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582B1 -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582B1
KR101708582B1 KR1020157017891A KR20157017891A KR101708582B1 KR 101708582 B1 KR101708582 B1 KR 101708582B1 KR 1020157017891 A KR1020157017891 A KR 1020157017891A KR 20157017891 A KR20157017891 A KR 20157017891A KR 101708582 B1 KR101708582 B1 KR 101708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edia content
digital media
positional relationship
relationship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2283A (ko
Inventor
하이준 리우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92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개시하며, 통신 및 정보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출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입을 준비하라고 제2 기기에 통지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제2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제2 메시지를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제2 기기에 이전시켜 제2 기기에 의해 재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체험이 보다 간편하고 제어가 보다 자연스럽고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려는 사용자의 제어 목적을 정확하게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의 기기에서 재생되는 비디오, 오디오와 같은 상이한 종류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상이한 기기에서 재생하게 이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들의 오락 생활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FERRING DIGITAL MEDIA CONTENT PLAYBACK}
본 발명은 통신 및 정보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미디어 기기 사이에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transfer)하는 방법, 이입(transfer-in) 장치, 이출(transfer-out) 장치, 및 관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미디어 및 네트워크가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일상 생활 속의 오락 체험이 다채로워지고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주택에서 고화질 TV를 시청할 수 있으며, TV 프로그램의 소스는 디지털 광 디스크, 케이블 TV, 인터넷 등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스테레오 사운드, 5.1 채널 사운드, 7.1 채널 사운드, 심지어는 더 실감나는 음성 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며, 전자 태블릿 기기(TV), 핸드폰으로 이러한 체험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 기술에는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상이한 기기들 사이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을 이전할 수 있으며, 리모컨 또는 핸드 제스처를 통해 기기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이전 채널 및 다음 채널의 프로그램 채널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기기에 대한 기존 제어 방법들 중에서 현재 보편적인 것으로는, 각 기기 자체의 리모컨을 사용하여 제어하는 방법이지만, 이러한 리모컨들은 통상적으로 호환이 가능하지 않고, 기존의 TV, 음향 기기를 비롯한 대부분 리모컨들이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일부 리모컨들도 시중에 있는바, 예를 들면 컴퓨팅 및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한 기기(예를 들면 핸드폰, TV)에 상호 접속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다른 기기를 제어한다. 핸드 제스처 제어는 현재 비교적 신규적인 방식으로서, 하나의 기기의 카메라가 핸드 제스처를 모니터링하여 분석 및 인식을 수행한 후 해당 기기에 대한 제어로 전환시킨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복수의 기기들 사이의 콘텐츠 재생에 대한 공유, 이전 수요가 날로 커져가고 있어 상기 제어 방식들이 그다지 간편하지 않다는 점들이 드러나고 있다. 예들 들면, 여러 개의 리모컨들 중에서 원하는 기기에 대응되는 그 하나의 리모컨을 골라내야 하고 상이한 기기에 대한 제어를 위해 부단히 리모컨을 바꿔야 하거나, 또는 컴퓨터 기본 조작에 익숙한 사용자만이 TV 또는 핸드폰을 통해 기기를 제어할 수 있거나, 또는 간단한 제스처로 하나의 기기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보다 간편하고 자연적인 조작 방식을 이용하여 콘텐츠에 대한 공유 재생, 이전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원한다.
만약 보다 간편하고 보다 자연스러운 제어 방식을 제공하여 기기 간의 콘텐츠 재생에 대한 이전, 협력 재생 등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 방식의 결과가 정확하면, 사용자들이 오락 생활을 보다 수월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사용자들은 새로운 기기 기능을 파악함에 있어서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고 쉽게 익힐 수 있기를 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목적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적어도 핸드 제스처를 통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이 이전되도록 정확하게 제어하는 과제를 보다 훌륭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한 측면에 의하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제1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출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입을 준비하라고 제2 기기에 통지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제2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제2 메시지를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제2 기기에 이전시켜 제2 기기에 의해 재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출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한 후, 제1 기기와 사용자 사이의 제1 위치 관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위치 관계 정보를 상기 제1 메시지 내에 캡슐화하고 제2 기기에 송신하여,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 내의 제1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의 제2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제1 기기를 확정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제1 기기가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기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메시지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위치 관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이전시켜 재생하기 위한 하나의 제2 기기를 확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제2 위치 관계 정보는 팔, 손, 제1/제2 기기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제1/제2 위치 관계 정보는 손 또는 팔과 제1/제2 기기 사이의 거리 정보이다.
바람직하게, 제1 기기는 자신의 카메라 부재를 이용하여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인체 동작은 잡는 동작/집는 동작, 회수 동작을 포함하는 핸드 제스처 동작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제2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제2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 능력을 표시하기 위한 제2 메시지를 제1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제3 메시지를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3 메시지에 따라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제2 기기에 이전시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2 기기가 인체 동작을 감지하기 전에,
제1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출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하여, 제1 기기와 사용자 사이의 제1 위치 관계 정보를 획득하고,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입을 준비하라고 제2 기기에 통지하기 위한 제1 메시지 내에 상기 제1 위치 관계 정보를 캡슐화하여 제2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제2 기기가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기기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메시지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제1 기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2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한 후, 제2 기기와 사용자 사이의 제2 위치 관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위치 관계 정보를 상기 제2 메시지 내에 캡슐화하여 제1 기기에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제1 기기가 하나의 또는 복수의 제2 기기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메시지 내의 제2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시키기 위한 하나의 제2 기기를 확정하고, 제3 메시지를 확정된 제2 기기에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제2 기기가 상기 제3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3 메시지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시키기 위한 메시지일 경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제2 기기에 이전시켜 재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제2 위치 관계 정보는 팔, 손, 제1/제2 기기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제1/제2 위치 관계 정보는 손 또는 팔과 제1/제2 기기 사이의 거리 정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기기는 자신의 카메라 부재를 이용하여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인체 동작은 잡는 동작/집는 동작, 회수 동작을 포함하는 핸드 제스처 동작이며, 상기 제2 기기는 자신의 카메라 부재를 이용하여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인체 동작은 던지는 동작/가리키는 동작/손가락 펴기 동작을 포함하는 핸드 제스처 동작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전을 위한 이출 장치가 제공되는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출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감지 모듈;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입을 준비하라고 제2 기기에 통지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제2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제2 메시지를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제2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제2 기기에 이전시켜 제2 기기에 의해 재생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이출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출 모듈은,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기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메시지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위치 관계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이출 추출 서브 모듈; 및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이전시켜 재생하기 위한 하나의 제2 기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이출 선택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전을 위한 이입 장치가 제공되는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감지 모듈;
자신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 능력을 표시하기 위한 제2 메시지를 제1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2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제3 메시지를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제3 메시지에 따라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본 기기에 이전시켜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이입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송수신 모듈은, 또한 제1 기기와 사용자 간의 제1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메시지를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메시지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제1 기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이출 장치와 이입 장치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체험이 보다 간편하고 제어가 보다 자연스럽고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려는 사용자의 제어 목적을 정확하게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의 기기에서 재생되는 비디오, 오디오와 같은 상이한 종류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상이한 기기에서 재생하도록 이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들의 오락 생활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의 원리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응용 시나리오의 예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제스처와 카메라의 각도 예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네트워크 메시지 흐름 예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의 원리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응용 시나리오의 예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네트워크 메시지 흐름 예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의 원리 블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응용 시나리오의 예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네트워크 메시지 흐름 예시도이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에 결부시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에 대한 설명과 해석을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은 자명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의 원리 블록도이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01: 제1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출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하여, 제1 기기와 사용자 사이의 제1 위치 관계 정보를 획득하고,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입을 준비하라고 제2 기기에 통지하기 위한 제1 메시지 내에, 상기 제1 위치 관계 정보를 캡슐화하여 제2 기기에 송신한다.
단계 102: 제2 기기가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기기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메시지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제2 기기의 제2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제1 기기를 확정한다. 여기서 제2메시지는, 제2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 능력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103: 제2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확정된 하나의 제1 기기에 상기 제2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단계 103에서 구체적으로, 제2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한 후, 제2 기기와 사용자 사이의 제2 위치 관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위치 관계 정보를 상기 제2 메시지 내에 캡슐화하여, 상기 확정된 하나의 제1 기기에 송신함으로써, 제1 기기가,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기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메시지 내의 제2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시키기 위한 하나의 제2 기기를 확정하고, 제3 메시지를 상기 확정된 제2 기기에 송신하도록 한다.
단계 104: 상기 제2 메시지에 응답하는 제3 메시지를 제2 기기가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3 메시지에 따라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본 기기에 이전시켜 재생한다.
상기 단계 104에서 구체적으로, 제2 기기가 상기 제3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3 메시지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시키기 위한 메시지일 경우,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본 기기에 이전시켜 재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제2 위치 관계 정보는 팔, 손, 제1/제2 기기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제1/제2 위치 관계 정보는 손 또는 팔과 제1/제2 기기 사이의 거리 정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기기가 자신의 카메라 부재를 이용하여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인체 동작은 잡는 동작/집는 동작, 회수 동작을 포함하는 핸드 제스처 동작이며, 상기 제2 기기는 자신의 카메라 부재를 이용하여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인체 동작은 던지는 동작/가리키는 동작/손가락 펴기 동작을 포함하는 핸드 제스처 동작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기기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트리거링 능력을 구비한다. 트리거링 능력은 재생을 이전하려는 인체 동작을 수신하거나 또는 인식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손으로 잡거나 슬라이딩하는 동작, 및 카메라 전방에서 움켜 잡는 동작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기는 또한 네트워크 능력을 구비하되, 네트워크 능력은 다른 기기와의 상호 발견, 연결을 지원하고 재생에 대한 이전을 트리거링하는 인체 동작을 수신한 후, 다른 기기에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기기는 또한 제2 메시지에 따라 상대 측 기기를 판정하는 능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기기는 네트워크 능력을 구비하되, 네트워크 능력은 다른 기기와의 상호 발견, 연결을 지원하고 다른 기기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기기는 또한 인식 능력을 구비하되, 상기 인식 능력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가 곧 본 기기에 이전될 거라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인식 능력을 콘텍스트 응용 시나리오에 결부시키면, 손의 던지는 동작, 손의 가리키는 동작 또는 터치 스크린 상의 손의 펴기 동작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기기는 또한 제1 메시지에 따라 상대 측 기기를 판정하는 능력을 구비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응용 시나리오의 예시도인바, 각 기기 및 그 상호 관계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고, 시스템의 두 기기는 모두 텔레비젼(TV)이며 각각 TV1 및 TV2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후로 TV1, TV2에 핸드 제스처를 입력하는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TV1은 제1 기기로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고, 상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는 로컬에 저장된 비디오 파일이거나 또는 IP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스트림이거나, 또는 로컬의 오디오 파일이거나, 또는 IP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스트림일 수 있으며, 컴퓨터의 모니터로서 운영체제의 데스크탑 화면을 표시하고 있을 수 있다.
TV1에는 하나의 카메라 부재(예를 들면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가 카메라 앞에서 손으로 움켜 잡는 동작 등을 할 수 있다. TV1은 카메라에 포착된 동작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움켜 잡는 동작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V1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트리거링 능력을 구비하며, 상기 트리거링 능력은 TV1이 카메라를 통해 모션 이미지를 포착하여 사전에 정의된 인식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려는 지시를 판단해낼 수 있다.
TV1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IEEE 802.11b/g/n 또는 IEEE 802.3을 지원하므로 IP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TV1 내의 모듈은 또한 네트워크 서비스 능력을 구비하며, 네트워크 서비스 능력은 다른 기기와의 상호 발견, 연결을 지원하고 재생에 대한 이전을 트리거링한 지시를 수신한 후 다른 기기에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
TV2은 제2 기기로서 마찬가지로 하나의 카메라 부재(예를 들면 카메라)를 구비한다. TV1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카메라 앞에서 손으로 던지는 동작, 놓아주는 동작, 또는 가리키는 동작 등을 할 수 있다.
TV2도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시키려는 사실을 인식하는 능력을 구비하는바, 즉 TV2는 카메라를 통해 모션 이미지를 포착하여 사전에 정의된 인식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 해당 TV2에 이전되고자 한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으며, 그 말인즉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가 본 기기에 이전될 거라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식을 콘텍스트 응용 시나리오에 결부시키면 손의 던지는 동작, 손의 놓아주는 동작, 손의 가리킴 동작 또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손의 펼침 동작(TV2에 터치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 등을 포함한다.
TV2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IEEE 802.11b/g/n 또는 IEEE 802.3을 지원하므로 IP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TV2 내의 모듈은 또한 네트워크 서비스 능력을 구비하며, 네트워크 서비스 능력은 다른 기기와의 상호 발견, 연결을 지원하고 TV1의 브로드캐스팅 메시지를 수신하고 브로드캐스팅 메시지에 대해 응답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 의한 이전 동작을 인식한 후 TV1에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여 TV1과 최종적으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전을 수행할 수 있다.
기능 모듈 측면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이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기 TV1은 시스템의 이출 장치이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출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감지 모듈;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입을 준비하라고 제2 기기에 통지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제2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제2 메시지를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제2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제2 기기에 이전시켜 제2 기기가 재생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이출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출 모듈은,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기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메시지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위치 관계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이출 추출 서브 모듈; 및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시키기 위한 하나의 제2 기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이출 선택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기능 모듈 측면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또한 이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기 TV2는 시스템의 이입 장치이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감지 모듈;
자신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 능력을 표시하기 위한 제2 메시지를 제1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2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제3 메시지를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제3 메시지에 따라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본 기기에 이전시켜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이입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송수신 모듈은 또한 제1 기기와 사용자 간의 제1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메시지를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메시지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제1 기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감지 모듈과 제2 감지 모듈은 모두 터치 스크린, 카메라와 같은 동작 입력 기능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또한 인식 기능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동작 입력 서브 모듈은 포착된 동작들을 인식 기능 서브 모듈에 제공하여 동작들의 의미가 인식 기능 서브 모듈에 의해 인식되는바, 예를 들면 디지털 미디어 재생을 이출하려는 사실,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가 본 기기에 이입될 거라는 사실 등이 인식된다.
상기 제1 송수신 모듈과 제2 송수신 모듈은 모두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 서브 모듈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전술된 인식 기능 서브 모듈이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 서브 모듈과 상호 연결되어, 인식된 동작의 의도를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 서브 모듈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 서브 모듈이 네트워크 메시지를 구성하고, 네트워크 메시지를 송신할 것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명령하며,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 서브 모듈이 네트워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각 타입의 네트워크 상에서의 네트워크 메시지에 대한 송신 및 수신을 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 TV1에 의해 인식 가능한 동작은 각각 다음과 같다.
제1 그룹:
1) 잡는 동작: 사용자가 카메라를 향해 손으로 움켜 잡는 동작 또는 집어 올리는 동작을 한다.
2) 회수 동작: 사용자가 카메라를 향해 손바닥과 팔을 이용하여 회수하는 동작을 한다. 즉 카메라를 향해 팔을 곧게 편 다음, 아래팔을 사용자 신체 중심선 쪽으로 굽혀 들어온다.
본 실시예에서, TV2에 의해 인식 가능한 동작은 각각 다음과 같다.
제2 그룹:
1) 던지는 동작: 사용자가 TV2의 카메라를 향해 손으로 던지는 동작을 한다.
2) 놓아주는 동작: 사용자가 제1 그룹의 잡아 올리거나 또는 집어 올리는 핸드 제스처를 우선 유지한 다음, TV2 카메라를 향해 손으로 놓아주는 동작을 한다.
3) 가리키는 동작: 사용자가 TV2 카메라를 향해 손으로 가리키는 동작을 한다.
4) 펼치는 동작: 만약 TV2 스크린에 터치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으면, 우선 다섯 손가락을 움켜쥔 다음, 터치 스크린 상에서 손가락으로 펼치는 동작을 한다.
카메라를 통해 동작 의도를 인식하는 측면에 있어서, 핸드 제스처에 대한 인식은 히스토그램 알고리즘 또는 은닉 마코프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의 핸드 제스처가 카메라 포착 범위 내에 위치해야만 카메라가 핸드 제스처 비디오를 생성하여 인식 기능 서브 모듈에 제공하여, 인식 기능 서브 모듈이 비디오 내의 핸드 제스처 이미지에 대해 컬러 또는 윤곽 또는 구조광 분석 등 방법을 통해 손의 위치를 인식하고 핸드 제스처 대상을 검출 및 분할해내며 핸드 제스처의 특징을 추출하여 핸드 제스처의 모션을 추적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손가락의 방향, 모션 방향의 서열에 대해 처리를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핸드 제스처를 완벽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사전에 정의된 핸드 제스처와의 공간상 비교 등 방법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의한 제어 의도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핸드 제스처 외에도, 눈동자 움직임, 신체 자세 등 동작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두 그룹의 동작에 있어서, 각 그룹 내에서 각각 하나를 선택하여 조합하면 모두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제어를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선 제1 그룹의 1)을 선택하여 TV1에서 동작을 한 후, TV2의 카메라를 향해 제2 그룹의 동작 2)를 한다.
TV1과 TV2의 네트워크 서비스 능력은 다음과 같은 능력을 포함한다.
1) TV1과 TV2더러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발견하도록 한다.
2)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조작을 협상한다.
3)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수행한다.
TV1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려는 인체 동작을 수신 또는 인식한 후, TV2 더러 인체 동작(예를 들면 핸드 제스처)를 수신 또는 인식하도록 하는 제1 메시지를 발신하며,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와의 제1 위치 관계 정보(예를 들면 핸드 제스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TV2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본 기기에 이전시키려는 인체 동작을 수신 또는 인식한 후 TV1에 제2 메시지를 송신하여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 받을 준비가 되어 있다고 TV1에 통지하며, 상기 제2 메시지는 사용자와의 제2 위치 관계 정보(예를 들면 핸드 제스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TV1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전에 대한 확인을 TV2에 송신하여 재생에 대한 이전을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핸드 제스처 위치 정보는 핸드 제스처와 기기의 각도 파라미터일 수도 있고 핸드 제스처와 기기 사이의 거리 파라미터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기기 및/또는 복수의 제2 기기가 존재할 경우, 일 기기는 상대 측의 핸드 제스처 정보에 따라 최적의 상대 측 기기를 판정하여 메시지를 응답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핸드 제스처와 카메라 각도의 예시도인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시나리오에서 제1 기기 또는 제2 기기가 단지 하나만이 아니고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 자세를 정확하게 조정하여 각 기기에 똑바로 마주 향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시스템에 두 개의 제2 기기가 존재하는 케이스를 예로 들어, 도3에는 TV1, TV2 등 두 개의 기기가 존재하고 사용자를 좌표 중심으로 하고 기기와 사용자의 핸드 제스처 사이에 각도가 존재한다. 이 실시예에서, 기기가 핸드 제스처를 인식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핸드 제스처 연장선과 카메라 사이의 각도, 거리를 표기할 수 있으며, 이는 종래 기술의 적외선을 추가하는 측정, 레이저 측정, 측정 등 기술을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도3에서, 임의의 식별 기능을 구비한 기기가 우선 팔을 인식하고 팔의 다른 한 끝점을 좌표 원점으로 하여, 만약 손바닥(손가락)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움직이면(사용자 관찰) 각도의 변화가 0°로부터 360° 사이이고, 만약 손바닥(손가락)이 위로부터 아래로 움직이면, 각도의 변화가 0°로부터 180° 사이이다. 여기서, 기기에 의해 산출될 부분은, 카메라, 손, 팔의 다른 한 끝점 등 세 점으로 구성된 삼각형에서 카메라-손이 위치하는 선과 손-팔이 위치하는 선 사이의 협각이다. 이 협각의 각도가 클수록 핸드 제스처의 가리키는 방향이 이 삼각형에서의 카메라에 더 근접함을 의미하는바, 즉 카메라가 구비된 기기에 더 근접함을 의미한다. 각도 크기와 그에 해당하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0°: 손이 가리키는 방향이 본 기기를 향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0°-90°: 손이 가리키는 방향이 본 기기를 향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90° 내지 180°: 이 경우, 손, 팔, 카메라가 점점 더 하나의 직선 상에 근접하며, 손이 가리키는 방향이 본 기기를 향하고 있을 가능성이 아주 높음을 의미한다.
180°: 이 경우, 손, 팔, 카메라가 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하며, 손이 가리키는 방향이 본 기기를 향하고 있음을 확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3에서 여전히 상기와 같이 좌표 원점을 정하였으나, 여기서 다른 점을 좌표 원점으로 선정할 수 있다. 만약 손바닥(손가락)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움직이면(사용자 관찰) 각도의 변화가 0°로부터 360° 사이이고, 만약 손바닥(손가락)이 위로부터 아래로 움직이면, 각도의 변화가 0°로부터 180° 사이라고 정한다. 여기서, 다른 방향으로 선정할 수도 있다. 기기에 의해 산출될 부분은, 카메라, 손, 팔의 다른 한 끝점 등 세 점으로 구성된 삼각형에서 카메라-손이 위치하는 선과 손-팔이 위치하는 선, 팔의 다른 끝점-카메라가 위치하는 선 등 세 선의 길이이며, 길이의 계산 측면에 있어서, 인식 모듈이 이 세 길이를 직접 측정할 수도 있고, 기준 거리를 측정한 후 비례에 따라 계산 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위치 관계는 또한 손 또는 팔에서 카메라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제어 방법의 네트워크 메시지 흐름 예시도이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도4에서, 제1 기기는 TV1이고 제2기기는 2대인바 각각 TV2 및 음향 시스템(Audio System)이다. 이 실시예에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가 TV1에서 재생되고 있고, 사용자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이 TV1에서 TV2에 이전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있어서 그의 시나리오와 체험은 다음과 같다. 즉 핸드 제스처를 이용하여 비디오를 재생하고 있는 TV1 스크린 상에서 움켜 잡는 동작, 회수 동작을 한 후, 손으로 TV2 카메라 방향을 향해 던지는 동작을 함으로써, TV1에서 재생되고 있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가 현재에는 TV2에서 재생되고 있어 사용자가 직접 TV2에서 재생되고 있는 비디오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스크린 상의 메뉴를 식별할 필요가 없고 또한 사용자가 스크린 버튼을 클릭할 필요는 더욱 없으며, 사용자가 리모컨을 이용할 필요도 없다. 사용자가 핸드 제스처로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가 TV2의 카메라에 똑바로 마주 향해 조작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의 핸드 제스처 방향이 근사하게 TV2를 향하기만 하면 되므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이 인식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기기들(예를 들면 별도로 구비된 하나의 Audio System) 사이에서 이전되는 경우에 충돌되는 것을 우려할 필요가 없다.
각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 사이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고 상호 통신 과정 중에 상호 발견하는 능력을 구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 기능의 처리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단계 401: 사용자가 TV1을 향해 제1 동작을 시연하고, TV1이 해당 동작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이전 의도, 즉 현재 TV1의 비디오 재생을 다른 일 기기에 이전하여 재생하려는 의도를 파악한다.
여기서 제1 동작은 상기 제1 그룹 중의 임의의 하나의 동작일 수 있다. TV1은 적어도 그 중의 하나의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동작들에 대한 인식은 TV1에서 콘텍스트에 결부시켜 사전 정의되며, 일부 동작에 대한 인식은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TV1이 동작에 의해 표시되는 의미, 즉 현재 비디오 재생이 바로 다른 일 기기에서 재생되도록 이전될 거라는 사실을 인식해낼 수 있다.
이 단계는 TV1, 즉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트리거링 능력을 바탕으로 하며, 트리거링 능력은 재생을 이전하려는 인체 동작을 수신하거나 또는 인식할 수 있어 다른 기기더러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에 대한 이전을 준비하라는 지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트리거링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 401에서, 제1 기기의 카메라는 시종일관하게 모니터링, 인식(다른 기기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가능성을 감안)을 유지할 수도 있고, 핸드 제스처를 통한 가동 또는 기타 가동 방식을 통해 카메라의 모니터링 기능을 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401에서, 제1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려는 지시에 대한 수신을 완성한다. 그 말인즉, 제1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이전하려는 지시(예를 들면 움켜 잡는 동작)에 대한 인식을 완성한다.
단계 402: TV1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출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인식한 후 제1 메시지, 즉 READY PLEASE를 브로드캐스팅한다.
TV1이 동작을 인식하여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시키려는 의도를 파악한 후,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을 가동하여 사전 정의된 주소와 포트를 통해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멀티캐스팅하며, 메시지 내에는 다른 기기가 인식, 수신 동작을 준비하도록 통지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메시지는 본 발명에서 READY PLEASE라 하며, 인식, 수신 준비를 다른 기기에 통지하고 본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 능력을 통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들은 다음과 같다.
본 기기의 명칭, 주소, 포트: 이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READY PLEASE 메시지의 발신 주소, 및 후속적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주소이다.
인식된 핸드 제스처 위치 관계: 카메라에 상대적인 핸드 제스처의 각도, 거리 등 핸드 제스처와 카메라 위치 관계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그 인식 방법, 표시 방법 등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고, 이러한 위치 관계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타입의 지시: 이미지, 또는 모션 이미지, 또는 오디오, 또는 데스크탑 화면 또는 이들 조합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속성: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타입이 이미지일 경우 이미지 인코딩 방식을 포함하고,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타입이 모션 이미지일 경우 이미지 인코딩 방식, 프레임 레이트 등을 포함하고,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타입이 오디오일 경우 오디오 인코딩 방식 및/또는 샘플링 레이트 등을 포함하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타입이 데스크탑 화면일 경우 데스크탑 크기, 해상도 등을 포함하고,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타입이 조합 방식일 경우 조합 내의 각 타입의 해당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송신하는 전송 프로토콜 파라미터: 주소, 포트, 및 기타 프로토콜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며, 만약 최종적으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의 이전을 확인하면 여기에서 열거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송신한다.
타임아웃 시간: 이 READY PLEASE 메시지의 유효 시간을 표시하는바, 즉 지정된 시간을 초과한 후 해당 이전 의도가 무효(취소)된다.
상기 단계 402를 완성하기 전에, TV2, Audio System의 네트워크 능력에 의하면 TV1과 TV2, Audio System이 상호 연결을 완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기의 네트워크 능력을 바탕으로 본 기기에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려는 사실을 트리거링한 지시를 수신한 후 TV1이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기기(TV2, Audio System)에 핸드 제스처에 대한 수신 또는 인식을 준비하라는 메시지 지시를 송신하는바, 즉 다른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요컨대, 상기 단계 402에서, 제1 기기 TV1은 다른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지시하는 지시를 발신한다.
단계 403: 제2 기기 TV2, Audio System이 제2 동작을 인식한다.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제2 그룹 동작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동작이며, TV2, Audio System은 적어도 이들 중의 하나의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동작들에 대한 인식은 TV2, Audio System에서 콘텍스트에 결부시켜 사전 정의되며, 이러한 컨텍스트는 TV1의 제1 메시지를 수신한 후 카메라의 인식 기능이 가동되는 것을 포함하며, 동작에 대한 인식은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TV2, Audio System이 동작에 의해 표시되는 의미, 즉 현재 비디오 재생이 바로 본 기기에서 재생되도록 이전될 거라는 사실을 인식해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이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 기기가 존재하는바 즉 전술된 기능을 구비하는 복수의 텔레비전 기기 및/또는 셋탑 박스 기기 및/또는 음향 기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TV2, Audio System 두 기기를 사용하고 상기 TV2, Audio System이 모두 제2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단계 403에서, 제2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이 바로 본 기기에서 재생되도록 이전될 거라는 사실을 인식한다.
단계 404: 제2 기기 TV2, Audio System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시키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인식한 후, TV2, Audio System이 제2 메시지, 즉 PAIRED OK 또는 PAIR FAILURED를 송신한다.
상기 단계 404에서, 상기 제2 메시지에는 두 가지가 있으며, 한 가지는 PAIRED OK이고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전을 수신할 수 있음을 표시하고, 다른 한 가지는 PAIR FAILED이고 기기가 동작을 인식하였으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전을 수신할 수 없음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TV2, Audio System이 TV1에 PAIRED OK를 송신한다.
TV2, Audio System이 본 기기에 대한 동작을 인식한 후, 즉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본 기기에 이전시키려는 의도를 파악한 후, 만약 본 기기가 전술된 TV1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 내에서 지정된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면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을 가동시키고, 사전 정의된 주소와 포트를 통해 TV1에 제2 메시지 PAIRED OK를 송신하며, 상기 제2 메시지는 TV1에 응답하는 정보, 즉 본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기기가 전술된 TV1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 내에서 지정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없으면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을 가동시켜 사전 정의된 주소와 포트를 통해 TV1에 제2 메시지 PAIR FAILURE를 송신하며, 상기 메시지는 TV1에 응답하기 위한 정보, 즉 본 기기가 어떤 원인으로 인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수신할 수 없음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물론, 기기 TV2, Audio System이 TV1의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지 않을 수도 있는바 즉 아무런 메시지도 송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TV2, Audio System은 하나의 TV1에만 제2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즉 TV2, Audio System은 복수의 TV1과 같은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TV2, Audio System은 수신된 제1 메시지 내의 제1 기기에 의해 제공된 핸드 제스처 위치 정보에 따라 가장 정확한 하나의 제1 기기를 판단하며 해당 제1 기기에 제2 메시지 PAIRED OK를 송신한다.
상기 TV2, Audio System가 복수의 제1 기기에 의해 제공된 핸드 제스처 위치 정보에 따라 판단하는 단계는 도3에 따른 실시예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러 개의 TV1에 의해 주어진 각도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TV1(1): 100°
TV1(2): 170°
TV1(3): 80°
여기서, TV2, Audio System이 TV1(2)를 목표 기기로 선정하고 준비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만약 TV1에 의해 주어진 것이 거리 파라미터이고 각도 파라미터가 아니면, TV2, Audio System은 3각형 공식에 따라 상기 각도를 산출한 후 다시 TV1에 대한 선택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메시지 PAIRED OK 는 제2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 능력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본 기기의 명칭, 주소, 포트: 이는 PAIRED OK 메시지의 발신 주소, 및 후속적인 메시지 인터랙션을 위한 주소이다.
인식된 핸드 제스처 위치 관계: 카메라에 상대적인 핸드 제스처의 각도, 거리 등 핸드 제스처와 카메라 위치 관계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그 인식 방법, 표시 방법 등은 도3의 실시예와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고, 이러한 위치 관계를 표시하는 기타 데이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수신 가능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타입의 지시: 이미지, 또는 모션 이미지, 또는 오디오, 또는 데스크탑 화면 또는 이들 조합 중의 하나일 수 있으며, 이는 TV2, Audio System이 TV1에 콘텐츠 타입을 확인하는 바이다.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속성: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타입이 이미지일 경우 이미지 인코딩 방식을 포함하고,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타입이 모션 이미지일 경우 이미지 인코딩 방식, 프레임 레이트 등을 포함하고,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타입이 오디오일 경우 오디오 인코딩 방식 및/또는 샘플링 레이트 등을 포함하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타입이 데스크탑 화면일 경우 데스크탑 크기, 해상도 등을 포함하고, 이는 TV2가 TV1에 콘텐츠 속성을 확인하는 바이다.
송신되어온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전송 프로토콜: 주소, 포트, 및 기타 프로토콜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며, 만약 최종적으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의 이전이 설정되면 여기에서 열거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신하며, 이는 TV2, Audio System이 TV1에 콘텐츠 전송 프로토콜을 확인하는 바이다.
타임아웃 시간: 이 메시지의 유효 시간을 표시하는바, 즉 지정된 시간을 초과한 후,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해당 의도가 무효(취소)된다.
상기 단계 404에서, 제2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수신할 준비가 되었다는 확인을 제1 기기에 송신한다.
단계 405: TV1이 PAIRED OK 메시지에 대해 응답, 즉 PAIRED CONFIRM 또는 PAIR REFUSED를 송신한다.
TV1이 다시 TV2 또는 Audio System에 제3 메시지 PAIRED CONFIRM 또는 PAIR REFUSED를 송신하며, 상기 PAIRED CONFIRM은 TV1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이전을 원하는 TV2 또는 Audio System에 송신되거나, 또는 상기 PAIR REFUSED는 TV1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이전하지 않을 TV2 또는 Audio System에 송신된다. 본 실시예에서, TV1이 TV2에 PARIRED CONFIRM을 송신하고 Audio System에 PAIR REFUSED를 송신하는바, 즉 TV1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TV2에서 재생되도록 선택하여 이전시킨다.
TV1이 도면에 도시된 TV2, Audio System과 같은 복수의 제2 기기로부터 PAIRED OK를 수신하고 그 내의 제2 기기에 의해 인식된 핸드 제스처 위치 정보에 따라 최적의 하나의 제2 기기를 판단하는바, 예를 들면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신된 준비 완료 메시지 내에서 리포팅되는 각도 중에서 직선에 가장 근접한 직선 및/또는 거리 중에서 가장 작은 거리에 따라 TV2 또는 Audio System을 선택하여 선택된 TV2또는 Audio System에 PAIR CONFIRM을 응답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TV2, Audio System에 의해 주어진 각도 데이터가
TV2(1): 100°
TV2(2): 170°
Audio System: 80°이면
TV1은 TV(2)를 목표 기기로 선택하여 메시지를 응답한다.
만약 TV2 또는 Audio System에 의해 주어진 것이 거리 파라미터이고 각도 파라미터가 아니면, TV1은 3각형 공식에 따라 각도를 산출한 후 다시 목표 기기에 대해 선택을 수행한다.
물론, TV1은 조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목표 기기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는바, 예를 들면 스크린에 옵션을 열거하여 사용자가 기기를 선정한 후 그 뒤의 프로세스를 계속한다.
단계 406: TV1의 현재의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 재생을 TV2에 이전시켜 재생되게 한다.
TV1과 TV2 사이에서 네트워크 메시지를 통해 확인한 후, TV1과 TV2 사이에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에 대한 이전을 개시하여 완성될 때까지 또는 중지될 때까지 지속한다.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 재생의 이전은 전술된 TV1과 TV2 사이의 메시지 협상의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바, 예를 들면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실시간 전송 제어 프로토콜(Real Time Transport Protocol/Real 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RTP/RTCP), HTTP 방식의 어댑티브 스트리밍(HTTP Adaptive Streaming, HAS), 파일 전송 프로토콜(File Transport Protocol, FTP), WiFi 연맹의 디스플레이 기술(WiFi Display), 무선 홈 디지털 인터페이스(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WHDI), 무선 고화질 프로토콜(Wireless High Definition, WiH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전 과정에서, TV1과 TV2 사이에서 인코딩 디코딩 파라미터, 재생되는 콘텐츠의 타임 시프트 파라미터 등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TV1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이 종료 또는 전송이 종료될 경우, TV1이 TV2에 메시지를 송신하여 TV2에 재생 종료를 통지하고 네트워크 연결을 차단한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기기로서의 TV1은 우선 자신에 대한 핸드 제스처를 인식하여 재생을 이전하려는 멀티캐스트 요청 메시지(제1 메시지)를 발신한 후 제2 기기로서의 TV2가 자신에 대한 핸드 제스처를 인식하여 TV1에 제2 메시지를 응답한다. 또한, 단지 제1 기기 TV1에 대해 핸드 제스처를 시연하고, TV1이 자신에 대한 핸드 제스처를 인식한 후 제1 메시지를 송신하여 재생 이전 협상을 트리거링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의 원리 블록도이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501: 제1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출하려는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입을 준비하라고 제2 기기에 통지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제2 기기에 송신한다.
상기 단계 501에서 구체적으로, 제1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출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하여, 제1 기기와 사용자 사이의 제1 위치 관계 정보를 획득하고,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입을 준비하라고 제2 기기에 통지하기 위한 제1 메시지 내에 상기 제1 위치 관계 정보를 캡슐화하여 제2 기기에 송신하여, 제2 기기가 상기 제1 메시지 내의 제1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제2 기기의 제2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제1 기기를 확정하도록 한다.
단계 502: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제2 메시지를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제2 기기에 이전시켜 제2 기기가 재생하도록 한다.
상기 단계 502에서 구체적으로, 제1 기기가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기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메시지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위치 관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시키기 위한 하나의 제2 기기를 확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제2 위치 관계 정보는 팔, 손, 제1/제2 기기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제1/제2 위치 관계 정보는 손 또는 팔과 제1/제2 기기 사이의 거리 정보이다.
바람직하게, 제1 기기는 그의 카메라 부재를 이용하여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인체 동작은 잡는 동작/집는 동작, 회수 동작을 포함하는 핸드 제스처 동작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시키는 응용 시나리오의 예시도이며, 각 기기 및 그 상호 관계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고 시스템의 두 기기는 모두 텔레비전(TV)이며 각각 TV1, TV2이다.
TV1은 제1 기기로서 하나의 카메라 부재(예를 들어 카메라)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카메라 앞에서 손으로 잡는 동작, 또는 회수 동작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TV1에 의해 인식 가능한 동작은 각각 다음과 같다.
1) 잡는 동작: 사용자가 카메라를 향해 손으로 움켜 잡는 동작 또는 집어 올리는 동작을 한다.
2) 회수 동작: 사용자가 카메라를 향해 손바닥과 팔을 이용하여 회수하는 동작을 한다. 즉 카메라를 향해 팔을 곧게 편 다음, 아래팔을 사용자 신체 중심선 쪽으로 굽혀 들어온다.
TV1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바로 본 기기에서 이출하려는 인체 동작을 수신 또는 인식한 후,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전을 위해 TV2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여 TV2에게러 수신을 준비할 것을 통지하고 본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재생 능력을 통보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제어 방법의 네트워크 메시지 흐름 예시도인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는 두 개의 제1 기기, 즉 TV1 및 TV2가 존재하고 하나의 제2 기기 TV2가 존재하며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701: 사용자가 TV1을 향해 제1 동작을 시연하고 TV1과 TV3이 모두 해당 동작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이전 의도, 즉 현재 비디오 재생을 다른 일 기기에 이전하여 재생하려는 의도를 파악한다.
단계 702: TV1 및 TV3이 각각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출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인식한 후 제1 메시지, 즉 READY PLEASE를 브로드캐스팅하여 다른 기기에게 인식, 수신을 준비할 것을 통지하고 본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 능력을 통보한다.
단계 703: TV2, Audio System이 단지 하나의 TV1에 제2 메시지, 즉 PAIRED OK 또는 PAIR FAILURED를 송신할 수 있다. 즉, TV2가 TV1 및 TV3과 같은 복수의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한 후, TV2가 수신된 제1 메시지들 내의 제1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핸드 제스처 위치 정보들에 따라 최적의 하나의 제1 기기를 판단하여 선택하고 해당 제1 기기에 제2 메시지를 응답한다. 본 실시예에서, TV2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에 대한 이전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TV1에 확인하는바, 즉 TV1에 제2 메시지 PAIRED OK를 송신한다.
단계 704: TV1이 PAIRED OK 메시지에 대한 응답 PAIRED CONFIRM을 송신하는바 즉 TV1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TV2에 이전시켜 재생하게 한다.
단계 705: TV1의 현재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TV2에 이전시켜 재생시킨다.
TV1과 TV2 사이에서 네트워크 메시지를 통해 확인한 후 TV1과 TV2 사이에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에 대한 이전을 개시하며 완성될 때까지 또는 중지될 때까지 지속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3 실시예를 제공하는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제1 기기(TV1)이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우선 복수의 제2 기기(TV2 등)에 대해 핸드 제스처를 하여, TV2 등 기기가 핸드 제스처를 인식한 후 네트워크 메시지(제2 메시지), 즉 PAIRED OK를 트리거링하며 해당 메시지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신되고, 메시지 내에 포함된 내용은 앞서 서술된 제1 실시예와 같으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제1 기기 TV1이 이러한 PAIRED OK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전술된 실시예에서의 판단 방식을 사용하는바, 즉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판단하여 하나의 목표 제2 기기를 선택(예를 들어 TV2를 선택)하여 TV1이 TV2에 응답 메시지 PAIRED CONFIRM을 송신하며, 메시지는 수신된 PAIRED OK 내의 협상 정보를 포함한다. TV1, TV2가 일대일 연결을 설정한 후, 후속적인 재생 이전에 대한 제어는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도8 내지 도10을 통해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의 원리 블록도인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801: 제2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제2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 능력을 표시하기 위한 제2 메시지를 제1 기기에 송신한다.
상기 단계 801에서 구체적으로, 제2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한 후, 제2 기기와 사용자 사이의 제2 위치 관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위치 관계 정보를 상기 제2 메시지 내에 캡슐화하여 제1 기기에 송신하여, 제1 기기가 하나의 또는 복수의 제2 기기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메시지 내의 제2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시키기 위한 하나의 제2 기기를 확정하고, 제3 메시지를 확정된 제2 기기에 송신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기는 자신의 카메라 부재를 이용하여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인체 동작은 던지는 동작/가리키는 동작/손가락 펴기 동작을 포함하는 핸드 제스처 동작이다.
단계 802: 상기 제2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제3 메시지를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3 메시지에 따라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제2 기기에 이전시켜 재생시킨다.
상기 단계 802에서 구체적으로, 제2 기기가 상기 제3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3 메시지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시키기 위한 메시지일 경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본 기기에 이전시켜 재생시킨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응용 시나리오의 예시도인바, 각 기기 및 그 상호 관계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고 두 개의 기기가 모두 텔레비전(TV)이며 각각 TV1 및 TV2이다.
TV2는 제2 기기로서 하나의 카메라 부재(예를 들면 카메라)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카메라 앞에서 손으로 던지는 동작, 놓아주는 동작, 또는 가리키는 동작 등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TV2에 의해 인식 가능한 동작은 각각 다음과 같다.
1) 던지는 동작: 사용자가 TV2의 카메라를 향해 손으로 던지는 동작을 한다.
2) 놓아주는 동작: 사용자가 제1 그룹의 잡아 올리거나 또는 집어 올리는 핸드 제스처를 우선 유지한 다음, TV2 카메라를 향해 손으로 놓아주는 동작을 한다.
3) 가리키는 동작: 사용자가 TV2 카메라를 향해 손으로 가리키는 동작을 한다.
4) 펼치는 동작: 만약 TV2 스크린에 터치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으면, 우선 다섯 손가락을 움켜쥔 다음, 터치 스크린 상에서 손가락으로 펼치는 동작을 한다.
우선, TV2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본 기기에 이전시키려는 인체 동작을 수신 또는 인식한 후, TV1에 제2 메시지를 송신하여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있음을 TV1에 통지하며, 상기 제2 메시지에는TV2와 사용자의 제2 위치 관계 정보(예를 들면 핸드 제스처 위치 정보)가 포함된다. 그런 다음, TV1이 TV2에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전을 확인하고 재생을 이전을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핸드 제스처 위치 정보는 핸드 제스처와 기기의 각도 파라미터일 수도 있고 핸드 제스처와 기기 사이의 거리 파라미터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기기 또는 복수의 제2 기기가 존재할 경우, 본 기기는 상대 측의 핸드 제스처 위치 정보에 따라 최적의 상대 측 기기를 판정하고 메시지를 응답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제어 방법의 네트워크 메시지 흐름 예시도인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기는 TV1이고, 제2 기기는 각각 TV2 및 Audio System 등 두 개의 기기이다. 이 실시예에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가 TV1에 재생되고 있고 사용자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이 TV1에서 TV2로 이전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에 있어서 그의 시나리오 체험은 바로, 핸드 제스처를 통해 TV2 카메라를 향해 던지는 동작을 함으로써 TV1에서 재생되고 있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가 현재 TV2에서 재생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TV2에서 재생되는 비디오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001: 제2 기기 TV2, Audio System이 제2 동작을 인식하여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본 기기에 이전시켜 재생시키려는 사실을 파악한다.
단계 1002: 제2 기기 TV2, Audio System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시키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 지령을 파악한 후, TV2, Audio System이 제2 메시지 PAIRED OK를 송신하여, 제1 기기에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있음을 확인한다.
상기 단계 1002에서, 상기 제2 메시지에는 두 가지가 있는바, 한 가지는 PAIRED OK이며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음을 표시하고, 다른 한 가지는 PAIR FAILED이며 기기가 동작을 인식하였으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의 이전을 수신할 수 없음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TV2, Audio System이 TV1에 PAIRED OK를 송신하고 상기 제2 메시지 내에 제2 기기에 의해 인식된 핸드 제스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1003: TV1이 PAIRED OK 메시지에 대해 응답, 즉 PAIRED CONFIRM 또는 PAIR REFUSED를 송신한다.
TV1이 TV2 또는 Audio System에 제3 메시지 PAIRED CONFIRM 또는 PAIR REFUSED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TV1이 TV2에 PAIRED CONFIRM을 송신하고, Audio System에 PAIR REFUSED를 송신하는바, 즉 TV1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이 TV2에 이전되어 재생되도록 선택한다.
TV1이 복수의 제2 기기, 예를 들면 도면에서의 TV2, Audio System의 PAIRED OK를 수신할 경우, 그 내의 제2 기기에 의해 인식된 핸드 제스처 위치 정보에 따라 최적의 하나의 제2 기기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TV1이 조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목표 기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바, 예를 들면 스크린에 옵션을 열거하여 사용자가 기기를 선정한 후 그 뒤의 프로세스를 계속한다.
단계 1004: TV1의 현재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TV2에 이전시켜 재생시킨다.
TV1과 TV2 사이에서 네트워크 메시지를 통해 확인한 후, TV1과 TV2 사이에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전을 개시하며, 완성될 때까지 또는 중지될 때까지 지속한다.
제4 실시예로서, 제1 기기 및 제2 기기에 대해 동시에 핸드 제스처를 하여 두 가지 타입의 기기(기기가 하나만이 아닐 수 있음)가 동시에 핸드 제스처에 대한 인식을 개시하여 재생 이전 협상을 트리거링하며, 이때 네트워크 메시지 흐름은 전술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데이터 전달의 측면에 있어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전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TV1이 파일/데이터를 한번에 TV2에 송신하거나, 또는
(2) TV1이 파일/데이터를 스트림 방식으로 TV2에 송신하거나, 또는
(3) TV1이 다른 일 기기 상의 콘텐츠 소스 주소를 TV2에 알려, TV2가 콘텐츠 소스 주소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4) TV1이 다른 일 기기 상의 콘텐츠 소스 주소를 TV2에 알려, TV2가 콘텐츠 소스 주소로부터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TV1을 제1 기기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의 제1 기기는 TV1과 같은 기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핸드폰, 터치 스크린(리모컨)을 구비한 기타 재생기, 심지어 컴퓨터 등도 제1 기기로 될 수 있으며, 전술된 흐름에서 트리거링 기능은 컴퓨터에서 키보드, 마우스를 통해 실현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TV2, Audio System을 제2 기기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의 제2 기기는 텔레비전과 같은 기기에 제한되지 않고,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고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기만 하면, 핸드폰, 셋탑 박스, 프로젝터, 컴퓨터 등도 제2 기기로 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주택 내의 상이한 기기들 사이의 콘텐츠의 전달 및 공유를 실현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핸드폰이 TV에 이미지를 전달하는 동시에 음향 기기에 오디오를 전달하고, 복수의 TV가 설치된 갤러리 등 장소에 있어서 하나의 물리적 위치에서 여러 TV에 복수의 콘텐츠의 재생을 이전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는 실시예들에 의한 실현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을 한정하기 위한 것도 아니며, 본 발명은 또한 유사한 방식을 통해 실현될 수도 있는바, 예를 들면 모듈의 이름, 다양한 메시지의 타입 등에 대한 표시는 단지 명칭 부여 형식, 구체적인 메시지 내용 등이 다소 상이할 뿐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와 관련된 부분은 IEEE 802.3, IEEE802.11b/g/n, POWELINE, CABLE, PSTN,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라 함) 네트워크, 3GPP2 네트워크 등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IP 네트워크를 적용할 수 있고, 각 장치의 운영체제는 UNIX 타입 운영체제, WINDOWS 타입 운영체제, ANDROID타입 운영체제, IOS 운영체제를 적용할 수 있으며, 소비자 인터페이스는 JAVA 언어 인터페이스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상기 설명에서 장치의 모든 통상적인 특징들을 나타내거나 서술하지 않았다. 물론, 임의의 실제 장치의 개발에 있어서 개발자의 특정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특정된 실현 방식을 결정해야 하는바 예를 들면 응용 및 서비스 관련 제약조건에 부합되어야 하며 이러한 특정된 목표는 다양한 실현 방식에 따라 변화되고 다양한 개발자에 따라 변화된다는 점을 응당 이해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개발 작업이 비록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내용의 계시를 받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해당 기술 작업은 통상적이라는 점을 응당 이해해야 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주제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운영체제, 컴퓨팅 플랫폼, 컴퓨터 프로그램 및/또는 범용 머신을 이용하여 각 요소, 시스템, 장치, 처리 단계 및/또는 데이터 구조에 대해 제조, 조작 및/또는 실행을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여기서 개시된 발명 구상의 실질적인 범위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범용화되지 않은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 포함된 방법은 컴퓨터, 장치 또는 머신에 의해 실행되고 해당 방법은 머신에 의해 판독 가능한 지령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들을 컴퓨터 저장 장치와 같은 확정된 매체에 저장할 수 있으며, ROM(읽기 전용 메모리, FLASH 메모리, 이전 장치 등), 자기 저장 매체(예를 들면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드라이버 등), 광학 저장 매체(예를 들면, CD-ROM, DVD-ROM, 종이 카드, 종이 테이프 등) 및 기타 익숙한 타입의 프로그램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해당 방법은 소프트웨어 툴에 대한 선택을 통해 인간 조작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인간 또는 창조적인 판단이 필요 없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내용에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여러 가지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변경이라면 응당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7)

  1. 제1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출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입을 준비하라고 제2 기기에 통지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제2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송신되고, 상기 제1 메시지가 상기 제2 기기에 의해 수신된 후에 상기 제2 기기의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이 가동되어 2개의 기기 사이에 일대일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제2 메시지를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제2 기기에 이전시켜 제2 기기에 의해 재생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상기 이전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은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이고 상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은 상기 일대일 연결을 통해 이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출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한 후, 제1 기기와 사용자 사이의 제1 위치 관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위치 관계 정보를 상기 제1 메시지 내에 캡슐화하고 제2 기기에 송신하여,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 내의 제1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의 제2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제1 기기를 확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기기가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기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메시지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위치 관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이전시켜 재생하기 위한 하나의 제2 기기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관계 정보는 팔, 손, 제1 기기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 정보이고, 상기 제2 위치 관계 정보는 팔, 손, 제2 기기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 정보이며, 또는
    상기 제1 위치 관계 정보는 손 또는 팔과 제1 기기 사이의 거리 정보이고, 상기 제2 위치 관계 정보는 손 또는 팔과 제2 기기 사이의 거리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기기는 자신의 카메라 부재를 이용하여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인체 동작은, 잡는 동작/집는 동작, 회수 동작을 포함하는 핸드 제스처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6. 제2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제2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 능력을 표시하기 위한 제2 메시지를, 제1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송신되고, 상기 제2 메시지가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수신된 후에 상기 제1 기기의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이 가동되어 2개의 기기 사이에 일대일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 및
    제2 기기가, 상기 제2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제3 메시지를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기기와 상기 제2 기기 사이에 일대일 연결이 확립된 후에 상기 제3 메시지에 따라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제2 기기에 이전시켜 재생하는 단계로서, 상기 이전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은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이고 상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은 상기 일대일 연결을 통해 이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2 기기가 인체 동작을 감지하기 전에,
    제1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출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하여, 제1 기기와 사용자 사이의 제1 위치 관계 정보를 획득하고,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입을 준비하라고 제2 기기에 통지하기 위한 제1 메시지 내에, 상기 제1 위치 관계 정보를 캡슐화하여 제2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제2 기기가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기기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메시지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제1 기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제2 기기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한 후, 제2 기기와 사용자 사이의 제2 위치 관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위치 관계 정보를 상기 제2 메시지 내에 캡슐화하여 제1 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 기기가 하나의 또는 복수의 제2 기기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메시지 내의 제2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시키기 위한 하나의 제2 기기를 확정하고, 제3 메시지를 확정된 제2 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2 기기가 상기 제3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3 메시지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시키기 위한 메시지일 경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제2 기기에 이전시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관계 정보는 팔, 손, 제1 기기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 정보이고, 상기 제2 위치 관계 정보는 팔, 손, 제2 기기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 정보이며, 또는
    상기 제1 위치 관계 정보는 손 또는 팔과 제1 기기 사이의 거리 정보이고, 상기 제2 위치 관계 정보는 손 또는 팔과 제2 기기 사이의 거리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자신의 카메라 부재를 이용하여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인체 동작은, 잡는 동작 또는 집는 동작, 회수 동작을 포함하는 핸드 제스처 동작이며, 상기 제2 기기는 자신의 카메라 부재를 이용하여 인체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인체 동작은, 던지는 동작 또는 가리키는 동작 또는 손가락 펴기 동작을 포함하는 핸드 제스처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13.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전을 위한 이출 장치로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출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감지 모듈;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입을 준비하라고 제2 기기에 통지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제2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제2 메시지를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수신 모듈로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송신되고, 상기 제1 메시지가 상기 제2 기기에 의해 수신된 후에 상기 제2 기기의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이 가동되어 상기 이출 장치와 상기 제2 기기 사이에 일대일 연결을 확립하는, 제1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제2 메시지에 따라 상기 이출 장치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제2 기기에 이전시켜 제2 기기에 의해 재생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이출 모듈로서, 상기 이전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은 상기 이출 장치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이고 상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은 상기 일대일 연결을 통해 이전되는, 이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전을 위한 이출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이출 모듈은,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기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메시지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위치 관계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이출 추출 서브 모듈; 및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이전시켜 재생하기 위한 하나의 제2 기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이출 선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전을 위한 이출 장치.
  15.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전을 위한 이입 장치로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입하려는 사용자의 인체 동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감지 모듈;
    상기 이입 장치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 능력을 표시하기 위한 제2 메시지를 제1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2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제3 메시지를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수신 모듈로서, 상기 제2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송신되고, 상기 제2 메시지가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수신된 후에 상기 제1 기기의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이 가동되어 상기 제1 기기와 상기 이입 장치 사이에 일대일 연결을 확립하는, 제2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제1 기기와 상기 이입 장치 사이에 일대일 연결이 확립된 후에, 상기 제3 메시지에 따라 제1 기기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상기 이입 장치에 이전시켜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이입 모듈로서, 상기 이전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은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이고 상기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은 상기 일대일 연결을 통해 이전되는, 이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전을 위한 이입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신 모듈은, 또한 제1 기기와 사용자 간의 제1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메시지를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메시지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위치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제1 기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의 이전을 위한 이입 장치.
  17.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4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출 장치와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6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시스템.
KR1020157017891A 2012-12-05 2013-09-05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708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516264.3A CN102984592B (zh) 2012-12-05 2012-12-05 一种数字媒体内容播放转移的方法、装置和系统
CN201210516264.3 2012-12-05
PCT/CN2013/083012 WO2014086175A1 (zh) 2012-12-05 2013-09-05 一种数字媒体内容播放转移的方法、装置和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283A KR20150092283A (ko) 2015-08-12
KR101708582B1 true KR101708582B1 (ko) 2017-02-20

Family

ID=4785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891A KR101708582B1 (ko) 2012-12-05 2013-09-05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304712A1 (ko)
EP (1) EP2930937A4 (ko)
JP (2) JP2016508247A (ko)
KR (1) KR101708582B1 (ko)
CN (1) CN102984592B (ko)
WO (1) WO20140861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9555B (zh) 2012-11-19 2016-06-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转移播放的数字媒体内容切回方法、装置及系统
CN102984592B (zh) * 2012-12-05 2018-10-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媒体内容播放转移的方法、装置和系统
CN103780970B (zh) * 2013-08-20 2018-03-16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一种媒体播放的方法、装置和系统
CN104426986B (zh) * 2013-09-06 2018-10-19 华为技术有限公司 多设备协作系统、第一设备、第二设备及其协作方法
CN104616675A (zh) * 2013-11-05 2015-05-13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切换播放设备的方法及移动终端
CN104866083B (zh) * 2014-02-25 2020-03-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手势识别方法、装置和系统
KR102126993B1 (ko) * 2014-05-07 2020-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공간 이동 시 서비스 시점의 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09354B1 (ko) * 2014-06-20 2021-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5589550A (zh) * 2014-10-21 2016-05-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发布方法、信息接收方法、装置及信息共享系统
CN105630142A (zh) * 2014-11-07 2016-06-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发布和传递识别信息的方法和装置及信息识别系统
US9462455B2 (en) * 2014-11-11 2016-10-04 Sony Corporation Dynamic user recommendations for ban enabled media experiences
US10057640B2 (en) * 2015-08-17 2018-08-21 Google Llc Media content migration based on user location
CN106713951B (zh) * 2015-11-13 2019-10-25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媒体内容播放转移的方法以及相关设备
CN108616561B (zh) * 2017-01-03 2021-04-09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系统
CA3049732C (en) * 2017-01-27 2021-11-23 Appario Global Solutions (AGS) AG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lternative image content of a physical display to different viewers
CN108366297B (zh) * 2018-02-02 2020-11-2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终端信息的跟随方法、装置及智能电视机
US11175883B2 (en) 2020-01-17 2021-11-16 Sonos, Inc. Playback session transitions across different platforms
CN117008777A (zh) * 2020-10-30 2023-1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跨设备的内容分享方法、电子设备及系统
CN113727193A (zh) * 2021-08-19 2021-11-30 杭州逗酷软件科技有限公司 多媒体内容的接续处理方法和系统、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9945A1 (en) * 2008-12-31 2010-07-01 Echostar Technologies L.L.C. Virtual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5968B2 (en) * 2002-04-15 2012-08-28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ly controlling the recording of program material using a program guide
US8046701B2 (en) * 2003-08-07 2011-10-25 Fuji Xerox Co., Ltd. Peer to peer gesture based modular presentation system
US8659546B2 (en) * 2005-04-21 2014-02-25 Oracle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gital content
US20110008311A2 (en) * 2008-11-03 2011-01-1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Animal Model and Use of 17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7 in the Diagnosis of Anencephaly
CN101447846A (zh) * 2008-12-31 2009-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支持手机电视节目共享的系统和方法
US8457651B2 (en) * 2009-10-02 2013-06-04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movement user interface gestures for file sharing functionality
TW201115451A (en) * 2009-10-20 2011-05-01 Ind Tech Res Inst A vectoring data transfer system and method based on sensor assisted positioning method
KR101104732B1 (ko) * 2009-10-29 2012-01-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및 정보제어장치
JP5441619B2 (ja) * 2009-10-30 2014-03-12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近距離無線通信装置、近距離無線通信システム、近距離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近距離無線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携帯電話端末
US8756532B2 (en) * 2010-01-21 2014-06-17 Cisco Technology, Inc. Using a gesture to transfer an object across multiple multi-touch devices
JP5491955B2 (ja) * 2010-05-12 2014-05-14 日本放送協会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シナリオ記述ファイル管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ユーザ指示認識装置制御プログラム
US8593398B2 (en) * 2010-06-25 2013-11-2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US9110509B2 (en) * 2010-07-28 2015-08-18 VIZI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esentation of content
JP5768361B2 (ja) * 2010-11-22 2015-08-26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
US20120169482A1 (en) * 2011-01-05 2012-07-05 Ian Ch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Device for Remote Control Based on Determined Navigational State of a Remote Control Device
US20130003624A1 (en) * 2011-01-21 2013-01-03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20120254929A1 (en) * 2011-04-04 2012-10-04 Google Inc. Content Extraction for Television Display
CN102769802A (zh) * 2012-06-11 2012-11-07 西安交通大学 一种智能电视机的人机交互系统及其交互方法
CN102984592B (zh) * 2012-12-05 2018-10-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媒体内容播放转移的方法、装置和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9945A1 (en) * 2008-12-31 2010-07-01 Echostar Technologies L.L.C. Virtual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74438A (ja) 2017-09-28
WO2014086175A1 (zh) 2014-06-12
JP6374052B2 (ja) 2018-08-15
CN102984592A (zh) 2013-03-20
EP2930937A4 (en) 2015-12-16
CN102984592B (zh) 2018-10-19
KR20150092283A (ko) 2015-08-12
US20150304712A1 (en) 2015-10-22
JP2016508247A (ja) 2016-03-17
EP2930937A1 (en)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582B1 (ko)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이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50185856A1 (en) Method for Transferring Playing of Digital Media Contents and Playing Device and System
US9700794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ree-dimensional images
JP6379103B2 (ja) ジェスチャを介したマルチデバイスのペアリングおよび共有
CN104866083B (zh) 手势识别方法、装置和系统
CN104168503A (zh) 共享视频信息的方法及装置
US9024894B1 (en) Remote control including touch-sensing surface
JP201751790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データ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2834774A1 (en) Analyzing human gestural commands
KR101708578B1 (ko) 이전되어 재생되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복귀시키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5127787A1 (zh) 手势识别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US9733888B2 (en) Method for rendering data in a network and associated mobile device
WO2016095641A1 (zh) 数据交互方法及系统、移动终端
WO2016062191A1 (zh) 信息发布方法、信息接收方法、装置及信息共享系统
KR101341866B1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6070827A1 (zh) 一种发布和传递识别信息的方法和装置及信息识别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