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022B1 -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022B1
KR101706022B1 KR1020160143094A KR20160143094A KR101706022B1 KR 101706022 B1 KR101706022 B1 KR 101706022B1 KR 1020160143094 A KR1020160143094 A KR 1020160143094A KR 20160143094 A KR20160143094 A KR 20160143094A KR 101706022 B1 KR101706022 B1 KR 101706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ground
film
ground plan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애
Original Assignee
이미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애 filed Critical 이미애
Priority to KR1020160143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6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being mounted on a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체의 상면에 접지면과 접지선을 구비하는 접지필름을 형성하여 전기적 안전성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전자파 및/또는 정전기가 차단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극선(15)과 제2극선(16)이 양측 단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발열체(90), 및 발열체(9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지필름(95)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에 있어서, 접지필름(95)은, 절연필름(70); 절연필름(70)의 하면에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과 겹치지지 않도록 외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지선(96); 및 접지선(96)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형성되는 접지면(97);을 포함하며, 접지면(97)에는 접지면(97)이 형성되지 않는 연결부(98)가 형성되고, 연결부(98)는 제1극선(15) 및 제2극선(16)의 상부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Heating element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발열체의 상면에 접지면과 접지선을 구비하는 접지필름을 형성하여 전기적 안전성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전자파 및/또는 정전기가 차단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가 인가되어 발열하는 통상의 발열체는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아 위생적일 뿐 아니라 그 온도조절이 용이하고 소음이 없기 때문에 발열을 요하는 매트나 패드, 침대 매트리스, 보온 이불이나 담요, 아파트나 일반주택 등의 주거용 난방장치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게다가 사무실이나 상점 등 상업용 건물의 난방장치, 작업장이나 창고, 막사 등의 산업용 난방장치와 각종 산업용 가열장치, 비닐하우스와 농산물 건조시스템과 같은 농업용 설비, 도로나 주차장의 눈을 녹이거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각종 동결방지장치를 비롯하여 레저용, 방한용, 가전제품, 거울이나 유리의 김 서림 방지장치, 건강보조용, 축산용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발열체는 전원 인가시 넓은 면적의 도전체에 전류가 흐르는 구조이므로, 통전되는 발열체 주위에 다른 대전되는 물질이 놓이면, 발열체 면적에 비례하여 유도전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유도전류가 흐른다. 통상 전기를 사용하는 제품은 전자파 및 유도전류는 물론 정전기가 발생하는데, 발열체의 경우 도전체 면적이 넓어 유해전류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어 실생활에서 인체에 많은 불쾌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유해하다고 알려져있다.
발열체를 사용하는 전기난방이 갖는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09170호 ‘발열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유도전류, 정전기 방지하는 방사체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전자파 수용 물질인 탄소체가 별도로 마련된 부재에 전체적으로 도포되어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제작과 보수 등이 번거러워서 경제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적으로 발열체는 일정 폭을 가지면서 롤의 형태로 감겨있고,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발열체에 접지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면, 접지 부분과 발열체의 발열부가 연결되어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열체의 상면에 접지필름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해질 뿐 아니라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더라도 망사원단과 접지면이 연결되지 않아서 전기적으로 안정성이 확보되며, 전자파 및 정전기가 차단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극선과 제2극선이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지필름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접지필름은, 절연필름; 상기 절연필름의 하면에 상기 제1극선 또는 제2극선과 겹치지 않도록 제1극선 또는 제2극선의 외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지선; 및 상기 접지선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접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접지면에는 접지면이 형성되지 않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극선 및 제2극선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격 공간을 따라 가로로 절단하더라도 상기 접지면과 망사원단이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접지선이 상기 제1극선 및 제2극선과 연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극선과 제2극선이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지필름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접지필름은, 절연필름; 상기 절연필름의 상면에 상기 제1극선 또는 제2극선과 겹치지 않도록 제1극선 또는 제2극선의 외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지선; 상기 접지선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접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접지면에는 접지면이 형성되지 않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극선 및 제2극선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격 공간을 따라 가로로 절단하더라도 상기 접지면과 망사원단이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접지선이 상기 제1극선 및 제2극선과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발열체의 하면에 절연필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접지선과 접지면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의 상면 또는 하면에 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다수의 위사와 경사가 망사구조로 직조되어 섬유 망사가 형성되고, 제1극선이 상기 섬유 망사의 우측에 상기 경사와 나란히 형성되며, 제2극선이 상기 섬유 망사의 좌측에 상기 경사와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섬유 망사의 표면에 카본 코팅층이 형성되는 망사원단; 및 상기 망사원단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접지선은 구리 박막 또는 알루미늄 박막으로 형성되거나 실버 인쇄로 형성되고, 상기 접지면은 구리 박막 또는 알루미늄 박막으로 형성되거나 카본 박막 또는 카본 인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극선 또는 제2극선에는 접속단자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접속단자는 연결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지면과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제1극선 또는 제2극선의 상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판; 및 상기 제1극선 또는 제2극선의 하부에 상기 상부판과 상하로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면에는 상기 제1극선 또는 제2극선에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돌기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판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결합구가 형성되는 하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은 압착에 의해 상기 관통공의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상부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망사원단이 성형롤러로 공급되는 제1단계; 상기 성형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방 및 후방 분사구가 상기 망사원단의 전면과 후면에 수지액을 도포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후방 분사구와 성형롤러의 사이로 상기 접지필름이 공급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분사구와 성형롤러의 사이로 절연필름이 공급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열체의 상면에 접지필름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고,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더라도 망사원단과 접지면이 연결되지 않아서 전기적으로 안정성이 확보되며, 전자파 및 정전기가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섬유 망사의 표면에 카본 코팅층을 형성하여 원적외선이 방사될 뿐만 아니라 극선과 전선이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결합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접지필름이 결합된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접지필름에서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은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B-B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를 상부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를 하부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에서 발열체와 접지필름이 분리된 것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접지필름이 결합된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극선(15)과 제2극선(16)이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발열체(90), 및 발열체(9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지필름(95)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에 있어서, 접지필름(95)은, 절연필름(70); 절연필름(70)의 하면에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과 겹치지지 않도록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의 외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지선(96); 및 접지선(96)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격 공간(93)이 형성되는 접지면(97);을 포함하며, 접지면(97)에는 접지면(97)이 형성되지 않는 연결부(98)가 형성되고, 연결부(98)는 제1극선(15) 및 제2극선(16)의 상부에 위치한다.
발열체(90)는, 다수의 위사(11)와 경사(12)가 망사구조로 직조되어 섬유 망사(13)가 형성되고, 제1극선(15)이 섬유 망사(13)의 우측에 경사(12)와 나란히 형성되며, 제2극선(16)이 섬유 망사(13)의 좌측에 경사(12)와 나란히 형성되고, 섬유 망사(13)의 표면에 카본 코팅층이 형성되는 망사원단(10); 및 망사원단(1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는 절연층(20);을 포함한다.
망사원단(10)은 카본 코팅층이 표면에 형성되는 섬유 망사(13), 제1극선(15) 및 제2극선(16)을 포함한다.
다수의 위사(11)와 경사(12)가 망사구조로 직조되어 섬유 망사(13)가 형성되는데, 위사(11)와 경사(12)로는 섬유사를 꼬아서 만든 원사가 씨실과 날실로 사용되어 망사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섬유사로는 면사, 모사, 견사, 마사, 혼방사, 또는 합성사 등의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섬유 망사(13)의 우측에는 경사(12)와 나란히 적어도 하나의 제1극선(15)이 형성되고, 섬유 망사(13)의 좌측에 경사(12)와 나란히 적어도 하나의 제2극선(16)이 형성되며, 제1극선(15)과 제2극선(16)은 가는 철선으로 만들어지고,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제1극선(15)과 제2극선(16)으로는 철선 외에도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은, 백금, 알루미늄, 니켈, 크롬, 니크롬 등의 다양한 재질의 금속선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배치되는 제1극선(15)과 제2극선(16)의 수는 전압 및 발열량 등의 허용용량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섬유 망사(13)의 우측과 좌측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극선(15)과 제2극선(16)도 날실에 해당하므로 위사(11)와 같이 직조되어 전체적으로 망사구조를 형성한다. 다수의 제1극선(15)과 제2극선(16)으로 인하여 섬유 망사(13)의 우측과 좌측은 더 촘촘해진다.
우측에 제1극선(15)이 형성되고 좌측에 제2극선(16)이 형성된 섬유 망사(13)는 카본 및/또는 나노 카본 혼합물에 함침된 후 건조되므로 섬유 망사(13), 제1극선(15) 및 제2극선(16)의 표면에 카본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혼합물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이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 받은 등록번호 제10-1316762호(망사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혼합물로는 본 출원인이 특허등록 받은 발명 외에도 카본 및/또는 나노 카본이 포함된 다양한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위사(11)와 경사(12)로 탄소섬유가 사용되면, 위사(11), 경사(12), 제1극선(15) 및 제2극선(16)이 직조되어 형성되는 섬유 망사(13)는 카본 및/또는 나노 카본 혼합물에 함침될 필요가 없으므로 제1극선(15) 및 제2극선(16)의 표면에 상기 카본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표면에 상기 카본 코팅층이 형성된 섬유 망사(13)는 탄소 섬유로 직조된 섬유 망사(13)로 대체될 수 있다.
표면에 카본 코팅층이 형성된 위사(11)를 대신하여 카본 발열선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경사(11)를 대신하여 카본 발열선이 세로 방향으로 더 형성될 수 있다. 발열부는 카본 발열선, 제1극선(15) 및 제2극선(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본 발열선의 우측에 세로 방향으로 제1극선(15)이 형성되고, 상기 카본 발열선의 좌측에 세로 방향으로 제2극선(16)이 형성된다.
필름의 상면에 카본 및/또는 나노 카본 혼합물이 패턴 인쇄되고, 상기 패턴 인쇄의 우측과 좌측에 제1극선과 제2극선으로서 구리 박막 또는 알루미늄 박막 등이 형성되는 것을 망사원단(10)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망사원단(10) 또는 절연층(20)이 형성된 망사원단(10)은 종래의 다양한 형태의 발열체로 교체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망사원단(10)의 상면과 하면에는 절연층(20)이 형성되는데, 절연층(20)은 망사원단(10)의 상면과 하면에 도포되는 수지액이 경화된 것이며, 상기 수지액으로는 폴리우레탄계 또는 폴리에틸렌계 등의 다양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절연층(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지필름(95)은 절연필름(70), 접지선(96) 및 접지면(97)을 포함하는데, 절연필름(70)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PE) 필름 또는 폴리우레탄 필름 등의 다양한 재질의 필름이 사용될 수 있고, 절연필름(7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접지선(96)은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극선의 외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접지선(96)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지면(97)에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격 공간(93)이 형성되고, 접지면(97)의 세로 방향으로 이격된 이격 공간(93)을 따라 절개선(미도시)이 가로 방향의 점선으로 절연필름(7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원하는 크기의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로 절단할 때에 이격 공간(93)에 표시된 상기 절개선을 따라 가로로 절단하면, 접지면(97)과 망사원단(10)이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접지선(96)이 상기 극선의 외측에 위치하여 접지선(96)과 상기 극선이 연결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접지선(96)으로는 구리 박막 또는 알루미늄 박막 등의 전기전도성이 뛰어난 재질이 사용되거나 전도성 잉크 또는 전도성 페이스트가 인쇄되는 실버 인쇄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접지면(97)으로는 구리 박막, 알루미늄 박막, 카본 박막 또는 카본 인쇄 등의 통전가능한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접지선(96)과 접지면(97)은 접착의 형태 또는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선(96)과 접지면(97)의 하면에 절연층(20)을 형성하고, 절연층(20)의 하면에 필름(99)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필름(99)으로는 PET 필름, PE 필름 또는 폴리우레탄 필름 등의 다양한 재질의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접지필름(95)은 절연필름(70), 접지선(96), 접지면(97), 절연층(20) 및 필름(99)을 포함할 수 있다.
발열체(90)의 상면에 접지필름(95)이 형성되는데, 망사원단(10)의 전면과 후면에 수지액을 녹여 내리면서 상기 수지액의 후방에 접지필름(95)을 공급하면, 수지액이 경화되면서 절연층(20)이 형성되고, 망사원단(10)과 접지필름(95)은 한 번의 공정으로 절연층(20)을 통하여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망사원단(10)의 전면에 도포되는 상기 수지액의 전방에 절연필름(70)을 추가로 공급하여 발열체(90)의 하면에 절연필름(7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접지필름에서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은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에서 발열체와 접지필름이 분리된 것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극선(15)과 제2극선(16)이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발열체(90), 및 발열체(9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지필름(95)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에 있어서, 접지필름(95)은, 절연필름(70); 절연필름(70)의 상면에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과 겹치지 않도록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의 외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지선(96); 및 접지선(96)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격 공간(93)이 형성되는 접지면(97);을 포함하며, 접지면(97)에는 접지면(97)이 형성되지 않는 연결부(98)가 형성되고, 연결부(98)는 제1극선(15) 및 제2극선(16)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발열체(9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지필름(95)은 절연필름(70), 접지선(96) 및 접지면(97)을 포함하는데, 접지선(96)과 접지면(97)이 형성된 절연필름(70)의 상면에 절연층(20)을 형성할 수 있고, 절연층(20)의 상면에 필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발열체(90)의 하면에 절연필름(7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를 상부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를 하부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이다.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에는 접속단자(100)가 연결될 수 있고, 접속단자(100)는 연결부(98)에 형성되어 접지면(97)과 연결되지 않는다. 이때, 접속단자(100)는,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의 상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관통공(112)이 형성되는 상부판(110); 및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의 하부에 상부판(110)과 상하로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면에는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에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돌기(12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관통공(112)을 관통하여 상부판(11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결합구(122)가 형성되는 하부판(120);을 포함하고,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은 압착에 의해 관통공(112)의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부판(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부(122a)에 의해 상호 결합한다.
접속단자(100)는 통전이 잘되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소정두께의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을 포함하고, 상부판(110)은 접지필름(95)의 연결부(98)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판(120)은 발열체(90)의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의 하부에 위치하여 프레스기 등과 같은 압착수단에 의해 상하 결합함으로써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부판(110)은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관통공(112)이 형성되고, 관통공(112)의 외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비드(115; bead)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에 전기 접속하는 다수의 보강돌기(111)가 형성된다.
하부판(120)은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의 하부에 상부판(110)과 상하로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관통공(112)을 관통하여 상부판(11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결합구(122)가 중앙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돌출되는 비드(125)가 결합구(122)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면에는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에 전기 접속하는 다수의 접속돌기(121)가 형성된다.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이 상하로 결합할 때, 보강돌기(111)와 접속돌기(121)는 상호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고, 보강돌기(111)와 접속돌기(121)의 상단부는 테이퍼지거나 톱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구(122)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하부판(12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판(110)과의 압착에 의해 결합구(122)는 발열체(90)와 접지필름(95)을 뚫고 관통공(112)을 통과하여 관통공(112)의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부판(110)의 상면에 결합하는 결합부(122a)를 형성한다.
결합부(122a)는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의 프레스 가공 또는 타격에 의해 관통공(112)을 관통하는 결합구(122)의 상부가 관통공(112)의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부판(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결합부(122a)에 의해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이 기계적으로 단단히 결합되고, 접속돌기(121) 및/또는 보강돌기(111)는 절연층(20) 및/또는 절연필름(70)을 뚫고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접지선(96)에 전선이 연결되어 외부로 배출되거나 접지선(96) 및/또는 접지면(97)에 접속단자(100)가 연결될 수 있고, 접지선(96) 및/또는 접지면(97)에 연결되는 접속단자(100)는 제1극선(15) 및 제2극선(16)과 연결되지 않는다. 이때, 접속단자(100)는, 접지선(96)의 상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관통공(112)이 형성되는 상부판(110); 및 접지선(96)의 하부에 상부판(110)과 상하로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면에는 접지선(96)에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돌기(12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관통공(112)을 관통하여 상부판(11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결합구(122)가 형성되는 하부판(120);을 포함하고,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은 압착에 의해 관통공(112)의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부판(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부(122a)에 의해 상호 결합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1단계는 망사원단(10)이 한 쌍의 성형롤러(130)의 사이로 공급되는 공정으로서, 망사원단(10)을 대신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극선(15)과 제2극선(16)이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양한 발열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제2단계는 성형롤러(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방 및 후방 분사구(131, 132)가 망사원단(10)의 전면과 후면에 수지액을 도포하는 공정으로서, 수지액이 성형롤러(130)를 통과하면서 망사원단(10)의 전면과 후면에 균일하게 도포된 후에 경화되어 절연층(20)을 형성한다.
제3단계는 후방 분사구(132)와 성형롤러(130)의 사이로 접지필름(95)이 공급되는 공정으로서, 후방 분사구(132)에서 공급되는 수지액이 망사원단(10)과 접지필름(95)을 일체로 결합한다. 이때, 제3단계의 접지필름(95)이 하부에서 상부로 절연필름(70); 및 접지선(96)과 접지면;을 포함하면,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는 하부에서 상부로 절연층(20); 망사원단(10); 절연층(20); 접지선(96)과 접지면; 및 절연필름(70);을 포함한다. 또한, 제3단계의 접지필름(95)이 하부에서 상부로 접지선(96)과 접지면; 및 절연필름(70);을 포함하면,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는 하부에서 상부로 절연층(20); 망사원단(10); 절연층(20); 절연필름(70); 및 접지선(96)과 접지면;을 포함한다. 즉, 제3단계의 접지필름(95)의 상하에 위치하는 구성요소에 따라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의 상하에 위치하는 구성요소가 변경된다.
제4단계는 전방 분사구(131)와 성형롤러(130)의 사이로 절연필름(70)이 공급되는 공정으로서, 전방 분사구(131)에서 공급되는 수지액이 망사원단(10)과 절연필름(70)을 일체로 결합하여 발열체(90)의 하면에 절연필름(70)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전선(30)과 제2전선(40)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전류는 제1극선(15)에서 제2극선(16)으로 흐르거나 제1극선(15)에서 제2극선(16)으로 흐른다. 이때, 제1전선(30)은 전선연결구(113)와 압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전선(40)은 다른 전선연결구(113)와 압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공급된 전원이 안정적으로 제1극선(15)과 제2극선(16)으로 전달된다.
만약 제1전선(30)으로 전류가 공급되면, 제1극선(15)에서는 전류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흐르면서 섬유 망사(13)을 따라 제2극선(16)으로 흐른다. 제2극선(16)에서는 전류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흐른 후에 제2전선(40)을 통해 빠져나간다.
이때, 발열체(90)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및/또는 정전기는 접지면(97)에 흡수되어 접지선(96)을 따라 외부로 방출되고, 발열체(90)가 과열되어 접지면(97)과 망사원단(10)이 연결되면, 공급되는 전기가 차단되어 발열체(90)의 전기적 안정성이 보장된다.
즉, 제1극선(15)과 제2극선(16)에 공급된 전류에 의해 표면에 상기 카본 코팅층이 형성된 망사원단(10)은 균일하게 열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접지면(97)에 의해 전자파 및/정전기가 차단되며, 발열체(90)가 국소적으로 과열되어 절연층(20)이 녹아서 접지면(97)과 망사원단(10)이 연결되더라도 전기가 차단되어 전기적 안정성이 훨씬 향상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망사원단 11: 위사
12: 경사 13: 섬유 망사
15: 제1극선 16: 제2극선
20: 절연층 30: 제1전선
40: 제2전선 70: 절연필름
90: 발열체 93: 이격 공간
95: 접지필름 96: 접지선
97: 접지면 98: 연결부
99: 필름 100: 접속단자
110: 상부판 111: 보강돌기
112: 관통공 113: 전선연결구
115, 125: 비드 120: 하부판
121: 접속돌기 122: 결합구
122a: 결합부 130: 성형롤러
131: 전방 분사구 132: 후방 분사구

Claims (10)

  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극선(15)과 제2극선(16)이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발열체(90), 및 상기 발열체(9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지필름(95)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접지필름(95)은, 절연필름(70);
    상기 절연필름(70)의 하면에 상기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의 외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지선(96); 및
    상기 접지선(96)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격 공간(93)이 형성되는 접지면(97);을 포함하며,
    상기 접지면(97)에는 접지면(97)이 형성되지 않는 연결부(98)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98)는 상기 제1극선(15) 및 제2극선(16)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격 공간(93)을 따라 가로로 절단하더라도 상기 접지면(97)과 망사원단(10)이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접지선(96)이 상기 제1극선(15) 및 제2극선(16)과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
  2.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극선(15)과 제2극선(16)이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발열체(90), 및 상기 발열체(9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지필름(95)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접지필름(95)은, 절연필름(70);
    상기 절연필름(70)의 상면에 상기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의 외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지선(96); 및
    상기 접지선(96)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접지면(97);을 포함하며,
    상기 접지면(97)에는 접지면(97)이 형성되지 않는 연결부(98)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98)는 상기 제1극선(15) 및 제2극선(16)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격 공간(93)을 따라 가로로 절단하더라도 상기 접지면(97)과 망사원단(10)이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접지선(96)이 상기 제1극선(15) 및 제2극선(16)과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90)의 하면에 절연필름(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96)과 접지면(97)의 상면에 절연층(20)이 형성되고, 상기 발열체(90)의 하면에 절연필름(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96)과 접지면(97)의 하면에 절연층(20)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층(20)의 하면에 필름(9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90)는, 다수의 위사(11)와 경사(12)가 망사구조로 직조되어 섬유 망사(13)가 형성되고, 제1극선(15)이 상기 섬유 망사(13)의 우측에 상기 경사(12)와 나란히 형성되며, 제2극선(16)이 상기 섬유 망사(13)의 좌측에 상기 경사(12)와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섬유 망사(13)의 표면에 카본 코팅층이 형성되는 망사원단(10); 및 상기 망사원단(1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는 절연층(20);을 포함하며,
    상기 접지선(96)은 구리 박막 또는 알루미늄 박막으로 형성되거나 실버 인쇄로 형성되고,
    상기 접지면(97)은 구리 박막 또는 알루미늄 박막으로 형성되거나 카본 박막 또는 카본 인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에는 접속단자(100)가 연결되고, 상기 접속단자(100)는 연결부(98)에 형성되어 상기 접지면(97)과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100)는,
    상기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의 상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관통공(112)이 형성되는 상부판(110); 및
    상기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의 하부에 상기 상부판(110)과 상하로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면에는 상기 제1극선(15) 또는 제2극선(16)에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돌기(12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관통공(112)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판(11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결합구(122)가 형성되는 하부판(12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은 압착에 의해 상기 관통공(112)의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상부판(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부(122a)에 의해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
  9. 망사원단(10)이 성형롤러(130)로 공급되는 제1단계;
    상기 성형롤러(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방 및 후방 분사구(131, 132)가 상기 망사원단(10)의 전면과 후면에 수지액을 도포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후방 분사구(132)와 성형롤러(130)의 사이로 접지필름(95)이 공급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망사원단(10)은, 다수의 위사(11)와 경사(12)가 망사구조로 직조되어 형성되는 섬유 망사(13); 상기 섬유 망사(13)의 우측에 상기 경사(12)와 나란히 형성되는 제1극선(15); 상기 섬유 망사(13)의 좌측에 상기 경사(12)와 나란히 형성되는 제2극선(16); 및 상기 섬유 망사(13)의 표면에 형성되는 카본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필름(95)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지필름(95)이며,
    접지면(97)에는 상기 접지면(97)이 형성되지 않는 연결부(98)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98)는 상기 제1극선(15) 및 제2극선(16)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분사구(131)와 성형롤러(130)의 사이로 절연필름(70)이 공급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의 제조방법.
KR1020160143094A 2016-10-31 2016-10-31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706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094A KR101706022B1 (ko) 2016-10-31 2016-10-31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094A KR101706022B1 (ko) 2016-10-31 2016-10-31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022B1 true KR101706022B1 (ko) 2017-02-10

Family

ID=5812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094A KR101706022B1 (ko) 2016-10-31 2016-10-31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0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325Y1 (ko) * 2002-01-26 2002-04-22 주식회사세모 전자파의 전계를 감소시킨 발열장치
KR101559087B1 (ko) * 2014-10-21 2015-10-15 주식회사 에어밴 전열패널 및 그 전열패널의 전자파 차폐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325Y1 (ko) * 2002-01-26 2002-04-22 주식회사세모 전자파의 전계를 감소시킨 발열장치
KR101559087B1 (ko) * 2014-10-21 2015-10-15 주식회사 에어밴 전열패널 및 그 전열패널의 전자파 차폐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0945B2 (en) Heating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20104837A1 (en) Electric heating/warming woven fibrous articles
KR101303186B1 (ko) 카본사 dc 전열시트
US20090095735A1 (en) Flexible heating weave
TW200925344A (en) Electric heating fabric device
KR101058211B1 (ko) 열효율이 향상된 선상 발열원단, 및 이를 이용한 발열형 롤 스크린
CN205510437U (zh) 一种高分子电热板
KR20160032973A (ko) 부분가열형 면상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51615B1 (ko) 방수 코팅부가 형성된 카본 발열 직물로 이루어지는 면상 발열체
KR101706022B1 (ko) 전자파 차폐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453641Y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자파 차단이 가능한 온열매트의 발열구조
KR101636783B1 (ko) 전자파 상쇄 면상 발열체
KR20060050092A (ko)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760613B1 (ko) 전자파 상쇄 면상 발열체
KR101316964B1 (ko) 면상발열체로 구성된 온열장판 및 그 제조방법
CN114554634A (zh) 平面发热纤维
KR100689990B1 (ko) 난연성 도전사를 이용한 망상 선면 발열체
KR20060111228A (ko) 면사직조발열체
KR19990013241A (ko) 면상 발열체
US3758747A (en) Electric mattress
KR101310667B1 (ko) 면상발열체 및 면상발열체 제조방법
KR100705462B1 (ko) 유연성을 높인 면상발열체
KR101968761B1 (ko) 의료용 복사열 매트
KR101559087B1 (ko) 전열패널 및 그 전열패널의 전자파 차폐방법
KR101332341B1 (ko)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