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086B1 -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086B1
KR101707086B1 KR1020150059382A KR20150059382A KR101707086B1 KR 101707086 B1 KR101707086 B1 KR 101707086B1 KR 1020150059382 A KR1020150059382 A KR 1020150059382A KR 20150059382 A KR20150059382 A KR 20150059382A KR 101707086 B1 KR101707086 B1 KR 101707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transaction
recipient
phone banking
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7911A (ko
Inventor
박경철
인흥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티스
Priority to KR1020150059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086B1/ko
Publication of KR20160127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화망과 데이터망에 다중 접속 가능한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등록한 수취인계좌를 식별하는 수취인 키워드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수취인 키워드를 이용한 수취인계좌 식별을 검증하는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을 지정된 횟수 이상 발화 유도하여 사용자 음성에 대한 화자 특징을 추출한 후 상기 화자 특징을 인증하기 위한 화자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무선단말에서 상기 전화망을 통해 통화채널을 연결하여 폰뱅킹 시, 상기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구문 형태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된 N(N≥2)개의 단어를 확인하고, 상기 N개의 단어 중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와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를 포함하는 n(2≤n≤N)개의 키워드 단어를 검출하고, 상기 N개의 단어를 발화한 사용자 음성에 대한 화자 특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화자 특징이 상기 저장된 화자 인증정보와 허용된 오차 범위 이내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인증하여 상기 N개의 단어를 상기 사용자 본인이 발화한 것인지 화자 인증하고, 상기 N개의 단어를 사용자 본인이 발화한 것으로 화자 인증되고 상기 N개의 단어 중 수취인검증 키워드 내지 수취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n개의 키워드 단어가 검출된 경우, 상기 검출된 n개의 키워드 단어를 근거로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는 폰뱅킹 거래에 상기 거래정보를 적용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Phone Banking based on Sentence Structure Recognition by using Linkage of Different Network}
본 발명은 전화망과 데이터망에 다중 접속 가능한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등록한 수취인계좌를 식별하는 수취인 키워드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수취인 키워드를 이용한 수취인계좌 식별을 검증하는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을 지정된 횟수 이상 발화 유도하여 사용자 음성에 대한 화자 특징을 추출한 후 상기 화자 특징을 인증하기 위한 화자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무선단말에서 상기 전화망을 통해 통화채널을 연결하여 폰뱅킹 시, 상기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구문 형태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된 N(N≥2)개의 단어를 확인하고, 상기 N개의 단어 중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와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를 포함하는 n(2≤n≤N)개의 키워드 단어를 검출하고, 상기 N개의 단어를 발화한 사용자 음성에 대한 화자 특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화자 특징이 상기 저장된 화자 인증정보와 허용된 오차 범위 이내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인증하여 상기 N개의 단어를 상기 사용자 본인이 발화한 것인지 화자 인증하고, 상기 N개의 단어를 사용자 본인이 발화한 것으로 화자 인증되고 상기 N개의 단어 중 수취인검증 키워드 내지 수취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n개의 키워드 단어가 검출된 경우, 상기 검출된 n개의 키워드 단어를 근거로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는 폰뱅킹 거래에 상기 거래정보를 적용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선 교환 방식을 이용하는 전화망은 제3자의 회선 접근이 난해하며, 이에 전화망을 이용하는 종래의 폰뱅킹은 종래의 데이터망 기반의 비대면 금융거래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각종 비대면 인증수단(예컨대, 공인인증서나 일회용비밀번호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금융거래를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 전화망과 데이터망에 다중 접속 가능한 스마트폰이 활성화되면서 더 이상 폰뱅킹은 안전한 거래수단을 제공할 수 없게 되었다. 비록 전화망 자체의 회선에 제3자가 접근하는 것이 난해하다고 하더라도, 데이터망에 접속하는 스마트폰 자체가 해킹되거나 변조될 경우 폰뱅킹 중에 스마트폰에서 키 입력되는 각종 계좌정보 등이 도용될 위험성을 내재하게 되었다.
이에 금융당국은 전자금융감독규정을 개정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폰뱅킹에도 공인인증서나 일회용비밀번호와 같은 비대면 인증수단을 이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폰뱅킹에 종래 비대면 인증수단을 적용하는 것은 폰뱅킹이 지닌 접근성과 편리성을 훼손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최근 폰뱅킹의 근간을 제공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는 종래에 귀로 음성멘트를 듣고 각 음성멘트에 따라 키 버튼을 누르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방식은 물론, 귀로 음성멘트를 듣고 각 음성멘트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입으로 말하는 음성인식 방식도 함께 지원하고 있으며, 만약 폰뱅킹에 음성인식 방식을 적용한다면 음성멘트에 따라 각종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말하는 형태로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음성멘트에 따라 각종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말하는 경우, 만약 스마트폰이 해킹되거나 변조된 상태라면 특정한 음성멘트에 반응하여 말한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는 언제든 도용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닌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망과 데이터망에 다중 접속 가능한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등록한 수취인계좌를 식별하는 수취인 키워드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수취인 키워드를 이용한 수취인계좌 식별을 검증하는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을 지정된 횟수 이상 발화 유도하여 사용자 음성에 대한 화자 특징을 추출한 후 상기 화자 특징을 인증하기 위한 화자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에서 상기 전화망을 통해 통화채널을 연결하여 폰뱅킹 시, 상기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구문 형태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된 N(N≥2)개의 단어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N개의 단어 중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와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를 포함하는 n(2≤n≤N)개의 키워드 단어를 검출하고, 상기 N개의 단어를 발화한 사용자 음성에 대한 화자 특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화자 특징이 상기 저장된 화자 인증정보와 허용된 오차 범위 이내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인증하여 상기 N개의 단어를 상기 사용자 본인이 발화한 것인지 화자 인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N개의 단어를 사용자 본인이 발화한 것으로 화자 인증되고 상기 N개의 단어 중 수취인검증 키워드 내지 수취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n개의 키워드 단어가 검출된 경우, 상기 검출된 n개의 키워드 단어를 근거로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는 폰뱅킹 거래에 상기 거래정보를 적용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은, 전화망과 데이터망에 다중 접속 가능한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등록한 수취인계좌를 식별하는 수취인 키워드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수취인 키워드를 이용한 수취인계좌 식별을 검증하는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을 지정된 횟수 이상 발화 유도하여 사용자 음성에 대한 화자 특징을 추출한 후 상기 화자 특징을 인증하기 위한 화자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에서 상기 전화망을 통해 통화채널을 연결하여 폰뱅킹 시, 상기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구문 형태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된 N(N≥2)개의 단어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N개의 단어 중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와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를 포함하는 n(2≤n≤N)개의 키워드 단어를 검출하고, 상기 N개의 단어를 발화한 사용자 음성에 대한 화자 특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화자 특징이 상기 저장된 화자 인증정보와 허용된 오차 범위 이내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인증하여 상기 N개의 단어를 상기 사용자 본인이 발화한 것인지 화자 인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N개의 단어를 사용자 본인이 발화한 것으로 화자 인증되고 상기 N개의 단어 중 수취인검증 키워드 내지 수취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n개의 키워드 단어가 검출된 경우, 상기 검출된 n개의 키워드 단어를 근거로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는 폰뱅킹 거래에 상기 거래정보를 적용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구문 형태로 결합되는 키워드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는 구문 구조 상 상기 수취인 키워드의 수식어, 상기 수취인 키워드의 관형사, 상기 수취인 키워드를 표현하는 형용사, 상기 수취인 키워드를 서술하는 동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검출된 n개의 키워드 단어의 조합 구조를 판독하여 기 등록된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 구조와 매칭되는지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배치 순서를 식별하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검출된 키워드 단어의 배치 순서가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배치 순서와 매칭되는지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발화하는 화자를 인증하는 화자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화자 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N개의 단어를 발화한 화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N개의 단어 중 금액 단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래정보는 상기 검출된 금액 단어에 대응하는 거래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지정된 금액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래정보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된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거래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화면에 상기 생성된 거래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검출된 키워드 단어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검출된 키워드 단어와 매칭되는 수취인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거래정보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화망을 통해 폰뱅킹서버와 전화망 기반의 통화채널을 연결한 후 미리 지정한 구어체 구문을 한번 발화함으로써, 복잡한 음성멘트 청취와 폰뱅킹 조작 단계를 거치지 않고 편리하고 신속하게 폰뱅킹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폰뱅킹을 위해 지정된 구어체 구문의 발화를 무선단말 측에서 인식함으로써, 음성 인식 중 오류 발생 시 오류 음성멘트를 대기하거나 청취하지 않고도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구어체 구문을 신속하게 다시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폰뱅킹을 위해 지정된 구어체 구문에 수취인계좌정보와 매핑된 수취인 키워드 이외에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포함하게 함으로써, 폰뱅킹을 위한 자연스런 구어체 발화를 유도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발화하는 구어체 구문 내에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가 미리 지정된 조합 구조로 포함되어 있기만 하면 이를 유효한 키워드 조합으로 인식하여 폰뱅킹 거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구어체 구문을 발화할 때마다 다른 구어체 구문을 발화하더라도 지정된 키워드 조합 구조를 만족하기만 하면 폰뱅킹 거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키워드 노출을 차단함은 물론, 각각의 폰뱅킹 거래에 구어체 구문을 통한 사용자 감정을 표현하는 감성적 폰뱅킹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과 프로그램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폰뱅킹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구문 형태로 음성 인식될 키워드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폰뱅킹을 위한 전화망 기반 통화채널 연결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폰뱅킹을 위한 데이터망 기반 통신채널 연결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폰뱅킹 절차와 연동하는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을 통한 거래정보 생성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을 통한 거래정보 생성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음성인식 기반의 거래정보를 폰뱅킹 거래에 적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단말 측에 구비된 구성부가 서버 측에 구현되는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100)과 프로그램(12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전화망과 데이터망을 이종 결합하여 눈으로 보면서 구어체로 말하는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거래를 제공하는 프로그램(120)의 기능 구성과 상기 프로그램(120)이 동작하는 무선단말(100)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1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1의 무선단말(100)은 각종 스마트폰, 태블릿PC, PDA 및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제어부(102)와 메모리부(118)와 화면 출력부(104)와 사용자 입력부(106)와 사운드 출력부(108)와 사운드 입력부(110)와 무선망 통신부(112)와 근거리망 통신부(114)와 USIM 리더부(116)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의 프로그램(120) 기능 구성을 본 제어부(102)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118)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102)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118)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120)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118)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104)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1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06)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104)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102)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02)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108)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1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전화망을 경유하는 전화 통화채널 연결 시 상기 사운드 출력부(108)는 전화통화 연결된 상대 측에서 송출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110)는 사운드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2)와 연동되어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상기 제어부(102)로 전달한다. 전화망을 경유하는 전화 통화채널 연결 시 상기 사운드 입력부(110)는 전화통화 연결된 상대 측으로 송출할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112)는 상기 무선단말(1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2)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2)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망 통신부(112)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112)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여 기 가입된 통신사의 교환기를 경유하는 전화망에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과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통신사의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는 패킷 교환 기반의 데이터망(예컨대,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14)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14)는 일정 거리 이내의 중계기(예컨대, 무선AP 등)를 경유하여 패킷 교환 기반의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USIM 리더부(116)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116)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무선단말(100)이 상기 무선망 통신부(112)를 통해 기 가입된 통신사를 경유하여 통신하기 위한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120)은 앱 제공 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다운로드되고,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100)에 설치되며, 지정된 절차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무선단말(100)이 전화망을 경유하여 폰뱅킹을 위한 통화채널 연결 시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120)을 구동하거나 활성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구동/활성화부(12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전화망(예컨대, 가입된 통신사의 교환기)을 경유하여 지정된 폰뱅킹서버(200)와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경우에 지정된 절차에 따라 구동되거나 또는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에서 포그라운드(Foreground)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활성부는 상기 폰뱅킹을 위한 통화채널 연결 전, 중, 후의 지정된 일 시점에 상기 프로그램(120)을 구동/활성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활성화부(125)는 상기 폰뱅킹을 위한 지정된 폰뱅킹서버(200)에 대한 전화번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구동/활성화부(125)는 상기 프로그램(120)의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106)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100)이 전화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폰뱅킹서버(200)로 호를 발신하여 통화채널을 연결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지정된 폰뱅킹서버(200)로부터 전화망을 경유하여 발신된 호를 착신하여 상기 폰뱅킹서버(200)와 통화채널을 연결하는지 확인하는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정된 폰뱅킹서버(200)와 통화채널 연결 시 상기 프로그램(120)을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포그라운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폰뱅킹서버(200)로부터 앱구동푸시(또는 앱구동SMS)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120)을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106)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전화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폰뱅킹서버(200)로 호를 발신하여 통화채널이 연결되거나, 또는 지정된 폰뱅킹서버(200)로부터 전화망을 경유하여 발신된 호를 착신하여 상기 폰뱅킹서버(200)와 통화채널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100)로 앱구동푸시(또는 앱구동SMS)가 수신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기반으로 상기 프로그램(12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사용자가 등록한 수취인계좌를 식별하는 수취인 키워드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수취인 키워드를 이용한 수취인계좌 식별을 검증하는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키워드 저장부(130)를 구비하며,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발화하는 사용자의 음성 특징을 인증하기 위한 화자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화자인증 저장부(1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폰뱅킹서버(200)(또는 폰뱅킹서버(200)와 연계된 운영서버(210))는 사용자가 등록한 수취인계좌를 식별하는 수취인 키워드와 상기 수취인 명의 계좌에 대한 수취인계좌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05)에 매핑 등록하며,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계좌정보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을 통해 등록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또는 별도의 통화단말)을 이용한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연결을 통해 등록되거나, 및/또는 각종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등록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수취인 키워드는 “어머니”, “엄마”, “어머님”과 같은 키워드 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취인계좌정보는 “A은행 123-456789”과 같은 계좌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205)에 등록되는 각종 키워드 및/또는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을 통해 등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는 상기 화면 출력부(104)를 통해 키워드 및/또는 정보를 입력하는 등록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키워드 및/또는 정보를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키워드 및/또는 정보를 지정된 매핑 구조에 따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05)에 등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워드 및/또는 정보는 키 입력되거나 또는 음성인식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205)에 등록되는 각종 키워드 및/또는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100)(또는 통화단말)에서 ARS 연결을 통해 등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또는 통화단말)은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폰뱅킹서버(200)와 통화채널을 연결하고, ARS를 통해 송출되는 음성멘트에 따라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 형태로 각종 정보를 송출하고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통해 각종 키워드를 음성 송출할 수 있으며,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DTMF 신호 형태의 각종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발화 음성 형태의 각종 키워드를 인식한 후 이들을 지정된 매핑 구조에 따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05)에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는 각종 사용자단말을 이용한 웹페이지 접속을 통해 제공되는 키워드 등록 페이지에 상기 키워드 및/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키워드 및/또는 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05)에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는 은행의 창구를 이용한 폰뱅킹 신청 시점에 신청서에 상기 키워드 및/또는 정보를 기재하여 신청할 수 있으며,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신청을 접수하는 단말을 통해 입력된 키워드 및/또는 정보를 확인화고 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05)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제1 내지 제4 등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실시예를 통해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계좌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05)에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계좌정보가 지정된 저장매체(205)에 매핑 등록되기 전, 중, 후의 일 시점에,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연계하여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연계하여 상기 메모리부(118)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120)이 접근 가능한 네트워크 상의 매체에 구비된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연계 저장하더라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의 저장매체(205)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계좌정보를 매핑 저장하고,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연계 저장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의 저장매체(205)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 및 수취인계좌정보를 매핑 저장하고,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연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키워드 단어의 형태로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음성인식 패턴 정보의 형태로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205)에 저장된 수취인계좌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검증값으로서,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구문 형태로 결합되는 키워드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는 구문 구조 상 상기 수취인 키워드의 수식어, 상기 수취인 키워드의 관형사, 상기 수취인 키워드를 표현하는 형용사, 상기 수취인 키워드를 서술하는 동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수취인 키워드가 “어머니”라면,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는 상기 “어머니”라는 수취인 키워드와 구문 형태로 조합 가능한 “사랑” 또는 “존경”과 같은 키워드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는 하나의 수취인 키워드와 일대일 매칭(예컨대, “어머니”라는 수취인 키워드에 대하여 “사랑”이라는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일대일 매칭)되거나, 또는 하나의 수취인검증 키워드가 복수의 수취인 키워드와 일대다 방식으로 매칭(예컨대, “어머니”라는 키워드와 “아들”이라는 수취인 키워드에 “사랑”이라는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일대다 방식으로 매칭)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는 반대로 하나의 수취인 키워드에 대하여 복수의 수취인검증 키워드가 매칭(예컨대, “어머니”라는 수취인 키워드에 대하여 “사랑”이라는 수취인검증 키워드와 “존경”이라는 수취인검증 키워드가 복수 매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연계 저장 시,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조합하는 구문 구조를 기반으로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에 대한 구문 구조 상의 배치 순서를 식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수취인 키워드가 “어머니”이고 수취인검증 키워드가 “사랑”인데, 구문 구조 상 상기 “사랑”이 “어머니”를 수식하는 수식어로 사용되는 경우, 즉 “사랑하는 어머니”로 구문 구조를 조합하는 경우,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는 “사랑”이라는 키워드검증 키워드 후에 “어머니”라는 수취인 키워드가 배치되는 순서를 식별 가능하게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가 지정된 저장영역에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연계 저장 시,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는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와 연동하여 상기 수취인 키워드에 고유한 수취인 식별코드를 부여(또는 수취인 키워드에 부여된 수취인 식별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상기 수취인 식별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하기의 거래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취인 식별코드가 이용되지 않거나 또는 이용되더라도 거래정보를 생성하는 시점에 하기의 거래정보 생성부(175)와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가 실시간 연동하여 부여하는 경우,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는 상기 수취인 식별코드를 별도 저장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이 저장되는 경우, 상기 화자인증 저장부(135)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을 지정된 횟수 이상 발화하여 상기 사운드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사운드 입력부(110)로 입력된 사용자 음성의 화자 특징을 추출한 후, 상기 사용자 음성의 화자 특징을 인증하기 위한 화자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지정된 저자영역에 사용자 음성의 화자 특징을 인증하기 위한 화자 인증정보가 저장된 경우, 이후의 키워드 등록 과정에서 별도로 상기 화자 인증정보를 추가 등록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확장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계좌정보 이외에 다양한 키워드 및/또는 정보 및/또는 식별코드를 등록받아 저장매체(205)에 매핑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도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 이외에 다양한 키워드 및/또는 식별코드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제1 내지 제4 등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실시예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또는 프로그램(120))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송금인계좌정보를 등록받아 저장매체(205)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제1 내지 제4 등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실시예를 통해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코드, 무선단말(100)을 식별하는 식별코드, 프로그램(120)을 식별하는 식별코드, 전화망 기반의 폰뱅킹과 데이터망 기반의 프로그램(120)을 연동하기 위한 식별코드 중 하나 이상의 용도로 사용되는 식별코드(이하, “송금인 식별코드”라고 함)를 등록 받거나 및/또는 생성하고, 상기 송금인 식별코드와 상기 송금인계좌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205)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는 상기 저장매체(205)에 등록된 송금인계좌정보와 매핑된 송금인 식별코드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저장영역에 상기 송금인 식별코드가 기 저장된 경우(예컨대, 상기 저장영역이 무선단말(100)의 메모리부(118) 내지 USIM이고 상기 송금인 식별코드가 무선단말(100)을 식별하는 식별코드인 경우), 상기 송금인 식별코드를 별도 저장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또는,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제1 내지 제4 등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실시예를 통해 상기 수취인계좌를 이용한 거래를 검증하는 거래검증 키워드를 등록받아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매핑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를 등록하는 과정과 연동하거나 또는 별도의 과정을 통해 상기 수취인계좌를 이용한 거래를 검증하는 거래검증 키워드를 입력받거나 또는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취인계좌를 이용한 거래를 검증하는 거래검증 키워드를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래검증 키워드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구문에 포함되는 키워드 단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구문에 포함되지 않는 별도의 키워드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수취인 키워드가 “어머니”이고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가 “사랑”이라면, 상기 거래검증 키워드는 “사랑하는 어머니”라는 구문에 포함 가능한 “홍길동”일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는 “홍길동이 사랑하는 어머니” 또는 “사랑하는 홍길동의 어머니” 또는 “사랑하는 어머니께 홍길동이 송금” 등의 형태로 음성을 발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취인 키워드가 “어머니”이고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가 “사랑”인 경우, 상기 거래검증 키워드는 “사랑하는 어머니”라는 구문에 포함하기 난해한 “후다닥”일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는 “사랑하는 어머니께”와 “후다닥”을 발화할 수 있다.
상기 거래검증 키워드는 수취인 키워드와 일대일 매칭되거나 또는 복수의 수취인 키워드와 일대다 매칭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거래검증 키워드를 연계 저장 시,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거래검증 키워드의 배치 순서를 식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수취인 키워드에 대응하는 수취인계좌를 이용한 거래의 지정된 금액정보를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지정금액 저장부(14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특정 수취인에게 송금할 금액은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아들을 둔 부모인데 매달 아들의 학원비로 10만원을 송금하는 경우, 상기 수취인 키워드는 “학원비”이고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는 “아들”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학원비”에 대한 금액정보는 ‘10만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지정금액 저장부(140)는 특정 수취인 키워드에 대한 금액정보를 입력하는 금액 지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금액 지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수취인 키워드에 대한 금액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발화 과정에서 금액에 해당하는 단어를 별도로 발화하지 않더라도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된 금액정보를 송금하는 거래가 처리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수취인 키워드가 “학원비”이고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는 “아들”이고, 이 때 지정된 금액정보가 ‘10만원’이라면, 사용자는 “아들 학원비”라고 발화함으로써 “학원비”라는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된 수취인계좌로 ‘10만원’을 송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정금액 저장부(140)를 통해 금액정보를 지정하지 않은 수취인 키워드의 경우, 사용자는 발화 과정에서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된 수취인계좌로 송금하기 위한 금액 단어를 함께 발화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수취인 키워드가 “어머니”이고 수취인검증 키워드가 “사랑”이라면, 사용자는 “사랑하는 어머니께 10만원”과 같은 형태로 수취인 키워드와 함께 금액 단어를 발화하여 수취인 키워드에 대응하는 수취인 계좌로 금액 단어에 대응하는 금액을 송금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전화망을 통해 통화채널을 연결하여 폰뱅킹 시, 상기 폰뱅킹과 연동하여 폰뱅킹 기반 거래를 위한 음성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음성인식 판단부(145)와, 상기 음성인식 판단 시 상기 사운드 입력부(110)를 통해 구문 형태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된 N(N≥2)개의 단어를 확인하는 음성인식 처리부(150)를 구비하며, 상기 N개의 단어를 발화한 사용자에 대한 화자인증을 처리하는 화자인증 처리부(155)를 구비한다.
무선단말(100)에서 전화망을 통해 폰뱅킹서버(200)와 통화채널을 연결하여 폰뱅킹 처리 시, 상기 구동/활성화부(125)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120)을 구동/활성화되며, 상기 음성인식 판단부(145)는 상기 통화채널을 통해 무선단말(100)과 폰뱅킹서버(200) 사이에 송수신되는 사운드 신호(예컨대, 음성, DTMF)를 판독하여 폰뱅킹 기반 거래를 위한 음성인식을 처리할 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음성인식 판단부(145)는 데이터망을 통해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인식 요청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폰뱅킹 기반 거래를 위한 음성인식을 처리할 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들어, 무선단말(100)에서 전화망을 통해 폰뱅킹서버(200)와 통화채널을 연결하여 송금거래를 선택하거나 또는 사용자 인증을 처리한 경우, 상기 음성인식 판단부(145)는 상기 통화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폰뱅킹 기반 송금거래를 위한 음성인식을 처리하는 것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로부터 폰뱅킹 기반 송금거래를 위한 음성인식 요청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음성인식을 처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 판단부(145)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도록 판단한 경우,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150)는 사용자로 하여금 폰뱅킹 기반 거래를 위한 N개의 단어를 포함하는 구문을 발화하도록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사운드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판독하여 구문 형태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구문 형태의 음성을 인식의 결과로서 상기 음성에 포함된 N개의 단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자신의 의도(또는 의지)에 따라 송금거래를 위한 구문 형태의 음성을 발화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150)는 상기 사용자가 구문 형태로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구문에 포함된 N개의 단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사랑하는 어머니께 십만원 송금”이라는 구문 형태의 음성을 발화했다면,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150)는 상기 구문 형태의 음성을 인식하여 “사랑”, “하는”, “어머니”, “께”, “십만원”, “송금”을 포함하는 6개의 단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150)가 상기 사운드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하는 중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는 전화망을 경유하여 폰뱅킹서버(200)로 송출되며,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전화망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녹음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음성 인식 기반의 폰뱅킹 거래에 대한 기밀성(예컨대, 폰뱅킹서버(200)와 사용자 본인만 음성 신호에 접근), 인증(예컨대, 폰뱅킹서버(200)가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대한 진위를 파악), 무결성(예컨대, 음성 신호의 위/변조 확인), 부인방지(예컨대, 거래 후 거래 사실의 부인을 방지) 중 하나 이상의 요소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송출되는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음성 신호를 녹음하는 것 이외에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여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거래정보를 생성하고 거래에 적용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 화자인증 저장부(135), 지정금액 저장부(140), 음성인식 판단부(145), 음성인식 처리부(150) 내지 하기의 키워드 검출부(160), 키워드 매칭부(165), 금액 확인부(170), 거래정보 생성부(175) 및 폰뱅킹 적용부(180) 중 하나 이상의 구성부는 상기 폰뱅킹서버(200)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서버형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화자인증 저장부(135)를 통해 상기 음성을 인식하는 사용자에 대한 화자 인증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화자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N개의 단어를 포함하는 구문을 발화하는 사용자의 음성 특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음성 특징이 상기 저장된 화자 인증정보와 허용된 오차 범위 이내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N개의 단어를 포함하는 음성이 상기 키워드들을 등록한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것인지 인증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인식된 N개의 단어 중 기 등록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n(2≤n≤N)개의 키워드 단어를 검출하는 키워드 검출부(160)와, 상기 n개의 키워드 단어 검출 시 상기 검출된 n개의 키워드 단어의 조합을 판독하여 기 등록된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과 매칭되는지 판별하는 키워드 매칭부(165)를 구비하며, 수취인 키워드에 대응하는 수취인계좌를 이용한 폰뱅킹 거래의 거래금액을 확인하는 금액 확인부(170)를 구비한다.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150)를 통해 구문 형태로 입력된 음성 신호로부터 N개의 단어가 인식(되고 상기 N개의 단어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를 발화한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 상기 키워드 검출부(160)는 상기 인식된 N개의 단어 중 기 등록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n개의 키워드 단어를 검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워드 검출부(160)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와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를 포함하는 n개의 키워드 단어를 검출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사랑하는 어머니께 십만원 송금”이라는 구문 형태의 음성을 발화하여,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150)를 통해 “사랑”, “하는”, “어머니”, “께”, “십만원”, “송금”을 포함하는 6개의 단어가 확인된 경우, 상기 키워드 검출부(160)는 “사랑”이라는 수취인검증 키워드와 매칭되고 “어머니”라는 수취인 키워드 매칭되는 n개의 키워드 단어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수취인 키워드가 거래검증 키워드와 연계된 경우,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와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 및 상기 거래검증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를 포함하는 n개의 키워드 단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사랑하는 어머니께 십만원을 후다닥”이라는 구문 형태의 음성을 발화하여,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150)를 통해 “사랑”, “하는”, “어머니”, “께”, “십만원”, “을”, “후다닥”을 포함하는 7개의 단어가 확인된 경우, 상기 키워드 검출부(160)는 “사랑”이라는 수취인검증 키워드와 매칭되고 “어머니”라는 수취인 키워드 매칭되고 “후다닥”이라는 거래검증 키워드와 매칭되는 n개의 키워드 단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키워드 매칭부(165)는 상기 키워드 검출부(160)를 통해 검출된 n개의 키워드 단어의 조합 구조를 판독하여 상기 키워드 저장부(130)를 통해 저장된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 구조와 매칭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가 기 설정된 배치 순서를 지닌 경우, 상기 키워드 매칭부(165)는 상기 n개의 키워드 단어 중 수취인 키워드에 대응하는 키워드 단어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에 대응하는 키워드 단어의 배치 순서가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배치 순서와 매칭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상기 금액 확인부(170)는 상기 키워드 검출부(160)를 통해 검출된 수취인 키워드에 대응하는 수취인계좌를 이용한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금액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제1 금액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액 확인부(170)는 상기 검출된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된 금액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된 금액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금액 확인부(170)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된 금액정보를 상기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금액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액 확인부(170)는 상기 키워드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N개의 단어 중 수취인 키워드에 대응하는 수취인계좌를 이용한 폰뱅킹 거래를 위한 금액에 대응하는 금액 단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금액 단어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사랑하는 어머니께 십만원 송금”이라는 구문 형태의 음성을 발화하여,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150)를 통해 “사랑”, “하는”, “어머니”, “께”, “십만원”, “송금”을 포함하는 6개의 단어가 확인된 경우, 상기 금액 확인부(170)는 “십만원”이라는 금액 단어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금액 확인부(170)는 상기 검출된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된 금액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N개의 단어 중 금액 단어를 검출할 수 있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상기 금액 확인부(170)는 N개의 단어 중 금액 단어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된 금액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금액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액 확인부(170)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에 대응하는 수취인계좌정보를 이용하는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금액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거래금액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금액 확인부(170)는 상기 검출된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된 금액정보가 확인되지 않거나 및/또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된 금액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거래금액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금액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전화망을 경유하여 폰뱅킹서버(200)로부터 송출되는 음성멘트에 따라 DTMF 신호 형태로 거래금액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금액 확인부(170)는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로부터 상기 거래금액을 수신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수신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키워드 검출부(160)를 통해 검출된 n개의 키워드 단어와 상기 금액 확인부(170)를 통해 확인된 거래금액을 근거로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정보를 생성하는 거래정보 생성부(175)와,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는 폰뱅킹 거래에 상기 거래정보를 적용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폰뱅킹 적용부(180)를 구비한다.
상기 거래정보 생성부(175)는 상기 키워드 검출부(160)를 통해 검출된 n개의 키워드 단어와 상기 금액 확인부(170)를 통해 확인된 거래금액을 근거로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는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제1 거래정보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래정보 생성부(175)는 상기 키워드 검출부(160)를 통해 검출된 n개의 키워드 단어 중 수취인 키워드와 상기 금액 확인부(170)를 통해 확인된 거래금액을 포함시켜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는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거래정보 생성부(175)는 상기 거래정보에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된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거래정보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검출부(160)를 통해 검출된 n개의 키워드 단어 중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 식별코드가 연계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거래정보 생성부(175)가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와 연동하여 상기 수취인 키워드에 고유한 수취인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경우, 상기 거래정보 생성부(175)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에 부여된 수취인 식별코드와 상기 금액 확인부(170)를 통해 확인된 거래금액을 포함시켜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는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래정보 생성부(175)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또는 수취인 식별코드)와 거래금액 이외에, 송금인 식별코드(예컨대,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코드, 무선단말(100)을 식별하는 식별코드, 프로그램(120)을 식별하는 식별코드, 전화망 기반의 폰뱅킹과 데이터망 기반의 프로그램(120)을 연동하기 위한 식별코드 중 하나 이상의 용도로 사용되는 식별코드)를 더 포함시켜 거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폰뱅킹 적용부(180)는 상기 거래정보 생성부(175)를 통해 생성된 거래정보를 전화망을 경유하는 폰뱅킹 거래에 적용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기 거래정보는 데이터망을 이용하는 비대면 거래에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전화망을 경유하는 폰뱅킹 거래에 적용된다. 단,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거래정보를 폰뱅킹 거래에 적용하기 위해 데이터망을 통해 전송될 수는 있다.
상기 폰뱅킹 적용부(180)는 상기 화면 출력부(104)와 연동하여 상기 거래정보 생성부(175)를 통해 생성된 거래정보를 화면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거래동의를 요청할 수 있다. 다만 거래정보가 폰뱅킹서버(200)로 전달된 후 상기 폰뱅킹서버(200)에 의해 상기 거래정보의 내용을 음성멘트 형태로 조합하여 송출함으로써 상기 사운드 출력부(108)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 상기 거래정보의 화면 출력은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제1 거래정보 출력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폰뱅킹 적용부(180)는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150)를 통해 음성 인식된 구문 형태로 거래정보를 화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키워드 검출부(160)를 통해 검출된 키워드 단어와 상기 금액 확인부(170)를 통해 확인된 금액 단어를 구문 형태로 조합한 거래정보를 화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거래정보 출력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폰뱅킹 적용부(180)는 상기 키워드 검출부(160)를 통해 검출된 키워드 단어와 상기 금액 확인부(170)를 통해 확인된 금액 단어를 테이블 구조로 도식화한 거래정보를 화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거래정보를 생성부를 통해 음성 인식 기반의 거래정보가 생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생성된 거래정보가 화면 출력되어 사용자의 거래동의가 확인된 경우, 상기 폰뱅킹 적용부(180)는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거래정보를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기 전화망을 통해 상기 거래정보를 송출함으로써, 상기 거래정보를 상기 폰뱅킹 거래에 적용시킨다.
본 발명의 제1 거래정보 전달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폰뱅킹 적용부(180)는 상기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거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거래정보는 상기 무선단말(100)과 데이터망 기반의 통신채널을 연결한 운영서버(210)로 수신된 후 폰뱅킹서버(200)로 중계되거나, 또는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폰뱅킹서버(200)로 직접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거래정보 전달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래정보가 수취인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생성된 경우, 상기 폰뱅킹 적용부(180)는 상기 전화망을 통해 연결된 통화채널에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폰뱅킹서버(200)로 상기 거래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거래정보를 전달받은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거래정보의 수취인 키워드(또는 수취인 식별코드)와 매핑된 수취인 계좌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여 음성멘트 형태로 상기 거래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폰뱅킹서버(200)에서 송출하는 거래정보는 음성멘트 형태의 수취인 키워드를 포함하거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수취인 키워드 대신에 음성멘트 형태의 수취인계좌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음성멘트 형태의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계좌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폰뱅킹서버(200)에서 음성멘트 형태의 거래정보를 송출 시, 상기 무선단말(100)은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음성멘트의 거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운드 출력부(108)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음성멘트에 따라 사용자를 통해 입력된 지정된 DTMF 신호를 상기 폰뱅킹서버(200)로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을 통해 거래동의를 한 경우 상기 거래정보를 음성멘트 형태로 송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전화망과 데이터망을 연동하여 획득된 거래정보에 포함된 송금인 식별코드와 매핑된 송금인계좌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거래정보에 포함된 수취인 키워드(또는 수취인 식별코드)와 매핑된 수취인계좌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거래정보에 포함된 거래금액을 확인한 후, 지정된 금융서버(220)로 상기 송금인계좌정보에 대응하는 송금인계좌에서 상기 거래금액을 출금하여 상기 수취인계좌정보에 대응하는 수취인계좌로 입금(또는 이체)하는 폰뱅킹 거래를 요청하며, 상기 금융서버(220)로부터 상기 폰뱅킹 거래의 거래결과를 제공받는다.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전화망을 경유하여 통화채널이 연결된 무선단말(100)로 상기 거래결과에 대응하는 음성멘트를 송출하거나, 및/또는 데이터망을 경유하여(예컨대, 운영서버(21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으로 상기 거래결과를 전송하며, 상기 폰뱅킹 적용부(180)는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폰뱅킹 거래의 거래결과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폰뱅킹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전화망과 데이터망에 다중 접속 가능한 무선단말(100)에서 전화망과 데이터망을 이종 결합하여 눈으로 보면서 구어체로 말하는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거래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폰뱅킹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화망과 데이터망에 다중 접속 가능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프로그램(120)의 기능 구성을 구비한 사용자의 무선단말(100)과, 상기 무선단말(100)이 가입된 통신사의 교환기를 경유하는 회선 교환 기반의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100)과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폰뱅킹서버(200)와, 상기 무선단말(100)에 탑재된 프로그램(120)을 관리하며 상기 통신사의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는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과 패킷 교환 기반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운영서버(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통화채널을 이용한 폰뱅킹 거래에 대응하는 금융업무를 처리하는 금융서버(220)와 연동한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에 탑재된 프로그램(120)이 상기 폰뱅킹서버(200)에서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인 경우 상기 운영서버(210)는 생략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은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폰뱅킹서버(20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210)가 구비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운영서버(210)의 채널연동(또는 프로그램(120) 내 구현된 채널연동 기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폰뱅킹서버(200)와 데이터망 기반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편의상 상기 무선단말(100)은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운영서버(21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단말(100)은 전화망과 데이터망에 다중 접속 가능한 무선통신기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기 가입된 통신사의 교환기를 경유하는 회선 교환 기반의 전화망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는 데이터망에 다중 접속 가능한 스마트폰, 핸드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프로그램(120)의 기능 구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구동하며,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프로그램(120)을 관리하는 운영서버(210)와 통신채널을 연결한다.
상기 운영서버(21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을 관리하고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과 데이터망 기반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서버의 총칭으로서, 상기 무선단말(100)과 전화망을 경유하는 통화채널이 연결된 폰뱅킹서버(200)와 연동한다.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무선단말(100)이 가입된 통신사의 교환기를 경유하는 회선 교환 기반의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100)과 통화채널을 연결하고 폰뱅킹 절차를 수행하는 서버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100)과 폰뱅킹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채널을 연결 가능한 ARS,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과 데이터망 기반의 통신채널을 더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등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실시예를 통해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계좌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계좌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05)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계좌정보가 매핑 등록되기 전, 중, 후의 일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프로그램(120)이 실행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120)이 실행된 무선단말(100)과 폰뱅킹서버(200) 간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과 연동하여 상기 수취인 키워드에 고유한 수취인 식별코드를 부여 및/또는 교환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에 고유한 수취인 식별코드를 부여하거나 데이터망을 통해 교환한 후 이를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매핑하여 저장매체(205)에 저장(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도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 식별코드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무선단말(100)을 이용한 폰뱅킹 거래 시마다 상기 수취인 키워드에 고유한 수취인 식별코드를 부여하거나 데이터망을 통해 교환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계좌정보가 지정된 저장매체(205)에 매핑 등록되기 전, 중, 후의 일 시점에,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등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실시예를 통해 상기 수취인 키워드에 대한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등록받고,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등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실시예를 통해 송금인계좌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송금인계좌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205)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 등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실시예를 통해 상기 송금인계좌정보와 상기 송금인에 대한 송금인 식별코드가 등록되는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송금인계좌정보와 송금인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0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송금인계좌제정보가 등록되기 전, 중, 후의 일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프로그램(120)이 실행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120)이 실행된 무선단말(100)과 폰뱅킹서버(200) 간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과 연동하여 상기 송금인계좌정보와 매핑될 송금인 식별코드를 등록받거나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등록/생성된 송금인 식별코드를 상기 송금인계좌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05)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100)에 상기 송금인 식별코드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으로 상기 송금인 식별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무선단말(100)을 이용한 폰뱅킹 거래 시마다 상기 송금인계좌정보와 매핑된 송금인 식별코드를 생성하거나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과 교환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등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실시예를 통해 수취인계좌를 이용한 거래를 검증하는 거래검증 키워드를 등록받고, 상기 거래검증 키워드를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100)과 폰뱅킹서버(200) 사이에 폰뱅킹 절차를 위한 통화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운영서버(210)는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프로그램(120)의 구동/활성화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을 구동/활성화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21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과 데이터망 기반의 통신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과 폰뱅킹서버(200) 사이에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통화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사용자를 폰뱅킹의 송금인으로 식별/인증하는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과 상기 운영서버(210) 사이에 통신채널이 연결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210)는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구동/활성화된 프로그램(120)의 사용자를 폰뱅킹의 송금인으로 식별/인증하는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운영서버(210)는 상기 폰뱅킹서버(200)와 연동하여 폰뱅킹 거래를 위해 구문 인식 기반의 음성인식이 수행되어야 하는지 판단하며,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으로 음성인식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에서 자체적으로 음성인식 여부를 판단 가능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210)는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음성인식 요청정보를 전송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해당 무선단말(100)의 사운드 입력부(110)를 통해 구문 형태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수취인 키워드를 검출하고, 거래금액을 검출/확인한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사운드 입력부(110)를 통해 구문 형태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전화망을 경유하여 폰뱅킹서버(200)로 수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음성 신호를 녹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거래정보 전달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구문 인식을 기반으로 수취인 키워드(또는 수취인 식별코드)와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생성된 거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210)는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거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래정보는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과 운영서버(210) 사이의 암/복호화 절차를 통해 안전하게 송수신된다.
상기 제1 거래정보 전달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거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운영서버(210)는 상기 수신된 거래정보를 상기 폰뱅킹서버(200)로 중계 전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거래정보에 포함된 수취인 키워드(또는 수취인 식별코드)와 매핑된 수취인계좌정보를 확인하고, 금융서버(220)를 통해 지정된 송금인계좌정보(예컨대, 본인 인증 과정에서 확인된 송금인계좌정보 또는 거래정보에 포함된 송금인 식별코드와 매핑된 송금인계좌정보)에 대응하는 송금인계좌에서 상기 거래금액을 출금하여 상기 수취인계좌정보에 대응하는 수취인계좌로 입금(또는 이체)하는 금융거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매체(205)가 운영서버(210) 측에 구비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210)는 상기 거래정보에 포함된 수취인 키워드(또는 수취인 식별코드)와 매핑된 수취인계좌정보를 확인(송금인계좌정보도 확인 가능)하고, 상기 수취인계좌정보와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상기 폰뱅킹서버(200)로 중계 전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금융서버(220)를 통해 지정된 송금인계좌정보(예컨대, 본인 인증 과정에서 확인된 송금인계좌정보 또는 거래정보에 포함된 송금인 식별코드와 매핑된 송금인계좌정보)에 대응하는 송금인계좌에서 상기 거래금액을 출금하여 상기 수취인계좌정보에 대응하는 수취인계좌로 입금(또는 이체)하는 금융거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거래정보 전달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전송된 거래정보는 상기 폰뱅킹서버(200)로 직접 전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거래정보에 포함된 수취인 키워드(또는 수취인 식별코드)와 매핑된 수취인계좌정보를 확인하고, 금융서버(220)를 통해 지정된 송금인계좌정보(예컨대, 본인 인증 과정에서 확인된 송금인계좌정보 또는 거래정보에 포함된 송금인 식별코드와 매핑된 송금인계좌정보)에 대응하는 송금인계좌에서 상기 거래금액을 출금하여 상기 수취인계좌정보에 대응하는 수취인계좌로 입금(또는 이체)하는 금융거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거래정보 전달 실시예에 따라 거래정보를 수신한 운영서버(210)(또는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금융서버(220)와 연동하여 금융거래 절차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을 통해 화면 출력 가능한 구문 형태의 거래정보 또는 테이블 구조로 도식화한 거래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생성된 거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거래정보를 수신하여 화면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에 상기 음성인식 처리된 거래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기능이 구비된 경우, 상기 과정은 생략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에 상기 거래정보가 화면 출력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을 통해 거래개시(또는 거래동의)에 대응하는 사용자 조작이 확인된 경우에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이를 트리거로 이용하여 상기 금융서버(220)와 연동하여 상기 금융거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거래정보 전달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구문 인식을 기반으로 수취인 식별코드와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단말(100)과 폰뱅킹서버(200) 사이의 통화채널을 통해 송수신 가능한 DTMF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거래정보를 상기 폰뱅킹서버(200)로 송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거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거래정보에 포함된 수취인 키워드(또는 수취인 식별코드)와 매핑된 수취인계좌정보를 확인하고, 금융서버(220)를 통해 지정된 송금인계좌정보(예컨대, 본인 인증 과정에서 확인된 송금인계좌정보 또는 거래정보에 포함된 송금인 식별코드와 매핑된 송금인계좌정보)에 대응하는 송금인계좌에서 상기 거래금액을 출금하여 상기 수취인계좌정보에 대응하는 수취인계좌로 입금(또는 이체)하는 금융거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또는 제2 거래정보 전달 실시예에 따라 거래정보를 전달받은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금융서버(220)와 연동하여 상기 금융거래 절차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무선단말(100)과 연결된 통화채널을 통해 음성멘트 형태로 상기 거래정보를 송출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음성멘트 형태의 거래정보를 수신하여 음성신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음성멘트를 출력한 무선단말(100)로부터 거래개시(또는 거래동의)에 대응하는 DTMF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이를 트리거로 이용하여 상기 금융서버(220)와 연동하여 상기 금융거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금융서버(220)를 통해 수행된 금융거래의 거래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100)과 연결된 통화채널을 통해 음성멘트 형태로 상기 거래결과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폰뱅킹서버(200)로부터 거래결과를 제공받은 운영서버(210))는 상기 무선단말(100)과 연결된 데이터망 기반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거래결과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거래결과를 수신하여 화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문 인식을 위해 무선단말(100)을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가 전화망을 경유하여 폰뱅킹서버(200)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음성 신호를 녹음하는 것 이외에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여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거래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폰뱅킹서버(200)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키워드 저장부(130), 화자인증 저장부(135), 지정금액 저장부(140), 음성인식 판단부(145), 음성인식 처리부(150), 키워드 검출부(160), 키워드 매칭부(165), 금액 확인부(170), 거래정보 생성부(175)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현하는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포함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구문 형태로 음성 인식될 키워드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에서 각종 키워드와 수취인계좌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하는 과정에서 구문 형태로 음성 인식될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연계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키워드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계좌정보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 이외에 다양한 채널을 통해 등록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무선단말(100)에 상기 도면1에 도시된 기능 구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120)이 설치 및/또는 실행되면(300),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송금인계좌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며(305),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송금인계좌정보를 수신하여 송금인 식별코드와 매핑 저장한다(310). 상기 송금인 식별코드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을 통해 입력(또는 추출)되어 전송되거나(305), 또는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를 통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폰뱅킹 절차와 연동하여 구문 형태로 음성 인식될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을 입력받고(315),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매핑될 수취인계좌정보를 입력받은 후(320),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계좌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325),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계좌정보를 수신하고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05)에 저장한다(330).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더 전송할 수 있으며(325), 이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330).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폰뱅킹 절차와 연동하여 구문 형태로 음성 인식될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을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며(335), 상기 수취인 키워드에 대한 거래검증키워드가 입력된 경우(315),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상기 거래검증 키워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335).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폰뱅킹을 위한 전화망 기반 통화채널 연결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무선단말(100)과 폰뱅킹서버(200)가 전화망을 경유하여 폰뱅킹을 위한 통화채널을 연결하고 지정된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통화채널 연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무선단말(100)에서 전화망을 경유하여 호를 발신하고 폰뱅킹서버(200)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폰뱅킹을 위한 통화채널을 연결할 수 있으며(400), 또는 폰뱅킹서버(200)에서 전화망을 경유하여 호를 발신하고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폰뱅킹을 위한 통화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400). 만약 무선단말(100)과 폰뱅킹서버(200) 사이에 폰뱅킹을 위한 통화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사용자를 송금인으로 식별하는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405).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는 본인 인증 절차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폰뱅킹을 위한 데이터망 기반 통신채널 연결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4에 도시된 통화채널 연결 과정과 연동하여 무선단말(100)에 설치된 지정된 프로그램(120)을 구동/활성화하여 데이터망을 경유하는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통신채널 연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폰뱅킹과 연동하여 구문 형태의 음성을 인식하는 프로그램(120)이 구동/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며(500), 상기 프로그램(120)의 구동/활성화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을 구동/활성화하기 위한 절차(예컨대, 앱 구동 푸시 등)를 수행한다(505).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폰뱅킹서버(200)와 전화망 기반의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과정과 연동하거나 또는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와 연동하여 상기 폰뱅킹을 위해 데이터망에 접속하는 프로그램(120)을 구동/활성화하는 절차를 수행한다(510). 만약 상기 프로그램(120)이 구동/활성화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데이터망을 통해 해당 프로그램(120)의 구동/활성화를 식별 가능한 정보를 전달하며(515),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이 구동/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500).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이 구동/활성화된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과 데이터망 기반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며(520), 상기 폰뱅킹서버(200)를 통해 수행되는 폰뱅킹 절차와 연동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을 통해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 여부를 확인한다(525). 만약 상기 폰뱅킹 절차와 연동하여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이 필요한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으로 음성인식을 요청할 수 있다(530).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와 통신채널이 연결된 후, 상기 폰뱅킹서버(200)와 연결된 통화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폰뱅킹 절차를 검출하여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 절차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535).
만약 상기 폰뱅킹 절차를 검출하여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 절차를 수행하도록 결정되거나(535), 또는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로부터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 절차를 수행하도록 요청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을 유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540).
한편 상기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폰뱅킹서버(200)와 무선단말(100)은 상기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이 확인될 때까지 전화망을 경유하는 폰뱅킹 절차를 수행한다(545).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폰뱅킹 절차와 연동하는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폰뱅킹 중에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이 확인되거나 또는 하기 도면7 또는 도면8에 도시된 거래정보 생성 과정 중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무선단말(100)의 사운드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통해 N개의 단어를 포함하는 구문을 음성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음성인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폰뱅킹 중에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이 확인되거나 또는 하기 도면7 또는 도면8에 도시된 거래정보 생성 과정 중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사운드 입력부(110)를 통해 구문 형태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600), 상기 구문 형태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구문 형태의 음성 신호에 포함된 N개의 단어를 확인한다(620).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사운드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전화망을 경유하여 폰뱅킹서버(200)로 송출하며(605),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전화망을 경유하여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610), 상기 전화망을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녹음한다(615).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사운드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가 상기 폰뱅킹서버(200)로 수신되는 경우 본 도면6에 도시된 과정 내지 하기의 도면7 또는 도면8에 도시된 거래정보 생성 과정은 상기 폰뱅킹서버(2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폰뱅킹서버(200)를 통해 구문 형태의 음성을 인식하고 거래정보를 생성하는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문 형태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음성 신호에 대한 화자 인증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화자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개의 단어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에 대한 화자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625). 만약 상기 N개의 단어를 포함하는 구문 형태의 음성 신호를 발화한 화자가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음성 신호를 통해 인식된 N개의 단어를 폐기하며(630), 상기 구문 형태의 음성 신호에 대한 화자 인증 오류를 출력한다(635).
도면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을 통한 거래정보 생성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이 연계 등록되고 상기 도면6에 도시된 음성인식 과정을 통해 구문 형태의 음성 신호로부터 N개의 단어가 확인되거나 상기 N개의 단어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의 화자 인증이 확인된 경우, 구문 형태로 인식된 N개의 단어를 기반으로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거래정보 생성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이 연계 등록되고 상기 도면6에 도시된 음성인식 과정을 통해 구문 형태의 음성 신호로부터 N개의 단어가 확인되거나 상기 N개의 단어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의 화자 인증이 확인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도면6의 과정을 통해 확인된 N개의 단어 중 수취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를 포함하고 수취인검증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를 포함하는 n개의 키워드 단어를 검출한다(700). 만약 상기 n개의 키워드 단어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폰뱅킹을 위한 음성인식 오류를 화면 출력하며(705), 상기 도면6의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개의 키워드 단어가 검출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검출된 n개의 키워드 단어의 조합 구조를 판독하여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 구조와 매칭되는지 판별한다(710). 만약 상기 n개의 키워드 단어의 조합 구조가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 구조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폰뱅킹을 위한 음성인식 오류를 화면 출력하며(705), 상기 도면6의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개의 키워드 단어의 조합 구조가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 구조와 매칭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N개의 단어 중 금액 단어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수취인 키워드와 매핑된 금액 정보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폰뱅킹 거래를 위해 입력된 금액을 확인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금액을 확인한다(715). 만약 상기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금액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폰뱅킹을 위한 음성인식 오류를 화면 출력하며(705), 상기 도면6의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금액이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생성한다(720), 상기 거래정보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매핑된 수취인 식별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및/또는 상기 전화망을 통해 송금인이 식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송금인을 식별하는 송금인 식별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폰뱅킹서버(200)로 상기 거래정보를 송출하거나(725), 또는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로 상기 거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725).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지정된 망(예컨대, 전화망 또는 데이터망)과 경로(예컨대, 무선단말(100)과 폰뱅킹서버(200) 간 직접 경로 또는 운영서버(210)를 경유하는 중계 경로 등)를 경유하여 거래정보를 수신하고(730), 상기 수신된 거래정보에 포함된 수취인 키워드와 거래금액을 확인한다(735).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거래정보에 수취인 식별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거래정보에 포함된 수취인 식별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거래정보에 송금인 식별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거래정보에 포함된 송금인 식별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거래정보에 포함된 수취인 키워드(또는 수취인 식별코드)가 확인된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또는 수취인 식별코드)와 매핑된 수취인계좌정보를 확인한다(740).
도면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을 통한 거래정보 생성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이 연계 등록되고 상기 도면6에 도시된 음성인식 과정을 통해 구문 형태의 음성 신호로부터 N개의 단어가 확인되거나 상기 N개의 단어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의 화자 인증이 확인된 경우, 구문 형태로 인식된 N개의 단어를 기반으로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N개의 단어 중 거래검증 키워드의 유효성을 인증하여 거래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거래정보 생성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이 연계 등록되고 상기 도면6에 도시된 음성인식 과정을 통해 구문 형태의 음성 신호로부터 N개의 단어가 확인되거나 상기 N개의 단어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의 화자 인증이 확인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도면6의 과정을 통해 확인된 N개의 단어 중 수취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를 포함하고 수취인검증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를 포함하는 n개의 키워드 단어를 검출한다(800). 만약 상기 n개의 키워드 단어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폰뱅킹을 위한 음성인식 오류를 화면 출력하며(805), 상기 도면6의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개의 키워드 단어가 검출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검출된 n개의 키워드 단어의 조합 구조를 판독하여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 구조와 매칭되는지 판별한다(810). 만약 상기 n개의 키워드 단어의 조합 구조가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 구조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폰뱅킹을 위한 음성인식 오류를 화면 출력하며(805), 상기 도면6의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개의 키워드 단어의 조합 구조가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 구조와 매칭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N개의 단어 중 거래검증 키워드를 검출한다(815). 만약 상기 거래검증 키워드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폰뱅킹을 위한 음성인식 오류를 화면 출력하며(805), 상기 도면6의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래검증 키워드가 검출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검출된 거래검증 키워드의 유효성을 인증한다(820). 예를들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검출된 거래검증 키워드와 다른 키워드(예컨대, 수취인 키워드 또는 수취인검증 키워드 등)와의 배치 순서를 비교 인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거래검증 키워드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폰뱅킹을 위한 음성인식 오류를 화면 출력하며(805), 상기 도면6의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래검증 키워드가 검출된 것만으로도 거래검증 키워드의 유효성이 인증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별도의 거래검증 키워드 인증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래검증 키워드가 검출되거나 또는 상기 검출된 거래검증 키워드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N개의 단어 중 금액 단어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수취인 키워드와 매핑된 금액 정보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폰뱅킹 거래를 위해 입력된 금액을 확인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금액을 확인한다(825). 만약 상기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금액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폰뱅킹을 위한 음성인식 오류를 화면 출력하며(805), 상기 도면6의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금액이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생성한다(830), 상기 거래정보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매핑된 수취인 식별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및/또는 상기 전화망을 통해 송금인이 식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송금인을 식별하는 송금인 식별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폰뱅킹서버(200)로 상기 거래정보를 송출하거나(835), 또는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로 상기 거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835).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지정된 망(예컨대, 전화망 또는 데이터망)과 경로(예컨대, 무선단말(100)과 폰뱅킹서버(200) 간 직접 경로 또는 운영서버(210)를 경유하는 중계 경로 등)를 경유하여 거래정보를 수신하고(840), 상기 수신된 거래정보에 포함된 수취인 키워드와 거래금액을 확인한다(845).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거래정보에 수취인 식별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거래정보에 포함된 수취인 식별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거래정보에 송금인 식별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거래정보에 포함된 송금인 식별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거래정보에 포함된 수취인 키워드(또는 수취인 식별코드)가 확인된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또는 수취인 식별코드)와 매핑된 수취인계좌정보를 확인한다(850).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음성인식 기반의 거래정보를 폰뱅킹 거래에 적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상기 도면7 또는 도면8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거래정보를 폰뱅킹 거래에 적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폰뱅킹 적용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7 또는 도면8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구문 형태의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거래정보에 포함된 수취인 키워드(또는 수취인 식별코드)와 매핑된 수취인계좌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지정된 금융서버(220)로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폰뱅킹 기반 금융업무를 요청하며(900), 상기 금융서버(220)는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금융업무를 처리한다(905). 상기 금융업무가 완료 또는 중지되면, 상기 금융서버(220)는 상기 금융업무에 대한 거래결과를 생성하여 폰뱅킹서버(200)로 응답하며(910),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폰뱅킹 기반 금융업무의 거래결과를 확인한다(915).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거래결과가 확인되면, 상기 폰뱅킹서버(200)는 상기 무선단말(100)과 연결된 전화망 기반의 통화채널을 통해 음성멘트 형태의 거래결과를 송출하며(92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는 통화채널을 통해 상기 음성멘트 형태의 거래결과를 수신하여 음성 출력한다(925).
한편 상기 거래정보에 대응하는 거래결과가 확인된 경우, 상기 폰뱅킹서버(200)(또는 운영서버(210))는 데이터망을 통해 전송할 거래결과를 생성하고(930),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폰뱅킹서버(200)와 통화채널이 연결된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으로 상기 거래결과를 전송하며(935),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20)은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거래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거래결과를 무선단말(100)의 화면에 출력한다(940).
100 : 무선단말 110 : 사운드 입력부
120 : 프로그램 125 : 구동/활성화부
130 : 키워드 저장부 135 : 화자인증 저장부
140 : 지정금액 저장부 145 : 음성인식 판단부
150 : 음성인식 처리부 155 : 화자인증 처리부
160 : 키워드 검출부 165 : 키워드 매칭부
170 : 금액 확인부 175 : 거래정보 생성부
180 : 폰뱅킹 적용부 200 : 폰뱅킹서버
210 : 운영서버 220 : 금융서버

Claims (13)

  1. 전화망과 데이터망에 다중 접속 가능한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등록한 수취인계좌를 식별하는 수취인 키워드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수취인 키워드를 이용한 수취인계좌 식별을 검증하는 수취인검증 키워드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을 지정된 횟수 이상 발화 유도하여 사용자 음성에 대한 화자 특징을 추출한 후 상기 화자 특징을 인증하기 위한 화자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무선단말에서 상기 전화망을 통해 통화채널을 연결하여 폰뱅킹 시, 상기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구문 형태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된 N(N≥2)개의 단어를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N개의 단어 중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와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 단어를 포함하는 n(2≤n≤N)개의 키워드 단어를 검출하고, 상기 N개의 단어를 발화한 사용자 음성에 대한 화자 특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화자 특징이 상기 저장된 화자 인증정보와 허용된 오차 범위 이내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인증하여 상기 N개의 단어를 상기 사용자 본인이 발화한 것인지 화자 인증하는 제3 단계;
    상기 N개의 단어를 사용자 본인이 발화한 것으로 화자 인증되고 상기 N개의 단어 중 수취인검증 키워드 내지 수취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n개의 키워드 단어가 검출된 경우, 상기 검출된 n개의 키워드 단어를 근거로 폰뱅킹 거래를 위한 거래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는 폰뱅킹 거래에 상기 거래정보를 적용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구문 형태로 결합되는 키워드 단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인검증 키워드는,
    구문 구조 상 상기 수취인 키워드의 수식어, 상기 수취인 키워드의 관형사, 상기 수취인 키워드를 표현하는 형용사, 상기 수취인 키워드를 서술하는 동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검출된 n개의 키워드 단어의 조합 구조를 판독하여 기 등록된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조합 구조와 매칭되는지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배치 순서를 식별하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검출된 키워드 단어의 배치 순서가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수취인검증 키워드의 배치 순서와 매칭되는지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수취인계좌를 이용한 거래를 검증하는 거래검증 키워드를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N개의 단어 중 상기 거래검증 키워드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래정보는, 상기 거래검증 키워드를 통해 검증된 거래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N개의 단어 중 금액 단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래정보는, 상기 검출된 금액 단어에 대응하는 거래금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지정된 금액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래정보는, 상기 수취인 키워드와 연계된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거래금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화면에 상기 생성된 거래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검출된 키워드 단어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검출된 키워드 단어와 매칭되는 수취인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거래정보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KR1020150059382A 2015-04-28 2015-04-28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KR101707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382A KR101707086B1 (ko) 2015-04-28 2015-04-28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382A KR101707086B1 (ko) 2015-04-28 2015-04-28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911A KR20160127911A (ko) 2016-11-07
KR101707086B1 true KR101707086B1 (ko) 2017-02-15

Family

ID=5752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382A KR101707086B1 (ko) 2015-04-28 2015-04-28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0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928B1 (ko) * 2007-04-26 2008-04-08 (주)부성큐 휴대 단말기의 음성 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101427040B1 (ko) * 2013-03-22 2014-08-05 박동기 음성인식을 이용한 스마트기기용 거래정보 입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산 관리를 위한 정보 입력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809A (ko) * 2009-06-04 2010-12-14 유비벨록스(주) 음향 인식 기반의 주문과 음성 또는 영상 인식 기반의 인증을 통한 음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KR20140066467A (ko) * 2012-11-23 2014-06-02 주식회사 우리은행 음성 인식을 이용한 계좌 이체 처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928B1 (ko) * 2007-04-26 2008-04-08 (주)부성큐 휴대 단말기의 음성 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101427040B1 (ko) * 2013-03-22 2014-08-05 박동기 음성인식을 이용한 스마트기기용 거래정보 입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산 관리를 위한 정보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911A (ko) 201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74201A1 (en) Continuous authentication of the identity of a speaker
US20120011007A1 (en) Mobile Payment Using DTMF Signaling
JP6032626B2 (ja) Nfc認証カードを用いた認証方法
CN105894283A (zh) 一种基于语音控制的移动支付方法和装置
RU2439702C2 (ru)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транзакции между двумя серверами с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проверкой достоверности посредством двух мобильных телефонов
WO20201021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network voice authentication
CN104217328A (zh) 一种多重验证的支付方法及装置
CN104734750B (zh) 盾及其工作方法、移动终端签名方法、移动终端及系统
US10769630B2 (en) Mobile person to person voice payment
KR20120061022A (ko)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망의 발신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발신측 장치, 착신 단말 및 프로그램
KR20200006204A (ko) 데이터 추출을 통한 사용자 검증 방법
KR102040100B1 (ko) 일회용 패스워드(One Time Password; OTP) 기반 모바일 자동 결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707086B1 (ko) 이종 망 연동을 이용한 구문 인식 기반의 폰뱅킹 제공 방법
KR101055934B1 (ko) 발신자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폰과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2460516B1 (ko) 언어 학습 평가 방법
KR20200092779A (ko) 음성기반 본인 인증 및 전자서명
US20230259928A1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ayment of a good or service by means of voice commands
KR20180124180A (ko) 블루투스 이어셋을 이용한 거래 방법
RU2015112023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финансовых транзакций
TW201824845A (zh) 語音應答支付系統及其方法
KR101758965B1 (ko) Ars를 이용하는 결제 인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124181A (ko) 블루투스 이어셋을 이용한 거래 방법
US20230120373A1 (en) Strong authentication of a user of a communication terminal
KR20200039210A (ko) 컴퓨터 프로그램
KR20150129301A (ko)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화망의 발신자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