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861B1 -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861B1
KR101705861B1 KR1020150187872A KR20150187872A KR101705861B1 KR 101705861 B1 KR101705861 B1 KR 101705861B1 KR 1020150187872 A KR1020150187872 A KR 1020150187872A KR 20150187872 A KR20150187872 A KR 20150187872A KR 101705861 B1 KR101705861 B1 KR 101705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information
network
performan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유재
김준희
윤지훈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7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다중 무선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기;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전달받아 무선 네트워크의 트래픽 포화도를 포함한 무선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계산 및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가 네트워크 접속변경이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여,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상기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서버는 요청받은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접속 및 접속변경을 수행하는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및 그 방법{CONTEXT-AWARE SYSTEM AND METHOD FOR FAST NETWORK ACCESS}
본 발명은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의 구성 정보와 트래픽 현황을 계층화된 서버가 관리하는 환경에서 다중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기가 서버와 통신을 통해,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 중 최상의 성능을 가진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접속 및 접속변경 되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oT 시대의 도래로 인터넷에 연결된 단말기가 증가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는 데이터 트랙픽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늘어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당하기 위해 3G/4G/5G, WiFi, Wibro 등의 무선 네트워크 AP의 수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2014년에 발표된 EMC 보고서에 따르면 인터넷에 연결된 디지털 단말기의 수가 2020년에는 20억대까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전 세계에서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양은 2013년 4.4조 기가바이트에서 2020년에는 44조 기가바이트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를 수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비용 없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랜이 주목 받으면서 상용, 공중, 사설 무선랜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5G Forum(한국), ITU-R, 3GPP(유럽), 5GPP(유럽), IMT-2020(중국), ARIB(일본) 등 각국의 관련 단체에서 5G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진행 중이며, 우리나라에서도 2014년 미래창조과학부 주관으로 ‘미래 이동통신 산업발전 전략’을 수립하여 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5G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가까운 미래에 무선 네트워크가 다양해지고 개방화됨에 따라 사용자는 어느 한 시점에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는 복수개가 될 것이며, 그 중에서 가장 빠른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기대할 것이다.
한편, 현재 단말기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접속변경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를 조작하여 접속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수단을 선택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환경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수시로 변하며, 동일 시간 및 장소이더라도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접속자의 수와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따라 네트워크의 성능이 달라지기 때문에,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전적으로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네트워크 성능이 약해지면 사용자가 직접 다른 네트워크로 접속을 변경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무선 환경에서는 다른 사용자의 이동이나 서비스 이용에 따라서 네트워크 환경은 더욱 가변적이고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실정에 따라 본 발명은 네트워크의 구성 정보와 트래픽 현황을 계층화된 서버에서 관리하는 환경에서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서버와 단말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를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을 가진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해주는 새로운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하여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0-1465687호(2014.11.20.)는 이기종 망간 접속변경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장치에 대한 각 네트워크 별 성능정보를 인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망변경정책을 해당 단말장치로 내려주어 이에 따라 단말장치로 하여금 접속 네트워크를 변경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망 운영측에서 주도하여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전이시켜 데이터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망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기종 망간 접속변경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이기종 네트워크 망간 접속변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변경 방법은 단말장치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정책 관련 장치의 일방적인 망변경정책의 통보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법처럼 단말장치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것은 단말장치의 효율적인 무선 네트워크 접속 변경에 문제가 있었고, 상기 선행기술이 제시한 단층적 서버 구조에서는 다수의 단말들에 대한 접속 변경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네트워크 성능 측정 방법 중 단말장치와 성능검출장치의 테스트 패킷을 송수신하는 방법은 네트워크에 트래픽 부하를 가져오며 단말장치의 성능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의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무선중계장치의 부하관련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못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다중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를 가진 단말기에서, 상기 단말기가 네트워크 접속변경이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여,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서버로 요청하면, 상기 서버가 요청받은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을 가진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AP; 다중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기; 및 상기 AP로부터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전달받아 AP의 트래픽 포화도를 포함한 AP 성능 정보를 계산 및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P의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LEAF 서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SECONDARY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AF 서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SECONDARY 서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SECONDARY 서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PRIMARY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가 네트워크 접속변경이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여, 접속 가능한 AP들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SECONDARY 서버가 상기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AP의 정보를 가진 SECONDARY 서버 또는 LEAF 서버를 포함하는 하위 서버로 상기 AP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AP의 정보를 가진 하위 서버가 없을 경우, 상기 AP의 정보를 가진 SECONDARY 서버 또는 PRIMARY 서버를 포함하는 상위 서버로 상기 AP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AP의 정보를 가진 서버가 요청받은 AP들의 성능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AP들의 성능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AP를 선택하여 접속 및 접속변경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 접속변경이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여,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할 것을 판단하는 상황 인지부; 주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을 검색하며, 신호 세기를 포함한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상황 인지부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스캔부;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고 응답을 받으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성능 저하 알림을 받는 통신부; 및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비교하여 최상의 성능을 가진 네트워크에 접속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변경이 필요한 상황은,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성능 저하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은 상황; 특정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설정되어 있는 특정 장소로의 접근을 인지한 상황; 간섭이나 이동으로 인하여 연결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와의 신호 세기가 약해진 상황; 및 네트워크 변경으로 인한 일시적 네트워크 단절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상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변경으로 인한 일시적 네트워크 단절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최상의 성능을 가진 네트워크에 접속을 보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현재 접속 중 또는 과거 접속한 단말기들의 정보를 기록 및 관리 하는 단말기 관리부; IP, MAC, 제조사, 대역폭, 통신사 또는 위치를 포함한 자신의 네트워크 정보를 관리하고 트래픽 유동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네트워크 정보/트래픽 현황 관리부; 및 상기 네트워크 정보/트래픽 현황 관리부로부터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유동량을 받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PRIMARY 서버는, 능동적 혹은 수동적 방법으로 상기 SECONDARY 서버의 정보를 등록 및 갱신하며 SECONDARY 서버의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P; 관리자가 특정 지역이나 기간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확인하고자 할 때 동작하는 것으로, 특정 지역이나 기간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포함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로 전달하고, 응답받은 메시지를 취합하여 관리 및 출력하는 운용 관리부; 및 능동적 혹은 수동적 방법으로 하위 서버의 정보를 등록 및 갱신 위한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상기 운용 관리부의 정보 요청 메시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SECONDARY 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정보 관리부P로 전달하는 통신부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SECONDARY 서버는, PRIMARY 서버 또는 SECONDARY 서버를 포함하는 자신의 상위 서버와, SECONDARY 서버 또는 LEAF 서버를 포함하는 자신의 하위 서버의 정보를 관리하며, 통신부S를 통해 수신된 단말기의 무선 네트워크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확인하여, 해당 무선 네트워크의 정보를 가진 하위 서버를 찾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해당 하위 서버에 통신부S를 통하여 전송하고, 해당 무선 네트워크의 정보를 가진 하위 서버가 없을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의 정보를 가진 상위 서버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S를 통해 전송하고, 상위 서버나 하위 서버와 능동적 혹은 수동적 통신을 통하여 상위 서버나 하위 서버의 정보를 등록 및 갱신하는 정보 관리부S; 및 상기 정보 관리부S에 필요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LEAF 서버는, 자신의 상위 서버인 SECONDARY 서버의 정보와, 무선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관리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들의 포화도를 계산하고, 포화도가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 저하가 일어났다고 판단하면 통신부L을 통해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성능 저하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 정보를 능동적 혹은 수동적 방법으로 자신의 상위 서버인 SECONDARY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관리부L; 무선 네트워크들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정보와 트래픽 현황을 수신 받아 정보 관리부L로 전달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정보 관리부L 및 정보 수집부에 필요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버에게 성능 정보를 요청할 때, 자주 접속하는 AP들을 관리하는 서버들의 정보를 관리하여 알고 있는 서버로 성능 정보를 요청하거나, 서버 정보가 없는 불특정 지역에서는 다계층 구조를 갖는 PRIMARY 또는 SECONDARY 서버에게 요청하여 접속 가능한 AP를 관리하는 LEAF 서버를 효과적으로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지를 통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변경 방법은,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접속변경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주변 AP들의 리스트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AP의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LEAF 서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SECONDARY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AF 서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SECONDARY 서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SECONDARY 서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PRIMARY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로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SECONDARY 서버가 상기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AP의 정보를 가진 SECONDARY 서버 또는 LEAF 서버를 포함하는 하위 서버로 상기 AP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AP의 정보를 가진 하위 서버가 없을 경우, 상기 AP의 정보를 가진 SECONDARY 서버 또는 PRIMARY 서버를 포함하는 상위 서버로 상기 AP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해당 AP 정보를 가진 서버가 해당 AP들의 성능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AP들의 성능 정보를 기반으로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을 가진 AP로 접속변경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중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를 가진 단말기에서, 상기 단말기가 네트워크 접속변경이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여,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서버로 요청하면, 상기 서버가 요청받은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을 가진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접속함으로써,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단말기들을 최상의 성능을 가진 네트워크에 자동 접속시켜 줄 수 있어, 사용자들이 최상의 성능을 가진 네트워크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 사업자들은 효과적인 트래픽 분산을 통해 추가적인 통신 인프라 구축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층화 되어 있는 서버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가 보낸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 요청을 효율적으로 분산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들은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서 서버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응답시간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의 계층적 서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AF 서버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CONDARY 서버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IMARY 서버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지를 통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변경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현재 네트워크 상황을 인지하여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단말기가 최상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서버는 주기적으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 정보와 트래픽 현황을 수집 및 관리하고, 계층화된 서버 구조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를 등록하고, 상위 하위 서버 간 통신을 통하여 변화하는 서버 정보들을 등록하거나 갱신한다. 또한 단말기는 주기적으로 주변 무선 네트워크들을 검색하며, 네트워크 접속 또는 변경이 필요한 상황을 인지할 경우 서버에 주변 무선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받아 주변 무선 네트워크 중 최상의 성능을 가진 무선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접속하도록 한다. 또한, 서버에서는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 요청을 계층화 되어 있는 서버 구조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분산 처리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2는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의 계층화되어 있는 서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200), 다중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기(100)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전달받아 무선 네트워크의 트래픽 포화도를 포함한 무선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계산 및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접속변경이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여, 주변 무선 네트워크 즉,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상기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서버는 요청받은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단말기(100)는 상기와 같이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기반으로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을 가진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접속변경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최초 등록시 PRIMARY 서버로 자신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고, PRIMARY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적절한 SECONDARY 서버들을 거쳐 LEAF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가 LEAF 서버에 등록되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실시간으로 자신의 트래픽 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자신의 네트워크 정보와 트래픽 현황을 주기적으로 등록된 LEAF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무선 네트워크들로부터 네트워크 정보와 트래픽 현황을 전송받아 각 무선 네트워크의 트래픽 포화도(일정시간 동안의 트래픽 및 대역폭)를 계산하여 관리한다. 참고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IP, MAC 주소, 대역폭, 사용자, 통신사, 제조사,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10)은 상기와 같이 네트워크 접속변경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기(100)가 네트워크 접속변경이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는 기능, 단말기(100)가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받는 기능, 단말기(100)가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을 가진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능,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LEAF 서버(500), SECONDARY 서버(400) 및 PRIMARY 서버(300)로 계층화 되어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효율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들의 너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포함하는 성능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SECONDARY 서버는 트래픽 분산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자신의 하위 LEAF 서버에 등록된 무선 네트워크들의 양에 따라 하나 또는 다중의 계층적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SECONDARY 서버는 관리 대상의 무선 네트워크 규모와 단말의 수에 따라서 다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서버의 계층화된 구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LEAF 서버(500); 하위 SECONDARY 서버가 있을 경우 하위 SECONDARY 서버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AF 서버(500)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SECONDARY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SECONDARY 서버(400)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PRIMARY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PRIMARY 서버(300)가 복수개의 SECONDARY 서버(400)를 관리하고, SECONARY 서버는 복수개의 LEAF 서버(500)를 관리하며, LEAF 서버(500)는 복수개의 무선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집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버의 계층 구조에서 SECONDARY 서버(400)는 자신의 하위 LEAF 서버에 등록된 AP들의 양에 따라 하나 또는 다중의 계층적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위 SECONDARY 서버(400)가 복수개의 하위 SECONDARY 서버(400)를 관리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의 계층 구조에서는 새로운 SECONDARY 서버나 LEAF 서버를 등록할 수 있고 서버에서 관리하는 변경된 정보들을 능동적 혹은 수동적 방법으로 서버 간 통신을 통해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버에게 성능 정보를 요청할 때, 자주 접속하는 AP들을 관리하는 서버들의 정보를 관리하여 알고 있는 서버 정보로 성능 정보를 요청하거나, 서버 정보가 없는 불특정 지역에서는 다계층 구조를 갖는 PRIMARY 또는 SECONDARY 서버에게 요청하여 접속 가능한 AP를 관리하는 LEAF 서버를 효과적으로 찾아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설명에서는 PRIMARY 서버, SECONDARY 서버 및 LEAF 서버로 서버를 구체적으로 나누어 구분하였으나, 이는 AP 할당량에 따라 서버를 계층화한 것이고, 실제로는 하기에 설명되는 PRIMARY 서버, SECONDARY 서버 및 LEAF 서버의 기능이 하나의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접속변경이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여 네트워크 접속변경을 수행하는데, 상기네트워크 접속변경이 필요한 상황이란,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성능 저하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은 상황, 특정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설정되어 있는 특정 장소로의 접근을 인지한 상황 및 간섭이나 이동으로 인하여 연결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가 약해진 상황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단말기(100)가 네트워크 접속변경을 수행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기(100)는 주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주변 무선 네트워크들을 스캔하고, 접속된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만약, 현재 접속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가 설정된 임계값, 예를들어 무선랜의 경우 데이터 트래픽 품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수 있는 75dB 이하일 경우에는 신호 세기가 감소하였다고 판단하고, 서버에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후,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을 가진 무선 네트워크로 접속변경을 수행한다. 무선랜이 아닌 다른 무선 네트워크일 경우 각각의 표준에 따라 신호 세기의 임계값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서버는 무선 네트워크들로부터 트래픽 유동량 등의 성능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 저하가 감지되면 이를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알리고, 해당 무선 네트워크는 자신에게 접속한 단말기(100)에 성능 저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성능 저하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100)는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후,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을 가진 무선 네트워크로 접속변경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특정 장소에 단말기(100)가 접근하면 네트워크의 성능과는 상관없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특정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해당 장소로의 접근을 인지하여 상기 서버와의 통신없이 바로 기설정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로 접속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단말기(100)가 네트워크 접속변경을 수행할 때, 단말기(100)는 현재 접속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서비스가 네트워크 단절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인지를 확인하여 접속변경을 보류할 수도 있다.
즉, 네트워크 변경으로 인한 일시적 네트워크 단절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영상 파일 스트리밍,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해당 서비스를 완료하기 전까지 다른 무선 네트워크로 접속이 변경되는 것을 보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100)가 네트워크 접속변경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버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전달 받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접속변경이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면, 단말기(100)에서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을 스캔하여 스캔된 무선 네트워크들을 리스트로 만들어 기본으로 설정된 SECONDARY 서버(400)에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SECONDARY 서버(400)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LEAF 서버(500)가 단말기(100)로부터 요청받은 무선 네트워크들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해당 LEAF 서버(500)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LEAF 서버(500)는 해당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만약,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SECONDARY 서버(400)가 관리하고 있는 LEAF 서버(500)에 단말기(100)기로부터 요청받은 무선 네트워크들의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SECONDARY 서버(400)는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위 서버(PRIMARY 서버(300) 또는 상위 SECONDARY 서버(40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가 해당 무선 네트워크들의 정보를 알고 있는 상위 서버까지 전달되면, 해당 상위 서버는 상기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해당 무선 네트워크들의 정보를 가진 LEAF 서버(500)를 관리하는 SECONDARY 서버(400)에 전달하고, SECONDARY 서버(400)는 이를 해당 LEAF 서버(500)로 전달하여 해당 LEAF 서버(500)가 단말기(100)로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상황 인지부(110), 네트워크 스캔부(120), 통신부(130) 및 네트워크 접속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황 인지부(110)는 네트워크 접속변경이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여,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할 것을 판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접속변경이 필요한 상황이란,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성능 저하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은 상황, 특정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설정되어 있는 특정 장소로의 접근을 인지한 상황 및 간섭이나 이동으로 인하여 연결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가 약해진 상황을 포함한다.
이와는 별도로 상기 상황 인지부(110)는 네트워크 접속변경을 보류해야 하는 상황도 인지한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변경을 보류해야 하는 상황이란, 네트워크 변경으로 인한 일시적 네트워크 단절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영상 파일 스트리밍,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상황을 말한다.
상기 네트워크 스캔부(120)는 주기적으로 단말기(100)에서 접속 가능한 주변 무선 네트워크들을 검색하여, 신호 세기를 포함한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상황 인지부(11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30)는 단말기(100)에서 접속 가능한 주변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고 응답을 받으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성능 저하 알림을 받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140)는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비교하여 최상의 성능을 가진 네트워크에 접속을 수행한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140)는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를 비교하여 최상의 성능을 가진 네트워크에 접속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단말기(100)가 영상 파일 스트리밍,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등과 같이 네트워크 단절 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 중일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를 완료하기 전까지 최상의 성능을 가진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을 보류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무선 네트워크(200)는 단말기 관리부(210), 네트워크 정보/트래픽 현황 관리부(220), 통신부T(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 관리부(210)는 현재 접속 중 또는 과거 접속한 단말기(100)들의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며, 상기 네트워크 정보/트래픽 현황 관리부(220)는 IP, MAC, 제조사, 대역폭, 통신사, 위치를 포함한 자신의 네트워크 정보를 관리하고 트래픽 유동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T(230)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트래픽 현황 관리부(220)로부터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유동량을 받아 주기적으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최초 등록 시 상기 네트워크 정보/트래픽 현황 관리부(220)로부터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유동량을 받아 상기 PRIMARY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IMARY 서버(3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PRIMARY 서버(300)는 정보 관리부P(310), 운용 관리부(320) 및 통신부P(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정보 관리부 P는 상기 SECONDARY 서버를 관리하고, 통신부P로 단말의 성능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적절한 SECONDARY 서버를 찾아 통신부P를 통하여 상기 SECONDARY 서버로 전송하고, 통신부P를 통하여 무선 네트워크 등록 메시지가 수신되면 적절한 SECONDARY 서버를 찾아 통신부P를 통하여 상기 SECONDARY 서버로 전송하고, 능동적 혹은 수동적 방법으로 통신부P를 통하여 수신 받은 하위 SECONDARY 서버의 네트워크 정보를 갱신하여 관리한다.
또한, 상기 운용 관리부(320)는 관리자가 특정 지역이나 기간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확인하고자 할 때 동작하는 것으로, 특정 지역이나 기간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포함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로 전달하고, 응답받은 메시지를 취합하여 관리 및 출력하고, 관리자가 계층화 된 서버들의 정보를 갱신하고자 할 때 상기 정보 관리부P로부터 하위 SECONDARY 서버 정보를 받아 서버 정보 갱신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P를 통해 상기 SECONDARY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 정보 갱신 요청 메시지는 계층적 구조의 가장 하위에 있는 LEAF 서버까지 전달되며 LEAF 서버에서는 자신이 관리하는 정보를 응답 메시지로 상위 SECONDARY 서버에게 전송하며 최종적으로는 PRIMARY 서버까지 전달된다. 관리자에 의한 서버 정보 갱신을 수동적 갱신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P(330)는 상기 운용 관리부의 정보 요청 메시지와 서버 정보 갱신 요청 메시지 및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SECONDARY 서버(400)로 전송하고, 이에 따른 응답과 능동적 서버 정보 갱신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운용 관리부(320)와 상기 정보 관리부P(3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CONDARY 서버(4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SECONDARY 서버(400)는 정보 관리부S(410) 및 통신부S(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보 관리부S(410)는 상기 PRIMARY 서버(300) 또는 SECONDARY 서버(400)를 포함하는 자신의 상위 서버와, SECONDARY 서버(400) 또는 LEAF 서버(500)를 포함하는 자신의 하위 서버의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들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무선 네트워크의 정보를 가진 하위 서버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무선 네트워크의 정보를 가진 하위 서버가 없을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의 정보를 가진 상위 서버로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자신의 상위 서버인 상기 PRIMARY 서버 또는 SECONDARY 서버로부터 수신 받은 무선 네트워크 등록 메시지를 적절한 하위 서버인 SECONDARY 서버나 LEAF 서버로 전송하고, 능동적 갱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정보를 갱신 후 갱신된 자신의 정보를 상위 PRIMARY 서버나 SECONDARY 서버로 전송하고, 수동적 갱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위 PRIMARY 서버나 SECONDARY 서버로 자신의 정보를 전송하고 하위 SECONDARY 서버나 LEAF 서버로 수동적 갱신 메시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S(420)는 상기 정보 관리부S(410)에 필요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AF 서버(5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EAF 서버(500)는 정보 관리부L(510), 정보 수집부(520) 및 통신부L(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보 관리부L(510)은 자신의 상위 서버인 SECONDARY 서버(400)의 정보와, 무선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관리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들의 포화도를 계산하고, 포화도가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 저하가 일어났다고 판단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성능 저하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위 서버인 SECONDARY 서버(400)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무선 네트워크를 등록하여 관리하고, 상기 SECONDARY 서버로부터 단말의 성능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단말에게 요청한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SECONDARY 서버로부터 수동적 서버 정보 갱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이 관리하는 정보를 상기 SECONDARY 서버로 전송하고, 주기적으로 자신이 관리하는 정보를 상기 SECONDARY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LEAF 서버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서버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능동적 갱신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수집부(520)는 무선 네트워크들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정보와 트래픽 현황을 수신받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통신부L(530)은 상기 정보 관리부L(510) 및 정보 수집부(520)에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지를 통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변경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접속변경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말기는 주위 접속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를 스캔하여 임의의 AP에 접속한후, 접속된 AP의 캐시에 해당 AP가 등록된 서버로, 단말기에서 접속가능한 AP들의 성능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상기 서버는 LEAF 서버, SECONDARY 서버 또는 PRIMARY 서버일 수 있다.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요청한 AP들의 성능정보 및 각 AP 별 관리서버의 정보를 캐시에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성능정보를 기반으로 최상의 성능을 가진 네트워크로 접속변경을 수행한다. 이때, 네트워크 변경으로 인한 일시적 네트워크 단절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영상 파일 스트리밍, 파일 업로드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해당 서비스를 완료하기 전까지 다른 AP로 접속이 변경되는 것을 보류하거나 접속변경을 취소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접속변경을 수행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스캔하여 상황인지를 수행하고, 네트워크 성능저하 혹는 단말기와 AP 간의 신호 세기의 약화가 감지되면, 상기 수행한 바와 같이 단말기에서 접속가능한 AP들의 성능정보를 요청하여 최상의 성능을 가진 네트워크 접속변경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가 장소를 이동하면 상기 처음 단계와 같이 단말기는 주위 접속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를 스캔하여 임의의 AP에 접속한후, 네트워크 접속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100 : 단말기
110 : 상황 인지부
120 : 네트워크 스캔부
130 : 통신부
140 : 네트워크 접속부
200 : AP
210 : 단말기 관리부
220 : 네트워크 정보/트래픽 현황 관리부
230 : 통신부T
300 : PRIMARY 서버
310 : 정보 관리부P
320 : 운용 관리부
330 : 통신부P
400 : SECONDARY 서버
410 : 정보 관리부S
420 : 통신부S
500 : LEAF 서버
510 : 정보 관리부L
520 : 정보 수집부
530 : 통신부L

Claims (11)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AP;
    다중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기; 및
    상기 AP로부터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전달받아 AP의 트래픽 포화도를 포함한 AP 성능 정보를 계산 및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P의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LEAF 서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SECONDARY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AF 서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SECONDARY 서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SECONDARY 서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PRIMARY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가 네트워크 접속변경이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여, 접속 가능한 AP들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SECONDARY 서버가 상기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AP의 정보를 가진 SECONDARY 서버 또는 LEAF 서버를 포함하는 하위 서버로 상기 AP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AP의 정보를 가진 하위 서버가 없을 경우, 상기 AP의 정보를 가진 SECONDARY 서버 또는 PRIMARY 서버를 포함하는 상위 서버로 상기 AP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AP의 정보를 가진 서버가 요청받은 AP들의 성능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AP들의 성능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AP를 선택하여 접속 및 접속변경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 접속변경이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여, 접속 가능한 AP들의 성능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할 것을 판단하는 상황 인지부;
    주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AP들을 검색하며, 신호 세기를 포함한 AP 정보를 상기 상황 인지부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스캔부;
    접속 가능한 AP들의 성능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고 응답을 받으며, 상기 AP로부터 성능 저하 알림을 받는 통신부; 및
    접속 가능한 AP들의 성능 정보를 비교하여 최상의 성능을 가진 네트워크에 접속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변경이 필요한 상황은,
    단말기 자체적으로 성능 저하를 인지한 상황;
    AP로부터 성능 저하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은 상황;
    특정 AP에 대한 접속이 설정되어 있는 특정 장소로의 접근을 인지한 상황; 및
    간섭이나 이동으로 인하여 연결되어 있는 AP와의 신호 세기가 약해진 상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변경으로 인한 일시적 네트워크 단절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최상의 성능을 가진 네트워크에 접속을 보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현재 접속 중 또는 과거 접속한 단말기들의 정보를 기록 및 관리 하는 단말기 관리부;
    IP, MAC, 제조사, 대역폭, 통신사 또는 위치를 포함한 자신의 네트워크 정보를 관리하고 트래픽 유동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네트워크 정보/트래픽 현황 관리부; 및
    상기 네트워크 정보/트래픽 현황 관리부로부터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유동량을 받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RIMARY 서버는,
    상기 SECONDARY 서버의 정보 관리를 수행하는 정보 관리부P;
    관리자가 특정 지역이나 기간에 따른 AP의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확인하고자 할 때 동작하는 것으로, 특정 지역이나 기간에 따른 AP의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포함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로 전달하고, 응답받은 메시지를 취합하여 관리 및 출력하는 운용 관리부; 및
    상기 운용 관리부의 정보 요청 메시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AP들의 성능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SECONDARY 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정보 관리부P로 전달하는 통신부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ECONDARY 서버는,
    PRIMARY 서버 또는 SECONDARY 서버를 포함하는 자신의 상위 서버와, SECONDARY 서버 또는 LEAF 서버를 포함하는 자신의 하위 서버의 정보를 관리하며,
    단말기로부터 AP들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AP의 정보를 가진 하위 서버로 상기 AP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AP의 정보를 가진 하위 서버가 없을 경우, 해당 AP의 정보를 가진 상위 서버로 상기 단말기로부터 AP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정보 관리부S; 및
    상기 정보 관리부S에 필요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AF 서버는,
    자신의 상위 서버인 SECONDARY 서버의 정보와, AP들의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관리하며,
    상기 AP들의 포화도를 계산하고, 포화도가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AP의 성능 저하가 일어났다고 판단하여 AP에 성능 저하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AP들의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자신의 상위 서버인 SECONDARY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관리부L;
    AP들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정보와 트래픽 현황을 수신받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정보 관리부L 및 정보 수집부에 필요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단말기가 상기 서버에게 성능 정보를 요청할 때, 자주 접속하는 AP들을 관리하는 서버들의 정보를 관리하여 알고 있는 서버 정보로 성능 정보를 요청하거나, 서버 정보가 없는 불특정 지역에서는 다계층 구조를 갖는 PRIMARY 또는 SECONDARY 서버에게 요청하여 접속 가능한 AP를 관리하는 LEAF 서버를 효과적으로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11. 무선 네트워크 접속변경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접속변경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주변 AP들의 리스트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AP의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현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LEAF 서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SECONDARY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AF 서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SECONDARY 서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SECONDARY 서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PRIMARY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로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SECONDARY 서버가 상기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AP의 정보를 가진 SECONDARY 서버 또는 LEAF 서버를 포함하는 하위 서버로 상기 AP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AP의 정보를 가진 하위 서버가 없을 경우, 상기 AP의 정보를 가진 SECONDARY 서버 또는 PRIMARY 서버를 포함하는 상위 서버로 상기 AP의 성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해당 AP 정보를 가진 서버가 해당 AP들의 성능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AP들의 성능 정보를 기반으로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을 가진 AP로 접속변경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인지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변경 방법.
KR1020150187872A 2015-12-28 2015-12-28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5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872A KR101705861B1 (ko) 2015-12-28 2015-12-28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872A KR101705861B1 (ko) 2015-12-28 2015-12-28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861B1 true KR101705861B1 (ko) 2017-02-10

Family

ID=5812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872A KR101705861B1 (ko) 2015-12-28 2015-12-28 빠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8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590A (ko) * 2004-04-19 2005-10-25 권영길 계층적 정보 수집 시스템과 그 형성 방법 및 계층적 정보공유 방법
KR20110068619A (ko) * 2009-12-16 2011-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수의 이종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를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선택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02087A (ko) * 2010-06-30 2012-01-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성능을 고려한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120096802A (ko) * 2011-02-23 2012-08-3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혼합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590A (ko) * 2004-04-19 2005-10-25 권영길 계층적 정보 수집 시스템과 그 형성 방법 및 계층적 정보공유 방법
KR20110068619A (ko) * 2009-12-16 2011-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수의 이종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를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선택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02087A (ko) * 2010-06-30 2012-01-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성능을 고려한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120096802A (ko) * 2011-02-23 2012-08-3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혼합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5919B2 (en) Network selection method and base station
CN107925957B (zh) 用于提供连接的系统、方法和介质
US20180249403A1 (en) Method in a network node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EP3972327A1 (en) Network performance reporting method and apparatus
US119371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posing custom per flow descriptor attributes
CN110476458B (zh) 接入语音服务的方法、装置和数据载体
AU2010284785B2 (en) Server for control plane a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PTO based session
CN112312418A (zh) 一种用户面数据的获取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6448536B2 (ja) ポリシールールをモバイルエッジに配信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媒体
US20130012204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performing detach procedure
WO2019033796A1 (zh) 会话处理方法及相关设备
RU2669679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аппарат
KR20120093787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WO2015054999A1 (zh) 接入网信息管理方法及装置
JP2012095291A (ja) X2インタフェース管理方法、ハンドオーバ方法、干渉抑制方法及び装置
US91308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QoS during home network remote access
US10104595B2 (en) Method of automatically adjusting mobility parameter
US118558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network traffic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682014B (zh) 通信方法与系统,以及接入网设备与应用服务器
CN111919501B (zh) 专用承载管理
EP3487209B1 (en) Method and device for hosting application by access node
US201103175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ffic offload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WO2016061788A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CN109921993B (zh) 通信系统的数据传输方法以及通信系统
US20230269713A1 (en) UE Migration Between Networks In Response To Spectrum Grant Suspen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