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712B1 -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712B1
KR101703712B1 KR1020150098881A KR20150098881A KR101703712B1 KR 101703712 B1 KR101703712 B1 KR 101703712B1 KR 1020150098881 A KR1020150098881 A KR 1020150098881A KR 20150098881 A KR20150098881 A KR 20150098881A KR 101703712 B1 KR101703712 B1 KR 101703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image
verification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image
photograp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923A (ko
Inventor
김동진
박경자
이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씽크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씽크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씽크풀
Publication of KR2017000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휴대단말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이미지가 상기 휴대단말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단말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모듈, 수신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인 제1검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모듈, 상기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휴대단말에 상응하는 제2검증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모듈 및 상기 제1검증정보 및 상기 제2검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validity of digital image taken by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이미지가 휴대단말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유무선 통신망이 발달하고, 컴퓨터와 인터넷이 각 가정에 보급됨에 따라 온라인 상거래나 인터넷 뱅킹, 온라인 증명서 발급 등과 같은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그 특성상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정당한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본인 인증이 매우 중요하다.
가장 확실한 본인 인증 방법으로 사용자 본인이 직접 은행이나 증명서 발급 기관 등에 방문하는 것이지만 직접 방문이 대단히 번거롭기 때문에 안면사진이나 자신의 신분증 기타 본인인증 수단을 스캔하거나 촬영하여 이를 인증기관에 온라인으로 전송하고, 인증기관에서는 전송된 사진을 통해 본인 확인을 수행하는 비대면 인증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비대면 인증 기술을 이용할 경우 해커 등에 의해 타인의 신분증 이미지나 기타 본인인증 수단의 이미지가 부정한 경로를 통해 수집되고 악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보험사에서 주행거리나 블랙박스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보험료를 할인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에도 위조된 사진을 전송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중고 물품의 매매 시에 판매할 물건을 소지하고 있지 않음에도 타인의 사진을 도용하여 마치 자신이 해당 물건을 소지하고 있는 것처럼 가장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온라인 사진의 위조나 도용의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널리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사용자의 휴대단말에서 전송한 디지털 이미지가 상기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것임을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모듈, 수신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제1검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모듈, 상기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휴대단말에 상응하는 제2검증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모듈 및 상기 제1검증정보 및 상기 제2검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출모듈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검증정보로서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검증정보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기기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검증정보는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검증정보는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검증정보는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한 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획득모듈은,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휴대단말 또는 상기 휴대단말이 가입한 이동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상기 휴대단말 또는 상기 휴대단말이 가입한 이동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검증모듈은,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와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된 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한 시간이 소정의 시간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상기 휴대단말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 신분증 이미지, 고유한 본인인증 객체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 유효성 검증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비대면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본인인증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상기 휴대단말 사용자의 안면, 신분증 또는 고유한 본인인증 객체 중 2 이상을 함께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상기 휴대단말 사용자의 안면, 신분증 또는 고유한 본인인증 객체와 점유확인의 대상이 되는 객체를 함께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위변조 방지를 위한 소정의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된 데이터이며,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은, 상기 암호화 방식에 상응하는 복호화 방식으로 상기 메타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출모듈은, 복호화된 상기 메타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검증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단계, 수신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인 제1검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휴대단말에 상응하는 제2검증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및 상기 제1검증정보 및 상기 제2검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출단계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검증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검증정보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기기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검증정보는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검증정보는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검증정보는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한 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획득단계는,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휴대단말 또는 상기 휴대단말이 가입한 이동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상기 휴대단말 또는 상기 휴대단말이 가입한 이동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검증단계는,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와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된 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한 시간이 소정의 시간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상기 휴대단말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 신분증 이미지, 고유한 본인인증 객체의 이미지 또는 점유확인의 대상이 되는 객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비대면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본인인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위변조 방지를 위한 소정의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된 데이터이며,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은, 상기 암호화 방식에 상응하는 복호화 방식으로 상기 메타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출단계는, 복호화된 상기 메타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검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대면 본인 인증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휴대단말에서 전송한 디지털 이미지가 상기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것임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은 비대면 본인 인증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은 비대면 본인 인증에 이용될 신분증 사진이 신분증에 의해 인증될 사용자 본인의 휴대단말에 의해 촬영된 것임을 검증함으로써, 해당 신분증을 사용자 본인이 점유하고 있음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에 이용되는 메타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디지털 이미지에 삽입하고 이를 복호화하여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므로 메타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상기 휴대단말 사용자의 안면, 신분증, 고유한 본인인증 객체 중 2개 이상이 함께 촬영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본인인증이 더욱 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본인인증수단과 점유확인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이미지가 함께 촬영되는 경우 점유확인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신뢰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본인 인증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휴대단말(200)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고, 해당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이미지가 유효성이 있다고 함은 해당 디지털 이미지가 해당 디지털 이미지를 전송한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이미지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상기 휴대단말(200)로부터 직접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200)에서 소정의 외부 시스템(예를 들면, 소셜네트워크 시스템, 이미지 게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등)에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상기 유효성 검증 시스템은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상기 외부 시스템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디지털 이미지는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낱장의 이미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동영상 또는 기타의 방식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영상(예를 들면, 동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프레임 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과 상기 휴대단말(20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필요한 각종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수신한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제1검증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1검증정보는 정보를 이미지에 기입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검증정보는 워터마크나 스테가노그라피 등의 기법에 의해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기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검증정보는 메타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검증 정보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메타데이터 중 일부일 수 있다. 메타 데이터라고 함은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데이터로, 다른 데이터를 설명해 주는 데이터이다. 특히 디지털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는 노출, 플래시 사용 여부, 해상도, 사진 크기 등의 사진 정보를 비롯하여, 해당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기기 자체의 정보(기기의 제조사, 기기의 식별정보, 모델명 등), 촬영 당시의 시간 정보, 촬영된 장소의 지리적 위치 정보 등을 메타 데이터로서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대표적인 포맷으로 교환 이미지 파일 형식(EXchangable Image File format; Exif)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메타 데이터 중 검증정보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기기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1검증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제2검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2검증정보는 상기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는 정보이며, 상기 휴대단말에 상응하는 정보일 수 있다.
제2검증정보가 제1검증정보와 대응된다고 함은 제2검증정보가 제1검증정보와 동일한 종류의 정보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제2검증정보가 제1검증정보에 포함된 정보와 동일한 종류의 정보를 포함함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검증정보가 위치정보인 경우 상기 제2검증정보는 적어도 위치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제1검증정보가 위치정보, 기기의 식별정보,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검증정보는 적어도 위치정보, 기기의 식별정보, 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상기 제2검증정보중 적어도 일부를 휴대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휴대단말(200)이 가입한 이동통신사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휴대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20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휴대단말(200)이 가입한 이동통신사 시스템(300)으로부터 상기 휴대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통신사 시스템(300)이 휴대단말(20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방법은 GPS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LBS(Location Based Service)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이 상기 이동통신사 시스템(300)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고 함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이 상기 이동통신사 시스템(300)으로부터 직접 정보를 수신함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다른 중계자를 거쳐 간접적으로 정보를 수신함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후자의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소정의 중계 시스템(미도시)으로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중계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사 시스템(300)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200)이 가입한 이동통신사는 상기 휴대단말(200)이 음성이나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음성통화망/데이터통신망을 제공하는 통신사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과 상기 이동통신사 시스템(30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필요한 각종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200)은 카메라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 타블렛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기타 무선 접속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또는 다른 무선 모뎀에 연결된 프로세싱 장치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을 간략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200)은 디지털이미지를 촬영하고(S100), 이를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10).
그러면,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메타 데이터로부터 제1검증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120).
한편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상기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휴대단말(200)에 상응하는 제2검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상기 제2검증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휴대단말(200) 또는 상기 휴대단말(200)이 가입한 이동통신사 시스템(300)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상기 제1검증정보 및 상기 제2검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은 비대면 본인 인증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휴대단말(200)이 전송하는 디지털 이미지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상기 휴대단말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 또는 신분증 이미지, 기타 본인인증 수단(예컨대, 금융거래 통장, 거래 계좌화면, 금융카드(IC카드나 현금카드 등), 또는 보안카드나 OTP와 같은 보안장치 등으로 본인을 인증할 수 있는 고유한 본인인증 수단)일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비대면 본인 인증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비대면 본인 인증에 이용될 신분증 사진 등이 신분증 등 본인 인증수단에 의해 인증될 사용자 본인의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것임을 검증함으로써, 신분증 등의 촬영 당시 상기 신분증 등이 본인에 의해 점유되고 있음을 증빙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이미지 수신모듈(110), 추출모듈(120), 획득모듈(130), 검증모듈(140), 본인인증모듈(150), 복호화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를 들면, 이미지 수신모듈(110), 추출모듈(120), 획득모듈(130), 검증모듈(140), 본인인증모듈(150) 및/또는 복호화모듈(16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미지 수신모듈(110), 추출모듈(120), 획득모듈(130), 검증모듈(140), 본인인증모듈(150) 및/또는 복호화모듈(160)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이미지 수신모듈(110), 추출모듈(120), 획득모듈(130), 검증모듈(140), 본인인증모듈(150) 및/또는 복호화모듈(160) 각각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결합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모듈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수신모듈(110)은 휴대단말(200)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200)과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유무선 네트워크(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추출모듈(120)은 수신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제1검증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검증정보는 정보를 이미지에 기입하는 다양한 방식(예를 들면, 워터마크나 스테가노그라피 등)으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추출모듈(120)은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기입된 방식에 상응하는 소정의 추출 방식에 의해 상기 제1검증정보를 상기 디지털 이미지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검증정보는 메타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검증 정보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메타데이터 중 일부일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디지털 이미지 내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이미지 자체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는 Exif 포맷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모듈(120)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 중 일부만을 제1검증데이터로서 추출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1검증정보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기기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기기의 식별정보는 상기 기기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정보로서, 기기의 일련번호 등 상기 해당 기기를 특정할 수 있는 고유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기기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 모두를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에 이용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그 중 일부만을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에 활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위변조 방지를 위한 소정의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휴대단말(200)은 상기 메타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소정의 암호화 장치 혹은 암호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상기 암호화 방식에 상응하는 복호화 방식으로 상기 메타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모듈(120)은 복호화된 상기 메타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검증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에서 이용하는 암호화/복호화 방식은 공개키 기반 구조(Public Key Instructure; PKI)에 의한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암호화/복호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획득모듈(130)은 상기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휴대단말에 상응하는 제2검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에 상응하는 정보라고 함은 상기 휴대단말이 수집하거나,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휴대단말과 연동된 소정의 시스템(예컨대 이통사 시스템)이 수집하거나 파악하고 있는 상기 휴대단말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검증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는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므로,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검증정보는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검증정보는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검증정보는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한 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획득모듈(130)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전송한 휴대단말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휴대단말을 상기 제2검증정보에 상응하는 휴대단말로 특정할 수 있다.
상기 획득모듈(120)은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상기 휴대단말(200) 또는 상기 휴대단말이 가입한 이동통신사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휴대단말(200)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소정의 GPS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자신 위치를 나타내는 GPS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이동통신사 시스템(300)은 LBS 등 상기 휴대단말(200)의 위치를 추적, 수집하는 소정의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이미지가 전송되는 경우, 전송 시간이 대단히 짧기 때문에 상기 획득모듈(120)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으로 전송된 시간을 상기 휴대단말(200)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한 시간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상기 휴대단말(200) 또는 상기 휴대단말(200)이 가입한 이동통신사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검증모듈(140)은 상기 제1검증정보 및 상기 제2검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모듈(140)은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와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두 위치가 소정의 위치조건을 만족한다고 함은 두 위치가 미리 정의된 위치 관계에 해당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와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 간의 거리가 소정의 한계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검증모듈(140)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와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가 위치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검증모듈(140)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된 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검증모듈(140)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한 시간이 소정의 시간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두 개의 시간 간에 소정의 시간조건을 만족한다고 함은 두 위치가 미리 정의된 시간 관계에 해당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한 시간 간의 차이가 미리 정의된 한계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검증모듈(140)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한 시간이 시간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검증모듈(140)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와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된 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및/또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한 시간이 소정의 시간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상기 휴대단말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 신분증 이미지, 고유한 본인인증 객체, 또는 점유확인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비대면 본인인증에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유한 본인인증 객체라고 함은 소유자에 대한 본인인증에 이용될 수 있는 각종 물건이나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융거래통장, 금융거래 확인증, 금융거래 계좌화면, 금융카드(신용카드, 직불카드 등), OTP장치, 보안카드 등 본인임을 인증할 수 있는 다양한 객체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비대면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비대면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본인인증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신분증 이미지인 경우 상기 본인인증모듈(150)은 광학문자인식(Optic Character Recognition; OCR)을 통해 상기 신분증 이미지로부터 본인 인증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면, 주민번호, 주소, 이름, 성별 등)을 판독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본인 증명 사진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본인인증모듈(150)은 판독한 정보 및/또는 본인 증명 사진을 미리 저장된 본인 정보와 비교하여 비대면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고유한 본인인증 객체의 이미지인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는 본인 인증에 필요한 소정의 정보(예를 들면, 신용카드의 고유일련번호나 카드번호, 만료날짜 등, OTP장치의 고유일련번호, 보안카드의 고유일련번호 등)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본인인증모듈(150)은 광학문자인식을 통해 상기 디지털 이미지로부터 본인 인증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면, 신용카드의 고유일련번호나 카드번호, 만료날짜 등, OTP장치의 고유일련번호, 보안카드의 고유일련번호 등)을 판독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사용자의 안면, 신분증, 또는 고유한 본인인증 객체 중 2 이상을 함께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 사용자의 안면이나 신분증과 함께 금융계좌나 신용카드가 하나의 이미지로 촬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따르면,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이 수신하는 디지털 이미지가 본인을 인증하기 위한 수단을 2 이상을 포함하고 있게 되므로 이러한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강인한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인인증모듈(150)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영상 처리를 통해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2 이상의 본인인증수단(예를 들면, 안면, 신분증, 또는 고유한 본인인증 객체)을 각각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각 본인인증수단에 기초하여 비대면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인인증모듈(150)은 식별된 모든 본인인증수단에 의해 본인임이 인증되는 경우에 한해 비대면 본인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본인인증모듈(150)은 식별된 각 본인인증수단에 의해 인증되는 자가 동일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식별된 2 이상의 본인인증수단에 의해 인증되는 자가 동일인이 아닌 경우 상기 본인인증모듈(150)은 본인인증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식별된 2 이상의 본인인증수단에 의해 인증되는 자가 동일인인 경우 상기 본인인증모듈(150)은 식별된 2 이상의 본인인증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비대면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사용자의 안면, 신분증, 또는 고유한 본인인증 객체와 점유확인 대상 객체를 함께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서 점유확인의 대상이 되는 객체는 휴대단말의 사용자가 점유(즉, 소지)하고 있다고 확인될 필요가 있는 각종 물건이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가 중고물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가 중고물품을 점유하고 있음이 확인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중고물품이 점유확인의 대상이 되는 객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금융거래통장이나 금융계좌확인서와 확인대상 객체가 한꺼번에 촬영된 하나의 이미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본인인증의 수단과 점유확인 대상 객체를 함께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으므로 점유확인 대상 물건을 휴대단말의 소유자 본인이 점유하고 있다는 신뢰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본인 인증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단말(200)은 신분증 사진(P)를 촬영하고(S200), 이를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210).
그러면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수신한 상기 신분증 사진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인 제1검증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220).
상기 제1검증정보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기기의 식별정보, 및/또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수신한 신분증 사진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로부터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VP1),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기기의 식별정보(VI1), 및/또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VT1)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상기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휴대단말에 상응하는 제2검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상기 휴대단말(200)이 상기 신분증 사진을 전송한 시간 정보(VT2)를 획득할 수 있다(S230). 또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휴대단말(200) 또는 상기 휴대단말(200)이 가입한 이동통신사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S231),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상기 휴대단말(200) 또는 상기 휴대단말(200)이 가입한 이동통신사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232).
이후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VP1)와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VP2)가 소정의 위치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된 장치의 식별정보(VI1)와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VI2)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VT1)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한 시간(VT2)이 소정의 시간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신분증 사진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S240).
만약 상기 신분증 사진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상기 신분증 사진에 기초하여 비대면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250).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이 비대면 본인 인증에 한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사진의 위조나 도용을 방지해야 할 필요가 있는 각종 서비스나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행거리나 블랙박스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보험료를 할인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차 보험사의 시스템이나, 중고 물품의 매매 시에 판매할 물건을 소지하고 있지 않음에도 타인의 사진을 도용하여 마치 자신이 해당 물건을 소지하고 있는 것처럼 가장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한 중고 물품 매매 시스템에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인 인증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2)

  1.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모듈;
    수신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제1검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모듈;
    상기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휴대단말에 상응하는 제2검증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모듈; 및
    상기 제1검증정보 및 상기 제2검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검증정보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기기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검증정보는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검증정보는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검증정보는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한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모듈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검증정보로서 추출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모듈은,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휴대단말 또는 상기 휴대단말이 가입한 이동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상기 휴대단말 또는 상기 휴대단말이 가입한 이동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모듈은,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와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한 시간이 소정의 시간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6.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모듈;
    수신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제1검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모듈;
    상기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휴대단말에 상응하는 제2검증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모듈; 및
    상기 제1검증정보 및 상기 제2검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휴대단말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 신분증 이미지, 고유한 본인인증 객체의 이미지, 또는 점유확인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 유효성 검증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비대면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본인인증모듈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8.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모듈;
    수신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제1검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모듈;
    상기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휴대단말에 상응하는 제2검증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모듈; 및
    상기 제1검증정보 및 상기 제2검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휴대단말 사용자의 안면, 신분증 또는 고유한 본인인증 객체 중 2 이상을 함께 촬영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9.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모듈;
    수신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제1검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모듈;
    상기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휴대단말에 상응하는 제2검증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모듈; 및
    상기 제1검증정보 및 상기 제2검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휴대단말 사용자의 안면, 신분증 또는 고유한 본인인증 객체와 점유확인의 대상이 되는 객체를 함께 촬영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10.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모듈;
    수신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제1검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모듈;
    상기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휴대단말에 상응하는 제2검증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모듈; 및
    상기 제1검증정보 및 상기 제2검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추출모듈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검증정보로서 추출하고,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위변조 방지를 위한 소정의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된 데이터이며,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은,
    상기 암호화 방식에 상응하는 복호화 방식으로 상기 메타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출모듈은,
    복호화된 상기 메타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검증정보를 추출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11.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단계;
    수신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인 제1검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휴대단말에 상응하는 제2검증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및
    상기 제1검증정보 및 상기 제2검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검증정보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기기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검증정보는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검증정보는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검증정보는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한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검증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단계는,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휴대단말 또는 상기 휴대단말이 가입한 이동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상기 휴대단말 또는 상기 휴대단말이 가입한 이동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단계는,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와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검증정보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한 시간이 소정의 시간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
  16.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단계;
    수신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인 제1검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휴대단말에 상응하는 제2검증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및
    상기 제1검증정보 및 상기 제2검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휴대단말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 신분증 이미지, 고유한 본인인증 객체의 이미지, 또는 점유확인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비대면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본인인증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
  18.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단계;
    수신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인 제1검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휴대단말에 상응하는 제2검증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및
    상기 제1검증정보 및 상기 제2검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휴대단말 사용자의 안면, 신분증 또는 고유한 본인인증 객체 중 2 이상을 함께 촬영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
  19.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단계;
    수신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인 제1검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휴대단말에 상응하는 제2검증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및
    상기 제1검증정보 및 상기 제2검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휴대단말 사용자의 안면, 신분증 또는 고유한 본인인증 객체와 점유확인의 대상이 되는 객체를 함께 촬영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
  20.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단계;
    수신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인 제1검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제1검증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휴대단말에 상응하는 제2검증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및
    상기 제1검증정보 및 상기 제2검증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단계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검증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위변조 방지를 위한 소정의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된 데이터이며,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은,
    상기 암호화 방식에 상응하는 복호화 방식으로 상기 메타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출단계는,
    복호화된 상기 메타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검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방법.
  21.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1항 내지 제12항 또는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2.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이 제11항 내지 제12항 또는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KR1020150098881A 2015-06-26 2015-07-13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703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91172 2015-06-26
KR1020150091172 2015-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23A KR20170001923A (ko) 2017-01-05
KR101703712B1 true KR101703712B1 (ko) 2017-02-08

Family

ID=57541967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881A KR101703712B1 (ko) 2015-06-26 2015-07-13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0150098882A KR20170001924A (ko) 2015-06-26 2015-07-13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0150103230A KR101674950B1 (ko) 2015-06-26 2015-07-21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0150103231A KR20170001925A (ko) 2015-06-26 2015-07-21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0150110548A KR101703713B1 (ko) 2015-06-26 2015-08-05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1020150110549A KR20170001927A (ko) 2015-06-26 2015-08-05 디지털 이미지 기반의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1020150125089A KR20170001928A (ko) 2015-06-26 2015-09-03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1020150128535A KR101703714B1 (ko) 2015-06-26 2015-09-10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882A KR20170001924A (ko) 2015-06-26 2015-07-13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0150103230A KR101674950B1 (ko) 2015-06-26 2015-07-21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0150103231A KR20170001925A (ko) 2015-06-26 2015-07-21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0150110548A KR101703713B1 (ko) 2015-06-26 2015-08-05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1020150110549A KR20170001927A (ko) 2015-06-26 2015-08-05 디지털 이미지 기반의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1020150125089A KR20170001928A (ko) 2015-06-26 2015-09-03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1020150128535A KR101703714B1 (ko) 2015-06-26 2015-09-10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8) KR1017037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09035B (zh) * 2018-10-19 2023-07-21 日商連股份有限公司 提供認證數據的方法、計算機裝置及計算機程式
KR102623067B1 (ko) * 2022-09-15 2024-01-10 주식회사 페이히어 비대면 카드가맹점 가입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8589B (zh) 2016-12-14 2019-02-2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实体信息验证方法及装置
WO2019107578A1 (ko) * 2017-11-28 2019-06-06 조민환 중계 장치, 단말 장치 및 이들의 원격 제어 방법
KR102126652B1 (ko) * 2018-01-29 2020-06-25 박길주 해킹 방지를 위한 이미지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30361B1 (ko) * 2018-08-27 2019-03-11 황규리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물품 배송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221673B1 (ko) 2018-10-31 2021-03-0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추상화 이미지를 이용한 자기인증 서비스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WO2021022204A1 (en) * 2019-07-31 2021-02-04 Iigc, Inc. Image-based authorization and transmission of stored value or sim cards
KR20210036039A (ko) * 2019-09-25 2021-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이미지 처리 방법
CN111079573A (zh) * 2019-11-29 2020-04-28 童勤业 基于图像随机置乱技术的防伪加密方法
KR102430793B1 (ko) * 2020-07-23 2022-08-09 인비즈넷 주식회사 본인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80503B1 (ko) 2020-09-16 2022-12-22 중소기업은행 신분증 이미지의 검증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66403B1 (ko) * 2020-11-05 2023-08-11 주식회사 리얼셀러 중고 물품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47110B1 (ko) * 2020-12-09 2022-09-26 주식회사 이엠엘 에이에스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441B1 (ko) 2003-07-16 2005-09-27 양기철 화상 이미지를 통한 상호 인증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20037330A (ko) * 2010-10-11 2012-04-19 (주) 나무인터넷 이미지객체를 이용한 로그인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20337A (ko) * 2014-01-10 2014-02-18 주식회사 씽크풀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본인인증방법, 이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09035B (zh) * 2018-10-19 2023-07-21 日商連股份有限公司 提供認證數據的方法、計算機裝置及計算機程式
KR102623067B1 (ko) * 2022-09-15 2024-01-10 주식회사 페이히어 비대면 카드가맹점 가입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714B1 (ko) 2017-02-08
KR101703713B1 (ko) 2017-02-08
KR20170001927A (ko) 2017-01-05
KR20170001925A (ko) 2017-01-05
KR101674950B1 (ko) 2016-11-23
KR20170001924A (ko) 2017-01-05
KR20170001929A (ko) 2017-01-05
KR20170001923A (ko) 2017-01-05
KR20170001928A (ko) 2017-01-05
KR20170001926A (ko)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712B1 (ko)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
US11562363B2 (en) Hardware and token based user authentication
US20220417739A1 (en) Secure data communication
US10320807B2 (en)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the authenticity and verification of photographic identity documents
JP6381833B2 (ja) ユビキタス環境での認証
ES2811249T3 (es) Sistemas y métodos para compartir documentos de identidad verificados
US1099077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biometric verification
KR20170001864A (ko)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96509A1 (en) Ticket authorisation
KR101748136B1 (ko)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디지털 이미지 판단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JP2005063077A (ja) 個人認証方法、個人認証装置及びコネクタ
JP2019004475A (ja) ユビキタス環境での認証
JP2008103949A (ja) 署名認証端末及び署名認証システム及び署名確認システム及び署名認証プログラム及び署名確認プログラム及び署名認証方法及び署名確認方法
KR20170018127A (ko)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JP2009086890A (ja) 申請受理システムおよび申請受理方法
WO2010140191A1 (ja) 情報通信ネットワーク
WO2022249294A1 (ja)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121737A (ko) 카메라를 이용한 비대면 인증 제공 방법
WO2023038734A1 (en) Image authentication
TWM592132U (zh) 線上註冊系統
Reagan et al. Identity Management for Large e-Government Popu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