의 저류관에서 소모되는 수체의 양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수체의 균등한 분배는 물론 저류관의 양에 따른 대응의 필요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각각의 저류관(110)과 연결되는 에어라인(2210)에서의 공기의 압력에 따라 저류관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적절한 수량을 개별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개념을 제시한다.
바디(211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측에 유입관(210)과 연결되는 입수부(2120)가 형성되고 입수부(2120)의 하측 및 외주측에는 수체를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저장유로(2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저장유로는 입수부(2120)의 저부에서 물을 저장하되 입수부(2120)의 외주측에서 개별적인 출수부(2150)에 대응되는 상승유로를 포함한다.
도시된 사항에서는 상기 상승유로가 입수부(2120)의 하단부 외주측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연통된 형태로 나타나 있으나 상승유로는 개별적인 출수부(2150)에 대응되어 별도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며, 따라서 상승유로의 상측 및 입수부(2120)의 외주측에서는 후술될 압력조절유로(2140)에 의한 압력조절공간이 구비되고 저류관과의 상호 압력 조절작용에 의하여 개발적인 상승유로에서 전달되는 수체의 양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상승유로의 외벽은 물넘이 격벽으로 기능하며 그 외주측으로는 출수부(2150)가 형성되어 상승유로에서 전달되는 수체가 개별적인 저류관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2150)는 분지라인(2200)과 연결된다.
한편, 출수부(2150) 배열의 외주측에는 압력조절유로(2140)가 형성되며 상기 압력조절유로(2140)는 에어라인(2210)과 연결된다. 상기 에어라인(2210)은 후술될 바와 같이 저류관에 연결되는 연결수단과 결합되며 저류관에 저장된 수체의 양에 따른 공기압을 바디(2111)의 내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압력조절유로(2140)는 각각의 상승유로 및 출수부(2150)와 세트를 이루어 압력조절공간에 연통된다. 공간적인 배치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압력조절유로(2140), 상승유로 및 출수부(2150)는 방사상 반경방향으로 배치되지 않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에어라인(2210) 내부에 공기는 각각의 저류관과 분배수단(2100)의 사이에 갇혀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저류관 내부의 수위에 의한 압력을 압력조절공간으로 제공하여 월류부(2151)에서 물넘이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며, 각각의 압력조절공간에서 압력의 밸런스를 유지하려는 경향에 따라 저류관의 배분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압력조절유로(2140)와 압력조절공간을 연결하는 벽체는 압력조절격벽(2141)이며, 상기 압력조절격벽(2141)은 수체의 월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월류부(2151)의 높이보다 더 높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격벽(2141)은 상단부가 바디(2111)의 상면에 인접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분지라인(2200)은 대략 하방으로 수체를 전달하고, 에어라인(2210)은 저류관 수위에 따른 압력을 바디(2111) 내부의 공간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분지라인(2200)의 직경이 에어라인(2210)의 직경에 비하여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분지라인(2200)의 직경이 6mm인 경우 에어라인(2210)의 직경은 4mm일 수 있다.
다만, 분지라인(2200)의 직경이 작은 경우 응력 및 표면장력에 의하여 원활환 유동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작게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와 같은 규격에 의하더라도 일부 구간에서 과도한 응력이 작용될 수 있는바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분지라인(2200)의 일부 구간은 다른 구간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압력조절유로를 구비하는 분배수단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상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시사항에는 중심측의 입수부(2120)는 저장유로(2130)의 저부와 연통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저장유로(2130)는 저부의 저장공간과 입수부(2120)의 외주측의 상승유로로 구분해볼 수 있는데, 도시된 예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공간상 효율성을 고려하여 출수부(2150)와 상승유로가 반경상으로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직경방향으로 절개된 부위에서 출수부(2150)가 생략되고 월류부(2151)가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저장공간은 대략 컵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별적인 상승유로로의 원활환 수체 전달을 위하여 각 상승유로에 대응되는 저부에 소정의 요홈(참조번호 미표시)들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저장공간에 모여진 수체는 압력조절유로(2140)의 압력조절기능에 의하여 상승유로에 개별적으로 분배된다.
상기 출수부(2150) 및 상승유로의 외주측에는 압력조절유로(2140)가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각각의 저류관과 연결되는데, 각 압력조절유로(2140)는 하나의 상승유로 및 출수부(2150)와 상측으로 연통되어 개별적으로 압력을 전달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부(2150) 및 압력조절유로(2140)의 저부에는 호스 형태의 라인들이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원통형 내지는 링형의 삽입공간(참조번호 미표시)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된 본 발명의 분배수단에서 각 유로의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수평면으로 절개된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부(2120)는 원통형 바디(2111)의 중심측에 형성되며 저부의 저류공간과 이어진 저장유로(2130)의 상승유로(참조번호 미표시)가 입수부(2120)의 바로 외주측에 배치된다.
상승유로와 출수부(2150)는 월류부(2151)를 사이에 두고 상호 연통되며 월류부(2151)에서 넘쳐서 흐르는 수체는 출수부(2150)를 통하여 분지라인(2200)으로 분배된다.
또한, 가장 외주측에 형성되는 유로는 압력조절유로(2140)로서 저부가 에어라인(2210)과 연결되고 상측은 각각의 월류부가 형성된 압력조절공간과 연통된다.
도시된 상태에서 각 출수부(2150)와 상승유로의 세트는 두 개의 원형이 이어진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택된 방향으로 긴 모양을 가지고 공간적인 효율성을 고려하여 직경방향에서 어느 방향으로 경사를 가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유로(2140), 출수부(2150) 및 상승유로의 세트 개수는 이에 연결되는 저류관의 개수에 의하여 선택적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수단을 포함하는 관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 등의 수체는 유입관(210)에 유입되는데 이렇게 전달되는 수체는 소정의 호퍼나 관로에 의하여 수집된 우수나 탱크 등이 일시 저장된 우수일 수 있다.
분배수단(2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저류관(110)과 연결되는 분지라인(2200)에 의하여 연통되고, 또한 각각의 저류관에 저장된 수체의 수위에 다른 공기압을 전달할 수 있는 에어라인(2210)에 의하여 추가적인 연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류관(110)의 하측에는 저장된 수체의 압력이 전달되고 연통로로 기능하는 연결수단(1000)이 배치되며 상기 분지라인(2200) 및 에어라인(2210)들은 각각 연결수단(1000)에 결합될 수 있다.
압력전달과 유동의 효율성을 고려하면 도시사항과 같이 각각의 라인들이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이 공기압의 전달에 따른 유수의 개별적이고 적절한 배분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분배수단(2100)이 가장 상측에 위치된 저류관(110)보다 상측에 배치된다면 라인들의 형태는 무관하다.
각각의 연결수단(1000)들은 분배수단(2100)으로부터의 수체를 전달하면서 저류관(110)에 의한 공기압을 전달하도록 기능하는데, 최초 수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수체 배출과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밸브부(1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저류관(110)의 수위가 균등한 경우를 나타내며 이러한 경우 분배수단(2100)는 유입되는 수체를 균등한 수량으로 배분할 수 있다. 다만, 각 저류관(110)의 수위가 다른 경우에 에어라인(2210)을 통한 압력이 다르기 때문에 각 출수부(2150)로 배출되는 수량이 다르게 형성되는바, 이러한 분배수단과 연결수단의 연동되는 작동에 관하여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상기 관수장치에서 연결수단(1000)이 배치된 측을 더욱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연결수단(1000)은 저류관(110)의 하측에 연결되는 절곡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평관로(1100)와 수평관로(1100)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이어지는 수직관로(1200)로 구성될 수 있다.
저류관(110) 내부의 수위(WM)가 결정되면 이는 최초 연결수단(1000)과 분배수단(2100) 사이에 정해진 공기의 양에 대한 압력이 결정된다. 더욱 정확하게는 수직관로(1200)내부의 수위(WL)와 압력조절공간에서 상승유로에 일시 저장된 수위의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의 압력의 차이가 각각의 출수부(2150)에서 배출되는 수량의 차이로 이어지는 것이다.
상기 연결수단(1000) 내부에는 효율적인 압력의 전달을 고려하여 수체가 저장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최초 공기의 양이 균등하게 결정될 수 있도록 밸브부(130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부(1300)의 개방에 따라 최초 조절시 저류관(110) 내부의 수체나 관로 내부의 수체가 배출되면서 수직관로(1200)의 최저수위(WL)를 결정하고, 상기 최저수위(WL)는 대략 저류관(110)의 저부의 높이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상태에서 연결수단(1000)이 분지라인(2200) 및 에어라인(2210)과 연결되는 연결관로(1400)와 밸브부(1300)에 의하여 결합되는 경우를 나타냈으나, 상기 연결관로(1400) 및 밸브부(1300)는 연결수단(1000)의 일부로 이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연결수단(1000)과 분배수단(2100) 사이에 저장된 공기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각각의 저류관(110)에 대해여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려는 경향을 이용하기 위하여 분배수단(2100)을 구성한 것으로서, 압력이 높아지더라도 바디(2111) 내부의 압력조절공간에서 각 압력조절공간에 균등한 압력이 유지된다면 분배되는 수체의 양은 균등할 것이다. 따라서, 연결수단(1000)과 분배수단(2100) 사이에 공기는 최초 밸브부(1300)에 의한 조절 이후에 외부로 유통되지 않도록 구성들 간에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높이에 따라 상기 에어라인(2210)과 분지라인(2200)의 길이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에 포함되는 물과 공기의 양도 다를 수 있고 수체의 분배양의 차이를 야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관로(1400)를 소정의 버퍼링 공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에어라인(2210)이나 분지라인(2200)의 용적에 비하여 연결관로(1400) 내부의 용적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이러한 차이는 어느 정도 보상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라인(2210)이나 분지라인(2200)의의 용적의 합보다 연결관로(1400)의 내부 공간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공간은 밸브부 측에 형성되는 수두(WL)에서 에어라인과 분지라인의 결합부위까지의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관수장치가 식생부를 포함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각각의 저류관(110)은 상측에서 식생부(20)와 결합되어 수체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식생부(20)의 지지를 위한 토양부(2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배수단(2100)의 분지라인(2200)으로부터 전달된 수체는 각각의 저류관(110)에 저장되고 각각의 식생부(20)에 생육을 위한 수체를 공급하게 된다.
각각의 저류관(110)에는 내외부를 관통하여 수체를 전달하는 심지부(40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심지부(400)의 일단은 저장된 수체에 잠긴 상태로 배치되고 타단은 토양부(2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의 압력조절유로를 구비하는 분배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관수장치에 따라, 각각의 저류관이 벽체 등에 설치된 식생부에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내부에 우수 등의 자연발생된 물을 균등하게 저장함으로써 불규칙한 강우 또는 건기와 같은 환경에서도 상수의 공급 없이도 관수가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각각의 분배수단에 의하여 수체를 균등하게 저수부로 배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저류관의 수량에 대응하여 외부 동력원 없이도 수위를 균등하게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저류의 효율성은 극대화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20...식생부 22...토양부
110...저류관 210...유입관
400...심지부 1000...연결수단
1100...수평관로 1200...수직관로
1300...밸브부 1310...배수부
1400...연결관로 2100...분배수단
2110...체결부 2111...바디
2120...입수부 2130...저장유로
2140...압력조절유로 2141...압력조절격벽
2150...출수부 2151...월류부
2200...분지라인 2210...에어라인

Claims (7)

  1.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2111);
    수체가 상측으로부터 유입되며 바디(2111)의 중심측에 배치되는 입수부(2120);
    입수부에 유입된 수체를 저부에 일시 저장하는 저장공간과 입수부의 하단 외주측에서 상측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상승유로를 가지는 저장유로(2130);
    저장유로로부터의 수체에 대한 물넘이 격벽으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월류부(2151);
    월류부로부터 물넘이된 수체를 전달받아 각각의 저류관으로 분지라인(2200)을 통하여 공급하는 복수의 출수부(2150); 및
    각각의 상승유로 및 출수부(2150)와 상측에서 연통되며 각각의 저류관의 저장된 수체의 양에 따라 압력을 전달하는 에어라인이 연결되는 복수의 압력조절유로(2140);를 포함하며,
    각각의 출수부, 상승유로 및 압력조절유로는,
    각각의 저류관에 저장된 수체의 수위가 다른 경우 서로 다른 압력을 전달받아 출수부에 배출되는 수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수위를 균등하도록 하는 분배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라인은,
    에어라인보다 직경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수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유로와 출수부를 구획하는 압력조절격벽(2141)은 월류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수단.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출수부, 상승유로 및 압력조절유로는,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압력조절공간에서 연통되며 각각의 세트는 저류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바디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수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분배수단을 포함하는 관수장치로서,
    높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저류관(110);
    각각의 저류관에서 하측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수단(1000);
    일단이 분배수단의 출수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수단의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분지라인(2200); 및
    일단이 분배수단의 압력조절유로와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수단의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에어라인(2210);을 포함하며,
    각각의 연결수단과 저장유로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분배수단은, 저류관 내부의 수위에 의한 공기 압력이 상승유로에 전달되어 출수부로 배출되는 수량을 조절하는 관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에 결합되고 최초 저장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외부로 개방되는 배수부를 구비하는 밸브부(1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수평관로와, 수평관로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관로를 포함하며,
    밸브부에 의하여 수체의 배출시 수직관로의 최저수위는 저류관의 저면의 높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장치.
KR1020160003204A 2016-01-11 2016-01-11 압력조절유로를 구비하는 분배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관수장치 KR101711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204A KR101711631B1 (ko) 2016-01-11 2016-01-11 압력조절유로를 구비하는 분배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관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204A KR101711631B1 (ko) 2016-01-11 2016-01-11 압력조절유로를 구비하는 분배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관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631B1 true KR101711631B1 (ko) 2017-03-03

Family

ID=5841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204A KR101711631B1 (ko) 2016-01-11 2016-01-11 압력조절유로를 구비하는 분배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관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6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1149A (ja) * 2002-07-08 2004-02-12 Koizumi Midori 自動灌水装置
JP5535390B1 (ja) * 2013-10-25 2014-07-02 克也 高崎 植物育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1149A (ja) * 2002-07-08 2004-02-12 Koizumi Midori 自動灌水装置
JP5535390B1 (ja) * 2013-10-25 2014-07-02 克也 高崎 植物育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5231B2 (en) Irrigation system for growing plants at a growing facility
US10492377B2 (en) Unique rollable five-device-in-one system comprising rollable clawed-foot flower container, rollable adjustable-receiver umbrella stand, rollable water reservoir, rollable water-regulating irrigation system, and rollable water-circulating system
CN106572639B (zh) 模块化容器和模块化灌溉系统
CA2488178A1 (en) A hydroponic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20140223816A1 (en) Vertical gardening apparatus
US20100139161A1 (en) Self-watering plant container and related methods
US20190297803A1 (en) Hydroponics system
US20230086006A1 (en) Sub-surface soil irrigation
US5364034A (en) Controlled low volume irrigation system
US20230165201A1 (en) Pot with integrated irrigation
KR101711631B1 (ko) 압력조절유로를 구비하는 분배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관수장치
US20100296870A1 (en) Subirrigation system
RU2384996C1 (ru) Система капельного орошения
CN205755814U (zh) 种植盆及具有海绵城市功能的种植系统
CN1946283B (zh) 用于耕作区域的地板
KR101654187B1 (ko) 등수위조절수단, 이를 구비하는 벽면관수장치 및 관수시스템
CN212087443U (zh) 一种垂直式灌溉子系统及系统
JP2006296230A (ja) 壁面緑化システム
CN106718781A (zh) 一种日光温室阶梯分布的气雾培生产系统
KR101655188B1 (ko) 배분수단 및 이를 구비하는 관수장치
US11523589B2 (en) Animal watering station
JP6179239B2 (ja) 給水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備える地下灌漑システム
KR102171857B1 (ko)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
KR102523215B1 (ko) 복수의 저면급수 재배 트레이를 이용한 수위 수평조절 시스템
KR100590627B1 (ko) 정량 실린더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