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659B1 -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659B1
KR101708659B1 KR1020150086228A KR20150086228A KR101708659B1 KR 101708659 B1 KR101708659 B1 KR 101708659B1 KR 1020150086228 A KR1020150086228 A KR 1020150086228A KR 20150086228 A KR20150086228 A KR 20150086228A KR 101708659 B1 KR101708659 B1 KR 101708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frame
mobile robot
parallax
image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728A (ko
Inventor
신경철
박성주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로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로봇
Publication of KR20150144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 G05D1/0253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extracting relative mo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images taken successively, e.g. visual odometry, optic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71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simulation, either to verify existing program or to create and verify new program, CAD/CAM oriented, graphic oriented program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B25J9/1697Vision controlled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01C21/12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 G01C21/1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 G01C21/165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combined with non-inertial navigation instruments
    • G01C21/165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combined with non-inertial navigation instruments with passive imaging devices, e.g. camera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 G05D1/025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extracting 3D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images taken from different locations, e.g. stereo vis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comprising intertial navigation means, e.g. azimuth detec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comprising means for registering the travel distance, e.g. revolutions of whee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using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06T7/74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involving reference images or pa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by performing operations within image blocks; by using histograms, e.g.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HoG]; by summing image-intensity values; Projection analysis
    • G06V10/507Summing image-intensity values; Histogram project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10Terrestrial sce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G06T2207/10021Stereoscopic video; Stereoscopic image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21Dividing image into blocks, subimages or windo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4Camera po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8Vehicle exterior or interior
    • G06T2207/30252Vehicle exterior; Vicinity of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4Three-dimensional obj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1/00Robots
    • Y10S901/01Mobile rob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ipulator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Image Analysi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는 이동 로봇의 시작 위치에서 키 프레임을 구성하는 시드들을 초기화하는 키 프레임 초기화부; 및 상기 이동 로봇의 위치 이동에 따라 주어진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키 프레임의 시드들을 투영시켜 투영된 상기 시드들의 시차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의 위치에 대한 키 프레임을 업데이트하는 키 프레임 업데이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RECOGNIZING LOCATION MOBILE ROBOT USING SEARCH BASED CORRELATIVE MATCH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로봇의 SLAM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로봇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스로 경로를 설정하고 이동하는 이동 로봇이 활용되고 있다. 이동 로봇이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위치를 판단하며 이동하기 위해서는 이동하고 있는 공간에 대한 지도를 생성하면서 공간 상의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동 로봇은 자이로스코프와 구동 모터에 구비된 엔코더를 이용하여 추측 항법(dead reckoning)으로 주행하며, 상부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분석하여 지도를 생성하고 이때 자이로스코프와 엔코더로부터의 주행 정보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 정보를 활용하여 누적되는 오차를 보정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위치 인식 기반의 이동 로봇은 단안 카메라나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2D 평면상의 움직임을 가정하여 개발되었다. 이러한 단안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 특징점까지의 거리를 알 수 없게 되므로 추측항법의 오차가 커지면 이에 따라 위치 인식 결과에 오차가 매우 많이 포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이저 스캐너를 이동 로봇에 적용하기에는 고가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공간을 인지하고 자신의 위치를 갱신하는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술을 이용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SLAM 기술 기반의 이동 로봇은 코너 특징점을 영상으로부터 추출하고 이들의 3차원 좌표를 복원하여 지도를 작성하고 위치를 인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이동 로봇이 공간을 인지하여 그 공간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이 탑재되지 않은 이동 로봇은 이동성이 제한되고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도 매우 제한되기 때문에 경쟁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로봇의 위치 이동에 따라 주어진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키 프레임의 시드들을 투영시켜 투영된 상기 시드들의 시차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의 위치에 대한 키 프레임을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테레오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비주얼 오도메트리를 통해 산출된 오도메트리 정보와 관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내부 오도메트리를 통해 산출된 오도메트리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오도메트리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를 추정하도록 하는 ADOG 기반 특징점을 이용한 이동 로봇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개수의 수평 라인을 추출하여 그 추출된 수평 라인을 따라 dense 스테레오 정합을 수행하여 그 수행한 결과로 장애물까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ADOG 기반 특징점을 이용한 이동 로봇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는 이동 로봇의 시작 위치에서 키 프레임을 구성하는 시드들을 초기화하는 키 프레임 초기화부; 및 상기 이동 로봇의 위치 이동에 따라 주어진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키 프레임의 시드들을 투영시켜 투영된 상기 시드들의 시차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의 위치에 대한 키 프레임을 업데이트하는 키 프레임 업데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 프레임을 구성하는 시드는 영상 좌표, 시차, 시차의 편차, 픽셀 값, 그래디언트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 프레임 초기화부는 촬영된 스트레오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에지에 대해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깊이 값을 구하고, 상기 깊이 값을 이용하여 복원된 좌표의 시드의 시차를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시드의 시차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 프레임 초기화부는 상기 복원된 좌표의 시드들을 제1 후보군으로 설정하고 그레디언트 크기가 임계치 이상인 시드들을 제2 후보군으로 설정하며, 인접한 제1 후보군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상기 제1 후보군의 시차를 해당 시드의 시차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 프레임 업데이트부는 상기 현재의 위치가 결정되면 해당 영상과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영상 내 검색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검색 범위 내에서 투영된 시드들의 시차를 이용하여 매칭점으로 설정하며, 설정된 상기 매칭점을 기반으로 현재 위치에 대한 키 프레임 내 시드의 시차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 프레임 업데이트부는 설정된 상기 검색 범위 내에서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점을 매칭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이동 로봇의 위치 이동하는 경우 기 설정된 키프레임 생성조건에 따라 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키프레임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기 설정된 키프레임 생성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여 그 확인한 결과로 상기 키프레임 생성조건을 만족하면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구한 깊이 값을 이용하여 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구한 깊이 값과 해당 키 프레임의 일부 시드를 이용하여 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키 프레임에 대한 루프 결합을 확인하여 키 프레임 집합을 구성하는 키 프레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은 이동 로봇의 시작 위치에서 키 프레임을 구성하는 시드들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로봇의 위치 이동에 따라 주어진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키 프레임의 시드들을 투영시켜 투영된 상기 시드들의 시차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의 위치에 대한 키 프레임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 프레임을 구성하는 시드는 영상 좌표, 시차, 시차의 편차, 픽셀 값, 그래디언트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초기화하는 단계는 촬영된 스트레오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에지에 대해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깊이 값을 구하고, 상기 깊이 값을 이용하여 복원된 좌표의 시드의 시차를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시드의 시차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초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복원된 좌표의 시드들을 제1 후보군으로 설정하고 그레디언트 크기가 임계치 이상인 시드들을 제2 후보군으로 설정하며, 인접한 제1 후보군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상기 제1 후보군의 시차를 해당 시드의 시차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의 위치가 결정되면 해당 영상과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영상 내 검색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검색 범위 내에서 투영된 시드들의 시차를 이용하여 매칭점으로 설정하며, 설정된 상기 매칭점을 기반으로 현재 위치에 대한 키 프레임 내 시드의 시차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설정된 상기 검색 범위 내에서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점을 매칭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이동 로봇의 위치 이동하는 경우 기 설정된 키프레임 생성조건에 따라 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키프레임 생성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여 그 확인한 결과로 상기 키프레임 생성조건을 만족하면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구한 깊이 값을 이용하여 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구한 깊이 값과 해당 키 프레임의 일부 시드를 이용하여 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키 프레임에 대한 루프 결합을 확인하여 키 프레임 집합을 구성하는 키 프레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이동 로봇의 위치 이동에 따라 주어진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키 프레임의 시드들을 투영시켜 투영된 상기 시드들의 시차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의 위치에 대한 키 프레임을 업데이트하도록 함으로써, 위치 인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비주얼 오도메트리를 통해 산출된 오도메트리 정보와 관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내부 오도메트리를 통해 산출된 오도메트리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오도메트리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를 추정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로봇들이 기울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에 의한 위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로봇들이 기울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에 의한 위치 오차에 취약했던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위치 인식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개수의 수평 라인을 추출하여 그 추출된 수평 라인을 따라 dense 스테레오 정합을 수행하여 그 수행한 결과로 장애물까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거리 측정을 위한 전용 센서를 부착하지 않더라도 장애물에 대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각 카메라의 관심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매칭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점의 불확실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지에 대한 3차원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프레임 초기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프레임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프레임 업데이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시차의 편차를 이용하는 검색 범위 설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감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동 로봇의 위치 이동에 따라 주어진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가 결정되면 키 프레임의 시드들을 투영시켜 투영된 시드들의 시차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의 위치에 대한 키 프레임을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테레오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비주얼 오도메트리(visual odometry)를 통해 산출된 오도메트리 정보와 관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내부 오도메트리(internal odometry)를 통해 산출된 오도메트리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오도메트리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를 추정하며,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개수의 수평 라인을 추출하여 그 추출된 수평 라인을 따라 dense 스테레오 정합을 수행하여 그 수행한 결과로 장애물까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는 카메라(110), IMU(Inertial Measurement Unit)(120), 위치 인식부(130), 장애물 감지부(140), 지도 작성부(150), DB(Database)(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0)는 한쌍의 스테레오 영상 즉,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카메라라 함은 2개의 서로 다른 렌즈를 이용하여 2개의 시각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나의 영상 획득 장치에 2개의 렌즈를 구비하여 2개의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이때, 카메라(110)는 기 설정된 관심 영역을 갖도록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관심 영역이란 이동 로봇에 구비된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카메라(110)는 바람직하게는 광각 카메라가 될 수 있다. 광각 카메라는 일반 카메라 렌즈와 비교하였을 때 보다 넓은 화각을 가지는 광각 렌즈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카메라이다. 이동 로봇에서는 보다 넓은 주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광각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광각 카메라는 어안 렌즈를 이용한 카메라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광각 카메라는 예를 들면 60도 내지 270도의 화각을 가지는 광각 렌즈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광각 카메라는 위에서 일예로 든 화각의 범위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범위의 화각을 가지는 렌즈를 이용한 카메라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각 카메라의 관심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카메라(110)는 기존의 이동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처럼 실내의 천정이나 전방만을 바라보지 않고, 광각 렌즈를 이용하여 이동 로봇(10)에서 천정과 전방 모두를 바라보도록 장착하여 천정과 전방을 모두 관심 영역(ROI)으로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는 광각 렌즈를 이용하여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영역을 모두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렇게 장착된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천정과 전방을 모두 관심 영역으로 갖게 됨으로써, 특징점 확보가 용이해질 뿐 아니라 특징점을 찾기가 어려운 지점에서도 위치 인식이 가능하고, 전방에 대한 장애물 인식도 가능하게 된다.
IMU(120)는 이동 로봇의 관성 정보 예컨대, 위치, 자세 등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위치 인식부(130)는 카메라(110)로부터 스테레오 영상을 입력 받아 입력 받은 스테레오 영상을 기반으로 일정 거리를 이동할 때마다 주어진 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인식부(130)는 일정 거리를 이동할 때마다 또는 새로운 키 프레임을 생성할 때마다 주어진 공간을 인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위치 인식부(130)는 입력 받은 스테레오 영상을 기 설정된 크기로 축소하여 블러링(blurring)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크기는 1/8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인식부(130)는 입력 받은 스테레오 영상 (a)를 축소하고 블러링한 영상 (b)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인식부(130)는 블러링된 스테레오 영상을 브리프(BRIEF, Binary Robust Independent Elementary Features) 바이너리 서술자(BRIEF binary descriptor)를 이용하여 인코딩하여 그 인코딩한 결과로 이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브리프 바이너리 서술자는 “{BRIEF}: Computing a Local Binary Descriptor Very Fast, M. Calonder, V. Lepetit, M. Ozuysal, T. Trzcinski, C. Strecha, and P. Fua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2012”에서 소개하고 있는 방식을 이용하여 인코딩할 수 있다. 여기서, 이진 데이터는 예를 들면 32바이트(Byte) 크기로 생성될 수 있다. 도 3의 (c)는 이와 같은 브리프 바이너리 서술자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위치 인식부(130)는 이렇게 생성된 이진 데이터와 기 저장된 키 프레임 내 이동 로봇의 절대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있는 경우 그 절대 위치로 현재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 공간 인식을 위해 브리프 바이너리 서술자를 이용하는 이유는 기존에 사용하던 SIFT, SURF와 같은 서술자에 비해 연산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이다.
위치 인식부(130)는 카메라(110)로부터 스테레오 영상을 입력 받아 입력 받은 스테레오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비주얼 오도메트리를 통해 제1 오도메트리 정보를 획득하고, IMU(120)으로부터 관성 정보를 입력 받아 입력 받은 관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내부 오도메트리를 통해 제2 오도메트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인식부(130)는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추출된 특징점을 추적하고 그 추적하는 특징점을 이용하여 오도메트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처리 과정에서 추출되는 특징점은 코너이다. 그러나 예컨대, 복도나 넓은 사무실 등의 텍스쳐가 없는 영역에서는 충분한 양의 특징점을 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위치 인식부(130)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에지에 대한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한다. 즉, 위치 인식부(130)는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에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에지에 대해 sparse 스테레오 매칭(sparse stereo matching)을 수행하여 그 수행한 결과로 깊이 값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sparse 스테레오 매칭은 dense 스테레오 매칭과 대별되는 개념으로 스테레오 영상 간에 매칭을 수행함에 있어서 정확한 매칭 결과를 산출하기 보다는 대강의 매칭을 빠르게 수행하는 매칭 방법으로, 매칭 간격을 조절하거나 매칭을 위하여 탐색하는 범위를 조정하는 등의 기존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가능한 많은 깊이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체 이미지 영역에 대한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실시간성과 낮은 FPR(False Positive Rate)를 위해서는 에지에 대한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위치 인식부(130)는 기존의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에지를 추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ADoG(Approximated Difference of Gaussian)를 이용하여 에지를 추출하거나 또는 그래디언트(gradient)를 이용하여 에지를 추출할 수 있다.
먼저 그래디언트(gradient)를 이용하여 에지를 추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위치 인식부(130)는 상기 입력받은 스테레오 영상의 각 픽셀에서 그래디언트를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으로 구하고, 상기 구한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으로의 그래디언트를 기반으로 에지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1축과 제2축은 상기 스테레오 영상 면의 좌표계에서 서로 직교하는 서로 다른 축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x, y축으로 이루어지는 직교 좌표계의 x축과 y축이 각각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축과 제2축을 x축과 y축으로 하여 위치 인식부(13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x축과 y축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위치 인식부(130)의 동작은 상기 제1축과 제2축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치 인식부(130)는 구한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의 그래디언트 Ix, Iy를 이용하여 그래디언트의 크기(magnitude) Im을 산출할 수 있는데, 다음의 식 Im=(Ix 2+Iy 2)1/2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치 인식부(130)는 구한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의 그래디언트 Ix, Iy를 이용하여 그래디언트의 각도(angle) Iθ를 산출할 수 있는데, 다음의 식 Iθ=atan2(Iy,Ix)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atan2(y,x)는 2개의 입력 변수를 가지는 arctangent 산출 함수로, 예를 들면 다음 식
Figure 112015058779725-pat00001
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치 인식부(130)는 산출된 각 픽셀의 그래디언트의 크기 Im와 그래디언트의 각도 Iθ를 기반으로 NMS(Non-Maximal Suppression) 과정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에지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위치 인식부(130)는 해당 픽셀의 그래디언트의 각도 Iθ를 기준으로 인접한 픽셀들 중 같은 각도를 갖는 픽셀 중에서 그래디언트의 크기 Im이 가장 큰 픽셀을 최대값(maxima)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모든 픽셀에 적용하여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진 에지가 추출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위치 인식부(130)는 에지를 이루는 라인 상에 위치하는 각 픽셀에서 가장 인접한 기 설정된 개수의 픽셀들까지 영역을 확장하여 확장된 영역 내에서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크기를 갖는 픽셀을 에지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인식부(130)는 해당 픽셀에서 가장 인접한 두 개의 픽셀들까지로 영역을 확장하여 확장된 영역 내 픽셀들 중 임계치 이상의 크기를 갖는 픽셀을 모두 에지로 선택한다.
이러한 과정을 모든 픽셀에 적용함으로써, NMS에 의한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진 에지에서 확장된 다수의 라인으로 이루어진 최종적인 에지 이미지가 추출될 수 있다.
여기서 NMS(Non-Maximal Suppression) 과정은 예를 들면 "Canny, J., A Computational Approach To Edge Detection, IEEE Trans.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8(6):679~698, 1986."에서 소개하고 있는 Non-Maximal Suppression 기법을 이용할 수 있고, 그 이외에 다양한 방식의 Non-Maximal Suppression 기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ADoG(Approximated Difference of Gaussian)를 이용하여 에지를 추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원래 영상으로부터 적분 영상을 구하고 그 구한 적분 영상을 박스 스무딩 처리하여 그 박스 스무딩 처리한 결과로 박스 스무딩 영상을 구한 후 박스 스무딩 영상으로부터 원래 영상을 빼서 최종적으로 에지 이미지를 추출하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박스 스무딩 처리하여 에지를 추출하는 방법을 ADoG(Approximated Difference of Gaussian)라고 명명한다.
여기서 위치 인식부(130)는 상기 입력받은 상기 스테레오 영상을 스무딩 처리하고, 상기 스무딩 처리한 결과로 스무딩 영상을 구하며, 상기 구한 스무딩 영상과 원래의 상기 스테레오 영상을 비교하여 에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에지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로봇의 현재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인식부(130)는, 상기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적분 영상을 구하고, 상기 구한 적분 영상을 박스 스무딩 처리하여 그 박스 스무딩 처리한 결과로 박스 스무딩 영상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한 박스 스무딩 영상과 원래의 상기 스테레오 영상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에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위치 인식부(130)는, 상기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적분 영상을 구하는 적분 영상 획득부; 상기 구한 적분 영상을 박스 스무딩 처리하여 그 박스 스무딩 처리한 결과로 박스 스무딩 영상을 산출하는 박스 스무딩 영상 산출부; 및 상기 산출한 박스 스무딩 영상과 원래의 상기 스테레오 영상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에지를 추출하는 에지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추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인식부(130)의 적분 영상 획득부는 스테레오 영상 orgImage으로부터 적분 영상 IntegImage을 구할 수 있는데, 다음의 식
Figure 112016094128993-pat00002
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x, y는 상기 적분 영상의 좌표, x', y'은 상기 스테레오 영상의 좌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위치 인식부(130)의 스무딩 영상 산출부는 구한 적분 영상을 박스 블러(box blur) 또는 박스 스무딩(box smoothing) 처리하여 그 박스 스무딩 처리한 결과로 박스 스무딩 영상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박스 스무딩은 가우시안 스무딩(Gaussian smoothing)과 마찬가지로 노이즈 제거, 윤곽 정보 추출을 목적으로 하는 전처리(pre-processing)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박스 스무딩 처리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스무딩 처리 기법 예컨대, 가우시안 스무딩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치 인식부(130)의 에지 추출부는 박스 스무딩 영상 Ibox _blur으로부터 원래 영상 즉, 스테레오 영상 Isource을 빼서 에지 이미지 Iedge를 추출할 수 있는데, 다음의 식 Iedge = Ibox _blur - Isource 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적분, 스무딩, 빼기 과정을 통해 최종적인 에지 이미지가 추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위치 인식부(130)가 위와 같이 추출된 에지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매칭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 각각으로부터 에지를 구한 후 공선(epipolar line)을 따라 매칭을 수행하는데, 영상 내 모든 에지는 후보점이 되고 이러한 후보점들 중 그레디언트 방향에 따라 최종 후보점이 정해진다.
예컨대, 좌측 영상의 reference의 경우 최대 검색 범위(search range)를 고려하여 우측 영상에서 cadidate 0, 1을 후보점으로 정할 수 있는데, 이때, candidate 1은 그레디언트 방향이 reference와 다르기 때문에 최종 후보점에서 제외된다.
이때, 스테레오 매칭은 nxn 블록 매칭 또는 공선을 따라 n 픽셀을 추출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점의 불확실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인식부(130)는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한 결과로 구한 깊이 값에 따라 불확실성(uncertainty) 또는 편차(variance) σ를 설정하고 DB에 저장할 수 있다. 광각 카메라의 경우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매우 짧아 해상도가 낮아져서 구한 깊이 값의 신뢰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이후에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두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구한 3차원점의 불확실성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112015058779725-pat00003
여기서,
Figure 112016094128993-pat00004
는 불확실성 공분산 타원체(uncertainty covariance ellipsoid)를 나타내고, b 는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며, x, y, z는 좌영상 카메라의 좌표계, x', y', z'는 우영상 카메라의 좌표계를 나타내고, (c, r)와 (c', r')는 좌영상과 우영상에서 서로 매칭하는 픽셀의 좌표를 나타내고, f와 f'는 각각 좌영상 카메라와 우영상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나타내며, σr, σc는 특징점을 추출할 때의 상기 불확실성을 좌표계의 각 축으로 표현한 것이며, r0, c0는 카메라의 광축을 카메라 좌표계로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d는 특징점이 좌측과 우측에 투영되었을 때 그 차이값으로 일반적으로는 시차(disparity)라고 한다. σd는 측정된 깊이값의 불확실성을 나타낸다.
이동 로봇이 일정 거리를 이동하였다고 판단되는 시점에서 키 프레임에 저장된 각 픽셀들을 현재의 영상에 투영시켜 가장 비슷한 픽셀을 찾아 깊이 값을 업데이트한다. 이러한 업데이트는 일반적인 베이시안 룰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인식부(130)는, 상기 스테레오 영상에서 추출한 상기 에지를 이용하여 상기 스테레오 영상 간의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상기 스테레오 영상 에 포함된 픽셀에서의 시차 값 또는 깊이 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시차 값 또는 깊이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로봇의 현재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즉 각 스테레오 영상에서 추출한 에지에 해당하는 픽셀에서 상기 스테레오 영상 간의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시차 값 또는 깊이 값을 산출하고, 상기 시차 값 또는 깊이 값과 카메라의 광축 정보, 초점거리 정보, 스테레오 카메라 사이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로봇의 현재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즉 스테레오 영상의 특정 픽셀에서의 시차 값 또는 깊이 값과 스테레오 영상을 획득한 카메라의 스펙 정보(광축, 초점거리, 카메라 간 거리)를 알면 해당 픽셀에서의 3차원 좌표를 복원할 수 있고, 스테레오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에서의 3차원 좌표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로봇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광축 u0와 v0를 알고 초점거리 f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 b를 알며 스테레오 매칭을 통해서 시차 값(disparity) d를 알 때 복원된 3차원 좌표 (x, y, z)는
Figure 112016094128993-pat00005
와 같다. u, v는 스테레오 영상 내 픽셀의 좌표를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 스테레오 영상의 깊이 값을 이용하여 스테레오 영상을 취득한 물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기존의 다양한 기법들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시드(seed)는 영상의 에지에서 선정된 픽셀에 대해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위와 같이 3차원 좌표가 복원된 픽셀들에 대해서 시드(seed)가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키 프레임은 주기적으로 측정된 이동 로봇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시드(seed)의 집합일 수 있는데, 키 프레임 K과 시드 s의 관계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K = {s0, s1, …, sn}
여기서, 시드 s는 영상 좌표(image coordinate), 시차(disparity), 시차의 편차(variance of disparity), 픽셀 값(pixel value) 또는 세기(intensity), 그레디언트 방향(gradient direction) 또는 그레디언트 각도(gradient ang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그레디언트 방향 또는 그레디언트 각도 Iθ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구한다.
[수학식 3]
Iθ = atan2(Iy, Ix)
여기서, Ix, Iy는 제1축, 제2축 방향으로의 그래디언트이고,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x축, 제y축 방향으로의 그래디언트를 각각 나타낸다.
이때, 이동 로봇이 동작하는 중에는 다양한 변수 특히, 움직이는 장애물이나 가려짐에 의해 잘못된 정보들이 들어오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구한 깊이 값 중에는 이상점(outlier)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한 깊이 값이 1Σ 이내이면 변수 no_success를 1증가시키고, 구한 깊이 값이 1Σ보다 크면, 변수 no_failure를 1 증가시킨 후 신뢰도 no_success/(no_success+no_failure)가 특정 수치 이상 큰 경우에만 위치 인식에 사용한다.
이렇게 깊이 값을 업데이트하는데 사용되는 베이시안 룰은 다음의 [수학식 4]와 같다.
[수학식 4]
Figure 112015058779725-pat00006
Figure 112015058779725-pat00007
μ는 깊이값에 대한 평균값, μz1는 이전에 구한 깊이값에 대한 평균값, μz2는 현재 측정된 깊이값에 대한 평균값, σ는 μ의 불확실성, σz1는 μz1의 불확실성, σz2는 μz2의 불확실성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깊이 값 z에 대한 업데이트 과정을 설명하고 있지만, x와 y 값은 z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x, y, z가 모두 업데이트 되어 위치 파악이 가능하고 이렇게 업데이트된 x, y, z를 이용하여 역으로 해당 카메라의 위치 파악도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지에 대한 3차원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좌영상 카메라에 투영된 깊이 값을 나타내는 영상이고, (b)는 우영상 카메라에 투영된 깊이 값을 나타내는 영상이고, (c)는 업데이트 과정을 거쳐 획득된 깊이 값을 나타내는 영상이고, (d)는 매칭점 및 깊이 값에 대한 투영을 나타내는 영상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깊이 값에 대한 업데이트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각 에지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지속적으로 구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IMU의 정보는 카메라로 환경을 인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저가형 IMU들은 모두 바이어스(bias)가 심하게 변하거나 추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로봇을 잠시 멈추고 평균을 취하여 바이어스를 구하는 것인데 이 경우에는 사용자 입자에서 이동 로봇이 지능적으로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 속도도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위치 인식부(130)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 중에도 바이어스를 업데이트한다.
θg는 자이로 센서를 통해 구한 각속도이고, θc는 광각 스테레오 비전을 통해 구한 각속도라고 가정한다. 이동 로봇의 주행 중에는 바이어스 등에 의해서 둘 사이에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 오차 θe는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수학식 5]
θe = θg - θc
이때, θe는 바이어스가 될 수 있고, 빠른 회전이나 외란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베이시안 룰을 적용하여 바이어스를 업데이트한다.
[수학식 6]
If, |θ|<thresholdmoving, μn= θe, σ2=1deg/sec×0.1deg/sec
μn는 바이어스의 오차, σ는 μn의 불확실성을 나타낸다. 이동 로봇이 이동 중 멈출 수 있는 시점에는 다음의 [수학식 7]과 같이 업데이트한다.
[수학식 7]
If, |θ|<thresholdstop, μn= θe, σ2=0.1deg/sec×0.1deg/sec
이러한 업데이트 과정을 통해 바이어스는 실시간으로 보정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없는 시점이 되더라도 항상 최적의 바이어스를 이용하여 IMU를 이용한 오도메트리 정보가 일정 수준 이상의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위치 인식부(130)는 제1 오도메트리 정보와 제2 오도메트리 정보 중 하나의 오도메트리 정보를 선택하여 선택된 오도메트리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의 상태 정보 예컨대, 자세, 위치 등을 예측할 수 있다.
위치 인식부(130)는 이렇게 예측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키 프레임 집합 중 적어도 하나의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인식부(130)는 키프레임 초기화부(131), 키프레임 생성부(132), 키프레임 업데이트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키프레임 초기화부(131)는 시작 위치에서 키 프레임을 구성하는 시드들을 초기화할 수 있다. 이때, 키프레임 초기화부(131)는 시드들의 시차를 초기화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프레임 초기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프레임 초기화부(131)는 시작 위치에서 촬영된 스트레오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에지에 대해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깊이 값을 구하면(S810), 구한 깊이 값을 이용하여 3차원 좌표(x, y, z)를 복원할 수 있는데(S820), 복원된 3차원 좌표는 다음의 [수학식 8]과 같다.
[수학식 8]
Figure 112015058779725-pat00008
,
Figure 112015058779725-pat00009
,
Figure 112015058779725-pat00010
여기서, u0, v0는 광축을 나타내고, f는 초점 거리를 나타내며, b는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며, d는 시차를 나타낸다. u, v는 스테레오 영상 내 픽셀의 좌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키프레임 초기화부(131) 이렇게 복원된 좌표의 픽셀 또는 시드들은 제1 후보군으로 설정하고(S830), 좌측 영상에서 그레디언트 크기가 임계치 이상인 픽셀들은 제2 후보군으로 설정할 수 있다(S832).
다음으로, 키프레임 초기화부(131)는 해당 시드들의 시차를 초기화할 수 있다(S840). 즉, 키프레임 초기화부(131)는 해당 시드의 주위에 제1 후보군이 있고 그들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예컨대, 2 픽셀 이내이면 제1 후보군의 시차를 이용하여 초기화하고, 그렇지 않으면 시차를 0으로 설정한다.
키프레임 생성부(132)는 위치를 이동하면서 새로운 키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키프레임 생성부(132)는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투영된 영상과 촬영된 영상 간의 오차가 커져 위치인식 정확도가 떨어질 때 새로운 키 프레임을 생성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프레임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프레임 생성부(132)는 이동 로봇이 위치를 이동하면(S910) 해당 위치에서 기 설정된 키 프레임 생성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920).
이때, 기 설정된 키 프레임 생성조건은 1)키 프레임이 생성된 위치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가 t 이상인 경우, 2)키 프레임이 생성된 위치와 카메라 사이의 상대 각도가 a 이상인 경우, 3)키 프레임에 포함된 시드 중에서 k 이상의 시드가 사용될 수 없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일반적인 경우 t = 0.5m, a = 15 degree, k = 60%로 사용될 수 있고, 2차원 평면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t = 0.7m, a = 20 degree, k = 50%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사용하는 키 프레임 생성조건에서의 변수 t, a, k를 특정 값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키프레임 생성부(132)는 그 확인한 결과로 키 프레임 생성조건을 만족하면 새로운 키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S930). 즉, 키프레임 생성부(132)는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구한 깊이 값과 해당 키 프레임의 일부 시드를 이용하여 새로운 키 프레임을 생성한다.
이때, 키프레임 생성부(132)는 해당 키 프레임 내 시드들 중 키 프레임의 업데이트 시 일정 횟수 사용되거나 시차의 편차가 일정 범위 안에 들어오는 시드를 이용한다.
다음으로, 키프레임 생성부(132)는 생성된 새로운 키 프레임에 대한 루프 결합(loop closure)을 확인하여(S940) 그 확인한 결과로 키 프레임 집합의 후보 키 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S950).
그 일예로, 키프레임 생성부(132)는 카메라와 tc 만큼의 거리 이내에 있고, ac 이내의 상대 각도를 가지고 있는 기존의 키 프레임에 대하여 다이렉트 트랙킹 기법을 이용하여 카메라와 기존의 키 프레임에 의한 투영 영상 사이의 상대 자세를 구하고 그 구한 상대 자세에 대한 비용이 cc 이하이면 후보 프레임으로 설정한다.
다른 예로, 키프레임 생성부(132)는 카메라와 3tc 만큼의 거리 이내에 있고, 3ac 이내의 상대 각도를 가지고 있는 기존의 키 프레임에 대하여 1차적으로 장면 기술자를 이용하여 자격(qualification)을 확인하고 2차적으로 다이렉트 트랙킹 기법을 이용하여 카메라와 기존의 키 프레임에 의한 투영 영상 사이의 상대 자세를 구하고 그 구한 상대 자세에 대한 비용이 cc 이하이면 후보 프레임으로 설정한다.
그리고나서 키프레임 생성부(132)는 설정된 후보 프레임을 지도 작성부에 제공하여 지도 작성부에서 자세 그래프를 재구성하여 지도의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키프레임 업데이트부(133)는 현재의 위치가 결정되면 키 프레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키프레임 업데이트부(133)는 시드들의 시차를 업데이트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프레임 업데이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시차의 편차를 이용하는 검색 범위 설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프레임 업데이트부(133)는 현재의 위치가 결정되면 해당 영상과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영상 내 검색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S1010).
도 11을 참조하면 키 프레임의 시드에서 3차원 좌표가 δ만큼의 불확실성 또는 편차를 가지고 있을 때 그 시드의 투영으로부터 검색 범위 Pi-δ~ Pi+δ를 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키프레임 업데이트부(133)는 설정된 검색 범위 내에서 매칭점을 설정할 수 있다(S1020).
도 11을 참조하면 공선 상의 점들 주위의 영상과 시드 주위의 영상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점을 매칭점으로 설정한다. 예컨대, 두 영상 간의 유사도는 SSD(Sum of Squared Differences)를 이용하여 산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키프레임 업데이트부(133)는 설정된 매칭점을 기반으로 시차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1030). 이때, 키프레임 업데이트부(133)는 베이시안 룰을 이용하여 시차를 업데이트한다.
다음으로, 키프레임 업데이트부(133)는 시차의 편차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내인지를 확인하여(S1030) 그 확인한 결과로 임계치 이내이면 시차의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 있다.
반면, 키프레임 업데이트부(133)는 그 확인한 결과로 임계치를 초과하면 시차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과정을 시차의 편차가 임계치 이내가 될 때까지 반복 수행한다.
장애물 감지부(140)는 카메라(110)로부터 스테레오 영상을 입력 받아 입력 받은 스테레오 영상 내에서 기 설정된 개수의 수평 라인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개수는 적어도 2개 이상을 사용하되, 특히 3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애물 감지부(140)는 추출된 수평 라인을 따라 dense 스테레오 정합(dense stereo matching)을 수행하여 그 수행한 결과로 장애물까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감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애물 감지부(140)는 입력 받은 도 8의 (a)와 (b)와 같은 좌, 우 스테레오 영상을 기반으로 고밀도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그 수행한 결과로 깊이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 (c) 영상은 이렇게 산출된 깊이 값을 그레이스케일로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도 8 (c)은 장애물 감지에 이용되는 라인 영역(L)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전체 영역에 대한 깊이 값 산출은 소형 프로세서를 탑재한 이동 로봇에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깊이 값을 추출하고자 한다.
지도 작성부(150)는 위치 인식부(130)로부터 추정된 현재의 위치 정보를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자세 그래프(pose graph)를 재구성하고 그 재구성된 자세 그래프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키 프레임 집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DB(160)는 이동 로봇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된 키 프레임 집합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이하 위치인식 장치라 한다)는 카메라로부터 스테레오 영상을 입력 받으면(S910), 입력 받은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을 프레임 단위로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S920).
다음으로, 위치인식 장치는 스테레오 영상 내 이동 객체를 제거할 수 있다(S930).
예컨대, 위치인식 장치는 현재의 프레임과 마지막 n번째 프레임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이동 객체라도 판단될 수 있는 일치하지 않는 특징을 제거하게 된다.
다음으로, 위치인식 장치는 추적하는 특징점을 기반으로 비주얼 오도메트리를 수행하여 그 수행한 결과로 제1 오도메트리 정보를 획득하고(S940), 관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내부 오도메트리를 통해 제2 오도메트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942).
다음으로, 위치인식 장치는 획득한 제1 오도메트리 정보와 제2 오도메트리 정보 중 하나의 오도메트리 정보를 선택하고(S950), 선택된 오도메트리 정보와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S960).
이때, 위치인식 장치는 제1 오도메트리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제1 오도메트리 정보를 선택하고, 만족하지 못하면 제2 오도메트리 정보를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오도메트리 정보 예컨대, 위치 정보의 변화율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치인식 장치는 예측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키 프레임 집합 중 적어도 하나의 키 프레임을 검색하고(S970),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S980).
즉, 위치인식 장치는 검색된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가상 공간을 형성하여 형성된 가상 공간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다수의 영역 각각에서 키 프레임 내 시드를 투영하여 투영한 결과로 시드에 상응하는 에지 크기를 산출하며 산출된 에지 크기의 합이 가장 큰 영역을 위치 후보로 선정한 후, 선정된 영역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위치 후보를 선정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최종 위치를 산정하게 된다.
이때, 이웃하는 키 프레임의 개수가 많을수록 위치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 장치는 자율 주행하는 청소로봇, 서비스 로봇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로봇은 실내 환경, 또는 실외 환경에서 자율 주행하는데, 주행 중 벽면, 난간, 책상, 가구 등 다양한 장애물과 마주치게 되고, 자율 주행 청소로봇은 청소 구역에서의 자신의 위치와, 파악된 장애물의 위치를 이용하여 주행 경로를 결정하여 주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자율 주행 청소 로봇은 외부 영상 획득을 위하여, 스테레오 카메라 특히 광각 스테레오 카메라를 영상 획득부로 포함하며, 이를 통해 획득된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 특히 에지와 관련된 특징점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추정하고, 주행 경로를 결정하며 주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특히,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Building)을 기반으로 자율 주행하는 청소로봇의 경우, 구축된 격자 맵에서 자신의 위치를 추정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추정하며, 추정된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한 주행경로를 결정하거나, 또는 최적 경로를 결정하는데 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을 위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자율 주행 청소 로봇 내에 탑재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카메라
120: IMU
130: 위치 인식부
131: 키프레임 초기화부
131: 키프레임 생성부
133: 키프레임 업데이트부
140: 장애물 감지부
150: 지도 작성부
160: DB

Claims (20)

  1. 이동 로봇의 시작 위치에서 키 프레임을 구성하는 시드들을 초기화하는 키 프레임 초기화부; 및
    상기 이동 로봇의 위치 이동에 따라 주어진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키 프레임의 시드들을 투영시켜 투영된 상기 시드들의 시차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의 위치에 대한 키 프레임을 업데이트하는 키 프레임 업데이트부;
    를 포함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프레임을 구성하는 시드는 영상 좌표, 시차, 시차의 편차, 픽셀 값, 그래디언트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프레임 초기화부는,
    촬영된 스트레오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에지에 대해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깊이 값을 구하고,
    상기 깊이 값을 이용하여 복원된 좌표의 시드의 시차를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시드의 시차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프레임 초기화부는,
    상기 복원된 좌표의 시드들을 제1 후보군으로 설정하고 그레디언트 크기가 임계치 이상인 시드들을 제2 후보군으로 설정하며,
    인접한 제1 후보군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상기 제1 후보군의 시차를 해당 시드의 시차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프레임 업데이트부는,
    상기 현재의 위치가 결정되면 해당 영상과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영상 내 검색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검색 범위 내에서 투영된 시드들의 시차를 이용하여 매칭점으로 설정하며,
    설정된 상기 매칭점을 기반으로 현재 위치에 대한 키 프레임 내 시드의 시차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프레임 업데이트부는,
    설정된 상기 검색 범위 내에서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점을 매칭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로봇의 위치 이동하는 경우 기 설정된 키프레임 생성조건에 따라 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키프레임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키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기 설정된 키프레임 생성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여 그 확인한 결과로 상기 키프레임 생성조건을 만족하면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구한 깊이 값을 이용하여 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키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구한 깊이 값과 해당 키 프레임의 일부 시드를 이용하여 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키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키 프레임에 대한 루프 결합을 확인하여 키 프레임 집합을 구성하는 키 프레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11. 이동 로봇의 시작 위치에서 키 프레임을 구성하는 시드들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로봇의 위치 이동에 따라 주어진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키 프레임의 시드들을 투영시켜 투영된 상기 시드들의 시차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의 위치에 대한 키 프레임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프레임을 구성하는 시드는 영상 좌표, 시차, 시차의 편차, 픽셀 값, 그래디언트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하는 단계는,
    촬영된 스트레오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에지에 대해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깊이 값을 구하고,
    상기 깊이 값을 이용하여 복원된 좌표의 시드의 시차를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시드의 시차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복원된 좌표의 시드들을 제1 후보군으로 설정하고 그레디언트 크기가 임계치 이상인 시드들을 제2 후보군으로 설정하며,
    인접한 제1 후보군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상기 제1 후보군의 시차를 해당 시드의 시차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의 위치가 결정되면 해당 영상과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영상 내 검색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검색 범위 내에서 투영된 시드들의 시차를 이용하여 매칭점으로 설정하며,
    설정된 상기 매칭점을 기반으로 현재 위치에 대한 키 프레임 내 시드의 시차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설정된 상기 검색 범위 내에서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점을 매칭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로봇의 위치 이동하는 경우 기 설정된 키프레임 생성조건에 따라 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키프레임 생성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여 그 확인한 결과로 상기 키프레임 생성조건을 만족하면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구한 깊이 값을 이용하여 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구한 깊이 값과 해당 키 프레임의 일부 시드를 이용하여 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키 프레임에 대한 루프 결합을 확인하여 키 프레임 집합을 구성하는 키 프레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KR1020150086228A 2014-06-17 2015-06-17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708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3708 2014-06-17
KR1020140073708 2014-06-17
PCT/KR2015/006153 WO2015194864A1 (ko) 2014-06-17 2015-06-17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728A KR20150144728A (ko) 2015-12-28
KR101708659B1 true KR101708659B1 (ko) 2017-02-22

Family

ID=6162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228A KR101708659B1 (ko) 2014-06-17 2015-06-17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33279B2 (ko)
EP (1) EP3159121A4 (ko)
KR (1) KR101708659B1 (ko)
WO (1) WO2015194864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949A (ko) * 2018-11-28 2020-06-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물체 레이블을 활용한 Visual SLAM에서의 영상 특징점 강화 방법 및 장치
KR20200083360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도구공간 오브젝트 탐지 방법 및 장치
WO2020111844A3 (ko) * 2018-11-28 2020-10-15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체 레이블을 활용한 비주얼 슬램에서의 영상 특징점 강화 방법 및 장치
KR20210117797A (ko) * 2020-03-20 2021-09-29 주식회사 케이티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맵을 생성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맵에 따라 주행하는 이동 로봇
US11579298B2 (en) 2017-09-20 2023-02-14 Yujin Robot Co., Ltd. Hybrid sensor and compact Lidar sensor
US11874399B2 (en) 2018-05-16 2024-01-16 Yujin Robot Co., Ltd. 3D scanning LIDAR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6230B (zh) * 2016-05-06 2017-11-24 简燕梅 一种可提高机器人位姿一致性的orb关键帧闭环检测slam方法
US11099030B2 (en) * 2016-06-02 2021-08-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ttitude estimation apparatus, attitude estimation method, and observation system
CN109478330B (zh) * 2016-06-24 2022-03-29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基于rgb-d照相机的跟踪系统及其方法
CN106292662A (zh) * 2016-08-09 2017-01-04 衣佳鑫 机器人轨迹绘制方法及系统
CN107368690B (zh) * 2017-08-09 2022-01-18 贵阳朗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医学影像图片的预处理方法及装置
CN110462683B (zh) * 2018-03-06 2022-04-12 斯坦德机器人(深圳)有限公司 紧耦合视觉slam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DE102018209603A1 (de) 2018-06-14 2019-12-1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selbstfahrender Fahrzeuge
CN109584302B (zh) * 2018-11-27 2023-12-01 北京旷视科技有限公司 相机位姿优化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US10611028B1 (en) * 2018-11-30 2020-04-07 NextVPU (Shanghai) Co., Ltd. Map building and positioning of robot
WO2020107487A1 (zh) * 2018-11-30 2020-06-0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和无人机
US10782137B2 (en) * 2019-01-28 2020-09-22 Qfeeltech (Beijing) Co., Ltd.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localization and mapping
CN110102490B (zh) * 2019-05-23 2021-06-01 北京阿丘机器人科技有限公司 基于视觉技术的流水线包裹分拣装置和电子设备
US11580724B2 (en) 2019-07-23 2023-02-14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Virtual teach and repeat mobile manipulation system
KR102327185B1 (ko) * 2019-12-24 2021-11-17 한국도로공사 정밀도로지도 갱신을 위한 객체 변화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05328B1 (ko) * 2019-12-24 2021-09-28 한국도로공사 카메라 기반의 자동화된 정밀도로지도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N111220148A (zh) * 2020-01-21 2020-06-02 珊口(深圳)智能科技有限公司 移动机器人的定位方法、系统、装置及移动机器人
CN112348893B (zh) * 2020-10-30 2021-11-19 珠海一微半导体股份有限公司 一种局部点云地图构建方法及视觉机器人
CN112344923B (zh) * 2021-01-11 2021-04-16 浙江欣奕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的定位方法及其定位装置
CN113074634B (zh) * 2021-03-25 2022-06-21 苏州天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相位匹配方法、存储介质和三维测量系统
CN113391318B (zh) * 2021-06-10 2022-05-17 上海大学 一种移动机器人定位方法及系统
CN113379842B (zh) * 2021-06-23 2022-06-14 武汉大学 一种基于rgbd相机的弱纹理及动态场景视觉slam定位方法
KR20230017060A (ko) * 2021-07-27 2023-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577B1 (ko) 2006-12-07 2008-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 비전 처리를 통해 목표물 검색 및 추종 방법, 및이를 적용한 가정용 지능형 서비스 로봇 장치
KR101083394B1 (ko) 2009-10-30 2011-11-14 주식회사 유진로봇 이동 로봇의 위치 인식을 위한 지도 생성 및 갱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452B1 (ko) 2002-06-12 200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로봇의 위치 및 방향 인식 장치 및 방법
US7110602B2 (en) 2002-08-21 2006-09-19 Raytheon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image edges using a polar algorithm process
US7925049B2 (en) * 2006-08-15 2011-04-12 Sri International Stereo-based visual odometry method and system
KR101581197B1 (ko) 2009-01-06 2015-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101513639B1 (ko) 2009-04-30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로봇 청소기 및 이동 로봇의 각도 검출 방법
KR101618030B1 (ko) 2009-07-28 2016-05-09 주식회사 유진로봇 이동 로봇의 위치 인식 및 주행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로봇
KR101167627B1 (ko) * 2010-02-25 2012-07-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로봇의 위치 및 지도의 이중 보정 장치 및 방법
KR20120070291A (ko) * 2010-12-21 2012-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행 로봇 및 그의 동시 위치 인식 및 지도 작성 방법
KR101286135B1 (ko) * 2011-10-28 2013-07-1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향식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중대형 공간에서의 자율적 위상지도 생성 방법
JP5963353B2 (ja) * 2012-08-09 2016-08-03 株式会社トプコン 光学データ処理装置、光学データ処理システム、光学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光学データ処理用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577B1 (ko) 2006-12-07 2008-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 비전 처리를 통해 목표물 검색 및 추종 방법, 및이를 적용한 가정용 지능형 서비스 로봇 장치
KR101083394B1 (ko) 2009-10-30 2011-11-14 주식회사 유진로봇 이동 로봇의 위치 인식을 위한 지도 생성 및 갱신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9298B2 (en) 2017-09-20 2023-02-14 Yujin Robot Co., Ltd. Hybrid sensor and compact Lidar sensor
US11874399B2 (en) 2018-05-16 2024-01-16 Yujin Robot Co., Ltd. 3D scanning LIDAR sensor
KR20200063949A (ko) * 2018-11-28 2020-06-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물체 레이블을 활용한 Visual SLAM에서의 영상 특징점 강화 방법 및 장치
WO2020111844A3 (ko) * 2018-11-28 2020-10-15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체 레이블을 활용한 비주얼 슬램에서의 영상 특징점 강화 방법 및 장치
KR102285427B1 (ko) * 2018-11-28 2021-08-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물체 레이블을 활용한 Visual SLAM에서의 영상 특징점 강화 방법 및 장치
KR20200083360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도구공간 오브젝트 탐지 방법 및 장치
KR20210117797A (ko) * 2020-03-20 2021-09-29 주식회사 케이티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맵을 생성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맵에 따라 주행하는 이동 로봇
KR102333612B1 (ko) 2020-03-20 2021-12-01 주식회사 케이티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맵을 생성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맵에 따라 주행하는 이동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59121A1 (en) 2017-04-26
WO2015194864A1 (ko) 2015-12-23
US20170153647A1 (en) 2017-06-01
KR20150144728A (ko) 2015-12-28
US10133279B2 (en) 2018-11-20
EP3159121A4 (en)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659B1 (ko) 이동 로봇의 맵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725060B1 (ko) 그래디언트 기반 특징점을 이용한 이동 로봇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776622B1 (ko) 다이렉트 트래킹을 이용하여 이동 로봇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776621B1 (ko) 에지 기반 재조정을 이용하여 이동 로봇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784183B1 (ko) ADoG 기반 특징점을 이용한 이동 로봇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11668571B2 (en)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 using dual event cameras
CN109084746B (zh) 用于具有辅助传感器的自主平台引导系统的单目模式
JP7173772B2 (ja) 深度値推定を用いた映像処理方法及び装置
US11461912B2 (en) Gaussian mixture models for temporal depth fusion
US10395383B2 (en) Method, device and apparatus to estimate an ego-motion of a video apparatus in a SLAM type algorithm
US10762643B2 (en) Method for evaluating image data of a vehicle camera
Saeedi et al. Vision-based 3-D trajectory tracking for unknown environments
KR101072876B1 (ko) 이동 로봇에서 자신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55632B1 (ko) 스테레오 매칭 방법 및 장치
JP6229041B2 (ja) 基準方向に対する移動要素の角度偏差を推定する方法
CN115406447B (zh) 拒止环境下基于视觉惯性的四旋翼无人机自主定位方法
JP201615202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48956A (ja) 位置合わせ装置、位置合わせ方法及び位置合わせ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555269B1 (ko) 전방향 영상센서 및 관성측정센서의 자세추정 융합 방법 및 시스템
Bevilacqua et al. Egomotion estimation for monocular camera visual odometer
Baligh Jahromi et al. a Preliminary Work on Layout Slam for Reconstruction of Indoor Corridor Environments
Cho et al. Rotation estimation from cloud tr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