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397B1 - 인장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스틸박스 교량 - Google Patents

인장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스틸박스 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397B1
KR101704397B1 KR1020160089440A KR20160089440A KR101704397B1 KR 101704397 B1 KR101704397 B1 KR 101704397B1 KR 1020160089440 A KR1020160089440 A KR 1020160089440A KR 20160089440 A KR20160089440 A KR 20160089440A KR 101704397 B1 KR101704397 B1 KR 101704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ox
bridge
steel
steel bar
box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훈
김종열
유경아
Original Assignee
오종훈
김종열
유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훈, 김종열, 유경아 filed Critical 오종훈
Priority to KR1020160089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모멘트부의 상부 강성을 증가시켜 스틸박스 교량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부모멘트부 상부 강성을 향상시킨 스틸박스 교량은 스틸박스 거더(1)와 교각(2)을 포함하는 스틸박스 교량에 있어서, 상기 교각(2) 상부에 해당하는 부모멘트부(B)와, 상기 교각(2) 사이에 해당하는 정모멘트부(A)를 포함하고, 상기 부모멘트부(B)의 스틸박스 거더(1)는 상판(10)과 하판(20)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0)에는 보강강재(30)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판(20)에는 콘크리트(22)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장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스틸박스 교량{STEEL BOX BRIDGE WHICH INCREASES RIGIDITY OF TENSILE PART}
본 발명은 스틸박스 교량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장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스틸박스 교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강 혹은 하천의 상부에 금속이나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차량 및 사람들이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보조하여 주는 도로의 일부분으로서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교통수단이 발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점차적으로 경제적이고 안전한 교량이 요구되는 시점에 이르렀다.
일반적인 중·소지간의 교량은 강이나 하천 바닥면에서 콘크리트로 된 교각을 세우고 그 위에 콘크리트 내에 철근을 보강하여 강도를 높인 콘크리트 상부구조를 교각위에 설치하고, 그 위를 포장하여 도로로 사용하였으나 콘크리트 상부구조는 강재 교량에 비하여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중·장지간 교량에 적용할 때 불리하다.
그래서 중·장지간의 교량에는 교각 위에 금속 판넬을 용접시킨 스틸박스(Steel Box)와 콘크리트 슬래브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고, 그 위를 포장하여 사용하는 강합성 스틸박스 교량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스틸박스 교량에서 작용하는 모멘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스틸박스 거더(1)는 다수의 교각(2) 상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설치된다. 스틸박스 거더(1)가 교각(2)에 설치된 후에는 스틸박스 거더(1)에 작용하는 하중들에 의하여 교각(2) 사이 부분에서는 정모멘트(positive moment)가 발생하여 정모멘트부(B)라 칭하고, 교각(2) 부분에서는 부모멘트(negative moment)가 발생하여 부모멘트부(A)라 칭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부모멘트부(A)에서는 스틸박스 거더(1) 상부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스틸박스 거더(1) 하부에 압축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정모멘트부(B)에서는 스틸박스 거더(1)의 상부에 압축력이 작용하고, 스틸박스 거더(1) 하부에 인장력이 작용한다.
이 스틸박스 거더(1)에 작용하는 인장력과 압축력을 보완하기 위한 강성 확보가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모멘트부의 상부 강성을 증가시켜 스틸박스 교량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부모멘트부의 하부 콘크리트 타설로 하부의 압축력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보강강재를 내측과 외측에 번갈아 교번적으로 설치하여 보강강재의 인장력이 좌우 균등하게 작용하여, 스틸박스 교량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정모멘트부에서는 반대로 상부 압축력에 대항하고 하부 인장력에 대항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틸박스 거더(1)와 교각(2)을 포함하는 스틸박스 교량에 있어서, 상기 교각(2) 상부에 해당하는 부모멘트부(B)와, 상기 교각(2) 사이에 해당하는 정모멘트부(A)를 포함하고, 상기 부모멘트부(B)의 스틸박스 거더(1)는 상판(10)과 하판(20)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0)에는 프리스트레스 강봉(30)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판(20)에는 콘크리트(22)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부모멘트부(B)의 스틸박스 거더(1)는 상판(10)과 하판(20)을 포함하며, 상기 하판(20)에는 프리스트레스 강봉(30)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리스트레스 강봉(30)은, 상기 상판(10) 또는 하판(20)의 길이 방향에서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강봉(32)과, 길이 방향에서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강봉(34)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강봉(30)의 주변에는 보강 콘크리트(12)가 타설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22, 40)에는 다수의 스터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틸박스 교량은 부모멘트부의 상부 강성을 증가시켜 스틸박스 교량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부모멘트부의 하부 콘크리트 타설로 하부의 압축력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프리스트레스 강봉을 내측과 외측에 번갈아 교번적으로 설치하여 압축력이 좌우 균등하게 작용하여, 스틸박스 교량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정모멘트부에서는 반대로 상부 압축력에 대항하고 하부 인장력에 대항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스틸박스 교량에서 작용하는 모멘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틸박스 교량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스틸박스 교량의 부모멘트부(B) 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틸박스 교량의 부모멘트부(B)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틸박스 교량 부모멘트부(B) 횡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스틸박스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인장부(상부)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6에서 압축부(하부)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틸박스 교량의 정모멘트부(A) 횡단면도 및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스틸박스 교량에서 프리스트레스 강봉(3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모멘트부 상부 강성을 향상시킨 스틸박스 교량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틸박스 교량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틸박스 교량은 교각(2)이 있는 부분의 정모멘트부(A)와 교각(2) 사이의 부모멘트부(B)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스틸박스 교량의 부모멘트부(B)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부모멘트부(B)는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 도시되어 있는데 편의상 상부 쪽은 스탈박스의 상판(10) 측을 도시한 것이고 하부 쪽은 스틸박스의 하판(20) 측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횡단면도를 참조하면 동일한 구조의 스틸박스 거더(1)가 두 개 설치되고 그 상부에 상부 슬라브(40)가 설치된 것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평면도는 두 스틸박스 거더(1)의 상판(10)과 하판(20)을 동시에 확인 가능하도록 도시된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부모멘트부(B)에서 스틸박스 거더(1)의 상판(10)에는 프리스트레스 강봉(30)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 설치되고, 하판(20)에는 콘크리트(22)가 전체적으로 타설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리스트레스 강봉(30)은 외측 강봉(32)과 내측 강봉(34)으로 구분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 강봉(32) 두 개, 내측 강봉(34) 두 개가 교번적으로 번갈아 가며 설치된다. 이 결과 스틸박스 거더(1) 전체를 따라 좌우 대칭된 프리스트레스 강봉(30)가 설치됨으로써, 스틸박스 거더(1)에 작용하는 인장력 대항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강봉(32)과 내측 강봉(34)이 중첩되는 영역에는 보강 콘크리트(12)가 구비되어 프리스트레스 강봉(30; 32, 34)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스틸박스 교량의 부모멘트부(B)에서 스틸박스 거더(1)의 상판(10)에는 프리스트레스 강봉(30)을, 하판(20)에는 콘크리트(22)를 구비하는 이유는, 스틸박스 거더(1)의 부모멘트부(b) 상부에는 인장력이 발생하고 하부에는 압축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이다. 강재는 인장력에 강하고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강하기 때문에, 인장력이 발생하는 상판(10)에는 강재 플래이트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프리스트레스 강봉(30)을 이용하여 압축력을 도입하고, 압축력이 발생하는 하판(20)에는 콘크리트(22)를 타설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틸박스 교량의 부모멘트부(B) 종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틸박스 거더(1)의 상판(10) 측에 프리스트레스 강봉(30)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모습이, 하판(20) 측에는 콘크리트(22)가 타설된 모습이 도시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하지 않은 구성인 종리브(52)는 스틸박스 거더(1)의 종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구성이고, 횡리브(56)는 스틸박스 거더(1)의 횡방향을 따라 배치된 구성으로, 각각 스틸박스 거더(1)의 종방향 강성과 횡방향 강성을 향상시키는 보강재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다이아프램(54)은 횡리브(56)와 같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점은 동일하나, 격벽의 형태로 스틸박스 거더(1)의 단면 전체를 보강하는 형상이다(도 5 횡단면도 참조). 따라서 스틸박스 거더(1)의 내부 보강부재로 종리브(52)와 횡리브(56), 그리고 격벽 형태의 다이아프램을 통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 강성을 모두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교각(2) 부근 하판(20)에는 V자 형상으로 중앙을 향하여 경사진 결로 집수부(58)가 구비되고 배수 경사(58)의 V자 형상 중앙 단부에는 배수구(59)가 구비된다. 따라서 스틸박스 거더(1) 내부에서 내외부 온도 차이로 결로가 발생하여 맺힌 이슬은 스틸박스 거더(1)를 통하여 하판(20)까지 내려온 후 배수 경사(58)를 거쳐 배수구(59)를 통해 교량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틸박스 교량 부모멘트부(B) 횡단면도이고, 스틸박스 교량(1)은 그 교량의 폭에 따라 스틸박스 거더(1)가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두 개의 스틸박스 거더(1)가 스틸박스 교량을 형성하는 구조이고, 스틸박스 거더(1) 상부에는 상부 슬라브(40)가 설치되어 스틸박스 교량을 완성한다. 도 5에서 두 스틸박스 거더(1)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곡선구간에서 상부 슬라브(40)에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해서이다.
도 6은 도 5에서 스틸박스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인장부(상부)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6에서 압축부(하부)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스틸박스 거더(1)는 상판(10)과 하판(20)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ㅁ`자 형상으로, 상판(10) 측에는 프리스트레스 강봉(30)과 보강 콘크리트(12)가 구비되고, 하판(20) 측에는 콘크리트(22)가 구비된다. 그리고 하판(20)의 콘크리트(22)에는 다수의 스터드(24; stud)가 상하로부터 콘크리트(20) 내부까지 구비되며, 이는 하판(20)과 콘크리트(22)의 결합 강성을 향상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상판(10) 측에는 중앙부에 보강 콘크리트(12)가 구비되고, 이 보강 콘크리트(12)를 중심으로 외측 강봉(32)와 내측 강봉(34)이 교번적으로 번갈아 구비된다. 보강 콘크리트(12)는 상판(10)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프리스트레스 강봉(30)이 구비되는 좌우 측에만 형성되며, 이 결과 스틸박스 거더(1)의 중량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하판(20) 측에는 콘크리트(22)가 타설되고 스터드(24)가 구비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틸박스 교량의 정모멘트부(A) 횡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정모멘트부(A)에는 부모멘트부(B)와는 반대로 하판(20) 측에 프리스트레스 강봉(30; 32, 34)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 프리스트레스 강봉(30) 주변에도 마찬가지로 보강 콘크리트(26)가 타설된다. 이 결과 정모멘트부(A)의 하부에 발생하는 인장력에 저항함과 동시에 정모멘트부(A)의 상부에 발생하는 압축력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스틸박스 교량에서 프리스트레스 강봉(3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외측 강봉(32)와 내측 강봉(34)가 중첩되는 부분에서 두 강봉(32, 34)를 서로 고정시켜 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두 강봉(32, 34)를 연결하는 방식은 일반 볼트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특유의 볼트부재(100)를 도입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볼트부재(100)는 나사부(101)와 헤드부(102)로 구성되어, 나사부(101)가 제1축설부(711) 및 제2축설부(712)의 결합공(h100)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볼트부재(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중공부(103)를 갖고, 이 중공부(103)에 출입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된 심부재(110) 및 중공부(103)에 구비된 코일스프링(1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심부재(110)는 일 측 단부에 형성된 누름부(111)와, 타 측 단부에서 힌지 결합되어 일측 방향으로 접히도록 탄성 지지되는 복수개의 날개부(112)를 구비한다.또한 코일스프링(104)은 심부재(110)를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펼쳐진 날개부(112)가 걸림 지지되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날개부(112)는 일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한 래치형 부재의 일종으로, 날개부(112)와 심부재(110)의 타 측 단부를 연결하는 힌지부(112a)에는 날개부(112)가 일 측 방향, 즉 심부재(110)의 외주면으로 접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탄성체(미도시)가 구비된다.
이 탄성체에 의하여 날개부(112)가 심부재(110) 방향으로 접히도록 강제되므로, 누름부(111)를 이용해 누름부(111)를 이용해 심부재(110)가 중공부(103)의 타 측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가압하여 날개부(112)가 접혀진 상태에서, 볼트부재(100)를 결합공(h100)에 나사 결합한 후, 날개부(112)를 벌린 후 누름부(111)의 가압을 해제하면, 코일스프링(104)에 의해 심부재(110)가 중공부(103)의 일측 방향으로 인입되면서, 펼쳐진 날개부(112)가 결합공(h100) 인접 위치의 제2축설부(712)의 면에 접촉되면서 가압이 이루어진다.(도 10의 실시에서는 제2축설부(712)의 면에 접촉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반대 방향으로 볼트부재(100)를 삽입하는 경우 제2축설부(712)의 면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날개부(112)에 의해 심부(110)의 인출입이 제한되므로, 진동 등에 의해 볼트부재(100)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 압력을 받더라도, 고정된 심부재(110)로 인해 볼트부재(100)의 풀림이 방지된다. 즉, 날개부(112)가 너트와 유사한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볼트부재(100)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 누름부(111)를 눌러 심부재(110)를 중공부(103)의 일 측 방향으로 인출시켜 날개부(112)가 다시 접히도록 한 후, 누름부(111)의 가압을 해제하면, 접혀진 날개부(112)가 나사부(101)의 타 측 끝단부에 접촉되면서 심부재(110)가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볼트부재(100)를 풀게 되면, 결합공(h100)에서 볼트부재(1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볼트부재(100)와, 심부재(110)가 동반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중공부(103)와 심부재(110)의 외주면 사이에는, 단턱과 걸림홈 또는 다각 형상을 이용한 걸림 구조가 마련되어, 심부재(110)가 중공부(103)에서 회전하지 않고 전후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장력이 발생하는 위치인 부모멘트부(B)의 상판(10) 및 정모멘트부(A)의 하판(20)에 프리스트레스 강봉(30)을 설치하여, 인장력에 저항할 수 있다. 반대로 압축력이 발생하는 위치인 부모멘트부(B)의 하판(20) 및 정모멘트부(A)의 상판(10)에는 콘크리트(22, 14)를 타설하여 압축력에 저항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 정모멘트부 B : 부모멘트부
1 : 스틸박스 거더 2 : 교각
10 : 상판 12 : 보강 콘크리트
20 : 하판 22 : 콘크리트
24 : 스터드 30 : 프리스트레스 강봉
32 : 외측 강봉 34 : 내측 강봉
40 : 상부 슬래브 52 : 종리브
54 : 다이아프램 56 : 횡리브
58 : 결로 집수부 59 : 배수구

Claims (4)

  1. 스틸박스 거더(1)와 교각(2)을 포함하는 스틸박스 교량에 있어서,
    상기 교각(2) 상부에 해당하는 부모멘트부(B)와, 상기 교각(2) 사이에 해당하는 정모멘트부(A)를 포함하고,
    상기 부모멘트부(B)의 스틸박스 거더(1)는 상판(10)과 하판(20)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0)에는 프리스트레스 강봉(30)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판(20)에는 콘크리트(22)가 타설되며,
    상기 정모멘트부(A)의 스틸박스 거더(1)는 상판(10)과 하판(20)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0)에는 콘크리트(14)가 타설되고,
    상기 하판(20)에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강봉(30)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강봉(30)은,
    상기 상판(10) 또는 하판(20)의 길이 방향에서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강봉(32)과, 길이 방향에서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강봉(34)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강봉(30)의 주변에는 보강 콘크리트(12)가 타설되며,
    상기 콘크리트(22, 14)에는 다수의 스터드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 강봉(32)과 상기 내측 강봉(34)이 중첩되는 영역에서, 상기 외측 강봉(32)과 상기 내측 강봉(34)은 볼트부재로 서로 고정되며,
    상기 볼트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중공부;
    상기 중공부에 출입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고, 일 측 단부에 형성된 누름부와, 타 측 단부에서 힌지 결합되어 일 측 방향으로 접히도록 탄성 지지되는 복수개의 날개부를 구비한 심부재; 및
    상기 중공부에 구비되어, 상기 심부재를 일 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펼쳐진 날개부가 걸림 지지되도록 강제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심부재의 타측 끝단부에 형성되는 힌지부에는 상기 날개부가 상기 심부재 외주면으로 접히도록 압력을 가하는 탄성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틸박스 거더의 종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종리브(52) 및 상기 스틸박스 거더의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강성을 향상시키는 횡리브;
    상기 스틸박스 거더의 횡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격벽의 형태로 상기 스틸박스 거더의 단면 전체를 보강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하판(20)에 V자 형상으로 중앙을 향하여 경사진 결로 집수부, 및 상기 V자 형상 중앙 단부에 구비된 배수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스틸박스 교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89440A 2016-07-14 2016-07-14 인장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스틸박스 교량 KR101704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440A KR101704397B1 (ko) 2016-07-14 2016-07-14 인장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스틸박스 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440A KR101704397B1 (ko) 2016-07-14 2016-07-14 인장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스틸박스 교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397B1 true KR101704397B1 (ko) 2017-02-22

Family

ID=58314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440A KR101704397B1 (ko) 2016-07-14 2016-07-14 인장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스틸박스 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3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890Y1 (ko) * 1990-10-26 1992-10-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체잠금식 핀구조
KR200361192Y1 (ko) * 2004-06-24 2004-09-07 노윤근 스틸박스교에 있어서 단면증대와 pc강선을 이용한단면력 강화장치
JP2009097305A (ja) * 2007-10-19 2009-05-07 Takaaki Endo 超大型プレキャストボックスカルバート及び超大型プレキャスト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築造方法
KR101344820B1 (ko) * 2013-05-14 2013-12-26 한수옥 교량용 프리스트레스드 스틸 박스거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890Y1 (ko) * 1990-10-26 1992-10-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체잠금식 핀구조
KR200361192Y1 (ko) * 2004-06-24 2004-09-07 노윤근 스틸박스교에 있어서 단면증대와 pc강선을 이용한단면력 강화장치
JP2009097305A (ja) * 2007-10-19 2009-05-07 Takaaki Endo 超大型プレキャストボックスカルバート及び超大型プレキャスト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築造方法
KR101344820B1 (ko) * 2013-05-14 2013-12-26 한수옥 교량용 프리스트레스드 스틸 박스거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819B1 (ko)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둥의 안정성을 높인 강판프레임 콘크리트 내진보강공법
Mashal et al. Emulative seismic resistant technology for accelerated bridge construction
US8544129B2 (en) Composite girder for bridge construction
WO2010021428A1 (en) Opening steel composite gir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96176B1 (ko)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KR101096170B1 (ko)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KR101704397B1 (ko) 인장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스틸박스 교량
KR20110093139A (ko) 라멘형 파형강판 구조물
Mashal et al. Experimental testing of emulative and post-tensioned earthquake damage resistant technologies for accelerated bridge construction
KR102077385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JP2011157733A (ja) 合成鋼床版橋の施工方法、並びにリブ付き鋼床版、及び合成鋼床版橋
Wang et al. A novel composite joint with corrugated web and cover plates for simultaneously improving anti-collapse resistance and seismic behavior
Mehrsoroush et al. Seismic performance of two-column bridge piers with innovative precast members and pipe pin connections
KR101156223B1 (ko)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CN110184942A (zh) 用于桥梁合拢的劲性骨架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622449B1 (ko) 하이브리드 교각 및 이를 이용한 연속화 시공방법
KR102151567B1 (ko) 강합성 교량
JPH0521522Y2 (ko)
Bhadouria et al. Cost Comparison of RCC Girder and PSC Girder
KR100585626B1 (ko) 탈착이 가능한 강재를 이용한 구조용 빔 및 이를 이용한교량시공방법
Unjoh et al. Earthquak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super-multispan continuous menshin (seismic isolation) bridges and the seismic design
Ramos et al. Unusual structural effects in a variable-depth box girder bridge: The Pujayo viaduct
Zheng et al. Analysis on shear distribution of composite box-girder with corrugated steel webs under construction phase
Collings Design of bridge decks utilising arching effects
KR200358338Y1 (ko) 탈착이 가능한 강재를 이용한 구조용 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