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480B1 - 출몰식 브러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 - Google Patents

출몰식 브러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480B1
KR101711480B1 KR1020150032295A KR20150032295A KR101711480B1 KR 101711480 B1 KR101711480 B1 KR 101711480B1 KR 1020150032295 A KR1020150032295 A KR 1020150032295A KR 20150032295 A KR20150032295 A KR 20150032295A KR 101711480 B1 KR101711480 B1 KR 101711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torage container
container
cosmetics
cosmet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528A (ko
Inventor
임준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탭코리아
(주)톨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탭코리아, (주)톨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탭코리아
Publication of KR20150118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말화장품이 수납되는 화장품용기의 전단에 승강작동되는 보호캡에 의해 출몰되는 브러쉬를 구비함과 동시에, 저장용기의 배출공을 개폐토록 함으로써 사용시에는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비사용시에는 브러쉬와 더불어 분말화장품을 안전하게 보호토록 하고, 또한 분말형 화장품을 리필할 수 있도록 하는 브러쉬를 가지는 분말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브러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로서, 상기 화장품용기는 분말화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10); 저장용기의 상부에 체결되고 정,역회전 작동되어 저장용기의 배출공을 개폐토록 하는 작동관(20); 상기 작동관의 상부에 체결되는 브러쉬(30); 상기 작동관의 외주연상에 체결되어 승강작동에 따라 브러쉬를 감싸아 보호토록 하는 보호캡(40);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체결되어 정,역회전작동되고 보호캡 및 작동관을 승강 및 회전작동시키도록 하는 회전체(50); 상기 회전체의 상부를 개폐하여 브러쉬를 보호토록 하는 뚜껑(60);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출몰식 브러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Brushes the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출몰식 브러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말화장품이 수납되는 화장품용기의 전단에 브러쉬를 출몰식으로 구비함과 동시에, 브러쉬의 출몰작동에 의해 저장용기의 분말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공을 개폐토록 함으로써 사용시에는 브러쉬의 노출과 동시에 분말화장품이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면서도 비사용시에는 브러쉬가 삽입됨과동시에 저장용기의 배출공이 폐쇄되어 브러쉬 및 분말화장품을 안전하게 보호토록 하고, 또한 분말형 화장품을 리필할 수 있도록 하는 출몰식 브러쉬를 가지는 분말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화장을 할 때에는 화장품의 종류나 형태 등에 따라 스폰지, 브러쉬, 붓, 펜슬 등으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의 화장도구를 적절히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화장도구 중에서도 브러쉬 형태의 화장도구는 주로 분말, 파우더 형태의 화장품을 화장하는 도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브러쉬 화장도구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은 브러쉬와 손잡이로 구성되며 브러쉬에 화장품을 묻혀서 얼굴과 같은 피부에 부드럽게 문질러주거나 또는 터치하는 방식으로 화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일반적인 브러쉬는 분말형의 화장품을 고르게 펴 바르기 위하여서는 매우 부드럽고도 유연한 솔로 형성되면서도 비교적 많은 술로 형성되는 것임으로써 휴대 및 보관에 따른 비사용시에는 브러쉬를 보관하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브러쉬를 별도의 케이스를 가지는 보관함에 보관 및 휴대하는 방식을 사용하고는 있지만, 먼지나 각종 이물질이 달라붙게 되어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브러쉬를 가지는 개선된 화장품용기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49457호를 들 수 있다.
상기 선등록고안은 화장에 사용되는 분말의 내용물을 보관토록 하는 회전용기와 피부에 볼터치하는 브러쉬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면서도 상기 브러쉬는 회전용기의 회전작동을 통해서 승, 하강작동되어 회전용기로 부터 출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구성은 저면에 장착되는 하부 캡과, 이와 더불어 내부에 분말 내용물을 저장하고 상면의 일측에는 저장되어 있는 상기 분말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 끝단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분말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통로를 관통 형성하면서 상부 가장자리에는 나선형 가이드 홈이 구비된 상부돌기를 소정구간 형성하여 회전용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회전용기의 내측 상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브러쉬가 내부에 돌출 장착되고, 상기 배출통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이송통로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승, 하강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는 브러쉬 용기가 장착된다.
또 브러쉬 용기의 외측 상부에는 회전용기를 지지하면서 상부에는 브러쉬를 보호하는 상부 캡이 장착되는 연결용기가 장착되므로써 화장을 위해 사용자가 상기 상부 캡을 제거하고 회전용기를 일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면 브러쉬 용기의 회전돌기는 가이드 홈을 따라 상승하면서 브러쉬가 돌출되고, 이와 반면에 상기 회전용기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면 브러쉬 용기의 회전돌기는 가이드 홈을 따라 하강하면서 브러쉬가 함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선등록고안의 구성은 회전용기의 회전작동에 의해 브러쉬가 연결용기에 안내되면서 승강작동되는 구성임으로써 즉, 브러쉬가 회전용기로 부터 승강작동되는 방식에 의해 출몰되는 구성임으로써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먼저, 많은 숱을 가지는 브러쉬가 연결용기에 안내된 채로 승강작동되어 출몰되는 구성임으로써 즉, 브러쉬가 움직이는 구성임으로써 브러쉬에 이미 달라붙어 있던 상당량의 분말형 화장품이 외부로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브러쉬를 구성하는 솔은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하강시에는 연결용기의 내부에 가지런히 안착되어 있다가 외부로 노출시에는 순간적으로 외부로 확산됨에 따라 솔에 달라붙은 분말형의 화장품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이었다.
또한 브러쉬는 상승작동시 배출통로에 안내되면서 회전용기로 부터 슬라이드식으로 이격되게 승강작동되므로써 즉, 분말 화장품이 수납되는 회전용기는 움직이지 않는 반면에 브러쉬가 승강작동되는 것임으로써 이들의 기밀성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작동성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브러쉬가 승강작동되는 과정에서 회전용기의 배출통로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순간적인 내부 압력상승으로 인하여 분말의 화장품이 외부로 비산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분말 화장품이 수납되는 회전용기의 분말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구는 항상 열려있는 구성임으로써 운반 및 보관 등에 따른 비사용시 외부의 공기가 분말배출구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유입됨으로써 분말 화장품이 굳게 됨은 물론이고, 각종 균과 이물질이 침투되거나 또는 화장품 고유의 향이 외부로 발산되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분말형의 화장품이 저장되는 저장용기의 개구부에 브러쉬를 구비하여 분말 화장품의 저장과 더불어 사용시 화장도구의 브러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출몰식 브러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브러쉬가 승강시키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브러쉬를 보호하는 보호캡을 승강작동시킴으로써 브러쉬가 출몰되도록 함과 동시에, 브러쉬의 출몰 작동에 따라 저장용기가 개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사용시에는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화장품을 안전하게 보호토록 함은 물론이고, 출몰되는 브러쉬를 이용하여 화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출몰식 브러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저장용기의 내부에 수납되는 화장품을 완전히 사용한 후에는 저면의 뚜껑을 개방하여 리필이 가능토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부의 뚜껑에는 별도의 거울을 장착하여 화장을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토록 하는 출몰식 브러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선된 형태의 분말 화장품용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품용기는 회전작동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보호캡이 브러쉬를 출몰시키도록 함으로써 브러쉬를 보호하거나 사용가능토록 하고, 또한 브러쉬의 출몰후, 저장용기의 분말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공을 개폐토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분말의 화장품이 수납되면서 저면을 뚜껑으로 개폐토록 하여 리필이 가능토록 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체결되어 일정 각도만큼 정,역회전 작동되어 저장용기의 배출공을 개폐토록 하는 작동관과, 상기 작동관의 상부에 설치되는 브러쉬와, 상기 작동관의 외주연상에 체결되어 승강작동되므로써 브러쉬를 출몰시키도록 하는 보호캡과,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체결되어 회전작동에 의해 보호캡을 승강작동시키도록 함과동시에 작동관을 일정각도만큼 회전작동시키도록 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개페토록 하는 뚜껑으로 구성되므로써 보호캡의 승강작동에 따라 브러쉬를 출몰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저장용기내의 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공을 개폐토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회전체의 회전작동에 따라 브러쉬를 출몰시키는 출몰구간과, 저장용기의 배출공을 개폐토록 하는 개폐구간을 구비함으로써 브러쉬의 출몰작동과 저장용기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을 개폐작동을 유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말 형태의 화장품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용기에 브러쉬 형태의 화장도구를 일체형으로 갖춤으로써 분말 화장품의 보관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브러쉬를 보호하도록 하는 보호캡을 구비하여 화장품용기의 외형을 구성하는 회전체의 회전작동에 의해 승강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즉, 브러쉬는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보호캡의 승강작동에 의해 브러쉬가 출몰되는 것임으로써 브러쉬를 매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사용시 브러쉬가 노출되는 과정에서 브러쉬에 달라붙은 분말 화장품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분말 화장품이 저장되는 저장용기의 배출공을 사용 여부에 따라 개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즉, 사용시에는 브러쉬의 노출과 아울러 개방되므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게 되고, 이와 반면에 비사용시에는 브러쉬의 함몰과 아울러 폐쇄되므로써 분말화장품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도1에서 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도2의 정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핵심부품의 분리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저장용기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도7의 평면구성도
도 9는 본 발명 작동관과 보호캡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 작동관과 보호캡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 도10의 결합구성도
도12은 본 발명 작동관 및 보호캡이 저장용기와 결합되는 구성도
도13는 본 발명 회전체의 단면구성도
도14는 본 발명 회전체의 사시도
도15는 본 발명 작동관의 저면구성도
도16은 본 발명 작동설명도로서 저장용기가 폐쇄된 상태에서 브러쉬의 출몰작동도
도17은 본 발명 도16에서 저장용기가 개방되는 작동도
도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외형과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6 내지 도15는 본 발명 관련부품들의 상세한 구조 및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16 및 도17은 본 발명 작동상태도 도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전체적으로 원형의 외형을 가지면서 별도의 뚜껑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휴대 및 보관은 물론이고, 사용이 편리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본 발명은 크게 구분하여 분말화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10)와, 저장용기의 상부에 체결되어 회전작동에 따라 배출공을 개폐토록 하는 작동관(20)과, 상기 작동관의 상부에 체결되는 브러쉬(30)와, 작동관의 외주연상에 체결되어 승강작동에 따라 브러쉬를 보호토록 하는 보호캡(40)과,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체결되어 이를 기준으로 회전작동되어 보호캡을 승강작동시킴과 동시에 작동관을 일정범위로 정,역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체(50)와, 상기 회전체의 상부를 개폐하여 브러쉬를 보호토록 하는 뚜껑(6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저장용기(10)는 본체의 최하단에 위치하면서도 내부에는 주로 분말형태의 화장품을 수납할 수 있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하부는 별도의 개폐캡(11)에 의해 개폐되면서도 상단부는 다수의 배출공(1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개폐캡(11)은 저장용기(10)로 부터 나사체결되는 개폐구조로서, 저면에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면서 손잡이(11a)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는 개폐작동으로 인하여 최초 저장용기(10)내에 분말화장품을 용이하게 충진하거나 또는 내용물을 전부 사용한 후 필요에 따라 리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저장용기(10)의 배출공(12)은 저장용기(10)내의 분말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통로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세 개가 동일한 각도로 구비됨과 동시에, 상면에는 별도의 탄성이 좋은 고무재질의 패드(13)가 배출공(12)과 일치되는 배출공(13a)을 가지면서 안착체결된다.
이의 패드(13)는 후술할 작동관(20)이 체결시 긴밀히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면서도 회전작동을 부드럽고 원활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도7 및 도8에서 보듯이 저장용기(10)에 상면에 유동없이 일체형으로 결합 고정된다.
또한 저장용기(10)의 상부 외주연상에는 스톱홈(14)이 설치되며, 이 스톱홈(14)은 저장용기(10)에 결합되는 작동관(20)이 정,역회전 작동시 회전범위를 제한하면서도 60도의 각도만큼 정확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작동관(20)은 도9 내지 도12, 도14 및 도15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이의 도면에서 보듯이 원통형으로 구비되면서 내부 중심부는 구획판(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하 구획되며, 구획판(21)의 중심 상부에는 배출안내관(22)이 상,하 연통되게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어 저장용기(10)에 배출되는 분말화장품을 하부에서 상부로 배출안내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때 구획판(21)의 저면에는 오목한 형상의 다수의 돌기(23)가 세 방향으로 하향 돌출되게 구비되어 작동관(20)의 정,역회전 작동에 따라 이와 결합되는 패드(13)의 배출공(13a), 즉 저장용기(10)의 배출공(12)을 긴밀하게 개폐토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작동관(20)의 구획판(21) 하부 위치인 내주면에는 전술한 저장용기(10)의 스톱홈(14)과 결합되어 스톱홈(14)내에서 슬라이드 작동되는 스톱돌기(24)가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하나가 구비되고, 작동관(20)의 외주연상에는 상호 대향되게 양측으로 안내홈(25)이 각각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후술할 보호캡(40)과 결합되어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홈(25)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면서 하부 소정위치에는 반원형의 오목한 걸림턱(25a)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작동관(20)은 저장용기(10)의 상부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어 저장용기(10)의 스톱홈(14)에 결합되는 스톱돌기(24)에 의해 일정한 회전범위(a) 즉, 60도의 회전범위(a)내에서 정,역회전이 가능토록 구비된다.
따라서 작동관(20)이 도1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60도 만큼 일측 방향으로 회전 작동하면, 구획판 저면에 돌출형성된 세 개의 돌기(23)가 패드(13)의 배출공(13a)에 일치하게 되면서 배출공(13a)(12)을 완전히 폐쇄하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도17 에서 보듯이 타측 방향으로 60도 만큼 회전작동하게 되면, 세 개는 돌기(23)는 각 배출공의 중간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배출공(13a)(12)들을 개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관(20)의 상부에는 브러쉬(30)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의 브러쉬(30)는 많은 털을 하나의 묶음으로 형성하여 체결관(31)으로 체결 구성되며, 이는 통상에서와 같이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는 화장도구인 것이다.
상기 보호캡(40)은 상,하 개구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면의 양측에는 각각 안내돌기(41)가 수직방향으로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작동관(20)의 안내홈(25)과 결합되어져 걸림턱(25a)을 넘나들면서 상,하 승강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외부면의 양측에는 회전체(50)와 결합되는 안내핀(42)이 외향 돌출되게 구비된다.
보호캡(40)의 안내돌기(41)는 작동관(20)의 안내홈(25)과 결합되어져 회전체(5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작동관(20)을 회전범위(a)내에서 정,역회전시킴과 아울러, 그 자체가 직선운동을 변환되면서 안내홈(25)의 걸림턱(25a)을 타고 넘으면서 승강작동된다.
즉, 회전체(50)의 회전력에 의해 보호캡(40)이 개폐구간에서는 작동관(20)을 정,역회전시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을 개폐하게 되고, 이어서 승강구간에서는 보호캡(40)이 승강작동되어 브러쉬를 출몰시키게 된다.
이때 보호캡(40)의 안내핀(42)은 회전체(50)와 결합되어져 회전체(50)의 회전동력을 보호캡(40)으로 전달하여 이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승강작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50)는 상,하 개구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도 하단부는 저장용기(10)의 상단부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어 이에 안내된채로 정,역회전이 가능토록 구비되고, 내부면에는 양측으로 경사진 경사안내홈(51)이 상호 대칭으로 구비된다.
경사안내홈(51)은 내부면의 양측에서 상부와 하부에 걸쳐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에 보호캡(40)의 외부면에 형성된 안내핀(42)이 결합되어 짐으로써 회전체(50)의 회전작동에 의해 안내핀(42)이 경사안내홈(51)을 따라 이동되어져 보호캡(40)을 승강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50)의 상부에는 별도의 뚜껑(60)이 나사식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브러쉬를 포함한 내부의 관련부품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게 되고, 이의 상단부에는 화장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거울(61)이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평상시 화장품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1 및 도3 에서와 같이 뚜껑(60)을 닫은 상태에서 안전하게 휴대 및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에서 보듯이 작동관(20)이 일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구획판(21)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23)가 패드(13)의 배출공(13a) 즉, 저장용기(10)의 배출공(12)을 완전히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저장용기(10)내에 수납되는 분말화장품을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보호캡(40)은 최상단의 위치까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캡(40)은 브러쉬(30)의 전체를 감싸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화장품용기를 휴대 및 보관하는 비사용시의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4 에서 보듯이 뚜껑(60)을 개방한 후, 저장용기(10)의 외주연을 잡고 회전체(50)를 돌려주면, 이의 회전동력은 그 내경의 보호캡(40)으로 전달된다.
보호캡(40)은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해 외주연상에 형성된 안내핀(42)이 회전체(50)의 경사진 경사안내홈(51)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 것이나, 이와 결합된 작동관(20)의 수직 안내홈(25)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져 하강작동하게 된다.
즉, 회전체(50)를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체(50)의 회전동력이 보호캡(40)을 전달되면서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져 보호캡(40)을 승강구간만큼 하강하게 되어 브러쉬(30)을 오픈시키게 된다.
이때, 보호캡(40)의 내부면에 형성된 안내돌기(41)가 작동관(20)의 수직 안내홈(25)의 상부 승강구간을 따라 별다른 저항없이 안내되므로써 회전동력이 직선동력으로 변환되어져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보호캡(40)이 최하단까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브러쉬(30)를 외부로 완전히 오픈시키게 된다.
이어서 계속되는 회전체(50)의 회전력에 의해 즉, ON 상태에서 '개방'상태로 회전됨에 의해 안내돌기(41)는 안내홈(25)내의 걸림턱(25a)을 타고 넘어서 개페구간으로 진입하게 된다.
즉, 안내돌기(41)는 걸림턱(25a)을 타고 넘어 개폐구간을 지나는 순간,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함에 따라 회전력이 그대로 작동관(20)에 전달되어져 이를 동일한 회전력으로 회전작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회전되는 작동관(20)은 그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스톱돌기(24)가 저장용기(10)의 스톱홈(14)내에서 안내되어 회전된 후, 일측 끝단에서 스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관(20)이 회전되는 회전범위는 도면에서 개폐구간 및 회전범위(a)가 되는 것으로, 정확히 60도의 범위만큼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에 따른 작동범위는 저장용기(10)의 배출공(12)이 원주방향을 세 개로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작동관(2)은 60도의 회전범위(a)에서 정, 역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며, 회전범위의 제한은 이미 전술한 있듯이 저장용기(10)에 형성된 스톱홈(14)에 결합된 작동관(20)의 스톱돌기(24)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관(20)이 도17 에서와 같이 60도의 회전범위(a)로 회전되면, 그 중심의 구획판(21) 저면에 형성된 볼록한 돌기(23)가 패드(13)의 배출공(13a), 즉 저장용기(10)의 배출공(12)을 벗어나 이들의 중간 위치까지 회전됨으로써 배출공(12)(13a)을 완전히 개방하게 된다.
그러므로 브러쉬(30)는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저장용기(10) 및 패드(13)의 배출공(12)(13a)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품용기를 뒤집은 상태로 흔들게 되면, 저장용기(10)의 분말화장품은 다수의 배출공(12)(13a)을 통하여 작동관(20)의 긴 안내배출관(22)을 거쳐 브러쉬(30)의 내부로 배출되므로 통상에서와 같이 브러쉬를 이용하여 화장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뚜껑(60)은 브러쉬(3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형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뚜껑(60)의 상단부에 구비된 거울(61)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화장을 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화장품의 사용을 완료한 후 회전체(50)를 역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회전체(50)의 회전동력은 전술한 작동의 역순으로 전달되어져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되는 회전체(50)의 회전동력이 경사안내홈(51)에 결합된 보호캡(40)의 안내핀(42)을 통하여 보호캡(40)으로 전달되는 것이나, 이때의 회전동력은 보호캡(40)의 안내돌기(41)가 작동관(20)의 안내홈(25)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음에 따라 안내홈(25)내의 걸림턱(25a)을 넘지 못하고 그대로 전달되어져 작동관(2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작동관(20)이 회전되는 회전범위는 그 내측면에 형성된 스톱돌기(24)가 저장용기(10)에 형성된 스톱홈(14)의 범위까지 이며, 이의 회전범위인 60도의 범위에서 원위치로 회전됨에 따라 개방하였던 저장용기(10)의 배출공(12)(13a)들을 폐쇄하게 된다.
이어서 계속되는 회전체(50)의 회전력이 보호캡(40)을 통하여 작동관(20)으로 전달되어지나, 작동관(20)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보호캡(40)으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은 직선동력으로 변환되어져 작동관(20)에 안내되면서 상승작동된다.
즉, 작동관(20)은 스톱홈(14)에 결합된 스톱돌기(24)의 회전범위내에서만 회전되어 배출공(12)(13a)을 폐쇄하고,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면서 보호캡(40)으로 전달되는 회전체(50)의 회전력에 의해 보호캡(40)은 직선동력으로 변환되어져 상승작동되는 것이다.
이의 상승작동은 보호캡(40)의 안내핀(42)이 회전체(50)의 경사안내홈(51) 최상단에 위치할 때까지 이루어지게 되며, 상승작동이 완료된 시점은 보호캡(40)이 브러쉬(30)를 감싸아 보호토록 하는 최초의 단계로 원위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저장용기(10)의 배출공(12)은 완전히 폐쇄되어 외부의 공기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초적으로 차단하게 됨은 물론이고, 보호캡(40)은 브러쉬(30)를 외부에서 완전히 감싸아 보호하게 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화장품용기는 저장용기(10)내의 화장품을 모두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저장용기(10) 저면에 나사체결되는 개폐캡(11)을 개방하여 새로운 화장품을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의 도18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의 경우는 작동관(20)의 안내배출관(22)을 구획관(21)의 저면에 형성되는 돌기(23)들의 사이인 공간을 통하여 다수 개로 구성함으로써 저장용기(10)내의 내용물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저장용기 11:개폐캡
11a:손잡이 12,13a:배출공
13:패드 14:스톱홈
20:작동관 21:구획판
22:배출안내관 23:돌기
24:스톱돌기 25:안내홈
25a:걸림턱 30:브러쉬
31:체결관 40:보호캡
41:안내돌기 42:안내핀
50:회전체 51:경사안내홈
60:뚜껑 61:거울

Claims (6)

  1. 분말화장품을 저장토록 하면서도 상부에는 다수의 배출공을 가지는 저장용기의 상부에 정,역회전 작동에 의해 저장용기의 배출공을 개폐하여 내용물을 배출토록 하는 작동관이 구비되고, 작동관에는 화장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브러쉬가 설치되는 브러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작동관(20)은 내측 중심부에는 상하 구획되는 구획판(21)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의 하부에는 저장용기(10)의 배출공(12)을 개폐토록 하는 다수의 볼록한 돌기(23)와, 외주연상에는 양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걸림턱(25a)을 가지는 안내홈(25)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관(20)에는 내측면에 작동관(20)의 안내홈(25)과 결합되는 안내돌기(41)가 양측으로 내향 돌출되게 구비됨과 동시에, 외주면에는 회전체(50)의 내측 경사안내홈(51)과 결합되는 안내핀(42)이 구비되어 회전체(50)로 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승강작동되면서 브러쉬(30)를 외부로 출몰시키도록 하는 보호캡(40)이 설치되며,
    상기 저장용기(10)의 상부에는 상,하 개구되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면서 내부면에는 양측으로 경사안내홈(51)이 대칭되게 구비되어 정,역회전 작동에 의해 보호캡(40) 및 작동관(20)을 승강 및 회전작동시키도록 하는 회전체(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브러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32295A 2014-04-14 2015-03-09 출몰식 브러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 KR101711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331 2014-04-14
KR20140044331 2014-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528A KR20150118528A (ko) 2015-10-22
KR101711480B1 true KR101711480B1 (ko) 2017-03-02

Family

ID=5442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295A KR101711480B1 (ko) 2014-04-14 2015-03-09 출몰식 브러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4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645A (ko) 2021-02-04 2022-08-11 정채윤 메이크업 브러시 세척기
KR20220157041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배출통로부와 돌출기둥이 구비된 파우더 배출용기
GB2620208A (en) * 2022-06-28 2024-01-03 Xiamen Bonmart Machinery And Plastic Co Ltd A cosmetics con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312B1 (ko) * 2019-12-06 2021-07-27 (주)성진코스메틱스 화장품 용기
KR102474448B1 (ko) * 2022-02-21 2022-12-06 손기열 회전 취출식 헤어브러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628Y1 (ko) * 2000-10-07 2001-05-15 변영광 화장용 브러쉬
JP2011235081A (ja) 2010-05-10 2011-11-24 Taesung Industrial Co Ltd 化粧品容器
KR101089423B1 (ko) 2008-10-08 2011-12-07 봉 우 이 파우더의 배출을 위한 개폐수단이 구비된 화장용 브러쉬
KR101246290B1 (ko) 2011-05-03 2013-03-21 (주)톨리코리아 출몰식 분첩을 가지는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628Y1 (ko) * 2000-10-07 2001-05-15 변영광 화장용 브러쉬
KR101089423B1 (ko) 2008-10-08 2011-12-07 봉 우 이 파우더의 배출을 위한 개폐수단이 구비된 화장용 브러쉬
JP2011235081A (ja) 2010-05-10 2011-11-24 Taesung Industrial Co Ltd 化粧品容器
KR101246290B1 (ko) 2011-05-03 2013-03-21 (주)톨리코리아 출몰식 분첩을 가지는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645A (ko) 2021-02-04 2022-08-11 정채윤 메이크업 브러시 세척기
KR20220157041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배출통로부와 돌출기둥이 구비된 파우더 배출용기
KR102512248B1 (ko) 2021-05-20 2023-03-21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배출통로부와 돌출기둥이 구비된 파우더 배출용기
GB2620208A (en) * 2022-06-28 2024-01-03 Xiamen Bonmart Machinery And Plastic Co Ltd A cosmetics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528A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480B1 (ko) 출몰식 브러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
JP5874883B2 (ja) 回転開閉式ブラシチューブ型の化粧品容器
US8651763B2 (en) Powder cosmetic brush
JP2017512719A (ja) 回転開閉式チューブ容器
US8944712B2 (en) Cosmetic bottle with automatic extending applicator
EP2891427A1 (en) Tube-type cosmetic container having double discharge means
KR20130090868A (ko) 슬라이드형 립스틱 용기
KR101490709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아이라이너 화장품용기
KR200469110Y1 (ko) 화장품 실리콘 브러쉬
CA2461589A1 (en) Stick-type cosmetic container
JP6802910B2 (ja) 密閉力が向上したエアータイト口紅化粧品容器
CN106275787B (zh) 具有来复式阀门的包装软管
KR200430516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KR200473460Y1 (ko)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
CN206798131U (zh) 一种自开启的化妆品容器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101246290B1 (ko) 출몰식 분첩을 가지는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KR20200120045A (ko) 스틱형 내용물 충전 용기
KR101807294B1 (ko)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KR101143948B1 (ko) 콤팩트 용기
KR200452331Y1 (ko) 기능성 화장품용기
KR200458129Y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화장용 브러시
KR101231628B1 (ko) 원 핸드 마스카라 용기
KR20130133719A (ko) 슬라이드형 립스틱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