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933B1 -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933B1
KR101703933B1 KR1020150125567A KR20150125567A KR101703933B1 KR 101703933 B1 KR101703933 B1 KR 101703933B1 KR 1020150125567 A KR1020150125567 A KR 1020150125567A KR 20150125567 A KR20150125567 A KR 20150125567A KR 101703933 B1 KR101703933 B1 KR 101703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top box
cloud service
content
personal cl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요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다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다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다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12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5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pa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 또는 셋탑 박스로부터 클라우드 서비스 신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클라우드 서비스 신청 이벤트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 및 셋탑 박스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셋탑 박스가 연결된 네트워크 자원(Networking Resource) 및 컴퓨팅 자원(Computing Resource)에 기초하여 수신된 콘텐츠를 전송하고, 셋탑 박스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PRIVATE CLOUD SERVICE}
본 발명은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콘텐츠를 사용자가 보유한 서버에 저장하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클라우드 서비스가 활성화 및 대중화되면서 스마트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저장한 콘텐츠에 대하여 이후 포맷으로 저장한 콘텐츠가 삭제되었을지라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나, 클라우드 서버가 보안에 취약한 경우 자신의 사생활과 개인정보가 모두 유출될 염려가 있다.
이때,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가정 내의 서버에 스마트 단말을 페어링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4-0080958(2014.07.01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2-0113106호(2012.10.12 공개)에는, 개인 클라우드 기기와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고, 개인 클라우드 기기를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하여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획득하며, 네트워크로 기기가 연결되면 개인 클라우드 기기를 등록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정 내에 서버를 구비해야 하며, 이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서버를 가정으로 옮긴 것에 불과하여 그 효용성 및 가성비가 낮을 수 있다. 또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는, 기기가 가정에 존재해야만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가정에 있지 않고 장기 출장이나 해외에 있는 경우, 클라우드 서비스를 전혀 이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셋탑 박스를 클라우드 서버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서버를 구축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가 외부에 존재한다고 할지라도 네트워크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이 콘텐츠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하기에 충분한 조건인 경우, 사용자의 업데이트된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업로드 및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로의 엑세스를 허가하므로, 보안성이 강화되어 가족끼리라고 할지라도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동기부여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 또는 셋탑 박스로부터 클라우드 서비스 신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클라우드 서비스 신청 이벤트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 및 셋탑 박스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셋탑 박스가 연결된 네트워크 자원(Networking Resource) 및 컴퓨팅 자원(Computing Resource)에 기초하여 수신된 콘텐츠를 전송하고, 셋탑 박스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셋탑 박스를 클라우드 서버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서버를 구축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가 외부에 존재한다고 할지라도 네트워크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이 콘텐츠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하기에 충분한 조건인 경우, 사용자의 업데이트된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업로드 및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로의 엑세스를 허가하므로, 보안성이 강화되어 가족끼리라고 할지라도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가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셋탑 박스(400), 동글(Dongle, 500), IPTV(600), 다른 사용자 단말(7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셋탑 박스(4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과 셋탑 박스(400)는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과 셋탑 박스(400)는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700)은, 셋탑 박스(4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하고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연결될 수 있고, 동글(500)은 셋탑 박스(500)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IPTV(600)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셋탑 박스(4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cation) 네트워크, RFID 네트워크(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사용자 단말(100),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셋탑 박스(400), 동글(500), IPTV(600),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7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콘텐츠를 클라우드 서버인 셋탑 박스(400)에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콘텐츠가 추가 또는 삭제되는 업데이트가 발생할 때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데이트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이미지, 문서, 텍스트, 음성 및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셋탑 박스(400)에 저장된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하여 인증 데이터를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등록 및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녹음 수단 및 촬영 수단을 이용하여 인증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인증 데이터를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동글(500)의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한 경우, 동글(500)을 통하여 셋탑 박스(400)와 채널을 형성하여 엑세스를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IPTV(600)를 통하여 자신이 업로드한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엑세스 요청을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을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7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에서 업로드한 콘텐츠에 대한 엑세스 요청이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되는 경우, 타 사용자의 엑세스 요청에 대한 알람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셋탑 박스(500)의 클라우드 서비스 신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된 이벤트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100)과 셋탑 박스(500)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셋탑 박스(400)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엑세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엑세스 요청을 허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 요청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인증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기 등록되어 저장된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 데이터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인증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셋탑 박스(400)로의 엑세스 허가를 승인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7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에서 업로드하여 셋탑 박스(400)에 저장된 콘텐츠에 엑세스 허가를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타 사용자의 접근을 알리는 알람 메세지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IPTV 재생불가 콘텐츠의 선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셋탑 박스(400)에 저장되어 있을지라도, IPTV(600)를 통하여 재생되는 것을 불가하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이 동글(500)의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한 경우, 동글(500)을 동작시켜 동글(500)을 통하여 셋탑 박스(400)와 사용자 단말(100)이 통신가능하도록 채널을 형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셋탑 박스(4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수신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셋탑 박스(400)는,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네트워크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을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셋탑 박스(400)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동글(500) 및 IPTV(600)와 연결되는 장치일 수 있고, 동글(500)이 활성화되는 경우, 동글(500)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 및 저장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셋탑 박스(4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 데이터가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승인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콘텐츠를 IPTV(6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셋탑 박스(400)는 가용 컴퓨팅 자원이 업데이트된 콘텐츠의 용량 미만인 경우에는, 용량 부족 데이터를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셋탑 박스(400)는, 네트워크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셋탑 박스(4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70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식별자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구분되도록 저장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셋탑 박스(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셋탑 박스(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글(500)은, 셋탑 박스(400)의 입출력 접속구에 연결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동글(500)은,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를 실행하기 전 확인을 위하여 하드웨어 키와 특수 키 디스켓 그리고, 초기화 시 읽기용 기억장치에 적재되는 등록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동글(500)은 블루투스 기능이 없는 셋탑 박스(400)에 연결되어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동글(500)은, 사용자 단말(100)이 동글(500)의 통신 반경에 위치하는 경우,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동글(500)은,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셋탑 박스(400)를 연결하는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IPTV(600)는, 셋탑 박스(400)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100)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IPTV(600)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700)별로 할당된 임의의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700)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IPTV 재생불가 콘텐츠로 설정한 콘텐츠가 존재할 경우, IPTV(600)에서 출력하지 않는 장치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700)은,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과 그 기능은 동일하나 사용자만 다른 경우로, 그 설명은 중복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가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 1 수신부(310), 저장부(320), 제 2 수신부(330), 제어부(340), 용량 관리부(350), 엑세스 허가부(360), 콘텐츠 관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700)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70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7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200) 연결은 사용자 단말(100),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셋탑 박스(400), 동글(500), IPTV(600)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700)이 통신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네트워크(200) 연결을 생성하는 것은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 1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셋탑 박스(400)로부터 클라우드 서비스 신청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셋탑 박스(400)의 정보를 모두 제 1 수신부(3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저장부(320)는, 클라우드 서비스 신청 이벤트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100) 및 셋탑 박스(400)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인증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인증 데이터는 생체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생체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의 촬영 수단(미도시)를 통하여 수집될 수 있다.
제 2 수신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콘텐츠가 이전 업로드 이후 업데이트가 된 경우에는, 제 2 수신부(330)로 콘텐츠의 업로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수신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이전 업로드 요청 이후에 업데이트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초기화되거나 등록 이후 첫 번째 업로드인 경우에는 모든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수신부(3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가 셋탑 박스(400)에 저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 관련된 모든 콘텐츠는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수신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의 네트워크 자원 및 컴퓨팅 자원에 기반하여 콘텐츠 전송 속도, 시간 및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자원은 예를 들어, 현재 사용자 단말(100)이 연결된 네트워크의 대역폭 등으로 파악된 네트워킹 자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으며, 갱신된 네트워크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HQ 품질의 동영상은 200K 정도로 업로드가 가능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Wi-Fi 망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버퍼링이나 끊김 없이 업로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어떤 네트워크를 사용할 것인지의, 현재 전송이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자원의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셋탑 박스(400)가 연결된 네트워크 자원(Networking Resource) 및 컴퓨팅 자원(Computing Resource)에 기초하여 수신된 콘텐츠를 전송하고, 셋탑 박스(4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용량 관리부(350)는, 제어부(340)에서 셋탑 박스(400)가 연결된 네트워크 자원(Networking Resource) 및 컴퓨팅 자원(Computing Resource)에 기초하여 수신된 콘텐츠를 전송하고, 셋탑 박스(4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의 용량이 셋탑 박스(400)의 저장가능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컴퓨팅 자원의 부족을 알리는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용량 관리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에 추가가능한 컴퓨팅 자원을 검색하고, 검색된 컴퓨팅 자원의 정보와, 구매 및 결제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용량 관리부(35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구매 및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검색된 컴퓨팅 자원을 업로드한 경로를 통하여 구매 및 결제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 업로드한 콘텐츠의 용량은 4G이고, 현재 업로드해야 할 콘텐츠의 용량은 1G이며, 셋탑 박스(400)의 가용 공간은 100MB라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업데이트된 콘텐츠는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된다고 할지라도, 셋탑 박스(400)에서 모든 콘텐츠를 저장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용량 관리부(350)는, 사용자 단말(100)로 용량 추가가 필요함을 알리고, 사용자가 별도로 메모리를 검색할 필요 없이, 해당 용량을 만족시킬 수 있는 메모리 판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등을 검색한 후, 사용자로부터 승인만 받으면 바로 구매, 결제 및 배송 주문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
용량 관리부(350)는, 제어부(340)에서 셋탑 박스(400)가 연결된 네트워크 자원(Networking Resource) 및 컴퓨팅 자원(Computing Resource)에 기초하여 수신된 콘텐츠를 전송하고, 셋탑 박스(4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의 용량이 셋탑 박스(400)의 저장가능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컴퓨팅 자원의 부족을 알리는 알람을 전송하고, 셋탑 박스(400)와 연결가능한 다른 사용자 단말(100)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용량 관리부(350)는, 다른 사용자 단말(100)과 셋탑 박스(400) 간의 연결을 생성하고, 초과된 용량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며, 셋탑 박스(400)에 초과된 용량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경로를 메타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셋탑 박스(400)가 업데이트된 콘텐츠를 모두 저장할 수는 없으나, 현재 메모리의 구매도 가능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보유한 다른 단말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량 관리부(370)는, A 사용자의 스마트 폰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경우, A 사용자의 랩탑 등으로 콘텐츠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엑세스 허가부(360)는, 제어부(340)에서 셋탑 박스(400)가 연결된 네트워크 자원(Networking Resource) 및 컴퓨팅 자원(Computing Resource)에 기초하여 수신된 콘텐츠를 전송하고, 셋탑 박스(4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셋탑 박스(400)에 저장된 콘텐츠로의 엑세스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엑세스 이벤트에 대응하는 인증 데이터와, 기 저장된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인증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셋탑 박스(400)로의 엑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데이터는, 홍채 데이터, 지문 데이터, 얼굴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셋탑 박스(400)는 사용자별로 콘텐츠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별로 분류된 콘텐츠에 대한 인증 및 엑세스 허가를 승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제 1 사용자 단말(100) 및 제 2 사용자 단말(700)을 포함하고, 제 1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 2 사용자 단말(700)의 콘텐츠로의 인증 및 엑세스 시도가 발생하는 경우,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 2 사용자 단말(700)로 제 1 사용자 단말(100)에서 발생된 인증 및 엑세스 시도에 대한 알림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와, 제 2 사용자 단말(700)의 사용자는 동일 사용자가 아닌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클라우드 서비스 신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셋탑 박스(400)의 컴퓨팅 자원을 파악하기 위한 요청 신호(Req Signal)를 전송하고,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Ack Signal)에 기반하여 셋탑 박스(400)의 컴퓨팅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셋탑 박스(400)의 네트워킹 자원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콘텐츠 업데이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 및 셋탑 박스(400)의 네트워킹 자원 가용량이 기 설정된 가용량을 만족하면 사용자 단말(100)의 콘텐츠 업로드 및 셋탑 박스(400)의 콘텐츠 다운로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셋탑 박스(400)는 동글(500)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셋탑 박스(400)의 위치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동글(500)을 구동시켜 사용자 단말(100)의 콘텐츠 업로드 및 셋탑 박스(400)의 콘텐츠 다운로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동글(500)은 셋탑 박스(400)와 USB(Universi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3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셋탑 박스(400)에 업로드된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삭제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셋탑 박스(400)에 업로드된 콘텐츠까지 삭제할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승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승인 요청에 대한 승인 응답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경우, 셋탑 박스(400)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삭제를 요청한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삭제되도록 셋탑 박스(4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셋탑 박스(400)는 IPTV(500)와 연결되고, 셋탑 박스(400)에 저장된 콘텐츠는 IPTV(500)의 임의의 채널에 할당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IPTV 재생불가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IPTV 재생불가 콘텐츠가 셋탑 박스(400)에 저장될 때 재생불가 메타데이터가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IPTV(500)의 임의의 채널은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 데이터가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인증된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상술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 3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셋탑 박스(400)로부터 등록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셋탑 박스(400)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b)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콘텐츠 업데이트가 발생한 경우, 업데이트된 콘텐츠의 업로드를 사용자 단말(100)로 요청하고, 이와 동시에 셋탑 박스(400)의 (c) 네트워크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을 파악한다. 여기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셋탑 박스(400)의 컴퓨팅 자원이 업데이트된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을 정도의 용량이고, 네트워크 자원이 업데이트된 콘텐츠의 용량을 업로드할 수 있는 정도의 자원인 경우, (d) 콘텐츠를 셋탑 박스(400)로 전송하기 시작한다.
한편, (e) 사용자 단말(100)에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셋탑 박스(400)에 저장된 콘텐츠에 엑세스하고자 하는 경우,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 데이터와, 기 저장된 인증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인증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셋탑 박스(400)로의 엑세스를 승인한다. 그리고, (f) 사용자 단말(100)에서 IPTV 재생불가 콘텐츠를 지정한 경우,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셋탑 박스(400)에는 저장하되, IPTV(6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 신호를 셋탑 박스(40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이 동글(500)의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한 경우,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동글(500)을 통하여 셋탑 박스(400)와 사용자 단말(100)이 통신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과 셋탑 박스(400)로부터 등록 이벤트를 수신한다(S4100).
그리고 나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된 콘텐츠가 수신되면(S4200), 셋탑 박스(400)에 저장되도록 셋탑 박스(400)로 업로드된 콘텐츠를 전송한다(S4210, S4300).
또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엑세스 시도가 일어나는 경우(S4400),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송된 인증 데이터와 기 저장된 인증 데이터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S4500), 동일한 경우 셋탑 박스(400)와 사용자 단말(100) 간의 연결을 생성하고(S4520),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엑세스 불허에 대한 메세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4510).
그리고,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한 후(S4600), 확인된 위치가 동글(500)의 일정 반경 내인 경우(S4610, S4700), 셋탑 박스(400)를 통하여 동글(500)을 구동시킨 후(S4710, S4720), 사용자 단말(100), 동글(500) 및 셋탑 박스(400) 간의 연결을 생성한다(S4730).
또한, 셋탑 박스(400)에서 콘텐츠 접근 요청이 발생한 경우(S4800), 셋탑 박스(400)는,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인증 데이터를 요청하고(S4810, S4820),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인증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S4830, S4840), 셋탑 박스(400)로 허가 신호를 전송하고(S4850), IPTV(600)에서 재생이 되도록 한다(S4860, S4870).
한편, 다른 사용자 단말(7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콘텐츠에 대한 접근이 시도되는 경우(S4900),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엑세스 시도를 알리고(S4910),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되도록 한다(S4920).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3을 통해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 또는 셋탑 박스로부터 클라우드 서비스 신청 이벤트를 수신한다(S5100).
그리고 나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는, 클라우드 서비스 신청 이벤트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 및 셋탑 박스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한다(S5200).
또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를 수신하고(S5300), 셋탑 박스가 연결된 네트워크 자원(Networking Resource) 및 컴퓨팅 자원(Computing Resource)에 기초하여 수신된 콘텐츠를 전송하고, 셋탑 박스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셋탑 박스를 경유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신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신청 이벤트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셋탑 박스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홍채 데이터, 지문 데이터, 얼굴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생체 데이터에 대응하는 인증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가 연결된 네트워크 자원(Networking Resource) 및 상기 셋탑 박스의 컴퓨팅 자원(Computing Resource)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셋탑 박스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의 용량이 상기 셋탑 박스의 저장가능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셋탑 박스의 컴퓨팅 자원의 부족을 알리는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가능한 다른 사용자 단말을 검색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과 상기 셋탑 박스 간의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초과된 용량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셋탑 박스에 초과된 용량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경로를 메타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에 저장된 콘텐츠로의 엑세스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엑세스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인증 데이터와, 기 저장된 사용자 단말의 인증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인증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셋탑 박스로의 엑세스를 허용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에 업로드된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삭제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셋탑 박스에 업로드된 콘텐츠까지 삭제할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승인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승인 요청에 대한 승인 응답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경우, 상기 셋탑 박스에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삭제를 요청한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삭제되도록 상기 셋탑 박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셋탑 박스는 사용자별로 콘텐츠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별로 분류된 콘텐츠에 대하여 일대일로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된 IPTV의 채널을 할당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로 상기 사용자별 채널로의 인증 및 엑세스 허가를 승인하고,
    상기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클라우드 서비스 신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셋탑 박스의 컴퓨팅 자원을 파악하기 위한 요청 신호(Req Signal)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Ack Signal)에 기반하여 상기 셋탑 박스의 컴퓨팅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셋탑 박스의 네트워킹 자원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콘텐츠 업데이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셋탑 박스의 네트워킹 자원 가용량이 기 설정된 가용량을 만족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업로드 및 셋탑 박스의 콘텐츠 다운로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셋탑 박스는 IPTV와 연결되고, 상기 셋탑 박스에 저장된 콘텐츠는 사용자별로 상기 IPTV의 임의의 채널에 할당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IPTV 재생불가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IPTV 재생불가 콘텐츠가 상기 셋탑 박스에 저장될 때 재생불가 메타데이터가 삽입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IPTV의 임의의 채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데이터가 상기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인증된 경우 활성화되는 것인,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가 연결된 네트워크 자원(Networking Resource) 및 상기 셋탑 박스의 컴퓨팅 자원(Computing Resource)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셋탑 박스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의 용량이 상기 셋탑 박스의 저장가능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컴퓨팅 자원의 부족을 알리는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가가능한 컴퓨팅 자원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컴퓨팅 자원의 정보와, 구매 및 결제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구매 및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검색된 컴퓨팅 자원을 업로드한 경로를 통하여 구매 및 결제 이벤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제 1 사용자 단말 및 제 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서 제 2 사용자 단말의 콘텐츠로의 인증 및 엑세스 시도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 2 사용자 단말로 제 1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된 인증 및 엑세스 시도에 대한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인,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는 동글(Dong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셋탑 박스의 위치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동글을 구동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업로드 및 상기 셋탑 박스의 콘텐츠 다운로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인,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는 동글(Dongle)과 연결되고,
    상기 동글은 상기 셋탑 박스와 USB(Universi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인,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16.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청구항 2, 8, 11 또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1020150125567A 2015-09-04 2015-09-04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03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567A KR101703933B1 (ko) 2015-09-04 2015-09-04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567A KR101703933B1 (ko) 2015-09-04 2015-09-04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933B1 true KR101703933B1 (ko) 2017-02-08

Family

ID=5815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567A KR101703933B1 (ko) 2015-09-04 2015-09-04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9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644A (ko) * 2011-01-28 2012-08-0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인증 시스템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KR20130090628A (ko) * 2012-02-06 2013-08-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클라우드를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가상 머신 할당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5025B1 (ko) * 2012-11-06 2013-11-04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055776A (ko) * 2013-11-14 2015-05-22 (주)휴맥스 퍼스널 클라우드 스토리지 체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644A (ko) * 2011-01-28 2012-08-0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인증 시스템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KR20130090628A (ko) * 2012-02-06 2013-08-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클라우드를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가상 머신 할당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5025B1 (ko) * 2012-11-06 2013-11-04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055776A (ko) * 2013-11-14 2015-05-22 (주)휴맥스 퍼스널 클라우드 스토리지 체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2103B2 (en) Method of sharing contents by using personal clou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personal cloud system using the same
KR101971225B1 (ko)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전송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EP3203709B1 (en) Cloud service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loud service server
US10339182B2 (en) Method for storing data by using cloud services and apparatus thereof
EP3090376B1 (en) Method for accessing a service and a corresponding server
EP34775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controlling access to data
CN105814925B (zh) 用于无线接入的接入点信息
KR101325025B1 (ko)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269B1 (ko) 위치공유자 단말기의 위치정보 공유방법
KR101853960B1 (ko) 미디어 단말 및 이의 환경 설정 방법
KR101344828B1 (ko) 디지털 콘텐츠 유통 방법 및 시스템
KR101703933B1 (ko)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79812B1 (ko)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 클라우드 장치, 관리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KR20180026100A (ko) 아이오티 단말을 등록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90066887A (ko) 가상 업무 환경을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KR20060023630A (ko) 자원 공유 서비스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이용한 자원 공유 시스템 및 자원 제공과 이용 방법
KR101909179B1 (ko) 스마트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카드형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및 방법
KR102072628B1 (ko)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의 정보 공유 방법, 이를 위한 장치
KR101643339B1 (ko) 사용자 인증방법 및 인증시스템
KR101780321B1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92814B1 (ko) 안심 메시지 발송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102299592B1 (ko)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시스템
KR102289265B1 (ko) 간편 결제 수행을 위한 기록매체
KR20150031355A (ko) 개인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39889B1 (ko) 셋탑박스 접근을 위한 이동 단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