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577B1 - 비누 케이스 - Google Patents

비누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577B1
KR101711577B1 KR1020140135329A KR20140135329A KR101711577B1 KR 101711577 B1 KR101711577 B1 KR 101711577B1 KR 1020140135329 A KR1020140135329 A KR 1020140135329A KR 20140135329 A KR20140135329 A KR 20140135329A KR 101711577 B1 KR101711577 B1 KR 101711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main body
pedestal
side wall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1467A (ko
Inventor
김기열
국송희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광주금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주금형 filed Critical (주)광주금형
Priority to KR1020140135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57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2Soap boxes or receptables
    • A47K5/03Soap boxes or receptables separate from wall or wash-st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누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누를 보관하기 위한 받침대 또는 케이스에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하여 비누의 건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비누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누 케이스는 비누를 거치해 둘 수 있게 형성되고 다수의 통수구멍공들이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받침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되고, 상기 거치부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통기구멍들이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는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누 케이스는 사방으로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비누의 건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면서, 세면대에 안정적으로 거치시켜놓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누 케이스{Soap cases}
본 발명은 비누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누를 보관하기 위한 받침대 또는 케이스에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하여 비누의 건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비누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는 고급 지방산을 주성분으로 알칼리염을 사용하거나 칼륨염을 사용하여 비누화시키며, 알칼리염을 사용한 비누는 소다비누 또는 경성(硬性)비누라 하고, 칼륨염을 사용한 비누는 칼륨비누 또는 연성(軟性)비누라 하여 사용형태 및 용도에 따라 특수한 재료를 첨가하여 세안, 세탁 등 때를 씻어내는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비누는 그 특성상 물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거품형태로 녹여 때를 씻어내게 됨에 따라 비누가 물에 의해 녹지 않도록 비누에 접촉된 물기를 자연건조시키기 위해 비누 받침대에 보관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여 왔으며, 상기 비누 받침대와 더불어 비누의 자연 건조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조 받침판(받침패드)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9864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비누 보관대나 비누곽 속에 황토 또는 점토로 제조된 통기성 위생 비누받침대를 장치하여 비누 받침대 위에 비누를 놓으면 비누에 묻은 물기가 신속히 흡수되어 비누 표면이 부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적이며 경제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황토재 통기성 위생 비누 받침대가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4611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다공질의 폴리프로필렌 셀 구조에 의하여 통기성이 확보되고, 수분이 쉽게 밑으로 배수되므로, 비누의 사용 후 비누의 표면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도록 하는 비누 받침용 패드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비누를 자연건조시키는 받침판(받침패드)이 비누 받침대 또는 비누곽의 상부에 면착되는 방식으로 안착되기 때문에 비누와 받침판(받침패드)의 접촉면이 습해지는 문제점과 함께, 스펀지와 같이 미세하게 형성된 통기공을 이용해 통기성을 확보하기 때문에 비누에 잔류하는 수분이 받침판(받침패드)에 형성된 통기공에 침투하여 받침판(받침패드) 자체가 습해짐에 따라 비누가 습해진 받침판(받침패드)에 의해 녹아 미세하게 형성된 통기공을 막거나 받침판(받침패드)에 면착된 면이 들러붙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비누를 자연건조시키는 받침판(받침패드)이 비누 받침대 또는 비누곽의 상부에 단순하게 안착되는 방식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비누를 사용하면 비누에 잔류하는 수분에 의해 비누가 받침판(받침패드)에 들러붙은 상태로 비누와 함께 비누 받침대 또는 비누곽에서 이탈되게 되어 상기 받침판(받침패드)을 비누에서 떼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비누 케이스는 세면대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다 보면, 세면대에서 미끄러져서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방으로 개방된 통공을 통하여 비누의 건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면서, 세면대에 안정적으로 거치시켜놓을 수 있는 비누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누 케이스는 비누를 거치해 둘 수 있게 형성되고 다수의 통수구멍공들이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받침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되고, 상기 거치부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통기구멍들이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는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측벽의 내주면으로부터 각각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를 각각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끼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거치부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대상면에 흡착되는 흡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외기가 상기 측벽의 하부를 통해 상기 측벽의 내측으로 진입 또는 상기 측벽 내측의 공기가 상기 측벽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측벽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다리들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벽의 상단에는 상기 본체 내측에 삽입된 상기 거치부에 비누를 투입할 시 비누가 상기 거치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누와 접촉되며, 상기 비누에 뭍은 물기 및 거품을 흡수하는 흡수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패드에는 다수의 흡수구멍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누 케이스는 사방으로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비누의 건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면서, 세면대에 안정적으로 거치시켜놓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의 분리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1)는 비누(10)를 거치해 둘 수 있게 형성되고 다수의 통수구멍(111)공들이 형성된 받침대(110)와, 상기 받침대(110)를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받침대(1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지지대(120)를 포함하는 거치부(100)와; 상기 거치부(100)를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되고, 상기 거치부(100)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통기구멍(211)들이 형성된 측벽(210)을 구비하는 본체(200);를 구비한다.
상기 거치부(100)는 비누(10)가 거치되는 받침대(110)와, 받침대(110)를 세면대의 상면 또는 욕실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110)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12)과, 상기 프레임(112)에 결합되어 망상 구조를 형성하는 메시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부(113)에는 비누(10)에 묻은 물기나 거품이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수구멍(11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120)는 받침대(110)를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112)의 각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다.
상기 본체(200)는 내측에 상기 거치부(1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되고, 상기 받침대(11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측벽(21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200)에는 개방된 상부를 통해 비누(10)를 거쳐 본체(200)의 내측 공간을 흐르는 공기가 측벽(210)을 통과하여 본체(200)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또는 본체(200) 외측의 공기가 측벽(210)을 통과하여 본체(200) 내측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측벽(210)을 따라 다수의 통기구멍(211)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측벽(210)에 형성된 통기구멍(211)들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측벽(21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측벽(21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1)는 비누(10)가 거치되는 받침대(110)에 다수의 통수구멍(111)들이 형성되어 있어, 비누(10)에 묻은 물기 및 거품을 하방으로 낙하시킬 수 있고 받침대(110)에 거치된 비누(10)의 저면에 공기가 지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물기에 의해 비누(10)가 물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대(110)가 본체(200) 내측에 수용되어 있어 비누(10)의 이탈을 방지 및 본체(200)에 통기구멍(211)들이 형성되어 있어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짐으로써 비누(10)의 자연 건조를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2)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2)는 거치부(100)와; 본체(200);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200)의 하부에는 상기 측벽(210)의 내주면으로부터 각각 상기 본체(2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120)를 각각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끼움부(22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끼움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각 모서리 부분 내측면으로부터 본체(200)의 하부 영역을 점유하도록 평판 상으로 확장된 확장판(221)과, 상기 확장판(221)에 구비된 끼움구멍(222)들을 포함한다.
상기의 끼움부(220)는 상기 본체(200)가 외력에 의해 유동할 시, 상기 본체(200) 내측에 수용된 거치부(100)도 본체(200)와 함께 유동할 수 있도록 거치부(100)를 본체(200)에 구속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거치부(100)는 상기 본체(200)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200) 내측의 공간으로 삽입하여 상기 끼움부(2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3)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3)는 거치부(100)와; 본체(200)를 구비하며, 상기 거치부(100)의 상기 받침대(110)에는 상기 거치부(10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대(120)의 하단에 결합되어 대상면에 흡착되는 흡착부(11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100)의 상기 받침대(110)에는 거치부(10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세면대의 상면 또는 욕실의 바닥에 대하여 상기 거치부(100)를 지지하는 흡착부(1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부(114)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를 폐쇄되며 내측에 흡착공간이 형성되어 상부에서 가압시 흡착공간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부착대상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통상의 공기흡착판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흡착부(114)를 구비한 비누 케이스는 외력에 의해 본체(200)가 유동하더라도 본체(200) 내측에 수용된 거치부(100)가 흡착부(114)에 의해 유동 불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본체(200) 또는 거치부(100)가 세면대로부터 떨어지거나 비누(10)가 욕실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4)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4)는 상기 본체(200) 외측의 외기가 상기 측벽(210)의 하부를 통해 상기 측벽(210)의 내측으로 진입 또는 상기 측벽(210) 내측의 공기가 상기 측벽(210)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21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측벽(210)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다리(230)들이 상기 본체(200)에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다리(230)들은 본체(200)를 세면대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함으로써 상기 거치대를 통과한 물기나 거품이 본체(200) 외측으로 흘러나갈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원활한 통풍을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5)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5)는 거치부(100)와; 본체(200);를 구비하며, 상기 측벽(210)의 상단에는 상기 본체(200) 내측에 삽입된 상기 거치부(100)에 비누(10)를 투입할 시 비누(10)가 상기 거치부(10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24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240)는 상기 본체(200)의 내측에 수용된 거치부(100)에 비누(10)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20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확장된 나팔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240)는 비누(10)를 안내부(240)에 접촉시킨 상태로 놓더라도 하부의 거치부(100)로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도록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6)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6)는 상기 거치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누(10)와 접촉되며, 상기 비누(10)에 뭍은 물기 및 거품을 흡수하는 흡수패드(3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흡수패드(300)에는 다수의 흡수구멍(30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구멍(301)들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수패드(300)는 물기의 흡수가 용이하도록 해면(海綿)구조를 가지며, 흡수된 물기를 짜낼 수 있도록 탄력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비누 케이스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비누
100 : 거치부
110 : 받침대
111 : 통수구멍
112 : 프레임
113 : 메시부
114 : 흡착부
120 : 지지대
200 : 본체
210 : 측벽
211 : 통기구멍
220 : 끼움부
221 : 확장판
222 : 끼움구멍
230 : 다리
240 : 안내부
300 : 흡수패드

Claims (6)

  1. 비누를 거치해 둘 수 있게 형성되고 다수의 통수구멍공들이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받침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되고, 상기 거치부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통기구멍들이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거치부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대상면에 흡착되는 흡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는 외기가 상기 측벽의 하부를 통해 상기 측벽의 내측으로 진입 또는 상기 측벽 내측의 공기가 상기 측벽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측벽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다리들이 구비되며,
    상기 측벽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나팔구조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에 비누를 투입할 시 비누가 상기 거치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측벽의 내주면으로부터 각각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를 각각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끼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케이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누와 접촉되며, 상기 비누에 뭍은 물기 및 거품을 흡수하는 흡수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패드에는 다수의 흡수구멍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케이스.
KR1020140135329A 2014-10-07 2014-10-07 비누 케이스 KR101711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329A KR101711577B1 (ko) 2014-10-07 2014-10-07 비누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329A KR101711577B1 (ko) 2014-10-07 2014-10-07 비누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467A KR20160041467A (ko) 2016-04-18
KR101711577B1 true KR101711577B1 (ko) 2017-03-07

Family

ID=5591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329A KR101711577B1 (ko) 2014-10-07 2014-10-07 비누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5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380Y1 (ko) * 2002-09-16 2002-12-16 이재훈 휴대용 방수 비누각
CN201055332Y (zh) * 2007-06-11 2008-05-07 黄德旺 肥皂容器盒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987Y1 (ko) * 2010-09-29 2013-05-22 이강호 비누케이스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380Y1 (ko) * 2002-09-16 2002-12-16 이재훈 휴대용 방수 비누각
CN201055332Y (zh) * 2007-06-11 2008-05-07 黄德旺 肥皂容器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467A (ko)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27278A1 (en) Excess moisture drying apparatus
KR101534038B1 (ko) 신발내부세척기능이 구비된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KR101711577B1 (ko) 비누 케이스
JP6322788B2 (ja) トイレ用敷材及びトイレ
US20090238739A1 (en) Sanitizing and dampening container
JP6500034B2 (ja) トイレ
KR101817446B1 (ko) 식기 건조대
KR20110005315U (ko) 타월 가습기
KR200468552Y1 (ko) 비누 받침대용 보조 받침판
KR101548558B1 (ko) 두루마리화장지 방수커버
KR101153433B1 (ko) 비누 받침대
CN210931052U (zh) 一种清洁工具放置架
KR200461051Y1 (ko) 세면대용 빨래판
KR200298380Y1 (ko) 휴대용 방수 비누각
KR200471405Y1 (ko) 알뜰 만능 비누곽
KR101376791B1 (ko) 침대 매트리스 관리 장치 및 침대 매트리스 관리 장치가 설치된 침대
KR20170019215A (ko) 흡습기능이 있는 비누케이스
KR20130022166A (ko) 건조기능을 갖는 비눗갑
KR200468883Y1 (ko) 손잡이를 구비한 소형 빨래판
KR20130003393U (ko) 기능성 컵 건조받침대
CN202458117U (zh) 肥皂盒
JP2009119216A (ja) 水切り乾燥具
KR200476901Y1 (ko) 옷걸이 겸용 제습제 케이스
JP3167112U (ja) 詰り除去具ケース
KR200360085Y1 (ko) 비눗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