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428B1 -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428B1
KR101708428B1 KR1020150000428A KR20150000428A KR101708428B1 KR 101708428 B1 KR101708428 B1 KR 101708428B1 KR 1020150000428 A KR1020150000428 A KR 1020150000428A KR 20150000428 A KR20150000428 A KR 20150000428A KR 101708428 B1 KR101708428 B1 KR 101708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etting unit
temperature
wireless communicatio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034A (ko
Inventor
이문재
최은하
Original Assignee
이문재
최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재, 최은하 filed Critical 이문재
Priority to KR102015000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428B1/ko
Priority to PCT/KR2015/002189 priority patent/WO2016111412A1/ko
Publication of KR20160084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기기(110)에 구비된 무선통신 커넥터(112); 상기 무선통신 커넥터(112)에 접속되는 외장형 제어모듈(120); 상기 기기(1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바일 앱(130)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단말기(10); 상기 외장형 제어모듈(120)과 상기 단말기(10)의 상기 모바일 앱(130)에 의해 상기 기기(110)의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앱(122)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 앱(122)은 상기 외장형 제어모듈(120)에 내장되어, 상기 기기(110)의 상기 무선통신 커넥터(112)에 상기 외장형 제어모듈(120) 접속시에 상기 무선통신 앱(122)을 통하여 상기 기기(110)에 대한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Apparatus control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by mobile application and outer control module}
본 발명은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장형 제어모듈과 모바일 앱을 활용하여 모든 기기에 호환성 있게 사용하기에는 충분한 새로운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도조절기는 온도를 검출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된 축온체의 전기신호를 받아 목표(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전기로 등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조작기에 조절신호를 보내는 기기이다. 온도 조절기는 히터, 온수 매트 등의 다양한 제품에 장착된다. 즉, 온수 매트, 온도 공정 챔버, 단열벽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온열 제품이 사용된다. 각종 산업 현장은 물론 일반 소비자들도 온열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온열 제품을 온도별로 조절하기 위해 온도제어기기가 같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온열 제품 사용자는 환경에 따라 필요한 온도를 각각 세팅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에는 온도제어기기의 온도 세팅 작업이 불편하고, 복잡하다는 데에 문제가 있다. 온도 세팅을 위해서 따로 교육을 받아야만 하는 경우가 많고 온도 세팅에 관해 교육을 받더라도 실제로 온도를 세팅하는 일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도 11과 도 12는 기존의 온도제어기기 온도센서 종류 설정방법의 예로서 파라미터 그룹(10) 설정값을 변경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파라미터 그룹(1) 설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LEVEL 설정을 3으로 하여야 한다.
2. 초기화면에서 셋트 버튼(2)과 초이스 버튼(3)을 3초 이상 누르고 있으면 LEVEL 설정 화면으로 이동한다. 초이스 버튼(3)을 3번 눌러서 LEVEL 3에 맞추고 셋트 버튼을 눌러서 설정을 완료한다.
3.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화면에서 셋트 버튼을 3차 이상 누르고 있으면 파라미터 그룹(1)으로 이동하기 위한 파라미터 그룹(1A)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4. 셋트 버튼을 짧게 한번 누르면 파라미터 그룹(1B)으로 이동하고 초이스 버튼(3)을 한번 눌러서 파라미터 그룹(1)으로 이동한다.
5. 셋트 버튼을 눌러서 화면(1C)에서 상향 초이스 버튼(3)이나 하향 초이스 버튼(3)을 눌러서 온도센서 종류를 20으로 설정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온도제어기기는 온도 세팅시 불편하고 복잡하다는 데에 문제가 있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라미터 그룹에 표현된 암호 또는 기하문자에 가까운 복잡한 문자를 보고 온도 세팅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마다 온도 세팅을 위해서 별도로 교육을 받아야만 하고, 교육을 받지 않으면 온도 세팅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교육을 받더라도 파라미터 그룹의 복잡한 기호 문자를 확인하여 온도 세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교육을 받은 경우에도 결코 온도 세팅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현재는 온도제어기기 세팅시 한정된 버튼(보통 3~4개) 하에 세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버튼을 반복적으로 누르거나, 일정시간 계속 누르는 등의 복잡한 조작이 필요하다.
현재 온도제어기기 세팅시 표시창에 나타나는 문자가 디지털화된 영문 문자로 표현됨으로 사용자가 문자가 의미하는 바를 이해하기 힘들다. 게다가 표시되는 문자 개수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더더욱 난해하다.
또한, 수많은 온도제어기기의 제조사 별로 세팅방식의 차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제조사 및 모델을 사용하고자 할 때 복잡한 사용설명서의 숙지가 필요하다.
한편,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기는 한데, 무선통신 기능(예를들면 블루투스 칩모듈, 와이파이 칩 등)이 제품 안에 내장이 되어있어야 하므로, 모든 기기에 호환성 있게 사용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없지않다.
국내등록특허 제10-0764124호(2007.09.28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41079호(2008.07.15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06-0135112호(2006.12.29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0508754호(2005.08.09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 기능이 제품(산업기기 등) 안에 내장이 되어있지 않고 외장형 제어모듈에 구현되어 있어서, 무선통신 모듈과 모바일 앱 및 단말기를 연계시켜서 모든 기기에 호환성 있게 사용하기에 충분히 만족스러운 새로운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은 온도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레벨제어 설정부를 구비한 온도컨트롤 앱과, 이러한 온도컨트롤 앱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온도컨트롤 앱은 온도컨트롤 대상 장치인 온도 조절기의 온도를 원하는 목표 온도로 설정하여 입력시키는 목표값 제어 설정부와, 이러한 목표값 제어 설정부에서 설정된 목표 온도값 데이터를 온도 조절기에 발송하는 전송제어 설정부를 기본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존에는 수많은 온도제어기기의 제조사 별로 세팅방식의 차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제조사 및 모델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 복잡한 사용설명서의 숙지가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온도제어기기를 사용하면 처음 접하는 사람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의 화면상에 표시된 알기 쉬운 문자로 온도 세팅이 가능하게 되므로, 교육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고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도 아주 쉽게 온도컨트롤을 위한 세팅이 가능하다는데에 본 발명의 의미가 매우 크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기기의 무선통신 커넥터에 외장형 제어모듈의 접속시에 제어 대상 기기와 모바일 기기 사이의 작동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앱과 기기 및 외장형 제어모듈의 구조와 작동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을 활용하여 온도컨트롤 앱을 실행한 초기화면이 스마트폰에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요부인 입력제어 설정부가 스마트폰에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초이스 버튼의 푸시에 의해 키패드가 스마트폰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주요부인 경보제어 설정부를 푸시한 상태를 초기화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경보제어 설정부를 푸시하여 스마트폰에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초이스 버튼의 푸시에 의해 키패드가 스마트폰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온도컨트롤 앱을 실행한 초기화면의 모티터링 버튼의 푸시에 의해 스마트폰에 모니터링 화면이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과 도 12는 기존의 온도 세팅 방식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은 온도제어기기와 같은 산업기기(110)를 비롯한 다양한 기기(110)에 무선접속 커넥터를 구비하고, 기기(110)의 무선접속 커넥터에 유에스비(USB)와 같은 구조의 외장형 제어모듈(120)을 접속하면, 단말기(10)(주로 모바일 단말기(10))와 연동하여 상기 기기(110)의 온도를 제어하거나 기타 필요한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즉, 외장형 제어모듈(120)을 기기(110)의 무선 접속 커넥터에 꽂아주면 단말기(10)에서 기기(110)의 필요한 제어를 할 수 있다는 것에 주요 특징이 있다. 상기 외장형 제어모듈(120)만 가지고 있으면 모든 제품(예를 들어, 온도제어기기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무선통신 커넥터(112)는 기기(110)의 일측에 유에스비 포트와 같이 외장형 제어모듈(120)을 꼽을 수 있는 포트 형태로 구비된다. 기기(110)의 여러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컨트롤부(114)에 무선통신 커넥터(112)가 전기적(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외장형 제어모듈(120)은 기기(110)에 구비된 포트 형태의 무선통신 커넥터(112)에 접속된다. 외장형 제어모듈(120)은 이동형 제어모듈로서 예를 들어 유에스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외장형 제어모듈(120)에 구비된 플러그 형태의 접속편이 기기(110)의 무선통신 커넥터(112)에 접속된다. 즉, 상기 외장형 제어모듈(120)은 무선통신 커넥터(112)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 형태의 포트를 구비한 이동식 저장매체(USB 등)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장형 제어모듈(120)에는 무선통신 앱(122)이 내장되어 있다. 블루투스 칩이나 와이파이 칩 등이 무선통신 앱(122)이 될 수 있다. 무선통신 앱(122)은 외장형 제어모듈(120)이 기기(110)의 무선통신 커넥터(112)에 접속할 때에 기기(110)의 메인 콘트롤부와 단말기(10)의 모바일 앱(130) 사이를 무선 통신 모드로 전환시키는 무선통신 전환부(124)와, 상기 외장형 제어모듈(120)과 단말기(10)의 모바일 앱(130) 및 기기(110)의 메인 콘트롤부 사이에 제어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무선신호 송수신부(126)를 구비한다.
상기 모바일 앱(130)은 기기(1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단말기(10)(주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 내장된다. 이때, 모바일 앱(130)은 기기(110)의 제어 모드를 설정하여 입력시키는 모바일 제어 설정부(132)와, 이러한 모바일 제어 설정부(132)에서 설정된 제어 데이터를 상기 기기(110)에 발송하는 모바일 전송 설정부(13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무선통신 앱(122)은 외장형 제어모듈(120)과 단말기(10)에 내장된 모바일 앱(130)에 의해 기기(110)의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즉, 무선통신 앱(122)은 외장형 제어모듈(120)에 내장되어, 상기 기기(110)의 무선통신 커넥터(112)에 외장형 제어모듈(120)을 꼽을 때에 무선통신 앱(122)을 통하여 기기(110)에 대한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기기(110)의 메인 콘트롤부와 단말기(10)의 모바일 앱(130) 사이에 제어 데이터가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다시 말해, 모바일 단말기(10)에 내장된 모바일 앱(130)을 실행하면 외장형 제어모듈(120)과 모바일 앱(130)이 연동하여 기기(110)를 제어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무선통신 앱(122)이 외장형 제어모듈(120)에 내장되어 단말기(10)에서 실행되고 있는 모바일 앱(130)을 통해서 무선으로 기기(110)를 제어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무선통신망과 같은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0)의 모바일 앱(130)을 통하여 기기(110)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기(110)에 구비된 무선통신 커넥터(112)에 외장형 제어모듈(120)을 접속한 다음 단말기(10)에서 모바일 앱(130)을 실행하여 무선으로 기기(11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외장형 제어모듈(120)에는 무선통신 앱(122)이 구비되고, 무선통신 앱(122)은 무선통신 전환부(124)와 무선신호 송수신부(126)를 구비하여, 상기 외장형 제어모듈(120)이 기기(110)의 무선통신 커넥터(112)에 접속할 때에 기기(110)의 제어부와 단말기(10)의 모바일 앱(130) 사이를 무선통신 전환부(124)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무선신호 송수신부(126)는 외장형 제어모듈(120)과 단말기(10)의 모바일 앱(130) 및 기기(110)의 메인 콘트롤부 사이에 제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태로 전환시킨다. 즉, 외장형 제어모듈(120)을 기기(110)마다 구비된 무선통신 커넥터(112)에 접속하면 단말기(10)(스마트폰 등)에 구비된 모바일 앱(130)에 의해 기기(110)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앱(130)이 단말기(10)(주로 스마트폰으로서, 이하에서는 단말기(10)를 편의상 스마트폰이라 칭하기로 함)에 저장되고 단말기(10)에서 모바일 앱(130)이 앱이 수행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모바일 앱(130)은 스마트폰의 화면(윈도우)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화면에 앱스로 표시된 버튼부를 푸시(또는 터치)하면 애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되는 윈도우(창)에 모바일 앱(130)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앱(130)을 푸시하면, 상기 모바일 앱(130)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컨트롤 앱 초기화면(온도제어기기에 적용될 경우 온도컨트롤 앱 초기화면)이 스마트폰에 뜨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외장형 제어모듈(120)과 무선통신 앱(122)과 모바일 앱(130) 및 단말기(10)에 의해 무선으로 기기(1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는 데에 주요 특징이 있고 하겠다.
본 발명은 실시예의 하나로서 온도제어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온도제어기기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온도컨트롤 앱은 단말기(10)에 내장된 모바일 앱(130)(전용앱)으로 이해하면 된다.
상기 기기(110)가 온도제어기기인 경우, 온도컨트롤 앱(즉, 모바일 앱)은 목표값 설정 온도 범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온도를 튜닝하는 오토튜닝 제어 설정부(16)와, PID 제어 설정부(18)와 상기 온도 조절기의 히터 단선시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히터단선 경보제어 설정부(22)와, 상기 온도 조절기의 과열시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제어 설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보제어 설정부는 단말기(10) 화면상에 표시되는 제1경보출력 종류 선택창과 제2경보출력 종류 선택창과 제1경보출력 히스테리시스 선택창과 제2경보출력 히스테리시스 선택창, 제1경보출력 값 선택창과 제2경보출력 값 선택창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경보출력 종류 선택창, 제2경보출력 종류 선택창, 제1경보출력 히스테리시스 선택창, 제2경보출력 히스테리시스 선택창, 제1경보출력 값 선택창과 제2경보출력 값 선택창에는 화살표 형태의 초이스 버튼(CB)과 홈푸시 버튼 및 전송 푸시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선택창들에는 설명 선택 버튼이 구비된다.
또한, 초이스 버튼(CB)의 클릭(터치)시에 상기 단말기(10)에 키패드(KP)가 표시된다.
상기 레벨제어 설정부(11)는 단말기(10)에 초기화면으로 표시되고, 상기 레벨제어 설정부(11) 초기화면에는 제어설정 버튼, 목표값 설정 버튼, 오토튜닝 설정 버튼, PID 설정 버튼, 히터단선 정보설정 버튼, 경보설정 버튼, 전송설정 버튼, 통신설정 버튼, 출력설정 버튼 및 입력설정 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레벨제어 설정부(11) 초기화면에는 홈푸시 버튼과 모니터링 버튼(44) 및 환경설정 버튼(46)이 더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초기화면에서 모니터링 버튼(44)의 푸시가 이루어질 때에 온도제어기기의 현재 상태가 단말기(10)에 창 형태로 표시된다.
상기 온도컨트롤 앱은 스마트폰의 화면(윈도우)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화면에 앱스로 표시된 버튼부를 푸시(또는 터치)하면 애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되는 윈도우(창)에 온도컨트롤 앱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온도컨트롤 앱을 푸시하면, 상기 온도컨트롤 앱을 수행하기 위한 온도컨트롤 앱 초기화면(10)이 스마트폰에 뜨게 된다. 이때, 온도컨트롤 앱은 단말기(10)(주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10))에 표시되는 모바일 앱(130)(전용앱)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온도컨트롤 앱은 레벨제어 설정부(11), 제어 설정부(12), 목표값 제어 설정부(14), 오토튜닝 제어 설정부(16)와 PID 제어 설정부(18), 히터단선 경보 제어 설정부(22), 경보제어 설정부(11), 전송 설정부(26), 통신 제어 설정부(28)와 출력 제어 설정부(32) 및 입력 제어 설정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온도컨트롤 앱의 레벨제어 설정부(11), 제어 설정부(12), 목표값 제어 설정부(14), 오토튜닝 제어 설정부(16)와 PID 제어 설정부(18), 히터단선 경보 제어 설정부(22), 경보제어 설정부(11), 전송 설정부(26), 통신 제어 설정부(28)와 출력 제어 설정부(32) 및 입력 제어 설정부(34)는 단말기(10)의 제어부에 프로그래밍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컨트롤 앱을 실행하면 스마트폰 화면상에 온도 컨트롤 대상물인 온도 조절기 등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레벨제어 설정부(11)가 온도컨트롤 앱 초기화면(10)으로 표시되며, 상기 레벨제어 설정부(11)가 표시된 온도컨트롤 앱 초기화면(10)에는 제어설정 버튼, 목표값 설정 버튼, 오토튜닝 설정 버튼, PID 설정 버튼, 히터단선 정보설정 버튼, 경보설정 버튼, 전송설정 버튼, 통신설정 버튼, 출력설정 버튼 및 입력설정 버튼이 표시된다. 또한, 레벨제어 설정부 초기화면에는 홈푸시 버튼과 모니터링 버튼(44) 및 환경설정 버튼(46)이 더 표시된다.
상기 레벨제어 설정부(11)는 스마트폰에 표시된 초기화면에 블랭크창(BL) 형태로 표시되고, 상기 블랭크창(BL)에는 화살표 형태로 레벨 초이스 버튼(CB)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레벨제어 설정부(11)는 레벨 1에서 레벨 10과 같이 여러 단계의 레벨 저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레벨제어 설정부(11) 화면에 저장 버튼(45)이 구비되어 레벨설정치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벨 초이스 버튼(CB)은 스마트폰에서 사용자가 푸시(또는 터치)하면, 레벨제어 설정부(11) 화면(즉, 스마트폰 화면)에 키패드(KP)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패드(KP)에서 원하는 레벨, 예를 들어, 레벨 3을 선택할 수 있고, 레벨 3이 레벨제어 설정부(11)의 블랭크창(BL)에 "3"으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온도컨트롤 앱의 초기화면에는 레벨제어 설정부(11)의 블랭크창(BL) 옆에 설명 버튼부(EB)가 구비되어, 설명 버튼부(EB)를 푸시하면 레벨 설정 방법 등에 대한 설명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온도컨트롤 앱(모바일 앱(130)을 의미함)의 기능을 100% 활용하여 사용자가 온도 세팅중 궁금하거나, 의문점이 생길시 궁금증에 대한 팝업창 기능을 내장해서 쉽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팝업창이라 함은 레벨제어 설정부(11)의 상기 설명 버튼부(EB)를 푸시할 때에 펼쳐지는 형태로 표시되는 창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벨제어 설정부(11)에는 홈버튼(42), 모니터링 버튼(44), 환경설정 버튼(46)이 창 형태로 구비된다. 스마트폰에 레벨제어 설정부(11) 화면이 표시되고, 레벨제어 설정부(11) 화면 내에 홈버튼(42), 모니터링 버튼(44), 환경설정 버튼(46)이 창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다. 레벨제어 설정부(11) 화면에서 홈버튼(42)을 클릭하면 스마트폰의 초기화면으로 돌아간다. 이때, 스마트폰의 초기화면이라 함은 스마트폰을 처음 키고 앱스 화면을 푸시하였을 때에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앱스 표시 화면이 되거나 스마트폰의 처음 킬 때의 화면이 될 수 있다. 또한, 레벨제어 설정부(11) 화면에서 모니터링 버튼(44)을 푸시하면(누르면) 온도제어기기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모니터링 화면에서는 온도 조절기의 모델은 "MODEL KA1775", 온도센서는 "열전대 K-TYPE", 현재값은 "50.0℃", 목표값은 "50.0℃"이고 그래프에서는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목표값(즉, 목표 온도값)이 거의 변화없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레벨제어 설정부(11) 화면에서 환경설정 버튼(46)을 푸시하면 온도제어기기의 온도 제어 환경 등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스마트폰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설정부(12)는 온도컨트롤 조건이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 설정부(12)는 예를 들어 온도 조절기의 사용 대상 국가별 언어에 대응하도록 다양한 언어로 세팅할 수 있다. 국어면 국어, 영어면 영어와 같이 사용 국가의 대상별 언어에 대응하도록 언어 환경을 적당히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 설정부(12)는 스마트폰에 표시된 레벨제어 설정부(11) 화면에 표시되는데, 사용자가 손으로 제어 설정부(12)를 푸시하는 동작(터치하는 동작)을 하게 되면, 스마트폰의 화면에 제어 설정부(12)가 블랭크창(BL) 형태로 표시되고, 상기 블랭크창(BL)에는 제어 조건 초이스 버튼(CB)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제어 설정부(12)는 국어, 영어와 같이 다양한 언어 저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 설정부(12) 화면에 저장 버튼(45)이 구비되어 설정 언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조건 초이스 버튼(CB)은 스마트폰에서 사용자가 푸시(또는 터치)하면, 다양한 언어 선택창이 펼쳐지는 형태로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 설정부(12)에서 원하는 언어, 예를 들어, 국어나 영어 등을 선택할 수 있고, 제어 설정부(12)의 블랭크창(BL)에 선택된 해당 언어가 표시될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 설정부(12)의 화면에는 블랭크창(BL)의 옆에 설명 버튼부(EB)가 구비되어, 설명 버튼부(EB)를 푸시하면 제어 조건 설정 방법(예를 들어, 언어 선택 세팅 방법 등)에 대한 설명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제어 설정부(12)에서도 온도컨트롤 앱(모바일 앱(130))의 기능을 100% 활용하여 사용자가 온도 세팅중 궁금하거나, 의문점이 생길시 궁금증에 대한 팝업창 기능을 내장해서 쉽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 설정부(12)에서의 팝업창도 레벨제어 설정부(11)의 팝업창과 동일한 기능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제어 설정부(12)에는 홈버튼(42)과 전송 버튼이 구비되어, 홈버튼(42)을 푸시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스마트폰의 초기화면으로 돌아가고, 전송 버튼을 푸시하면, 온도 조절기의 히터 온도를 조절하는 메인컨트롤부에 제어 설정부(12)에서 설정한 데이터가 전송된다.
상기 목표값 제어 설정부(14)는 사용자가 온도 조절기의 온도를 목표하는 온도로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목표값 제어 설정부(14)도 스마트폰에 표시된 레벨제어 설정부(11) 화면에 표시되는데, 사용자가 손으로 목표값 제어 설정부(14)를 푸시하는 동작(터치하는 동작)을 하게 되면, 스마트폰의 화면에 목표값 제어 설정부(14)가 블랭크창(BL) 형태로 표시되고, 상기 블랭크창(BL)에는 목표값 초이스 버튼(CB)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목표값 제어 설정부(14)는 다양한 온도 수치 데이터를 저장하는 온도 저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목표값 제어 설정부(14) 화면에 저장 버튼(45)이 구비되어 설정 목표 온도값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표값 초이스 버튼(CB)은 스마트폰에서 사용자가 푸시(또는 터치)하면, 상기 목표값 제어 설정부(14) 화면(즉, 스마트폰 화면)에 키패드(KP)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패드(KP)에서 원하는 온도 목표값, 예를 들어, 45℃를 선택할 수 있고, 온도 45℃가 목표값 제어 설정부(14)의 블랭크창(BL)에 표시될 것이다. 또한, 상기 목표값 제어 설정부(14)의 화면에도 블랭크창(BL)의 옆에 설명 버튼부(EB)가 구비되어, 설명 버튼부(EB)를 푸시하면 목표값 설정 방법(예를 들어, 목표 온도 선택 세팅 방법 등)에 대한 설명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목표값 제어 설정부(14)에서도 온도컨트롤 앱(모바일 앱(130))의 기능을 100% 활용하여 사용자가 온도 세팅중 궁금하거나, 의문점이 생길시 궁금증에 대한 팝업창 기능을 내장해서 쉽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한다. 목표값 제어 설정부(14)에서의 팝업창도 상기 레벨제어 설정부(11)와 제어 설정부(12)의 팝업창과 동일한 기능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목표값 제어 설정부(14)에도 홈버튼(42)과 전송 버튼이 구비되어, 홈버튼(42)을 푸시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스마트폰의 초기화면으로 돌아가고, 전송 버튼을 푸시하면, 온도 조절기의 히터 온도를 조절하는 메인컨트롤부에 목표값 제어 설정부(14)에서 설정한 목표 온도 데이터가 전송된다. 목표값 제어 설정부(14)에서 세팅한 목표 온도가 실제 온도 조절기의 목표 제어 온도가 될 것이다.
상기 오토튜닝 제어 설정부(16)도 스마트폰에 표시된 레벨제어 설정부(11) 화면에 표시되는데, 사용자가 손으로 오토튜닝 제어 설정부(16)를 푸시하는 동작(터치하는 동작)을 하게 되면, 스마트폰의 화면에 제어 설정부(12)가 블랭크창(BL) 형태로 표시되고, 상기 블랭크창(BL)에는 오토튜빙 초이스 버튼(CB)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온도튜닝 제어 설정부 역시 스마트폰 화면에 블랭크창(BL)과 오토튜닝 초이스 버튼(CB)이 표시되는데, 이러한 온도튜닝 제어 설정부는 후술하는 상기 목표값 제어 설정부(14)에서 설정된 목표 온도의 범위에 자동으로 온도를 튜닝한다.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감지하여 제어대상 기기(110)(온도 조절기 등)의 온도를 다양한 패턴으로 튜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온도튜닝 제어 설정부는 온도 조절기 온도를 40℃에서 10분간 가동하거나 45℃에서 5분간 가동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온도 튜닝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온도튜닝 제어 설정부에도 다양한 온도 튜닝 저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튜닝 제어 설정부(16) 화면에도 저장 버튼(45)이 구비되어 튜닝 온도치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튜닝 초이스 버튼(CB)도 스마트폰에서 사용자가 푸시(또는 터치)하면, 온도튜닝 제어 설정부 화면(즉, 스마트폰 화면)에 키패드(KP)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키패드(KP)에서 원하는 온도튜닝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튜닝 종류 등이 레벨제어 설정부(11)의 블랭크창(BL)에 표시될 것이다. 또한, 상기 온도튜닝 제어 설정부의 화면에도 블랭크창(BL)의 옆에 설명 버튼부(EB)가 구비되어, 설명 버튼부(EB)를 푸시하면 온도튜닝 설정 방법 등에 대한 설명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PID 제어 설정부(18)는 온도 조절기의 히터를 끈 다음에 과열(오버슛)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온도 조절기가 목표값(목표 온도값)에 도달하는 시간이 느려지거나 각종 온도 변수들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PID 제어 설정부(18)는 피드백 제어부와 적분제어부 및 적분제어 완화부가 블랭크창(BL) 형태로 구비되고, 피드백 제어부와 적분 제어부 및 적분제어 완화부 옆에 설명 버튼부(EB)가 구비된다. 각각의 설명 버튼부(EB)를 푸시하면 피드백 제어와 적분제어 및 적분제어 완화 설정 방법 등에 대한 설명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적분 제어부에서는 최대한 설정값에 빨리 접근하기 위한 요소들을 제어하도록 설정한다. 적분 제어부에서는 온도 조절기의 목표 설정값과 실제 온도 조절기의 히터 온도 사이의 차이가 크면 히터의 온도를 최대값으로 설정해서 챔버의 온도를 빠른 시간 내에 상승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하고, 적분제어 완화부에서는 적분제어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변화를 최대한 완화시켜 오차를 최소화시켜 제어하도록 설정한다. PID 제어 설정부(18)도 상기 목표값 제어 설정부(14) 등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에 표시된 레벨제어 설정부(11) 화면에 표시되는데, 사용자가 손으로 PID 제어 설정부(18)를 푸시하는 동작(터치하는 동작)을 하게 되면, 스마트폰의 화면에 PID 제어 설정부(18)가 블랭크창(BL) 형태로 표시되고, 상기 블랭크창(BL)에는 PID 제어 초이스 버튼(CB)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PID 제어 설정부(18)는 피드백 제어부 데이터와 적분제어 데이터 및 적분제어 완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각각의 저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PID 제어 설정부(18) 화면에도 저장 버튼(45)이 구비되어 PID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PID 제어부의 각 블랭크창(BL)에 구비된 초이스 버튼(CB)은 스마트폰에서 사용자가 푸시(또는 터치)하면, 상기 PID 제어 설정부(18) 화면(즉, 스마트폰 화면)에 키패드(KP)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패드(KP)에서 원하는 PID 제어값, 예를 들어, 적분제어값을 선택할 수 있고, 적분제어값이 PID 제어부의 블랭크창(BL)에 표시될 것이다. 또한, 상기 PID 제어 설정부(18)의 각 블랭크창(BL)에 구비된 초이스 버튼(CB)도 스마트폰에서 사용자가 푸시(또는 터치)하면, PID 제어 설정부(18) 화면(즉, 스마트폰 화면)에 키패드(KP)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키패드(KP)에서 원하는 PID 제어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PID 데이터 값이 PID 제어 설정부(18)의 블랭크창(BL)에 표시될 것이다. 또한, 상기 PID 제어부의 화면에도 블랭크창(BL)의 옆에 설명 버튼부(EB)가 구비되어, 설명 버튼부(EB)를 푸시하면 PID 제어값의 설정 방법(예를 들어, 목표 온도 선택 세팅 방법 등)에 대한 설명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PID 제어 설정부(18)에도 홈버튼(42)과 전송 버튼이 구비되어, 홈버튼(42)을 푸시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스마트폰의 초기화면으로 돌아가고, 전송 버튼을 푸시하면, PID 제어 설정값이 메인컨트롤부에 전송된다. PID 제어 설정부(18)에서 세팅한 PID 제어 데이터가 실제 온도 조절기의 PID 제어 상태가 될 것이다.
상기 히터단선 경보 제어 설정부(22)는 온도 조절기의 히터가 단선될 때에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히터단선 경보 제어 설정부(22)는 제1히터단선 경보출력 종류와 제2히터단선 경보출력 종류, 제1히터단선 경보출력 히스테리시스, 제2히터단선 경보출력 히스테리시스, 제1히터단선 경보출력 값, 제2히터단선 경보출력 값이 스마트폰의 화면상에 블랭크창(BL) 형태로 구비되며, 각각의 블랭크창(BL)에는 화살표 형태로 초이스 버튼(CB)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블랭크창(BL) 옆에는 설명 버튼부(EB)가 구비되어 각각의 설명 버튼부(EB)를 푸시하면 해당 기능에 대한 설명이 문구로 뜨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히터단선 경보출력 종류의 블랭크창(BL)에 구비된 설명 버튼부(EB)를 푸시하면 제1히터단선 경보출력 종류를 선택하는 방법 등에 대한 설명 문구가 스마트폰 화면상에 뜰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블랭크창(BL)에 구비된 초이스 버튼(CB)을 푸시하면 해당 기능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키패드(KP)가 표시된다. 예를 들면, 제1히터단선 경보출력 종류를 표시하는 경보출력 종류를 선택하도록 키패드(KP)가 히터단선 경보 제어 설정부(22)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제2히터단선 경보출력 종류와 제1히터단선 경보출력 히스테리시스, 제2히터단선 경보출력 히스테리시스, 제1히터단선 경보출력 값, 제2히터단선 경보출력 값의 초이스 버튼(CB) 역시 제2히터단선 경보출력 종류의 초이스 버튼(CB)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등의 푸시에 의해 각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된다. 히터단선 경보제어 설정부(22)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홈버튼(42)과 전송 버튼(SD)이 구비되고, 전송 버튼(45)이 구비되어, 전송 버튼(45)을 누르면 히터단선 경보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보제어 설정부는 온도 조절기의 온도가 목표 온도값보다 과하게 초과하거나 과하게 낮은 상태로 될 때에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경보제어 설정부는 제1경보력 종류와 제2경보출력 종류, 제1경보출력 히스테리시스, 제2경보출력 히스테리시스, 제1경보출력 값, 제2경보출력 값이 스마트폰의 화면상에 블랭크창(BL) 형태로 구비되며, 각각의 블랭크창(BL)에는 화살표 형태로 초이스 버튼(CB)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블랭크창(BL) 옆에는 설명 버튼부(EB)가 구비되어 각각의 설명 버튼부(EB)를 푸시하면 해당 기능에 대한 설명이 문구로 뜨도록 할 수 있다. 제1경보출력 종류의 블랭크창(BL)에 구비된 설명 버튼부(EB)를 푸시하면 제1경보출력 종류를 선택하는 방법 등에 대한 설명 문구가 스마트폰 화면상에 뜰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블랭크창(BL)에 구비된 초이스 버튼(CB)을 푸시하면 해당 기능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키패드(KP)가 표시된다. 즉, 경보제어 설정부도 상기 목표값 제어 설정부(14) 등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에 표시된 레벨제어 설정부(11) 화면에 표시되는데, 사용자가 손으로 경보제어 설정부를 푸시하는 동작(터치하는 동작)을 하게 되면, 스마트폰의 화면에 경보제어 설정부가 블랭크창(BL) 형태로 표시되고, 상기 블랭크창(BL)에는 경보설정 초이스 버튼(CB)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보제어 설정부의 각 블랭크창(BL)에 구비된 초이스 버튼(CB)은 스마트폰에서 사용자가 푸시(또는 터치)하면, 상기 경보제어 설정부 화면(즉, 스마트폰 화면)에 키패드(KP)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패드(KP)에서 원하는 경보설정값, 예를 들어, 제1경보출력 종류를 "3"으로 선택할 수 있고, 제1경보출력 종류에 해당하는 블랭크창(BL)에 "3"으로 표시될 것이다. 또한, 제2경보출력 종류와 제1경보출력 히스테리시스, 제2경보출력 히스테리시스, 제1경보출력 값, 제2경보출력 값의 초이스 버튼(CB) 역시 제2경보출력 종류의 초이스 버튼(CB)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등의 푸시에 의해 각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화면에 키패드(KP)로 표시된다. 도면에서는 제1경보출력 종류로는 "3"을 선택하고, 제2경보출력 종류는 "OFF" 상태이고, 제1경보출력 히스테리시스는 "2", 제2경보출력 히스테리시스는 "0", 제1경보출력 값은 "20", 제2경보출력 값은 "0"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경보제어 설정부 화면은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는데, 도면의 경보제어 설정부 화면은 경보출력의 종류 등을 선택한 일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사용자는 경보제어 설정부를 통하여 다양한 경보출력의 종류 등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보제어 설정부 화면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홈버튼(42)과 전송 버튼이 구비된다. 홈버튼(42)을 푸시하면 상기한 스마트폰의 초기화면으로 돌아가고, 전송 버튼을 푸시하면 경보제어 설정부에서 세팅한 경보 데이터 등이 온도 조절기를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부에 전송될 것이다.
상기 전송 설정부(26)와 통신 제어 설정부(28)도 상기한 제어 설정부(132)(12) 내지 경보제어 설정부와 마찬가지로 스마트폰에 표시된 레벨제어 설정부(11) 화면에 표시되는데, 사용자가 손으로 전송 설정부(26)나 통신 제어 설정부(28)를 푸시하는 동작(터치하는 동작)을 하게 되면, 스마트폰의 화면에 전송 설정부(26)나 통신 제어 설정부(28)가 블랭크창(BL) 형태로 표시되고, 상기 블랭크창(BL)에는 전송 조건이나 통신 조건 등에 대한 초이스 버튼(CB)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송 설정부(26)와 통신 제어 설정부(28)의 화면에도 블랭크창(BL)의 옆에 설명 버튼부(EB)가 구비되어, 설명 버튼부(EB)를 푸시하면 전송 조건이나 통신 조건 설정 방법(예를 들어, 언어 선택 세팅 방법 등)에 대한 설명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전송 설정부(26)와 통신 제어 설정부(28)에도 홈버튼(42)과 전송 버튼이 구비되어, 홈버튼(42)을 푸시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스마트폰의 초기화면으로 돌아가고, 전송 버튼(SD)을 푸시하면, 전송조건이나 통신조건 등에 대한 데이터가 온도 조절기의 히터 온도를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부에 전송된다. 전송 설정부(26)와 통신 제어 설정부(28)에도 저장 버튼(45)이 구비되어 전송 설정치와 통신 설정치의 저장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설정부(34)는 온도 조절기의 목표 온도를 입력하는 방법 등에 대한 설정을 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제어 설정부(34)는 입력종류 선택, 입력 온도 단위 선택, 입력 상한 레인지, 입력 하한 레인지, 소수점 위치 선택, 프리스케일 상한이 스마트폰의 화면상에 블랭크창(BL) 형태로 구비되며, 각각의 블랭크창(BL)에는 화살표 형태로 초이스 버튼(CB)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블랭크창(BL) 옆에는 설명 버튼부(EB)가 구비되어 각각의 설명 버튼부(EB)를 푸시하면 해당 기능에 대한 설명이 문구로 뜨도록 할 수 있다. 입력종류 선택의 블랭크창(BL)에 구비된 설명 버튼부(EB)를 푸시하면 입력종류를 선택하는 방법 등에 대한 설명 문구가 스마트폰 화면상에 뜰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블랭크창(BL)에 구비된 초이스 버튼(CB)을 푸시하면 해당 기능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키패드(KP)가 표시된다. 즉, 입력 제어 설정부(34)도 상기 목표값 제어 설정부(14) 등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에 표시된 레벨제어 설정부(11) 화면에 표시되는데, 사용자가 손으로 입력 제어 설정부(34)를 푸시하는 동작(터치하는 동작)을 하게 되면, 스마트폰의 화면에 입력 제어 설정부(34)가 블랭크창(BL) 형태로 표시되고, 상기 블랭크창(BL)에는 입력설정 초이스 버튼(CB)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력 제어 설정부(34)의 각 블랭크창(BL)에 구비된 초이스 버튼(CB)은 스마트폰에서 사용자가 푸시(또는 터치)하면, 상기 입력 제어 설정부(34) 화면(즉, 스마트폰 화면)에 키패드(KP)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패드(KP)에서 원하는 입력 설정값, 예를 들어, 입력 종류를 "20"으로 선택할 수 있고, 입력 종류 선택에 해당하는 블랭크창(BL)에 "20"으로 표시될 것이다. 또한, 입력 온도 단위 선택, 입력 상한 레인지, 입력 하한 레인지, 소수점 위치 선택, 프리스케일 상한의 초이스 버튼(CB) 역시 입력 종류 선택의 초이스 버튼(CB)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등의 푸시에 의해 각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화면에 키패드(KP)로 표시된다. 도면에서는 입력 종류로는 "20"을 선택하고, 입력 온도 단위로는 "℃"가 선택하고, 입력상한 레인지는 "1370", 입력하한 레인지는 "-200", 소수점은 "1", 프리 스케일 상한은 "100.0"으로 선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입력 제어 설정부(132)부 화면도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는데, 도면의 입력 제어 설정부(34) 화면은 입력 종류 등을 선택한 일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사용자는 입력 제어 설정부(34)를 통하여 다양한 입력 종류 등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력 제어 설정부(34) 화면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홈버튼(42)과 전송 버튼이 구비된다.
상기 출력 제어 설정부(32)는 온도 조절기의 목표 온도를 출력하는 방법 등에 대한 설정을 하기 위한 것이다. 출력 제어 설정부(32)도 스마트폰의 화면상에 블랭크창(BL) 형태로 구비되며, 각각의 블랭크창(BL)에는 화살표 형태로 초이스 버튼(CB)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블랭크창(BL) 옆에는 설명 버튼부(EB)가 구비되어 각각의 설명 버튼부(EB)를 푸시하면 해당 기능에 대한 설명이 문구로 뜨도록 할 수 있다. 출력 제어 설정부(32)의 블랭크창(BL)에 구비된 설명 버튼부(EB)를 푸시하면 입력종류를 선택하는 방법 등에 대한 설명 문구가 스마트폰 화면상에 뜰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블랭크창(BL)에 구비된 초이스 버튼(CB)을 푸시하면 해당 기능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키패드(KP)가 표시된다. 즉, 출력 제어 설정부(32)도 상기 목표값 제어 설정부(14) 등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에 표시된 레벨제어 설정부(11) 화면에 표시되는데, 사용자가 손으로 입력 제어 설정부(34)를 푸시하는 동작(터치하는 동작)을 하게 되면, 스마트폰의 화면에 출력 제어 설정부(32)가 블랭크창(BL) 형태로 표시되고, 상기 블랭크창(BL)에는 출력설정 초이스 버튼(CB)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출력 제어 설정부(32)의 각 블랭크창(BL)에 구비된 초이스 버튼(CB)은 스마트폰에서 사용자가 푸시(또는 터치)하면, 상기 출력 제어 설정부(32) 화면(즉, 스마트폰 화면)에 키패드(KP)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패드(KP)에서 원하는 출력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출력 제어 설정부(32)를 통하여 다양한 출력 종류 등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력 제어 설정부(32) 화면에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홈버튼(42)과 전송 버튼(SB)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입력 제어 설정부(34)와 출력 제어 설정부(32)에도 저장 버튼(45)이 구비되어, 입력 설정치와 출력 설정치의 저장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온도제어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는데, 상기 온도제어기기에 적용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적용되는 많은 다양한 기기(110) 중에서 하나의 예를 든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바일 앱(130)과 연동할수 있는 무선통신 기능을 갖춘 외장형 제어모듈(120)을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유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을 경제적으로 개선한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기존에는 무선통신 기능(예를들면 블루투스 칩모듈, 와이파이 칩 등)이 제품 안에 내장이 되어있어야만 하였으나,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형 제어모듈(120)을 활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외장형 제어모듈(120) 한 개만 가지고 있으면 온도제어기기와 같이 모든 기기(110)(제품)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온도제어기기의 경우를 설명하면, 무선통신 커넥터(112)가 구비된 온도제어기기를 구입한 상태에서 외장형 제어모듈(120)을 온도제어기기의 무선통신 커넥터(112)에 접속한다. 그러면, 모바일 앱(130)(전용앱)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10)와 동기화된다.
다음, 모바일 단말기(10)에 구현된 모바일 앱(130)을 통하여 온도제어기기를 설정, 제어, 모니터링을 한다.
상기 온도제어기기의 설정 혹은 확인 이후 외장형 제어모듈(120)을 또 다른 기기(110)(제어기기 등)에 꼽아서 사용한다.
결국,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외장형 제어모듈(120) 한 개만 구입하면 단말기(10)에 구비된 모바일 앱(130)(상기 기기(110)의 판매자측에서 개발한 전용앱이 될 수 있음)으로 제어가능한 산업기기(110)들을 전부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무선통신모듈이 장착가능한 온도제어기기 등을 구현할 수 있어서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기기 112. 무선통신 커넥터
114. 메인 컨트롤부 120. 외장형 제어모듈
122. 무선통신 앱 124. 무선통신 전환부
130. 모바일 앱 132. 모바일 제어 설정부
134. 모바일 전송 설정부

Claims (6)

  1. 기기(110)에 구비된 무선통신 커넥터(112);
    상기 무선통신 커넥터(112)에 접속되는 외장형 제어모듈(120);
    상기 기기(1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바일 앱(130)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단말기(10);
    상기 외장형 제어모듈(120)과 상기 단말기(10)의 상기 모바일 앱(130)에 의해 상기 기기(110)의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앱(1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바일 앱(130)은,
    상기 기기(110)의 제어 모드를 설정하여 입력시키는 모바일 제어 설정부(132);
    상기 모바일 제어 설정부(132)에서 설정된 제어 데이터를 상기 기기(110)에 발송하는 모바일 전송 설정부(134);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 앱(122)은 상기 외장형 제어모듈(120)에 내장되어, 상기 기기(110)의 상기 무선통신 커넥터(112)에 상기 외장형 제어모듈(120) 접속시에 상기 무선통신 앱(122)을 통하여 상기 기기(110)에 대한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기기(110)가 온도제어기기인 경우, 상기 모바일 앱(130)은 목표값 설정 온도 범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온도를 튜닝하는 오토튜닝 제어 설정부(16)와, PID 제어 설정부(18)와 상기 온도제어기기의 히터 단선시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히터단선 경보제어 설정부(22)와, 상기 온도제어기기의 과열시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제어 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PID 제어 설정부(18)는 상기 온도제어기기의 히터를 끈 다음에 과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온도제어기기가 목표값에 도달하는 시간이 느려지거나 온도 변수들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PID 제어 설정부(18)는 피드백 제어부와 적분제어부 및 적분제어 완화부가 블랭크창(BL)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피드백 제어부와 적분 제어부 및 적분제어 완화부 옆에 설명 버튼부(EB)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PID 제어 설정부(18)는 스마트폰에 표시된 레벨제어 설정부(11)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PID 제어 설정부(18)를 푸시하는 동작을 하게 되면, 스마트폰의 화면에 PID 제어 설정부(18)가 블랭크창(BL) 형태로 표시되고, 상기 블랭크창(BL)에는 PID 제어 초이스 버튼(CB)이 표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제어모듈(120)은 상기 무선통신 커넥터(112)에 접속하기 위한 포트를 구비한 이동식 저장매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앱(122)은,
    상기 외장형 제어모듈(120)이 상기 기기(110)의 상기 무선통신 커넥터(112)에 접속할 때에 상기 기기(110)의 메인 컨트롤부(114)와 상기 단말기(10)의 상기 모바일 앱(130) 사이를 무선 통신 모드로 전환시키는 무선통신 전환부(124);
    상기 외장형 제어모듈(120)과 상기 단말기(10)의 상기 모바일 앱(130) 및 상기 기기(110)에 구비된 제어부 사이에 제어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무선신호 송수신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00428A 2015-01-05 2015-01-05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 KR101708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428A KR101708428B1 (ko) 2015-01-05 2015-01-05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
PCT/KR2015/002189 WO2016111412A1 (ko) 2015-01-05 2015-03-06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428A KR101708428B1 (ko) 2015-01-05 2015-01-05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034A KR20160084034A (ko) 2016-07-13
KR101708428B1 true KR101708428B1 (ko) 2017-02-20

Family

ID=56356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428A KR101708428B1 (ko) 2015-01-05 2015-01-05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8428B1 (ko)
WO (1) WO201611141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5905A (ja) 2001-12-28 2003-07-11 Omron Corp 制御装置および温度調節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754B1 (ko) 2003-12-22 200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 컨트롤러 및 이를 갖는 식각 장치
KR20060135112A (ko) 2005-06-24 2006-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 컨트롤러를 구비한 공정챔버
KR100764124B1 (ko) 2006-05-18 2007-10-08 천성관 엘엔지 선박의 단열 방벽 연결용 열패드의 온도 컨트롤러
KR101221592B1 (ko) * 2006-10-02 2013-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겸용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및 그를 갖는 휴대단말기
KR200441079Y1 (ko) 2007-03-21 2008-07-22 주식회사 한영넉스 온도조절기용 컨트롤러
KR20090095002A (ko) * 2008-03-04 2009-09-09 주식회사 모든넷 Uwb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1820735B1 (ko) * 2011-02-17 2018-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rf 방식을 이용하는 헤드 셋과 키보드의 연결이 가능한 리모컨
KR101231104B1 (ko) * 2011-05-17 2013-02-07 엔그램테크놀로지(주) 스마트 tv를 위한 rcu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04702A (ko) * 2011-07-04 2013-01-14 주식회사 금가 온도조절기
KR101363727B1 (ko) * 2012-04-10 2014-02-24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KR101576670B1 (ko) * 2012-11-12 2015-12-14 주식회사 경동원 스마트 폰 앱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의 원격 제어 및 관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의 원격 제어 및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5905A (ja) 2001-12-28 2003-07-11 Omron Corp 制御装置および温度調節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1412A1 (ko) 2016-07-14
KR20160084034A (ko)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2861B2 (en)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623162B1 (ko) 통합 리모콘이 구비된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CN105137841B (zh) 基于智能插座的远程控制方法及装置
CN102868580A (zh) 智能开关及应用该智能开关的智能家居系统
CN103960956A (zh) 烹饪加热装置及烹饪控制方法
CN102750812B (zh) 接收设备与遥控器的匹配方法、接收设备、遥控器
CN104471958A (zh) 通信方法以及通信装置
US10123631B2 (en) Operating system for, and a method of, operating an article of furniture
CN103985245A (zh) 基于智能终端学习遥控器红外码的方法和智能终端
CN104777756A (zh) 家用电器的控制方法和系统
CN106659335B (zh) 电动厨用机器
KR20170067935A (ko) 아두이노 기반의 멀티탭
US20150222497A1 (e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control program and server
CN202906943U (zh) 智能开关及应用该智能开关的智能家居系统
KR101708428B1 (ko) 모바일 앱과 외장형 제어모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 제어 시스템
KR20160072006A (ko) 스마트 콘센트 시스템
KR20170057487A (ko) 모바일 리모컨 시스템을 이용한 제어장치의 상태 인식 방법 및 상태 인식 장치
CN105511274A (zh) 家电互联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6547210A (zh) 家用电器控制系统及其控制装置和控制方法
JP6579936B2 (ja) 加熱調理システム
WO2016068389A1 (ko)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온도제어기기 시스템
JP6579947B2 (ja) 加熱調理システム
CN115542809A (zh) 一种通用控制器
US9608837B1 (en) Method for using portable controlling device for home network
EP3209026A1 (en) Control processing method, electric device, and control process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