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572B1 - A fire alarm method and a fire alarm apparatus - Google Patents

A fire alarm method and a fire alarm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572B1
KR101705572B1 KR1020150097226A KR20150097226A KR101705572B1 KR 101705572 B1 KR101705572 B1 KR 101705572B1 KR 1020150097226 A KR1020150097226 A KR 1020150097226A KR 20150097226 A KR20150097226 A KR 20150097226A KR 101705572 B1 KR101705572 B1 KR 101705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alarm
sound
alarm
fir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2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7575A (en
Inventor
백은선
백건종
국찬
Original Assignee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백건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백건종 filed Critical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7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572B1/en
Publication of KR20170007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5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5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은 「(a) 최대주파수 3000㎐에서 최소주파수 500㎐까지 1000ms 동안 일정 비율로 하강하는 스윕소리 구간으로 이루어진 화재경보음을 100ms 간격으로 3~5회 반복하는 단계; 및 (b) 화재경고메세지를 2~3회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재경보방법」 및 「연기 또는 열을 감지하는 감지부; 스피커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일정 기준 이상의 연기 또는 열이 감지된 경우 상기 스피커부에 화재경보음 및 화재경고메세지를 송출하되 상기 화재경보방법에 따라 송출하도록 프로그램된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장치」를 제공한다.(A) repeating a fire alarm sound consisting of a sweep sound interval falling from a maximum frequency of 3000 Hz to a minimum frequency of 500 Hz at a constant rate for 1000 ms at intervals of 100 ms three to five times; And (b) repeating the fire warning message two to three times. "And" a smoke or heat sensing unit; A speaker section; And a control unit programmed to transmit a fire alarm sound and a fire alarm message to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fire alarm method when smoke or heat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i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 fire alarm system, and a fire alarm system.

Description

화재경보방법 및 화재경보장치{A fire alarm method and a fire alarm apparatus}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alarm system,

본 발명은 화재경보방법 및 화재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범위에서 선택된 최대주파수 및 최소주파수를 가지되 상기 최대주파수에서 상기 최소주파수로 하강하는 스윕소리 구간을 일정 시간 이상 포함하는 화재경보음을 일정 횟수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재경보방법 및 상기 화재경보방법을 구현해주는 화재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alarm system and a fire alarm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alarm system having a sweep sound interval having a maximum frequency and a minimum frequency selected from a certain range, falling from the maximum frequency to the minimum frequency, And repeating the alarm soun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a fire alarm device implementing the fire alarm method.

소방방재청이 집계하여 발표한 전국화재발생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화재의 약 25% 정도가 주택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주택의 경우 침대, 가구 등 생활용 집기들이 산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근래 확장형발코니를 적용한 세대도 늘어나고 있어서 화재발생시 대피공간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화재발생 시 조기경보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개정된 소방법은 신축하는 모든 단독 주택에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bout 25% of all fires occur in houses. In the case of houses, living appliances such as beds and furniture are scattered, but also households that recently applied extended balconies And it is very difficult to secure a space for evacuation when a fire occurs. Therefore, early warning is very important when a fire occurs. The revised Fire Service Act requires compulsory installation of single alarm type detectors in all new houses.

한편,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는 우리나라는 2019년에는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14.4%에 달하여 고령사회(aged society)가 되고, 2026년에는 그 비율이 20.8%로 되어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가 될 전망이다. 여러 분야에서 고령화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겠지만 노인들의 경우 순발력이 떨어지고, 비상상황에 대한 대응이 늦기 때문이 소방분야에서도 안전대책의 강화가 더욱 요구될 수밖에 없다.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in Korea by 2019, the ratio of the population aged 65 and over is 14.4%, becoming an aged society, and in 2026, the ratio is 20.8% super-aged society. In many fields, it will cause problems due to aging. However, the elderly people are in a bad situation and the response to emergency situations is delayed.

이상을 종합하면 노인인구의 증가를 감안한 화재경보방법 및 화재경보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인들은 연령증가에 따라 청각능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65세 이상의 고령자의 경우 20대에 비해 중고주파 대역의 소리에 대한 인지능력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므로, 이러한 노인들의 청각특성을 고려한 화재경보방법 및 화재경보장치의 설계 및 구현이 요구된다.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ire alarm system and a fire alarm system considering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More specifically, the elderly people generally experience a decrease in their hearing ability as the age increases. In the case of the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sound of the used frequency band is remarkably reduced compared with that of the 20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ire alarm methods and fire alarm systems are required.

등록특허 10-1349677 "화재경보 출력중계기", 2014. 01. 14.Patent No. 10-1349677 "Fire alarm output repeater ", 2014. 01. 14. 등록특허 10-1348949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에 기반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2014. 01. 10.Registered Patent No. 10-1348949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ire Alert Alarm for Dynamic Priority Scenario Based on Fire Occurrence Location in Buildings", 2014. 01. 10.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화재경보가 명료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해주되 특히 종래 화재경보방법과 비교하여 노인성 난청을 가진 사람들에게도 화재경보가 명확히 전달될 수 있게 해주는 화재경보방법 및 이를 구현해주는 화재경보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fire alarm to be clearly transmitted when a fire occur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re alarm method that enables a fire alarm to be clearly transmitted to people with senile hearing loss, as well as a fire alarm system The purpose is to provide.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a) 최대주파수 3000㎐에서 최소주파수 500㎐까지 1000ms 동안 일정 비율로 하강하는 스윕소리 구간으로 이루어진 화재경보음을 100ms 간격으로 3~5회 반복하는 단계; 및 (b) 화재경고메세지를 2~3회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재경보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 sound signal, comprising the steps of: (a) repeating a fire alarm sound consisting of a sweep sound interval falling from a maximum frequency of 3000 Hz to a minimum frequency of 500 Hz at a constant rate for 1000 ms, ; And (b) repeating the fire warning message two to three times. &Quot;

이때, 상기 (a)단계의 화재경보음 및 상기 (b)단계의 화재경고메세지는 90~110ms의 간격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e alarm sound of step (a) and the fire warning message of step (b) may be repeated at intervals of 90 to 110 ms.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은 「연기 또는 열을 감지하는 감지부; 스피커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일정 기준 이상의 연기 또는 열이 감지된 경우 상기 스피커부에 화재경보음 및 화재경고메세지를 송출하되 상기 화재경보방법에 따라 송출하도록 프로그램된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 a sensing unit for sensing smoke or heat; A speaker section; And a control unit programmed to transmit a fire alarm sound and a fire alarm message to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fire alarm method when smoke or heat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i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nd a fire alarm device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방법 및 화재경보장치에 의하면 노인성 난청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경보음을 명료하게 들을 수 있게 되어 화재발생시 모든 연령층의 사람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경보가 전달될 수 있게 되고,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fire alarm system and the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ople with senile hearing loss can clearly hear the alarm sound, so that prompt and accurate alarm can be delivered to people of all ages when a fire occurs, It will reduce the damage of people.

[도 1]은 국내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샘플들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국외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샘플들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검침장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무향실 내에서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음향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라 모식도에 나타난 각 장비들을 실제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도 1]의 국내 단독경보형감지기의 경보음 발생패턴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7]은 [도 2]의 국외 단독경보형감지기의 경보음 발생패턴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8]은 국내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9]는 국내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주파수 특성을 음성안내를 제외하고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국내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음성안내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국외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방법 및 화재경보장치 개발을 위한 데이터 확보를 위해 제작된 경보음 발생패턴이다.
[도 13]은 청감실험에 사용된 측정기기 목록 및 실제 사진이다.
[도 14]는 청감실험에 사용된 청감반응 평가표이다.
[도 15]는 청감실험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6]은 경보음 발생패턴에 따른 경보음 인지 정도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4,000Hz 순음과 하강 스윕소리에 대한 청감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노인성 난청을 가진 사람들의 청각특성을 고려하여 도출된 경보음의 구성패턴이다.
[도 19] 내지 [도 26]은 [도 18]의 구성패턴 하에서 최적의 경보음을 도출하기 위한 청감실험에 사용된 스윕소리 패턴들이다.
[도 27]은 [도 19] 내지 [도 26]의 스윕소리 패턴을 포함하는 경보음들에 대한 청감실험을 위해 사용된 설문지이다.
[도 28]은 [도 27]의 설문지 내용 중 "크다" 항목에 대한 분석결과이다.
[도 29]는 [도 27]의 설문지 내용 중 "시끄럽다" 항목에 대한 분석결과이다.
[도 30]은 [도 27]의 설문지 내용 중 "신경쓰인다" 항목에 대한 분석결과이다.
[도 31]은 [도 27]의 설문지 내용 중 "불쾌하다" 항목에 대한 분석결과이다.
[도 32]는 [도 27]의 설문지 내용 중 "적합하다" 항목에 대한 분석결과이다.
FIG. 1 is a photograph of samples of a domestic single alarm type detector.
[Fig. 2] is a photograph of a sample of a single foreign-alarm type detector.
[Fig. 3] is a photograph of a meter reading device.
4 is a schematic diagram for measuring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 single alarm type sensor in an anechoic chamber.
[Fig. 5] is a photograph actually taken of each equipment shown in the schematic diagram according to Fig. 4.
FIG. 6 is a result of analyzing an alarm sound generation pattern of the domestic single alarm type detector of FIG. 1.
7 is a result of analysis of an alarm sound generation pattern of the foreign single alarm type detector of FIG. 2.
FIG. 8 is a graph illustra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 domestic single alarm type detector.
FIG. 9 is a graph illustra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 domestic single alarm type sensor except for voice guidance.
10 is a graph illustra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voice guidance of a domestic single alarm type detector.
[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single alarm type detector.
FIG. 12 is a pattern of alarm sound generated to secure data for developing a fire alarm system and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list of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in the auditory test and actual photographs.
[Fig. 14] is an evaluation chart of the auditory response used in the auditory test.
[Fig. 15] is a photograph of a scene of a hearing test.
[Fig. 16]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evaluation of degree of alarm sound according to an alarm sound generation pattern.
[Fig. 1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uditory test on 4,000 Hz pure tone and descending sweep sound.
[Fig. 18] is a constitutional pattern of alarm sounds derived from consideration of auditory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senile hearing loss.
[Figure 19] to [Figure 26] are sweep sound patterns used in an auditory experiment for deriving an optimal alarm sound under the configuration pattern of [Figure 18].
[Figure 27] is a questionnaire used for auditory experiments on the alarm sounds including the sweep sound patterns of [Figure 19] to [Figure 26].
[Fig. 28] show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tem "large" in the questionnaire of Fig.
[Fig. 29] is an analysis result of the item "Noisy" in the questionnaire of Fig. 27.
[Fig. 30] is an analysis result of the item "nervous" in the questionnaire of [Fig. 27].
[Fig. 31] sho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item "unpleasant" in the questionnaire of Fig. 27.
[Fig. 32] is an analysis result of the item "fit" in the questionnaire of Fig. 27.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방법 및 화재경보장치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fire alarm method and a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화재경보방법
1. Fire alarm method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방법은 (a) 최대주파수 3000㎐에서 최소주파수 500㎐까지 1000ms 동안 일정 비율로 하강하는 스윕소리 구간으로 이루어진 화재경보음을 100ms 간격으로 3~5회 반복하는 단계; 및 (b) 화재경고메세지를 2~3회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재경보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fire alarm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repeating a fire alarm sound consisting of a sweep sound interval falling from a maximum frequency of 3000 Hz to a minimum frequency of 500 Hz for a period of 1000 ms at a predetermined rate three to five times at intervals of 100 ms; And (b) repeating the fire alert message two to three times.

이때, 상기 (a)단계의 화재경보음 및 상기 (b)단계의 화재경고메세지는 90~110ms의 간격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e alarm sound of step (a) and the fire warning message of step (b) may be repeated at intervals of 90 to 110 ms.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방법의 도출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The process of deriving the fire alarm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단독경보형감지기에 적용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단독경보형"이란 감지기에 음향장치가 내장되어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은 소방방재청고시 제2012-17호 "감지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나타나 있다.
It is assum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ingle alarm type detector. The term "single alarm type" means that the sound detector is integrated with the detector, and the type approval and verification technical standard is attached to the Notification No. 2012-17 of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Is shown.

기초데이터의 확보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국내·외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샘플들의 음향특성을 [도 3]의 검침장비를 이용해 [도 4]와 같이 구성된 측정환경에서 [도 5]의 측정장치들을 가지고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음압레벨을 반무향실 및 무향실에서의 정밀측정 방법(KS A ISO 3745)에 준하여 측정하되 4.5m×4.5m×3.4m 크기의 무향실의 정중앙에 바닥판을 위치시키고 그 위에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올려놓은 뒤 1m 떨어진 높이에서 발생음의 음압레벨을 다채널분석기(01dB Symphoni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In order to secure basic data,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single-alarm type sensors as shown in Fig. 1 and Fig. 2 were measured using a meter reading device of Fig. 3 In Fig. 5). Specifically, the sound pressure level of each single alarm type sensor is measured according to a precise measurement method in an anechoic chamber and an anechoic room (KS A ISO 3745), and a bottom plate is placed in the middle of an anechoic chamber measuring 4.5 m × 4.5 m × 3.4 m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sound generated at a height of 1m was measured using a multichannel analyzer (01dB Symphony).

[도 1]에 나타난 국내 단독경보형감지기의 경보음 발생패턴을 분석한 결과는 [도 6]과 같은데, 상기 검정기술기준이 제시하고 있는 단속주기를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번 제품의 경우 "화재가 발생했습니다"라는 음성안내를, 나머지의 경우 "화재발생"이라는 음성안내를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국내 단독경보형감지기의 경보음 발생패턴을 분석한 결과는 [도 7]과 같으며, 14번 제품만 "Fire fire"라는 음성안내를 포함하고 있을 뿐 다른 제품들은 단속음만 3회씩 제시하고 있었다.The analysis result of the alarm sound generation pattern of the domestic single alarm type sensor shown in FIG. 1 is as shown in [FIG. 6], and it is shown that it satisfies the cycle period suggested by the above-mentioned inspection standard, , A voice announcement of "a fire occurred" and a voice guidance of "a fire occurred" in the remaining cases. In additi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alarm sound generation pattern of the domestic single alarm type detector shown in Fig. 2 is as shown in Fig. 7, and only the product No. 14 includes the voice guidance of "Fire fire " 3 times.

[도 8]은 국내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 그래프인데, 이를 살펴보면 고주파수 대역인 1.25~4㎑에서 가장 높은 음압레벨을 나타내고 있으며, 저주파수 대역인 100㎐ 미만에서는 음압레벨이 매우 낮아 실실적으로 귀로는 판단할 수 없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100~800㎐에서 음압레벨이 점점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다가 고주파수역 대역에서 최고음압레벨을 보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9]는 국내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주파수 특성을 음성안내를 제외하고 분석한 그래프이고, [도 10]은 국내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음성안내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 그래프인데, 이를 통해 현재 국내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음압레벨은 음성안내보다는 경보음에서 발생되는 주파수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FIG. 8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 domestic single alarm type detector, which shows the highest sound pressure level at 1.25 to 4 kHz, which is a high frequency band, and a sound pressure level is very low at a frequency lower than 100 Hz. As a result, we could not judge our return. Also, the sound pressure level tends to increase gradually at 100 ~ 800Hz, and it is designed to show the highest sound pressure level in the high frequency water band. FIG. 9 is a graph illustra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 domestic single alarm type detector except for voice guidance, and FIG. 10 is a graph illustra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 voice guidance of a domestic single alarm type detector. It can be seen that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single alarm type sensor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frequency generated from the alarm sound rather than the voice guidance.

[도 11]은 국외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 그래프인데, 이를 살펴보면 명확하게 3.15㎑에서 가장 높은 음압레벨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Fire fire"라는 음성안내를 포함하고 있는 14번 제품의 경우 500㎐부터 음압레벨이 상승하여 2.5㎑에서 가장 높은 음압레벨을 보여주고 있다.FIG. 11 is a graph illustrat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single-alarm type external detector. As can be seen from FIG. 11, the highest sound pressure level is clearly observed at 3.15 kHz. However, in case of the product No. 14 which includes the voice announcement of "Fire fire", the sound pressure level increases from 500Hz and shows the highest sound pressure level at 2.5kHz.

이상을 종합하면 국내·외 단독경보형감지기 모두 2~4㎑ 대역의 주파수에서 높은 음압레벨을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많은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노인성 난청에 따라 가장 많은 청력손실을 보이는 주파수 대역대는 2~4㎑ 대역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종래 단독경보형감지기의 경우 노인성 난청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는 경보성능이 떨어진다고 판단된다.
In summary, both domestic and foreign single-alarm type detectors exhibit high sound pressure levels at frequencies in the 2 to 4 kHz band. However,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the frequency band with the highest hearing loss according to the senile hearing loss is in the range of 2 ~ 4kHz.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ingle alarm type sensor, it is judged that the alarm performance is degraded to the person having senile hearing loss.

위의 결론을 바탕으로 노인성 난청을 가진 사람들도 명료하게 들을 수 있는 경보음을 제작하기 위해 500㎐, 1,000㎐, 2,000㎐, 4,000㎐ 순음과 500㎐와 2,000㎐, 1,000㎐와 2,000㎐의 복합음 및 500㎐에서 3,000㎐로 변화되는 스윕(sweep)소리, 3,000㎐에서 500㎐로 변화하는 스윕소리를 각각 경보음으로 만들어 청음시험을 진행하였다. 스윕소리란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변화하는 소리로서 소음이 있는 공간에서 인식하기 쉽고 긴장감과 위기감을 전달하는 신호로 알려져 있다. 경보음의 지속시간 및 발생패턴은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도 12]와 같이 만들었다.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500Hz, 1,000Hz, 2,000Hz, 4,000Hz pure tone, 500Hz and 2,000Hz, 1,000Hz and 2,000Hz complex sounds, A sweep sound varying from 500 Hz to 3,000 Hz, and a sweep sound varying from 3,000 Hz to 500 Hz, respectively. A sweep sound is a sound whose frequency changes according to time, and is known as a signal that is easy to recognize in a noisy space and transmits a sense of tension and crisis. The duration of the alarm sound and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alarm sound are made as shown in [FIG. 12]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study.

위와 같이 제작된 경보음과 경보음의 지속시간 및 발생패턴을 조합하여 20대 남녀 성인 10명과 60세 이상 10명을 대상으로 청감실험을 진행하되 [도 13]에 나타난 청감실험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백색잡음을 경보음보다 15dB 크게 들려주는 상황에서 피험자들로 하여금 [도 14]의 청감반응 평가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도 15]에는 이와 같이 진행된 청감실험 장면이 나타나 있다.The audition test was performed on 10 adults and 10 adults aged 20 and 10 by combining the duration and the pattern of the generated alarm sound and the alarm sound, Subjects were asked to fill in the auditory response evaluation table of FIG. 14 in a situation where the white noise was 15 dB greater than the warning sound. [Fig. 15] shows such a progressive auditory test scene.

경보음 발생패턴에 따른 경보음 인지 정도 평가 결과는 [도 16]과 같은데, 20대 남녀의 경우 발생패턴 1을 제외하고는 경보음을 인지하는 정도가 "보통이다"로 나타났고, 15dB 정도의 배경소음 아래에서도 경보음을 잘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60대 이상 고령자의 경우 40ms 정도의 경보음을 순음으로 발생시키는 경우에 15dB 정도의 배경소음이 있는 상황에서는 경보음을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보음의 지속시간이 짧은 발생패턴 1~3에서는 순음을 거의 인지하지 못하는 반면 복합음과 스윕소리는 어느 정도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alarm sound according to the alarm sound generation pattern is as shown in [Fig. 16]. In the case of the men and women in their 20s, the degree of recognizing the alarm sound except for the occurrence pattern 1 is " It was also found that the alarm sounds well under background noise. However, in the case of the elderly people over 60 years old, when the alarm sound of about 40 ms is generated in the pure tone, the alarm sound is not recognized well in the case of the background noise of about 15 dB. When the duration of the alarm sound is short In ~ 3, it was found that the compound sound and the sweep sound were somewhat perceived while the pure sound was hardly perceived.

특별히 모든 연령대에서 500Hz에서 3,000Hz로 상승하는 경보음보다는 3,000Hz에서 500Hz로 하강하는 스윕소리를 더 잘 인지하고 있었는데, [도 17]을 살펴보면 3,000Hz에서 500Hz로 하강하는 스윕소리를 경보음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60대 이상의 고령자들도 반복횟수가 많아지거나 지속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20대 남녀와 비슷하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활음이 배경소음으로 존재하는 공간에서 60대 이상의 고령자에게 명료한 경보음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속시간이 길고 반복 횟수가 많은 하강하는 스윕소리가 적절하다고 검토되었다.
Particularly, in all ages, the sweep sound descending from 3,000 Hz to 500 Hz was better recognized than the alarm sound rising from 500 Hz to 3,000 Hz. Referring to FIG. 17, a sweep sound dropping from 3,000 Hz to 500 Hz is provided , The elderly people in their 60s or older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mselves as similar to those in their 20s as the number of repetitions increased or the duration increased.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 clear alarm sound to the elderly people over 60 years old in the space where the background noise is present as the background noise, a descending sweep sound with a long duration and a large number of repetitions is considered appropriate.

위의 검토에 따라 노인성 난청을 가진 사람들의 청각특성을 고려한 경보음의 구성패턴은 [도 18]과 같다. [도 18]에는 지속시간이 "?"로 나타나 있는데, 지속시간은 기본적으로 400ms 이상으로 설정하고, 경보음은 고주파수에서 저주파수로 하강하는 스윕소리로 이루어지며, "화재발생"이라는 음성안내를 2회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경보음으로는 [도 19] 내지 [도 2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윕소리 패턴 8가지를 사용하였다.According to the above examination, the configuration pattern of the alarm sound considering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senile hearing loss is as shown in [Fig. 18]. 18, the duration is set to "?", The duration is basically set to 400 ms or more, and the alarm sound is a sweep sound descending from the high frequency to the low frequency. . Specifically, eight kinds of sweep sound patterns are used as alarm sounds as shown in [FIG. 19] to [FIG. 26].

[도 19]의 스윕소리 패턴(발생패턴 1)은 3,000Hz에서 500Hz로 하강하는 스윕소리를 약 400ms 지속시간을 두고 들려주고 각 경보음의 간격은 100ms로 3회 반복하는 것으로 설정되었고, [도 20]의 스윕소리 패턴(발생패턴 2)은 500Hz에서 3,000Hz로 상승하는 소리를 3회 반복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도 21]의 스윕소리 패턴(발생패턴 3)과 [도 22]의 스윕소리 패턴(발생패턴 4)는 발생패턴 1과 동일하지만 지속시간이 각각 기존 400ms에서 600ms와 1,000ms로 더 길게 설정되었으며, 나머지 조건은 발생패턴 1과 동일하게 각 경보음의 간격은 100ms로 3회 반복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도 23]의 스윕소리 패턴(발생패턴 5)과 [도 24]의 스위소리 패턴(발생패턴 6)은 스윕소리의 주파수 변화폭을 4,000Hz에서 1,000Hz로 하강하는 스윕소리로 하되 발생패턴 5는 지속시간이 500ms로 설정되었고, 발생패턴 6은 지속시간이 1,000ms로 더 길게 설정되었다. [도 25]의 스윕소리 패턴(발생패턴 7)과 [도 26]의 스윕소리 패턴(발생패턴 8)의 경우는 단순히 주파수가 하강 또는 상승하는게 아니라 하강과 상승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도록 구성되었는데, 구체적으로 발생패턴 7의 경우는 주파수 변화 폭이 3,000Hz에서 500Hz으로 하강하는 변화를 400ms간 발생시킨 뒤 50ms 후에 주파수 변화 폭이 3,000Hz에서 4,000Hz로 상승하는 변화를 400ms 발생시키는 것을 1주기로 하였으며, 발생패턴 8의 경우는 주파수 변화 폭이 3,000Hz에서 4,000Hz로 상승하는 변화를 500ms간 발생시킨 뒤 바로 4,000Hz에서 500Hz로 하강하는 변화를 500ms간 발생시키는 것을 1주기로 하였다.The sweep sound pattern (occurrence pattern 1) of FIG. 19 was set so that the sweep sound falling from 3,000 Hz to 500 Hz was heard with a duration of about 400 ms, and the interval of each alarm sound was repeated three times with 100 ms, 20] was set to repeat the sound rising from 500 Hz to 3,000 Hz three times. The sweep sound pattern (occurrence pattern 3) and the sweep sound pattern (occurrence pattern 4) in FIG. 21 are the same as the occurrence pattern 1, but the duration is longer than 600 ms and 1,000 ms respectively in the existing 400 ms , And the remaining conditions were set to repeat the interval of each alarm sound three times as 100 ms in the same manner as the occurrence pattern 1. The sweep sound pattern (occurrence pattern 5) in FIG. 23 and the sweep sound pattern (occurrence pattern 6) in FIG. 24 are sweep sounds that descend the sweep sound frequency variation from 4,000 Hz to 1,000 Hz, The duration was set to 500 ms, and the duration 6 was set to a longer duration of 1,000 ms. In the case of the sweep sound pattern (occurrence pattern 7) in FIG. 25 and the sweep sound pattern (occurrence pattern 8) in [FIG. 26], the frequency is not simply lowered or raised but composed of descending and rising. In the case of the occurrence pattern 7, the change in the frequency change width from 3,000 Hz to 500 Hz was generated for 400 ms, and after 50 ms, the change in the frequency change width was increased from 3,000 Hz to 4,000 Hz for 400 ms. In the case of the pattern 8, the change of the frequency change width from 3,000 Hz to 4,000 Hz was generated for 500 ms, and immediately after that, the change from 4,000 Hz to 500 Hz was generated for 500 ms.

이와 같이 구성된 총 8개의 경보음 패턴에 대해 20대 100명(남자: 65명, 여자 35명), 30~40대 60명(남자: 32명, 여자 28명) 및 50대 이상 45명(남자: 10명, 여자: 35명)을 대상으로 청감실험을 실시하되 피험자들에게 실내에서 스피커를 통해 8개의 경보음 패턴을 들려주면서 [도 27]에 나타난 바와 같은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A total of 8 alarm tone patterns composed of 20 such as 100 persons (male: 65, female: 35), 30 to 40: 60 (male: 32, female: 28) : 10 persons, and female: 35 persons). The subjects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as shown in FIG. 27 while giving eight alarm sound patterns through a speaker in the room.

[도 28] 내지 [도 32]에는 각각 [도 27]의 설문지 항목 중 "크다", "시끄럽다", "신경쓰인다", "불쾌하다" 및 "적합하다" 항목에 대한 분석결과가 나타나 있다. 이를 살펴보면 20대 피험자들은 경보음의 크기가 어느 정도(6) 이상 크게 들린다고 평가한 반면 50대 이상의 피험자들은 약간 크게(5) 들린다고 평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가운데, 특히 발생패턴 4의 경보음을 크다고 평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은 다른 항목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나는데 50대 이상의 피험자들은 발생패턴 4의 경보음을 시끄럽고, 신경쓰이고, 불쾌하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Figures 28 to 32 show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items of the questionnaire items of FIG. 27, which are "big", "noisy", "nervous", "unpleasant", and "suitable". The subjects in their twenties evaluated the size of the alarm sounds to be somewhat greater than (6), while those in the 50s or more showed a tendency to evaluate the sounds slightly larger (5)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evaluated as large. These trends are similar in other items. Subjects in their fifties or older had a tendency to feel loud, nervous, and uncomfortable in the alert pattern of the occurrence pattern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a) 최대주파수 3000㎐에서 최소주파수 500㎐까지 1000ms 동안 일정 비율로 하강하는 스윕소리 구간으로 이루어진 화재경보음을 100ms 간격으로 3~5회 반복하는 단계; 및 (b) 화재경고메세지를 2~3회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재경보방법」이 노인성 난청을 가지는 사람들에게 있어 최적의 경보방법임을 도출할 수 있다.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 repeating the fire alarm sound consisting of the sweep sound interval descending at a constant rate for 1000 ms from the maximum frequency 3000 Hz to the minimum frequency 500 Hz 3 to 5 times at intervals of 100 ms; And (b) repeating the fire alert message two or three times; Quot; is an optimal alarm method for people with senile hearing loss.

2. 화재경보장치
2. Fire alarm system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는 연기 또는 열을 감지하는 감지부; 스피커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일정 기준 이상의 연기 또는 열이 감지된 경우 상기 스피커부에 화재경보음 및 화재경고메세지를 송출하되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방법에 따라 송출하도록 프로그램된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for sensing smoke or heat; A speaker section; And a control circuit programmed to transmit a fire alarm sound and a fire alarm message to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fire alarm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smoke or heat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i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독경보형감지기에 적용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는 단독경보형감지기로서 상기 감지부, 상기 스피커부 및 상기 제어부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동복귀형 스위치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동시험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다른 기능 및 제원은 소방방재청고시 제2015-17호 "감지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ingle alarm type detector as described above. The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ngle alarm type detector in which the sensing unit, the speaker uni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utomatic return type switch has a function of manually performing an operation test. Other functions and specifications are preferably satisfied by the Ministry of Emission and Nonprolifical Notification No. 2015-17, "Type Approval of Detectors and Technical Standards for Product Inspection".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include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없음none

Claims (4)

(a) 최대주파수 3000㎐에서 최소주파수 500㎐까지 1000ms 동안 일정 비율로 하강하는 스윕소리 구간으로 이루어진 화재경보음을 100ms 간격으로 3~5회 반복하는 단계; 및
(b) 화재경고메세지를 2~3회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재경보방법.
(a) repeating the fire alarm sound consisting of a sweep sound interval falling from a maximum frequency of 3000 Hz to a minimum frequency of 500 Hz at a constant rate for 1000 ms three to five times at intervals of 100 ms; And
(b) repeating the fire alert message two to three times.
제1항에서,
상기 (a)단계의 화재경보음 및 상기 (b)단계의 화재경고메세지는 90~110ms의 간격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e alarm sound of step (a) and the fire alarm message of step (b) are repeated at intervals of 90 to 110 ms.
삭제delete 연기 또는 열을 감지하는 감지부;
스피커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일정 기준 이상의 연기 또는 열이 감지된 경우 상기 스피커부에 화재경보음 및 화재경고메세지를 송출하되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재경보방법에 따라 송출하도록 프로그램된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장치.
A sensing unit for sensing smoke or heat;
A speaker section; And
And a control circuit programmed to transmit a fire alarm sound and a fire alarm message to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fire alarm method of claim 1 or 2 when smoke or heat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i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re alarm.
KR1020150097226A 2015-07-08 2015-07-08 A fire alarm method and a fire alarm apparatus KR1017055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226A KR101705572B1 (en) 2015-07-08 2015-07-08 A fire alarm method and a fire alarm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226A KR101705572B1 (en) 2015-07-08 2015-07-08 A fire alarm method and a fire alarm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575A KR20170007575A (en) 2017-01-19
KR101705572B1 true KR101705572B1 (en) 2017-02-13

Family

ID=57990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226A KR101705572B1 (en) 2015-07-08 2015-07-08 A fire alarm method and a fire alarm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5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5853A (en) * 2018-06-20 2018-11-06 叶乃萍 Sweeping robot with warning function
KR102156492B1 (en) * 2019-02-26 2020-09-1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re Field Search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3165A (en) * 2009-06-22 2011-01-0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Alarm
JP2013257847A (en) * 2012-06-14 2013-12-26 New Cosmos Electric Corp Method for transmitting alarm to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677B1 (en) 2011-11-03 2014-01-14 프로테크주식회사 Output repeater for warning fire
KR101348949B1 (en) 2012-05-04 2014-01-10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Dynamic Priority Scenario for Fire Alarm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based on Fir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build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3165A (en) * 2009-06-22 2011-01-0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Alarm
JP2013257847A (en) * 2012-06-14 2013-12-26 New Cosmos Electric Corp Method for transmitting alarm t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575A (en)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526B1 (en) Hearing test method and apparatus
US8023661B2 (en) Self-adjusting and self-modifying addressable speaker
US8269625B2 (en)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s for reliably detecting audible alarms
US7639147B2 (en) System and method of acoustic detection and location of audible alarm devices
CN105075289B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specific sound to the audibility of user
US7702112B2 (en) Intelligibility measurement of audio announcement systems
Yokoyama et al. Perception of low frequency components in wind turbine noise
Yokoyama et al. Study on the amplitude modulation of wind turbine noise: part 2-Auditory experiments
KR101705572B1 (en) A fire alarm method and a fire alarm apparatus
Caniato et al. Low frequency noise and disturbance assessment methods: A brief literature overview and a new proposal
EP1414022A1 (en) Annunciator
Huey et al. Audible performance of smoke alarm sounds
Zheng et al. A psychoacoustical model for specifying the level and spectrum of acoustic warning signals in the workplace
Nadon et al. Field monitoring of otoacoustic emissions during noise exposure: Pilot study in controlled environment
US103977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sound levels
EP4017032A1 (en) Characterization of reverberation of audible spaces
US20170367663A1 (en) Method and device for effective audible alarm settings
Mapp Speech Transmission Index (STI): Measurement and Prediction Uncertainty
Bruck et al. Towards a better smoke alarm signal–an evidence based approach
Lee et al. Assessment of noise-induced annoyance by tones in noise from building mechanical systems
Henriksen et al. Development and calibration of a new automated method to measure air conduction auditory thresholds using an active earplug
TWI498104B (en) Hearing ability testing method and system
Rychtáriková et al. Laboratory listening tests in building and room acoustics
Yonemura et al. Measurement of masked threshold of low-frequency tones in outdoor and indoor environmental background noise
van Dijk et al. Low Frequency Hearing Threshold In Relation To Predict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