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413B1 -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 및 작업 기계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 방법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 및 작업 기계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413B1
KR101711413B1 KR1020157024866A KR20157024866A KR101711413B1 KR 101711413 B1 KR101711413 B1 KR 101711413B1 KR 1020157024866 A KR1020157024866 A KR 1020157024866A KR 20157024866 A KR20157024866 A KR 20157024866A KR 101711413 B1 KR101711413 B1 KR 101711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rking machine
boom
arm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4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5676A (ko
Inventor
츠토무 이와무라
진 키타지마
마사노부 세키
마사시 이치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115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4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25Drive systems for dipper-arms, backho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1Actuator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5Pilot-operated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4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 E02F9/265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with follow-up actions (e.g. control signals sent to actuate the work to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471Error correction
    • G01D5/2449Error correction using hard-stored calibration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D5/3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 G01D5/3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the beams of light being detected by photo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D5/3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 G01D5/3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the beams of light being detected by photocells
    • G01D5/347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the beams of light being detected by photocells using displacement encoding scales
    • G01D5/3473Circular or rotary encoder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13/00Calibrating of instruments an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는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작업기 파라미터 취득부(86)와, 외부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된 작업 기계 본체,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의 계측값을 취득하는 계측값 취득부(83A)와, 계측값 취득부(83A)에 의해 취득된 제 1 구동부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작업기 파라미터 취득부(86)에 의해 취득된 제 1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제 1 교정부(88)와, 제 1 교정부에 의해 교정된 제 1 구동부의 작업기 파라미터와, 계측값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작업 기계 본체,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제 2 교정부(89)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 및 작업 기계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 방법{DEVICE FOR CALIBRATING WORK MACHINE AND METHOD FOR CALIBRATING WORK MACHINE PARAMETERS OF WORK MACHINE}
본 발명은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 및 작업 기계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작업기의 작업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를 구비하는 굴착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굴착기에서는 GPS 안테나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버킷의 칼끝의 위치 좌표가 연산된다. 구체적으로는 GPS 안테나와 붐 핀의 위치 관계, 붐과 암과 버킷 각각의 길이, 붐과 암과 버킷 각각의 방향각 등의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버킷의 칼끝의 위치 좌표가 연산된다. 여기서, 암과 버킷의 위치 좌표는 이들을 회전시키는 실린더에 스트로크 센서 등을 설치하고, 실린더의 신장 상태를 센서로 취득하여 센서 출력값에 근거하여 연산된다.
이러한 기술은 버킷의 칼끝 위치를 굴착기의 컨트롤러로 추정하여 버킷의 칼끝을 설계상의 굴착면을 따르도록 동작시킴으로써, 버킷에 의한 굴착면의 침식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굴착 작업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버킷의 칼끝 위치를 굴착기의 컨트롤러로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예를 들면 작업기의 버킷의 칼끝의 5개의 자세를 토털스테이션 등의 외부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하고, 계측한 버킷의 칼끝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굴착기의 컨트롤러에서의 칼끝 위치의 계산에 필요한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12-202061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버킷의 칼끝 위치로부터 붐, 암, 버킷의 모든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고 있기 때문에, 교정된 작업기 파라미터에는 각각 참값과 오차가 발생해버려 교정시의 자세 이외에 버킷의 칼끝 위치의 추정 정밀도가 실제로 계측된 버킷의 칼끝 위치의 계측값과 비교하여 열악하고,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기계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된 제 1 구동부와, 제 1 구동부에 제 2 구동부가 회동가능하게 접속된 제 2 구동부를 구비한 작업기에 있어서,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추정할 수 있는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 및 작업 기계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는
작업 기계 본체와,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설치된 제 1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1 구동부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제 1 구동부에 설치된 제 2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구동부를 구비한 작업기와,
상기 제 1 구동부의 회동각 정보를 검출하는 제 1 회동각 검출부와,
상기 제 2 구동부의 회동각 정보를 검출하는 제 2 회동각 검출부와,
검출된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의 회동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자세를 연산하는 자세 연산부와,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에 설정된 작업기 파라미터와, 상기 자세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의 추정 위치를 연산하는 추정 위치 연산부를 구비한 작업 기계에 장착되어 상기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을 행하는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로서,
외부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된 상기 작업 기계 본체,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을 취득하는 계측값 취득부와,
상기 추정 위치 연산부에서 사용하는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작업기 파라미터 취득부와,
상기 계측값 취득부에 의해 계측된 상기 작업 기계 본체의 기준점의 계측값, 및 상기 제 1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제 1 교정부와,
상기 제 1 교정부에 의해 교정된 상기 제 1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와, 상기 계측값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작업 기계 본체의 기준점의 계측값, 상기 제 1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제 2 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의하면, 제 1 교정부에 의해 미리 제 1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교정부에서는 교정 후의 작업기 파라미터와,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오차를 적게 한 상태에서,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고정밀도로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는 제 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동각 검출부 및 상기 제 2 회동각 검출부는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에 설치되어 각각의 스트로크량을 검출하는 스트로크량 검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는 제 2 형태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는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대한 상기 제 1 구동부의 회동각 을 검출하는 엔코더를 구비하고,
상기 자세 연산부는 상기 엔코더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 1 구동부의 회동각의 기준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스트로크량 검출부의 기준 위치의 교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는 제 1 형태 내지 제 3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정부 및 상기 제 2 교정부는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와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을 포함하는 수치 해석식이 소정의 오차 범위로 수속될 때까지 수속 연산을 행함으로써 교정하고,
상기 제 2 교정부의 허용 오차 범위는 상기 제 1 교정부의 허용 오차 범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에 의한 작업 장치는 제 1 형태 내지 제 4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핀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설치된 붐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붐과, 상기 붐의 선단에 핀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붐에 설치된 암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구동부는 상기 암의 선단에 핀을 통하여 접속되는 작업 도구이고,
상기 제 1 구동부의 기준점은 상기 암의 선단의 핀이고,
상기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은 상기 작업 도구의 작업 방향 선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는 제 5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정부는 상기 작업 기계의 3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고,
상기 제 2 교정부는 상기 작업 기계의 2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에 의한 작업기의 교정 장치는
작업 기계 본체와,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설치된 붐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붐, 상기 붐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붐에 설치된 암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암, 및 상기 암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암에 설치된 버킷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버킷을 구비한 작업기와,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대한 상기 붐의 회동각 정보를 검출하는 붐 회동각 검출부와,
상기 붐에 대한 상기 암의 회동각 정보를 검출하는 암 회동각 검출부와,
상기 암에 대한 상기 버킷의 회동각 정보를 검출하는 버킷 회동각 검출부와,
상기 붐 회동각 검출부, 상기 암 회동각 검출부 및 상기 버킷 회동각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각각의 회동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붐, 상기 암, 및 상기 버킷의 자세를 연산하는 자세 연산부와,
상기 붐, 상기 암, 상기 버킷에 설정된 작업기 파라미터와, 상기 자세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붐, 상기 암 및 상기 버킷의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버킷의 칼끝의 추정 위치를 연산하는 추정 위치 연산부를 구비한 작업 기계에 장착되어 상기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을 행하는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로서,
외부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된 상기 작업 기계 본체의 기준점의 계측값, 상기 붐의 기준점의 계측값, 상기 암의 기준점의 계측값 및 상기 버킷의 기준점의 계측값을 취득하는 계측값 취득부와,
상기 추정 위치 연산부에서 사용하는 상기 붐, 상기 암 및 상기 버킷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작업기 파라미터 취득부와,
상기 계측값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작업 기계 본체, 상기 붐 및 상기 암의 기준점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상기 붐 및 상기 암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제 1 교정부와,
상기 제 1 교정부에 의해 교정된 상기 붐 및 상기 암의 작업기 파라미터와, 상기 계측값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작업 기계 본체, 상기 붐, 상기 암 및 상기 버킷의 기준점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상기 버킷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제 2 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 방법은
작업 기계 본체와,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설치된 제 1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1 구동부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제 1 구동부에 설치된 제 2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구동부를 구비한 작업기와,
상기 제 1 구동부의 작업 기계에 대한 회동각 정보를 검출하는 제 1 회동각 검출부와,
상기 제 2 구동부의 제 1 구동부에 대한 회동각 정보를 검출하는 제 2 회동각 검출부와,
검출된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의 회동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자세를 연산하는 자세 연산부와,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에 설정된 작업기 파라미터와, 상기 자세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의 추정 위치를 연산하는 추정 위치 연산부를 구비한 작업 기계에서 실시되어 상기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작업 기계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에 설정된 작업기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순서와,
외부 계측 장치를 사용하여 계측된 상기 작업 기계 본체, 상기 제 1 구동부,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을 취득하는 순서와,
상기 작업 기계 본체 및 상기 제 1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순서와,
교정된 상기 제 1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와, 상기 작업 기계 본체,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순서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의 모식 측면도이다.
도 2b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의 모식 배면도이다.
도 2c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엔코더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엔코더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자력 센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의 붐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의 암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의 암 및 버킷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의 버킷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의 실린더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13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외부 계측 장치에 의한 작업 기계의 계측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의 붐 핀 위치의 계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의 버킷 핀 위치의 계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의 버킷의 칼끝 위치의 계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상기 실시형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굴착기의 교정 장치 및 교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1] 굴착기(1)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교정 장치에 의한 교정이 실시되는 굴착기(1)의 사시도이다. 굴착기(1)는 작업 기계 본체(2)와 작업기(3)를 구비한다.
작업 기계 본체(2)는 하부 주행체(4)와 상부 선회체(5)를 구비하고, 상부 선회체(5)는 하부 주행체(4)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5)는 후술하는 유압 펌프(54)나 엔진 등(54A)의 장치를 수용하고 있다.
상부 선회체(5)에는 전면에 캡(6)이 설치되어 있고, 캡(6) 내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시트나, 후술하는 표시 입력 장치(71) 및 조작 장치(51)가 설치된다.
하부 주행체(4)에는 한쌍의 주행 장치(4A)가 설치되고, 주행 장치(4A)는 크롤러(4B)를 갖고 크롤러(4B)가 회전함으로써 굴착기(1)가 주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트에 착석했을 때 오퍼레이터의 시선을 기준으로서 전후 좌우를 규정한다.
작업기(3)는 작업 기계 본체(2)의 전면에 설치되고, 붐(31), 암(32), 버킷(33), 붐 실린더(34), 암 실린더(35) 및 버킷 실린더(36)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구동부는 붐(31) 및 암(32)으로 구성되는 부분이고, 제 2 구동부는 버킷(33), 제 1 링크 부재(40)(후술), 제 2 링크 부재(41)(후술)를 포함하는 부분이다.
붐(31)의 기단부는 붐 핀(37)을 통하여 작업 기계 본체(2)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다. 붐 핀(37)은 붐(31)의 상부 선회체(5)에 대한 회동 중심에 상당한다.
암(32)의 기단부는 암 핀(38)을 통하여 붐(31)의 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다. 암 핀(38)은 암(32)의 붐(31)에 대한 회동 중심에 상당한다.
암(32)의 선단부에는 버킷 핀(39)을 통하여 버킷(33)이 회동가능하게 부착된다. 버킷 핀(39)은 암(32)의 선단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제 1 구동부의 기준점이고, 버킷(33)의 암(32)에 대한 회동 중심에 상당한다. 제 1 구동부의 기준점은 붐(31) 또는 암(32)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다.
붐 실린더(34), 암 실린더(35) 및 버킷 실린더(36)는 각각 유압에 의해 신장 축퇴 구동되는 유압 실린더이다. 또한, 붐 실린더(34) 또는 암 실린더(35)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1 유압 실린더이고, 버킷 실린더(36)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2 유압 실린더이다.
붐 실린더(34)의 기단부는 붐 실린더 푸트 핀(34A)을 통하여 상부 선회체(5)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붐 실린더(34)의 선단부는 붐 실린더 탑 핀(34B)을 통하여 붐(31)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붐 실린더(34)는 유압에 의해 신축함으로써 붐(31)을 구동한다.
암 실린더(35)의 기단부는 암 실린더 푸트 핀(35A)을 통하여 붐(31)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암 실린더(35)의 선단부는 암 실린더 탑 핀(35B)을 통하여 암(32)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암 실린더(35)는 유압에 의해 신축함으로써 암(32)을 구동한다.
버킷 실린더(36)의 기단부는 버킷 실린더 푸트 핀(36A)을 통하여 암(32)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버킷 실린더(36)의 선단부는 버킷 실린더 탑 핀(36B)을 통하여 제 1 링크 부재(40)의 일단 및 제 2 링크 부재(41)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 1 링크 부재(40)의 타단은 제 1 링크 핀(40A)을 통하여 암(32)의 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 2 링크 부재(41)의 타단은 제 2 링크 핀(41A)을 통하여 버킷(33)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버킷 실린더(36)는 유압에 의해 신축함으로써 버킷(33)을 구동한다.
도 2는 굴착기(1)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굴착기(1)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굴착기(1)의 배면도이다. 도 2c는 굴착기(1)의 평면도이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붐(31)의 길이, 즉 붐 핀(37)과 암 핀(38) 사이의 길이는 L1이다. 암(32)의 길이, 즉 암 핀(38)과 버킷 핀(39) 사이의 길이는 L2이다. 버킷(33)의 길이, 즉 버킷 핀(39)과 버킷(33)의 칼끝(P) 사이의 길이는 L3이다. 또한, 버킷(33)의 칼끝(P)은 본 발명의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이다.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은 버킷(33) 상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해도 좋다.
붐 실린더(34)와 암 실린더(35)와 버킷 실린더(36)에는 각각 회동각 검출부인 붐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2), 암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3) 및 버킷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4)가 설치되어 있다.
각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2∼44)는 유압 실린더(34∼36)의 옆쪽에 설치되는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검출하는 스트로크 센서이고, 회동각 정보인 각 유압 실린더(34∼36)의 스트로크 길이를 검출함으로써, 후술하는 표시 컨트롤러(72)의 자세 연산부(72C)에서, 작업 기계 본체(2)에 대한 붐(31)의 회동각과, 붐(31)에 대한 암(32)의 회동각과, 암(32)에 대한 버킷(33)의 회동각을 연산가능하게 한다. 또한, 회동각 검출부는 각 작업기의 회동부에 부착하는 각도 센서에 의한 회동각 정보의 검출을 대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표시 컨트롤러(72) 내의 자세 연산부(72C)는 붐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2)가 검출한 붐 실린더(34)의 스트로크 길이로부터,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차체 좌표계의 z축에 대한 붐(31)의 회동각(α)을 연산한다.
표시 컨트롤러(72) 내의 자세 연산부(72C)는 암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3)가 검출한 암 실린더(35)의 스트로크 길이로부터, 붐(31)에 대한 암(32)의 회동각(β)을 연산한다.
표시 컨트롤러(72) 내의 자세 연산부(72C)는 버킷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4)가 검출한 버킷 실린더(36)의 스트로크 길이로부터, 암(32)에 대한 버킷(33)의 회동각(γ)을 연산한다. 회동각(α, β, γ)의 연산 방법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붐 핀(37)의 위치에는 제 1 엔코더(42A)가 설치되고, 암 핀(38)의 위치에는 제 2 엔코더(43A)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엔코더(42A)는 붐(31)의 회동역 내의 소정의 각도 위치를 기준 위치로서, 펄스 신호를 표시 컨트롤러(72)의 자세 연산부(72C)로 출력한다.
제 2 엔코더(43A)는 암(32)의 회동역 내의 소정의 각도 위치를 기준 위치로서, 펄스 신호를 표시 컨트롤러(72)의 자세 연산부(72C)로 출력한다.
자세 연산부(72C)에서는 제 1 엔코더(42A)로부터 출력된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붐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2)의 기준 위치의 교정을 행하고, 제 2 엔코더(43A)로부터 출력된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암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3)의 교정을 행한다.
즉, 제 1 엔코더(42A) 및 제 2 엔코더(43A)는 붐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2) 및 암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3)의 리셋 센서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라,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2, 43)의 검출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스트로크 위치를 기준 위치로 리셋하여 오차를 저감하고, 암(32)의 선단의 버킷 핀(39)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붐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2)는 붐 실린더(34)의 실린더 튜브(341)의 선단에 설치되고, 피스톤(342)의 스트로크량을 검출한다. 제 1 엔코더(42A)는 붐(31)의 회동 위치에 설치되어 붐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2)의 교정을 행한다. 이 제 1 엔코더(42A)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부(42A1)와, 원반부(42A2)와, 수광부(42A3)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부(42A1)는 수광부(42A3)에 대하여 광선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원반부(42A2)는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이 원반부(42A2)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복수의 쓰루 홀(42A4)이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쓰루 홀(42A5)이 1개소 형성되어 있다. 쓰루 홀(42A5)은 붐(31)의 회동역 내의 기준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고, 예를 들면 붐(31)의 회동역의 대략 중앙이다.
수광부(42A3)는 발광부(42A1)에 의한 위치에 복수의 수광소자(42A6)를 구비하고, 수광소자(42A6)가 광을 수광하면 펄스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엔코더(42A)는 붐(31)의 회동에 따라 원반부(42A2)가 회전한다. 원반부(42A2)의 회동에 의해, 쓰루 홀(42A5)이 발광부(42A1)의 하부를 통과하면, 발광부(42A1)로부터 조사된 광이 쓰루 홀(42A5)을 통하여 수광부(42A3)의 수광소자(42A6)로 수광된다. 광을 수광한 수광소자(42A6)는 자세 연산부(72C)에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암 핀(38)에 설치되는 제 2 엔코더(43A)도 상기와 동일한 구조 및 작용이다.
자세 연산부(72C)는 펄스 신호가 입력했을 때 붐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2)의 신호값을 판독하고, 기준 위치의 교정을 행한다.
한편, 버킷(33)은 내수 환경의 면에서 사용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엔코더를 사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버킷 실린더(36)에는 자력 센서(44A)가 설치되어 버킷 실린더(36)에 설치한 자석의 통과를 검출함으로써 기준 위치의 통과를 검출한다.
자력 센서(44A)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킷 실린더(36)의 실린더 튜브(361)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다. 자력 센서(44A)는 피스톤(362)의 직동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간되어 배치된 2개의 센서(44B, 44C)를 갖고 있다.
센서(44B, 44C)는 기지의 기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피스톤(362)에는 자력선을 생성하는 자석(44D)이 설치되어 있다. 센서(44B, 44C)는 자석(44D)으로 생성된 자력선을 투과하여 자력(자속 밀도)을 검출하고, 자력(자속 밀도)에 대응한 전기 신호(전압)를 출력한다.
센서(44B, 44C)에서 검출된 신호는 표시 컨트롤러(72)에 출력되고, 이 표시 컨트롤러(72)에서는 센서(44B, 44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버킷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4)의 검출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스트로크 위치를 기준 위치로 리셋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자력 센서(44A)는 자력에 의해 기준 위치를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버킷(33)의 스트로크 정밀도에 불균일성을 발생하기 쉽고, 엔코더(42A, 43A)를 리셋 센서로 한 붐(31)이나 암(32)의 경우보다 검출 스트로크 값의 오차가 커진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기계 본체(2)는 위치 검출부(45)를 구비하고, 이 위치 검출부(45)는 굴착기(1)의 작업 기계 본체(2)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위치 검출부(45)는 도 1에 나타내는 RTK-GNSS(Real Time Kinematic-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는 글로벌항법위성시스템을 말함)용 2개의 안테나(46, 47)와, 도 2a에 나타내는 위치 연산기(48)를 갖는다. 또한, 안테나(46, 47)는 상부 선회체(5)의 상부에 핸드 레일을 설치하고, 핸드 레일에 설치되어도 좋다.
안테나(46, 47)는 후술하는 차체 좌표계(x-y-z)의 원점(0)을 기준으로 하여 x축, y축 및 z축(도 2a∼도 2c 참조)에 따라 일정 거리(각각 Lbdx, Lbdy, Lbdz)만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안테나(46, 47)에서 수신된 GNSS 전파에 대응한 신호는 위치 연산기(48)에 입력된다. 위치 연산기(48)는 안테나(46, 47)의 글로벌 좌표계에 있어서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글로벌 좌표계는 X-Y-Z로 표기하고, 수평면을 XY, 연직방향을 Z로 한다. 또한, 글로벌 좌표계는 GNSS에 의해 계측되는 좌표계이고, 지구에 고정된 원점을 기준으로 한 좌표계이다.
이에 대하여, 후술하는 차체 좌표계는 작업 기계 본체(2)(구체적으로는 상부 선회체(5))에 고정된 원점(0)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이다.
안테나(46)(이하, 「기준 안테나(46)」라고 불러도 좋음)는 작업 기계 본체(2)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안테나이다. 안테나(47)(이하, 「방향 안테나(47)」라고 불러도 좋음)는 작업 기계 본체(2)(구체적으로는 상부 선회체(5))의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안테나이다. 위치 검출부(45)는 기준 안테나(46)와 방향 안테나(47)의 위치에 의해 후술하는 차체 좌표계의 x축의 글로벌 좌표계에서의 방향각을 검출한다. 또한, 안테나(46, 47)는 GPS용 안테나이어도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기계 본체(2)는 차체의 경사각을 계측하는 IMU49(Inertial Measurement Unit)를 구비하고, 이 IMU49에 의해 Y방향의 롤각(θ1: 도 2b 참조) 및 X방향의 피치각(θ2: 도 2c 참조)의 각속도와 가속도를 출력한다.
도 3은 굴착기(1)의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굴착기(1)는 조작 장치(51)와, 작업기 컨트롤러(52)와, 유압 제어 회로(53)와, 유압 펌프(54)와, 유압 모터(61)와, 엔진(54A)과, 표시 시스템(70)을 구비한다.
조작 장치(51)는 작업기 조작 레버(55)와 작업기 조작 검출부(56)를 구비한다.
작업기 조작 레버(55)는 좌우의 조작 레버(55L, 55R)를 구비한다. 좌 조작 레버(55L)의 좌우의 조작으로 상부 선회체(5)의 좌우의 선회 지령을 행하고, 좌 조작 레버(55L)의 전후의 조작으로 암(32)의 덤프·굴착을 지령한다. 우 조작 레버(55R)의 좌우의 조작으로 버킷(33)의 굴착·덤프를 지령하고, 우 조작 레버(55R)의 전후의 조작으로 붐(31)의 인하·인상을 지령한다.
작업기 조작 검출부(56L, 56R)는 작업기 조작 레버(55)의 조작 내용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로서 작업기 컨트롤러(52)로 출력한다. 작업기 조작 레버(55)로부터 유압 제어 회로(53)로의 조작 지령은 파일럿 유압 방식이어도 전기 레버 방식이어도 어느 쪽이어도 좋다. 전기 레버 방식의 경우에는 조작 지령을 포텐셔미터 등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작업기 컨트롤러(52)에 입력한다. 파일럿 유압 방식의 경우에는 레버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파일럿 유압으로 비례판을 구동하고, 작동유의 유량을 조정한다. 또한, 파일럿 압력을 압력 센서에서 검출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작업기 컨트롤러(52)에 입력한다.
주행 조작 레버(59)는 오퍼레이터가 굴착기(1)의 주행을 조작하기 위한 부재이다. 주행 조작 검출부(60), 주행 조작 레버(59)의 조작 내용에 근거하여 하부 주행체(4)의 유압 모터(61)에 유압의 공급을 행한다.
작업기 컨트롤러(52)는 RAM이나 ROM 등의 기억부(52A), 및 CPU 등의 연산부(52B)를 구비한다. 작업기 컨트롤러(52)는 주로 작업기(3)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작업기 컨트롤러(52)는 작업기 조작 레버(55)의 조작에 따라 작업기(3)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유압 제어 회로(53)로 출력한다.
유압 제어 회로(53)는 비례 제어 밸브, EPC 밸드 등의 유압 제어 기기를 구비하고, 작업기 컨트롤러(5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유압 펌프(54)로부터 유압 실린더(34∼36)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한다.
유압 실린더(34∼36)는 유압 제어 회로(5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에 따라 구동되고, 이에 따라 작업기(3)가 동작한다.
또한, 선회 조작 레버의 조작에 근거하여 비례 제어 밸브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유압 모터(61)가 구동되고 상부 선회체(5)가 선회한다. 또한, 상부 선회체(5)를 구동하는 선회 모터는 유압 구동이 아니고, 전동식을 사용해도 좋다.
굴착기(1)에는 표시 시스템(70)이 탑재되어 있다. 표시 시스템(70)은 작업 에어리어 내의 지면을 굴착하여 후술하는 설계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정보를 오퍼레이터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표시 시스템(70)은 표시 입력 장치(71)와, 표시 컨트롤러(72)와, 교정부(80)를 구비한다. 또한, 표시 시스템(70)의 각 기능은 개별의 컨트롤러로 해도 좋다.
표시 입력 장치(71)는 터치 패널식의 입력부(71A)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부(71B)를 구비한다. 표시 입력 장치(71)는 굴착을 행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안내 화면에는 각종 키가 표시되고, 오퍼레이터는 안내 화면상의 각종 키에 접촉함으로써 표시 시스템(70)의 각종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입력부(71A)는 오퍼레이터가 계측값 등의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부분이고, 키보드,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된다.
표시 컨트롤러(72)는 표시 시스템(70)의 각종 기능을 실행한다. 표시 컨트롤러(72)와 작업기 컨트롤러(52)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서로 통신가능하게 되어 있다. 표시 컨트롤러(72)는 RAM, ROM 등 기지의 수단에 의한 기억부(72A)와, CPU 등의 위치 연산부(72B)와, 자세 연산부(72C)를 구비한다.
위치 연산부(72B)는 기억부(72A)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와, 위치 검출부(45)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안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연산을 실행한다.
자세 연산부(72C)는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2∼44)의 검출값에 근거하여 붐(31), 암(32), 버킷(33)에 설치되는 각각의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2∼44)에 의해 검출되는 실린더 스트로크보다 자세각인 붐(31)의 회동각(α), 암(32)의 회동각(β), 버킷(33)의 회동각(γ)을 연산한다. 또한, 자세 연산부(72C)는 엔코더(42A, 43A), 자력 센서(44A)에 있어서, 각 유압 실린더(34∼36)의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2∼44)에서 취득한 스트로크값의 리셋을 행한다. 그리고, 자세 연산부(72C)는 IMU49의 각속도, 가속도보다 굴착기(1)의 롤각(θ1), 피치각(θ2)을 연산한다.
표시 컨트롤러(72)의 기억부(72A)에는 설계 지형 데이터가 미리 작성되어 기억되어 있다. 설계 지형 데이터는 3차원의 설계 지형의 형상 및 위치에 관한 정보이다. 설계 지형은 작업 대상이 되는 지면의 목표 형상을 나타낸다. 표시 컨트롤러(72)는 설계 지형 데이터나 상기한 각종 센서로부터의 검출 결과 등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안내 화면을 표시 입력 장치(71)에 표시시킨다.
또한, 기억부(72A)는 작업기 파라미터를 기억한다.
[3] 버킷(33)의 칼끝(P)의 위치의 연산 방법
이어서, 상기한 버킷(33)의 칼끝(P)의 위치의 연산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표시 컨트롤러(72)의 자세 연산부(72C)는 위치 검출부(45)의 검출 결과, 및 기억부(72A)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버킷(33)의 칼끝(P)의 추정 위치를 연산한다.
파라미터는 작업기 파라미터와 안테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작업기 파라미터는 붐(31)과 암(32)과 버킷(33)의 치수와 회동각을 나타내는 복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안테나 파라미터는 안테나(46, 47)와 붐(31)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컨트롤러(72)의 위치 연산부(72B)는 제 1 추정 위치 연산부(72D)와 제 2 추정 위치 연산부(72E)를 구비한다. 제 1 추정 위치 연산부(72D)는 작업기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버킷(33)의 칼끝(P)의 차체 좌표계에 있어서의 추정 위치를 연산한다.
제 2 추정 위치 연산부(72E)는 안테나 파라미터와 위치 검출부(45)가 검출한 안테나(46, 47)의 글로벌 좌표계에 있어서의 추정 위치와, 제 1 추정 위치 연산부(72D)가 연산한 버킷(33)의 칼끝(P)의 차체 좌표계에 있어서의 추정 위치로부터 버킷(33)의 칼끝(P)의 글로벌 좌표계에 있어서의 추정 위치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는 버킷(33)의 칼끝(P)의 추정 위치는 다음과 같이 요구된다.
우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5)의 선회 중심을 원점(0)으로 하는 차체 좌표계(x-y-z)를 설정한다. 또한, 차체 좌표계는 차체 전후 방향을 x축, 차체 좌우측 방향을 y축, 차체 연직 방향을 z축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붐 핀(37)을 굴착기(1)의 기준 위치로 한다. 붐 핀(37)의 위치는 붐 핀(37)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점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차체 좌표계에 대한 붐 핀(37)의 위치의 좌표를 제공하고 있다. 굴착기(1)의 기준 위치는 상부 선회체(5) 상에 임의로 설정되어도 좋다.
각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2, 43, 44)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기한 붐(31), 암(32), 버킷(33)의 현재의 회동각(α, β, γ)이 연산된다.
차체 좌표계에서의 버킷(33)의 칼끝(P)의 좌표(x, y, z)는 붐(31), 암(32), 버킷(33)의 회동각(α, β, γ)과, 작업 파라미터인 붐(31), 암(32), 버킷(33)의 길이(L1, L2, L3)를 이용하여, 이하의 식(1)에 의해 연산된다.
Figure 112015088172815-pct00001
···(1)
또한, 식(1)으로부터 구한 차체 좌표계에서의 버킷(33)의 칼끝(P)의 좌표(x, y, z)는 이하의 식(2)에 의해, 글로벌 좌표계에서의 좌표(X, Y, Z)로 변환된다.
Figure 112015088172815-pct00002
···(2)
단, ω, φ, κ은 이하의 식(3)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15088172815-pct00003
···(3)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θ1은 롤각이다. θ2는 피치각이다. 또한,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θ3은 요각(yaw angle)이고, 상기한 차체 좌표계의 x축의 글로벌 좌표계에서의 방향각이다. 따라서, 요각(θ3)은 위치 검출부(45)에 의해 검출된 기준 안테나(46)와 방향 안테나(47)의 위치에 근거하여 연산된다. (A, B, C)는 차체 좌표계의 원점의 글로벌 좌표계에서의 좌표이다.
상술한 안테나 파라미터는 안테나(46, 47)와 차체 좌표계의 원점의 위치 관계, 즉 안테나(46, 47)와 붐 핀(37)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점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도 2b 및 도 2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테나 파라미터는 붐 핀(37)과 기준 안테나(46) 사이의 차체 좌표계의 x축방향의 거리(Lbbx)와, 붐 핀(37)과 기준 안테나(46) 사이의 차체 좌표계의 y축방향의 거리(Lbby)와, 붐 핀(37)과 기준 안테나(46) 사이의 차체 좌표계의 z축방향의 거리(Lbbz)를 포함한다. 또한, 안테나 파라미터는 붐 핀(37)과 방향 안테나(47) 사이의 차체 좌표계의 x축방향의 거리(Lbdx)와, 붐 핀(37)과 방향 안테나(47) 사이의 차체 좌표계의 y축방향의 거리(Lbdy)와, 붐 핀(37)과 방향 안테나(47) 사이의 차체 좌표계의 z축방향의 거리(Lbdz)를 포함한다.
(A, B, C)는 안테나(46, 47)가 검출한 글로벌 좌표계에 있어서의 안테나(46, 47)의 좌표와 안테나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연산된다.
표시 컨트롤러(7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산한 버킷(33)의 칼끝(P)의 현재 위치와, 기억부(72A)에 기억된 설계 지형 데이터에 근거하여 3차원 설계 지형과 버킷(33)의 칼끝(P)의 거리를 연산한다. 이 거리를 표시부(71B)에 표시하거나 굴착 제어를 행할 때의 파라미터로서 사용하거나 할 수 있다.
이어서,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2, 43, 44)의 검출 결과로부터, 붐(31), 암(32), 버킷(33)의 현재의 회동각(α, β, γ)을 연산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붐(31)의 측면도이다. 붐(31)의 회동각(α)은 도 7에 나타나 있는 작업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이하의 식(4)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15088172815-pct00004
···(4)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붐(31)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boom2_x는 붐 실린더 푸트 핀(34A)과 붐 핀(37) 사이의, 붐(31)을 부착할 수 있는 작업 기계 본체(2)의 수평 방향(즉, 차체 좌표계의 x축방향에 상당)의 거리이다. 붐(31)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boom2_z는 붐 실린더 푸트 핀(34A)과 붐 핀(37) 사이의, 붐(31)을 부착할 수 있는 작업 기계 본체(2)의 연직 방향(즉, 차체 좌표계의 z축방향에 상당)의 거리이다. 붐(31)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boom1은 붐 실린더 탑 핀(34B)과 붐 핀(37) 사이의 거리이다. 붐(31)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boom2는 붐 실린더 푸트 핀(34A)과 붐 핀(37) 사이의 거리이다. 붐(31)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boom_cyl은 붐 실린더 푸트 핀(34A)과 붐 실린더 탑 핀(34B) 사이의 거리이다. 붐(31)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boom1_z는 붐 실린더 탑 핀(34B)과 붐 핀(37) 사이의 zboom축방향의 거리이다. 또한, 측면시에 있어서 붐 핀(37)과 암 핀(38)을 연결하는 방향을 xboom축으로 하고, xboom축에 수직한 방향을 zboom축으로 한다. 붐(31)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boom1_x는 붐 실린더 탑 핀(34B)과 붐 핀(37) 사이의 xboom축방향의 거리이다.
도 8은 암(32)의 측면도이다. 암(32)의 회동각(β)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고 있는 작업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이하의 식(5)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15088172815-pct00005
···(5)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붐(31)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boom3_z는 암 실린더 푸트 핀(35A)과 암 핀(38) 사이의 zboom축방향의 거리이다. 붐(31)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boom3_x는 암 실린더 푸트 핀(35A)과 암 핀(38) 사이의 xboom축방향의 거리이다. 붐(31)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boom3은 암 실린더 푸트 핀(35A)과 암 핀(38) 사이의 거리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arm2는 암 실린더 탑 핀(35B)과 암 핀(38) 사이의 거리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arm_cyl은 암 실린더 푸트 핀(35A)과 암 실린더 탑 핀(35B) 사이의 거리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arm2_x는 암 실린더 탑 핀(35B)과 암 핀(38) 사이의 xarm2축방향의 거리이다.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arm2_z는 암 실린더 탑 핀(35B)과 암 핀(38) 사이의 zarm2축방향의 거리이다.
또한, 측면시에 있어서 암 실린더 탑 핀(35B)과 버킷 핀(39)을 연결하는 방향을 xarm2축으로 하고, xarm2축에 수직한 방향을 zarm2축으로 한다.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arm1_x는 암 핀(38)과 버킷 핀(39) 사이의 xarm2축방향의 거리이다.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arm1_z는 암 핀(38)과 버킷 핀(39) 사이의 zarm2축방향의 거리이다. 또한, 측면시에 있어서 암 핀(38)과 버킷 핀(39)을 연결하는 방향을 xarm1축으로 한다. 암(32)의 회동각(β)은 xboom축과 xarm1축 사이에 이루어지는 각이다.
도 9는 버킷(33) 및 암(32)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버킷(33)의 측면도이다. 버킷(33)의 회동각(γ)은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고 있는 작업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이하의 식(6)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15088172815-pct00006
···(6)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arm3_z2는 제 1 링크 핀(40A)과 버킷 핀(39) 사이의 zarm2축방향의 거리이다.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arm3_x2는 제 1 링크 핀(40A)과 버킷 핀(39) 사이의 xarm2축방향의 거리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tmp는 버킷 실린더 탑 핀(36B)과 버킷 핀(39) 사이의 거리이다.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arm4는 제 1 링크 핀(40A)과 버킷 핀(39) 사이의 거리이다. 버킷(33)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bucket1은 버킷 실린더 탑 핀(36B)과 제 1 링크 핀(40A) 사이의 거리이다. 버킷(33)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bucket3은 버킷 핀(39)과 제 2 링크 핀(41A) 사이의 거리이다. 버킷(33)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bucket2는 버킷 실린더 탑 핀(36B)과 제 2 링크 핀(41A) 사이의 거리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킷(33)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bucket4_x는 버킷 핀(39)과 제 2 링크 핀(41A) 사이의 xbucket축방향의 거리이다. 버킷(33)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bucket4_z는 버킷 핀(39)과 제 2 링크 핀(41A) 사이의 zbucket축방향의 거리이다.
또한, 측면시에 있어서 버킷 핀(39)과 버킷(33)의 칼끝(P)을 연결하는 방향을 xbucket축으로 하고, xbucket축에 수직한 방향을 zbucket축으로 한다. 버킷(33)의 회동각(γ)은 xbucket축과 xarm1축 사이에 이루어지는 각이다. 상기한 Ltmp는 이하의 식(7)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15088172815-pct00007
···(7)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arm3은 버킷 실린더 푸트 핀(36A)과 제 1 링크 핀(40A) 사이의 거리이다.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arm3_x1은 버킷 실린더 푸트 핀(36A)과 버킷 핀(39) 사이의 xarm2축방향의 거리이다.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Larm3_z1은 버킷 실린더 푸트 핀(36A)과 버킷 핀(39) 사이의 zarm2축방향의 거리이다.
또한, 상기한 boom_cyl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붐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2)가 검출한 붐 실린더(34)의 스트로크장(bss)에, 붐(31)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붐 실린더 오프셋 작업 파라미터(boft)를 첨가한 값이다. 마찬가지로, arm_cyl은 암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3)가 검출한 암 실린더(35)의 스트로크장(ass)에,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암 실린더 오프셋 작업기 파라미터(aoft)를 첨가한 값이다. 마찬가지로, bucket_cyl은 버킷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44)가 검출한 버킷 실린더(36)의 스트로크장(bkss)에, 버킷 실린더(36)의 최소 거리를 포함한 버킷(33)의 작업기 파라미터인 버킷 실린더 오프셋 작업기 파라미터(bkoft)를 첨가한 값이다.
[4] 교정부(80)의 구성
도 3에 나타내는 교정부(80)는 굴착기(1)에 있어서, 상기한 회동각(α, β, γ)의 연산, 및 버킷(33)의 칼끝(P)의 위치를 연산하기 위해서 필요한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교정부(80)는 교정 연산부(83)을 구비하고, 굴착기(1) 및 외부 계측 장치(84)와 함께, 상기한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기 위한 교정 장치를 구성한다. 외부 계측 장치(84)는 버킷(33)의 칼끝(P)의 위치를 계측하는 장치이고, 예를 들면 토털스테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교정부(80)는 차내 통신에 의해 표시 컨트롤러(72)와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교정부(80)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계측값 취득부(83A)는 차내 통신에 의해 외부 계측 장치(84)와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교정 연산부(83)는 CPU 등으로 구성되고, 외부 계측 장치(84)에 의해 계측된 계측값에 근거하여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을 행한다.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은, 예를 들면 굴착기(1)의 출하시나 메인터넌스 후의 초기 설정에 있어서 실행된다.
작업 파라미터의 교정 결과는 표시 입력 장치(71)의 표시부(71B)에 표시되고, 오퍼레이터는 이 교정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교정이 잘 진행되었는지 재차 교정해야 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의 기능 블럭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정 연산부(83)는 계측값 취득부(83A)와, 좌표계 변환부(85)와, 작업기 파라미터 취득부(86)와, 파라미터 교정부(87)를 구비한다.
좌표계 변환부(85)는 외부 계측 장치(84)에서 계측된 계측값을 차체 좌표계로 변환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인 차체 좌표계로의 변환은 후술하지만, 차체 좌표계로 변환된 계측값은 파라미터 교정부(87)에 출력된다.
작업기 파라미터 취득부(86)는 표시 컨트롤러(72)의 기억부(72A)에 격납된 디폴트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판독하는 부분이고, 판독된 작업기 파라미터는 파라미터 교정부(87)에 출력된다. 또한, 디폴트의 작업기 파라미터는 도면값, 치수 측정 등에서 얻어진 값, 전회의 교정값을 필요에 따라 사용한다.
파라미터 교정부(87)는 작업기 파라미터 취득부(86)로부터 출력된 디폴트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좌표계 변환부(85)로 차체 좌표계로 변환된 계측값에 근거하여 교정하는 부분이고, 제 1 교정부(88) 및 제 2 교정부(89)를 구비한다.
제 1 교정부(88)는 작업기 파라미터 취득부(86)에서 취득된 붐(31) 및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부분이다.
제 2 교정부(89)는 제 1 교정부(88)에서 교정된 붐(31) 및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사용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버킷(33)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하는 부분이다.
파라미터 교정부(87)의 각 교정부(88, 89)는 교정된 붐(31), 암(32), 및 버킷(33)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표시부(71B)에 출력한다.
[5] 교정부(80)에 의한 교정 순서
[5-1] 외부 계측 장치(84)에 의한 계측
도 13은 계측자가 교정시에 행하는 작업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계측자는 외부 계측 장치(84)를 붐 핀(37)의 바로 옆에 소정의 거리 사이를 두고 설치한다(순서 S1).
이어서, 계측자는 버킷(33)의 외형 윤곽점과 버킷 접속 위치(버킷 핀(39))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각도 등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계측을 행한다(순서 S2). 버킷(33)의 작업기 치수 측정은 외부 계측 장치(84)를 사용하여 계측해도 좋지만, 외부 계측 장치(84)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메이저 등으로 직접 계측하고, 계측자가 표시 입력 장치(71)의 입력부(71A)로부터 수동으로 입력해도 좋다.
계측자는 외부 계측 장치(84)에 의해, 선회면의 측정을 행한다(순서 S3). 토털스테이션으로 계측하는 경우, 선회면의 측정은 선회체를 복수의 선회각(요각(θ3))을 변화시키면서 선회체의 위치를 계측한다. 선회체의 위치는 굴착기(1)의 작업 기계 본체(2)의 후부의 카운터 웨이트 등에 프리즘 등의 마커를 장착하고, 토털스테이션으로부터 광파를 사출하여 프리즘의 반사광을 검출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고, 선회 궤도의 3개소 측정하면 선회면을 계측할 수 있다.
계측자는 외부 계측 장치(84)에 의해, 도 14에 나타내는 붐 핀(37)의 측면 중심 위치(P1)를 계측한다(순서 S4).
붐 핀(37)의 측면 중심 위치(P1)의 계측이 종료하면, 오퍼레이터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붐(31)과 암(32)을 구동하고, 복수의 작업 자세로 변경한다. 계측자는 각각의 암(32)의 선단의 버킷 핀(39)의 위치를 계측한다(순서 S5). 버킷 핀(39)의 위치의 계측은 붐(31)을 가장 올린 위치(P2), 붐(31)을 작업 방향으로 연장, 또한 암(32)을 작업 방향으로 연장시킨 위치(P3), 붐(31)을 작업 방향으로 연장, 또한 암(32)을 당긴 위치(P4)의 3 자세로 계측을 행한다. 또한, 버킷 핀(39)의 위치의 계측은 3 자세로 제한되지 않고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이어서, 오퍼레이터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킷(33)을 구동하고, 복수의 버킷 자세로 변경한다. 계측자는 버킷(33)의 칼끝(P)의 위치를 계측한다(순서 S6). 버킷(33)의 칼끝(P)의 위치의 계측은 버킷(33)을 연장시킨 위치(P5)와, 버킷(33)을 끌어들인 위치(P6)의 2 자세로 계측을 행한다. 또한, 버킷(33)의 계측 자세는 2 자세로 제한되지 않고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최후에 계측자는 GPS 위치의 측정을 행한다(순서 S7).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순서 S2∼순서 S7로 계측된 각 계측값은 계측될 때마다 교정부(80)의 계측값 취득부(83A)로 출력되고, 외부 계측 장치(84)로부터 입력된 각 계측값은 순차적으로 좌표계 변환부(85)에 의해 글로벌 좌표계로부터 차체 좌표계로의 좌표 변화가 행해진다.
[5-2] 교정부(80)에 있어서의 교정 처리
이어서, 교정부(80)에 있어서의 파라미터의 교정 처리를 도 17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작업기 파라미터 취득부(86)는 표시 컨트롤러(72)의 기억부(72A)로부터 작업기 파라미터의 판독을 행하고, 파라미터 교정부(87)에 출력한다(순서 S8).
외부 계측 장치(84)로부터 출력된 계측값은 계측값 취득부(83A)에 입력된다(순서 S9). 좌표계 변환부(85)는 계측값 취득부(83A)에 입력된 계측값을 차체 좌표로 변환한다(순서 S10).
여기서, 계측값을 차체 좌표계로 변환하는 방법은 도 15에 나타내는 버킷 핀(39)의 계측 위치(P2∼P4)로부터 작업기(3)의 작업 평면을 구하고, 작업 평면의 법선 단위 벡터와 중심 좌표를 구하고, 도 14에 나타내지는 붐 핀(37)의 계측 위치(P1)를 작업 평면 상에 투영한다.
이어서, 선회면을 구하고, 그 법선 단위 벡터를 구한다. 선회면 및 작업 평면의 2개의 법선 벡터의 외적에 있어서 굴착기(1)의 전후 방향의 벡터를 구한다.
구한 전후 방향의 벡터와, 구한 작업 평면에 근거하여 상하 방향의 벡터(전후 방향 벡터에 직교하고, 또한 작업 평면 내의 벡터)를 구한다. 또한, 전후 방향의 벡터와, 구한 선회면에 근거하여 좌우측 방향의 벡터(전후 방향 벡터에 직교하고, 또한 선회 면내의 벡터)를 구한다.
이들 전후, 좌우, 상하 방향에 근거하여 계측값의 좌표계로부터 차체 좌표계로 변환하는 회전 행렬을 구하고, 붐 핀(37)을 원점으로 한 차체 좌표계의 위치 정보로 변환한다.
이어서, 제 1 교정부(88)는 계측 위치(P2∼P4)의 좌표와, 자세 연산부(72C)로 연산된 그 때의 자세에 근거하여 붐(31) 및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수속 연산에 의해 구한다(순서 S11).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식(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소 제곱법에 의해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값의 수속 연산을 행한다.
Figure 112015088172815-pct00008
···(8)
상기 k의 값은 도 15에 있어서의 계측 위치(P2∼P4)에 상당한다. 따라서, n=3이다. (x1, z1)은 차체 좌표계에서의 계측 위치(P2)의 좌표이다. (x2, z2)는 차체 좌표계에서의 계측 위치(P3)의 좌표이다. (x3, z3)은 차체 좌표계에서의 계측 위치(P4)의 좌표이다. 이 식(8)의 함수(J1)가 최소가 되는 점을 탐색하고 있음으로써,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값은 연산된다.
제 1 교정부(88)는 식(8)의 값이 소정의 허용 범위에 들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순서 S12).
제 1 교정부(88)는 오차가 소정의 허용 범위 내에 들어있지 않는 경우, 수속 연산이 소정 횟수 이내인지를 판정한다(순서 S13). 수속 연산이 소정 횟수(N) 미만인 경우, 순서 S11로 돌아간다.
수속 연산이 소정 횟수(N)에 도달했을 경우, 교정 작업이 실패한 취지를 표시부(71B) 상에 표시하고 계측자 및 오퍼레이터에 인식시켜 이전의 순서로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순서 S14).
계측자 및 오퍼레이터는 순서 S8로 돌아가고, 순서 S8∼순서 S11을 반복한다.
제 1 교정부(88)는 오차가 소정의 허용 범위 내에 들어있다고 판정되면, 오차가 허용 범위 내에 들어갔다는 정보를 표시부(71B) 상에 표시하고(순서 S14), 계측자 및 오퍼레이터에 인식시켜 작업기 파라미터의 수정을 행하고(순서 S15), 제 1 교정부(88)는 이전의 순서로 진행되는 것을 허가한다.
제 1 교정부(88)는 교정된 붐(31) 및 암(32)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제 2 교정부(89)로 출력한다.
제 2 교정부(89)는 제 1 교정부(88)에서 교정된 작업기 파라미터와, 계측 위치(P5, P6)의 복수의 작업기 자세를 취했을 때의 계측 위치의 계측값과, 자세 연산부(72C)에서 연산된 그 때의 자세에 근거하여 버킷(33)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값을 수속 연산에 의해 구한다(순서 S16). 구체적으로는, 제 2 교정부(89)는 계측 위치(P5), 계측 위치(P6)의 복수의 버킷 자세를 취했을 때의 계측 위치의 좌표와, 그 때의 실린더 스트로크 길이에 의해 작업기 파라미터를 수속 연산에 의해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9)에 근거하여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값의 수속 연산을 행한다.
Figure 112015088172815-pct00009
식(9)에 있어서, k의 값은 도 16에 있어서의 계측 위치(P5, P6)이다. 따라서, n=2이다. (x4, y4)는 차체 좌표계에서의 계측 위치(P5)의 좌표이다. (x5, y5)는 차체 좌표계에서의 계측 위치(P6)의 좌표이다. 식(9)의 함수(J2)가 최소가 되는 점을 탐색하고 있음으로써,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값은 연산된다.
제 2 교정부(89)가 식(9)의 J2가 소정의 허용 범위 내에 들어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순서 S17).
제 2 교정부(89)가 오차가 소정의 허용 범위 내에 들어있지 않는 경우, 수속 연산이 소정 횟수 이내인지를 판정한다(순서 S18). 수속 연산이 소정 횟수(N) 미만인 경우, 순서 S16로 돌아간다.
수속 연산이 소정 횟수(N)에 도달했을 경우, 교정 작업이 실패한 취지를 표시부(71B) 상에 표시하고 계측자 및 오퍼레이터에 인식시켜 이전의 순서로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순서 S19).
제 2 교정부(89)가 오차가 소정의 허용 범위 내에 들어있다고 판정되면, 오차가 허용 범위 내에 들어갔다는 정보를 표시부(71B) 상에 표시하고 계측자 및 오퍼레이터에 인식시킨다(순서 S19).
파라미터 교정부(87)는 교정된 작업기 파라미터를 표시 컨트롤러(72)에 출력하고, 표시 컨트롤러(72)의 기억부(72A)에 새로운 작업기 파일의 파라미터로서 기입한다(순서 S20).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교정부(88)에 의해 설정하는 허용 오차는 제 2 교정부(89)에서 설정하는 허용 오차보다 작은 오차를 설정하고 있다. 허용 오차를 이와 같이 설정하면, 버킷(33)에 대하여 작업기 치수가 큰 제 1 구동부(붐(31) 및 암(32))의 오차는 버킷(33)의 칼끝(P)의 오차의 요인으로서 제 2 구동부(버킷(33))의 오차보다 기여가 크다. 제 1 구동부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오차를 작게 하므로 칼끝(P)의 오차를 작게 할 수 있다.
[6] 실시형태의 효과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착기(1)의 작업기(3)의 가동 범위 내에서 버킷(33)의 칼끝(P)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외부 계측 장치(84)에 의한 칼끝(P)의 위치의 계측값과, 작업기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연산한 칼끝(P)의 위치의 추정값의 오차를 확인했다.
종래의 방법에 의한 칼끝(P)의 위치를 5 자세로 교정했을 경우, 버킷(33)의 하방 위치나, 작업 방향 선단측에서 추정 위치와 계측 위치의 오차가 크게 나와버렸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교정부(88)에서 오차가 작은 제 1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실린더 스트로크를을 사용하여 제 1 구동부를 교정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을 행함으로써, 제 1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파라미터를 고정밀도로 교정할 수 있게 된다. 고정밀도로 교정한 제 1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함으로써,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도 종래로부터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칼끝(P)의 위치의 계측 위치와 연산한 칼끝(P)의 위치의 추정값의 오차도 작아졌다.
이에 따라, 작업기(3)의 전 동작 영역에 있어서 오차는 작아진다. 특히, 작업기(3)의 치수가 길어지는 경우, 오차의 개선은 현저하다.
[6] 실시형태의 변형
또한,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굴착기(1)를 교정의 대상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휠 로더나 다른 작업 기계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행한 외부 계측 장치(84)에 의한 계측의 순서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순서이어도 좋다.
1…굴착기, 2…작업 기계 본체,
3…작업기, 4…하부 주행체,
4A…주행 장치, 4B…크롤러,
5…상부 선회체, 6…캡,
31…붐, 32…암,
33…버킷, 34…붐 실린더,
34A …붐 실린더 푸트 핀, 34B…붐 실린더 탑 핀,
35…암 실린더, 35A…암 실린더 푸트 핀,
35B…암 실린더 탑 핀, 36…버킷 실린더,
36A…버킷 실린더 푸트 핀, 36B…버킷 실린터 탑 핀,
37…붐 핀, 38…암 핀,
39…버킷 핀, 40…제 1 링크 부재,
40A…제 1 링크 핀, 41…제 2 링크 부재,
41A…제 2 링크 핀, 42…붐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
42A…제 1 엔코더, 42A1…발광부,
42A2…원반부, 42A3…수광부,
42A4…쓰루 홀, 42A5…쓰루 홀,
42A6…수광 소자, 43…암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
43A…제 2 엔코더, 44…버킷 실린더 스트로크 센서,
44A…자력 센서, 44B, 44C…센서,
44D…자석, 45…위치 검출부,
46…기준 안테나, 47…방향 안테나,
48…위치 연산기, 49…IMU,
51…조작 장치, 52…작업기 컨트롤러,
52A…기억부, 52B…연산부,
53…유압 제어 회로, 54…유압 펌프,
54A…엔진, 55…작업기 조작 레버,
55L…좌 조작 레버, 55R…우 조작 레버,
56…작업기 조작 검출부, 59…선회 조작 레버,
60…선회 조작 검출부, 61…유압 모터,
70…표시 시스템, 71…표시 입력 장치,
71A…입력부, 71B…표시부,
72…표시 컨트롤러, 72A…기억부,
72C…자세 연산부, 72D…제 1 추정 위치 연산부,
72E… 제 2 추정 위치 연산부, 80…교정 장치,
81…입력부, 82…표시부,
83…교정 연산부, 83A…계측값 취득부,
84…외부 계측 장치, 85…좌표계 변환부,
86…작업기 파라미터 취득부, 87…파라미터 교정부,
88…제 1 교정부, 89… 제 2 교정부,
341…실린더 튜브, 342…피스톤,
361…실린더 튜브, 362…피스톤,
P…칼끝, α…회동각,
β…회동각, γ…회동각,
θ1…롤각, θ2…피치각,
θ3…요각

Claims (8)

  1. 작업 기계 본체와,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설치된 제 1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1 구동부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제 1 구동부에 설치된 제 2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구동부를 구비한 작업기와,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대한 상기 제 1 구동부의 회동각 정보를 검출하는 제 1 회동각 검출부와,
    상기 제 1 구동부에 대한 상기 제 2 구동부의 회동각 정보를 검출하는 제 2 회동각 검출부와,
    검출된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의 회동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자세를 연산하는 자세 연산부와,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에 설정된 작업기 파라미터와, 상기 자세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의 추정 위치를 연산하는 추정 위치 연산부를 구비한 작업 기계에 장착되어 상기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을 행하는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로서,
    외부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된 상기 작업 기계 본체,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을 취득하는 계측값 취득부와,
    상기 추정 위치 연산부에서 사용하는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작업기 파라미터 취득부와,
    상기 계측값 취득부에 의해 계측된 상기 작업 기계 본체의 기준점의 계측값, 및 상기 제 1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제 1 교정부와,
    상기 제 1 교정부에 의해 교정된 상기 제 1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와, 상기 계측값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작업 기계 본체의 기준점의 계측값, 상기 제 1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제 2 교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동각 검출부 및 상기 제 2 회동각 검출부는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에 설치되어 각각의 스트로크량을 검출하는 스트로크량 검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는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대한 상기 제 1 구동부의 회동각 을 검출하는 엔코더를 구비하고,
    상기 자세 연산부는 상기 엔코더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 1 구동부의 회동각의 기준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스트로크량 검출부의 기준 위치의 교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정부 및 상기 제 2 교정부는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와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을 포함하는 수치 해석식이 소정의 오차 범위로 수속될 때까지 수속 연산을 행함으로써 교정하고,
    상기 제 2 교정부의 허용 오차 범위는 상기 제 1 교정부의 허용 오차 범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핀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설치된 붐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붐과, 상기 붐의 선단에 핀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붐에 설치된 암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구동부는 상기 암의 선단에 핀을 통하여 접속되는 버킷이고,
    상기 제 1 구동부의 기준점은 상기 암의 선단의 핀이고,
    상기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은 상기 버킷의 작업 방향 선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정부는 상기 작업 기계의 3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고,
    상기 제 2 교정부는 상기 작업 기계의 2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
  7. 작업 기계 본체와,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설치된 붐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붐, 상기 붐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붐에 설치된 암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암, 및 상기 암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암에 설치된 버킷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버킷을 구비한 작업기와,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대한 상기 붐의 회동각 정보를 검출하는 붐 회동각 검출부와,
    상기 붐에 대한 상기 암의 회동각 정보를 검출하는 암 회동각 검출부와,
    상기 암에 대한 상기 버킷의 회동각 정보를 검출하는 버킷 회동각 검출부와,
    상기 붐 회동각 검출부, 상기 암 회동각 검출부 및 상기 버킷 회동각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각각의 회동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붐, 상기 암 및 상기 버킷의 자세를 연산하는 자세 연산부와,
    상기 붐, 상기 암, 상기 버킷에 설정된 작업기 파라미터와, 상기 자세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붐, 상기 암 및 상기 버킷의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버킷의 칼끝의 추정 위치를 연산하는 추정 위치 연산부를 구비한 작업 기계에 장착되어 상기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을 행하는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로서,
    외부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된 상기 작업 기계 본체의 기준점의 계측값, 상기 붐의 기준점의 계측값, 상기 암의 기준점의 계측값 및 상기 버킷의 기준점의 계측값을 취득하는 계측값 취득부와,
    상기 추정 위치 연산부에서 사용하는 상기 붐, 상기 암 및 상기 버킷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작업기 파라미터 취득부와,
    상기 계측값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작업 기계 본체, 상기 붐 및 상기 암의 기준점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상기 붐 및 상기 암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제 1 교정부와,
    상기 제 1 교정부에 의해 교정된 상기 붐 및 상기 암의 작업기 파라미터와, 상기 계측값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작업 기계 본체, 상기 붐, 상기 암 및 상기 버킷의 기준점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상기 버킷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제 2 교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
  8. 작업 기계 본체와,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설치된 제 1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1 구동부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제 1 구동부에 설치된 제 2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구동부를 구비한 작업기와,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대한 상기 제 1 구동부의 회동각 정보를 검출하는 제 1 회동각 검출부와,
    상기 제 1 구동부에 대한 상기 제 2 구동부의 회동각 정보를 검출하는 제 2 회동각 검출부와,
    검출된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의 회동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자세를 연산하는 자세 연산부와,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에 설정된 작업기 파라미터와, 상기 자세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의 추정 위치를 연산하는 추정 위치 연산부를 구비한 작업 기계에서 실시되어 상기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작업 기계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에 설정된 작업기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순서와,
    외부 계측 장치를 사용하여 계측된 상기 작업 기계 본체, 상기 제 1 구동부,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을 취득하는 순서와,
    상기 작업 기계 본체 및 상기 제 1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순서와,
    교정된 상기 제 1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와, 상기 작업 기계 본체,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기준점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작업기 파라미터를 교정하는 순서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 방법.
KR1020157024866A 2015-03-27 2015-03-27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 및 작업 기계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 방법 KR101711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9789 WO2015137526A1 (ja) 2015-03-27 2015-03-27 作業機械の較正装置、及び作業機械の作業機パラメータの較正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676A KR20160115676A (ko) 2016-10-06
KR101711413B1 true KR101711413B1 (ko) 2017-03-02

Family

ID=5407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4866A KR101711413B1 (ko) 2015-03-27 2015-03-27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 및 작업 기계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81984B2 (ko)
JP (1) JP5841300B1 (ko)
KR (1) KR101711413B1 (ko)
CN (1) CN105121753B (ko)
DE (1) DE112015000027B4 (ko)
WO (1) WO2015137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4210B2 (en) * 2016-04-11 2018-04-17 Deere & Company Auto calibration for bin position sensor
CN109716058B (zh) * 2016-10-31 2021-05-14 株式会社小松制作所 测量系统、作业机械及测量方法
JP6714534B2 (ja) * 2017-03-29 2020-06-2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WO2019012651A1 (ja) * 2017-07-13 2019-01-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および油圧ショベルの較正方法
JP6714549B2 (ja) * 2017-07-26 2020-06-2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センサ搭載位置判定システム及び判定方法
JP7275498B2 (ja) * 2018-08-23 2023-05-1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7178854B2 (ja) * 2018-09-28 2022-11-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7245581B2 (ja) * 2018-10-10 2023-03-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運搬車両に素材を積み込む作業機械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DE102018126809A1 (de) * 2018-10-26 2020-04-30 Liebherr-France Sas System und Verfahren zum Bestimmen der Masse einer von einem Arbeitsgerät bewegten Nutzlast
JP7095628B2 (ja) * 2019-03-07 2022-07-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座標系変換パラメータ推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943341A4 (en) * 2019-03-19 2022-12-1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LOAD LIFTING AND LOWERING DEVICE OF A DUMP TRUCK
JP7245099B2 (ja) * 2019-03-29 2023-03-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校正方法、作業機械のコントローラ、および作業機械
JP7255364B2 (ja) * 2019-05-31 2023-04-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移動体、センサーモジュール及びセンサーモジュールの較正方法
CN111623803B (zh) * 2020-07-09 2022-05-03 北京天玛智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综采工作面倾角传感器自动校准系统及方法
CN114485530A (zh) * 2021-10-29 2022-05-13 许继时代技术有限公司 基于实时动态rtk的缘斗臂车绝缘斗臂姿态测量装置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2061A (ja) 2011-03-24 2012-10-22 Komatsu Ltd 油圧ショベルの較正システム及び較正方法
JP2012233353A (ja) 2011-05-02 2012-11-29 Komatsu Ltd 油圧ショベルの較正システム及び油圧ショベルの較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2082A1 (en) 1997-09-04 1999-03-11 Dynalog, Inc. Method for calibration of a robot inspection system
JP3827480B2 (ja) 1999-08-13 2006-09-27 日立建機株式会社 自動運転建設機械およびその位置計測手段の校正方法
US7162348B2 (en) * 2002-12-11 2007-01-09 Hemisphere Gps Llc Articulated equipment posi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FR2928387B1 (fr) * 2008-03-10 2012-11-16 Westline Procede et systeme de calibration automatique des engins de terrassement
US8401744B2 (en) * 2008-07-22 2013-03-19 Trimble Naviga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guidance controller
JP5237409B2 (ja) 2011-03-24 2013-07-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較正装置及び油圧ショベルの較正方法
JP5328830B2 (ja) * 2011-03-24 2013-10-3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較正装置及び油圧ショベルの較正方法
JP2015068071A (ja) * 2013-09-30 2015-04-1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2061A (ja) 2011-03-24 2012-10-22 Komatsu Ltd 油圧ショベルの較正システム及び較正方法
JP2012233353A (ja) 2011-05-02 2012-11-29 Komatsu Ltd 油圧ショベルの較正システム及び油圧ショベルの較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5000027T5 (de) 2015-12-10
KR20160115676A (ko) 2016-10-06
DE112015000027B4 (de) 2017-02-16
CN105121753B (zh) 2017-05-03
JPWO2015137526A1 (ja) 2017-04-06
WO2015137526A1 (ja) 2015-09-17
US9481984B2 (en) 2016-11-01
JP5841300B1 (ja) 2016-01-13
CN105121753A (zh) 2015-12-02
US20160281334A1 (en)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413B1 (ko)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 및 작업 기계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 방법
KR101733963B1 (ko) 작업 기계의 교정 장치 및 작업 기계의 작업기 파라미터의 교정 방법
KR101669787B1 (ko) 유압 쇼벨의 교정 시스템 및 교정 방법
KR101739309B1 (ko) 작업 기계, 및 작업 기계의 작업기 파라미터 보정 방법
US8838329B2 (en) Hydraulic shovel calibration system and hydraulic shovel calibration method
JP5328830B2 (ja) 油圧ショベルの較正装置及び油圧ショベルの較正方法
JP5237409B2 (ja) 油圧ショベルの較正装置及び油圧ショベルの較正方法
JP2012233353A (ja) 油圧ショベルの較正システム及び油圧ショベルの較正方法
KR20230002979A (ko) 정보 취득 시스템 및 정보 취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