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131B1 - 자동차 내부 연소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부 연소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131B1
KR101709131B1 KR1020117028897A KR20117028897A KR101709131B1 KR 101709131 B1 KR101709131 B1 KR 101709131B1 KR 1020117028897 A KR1020117028897 A KR 1020117028897A KR 20117028897 A KR20117028897 A KR 20117028897A KR 101709131 B1 KR101709131 B1 KR 101709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diagnostic
alcohol content
supply system
diagn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6524A (ko
Inventor
니콜라스 프로탱
미쉘 르포르크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20026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8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simultaneously using pluralities of fuels
    • F02D19/082Premixed fuels, i.e. emulsions or blends
    • F02D19/085Control based on the fuel type or composition
    • F02D19/087Control based on the fuel type or composition with determination of densities, viscosities, composition, concentration or mixture ratios of fuels
    • F02D19/088Control based on the fuel type or composition with determination of densities, viscosities, composition, concentration or mixture ratios of fuels by estimation, i.e. without using direct measurements of a corresponding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23Failure diagnosis or prevention; Safety measures; Te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8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simultaneously using pluralities of fuels
    • F02D19/082Premixed fuels, i.e. emulsions or blends
    • F02D19/084Blends of gasoline and alcohols, e.g. E8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7Taking into account fuel evaporation or wall we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8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idling
    • F02D41/08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idling taking into account the temperature of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93Details
    • F02D41/1495Detection of abnormalities in the air/fuel ratio feedback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26Measuring or estimating parameters related to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628Determining the fuel pressure, temperature or flow, the fuel tank fill level or a valve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6Fuel or fuel supply system parameters
    • F02D2200/0611Fuel type, fuel composition or fuel quality
    • F02D2200/0612Fuel type, fuel composition or fuel quality determined by estim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11Oil dilution, i.e. prevention thereof or special controls according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39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F02D41/1441Plural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부 연소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연료는 자동차의 탱크 내에 저장되고 또한 가변적인 알코올 함량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S6), 탱크 안으로의 연료의 추가를 검출하는 단계(S2), 연료 내의 알코올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S2a), 및 연료 내의 알코올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S2a)가 완료되었다면 진단 단계(S6)가 개시되는 체크 단계(S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부 연소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the operational state of a fuel supply system of an automobi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부 연소 엔진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의 진단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차 연소 엔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솔린, 또는 예를 들어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또는 이 두 가지 연료들의 가변 비율에 따라 구동되는 내부 연소 엔진에 유리하게 적용된다.
공해 저감 표준이 점차 엄격해짐에 따라서, 자동차 엔진에 의해 배출되는 오염에 대한 제어를 확보하기 위해서 자동차 엔진에서의 연료의 연소를 체크(check)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그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을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것은 공해 문턱값(pollution thresholds)을 넘는 것을 야기할 그 시스템의 어떠한 고장에 대해, 경고 램프(warning lamp)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모니터링은 사용되는 연료가 가변적인 알코올 함량을 포함하는 때에는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연료 증기(fuel vapor)가 엔진 오일 집유부(engine oil sump)로부터의 오일 증기와 혼합되는, "블로우-바이(blow-by)"로 알려진 현상은,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의 모니터링에 대해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미친다. 나아가, 연료의 알코올 함량이 높을 수록, 그와 같은 블로우-바이 현상은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현재, 연료 공급 회로 진단은, 람다 프로브(lambda probe)로서도 알려진 부유도 탐침(richness probe)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촉매 변환기(catalytic converter)로 들어가는 배기 가스(exhaust gas)의 부유도를 통제하는데에 사용되는 다양한 파라미터(parameter)들을 모니터링함에 기초를 두고 있다. "배기 가스의 부유도"라 함은, 배기 가스에 존재하는 산소량을 의미한다. 단일 유형의 연료로 구동되는 엔진의 경우, 이 파라미터들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면 연료 공급 회로의 고장(failure)의 레벨(level)에 대한 단서가 제공된다. 가변적인 알코올 함량을 포함하는 연료에 의하여 구동되는 엔진의 경우, 배기 가스의 부유도를 통제하는데에 이용되는 파라미터들은 시스템의 고장때문이 아니라 알코올 함량의 변화때문에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코올 함량의 변화는 엔진의 유출 측에서의 부유도를 주어진 엔진 작동점에 대해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분사되어야 하는 연료량의 변화로 이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연료 공급 회로에서의 어떠한 열화(degradation)가 없는 채로 모니터링 파라미터들이 변화하면, 연료의 변화로 인하여 고장 상태를 검출할 위험이 매우 높게 된다.
또한, 배기 가스의 부유도를 설정하는데에 이용되는 통제는, 부유도를 통제하는 보정기(corrector)가 연료의 알코올 함량에 따라 설정되기 때문에, 연료의 유형에 따라 큰 폭으로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연료의 알코올 함량이 진단에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어떠한 알코올 함량이 사용되든 간에, 그 신뢰성은 보장되지 않는다.
출원인의 회사 명의로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FR2892769을 참조하면, 여기에는 배기 가스의 부유도 측정치(measurement of the richness)를 기초로 하여 자동차의 연료의 알코올 함량을 식별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그 측정은 부유도 탐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문헌에는 차량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수단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는 연료를 이용하는 때에는 다른 문제도 발생한다. 탱크의 알코올 함량이 충분히 높은 때에는, 분사된 알코올의 일부가 엔진 오일 집유부의 오일 안으로 들어가고, 어떤 여건 하에서는 그 연료가 증발하여 흡기 매니폴드(intake manifold) 안으로 들어간다. 이와 같은 현상은 배기 가스 부유도 통제, 연료 공급 회로의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들, 그리고 그에 따라 엔진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의 진단을 방해하는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가변적인 알코올 함량을 포함하는 연료를 위한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자동차의 내부 연소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상기 연료는 자동차의 탱크(tank) 내에 저장되고 또한 가변적인 알코올 함량(alcohol content)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탱크에의 연료 추가를 검출하는 단계; 연료의 알코올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연료의 알코올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가 종료되었다면 진단 단계가 개시되는 체크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연료에 변화가 있는 때에는 연료의 알코올 함량이 올바르게 검출되는 때까지 진단의 결과가 고려되지 않고, 이것은 연료의 정상적인 변화가 있을 뿐인 경우에 연료 공급 시스템의 고장을 진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방법이 엔진 오일 내에 희석된 연료의 증발(evaporation)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엔진 오일 내에 희석된 연료의 증발이 검출되지 않는다면 체크 단계 중에 진단 단계가 개시된다.
진단의 결과는 블로우-바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고려되지 않는데, 이것은 사실상 정상적인 거동을 보일 뿐인 것일 수 있는 때에 연료 공급 시스템에 고장이 있다고 판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진단 단계를 위하여 의도된 진단 파라미터들이 상기 결정된 알코올 함량으로부터 산출되는 캘리브레이션 단계(calibration step)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의 알코올 함량이 어떻든 간에 진단의 신뢰성을 보장하도록, 진단의 파라미터들은 연료의 알코올 함량에 따라서 캘리브레이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단 파라미터들의 산출 중에는 상기 결정된 알코올 함량으로부터 진단 간격의 상측 경계 및 하측 경계가 산출되고, 진단 단계 중에는 진단 기준이 산출되며, 그 기준은 상기 진단 간격에 대해 비교되고, 진단 기준이 진단 간격의 외측에 있으면 고장 상태가 진단된다.
유리하게는, 진단 파라미터들의 산출 중에는 상기 결정된 알코올 함량으로부터 진단 시간이 산출되고, 진단 단계 중에는 그 산출된 진단 시간 동안에 진단 기준이 산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자동차의 내부 연소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장치가 제공되는바, 상기 연료는 자동차의 탱크 내에 저장되고 또한 가변적인 알코올 함량을 포함한다.
이 장치는: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수단; 탱크에의 연료의 추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연료의 알코올 함량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수단; 및 결정 수단이 연료의 알코올 함량을 결정했다면 진단 수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체크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장치는 엔진 오일 내에 희석된 연료의 증발을 검출하기 위한 제2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제2 검출 수단이 엔진 오일 내에 희석된 연료의 증발을 검출하지 않는다면 체크 수단이 진단 수단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진단 수단을 위하여 의도된 진단 파라미터들을 상기 결정된 알코올 함량으로부터 산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캘리브레이션 수단은 상기 결정된 알코올 함량으로부터 진단 간격의 상측 경계 및 하측 경계를 산출할 수 있고, 진단 수단은, 진단 기준을 산출하기 위한 수단, 진단 기준을 진단 간격에 대해 비교하기 위한 수단, 및 진단 기준이 진단 간격 외측에 있다면 고장 상태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캘리브레이션 수단은 상기 결정된 알코올 함량으로부터 진단 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진단 수단은 상기 산출된 진단 시간으로부터 진단 기준을 산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가변적인 알코올 함량을 포함하는 연료를 위한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하기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제공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 에는 자동차 내부 연소 엔진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자동차 내부 연소 엔진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의 주요 단계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에는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는 자동차 내부 연소 엔진(3)의 연료 공급 시스템(2)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장치(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내부 연소 엔진(3)은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4)를 갖는다. 이 내부 연소 엔진(3)은 엔진(3)의 흡기 매니폴드(6)로 공기를 운반하는 신선 공기 공급 파이프(fresh air supply pipe; 5)를 포함한다.
엔진(3)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는 배기 매니폴드(exhaust manifold; 7)에 의해 수집되어, 배기 가스 처리 부재(exhaust gas 처리 부재; 9)가 장착된 배기 파이프(exhaust pipe; 8)를 거쳐서 제거된다.
배기 가스 처리 부재(9)는 입자 필터(particulate filter), 질소 산화물 트랩(nitrogen oxides trap), 촉매 변환기, 또는 이 세 가지가 조합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엔진(3)에는 메인 탱크(main tank; 10) 안에 저장된 연료가 공급된다.
그 저장된 연료는, 펌프(11), 필터(12), 및 압력 통제기(50)를 거쳐서, 엔진(3)의 각 실린더(4)와 연계된 연료 분사기(fuel injector; 13)로 운반된다.
연료 공급 시스템(2)은 상기 연료 분사기, 상기 펌프(11), 상기 필터(12), 상기 압력 통제기(50), 및 연료를 메인 탱크(10)로부터 연료 분사기(13)로 운반하는 파이프들을 포함한다.
전자 제어 유니트(electronic control unit; ECU; 14)는 연결부(15)를 거쳐서 각 연료 분사기(13)의 개방 시간을 제어한다. 각 연료 분사기(13)의 개방 시간에 대한 이와 같은 제어는, 특히, 주어진 배기 가스 부유도 값에 대해서 엔진에 들어보내지는 공기/연료 혼합물을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장치(1)는, 배기 가스의 부유도의 측정치를 송신하는 부유도 탐침(18)도 포함하는데, 그 측정치는 연결부(19)를 거쳐서 ECU(14)로 전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부유도 탐침(18)이 배기 가스 처리 부재(9)의 상류에 위치된다. 장치(1)는 배기 가스 처리 부재(9)의 하류에 위치된 다른 산소 탐침(oxygen probe; 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부유도 탐침(53)은 배기 가스의 부유도의 측정치를 송신하는바, 그 측정치는 연결부(54)를 거쳐서 ECU(14)로 전달된다.
장치(1)는 탱크(10)에 존재하는 연료의 레벨(level)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연료 레벨 게이지(fuel level gage; 51)도 포함하는데, 그 정보는 연결부(52)에 의하여 ECU(14)로 전달된다.
장치(1)는 엔진(3)의 작동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엔진(3)의 속력 및 엔진(3)의 부하와 같은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20)을 더 포함하는바, 그 정보는 연결부(21)에 의하여 ECU(14)로 전달된다.
또한, ECU(14)는 내부 연소 엔진(3)의 연료 공급 시스템(2)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들을 포함하는바, 그 방법에 관하여는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그 수단들은 소프트웨어의 형태 및/또는 논리 회로의 형태로서 ECU(14)에서 작동될 수 있다.
도 2 에는 자동차 내부 연소 엔진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의 주요 단계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 방법은, 진단 파라미터(diagnostics parameter)들을 초기화하는 단계(S1), 연료에 대한 연료의 추가를 검출하는 단계(S2), 연료 내의 알코올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S2a), 및 엔진 오일 내에 희석된 연료의 증발을 검출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또한 그 방법은, 체크 단계(checking step)(S4), 캘리브레이션 단계(S5), 및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S6)도 포함한다.
진단 파라미터들을 초기화시키는 단계(S1)에서는, 이 방법에서 사용되는 진단 파라미터들 모두가 초기화되는바, 특히 하기의 검출 파라미터들이 초기화된다.
RECOCARB = 1;
BLOWDET = 0;
여기에서, RECOCARB 과 BLOWDET 는 다음과 같다.
- RECOCARB: 부울린 유형(boolean type)의 검출 파라미터로서, 알코올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S2a)가 활성(active)이면, 즉 단계(S2a)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1 의 값을 취하고, 그렇지 않다면 0 의 값을 취한다.
- BLOWDET: 부울린 유형의 검출 파라미터로서, 연료의 증발을 검출하는 단계(S3) 중에 연료의 증발이 검출되면 1의 값을 취하고, 그렇지 않다면 0 의 값을 취한다.
연료의 추가를 검출하는 단계(S2) 중에, 탱크 내에 존재하는 연료의 레벨에 관한 게이지(51)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가 수집된다.
알코올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S2a) 중에는, 부유도 탐침들(18, 53)에 의하여 수신되는 배기 가스 부유도 정보로부터 연료의 알코올 함량이 결정된다. 이 결정 시간 중에는, 부유도가 1 에 가깝게, 즉 연소된 연료의 질량과 배기 가스 내에 존재하는 산소의 질량 간의 화학양론적 비율(stoichiometric ratio)에 가깝게 될 때까지 배기 가스 부유도 설정이 조정된다.
알코올 함량은 배기 가스 부유도의 측정치를 분석함에 의하여 결정된다. 배기 가스의 조성에 있어서 산소가 빈약하다면, 연료 분사 지속시간(fuel injection duration)은 이전의 분사 지속시간과 비교하여 길게 된다. 만일 배기 가스 조성에 있어서 산소가 풍부하다면, 연료 분사 지속시간은 이전의 분사 지속시간과 비교하여 짧아진다. 예를 들어, 프랑스 특허 출원 FR2892769 에 기재된 연료의 알코올 함량 결정 방법을 이용하면 될 것이다.
결정 단계(S2a)는, 연료의 알코올 함량을 나타내는 알코올 함량(CONTENT)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변수 CONTENT 는 0 과 1 사이에서 변화하고, 연료가 순수한 알코올이라면 CONTENT 는 1 이고, 연료가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는 가솔린이라면 0 이다.
알코올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S2a)가 종료된 때에, 즉 배기 가스 부유도 설정이 안정화되는 때에, 검출 파라미터 RECOCARB 가 갱신(update)되고 0 의 값을 취한다.
연료의 증발을 검출하는 단계(S3) 중에는, 블로우-바이 현상이 배기 가스 부유도 설정(exhaust gas richness setting)을 저해할 정도로 충분히 현저한지의 여부가 검출되고, 그에 따라 검출 파라미터 BLOWDET 가 갱신된다. 블로우-바이 현상의 검출은 배기 가스 부유도에 있어서의 드리프트(drift)를 산출함으로써 수행된다.
체크 단계(S4)에서는, 진단 단계(S6)를 수행하기 전에 적절한 조건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알기 위해 체크가 수행된다. 체크 단계(S4)는 시험 단계들(test steps; S41 내지 S43)을 포함한다.
시험 단계(S41)에서는 알코올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S2a)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이 시험 단계(S41) 중에는 파라미터 RECOCARB 의 값이 시험되고, 검출 파라미터 RECOCARB 가 0 의 값을 갖는다면 다음 시험 단계(S42)가 수행되며, 그렇지 않다면 시험 단계(S41)가 반복된다.
시험 단계(S42)에서는 연료의 증발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이 시험 단계(S42) 중에는 파라미터 BLOWDET 의 값이 시험되고, 검출 파라미터 BLOWDET 가 0 의 값을 갖는다면 다음 시험 단계(S43)가 수행되며, 그렇지 않다면 시험 단계(S42)가 반복된다.
시험 단계(S43)에서는 진단 단계(S6)의 수행 전에 추가적인 조건들이 체크된다.
이 시험 단계(S43) 중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의 확인을 위하여 체크가 이루어진다.
- 배기 가스 부유도 통제가 폐쇄 루프(closed loop) 내에서 이루어짐;
- 분사가 순차적으로 작동되고 있음;
- 엔진의 부하 및 속력이 미리 정의된 구역 내에 있음; 그리고
- 부유도 탐침들(18, 53)에 결함이 없음.
이 조건들이 유효하다면, 진단이 인가(authorization)되었다고 판단되어 캘리브레이션 단계(S5)가 수행되고, 그렇지 않다면 시험 단계(S41)가 반복된다.
이 캘리브레이션 단계(S5)는 엔진 온도에 대한 시험(S44)과 함께 시작된다.
시험 단계(S44)에서는, 엔진이 고온인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체크가 수행된다. 엔진이 고온이면, 고온-특정 캘리브레이션(hot-specific calibration)이 선택되는 제1 선택 단계(S45)가 수행되고, 그렇지 않다면 저온-특정 캘리브레이션(cold-specific calibration)이 선택되는 제2 선택 단계(S46)가 수행된다. 이 캘리브레이션들은, 특히 검출 문턱값들 및 시간들이다.
캘리브레이션 단계는 진단 파라미터들을 산출하는 단계(S52)를 더 포함한다.
진단 파라미터들을 산출하는 단계(S52) 중에는, 진단 간격의 하측 경계(S_MIN)와 상측 경계(S_MAX)가 산출되고, 또한 진단 횟수(WINDOW)와 진단이 수행될 때마다의 진단 시간(TIME)이 산출된다. 진단 파라미터 WINDOW 는 연료 공급 시스템(2)의 고장이 진단되기 전에 수행되는 진단의 횟수에 해당된다.
이 진단 파라미터들(S_MIN, S_MAX, WINDOW, 및 TIME)은 결정 단계(S2a)에서 결정되는 알코올 함량(CONTENT)으로부터 산출된다. 진단 파라미터들을 산출하는 단계(S52) 중에는, 하기의 계산들이 수행된다.
S_MAX = S_MAX_ALCO·CONTENT + (1-CONTENT)·S_MAX_GAS
S_MIN = S_MIN_ALCO·CONTENT + (1-CONTENT)·S_MIN_GAS
TIME = TIME_ALCO·CONTENT + (1-CONTENT)·TIME_GAS
WINDOW = WINDOW_ALCO·CONTENT +(1-CONTENT)·WINDOW_GAS
여기에서, 상기의 파라미터들은 다음과 같다.
- S_MAX_ALCO: 알코올 유형의 연료에 대한, 캘리브레이션된 최대 고장 문턱값;
- S_MAX_GAS: 가솔린 유형의 연료에 대한, 캘리브레이션된 최대 고장 문턱값;
- S_MIN_ALCO: 알코올 유형의 연료에 대한, 캘리브레이션된 최소 고장 문턱값;
- S_MIN_GAS: 가솔린 유형의 연료에 대한, 캘리브레이션된 최소 고장 문턱값;
- TIME_ALCO: 알코올 유형의 연료에 대한, 캘리브레이션된 진단 지속시간;
- TIME_GAS: 가솔린 유형의 연료에 대한, 캘리브레이션된 진단 지속시간;
- WINDOW_ALCO: 알코올 유형의 연료에 대한, 오류(fault)를 선언하기 전에 수행되어야 하는 진단의 횟수;
- WINDOW_GAS: 가솔린 유형의 연료에 대한, 오류(fault)를 선언하기 전에 수행되어야 하는 진단의 횟수.
다음으로, 이렇게 산출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진단 단계(S6)가 수행된다. 또한, 체크 단계(S4)는 진단의 지속시간에 걸쳐서 영구적으로 수행되며, 진단이 인가되지 않거나, 변수 RECOCARB 가 0 이 아니거나, 또는 변수 BLOWDET 가 0 이 아니면, 진단이 정지되고 6 체크 단계(S4)가 반복된다.
도 3 에는 연료 공급 시스템(2)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S6)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진단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연료 공급 시스템(2)의 작동 상태는 배기 가스 부유도에서의 드리프트를 모니터링함에 의하여 모니터링된다. 예를 들어, 부유도 탐침들(18, 53)이 이용되어서 배기 가스의 부유도가 측정되며, 배기 가스 부유도의 드리프트는 ECU(14)에서 분석된다.
배기 가스의 부유도를 통제하기 위하여, ECU(14)는 다음과 같은 등식 (1) 을 이용해서 유효 분사 시간(effective injection time)(Teff)를 산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Teff = (B + ALPHACL*GAIN*A*Mair)*C (1)
등식 (1) 에서,
- B: 연료 공급 시스템(2)에서의 드리프트를 감안한 쉬프트 변수(shift variable);
- ALPHACL: 엔진(3)을 떠나는 배기 가스의 부유도를 통제하기 위한 분사 시간 보정 인자(injection time correction factor)
- GAIN: 연료 공급 시스템(2)의 수력학적 특성(hydraulic characteristics)에서의 드리프트를 감안한 계수(coefficient);
- A: 캐니스터의 소기(purging of the canister), 벽들의 젖음도(wetting of the walls), 등과 관련된 다양한 현상을 감안한 인자;
- Mair: 측정 또는 평가(estimation)된, 실린더에 들어오는 공기의 질량;
- C: 알코올 함량에 의존하는 계수;이고,
유효 분사 시간(Teff)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계산에 의해 산출되는 변수이다.
연료 공급 시스템(2)의 고장을 검출하기 위하여, 진단 단계(S6)는 기준(CRITERION 으로서 표시됨)을 모니터링함에 근거를 두는데, CRITERION 의 산출은 진단 기준을 산출하는 산출 단계(S61)에서 수행된다. 모니터링 기준(CRITERION)은, 다음의 등식 (2) 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CRITERION =
Figure 112011095893066-pct00001
(2)
CRITERION 은 아래에서 정의되는 세 개의 항목들(CRITERION1, CRITERION2, CRITERION3)의 합을 캘리브레이션 단계(S5) 중에 산출된 시간(TIME) 동안으로 적분(integral)함으로써 산출된다.
등식 (2) 의 각 항목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CRITERION1: 배기에서 1 의 부유도를 얻기 위하여 시간 함수로서의 분사 시간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지 않은 ALPHACL 값과 배기에서 1 의 부유도를 얻기 위하여 분사 시간에 적용되는 ALPHACL 의 값 간의 차이;
- CRITERION2: "이론적인" 연료 공급 시스템, 즉 분산(dispersion)과 노후화(ageing)가 없는 연료 공급 시스템의 이용에 해당되는 쉬프트 변수 B 의 순간 값(이것의 평균 특성은 분사 시간에 대해 변형이 가해지지 않는 값과 일치함)과 주어진 차량에 있어서의 (차량마다 특정한) 분사 시간에 적용되는 쉬프트 상수 (B) 의 순간 값 간의 차이;
- CRITERION3: "이론적인" 연료 공급 시스템, 즉 분산과 노후화가 없는 연료 공급 시스템의 이용에 해당되는 GAIN 의 순간 값(이것의 평균 특성은 분사 시간에 대해 변형이 가해지지 않는 값과 일치함)과 주어진 차량에 있어서의 (차량마다 특정한) 분사 시간에 적용되는 GAIN 의 순간 값 간의 차이.
연료의 알코올 함량이 탱크(10)의 충전(filling)에 뒤이어 달라지는 때에는, 알코올 함량의 결정 단계(S2a)가 연료의 알코올 함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 검출 시간 중에, 파라미터들 ALPHACL, GAIN, 및 B 은 알코올 함량에 의존적인 계수를 결정하도록 알코올 함량이 결정될 때까지 달라지며, 그 결정은 파라미터들 ALPHACL, GAIN, 및 B 이 그들의 공칭 값(nominal value)에 가까운 값으로 복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진단 기준 CRITERION 은 이 세 가지 파라미터들 ALPHACL, GAIN, 및 B 에 의존하기 때문에, 알코올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S2a)에서 이 파라미터들의 값들은 연료 공급 시스템(2)의 잠재적인 고장 레벨을 반영하지 않는다. 또한, 이 결정 시간 중에는, 시스템에 결함이 없는 때에도 진단 단계(S6)가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알코올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S2a)가 종료된 때에는, 처리 부재(treatment member; 9)의 상류에서 측정된 배기 가스의 부유도 통제기가 연료의 결정된 알코올 함량에 따라 설정된다. 그 결과, 파라미터들 ALPHACL, GAIN, 및 B 는 알코올 함량의 함수로서 상이하게 달라질 수 있고, 따라서 진단 기준 CRITERION 의 값도 연료의 조성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또한, 블로우-바이 현상도 파라미터들 ALPHACL, GAIN, 및 B 에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라 진단 기준 CRITERION 에도 영향을 미친다.
진단 기준을 산출하는 단계(S61) 후에는, 하측 경계 S_MIN 와 상측 경계 S_MAX 를 포함하는 진단 간격과 진단 기준 CRITERION 간의 비교(S62)가 수행된다.
진단 기준 CRITERON 이 하측 경계 S_MIN 와 상측 경계 S_MAX 에 의해 제한된 진단 간격 내에 놓인 때에는, 단계 S66 에서 FAULT_PRESENT 카운터(counter)가 0 으로 되는데, 이것은 연료 공급 시스템(2)에 고장이 검출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CRITERION 이 진단 간격의 외측에 있는 때에는, 초기의 미리 결정된 값이 부여되었던 변수 WINDOW 가 단계 S63 에서 1 만큼 감소되고, 단계 S64 에서는 상기 변수 WINDOW 의 값이 시험되는바,
- 만일 WINDOW > 0 이면, 진단은 진단 기준을 산출하는 단계 S61 로부터 재개되며,
- 만일 WINDOW = 0 이면, FAULT_PRESENT 이 1 (연료 공급 시스템(2)에서 고장이 검출되었음을 나타냄)로 되고, 단계 S65 에서 변수 WINDOW 가 재설정(reset)된다.
1: 진단 장치 2: 연료 공급 시스템
3: 내부 연소 엔진 4: 실린더
5: 신선 공기 공급 파이프 6: 흡기 매니폴드
7: 배기 매니폴드 8: 배기 파이프
9: 배기 가스 처리 부재 10: 메인 탱크
11: 펌프 12: 필터
13: 연료 분사기 50: 압력 통제기

Claims (8)

  1. 자동차의 내부 연소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연료는 자동차의 탱크(tank) 내에 저장되고 또한 가변적인 알코올 함량(alcohol content)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S6); 탱크에의 연료 추가를 검출하는 단계(S2); 연료의 알코올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S2a); 및 연료의 알코올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S2a)가 종료되었다면 진단 단계(S6)가 개시되는 체크 단계(S4);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엔진 오일 내에 희석된 연료의 증발(evaporation)을 검출하는 단계(S3)를 포함하고, 엔진 오일 내에 희석된 연료의 증발이 검출되지 않는다면 체크 단계(S4) 중에 진단 단계(S6)가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진단 단계(S6)를 위하여 의도된 진단 파라미터들이 상기 결정된 알코올 함량으로부터 산출(S52)되는 캘리브레이션 단계(calibration step)(S5)를 포함하며,
    진단 파라미터들의 산출(S52) 중에는 상기 결정된 알코올 함량으로부터 진단 간격의 상측 경계 및 하측 경계가 산출되고, 진단 단계(S6) 중에는 진단 기준이 산출되며(S61), 그 기준은 상기 진단 간격에 대해 비교(S62)되고, 진단 기준이 진단 간격의 외측에 있으면 고장 상태가 진단(S65)되며,
    진단 파라미터들의 산출(S52) 중에는 상기 결정된 알코올 함량으로부터 진단 시간이 산출되고, 진단 단계(S6) 중에는 그 산출된 진단 시간 동안에 진단 기준이 산출(S61)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내부 연소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
  2. 자동차의 내부 연소 엔진(3)의 연료 공급 시스템(2)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장치로서, 상기 연료는 자동차의 탱크 내에 저장되고 또한 가변적인 알코올 함량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수단; 탱크에의 연료의 추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연료의 알코올 함량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수단; 및 결정 수단이 연료의 알코올 함량을 결정했다면 진단 수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체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엔진 오일 내에 희석된 연료의 증발을 검출하기 위한 제2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제2 검출 수단이 엔진 오일 내에 희석된 연료의 증발을 검출하지 않는다면 체크 수단이 진단 수단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진단 수단을 위하여 의도된 진단 파라미터들을 상기 결정된 알코올 함량으로부터 산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수단을 포함하고,
    캘리브레이션 수단은 상기 결정된 알코올 함량으로부터 진단 간격의 상측 경계 및 하측 경계를 산출할 수 있고, 진단 수단은, 진단 기준을 산출하기 위한 수단, 진단 기준을 진단 간격에 대해 비교하기 위한 수단, 및 진단 기준이 진단 간격 외측에 있다면 고장 상태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캘리브레이션 수단은 상기 결정된 알코올 함량으로부터 진단 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진단 수단은 상기 산출된 진단 시간으로부터 진단 기준을 산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내부 연소 엔진(3)의 연료 공급 시스템(2)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17028897A 2009-05-07 2010-05-07 자동차 내부 연소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09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3072 2009-05-07
FR0953072A FR2945322B1 (fr) 2009-05-07 2009-05-07 Procede et dispositif de diagnostic de l'etat de fonctionnement d'un systeme d'alimentation en carbura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e vehicule automobile.
PCT/FR2010/050882 WO2010128262A1 (fr) 2009-05-07 2010-05-07 Procédé et dispositif de diagnostic de l'état de fonctionnement d'un système d'alimentation en carbura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e vé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524A KR20120026524A (ko) 2012-03-19
KR101709131B1 true KR101709131B1 (ko) 2017-02-22

Family

ID=4133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897A KR101709131B1 (ko) 2009-05-07 2010-05-07 자동차 내부 연소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62316B2 (ko)
EP (1) EP2427643A1 (ko)
JP (1) JP5559310B2 (ko)
KR (1) KR101709131B1 (ko)
CN (1) CN102803691A (ko)
BR (1) BRPI1011296A2 (ko)
FR (1) FR2945322B1 (ko)
WO (1) WO20101282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21507B3 (de) * 2012-10-15 2013-11-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odellierung der Ölverdünnung mit Hilfe eines Mehrkomponentenmodells
FR3005694B1 (fr) * 2013-05-17 2017-12-0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controle du taux d'alcool dans un carburant utilise par un moteur a allumage commande de type flex
US9803576B2 (en) * 2016-02-16 2017-10-31 Robert Bosch Gmbh System and method to predict calibration values based on existing calibrations
FR3096085B1 (fr) * 2019-05-16 2021-05-2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Procédé de contrôle d’une sonde lambda
KR102601752B1 (ko) 2021-11-26 2023-11-10 홍호명 플라스틱 폐자원을 이용한 난방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7591A (ja) * 2002-12-17 2004-07-15 Nissan Motor Co Ltd オイル希釈燃料推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8175186A (ja) * 2007-01-22 2008-07-3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アルコール濃度検出装置
JP2009047003A (ja) * 2007-08-13 2009-03-05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1703A (en) * 1997-10-29 1999-03-16 Chrysler Corporation Method of determining the composition of fuel in a flexible fueled vehicle
US6041278A (en) * 1997-10-29 2000-03-21 Chrysler Corporation Method of triggering a determination of the composition of fuel in a flexible fueled vehicle
US6714856B2 (en) * 2001-10-18 2004-03-3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Ethanol content rationality for a flexible fueled vehicle
US6966304B2 (en) * 2002-10-17 2005-11-22 Nissan Motor Co., Ltd. Estimation of oil-diluting fuel quantity of engine
JP2004278449A (ja) * 2003-03-18 2004-10-07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燃料性状推定装置
DE102004008891A1 (de) * 2004-02-24 2005-09-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FR2892769B1 (fr) 2005-11-03 2007-12-14 Renault Sas Strategie de reconnaissance de taux de carburant exotique dans le reservoir principal
JP2008144723A (ja) 2006-12-13 2008-06-26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DE102007020959B4 (de) * 2007-05-04 2014-12-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Alkoholgehaltes
FR2923863B1 (fr) 2007-11-20 2010-02-26 Renault Sas Procede pour diagnostiquer l'etat d'un systeme d'alimentation en carburant d'un moteur.
FR2923864B1 (fr) 2007-11-20 2010-02-26 Renault Sas Procede pour diagnostiquer l'etat d'un systeme d'alimentation en carburant d'un moteu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7591A (ja) * 2002-12-17 2004-07-15 Nissan Motor Co Ltd オイル希釈燃料推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8175186A (ja) * 2007-01-22 2008-07-3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アルコール濃度検出装置
JP2009047003A (ja) * 2007-08-13 2009-03-05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26232A (ja) 2012-10-25
KR20120026524A (ko) 2012-03-19
US8862316B2 (en) 2014-10-14
WO2010128262A1 (fr) 2010-11-11
FR2945322A1 (fr) 2010-11-12
JP5559310B2 (ja) 2014-07-23
US20120232748A1 (en) 2012-09-13
EP2427643A1 (fr) 2012-03-14
FR2945322B1 (fr) 2015-09-18
CN102803691A (zh) 2012-11-28
BRPI1011296A2 (pt) 201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7770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US6714856B2 (en) Ethanol content rationality for a flexible fueled vehicle
US7350512B1 (en) Method of validating a diagnostic purge valve leak detection test
US7975536B2 (en) Method to detect the presence of a liquid-cooled engine supplemental heater
US8087291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diagnostic on an exhaust gas analyzer probe disposed in the exhaust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1709131B1 (ko) 자동차 내부 연소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RU2621848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датчика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KR20140066224A (ko) 탱크 환기 시스템, 및 그 진단 방법
US9970372B2 (en) Method of diagnosing an exhaust gas sensor
KR101316863B1 (ko) 배기가스 재순환 진단 방법 및 시스템
JPH06506751A (ja) タンク通気装置の機能能力を検査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670919B2 (en) Method for diagnosing the condition of an engine fuel supply system
CN103109066B (zh) 用于对排气传感器的功能进行监测的方法和装置
US7854160B2 (en)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for the high pressure side of fuel systems in common fuel rail engines
US20170030272A1 (en) Fuel property estimation device
US7644608B2 (en)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diagnostic
CN112996997B (zh) 用于进行车载诊断的方法和控制装置以及车辆
KR101856018B1 (ko) 가솔린 증기 필터 퍼지 밸브의 막힘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20946B1 (ko) 엔진 연료 공급 시스템의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
KR20220049511A (ko) 내연기관용 크랭크케이스 환기 디바이스의 크랭크케이스 환기 라인의 누출을 진단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602816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a Fuel Pressure System, Comprising a Fuel Pressure Sensor, of a Combustion Controll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otor Vehicle
US2009021791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053363B1 (ko) Ffv 차량의 에탄올 센서의 타당성 진단방법 및 이를 통해 운용되는 ffv 차량
KR102042817B1 (ko) Ffv 차량의 연료시스템 진단방법 및 이를 통해 운용되는 ffv 차량
CN103270281B (zh) 醇浓度传感器的合理性诊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