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302B1 -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 - Google Patents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302B1
KR101705302B1 KR1020150065503A KR20150065503A KR101705302B1 KR 101705302 B1 KR101705302 B1 KR 101705302B1 KR 1020150065503 A KR1020150065503 A KR 1020150065503A KR 20150065503 A KR20150065503 A KR 20150065503A KR 101705302 B1 KR101705302 B1 KR 101705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ember
belt
end section
cradle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2667A (ko
Inventor
최영삼
Original Assignee
최영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삼 filed Critical 최영삼
Priority to KR1020150065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302B1/ko
Publication of KR2016013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상이나 레저활동, 등산 등 평상시에는 허리에 차고 다니는 벨트 본래의 기능을 안정되게 수행하고, 사고 발생시에는 다른 사람이 차고 있는 벨트와 연결하여 길이가 긴 구조로프를 형성하여 인명구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벨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Belt for rescue}
본 발명은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상이나 등산, 레저활동 등 평상시에는 허리에 차고 다니는 벨트 본래의 기능을 안정되게 수행하고, 사고 발생시에는 다른 사람이 차고 있는 벨트와 연결하여 길이가 긴 구조로프를 형성하여 인명구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허리벨트에 관한 것이다.
등산은 산을 오르는 것만으로도 심신을 단련하고 그 안에서 즐거움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여가활동으로 인기가 높다.
하지만, 산을 찾는 사람이 많을수록 매년 발생하는 사고의 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추락사고는 산악사고의 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비율이 높으며, 집계에 따르면 2014년 한해에 추락·낙상사고수는 11.625명이 이른다
종래에는 산악 사고가 발생하면, 구조자가 인근에 있는 나무 막대기 등을 주워 구조 요청자에게 던져주거나 구조자가 무리하게 추락지점으로 내려가 구출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행위를 통해서는 원활한 구조가 어려울 뿐더러, 구조를 위해 투입된 구조자가 2차적인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는 관계로, 통상 구조대에 신고 후 구조대원이 올 때까지 대기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구조대가 현장에 도착하는 동안 구조시간이 지체되어 대부분 골든타임을 놓치거나, 또 상처로 인한 과다출혈, 저체온증유발 등 2차 피해가 발생될 소지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고 제 10-0671167호에서는 멜방 형식으로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 벨트부재와,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 벨트부재, 그리고 양다리에 착용되는 고정 벨트부재로 이루어진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긴급 구난 벨트는, 구조자에게 착용시킨 다음 각 벨트부재의 요소 부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안전고리를 와이어 로프에 연결시켜, 환자를 부축하거나 구난자를 위험 지역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 긴급 구난 벨트는 어깨 벨트부재와 허리 벨트부재, 그리고 고정 벨트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관계로, 이를 착용하면 일상 생활에 장애를 초래하는 관계로 평상시 착용을 통한 휴대가 어렵다.
특히, 상기 긴급 구난 벨트는 낭떠러지 등 원거리에서 구난자를 당겨 견인하는 수단인 길이가 긴 와이어가 제공되지 아니한 관계로, 별도로 와이어를 개인이 휴대하지 아니하고는 추락사고가 발생된 환자나, 조난자를 위험지역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용도로는 사용이 어려운 한계성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상이나 등산 레저활동 등 평상시에는 허리에 착용되어 바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벨트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고, 구난이나 구조 등 응급시에는 간편한 결속구조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길이가 긴 구조로프를 형성하여서 신속한 인명 구조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허리벨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벨트부재와, 상기 벨트부재의 단부에 조립되어 벨트부재의 단부를 상호 결속하는 버클, 및 상기 벨트부재의 단부를 상호 연결시켜 벨트부재가 상호 연결된 구조로프를 형성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에는 벨트부재의 단부에 의해 휘감기는 견착대와, 상기 견착대를 휘감은 벨트부재를 지지시켜 고정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한쌍의 연결부가 좌우 이격되게 형성되어서, 각 연결부에 진입된 벨트부재의 단부를 각각 연결시켜 벨트부재의 연결을 도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구는 선형봉체의 중반구간을 환형 절곡시켜 양측에 지지대가 형성된 환형의 고정홈체를 형성하고, 상기 환형의 고정홈체의 일편에 위치된 선형봉체의 일단구간과 타단구간을 대각으로 상향 교차시킨 다음, 상기 교차된 선형봉체의 일단구간과 타단구간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고정홈체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대에 선형봉체의 일단구간과 타단구간를 전방으로 절곡시킨 견착대가 상하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체에는 상하 개방된 진출입로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하 이격된 지지대와 견착대 사이에는 견착로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견착로는 일편에 개구부가 형성된 소켓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구는 소켓형의 견착로를 통해 벨트부재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견착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벨트부재의 단부에는 엔드캡이 설치되어 직조된 벨트부재의 단부가 외부 간섭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벨트부재에는 이탈 방지링이 설치되어 상기 벨트부재는 엔드캡을 이탈 방지링에 탄성 압입시켜 벨트부재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허리벨트는, 일상이나 등산 레저활동 등 평상시에는 허리에 착용되어 바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벨트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고, 구난이나 구조 등 응급시에는 간편한 결속구조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길이가 긴 구조 로프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허리벨트는 종래 범용의 구조 로프와 달리 일상에 상시 착용된 상태로 휴대하는 필수품이므로, 예기치 아니한 상황을 대처하기 위해 휴대나 보관과정이 불필요하고 응급상황시 간편하게 연결되어서 소중한 인명을 구조하는 구조 로프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들 각 벨트를 신속하고 안정되게 결속할 수 있는 연결구를 구비하여, 응급상황시 여러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벨트를 신속하게 연결시켜 구조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하나의 봉체를 독특한 형태로 절곡시켜 벨트를 연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생산성 측면에서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고, 기능적 측면에서 소형으로 이루어져 착용된 벨트에 간편하게 견착되어 용이한 휴대성을 겸비하면서, 벨트 간의 신속하고 안정된 결속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허리벨트를 동호회, 산악회 등 단체에 보급되면, 각 구성원 간의 협동심 및 단결심이 고취될 수 있고, 또 이러한 벨트가 산악인이나 동회인에 일반적으로 보급 및 사용되면, 새로운 형태의 구조 로프를 통한 구조형태의 전환이 예상된다.
특히, 등산·레저 활동 중 일어나는 실족, 추락사고시, 많은 인명을 구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의 평상시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상기 도 2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에 있어, 연결구의 세부 구성 및 벨트부재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를 통한 구조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의 평상시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상기 도 2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에 있어, 연결구의 세부 구성 및 벨트부재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를 통한 구조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1)는, 일상이나 등산 레저활동 등 평상시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허리에 착용되어 바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벨트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고, 구난이나 구조 등 응급시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독특한 연결구조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구난자의 신체를 감싸는 구조띠, 또는 길이가 긴 구조로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허리벨트(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벨트부재(10)와, 상기 벨트부재(10)의 양단부(10a)를 고정되어 벨트부재(10)의 단부를 결속하는 버클(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벨트부재(10)는 여러 가닥의 섬유사 등을 꼬임한 꼬임사를 1m 내지 1.8m의 길이로 직조한 면상의 직조물로 구성되어, 우수한 경량성과 유연성을 겸비하면서도, 인명구조에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1300D 내지 1800D를 갖는 PE 섬유사를 꼬임한 꼬임사를 통해 벨트부재(10)를 성형하여 2TON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벨트부재(10)는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색상으로 이루어져 일상이나 등산 레저활동 등 평상시에는 허리에 착용하는 바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허리벨트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패션을 연출하는 독특한 패션 아이템의 역할을 수행하고, 특히 육안 식별이 용이한 형광색상을 포함하여 구조 상황시에는 구조자가 쉽게 육안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벨트부재(10)의 단부(10a, 10b)에는 도 4와 같이 고무,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엔드캡(11)이 설치되어 직조된 벨트부재(10)의 단부가 외부 간섭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버클(20)이나 후술되는 연결구(30)에 안정되게 진입하여 결속 내지 연결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벨트부재(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엔드캡(11)은 벨트부재(10)의 단부에 접착을 통해 1차 고정된 다음 박음질을 통해 벨트부재(10)의 단부에 안정되게 고정되어서, 엔드캡(11)이 벨트부재(10)의 단부(10a, 10b)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벨트부재(10)의 단부(10a, 10b)를 상호 연결시켜 환형의 허리벨트(1)를 형성하는 버클(20)은, 벨트부재(10)의 일단부(10a)에 설치되는 제 1 버클부재(21)와 벨트부재(10)의 타단부(10b)에 설치되는 제 2 버클부재(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들 제 1 버클부재(21)와 제 2 버클부재(22)의 대향면에는 걸림홈(21a)과 후크형의 걸림돌기(22a)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이들 벨트부재(10)의 단부에 고정된 한 쌍의 버클부재(21, 22)는 걸림홈(21a)에 후크형 걸림돌기(22a)를 견착시켜서,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환형의 허리벨트(1)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 버클부재(21, 22)에는 결속핀(21b-a, 22b-a) 사이에 제 1 결속로(21b-b, 22b-b)와 제 2 결속로(21b-c, 22b-c)를 포함하는 한 쌍의 결속로가 관통되게 형성된 결속부(21b, 22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벨트부재(10)에는 버클부재(21. 22)의 결속부(21b, 22b)를 관통한 벨트부재(10)의 단부(10a, 10b)를 탄성 압입시켜 고정하는 이탈 방지링(12)이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3과 같이 벨트부재(10)의 단부(10a, 10b)를 제 1 결속로(21b-b, 22b-b)와 제 2 결속로(21b-c, 22b-c)를 따라 순차적으로 관통시킨 다음, 벨트부재(10)의 내벽에 벨트부재(10)의 단부를 교차되게 적층시키면, 각 버클부재(21,22)에 벨트부재(10)의 단부가 견착한 상태로 결속된다.
이때, 상기 벨트부재(10)의 단부에 설치된 엔드캡(11)은 도 4와 같이 벨트부재(10)에 설치된 이탈 방지링(12)에 탄성 압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이탈 방지링(12)의 내벽과 외접하는 엔드캡(11)의 외벽에는 하나 이상의 미끄럼 방지돌기(11a)가 형성되어 엔드캡(11)이 이탈 방지링(12)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탈 방지링(12)에 탄성 압입된 벨트부재(10)의 단부에 설치된 엔드캡(11)은 이탈 방지링(12) 내에 수용된 상태로 이루어, 엔드캡(11)이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허리벨트(1)는 자신의 허리둘레에 따라 결속부(21b, 22b)를 통과하는 벨트부재(10) 단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자신의 허리둘레에 적합한 길이의 허리벨트를 형성하여서, 일상이나 등산 레저활동 등 평상시 허리를 감싼 상태로 착용되어 바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후크 고정형의 버클(20)을 채택하여 벨트부재(10) 단부의 안정적인 결속을 도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벨크로 고정형, 벨트부재에 고정핀을 관통시켜 고정하는 관통 고정형 등 다양한 형태의 버클이 채택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예정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일상이나 등산 레저활동 등 평상시 허리를 감싼 상태로 착용되어 바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허리벨트(1)에, 허리벨트(1)의 단부를 상호 안정되게 연결하거나, 여러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허리벨트(1)의 벨트부재(10)를 상호 연결시켜 구조띠나 구조로프를 형성하는 독특한 형태의 연결구(30)를 부가하여, 인명 구조시 구조띠나 구조로프의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구(30)는,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허리벨트(1)를 구성하는 벨트부재(10)의 단부를 결속하는 한 쌍의 연결부(30a, 30b)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구(30)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30a, 30b)는 상하 이격된 지지대(32a)와 견착대(33)를 각각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구로는 지지대와 견착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연결부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 "
Figure 112015045002494-pat00001
"형의 연결구가 채택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하나의 선형봉체(31)를 이용하여, 지지대(32a)와 견착대(33)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연결부(30a, 30b)를 갖는 연결구(30)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의 절감과 함께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선형봉체(31)는 단일의 금속재질로도 구성될 수도 있으나, 압출 성형을 통해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중공관체를 1차 성형하고, 상기 1차 성형된 중공관체의 중공부에 다이캐스팅 성형공정을 통해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용융금속을 충진시켜 이형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층의 지지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여, 적층하여 성형된 이형 금속에 의해 보다 향상된 내구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상술하자면, 길이가 긴 선형봉체(31)의 중반구간(31a)을 환형 절곡시켜 양측에 지지대(32a)가 형성된 환형의 고정홈체(32)을 형성하고, 상기 환형의 고정홈체(32)의 일편에 위치된 선형봉체(31)의 일단구간(31b)과 타단구간(31c)을 대각으로 교차시켜 상호 교차하여 지지된 교차구간(31d)을 형성한다.
이후, 교차구간(31d)에서 인출된 선형봉체(31)의 일단구간(31b)과 타단구간(31c)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고정홈체(32)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대(32a)에 선형봉체(31)의 일단구간(31b)과 타단구간(31c)를 전방으로 절곡시킨 견착대(33)가 상하 이격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연결구(30)의 고정홈체(32)에는 상하 개방된 진출입로(32b)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하 이격된 지지대(32a)와 견착대(33) 사이에는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소켓형의 견착로(33a)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체(32)에서 인출되어 상호 교차되는 선형봉체(31)의 양단구간 중 일단구간(31b)은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외접된 타단구간(31c)과 교차되고, 타단구간(31c)은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외접된 일단구간(31b)과 교차되어서, 상호 교차된 선형봉체(31)의 일단구간(31b)과 타단구간(31c)은 상호 단차구조로 상호 지지된 교차구간(31d)을 형성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벨트부재(10)와 외접되는 지지대(32a)에는 고무, 실리콘 등의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패드(35)를 형성하여, 연결부(30a, 30b)에 연결된 벨트부재(10)의 미끌림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상시 허리벨트(1)를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는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구부가 형성된 소켓형의 견착로(33a)을 통해 벨트부재(10)에 수직으로 연결구(30)를 삽입 및 견착시켜 연결구(30)의 휴대의 편리성을 확보한다.
즉, 상기 연결구(30)는 일상이나 등산 레저활동 등 평상시에는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벨트(1)에 거치되므로, 예기치 아니한 상황을 대처하기 위해 별도의 휴대하거나 보관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구를 보관하는 파우치나 케이스 등을 부가하여 상기 파우치나 케이스를 벨트부재에 장착시켜서, 연결구의 외부 노출없이 벨트부재에 장착하여 간편하게 휴대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예정한다.
그리고, 상기 견착대(33)의 단부에는 고무나 실리콘 등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캠형의 이탈 방지캡(34)이 설치되어, 사용자는 벨트부재(10)에 연결구(30)를 수직으로 삽입시켜 견착한 다음 이탈 방지캡(34)을 회전시켜서, 소켓형의 견착로(33a)의 개구부를 폐쇄함으로써, 연결구(30)가 벨트부재(10)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한다.
또한, 인명 구조시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허리벨트(1)는 연결구(30)를 통해 하나의 벨트부재(10)의 단부를 상호 연결시켜 구조띠를 형성하거나, 수거된 여러 개의 벨트부재(10)를 연결구(30)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연결시켜서 길이가 긴 구조로프를 형성하여, 신속한 인명 구조를 도모한다.
상기 연결구(30)를 통한 벨트부재(10)의 연결과정은, 도 6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체된 벨트부재(10)의 단부를 연결구(30)의 진출입로(32b)를 따라 관통시켜 견착대(33)를 휘감은 다음, 견착대(33)를 휘감은 벨트부재(10)의 단부(10a, 10b)를 견착로(33a)와 진출입로(32b)를 통과시켜 고정홈체(32)에서 배출시켜서, 견착대(33)를 휘감은 벨트부재(10)의 단부(10a, 10b)가 지지대(32a)에 지지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 과정을 연결구(30)의 양측에 각각 실시하여, 하나의 벨트부재(10)의 양단부(10a, 10b)를 연결한 구조띠, 또는 여러개의 벨트부재(10)를 각 연결구(30)를 통해 순차적으로 연결시킨 길이가 긴 구조로프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명구조가 요구되는 구조상황에서는 여러 사람들이 허리에 착용하고 있는 허리벨트(1)를 수거하고, 각 허리벨트(1)들의 벨트부재(10)에서 버클(20)을 해체한 다음, 하나의 벨트부재(10)의 단부를 연결구(30)를 통해 상호 연결시켜 구조띠를 형성하거나, 여러개의 벨트부재(10) 단부를 연결구(30)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결속시켜 길이가 긴 구조로프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형성되는 구조띠나 구조로프를 통해 별도의 구조 장비 없이 인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조하게 된다.
1.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
10. 허리벨트 10a, 10b. 단부
11. 엔드캡 11a. 미끄럼 방지돌기
12. 이탈 방지링
20. 버클 21. 제 1 버클부재
21a. 걸림홈 21b. 결속부
21b-a. 결속핀 21b-b. 결속공
21b-c. 결속로 22. 제 2 버클부재
22a. 걸림돌기 22b. 결속부
22b-a. 결속핀 22b-b. 결속공
22b-c. 결속로
30. 연결구 30a, 30b. 연결부
31. 선형봉체
31a. 중반구간 31b. 일단구간
31c. 타단구간 31d. 교차구간
32. 고정홈체 32a. 지지대
32a-a. 미끄럼 방지패드 32b. 진출입로
33. 견착대 33a. 견착로
34. 이탈 방지캡 35. 미끄럼 방지패드

Claims (4)

  1.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벨트부재와, 상기 벨트부재의 단부에 조립되어 벨트부재의 단부를 상호 결속하는 버클, 및 상기 벨트부재의 단부를 상호 연결시켜 벨트부재가 상호 연결된 구조로프를 형성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에는 벨트부재의 단부에 의해 휘감기는 견착대와, 상기 견착대를 휘감은 벨트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한쌍의 연결부가 좌우 이격되게 형성되어서, 각 연결부에 진입된 벨트부재의 단부를 각각 연결시켜 벨트부재들의 연결을 도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구는
    선형봉체의 중반구간을 환형 절곡시켜 양측에 지지대가 형성된 환형의 고정홈체를 형성하고,
    상기 환형의 고정홈체의 일편에 위치된 선형봉체의 일단구간과 타단구간을 대각으로 상향 교차시킨 다음,
    상기 교차된 선형봉체의 일단구간과 타단구간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고정홈체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대에 선형봉체의 일단구간과 타단구간을 전방으로 절곡시킨 견착대가 상하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체에는 상하 개방된 진출입로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하 이격된 지지대와 견착대 사이에는 견착로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지지대와 견착대를 포함하는 한쌍의 연결부가 하나의 선형봉체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착로는 일편에 개구부가 형성된 소켓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구는 소켓형의 견착로를 통해 벨트부재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견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재의 단부에는 엔드캡이 설치되어 직조된 벨트부재의 단부가 외부 간섭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벨트부재에는 이탈 방지링이 설치되어 상기 벨트부재는 엔드캡을 이탈 방지링에 탄성 압입시켜 벨트부재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
KR1020150065503A 2015-05-11 2015-05-11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 KR101705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503A KR101705302B1 (ko) 2015-05-11 2015-05-11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503A KR101705302B1 (ko) 2015-05-11 2015-05-11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667A KR20160132667A (ko) 2016-11-21
KR101705302B1 true KR101705302B1 (ko) 2017-02-09

Family

ID=5753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503A KR101705302B1 (ko) 2015-05-11 2015-05-11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3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264B1 (ko) * 2021-01-20 2021-09-14 김지은 벨트 슬립 방지 트랜치 코트 제조 방법
WO2023057858A1 (en) * 2021-10-07 2023-04-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pport article for fall-protection safety harne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4135A (en) 1986-01-22 1987-12-22 Rappel Rescue Systems, Inc. Rappel rescue system
KR200366526Y1 (ko) * 2004-08-05 2004-11-09 (주)정우인더스트리 전자전에 대비한 개인장구 요대
KR200394200Y1 (ko) * 2005-06-03 2005-09-01 주식회사 서나실업 포장끈의 결속구
JP2010075511A (ja) * 2008-09-26 2010-04-08 Fujii Denko Co Ltd 安全帯及びその部品セ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4135A (en) 1986-01-22 1987-12-22 Rappel Rescue Systems, Inc. Rappel rescue system
KR200366526Y1 (ko) * 2004-08-05 2004-11-09 (주)정우인더스트리 전자전에 대비한 개인장구 요대
KR200394200Y1 (ko) * 2005-06-03 2005-09-01 주식회사 서나실업 포장끈의 결속구
JP2010075511A (ja) * 2008-09-26 2010-04-08 Fujii Denko Co Ltd 安全帯及びその部品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667A (ko) 201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7326B2 (en) Harness
KR100671167B1 (ko)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US8025192B2 (en) Roping belt equipped with an improved equipment-carrying device
US8061481B2 (en) Suspension trauma relief strap assembly for use with a full body harness
US8678134B2 (en) Lightweight controlled descent system with an integral reserve suspension relief strap (RSRS)
US8821359B1 (en) Anchor device
US6283248B1 (en) Compact climbing harness
US8651235B2 (en) Controlled descent system with an increased recovery range
US20100163338A1 (en) Lightweight controlled descent system with an integral reserve suspension relief strap (RSRS)
US6438756B1 (en) Suspended extrication harness apparatus having installation assembly
US10799732B2 (en) Harness
US10588367B2 (en) Rope belt with a buckle having holes
US20070278036A1 (en) Safety harness with suspension relief
US20100252361A1 (en) Controlled descent system with an increased recovery range
US20180147427A1 (en) Full body climbing harness
KR101705302B1 (ko) 구조기능을 갖는 허리벨트
US6808046B1 (en) Body harness
US20030146044A1 (en) Sefety harness with support strap
US4120377A (en) Tree-climbing kit
JP6466550B2 (ja) 雪下ろし用シットハーネス
CN102726850A (zh) 具有集成的衣带的防护上衣、尤其是防火上衣
US11241351B1 (en) Fireman's carry harness
JP5823916B2 (ja) ヘリ救助用の被災者用装着バンド
US11311755B2 (en) Harness
BR202015021300U2 (pt) disposição introduzida em cinto de segurança de sobrepor com argolas desengatáve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