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606B1 - Chair for transporter for passenger - Google Patents

Chair for transporter for passe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606B1
KR101704606B1 KR1020150169137A KR20150169137A KR101704606B1 KR 101704606 B1 KR101704606 B1 KR 101704606B1 KR 1020150169137 A KR1020150169137 A KR 1020150169137A KR 20150169137 A KR20150169137 A KR 20150169137A KR 101704606 B1 KR101704606 B1 KR 101704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rest
chair
bicyc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1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주혁
김민준
Original Assignee
박주혁
김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혁, 김민준 filed Critical 박주혁
Priority to KR1020150169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6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6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61D33/0007Detail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61D33/0057Sea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in vehicles
    • B61D33/0078Sea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in vehicles adjust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for a passenger transporter. The chair for a passenger transp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ack of a chair which is combined with an inner wall of the passenger transporter; a seat which is rotatably combined with the back of a chair, overlaps with the back of a chair, and makes a passenger sit down; a folding device which makes the seat overlap with the back of a chair or limits the downward rotation of the seat; and a bicycle holder which is combined with the lower side of the seat to hold a bicycle when the seat overlaps with the back of a chai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a passenger which gets on the passenger transporter hold the bicycle on the chair for a passenger transporter.

Description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Chair for transporter for passenger}{Chair for transporter for passenger}

본 발명은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탑승자 이송장치에 탑승한 경우 탑승자가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는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for a passenger conveyanc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for a passenger conveyance device in which a passenger can mount a bicycle when the passenger is aboard the passenger conveyance device.

엘리베이터 및 지하철의 전차와 같은 탑승자 이송장치를 탑승한 탑승자는 서있는 상태로 탑승자 이송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노약자와 같이 몸이 불편한 탑승자는 탑승자 이송장치를 이용하는데 있어 불편함을 겪게 되는 문제점가 있었다.An occupant carrying a passenger transporting device such as an elevator and a train of a subway generally uses the occupant transporting device in a standing state. Therefore, the passengers who are inconvenienced with the elderly suffer from inconvenience in using the passenger conveying devi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탑승자 이송장치의 내부에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가 설치된 탑승자 이송장치가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passenger conveying device having a chair for a passenger conveying device is developed inside the passenger conveying device.

한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00995호에 종래의 탑승자 이송장치의 일례인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용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00995 discloses a chair for an elevator installed in an elevator which i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occupant transfer device.

이하, 종래의 탑승자 이송장치의 일례인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용 의자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hair for an elevator installed in an elevator, which i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occupant transfer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의자의 이동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hair for an elevator, and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moving part of a conventional chair for an elevato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의자(1)는 하우징(23)에 의해 감싸지고 바닥(22)과 측벽(21)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20)의 내부 공간 중 코너에 위치할 수 있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10), 시트(10)가 엘리베이터(20)의 측벽(22)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출입 홀(15)을 통해 코너와 엘리베이터(20)의 내부 공간을 벗어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게 시트(1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12) 및 코너에 시트(10)가 위치하는 경우 시트(10)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턱(17)을 포함한다.1 and 2, a conventional chair 1 for an elevator can be placed at a corner of an internal space of an elevator 20, which is surrounded by a housing 23 and composed of a floor 22 and a side wall 21 The seat 10 formed in a fan shape and the seat 10 are moved to the area outside the corner and the inner space of the elevator 20 through the entrance hole 15 formed in the side wall 22 of the elevator 20, A moving part 12 for horizontally moving the seat 10 and a supporting step 17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seat 10 when the seat 10 is positioned at the corner.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의자(1)의 시트(10)가 이동부(12)에 의해 엘리베이터(20)의 코너로 이동된 후 지지턱(17)에 의해 지지되면, 탑승자는 시트(10)에 착석할 수 있게 한다.When the seat 10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chair 1 is moved by the moving part 12 to the corner of the elevator 20 and then supported by the supporting jaw 17, I can do it.

한편,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의자(1)는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의자(1)는 자전거를 소지한 탑승자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의자(1)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경우, 탑승자에게 자전거가 넘어지지 않도록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elevator chair 1 is not equipped with a device capable of mounting a bicycle.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chair 1 for an elevator ha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for the passenger holding the bicycle to hold the bicycle so that the bicycle can not be tilted when the conventional elevator chair 1 is mounted on the elevator .

또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의자(1)는 시트(10)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의자(1)는 탑승자가 원하는 높이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chair 1, the height of the seat 10 is fixed. As a result, the conventional elevator chair 1 has a problem that the occupant can not appropriately cope with a desired height.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00995호(공고일자: 2012년11월13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00995 (Publication Date: November 13, 2012)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전거를 소지한 탑승자가 탑승자 이송장치에 탑승한 경우, 자전거를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에 거치할 수 있게 하는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occupant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mounting a bicycle on a chair for a passenger conveying apparatus, Thereby providing a chair for the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탑승자에 의해 시트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함으로써, 탑승자가 원하는 높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for a passenger conveying apparatus which can adjust the height of a seat by a passenger so that a passenger can appropriately cope with a desired height.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 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는 탑승자 이송장치의 내벽에 결합되는 등받이; 일 단이 상기 등받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에 겹쳐질 수 있고,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 상기 시트가 상기 등받이에 겹치게 하거나 상기 시트의 하방 회전을 제한하는 접철 장치; 및 상기 시트의 저 면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가 등받이에 겹쳐진 때에 자전거가 거치될 수 있는 자전거 거치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ir for a passenger conveying apparatus, comprising: a backrest coupled to an inner wall of a passenger conveying apparatus; A seat in which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ck and overlaps with the back, and on which the occupant can sit; A folding device for overlapping the seat with the backrest or restricting downward rotation of the seat; And a bicycle mount which is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seat and on which the bicycle can be mounted when the seat is superimposed on the backrest.

여기서, 상기 탑승자 이송장치는 엘리베이터, 지하철의 전차 및 기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Here, the passenger conveying device may be any one of an elevator, a subway train, and a train.

또한, 상기 탑승자 이송장치의 내벽에는 상기 등받이가 수납되거나 상기 등받이에 겹친 시트와 상기 등받이가 수납되는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backrest may be housed in an inner wall of the passenger conveying device, or may include a seat stacked on the backrest and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backrest.

또한, 상기 접철 장치는, 내부에 피스톤이 수용되며 상기 등받이에 결합되는 유압 실린더; 및 일 단은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시트에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ld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ydraulic cylinder having a piston received therein and coupled to the backrest; And a piston rod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piston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at.

또한, 상기 자전거 거치대는, 상기 시트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축; 자전거의 핸들 바가 걸리는 제1 거치 후크를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결합 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거치 부재; 및 상기 자전거의 핸들 바가 걸리는 제2 거치 후크를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결합 축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거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cycle cradle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shaft rotatably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seat; A first mounting member including a first mounting hook on which a handle bar of the bicycle is hooked and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coupling shaft; And a second mounting member including a second mounting hook on which a handle bar of the bicycle is hooked, and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shaft.

또한, 상기 등받이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시트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at heigh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height of the seat by adjusting a height of the backrest.

이때, 상기 시트 높이 조절부는, 상기 등받이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돌기;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돌기가 걸리는 홈이 형성된 복수의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자 이송장치의 내벽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높이 조절 래크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at height adjusting portion may include: a projection project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back; And a height adjustment rack which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eeth formed with grooves for receiving the protrusions and vertically coupled to an inner wall of the occupant transport apparatu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에 의하면, 탑승자 이송장치에 탑승한 탑승자가 자전거를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에 거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eat for a passenger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assenger on a passenger conveying device can mount a bicycle on a chair for a passenger conveying device.

또한, 탑승자에 의해 시트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됨으로써,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는 탑승자가 원하는 시트의 높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Further, since the height of the seat can be adjusted by the occupant, the chair for the occupant transporting apparatus can appropriately respond to the height of the seat desired by the occupant.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의자의 이동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의 시트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hair for an elevator.
2 is a plan view showing a moving part of a conventional chair for an elevator.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ir for a passenger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seat of a chair for a passenger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views showing a use state of a chair for a passenger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a manner tha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hair for a passenger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의 시트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ccupant trans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seat of a chair for an apparatus; Fig.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100)는 탑승자 이송장치(200)의 내벽(210)에 결합되는 등받이(110), 일 단이 등받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등받이(110)에 겹쳐질 수 있고,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120), 시트(120)가 등받이(110)에 겹쳐지게 하거나 시트(120)의 하방 회전을 제한하는 접철 장치(130) 및 시트(120)의 저 면에 결합되어 시트(120)가 등받이(110)에 겹쳐진 때에 자전거가 거치될 수 있는 자전거 거치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3 to 5, a chair 100 for a passenger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rest 110 coupled to an inner wall 210 of a passenger conveyance apparatus 200, A seat 120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ckrest 110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at back 110 and is capable of being seated by the occupant, a seat 120 that overlaps the backrest 110, And a bicycle mount 140 that can be mounted on the bicycle when the seat 120 is overlapped with the backrest 110. [

여기서, 탑승자 이송장치(200)는 엘리베이터, 지하철의 전차 및 기차 등 탑승자를 이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Here, the passenger conveyance device 200 may be a device for conveying a passenger such as an elevator, a subway train, and a train.

탑승자 이송장치(200)의 내벽(210)에는 등받이(110)가 수납되거나 등받이(110)에 접힌 시트(120)와 등받이(110)가 함께 수납되는 수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부(220)에 등받이(110)가 수납되거나 등받이(110)에 겹친 시트(120)와 등받이(110)가 함께 수납됨으로써, 탑승자 이송장치(200)의 내부 공간이 감소되는 것이 최소화된다.The backrest 110 may be housed in the inner wall 210 of the passenger conveyance device 200 or may be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220 in which the seat 120 and the backrest 110 are folded together. Therefore, the seat 120 and the backrest 110, which are stacked on the backrest 110 or the backrest 110, are accommodated together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20, so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occupant transporting device 200 is minimized.

시트(120)의 일단은 시트(120)가 등받이(110)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힌지(H)에 의해 등받이(110)에 결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eat 120 may be coupled to the backrest 110 by a hinge H to allow the seat 120 to rotate up and down about the backrest 110. [

시트(120)의 저면에는 손잡이(121)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121)는 핸들 또는 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승자가 시트(120)를 당기어 시트(120)를 하방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A handle 121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120. The handle 121 may be embodied as a handle or a groove. As a result, the occupant can rotate the sheet 120 downwardly.

접철 장치(130)는 내부에 피스톤(132)이 수용되며 등받이(110)에 결합되는 유압 실린더(131) 및 일 단은 피스톤(132)에 결합되고 타 단은 시트(120)에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lding device 130 includes a hydraulic cylinder 131 having a piston 132 therein and coupled to the backrest 110 and a piston rod 132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piston 132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at 120. [ (133).

접철 장치(130)는 유압 실린더(131)의 유압에 의해 시트(120)가 등받이(110)에 겹치게 하거나 시트(120)의 하방 회전을 제한한다. 다시 말하면, 시트(120)에 하방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시트(120)가 시트(120)에 가해지는 하방 회전력과 유압 실린더(131)의 유압의 복원력이 동일해질 때까지 하방 회전한다. 이에 따라, 시트(120)의 하방 회전이 제한된다. 그리고 시트(120)에 가해지는 하방 회전력이 해제된 경우에는 유압 실린더(131)의 유압의 복원력에 의해 시트(120)가 상방 회전한다. 이에 따라, 시트(120)가 등받이(110)에 겹치게 된다.The folding device 130 limits the rotation of the seat 120 to the backrest 110 or the downward rotation of the seat 120 by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hydraulic cylinder 131. [ In other words, when a downward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at 120, the seat 120 is downwardly rotated until the downward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seat 120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hydraulic cylinder 131 become equal. Thus, the downward rotation of the seat 120 is restricted. When the downward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seat 120 is released, the seat 120 is rotated up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hydraulic cylinder 131. As a result, the seat 120 is overlapped with the backrest 110.

자전거 거치대(140)는 시트(12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축(143), 자전거의 핸들 바가 걸리는 제1 거치 후크(141-1)를 포함하고 일단은 결합 축(143)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거치 부재(141) 및 자전거의 핸들 바가 걸리는 제2 거치 후크(142-1)를 포함하고 일단은 결합 축(143)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거치 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cycle rack 140 includes a coupling shaft 143 rotatably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seat 120 and a first mounting hook 141-1 to which a handle bar of the bicycle is hooked, And a second mounting hook 142-1 to which the handlebar of the bicycle is hooke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ounting hook 142-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shaft 143, (Not shown).

결합 축(143)은 시트(120)가 등받이(110)에 겹쳐진 때에 제1 및 제2 거치 부재(141, 142)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α)가 대략 30가 되도록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승자는 자전거의 핸들 바를 결합 축(143)이 있는 쪽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engaging shaft 143 can be rotated upward so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mbers 141 and 142 and the horizontal plane becomes approximately 30 when the seat 120 is overlapped with the backrest 110. [ As a result, the occupant can easily move the handlebar of the bicycle toward the joining shaft 143.

제1 거치 부재(141)와 제2 거치 부재(142)의 사이 거리(D)는 자전거의 스템(stem)의 직경보다 크게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치 부재(141)와 제2 거치 부재(142)의 사이 거리는 일반적인 자전거의 스템의 직경이 고려되어 대략 1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자전거의 핸들 바가 제1 및 제2 거치 부재(141, 142)에 거치되는 경우 자전거의 스템이 제1 거치 부재(141)과 제2 거치 부재(141, 142) 사이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The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mounting member 141 and the second mounting member 142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m of the bicycle. 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ationary member 141 and the second stationary member 142 is preferably about 10 cm, considering the diameter of the stem of a typical bicycle. Accordingly, when the handle bar of the bicycle is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mbers 141 and 142, the stem of the bicycle easily enters between the first mounting member 141 and the second mounting members 141 and 142 .

한편, 자전거 거치대(14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자전거가 거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전거 거치대(140)는 시트(120)가 하방 회전된 경우에는 시트(120)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대의 기능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bicycle racks 140 may be provided. Thus, a plurality of bicycles can be mounted. When the seat 120 is rotated downward, the bicycle rest 140 may function as an auxiliary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at 12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100)는 등받이(1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시트(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시트 높이 조절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ir 100 for a passenger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t height adjusting unit 15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120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ckrest 110. [

시트 높이 조절부(150)는 등받이(110)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돌기(151) 및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며 돌기(151)가 걸리는 홈(152-2)이 형성된 복수의 톱니(152-1)를 포함하고 탑승자 이송장치(200)의 내벽(210)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높이 조절 래크(1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t height adjuster 150 includes a plurality of teeth 152-1 having protrusions 151 project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ackrest 110 and grooves 152-2 arranged vertically and engaging with the protrusions 151 And a height adjustment rack 152 that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inner wall 210 of the occupant transport device 200.

이러한 시트 높이 조절부(150)에 의해, 탑승자는 돌기(151)를 탑승자가 원하는 높이에 있는 톱니(152-1)의 홈(152-2)에 삽입시킴으로써 등받이(110)에 결합된 시트(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With this seat height adjuster 150, the passenger can insert the protrusion 151 into the groove 152-2 of the tooth 152-1 at the desired height of the passenger, Can be adjusted.

이에 따라,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100)는 탑승자의 앉은 높이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hair 100 for a passenger conveyance apparatus can appropriately cope with the seat height of the occupan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의 작용과 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unctions and effects of a chair for a passenger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 to 8 are views showing a use state of a chair for a passenger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100)를 의자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탑승자는 손잡이(121)를 당기어 시트(120)가 하방 회전되게 한다. 이에 따라,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100)의 시트(120)는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Referring to FIGS. 6 to 8, when the chair 100 is to be used as a chair, the passenger grips the knob 121 and the gear sheet 120 is rotated downward. As a result, the seat 120 of the chair 100 for a passenger conveyance apparatus is in a state in which the occupant can sit, as shown in Fig.

또한, 시트(12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탑승자는 시트 높이 조절부(150)의 돌기(151)를 탑승자가 원하는 높이에 있는 톱니(152-1)에 형성된 홈(152-2)에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110)의 높이(SH)가 탑승자가 원하는 높이로 됨으로써 탑승자의 앉은 높이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전거 거치대(140)는 펼쳐져 시트(120)의 보조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When the height of the seat 120 is desired to be adjusted, the occupan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151 of the seat height adjuster 150 by using a groove 152-2 formed in the tooth 152-1 at a desired height, . 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the height SH of the seat 110 is set to a height desired by the occupant, so tha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seating height of the occupant.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the bicycle rack 140 may be unfolded to serve as a supplementary support for the seat 120. FIG.

또한,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100)를 자전거 거치대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탑승자는 제1 및 제2 거치 부재(141, 142)를 상방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자전거 거치대(140)는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전거가 거치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When the chair 100 for a passenger conveying apparatus is to be used as a bicycle rack, the occupant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members 141 and 142 upward. As a result, the bicycle rack 140 becomes in a state in which the bicycle can be mounted, as shown in Fi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
110: 등받이
120: 시트
130: 접철 장치
140: 자전거 거치대
150: 시트 높이 조절부
200: 탑승자 이송장치
100: Chair for passenger conveyor
110: Backrest
120: sheet
130: Folding device
140: Bike holder
150: Seat height adjusting section
200: passenger conveyance device

Claims (7)

탑승자 이송장치의 내벽에 결합되는 등받이;
일단이 상기 등받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에 겹쳐질 수 있고,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
상기 시트가 상기 등받이에 겹치게 하거나 상기 시트의 하방 회전을 제한하는 접철 장치;
상기 시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가 등받이에 겹쳐진 때에 자전거가 거치될 수 있는 자전거 거치대; 및
상기 등받이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시트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높이 조절부는,
상기 등받이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돌기;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돌기가 걸리는 홈이 형성된 복수의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자 이송장치의 내벽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높이 조절 래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
A backrest coupled to an inner wall of the occupant transport device;
A seat,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ck and overlapped with the back, and on which the occupant can sit;
A folding device for overlapping the seat with the backrest or restricting downward rotation of the seat;
A bicycle mount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seat so that the bicycle can be mounted when the seat is overlapped with the backrest; And
And a seat heigh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height of the seat by adjusting a height of the backrest,
The seat height adjuster includes:
A projection project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backrest;
And a height adjustment rack which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eeth formed with grooves to which the protrusions are inserted, and is vertically coupled to an inner wall of the occupant transpor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이송장치는 엘리베이터, 지하철의 전차 및 기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ssenger conveying device is one of an elevator, a subway train, and a tra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이송장치의 내벽에는 상기 등받이가 수납되거나 상기 등받이에 겹친 시트와 상기 등받이가 수납되는 수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ckrest is housed in an inner wall of the passenger conveying device, or a seat part in which the backrest is accommodated and a seat overlapped with the backrest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장치는,
내부에 피스톤이 수용되며 상기 등받이에 결합되는 유압 실린더; 및
일 단은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시트에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lding /
A hydraulic cylinder in which a piston is received and which is coupled to the backrest; And
And a piston rod,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pist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se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거치대는,
상기 시트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축;
자전거의 핸들 바가 걸리는 제1 거치 후크를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결합 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거치 부재; 및
상기 자전거의 핸들 바가 걸리는 제2 거치 후크를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결합 축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거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icycle cradle,
A coupling shaft rotatably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seat;
A first mounting member including a first mounting hook on which a handle bar of the bicycle is hooked and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coupling shaft; And
And a second mounting member including a second mounting hook on which a handle bar of the bicycle is hooked and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shaf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69137A 2015-11-30 2015-11-30 Chair for transporter for passenger KR1017046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137A KR101704606B1 (en) 2015-11-30 2015-11-30 Chair for transporter for passe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137A KR101704606B1 (en) 2015-11-30 2015-11-30 Chair for transporter for passen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606B1 true KR101704606B1 (en) 2017-02-08

Family

ID=5815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137A KR101704606B1 (en) 2015-11-30 2015-11-30 Chair for transporter for passe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60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495B1 (en) * 2016-02-03 2018-02-21 곽채현 Bicycle suppor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169A (en) * 2000-08-22 2002-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with folding chair
KR200294510Y1 (en) * 2002-08-12 2002-11-08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Slim type folding stair in Elevator
JP2004160141A (en) * 2002-11-14 2004-06-10 Best:Kk Collapsible chair stored in wall
KR200460246Y1 (en) * 2011-11-01 2012-05-10 박병철 A handlebar hanging type Sliding Bicycle Rack
KR101200995B1 (en) 2011-06-20 2012-11-13 (주)대명엘리베이터 Chair for elev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169A (en) * 2000-08-22 2002-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with folding chair
KR200294510Y1 (en) * 2002-08-12 2002-11-08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Slim type folding stair in Elevator
JP2004160141A (en) * 2002-11-14 2004-06-10 Best:Kk Collapsible chair stored in wall
KR101200995B1 (en) 2011-06-20 2012-11-13 (주)대명엘리베이터 Chair for elevator
KR200460246Y1 (en) * 2011-11-01 2012-05-10 박병철 A handlebar hanging type Sliding Bicycle R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495B1 (en) * 2016-02-03 2018-02-21 곽채현 Bicycle suppor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8372B2 (en) Free standing or vehicle mounted 6-axis positionable tray, positionable shelf, cup-holder, stanchion apparatus and related systems
JP6924680B2 (en) Electric wheelchair
RU2007108449A (en) SEAT FOR A LOADED VEHICLE WITH A TURNABLE SURFACE FOR A SEAT
KR101704606B1 (en) Chair for transporter for passenger
US20140361583A1 (en) Stackable chair with cupholder and folding table
US10292880B2 (en) Transport aid
US9833367B2 (en) Modular element for a vehicle
JP2001017474A (en) Table for wheelchair, and wheelchair provided with the same
US10173740B2 (en) Bicycle container
KR101783433B1 (en) Easy Swing Apparatus
RU2689073C2 (en) Headrest for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US20160031344A1 (en) Moveable Station Pole for a Wheel Chair Position in a Transit Bus
JPH08183374A (en) Car mounted auxiliary chair
JP6756081B2 (en) Auxiliary sheet
KR101434928B1 (en) Booster seat
US7264258B1 (en) Leg abductor assembly
EP3875311B1 (en) Public transport vehicle
JP2009262800A (en) Vehicular seat
KR20180002641U (en) Car seat that can be rotated and facing
JP2020025742A (en) Handrail device
JPH047802Y2 (en)
JPS6227470Y2 (en)
JP2009067211A (en) Support device for umbrella on seat
JP2006213122A (en) Seat structure
JP2009285193A (en) Seat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