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518B1 -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 - Google Patents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518B1
KR101703518B1 KR1020160049005A KR20160049005A KR101703518B1 KR 101703518 B1 KR101703518 B1 KR 101703518B1 KR 1020160049005 A KR1020160049005 A KR 1020160049005A KR 20160049005 A KR20160049005 A KR 20160049005A KR 101703518 B1 KR101703518 B1 KR 101703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valve
pressure
pressure exhaust
steel ball
ru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팝디스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팝디스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팝디스크
Priority to KR1020160049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34Excess-flow valves in which the flow-energy of the flowing medium actuates the closing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열판 장치에 장착되어 파열판 장치의 내부에 압력이 과하게 발생할 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압력배기밸브는 제1몸체와 제2몸체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일단의 외주연과 내주연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되며, 나사결합되는 제1몸체와 제2몸체측 단부의 내면에는 내경이 작아지도록 단턱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단턱 사이에는 스틸볼이 삽입되어 있어, 순간 발생한 가스가 제1몸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스틸볼이 제1몸체의 단턱 측으로 이동하여 제1몸체의 내경을 폐쇄하게 되어 지속적으로 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특징인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하기가 매우 용이하고, 이로 인해 제작비용이 작게 들며, 내부에 오링이 삽입되어 있어 기밀이 매우 우수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Pressure relief valve of rupture disk device}
본 발명은 방압변 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방압변 내부에 압력이 과하게 발생할 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열판 장치 또는 방압변과 같이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는 장치에는 필수적으로 압력을 미리 외부로 유출하는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압력 또는 유체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밸브의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11-0077546호에 한쪽에 유출구와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유출구 측으로부터 다수의 가이드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원통형 통체; 플랜지부와 중앙의 돌출부가 연결편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플랜지부와 돌출부 사이에 유입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자석이 매설되어 상기 유출구 반대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원통형 통체에 결합되는 유입측 마개; 상기 장착부에 넣어져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어 자력에 의해 돌출부에 붙어있다가 유체의 초과 흐름에 의해 상기 유출구를 차단하는 볼;로 이루어진 초과 흐름 차단 안전 밸브가 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17747호에 토출포트와 환류포트가 연통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외체를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단에 삽입 고정되며 축선방향으로 연통공이 관통 형성된 출구 조인트 및, 연통공을 통해 상기 출구 조인트와 연통되어 있으며 플런저 스프링에 의해 상기 출구 조인트 대향측에 탄성 지지되어 있는 컨트롤 플런저로 구성된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플런저의 내부에는 전방 끝단측 대경부 반대쪽 끝단에 삽입되는 플런저 스크루의 릴리프관과 접촉하는 구형의 돌부를 일체로 갖는 밸브봉이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유량조절밸브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밸브 또는 유량조절밸브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하기에 애로점이 있고, 또한 제조비용이 많이 들며, 내부기밀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부에 스틸볼과 오링이 장착되어 기밀유지가 매우 우수하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하기가 매우 용이한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길밸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파열판 장치에 장착되어 파열판 장치의 내부에 압력이 과하게 발생할 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기밸브는 제1몸체와 제2몸체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일단의 외주연과 내주연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되며, 나사결합되는 제1몸체와 제2몸체측 단부의 내면에는 내경이 작아지도록 단턱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단턱 사이에는 스틸볼이 삽입되어 있어, 순간 발생한 가스가 제1몸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스틸볼이 제1몸체의 단턱 측으로 이동하여 제1몸체의 내경을 폐쇄하게 되어 지속적으로 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하기가 매우 용이하고, 이로 인해 제작비용이 작게 들며, 내부에 오링이 삽입되어 있어 기밀이 매우 우수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파일판 장치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의 다른 측면에서 본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의 단면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의 제1몸체의 단면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의 제1몸체의 수직단면을 절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의 제2몸체의 단면 개요도.
도 9는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의 제2몸체의 수직단면을 절개한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 파열판 장치에 장착되는 압력배기밸브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개요도.
도 14는 종래의 파열판 체결구조를 나타낸 단면개요도.
도 15는 본 발명 파열판 체결구조를 나타낸 수직단면 개요도.
도 16은 본 발명 파열판 체결구조를 나타낸 평면개요도.
도 17은 본 발명 파열판 체결구조를 나타낸 일부분 수직단면 상세개요도.
도 18은 본 발명 파열판 체결구조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일부분 수직단면 상세개요도.
도 19는 본 발명 파열판을 체결하는 날클립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 파열판을 체결하는 날클립의 수직단면 개요도.
도 21은 본 발명 파열판을 체결하는 날크립의 다른 실시에 따른 수직단면 개요도.
도 22는 본 발명 파열판을 체결하는 날크립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수직단면 개요도.
본 발명은 파열판 장치(200)에 장착되어 파열판 장치(200)의 내부에 압력이 과하게 발생할 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기밸브(100)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일단의 외주연과 내주연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되며, 나사결합되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0 측 단부의 내면에는 내경이 작아지도록 단턱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단턱(113, 123) 사이에는 스틸볼(130)이 삽입되어 있어, 순간 발생한 가스가 제1몸체(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스틸볼(130)이 제1몸체(110)의 단턱(113) 측으로 이동하여 제1몸체(110)의 내경을 폐쇄하게 되어 지속적으로 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중 어느 하나의 단턱(113, 123)에는 내부중심과 동심원상을 이루는 오링(140)이 삽입되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내부로 가스가 흐르게 되면, 스틸볼(130)이 이동하여 오링(140)을 압착하게 됨으로써 기밀이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중 오링(140)이 삽입되어 있는 단턱(113, 123)에는 오링(14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내부중심과 동심원상을 이루는 안착홈(1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파일판 장치의 개요도로서, (a)는 파열판 장치(200)와 압력계(300) 그리고 압력배기밸브(100)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 개요도이며, (b)는 파열판 장치(200)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 개요도이다.
파열판 장치(200)에는 API, ASME, ISO의 설계규정에 의해 안전밸브와 파열판 장치 사이에 어떠한 압력 형성도 감시할 수 있는 조치가 취해 져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으며, 이에 압력계(300)와 같은 압력식별장치가 설치되고,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밸브와 파열판 장치(200)에서 생성되는 압력을 해소할 수 있는 압력배기밸브(100)가 설치된다.
압력배기밸브(100)를 설치하는 이유는 안전밸브와 파열판 장치(2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에 현장 공정 운전상 배관이나 용기의 운전 온도가 상온에서 고온으로 전환될 수밖에 없다.
그러면 고온으로 갈수록 안전밸브와 파열판 장치(200) 사이의 공간에서 압력이 생성된다.
압력이 생성되면 그 압력이 파열판을 누르는 힘으로 작용을 하여 실제 파열판이 세팅(setting)된 압력이상이 되어야 파열판이 작동하는 현상이 발생 되어 현장 공정이 위험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파열판이 세팅된 압력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공간에서 생성된 압력을 항상 배출하는 장치가 필요한데 그 장치가 압력배기밸브(100)이다.
이러한 압력배기밸브(100)는 평상시 압력이 형성되면 바로 배출해 버리고, 운전압력이 세팅된 압력이상으로 형성될 시에는 파열판 장치가 작동하여 배관이나 용기를 보호하기 위해 세팅된 이상의 압력을 안전밸브를 통과하여 안전한 곳으로 배출시켜야 합니다.
이때 압력배기밸브(100)가 작동하여 배출되는 가연성 가스나 독성가스, 기타 유해한 종류의 여러 가스들이 압력배기밸브(1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압력배기밸브(100)는 금속과 금속이 직접 접하는 방식(Metla to Metal)으로 실링되어 있기에 초기에는 제대로 작동이 되다가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누설이 발생하게 되어 폭발사고나 인명피해를 초래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의 다른 측면에서 본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압력배기밸브(100)의 내부에 스틸볼(130)이 삽입되어, 상기 스틸볼(130)에 의해 압력배기밸브(100)의 내부로 유체가 일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압력배기밸브(100)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되는 일단의 외주연과 내주연에는 각각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서로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서로 나사결합되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측 단부의 내면에는 내부로 돌출된 단턱(113, 123)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113)에 의해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스틸볼(130)의 이동이 제한되고 유체는 흐를 수 있게 된다.
상기 단턱(113)은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에 형성되는 단턱(113, 123)은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내주면에 링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압력배기밸브(100)의 내부로 가스가 일부 유출되고 나면, 스틸볼(130)에 의해 즉시 배출되는 가스가 차단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중 어느 하나의 단턱(113, 123)에는 내부중심과 동심원상을 이루는 오링(140)이 삽입되어 있어 가스가 흐름에 따라 스틸볼(130)이 이동하여 오링(140)을 압착하게 됨으로써 기밀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중 오링(140)이 삽입되어 있는 단턱(113, 123)에는 오링(14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내부중심과 동심원상을 이루는 안착홈(11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해 오링(140)은 단턱(113, 123)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의 단면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의 제1몸체의 단면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의 제1몸체의 수직단면을 절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의 제2몸체의 단면 개요도, 도 9는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의 제2몸체의 수직단면을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 연결소켓(100)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 압력배기밸브(100)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10)는 수직단면이 육각형 형상인 육각몸체(111)의 일면에 원통 형상인 원통몸체(112)의 단면이 서로 접촉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다.
상기 육각몸체(111)와 원통형상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되, 육각몸체(111)와 원통몸체(112)의 접촉면에는 스틸볼(130)보다 직경이 작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육각몸체(111)에는 단턱(112)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2몸체(120)는 수직단면이 육각형 형상인 육각몸체(121)의 전·후면에 각각 원통 형상의 제1원통몸체(122)와 제2원통몸체(124)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역시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제1원통몸체(122)와 제2원통몸체(124)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1몸체(110)에 형성된 원통몸체(112)의 중공으로 제1원통몸체(122)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됨으로써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는 서로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몸체(120)에 형성된 제1원통몸체(122)의 길이는 제1몸체(110)의 원통몸체(112)의 내부길이보다 길거나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제2몸체(120)에 형성된 제1원통몸체(122)가 제1몸체(110)의 원통몸체(112)의 내부 중공으로 삽입시 끝단부가 접촉되게 되도록 한다.
또한, 제2몸체(120)의 육각몸체(121)와 제1원통몸체(122)가 서로 접하는 면에도 역시 스틸볼(130)의 직경보다 작은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육각몸체(121)에는 단턱(123)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스틸볼(130)은 제2몸체(120)에 형성된 제1원통몸체(12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제1몸체(110)측 육각몸체(111)에 형성된 단턱(113)과 제2몸체(120)측 육각몸체(121)에 형성된 단턱(123) 사이에서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몸체(110)측 육각몸체(111)에 형성된 단턱(113)에는 내부 중공홀과 동심원상을 이루는 원형 테두리 형상의 오링(140)을 장착함으로써 제1몸체(110)측 육각몸체(111)의 내부방향을 향하여 가스가 흐를 때에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스틸볼(130)이 압착되어 기밀이 더욱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오링(140)은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오링(140)이 삽입되는 제1몸체(110)측 육각몸체(111)에 형성된 단턱(113)에는 내부 중공홀과 동심원상을 이루는 원형 테두리 형상의 안착홈(114)이 형성되어 오링(140)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함으로서 더욱 큰 기밀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틸볼(130)은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 파열판 장치에 장착되는 압력배기밸브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개요도로서, 도 10은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압력배기밸브 내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압력배기밸브의 수직단면 개요도, 도 12는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압력배기밸브의 제1몸체의 수직단면 개요도, 도 13은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압력배기밸브의 제2몸체의 수직단면 개요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배기밸브(100) 내에 스틸볼(130)이 정확하게 직진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27)를 장착하였다.
상기 가이드부재(127)는 한 쌍의 원판링(127-1)과 상기 원판링(127-1) 사이에 복수의 가이드축(127-2)이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다.
즉, 스틸볼(130)의 직경은 기본적으로 압력배기밸브(100)의 내경보다는 작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에 따라 정확한 직진운동이 힘든 구조이다.
따라서, 가이드부재(127) 내에 스틸볼(130)이 위치하게 되면 스틸볼(130)은 정확한 직진운동을 하게 되며, 복수의 가이드축(127) 간에는 공간을 통해 유체는 흐르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에도 전혀 방해가 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120)의 끝단부 측에 원형 형상의 삽입홈(125)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125)에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재질의 패킹(126)을 삽입하되, 상기 제1몸체(110)의 끝단부 측에도 전방으로 돌출된 삽입돌기(115)를 형성함으로써 더욱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127)의 원판링(127-1)의 외부측 단면에 돌기(도면부호 미기재)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돌기에 대응하도록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내부에 형성된 단턱(113, 123)에 요홈(도면부호 미기재)을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부재(127)는 압력배기밸브(100)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4는 종래의 파열판 체결구조를 나타낸 단면개요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열판(210)은 가장자리에 볼트공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공에 볼트(B)를 삽입시켜 체결하는 것이다.
즉, 파열판(210)은 하부디스크(212)와 보강판(212) 그리고 상부디스크(211)가 적층되어 있고, 적층되어 있는 상부디스크(211)의 플랜지(211-2)에 형성된 복수의 볼트공과 하부디스크(212)의 플랜지(212-2)에 형성된 복수의 볼트공을 일치시켜볼트(B)를 삽입시킨 후, 너트로 체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플랜지(211-2, 212-2)에 형성된 복수의 볼트공에 볼트(B)를 삽입시켜 너트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함으로 체결하는 것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동일한 힘으로 체결하지 못하면 내부 기밀유지가 힘들다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 파열판 체결구조를 나타낸 수직단면 개요도, 도 16은 본 발명 파열판 체결구조를 나타낸 평면개요도, 도 17은 본 발명 파열판 체결구조를 나타낸 일부분 수직단면 상세개요도,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열판장치(200)에 장착되어 파열판장치(200)의 내부에 압력이 과하게 발생할 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파열판장치의 파열판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파열판장치(200)의 파열판(210)은 박판형 상부디스크(211)와 하부디스크(212) 사이에 박판형 보강판(213)이 삽입되어 있는 것다.
따라서, 하부디스크(212)와 보강판(213) 그리고 상부디스크(211)를 적층한 후, 복수의 날클립(220)으로서 상부디스크(211)와 하부디스크(212)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것이다.
즉, 상부디스크(211)와 하부디스크(212)는 각각 반원형상의 볼록부(211-1, 212-1)와 볼록부(211-1, 212-1)의 가장자리에 플랜지부(211-2, 21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부(211-2, 212-2)에 날클립(220)으로서 고정하는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 파열판 체결구조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일부분 수직단면 상세개요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에 따른 개요로서 상부디스크(211)의 플랜지(211-2)의 상면과 하부디스크(212)의 플랜지(212-2)의 하면에 개스킷(G)를 장착하여 날클립(220)으로 체결하도록 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 파열판을 체결하는 체결클립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 파열판을 체결하는 체결클립의 수직단면 개요도이다.
도 19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날클립(220)은 금속판재 형상의 몸체(221)의 양단이 절곡되어 끝단부가 서로 근접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외력을 가해 끝단부를 벌리게 되면 다시 근접하는 방향으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지니고 있도록 제조되어 있다.
즉, 상기 금속판재 형상의 몸체(221)의 양단에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면(222)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다가 다시 벌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날클립(220)은 판재형상의 몸체(221)의 양단이 절곡되어 그 끝단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1차 경사면(222-1)이 형성되다가 다시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2차 경사면(22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2차 경사면(22-1)의 형성 이유는 적층된 하부디스크(212)와 보강판(213) 그리고 상부디스크(211)가 날클립(220)의 개구부(223)를 통해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몸체(221)는 더욱 탄성을 지니기 위하여 개구부(223)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판스프링과 같은 효과를 지닐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1은 본 발명 파열판을 체결하는 날크립의 다른 실시에 따른 수직단면 개요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클립(220)의 마주보는 내측면에 날클립(220)의 개구부(223)와 몸체(221)의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가이드돌기(224)를 형성하고, 파열판(210)의 상면과 하면에도 상기 가이드돌기(224)에 대응하는 장홈(도면부호 미기재)을 형성하였다.
이에, 날클립(220)과 파열판(210)이 체결될 때, 날클립(22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24)가 파열판(210)의 장홈을 따라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날클립(220)과 파열판(210)의 원활한 체결을 유도하게 되며, 파열판(210)에 체결된 날클립(220)은 정확한 간격마다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날클립(220)의 체결력이 파열판(210)에 균일하게 가해지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체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날클립(22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24)는 복수개를 형성하여 가이드돌기(224)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사시킴으로써 가이드돌기(224)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체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도 22는 본 발명 파열판을 체결하는 날크립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수직단면 개요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클립(220)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224)를 톱니형상으로 형성하되, 빗면이 개구부(223) 측을 향하도록 형성하고, 파열판(210)의 상면과 하면에도 상기 가이드돌기(224)에 대응하는 톱니형상의 장홈(도면부호 미기재)을 형성함으로써 날클립(220)이 파열판(210)에 체결 후, 방사형으로 외력이 가해져도 분리가 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하기가 매우 용이하고, 이로 인해 제작비용이 작게 들며, 내부에 오링이 삽입되어 있어 기밀이 매우 우수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압력배기밸브
110. 제1몸체 111. 육각몸체 112. 원통몸체
113. 단턱 114. 안착홈 115. 삽입돌기
120. 제2몸체 121. 육각몸체 122. 제1원통몸체
123. 단턱 124. 제2원통몸체 125. 삽입홈
126. 패킹 127. 가이드부재 127-1. 원판링
127-2. 가이드축
130.스틸볼
140. 오링
200. 파열판장치 210. 파열판 211. 상부디스크
211-1. 볼록부 211-2. 플랜지부 212. 하부디스크
211-1. 볼록부 211-2. 플랜지부 213. 보강판
220. 날클립 221. 몸체 222. 절곡면
222-1. 1차 절곡면 222-2. 2차 절곡면 223. 개구부
224. 가이드돌기
300. 압력계
B. 볼트 G. 개스킷

Claims (3)

  1. 파열판 장치(200)에 장착되어 파열판 장치(200)의 내부에 압력이 과하게 발생할 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기밸브(100)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일단의 외주연과 내주연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되며, 나사결합되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0 측 단부의 내면에는 내부로 돌출되는 단턱(113, 123) 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단턱(113, 123) 사이에는 스틸볼(130)이 삽입되어 있어, 파열판 장치(200)의 내부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한 가스가 압력배기밸브(110)를 통해 배출될 때, 단턱(113, 123) 사이에 위치한 스틸볼(130)이 가스가 배출되는 제1몸체(110)의 단턱(113) 측으로 이동하여 제1몸체(110)의 내경을 막게됨으로써 지속적으로 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1몸체(110)의 단턱(113)에는 내부중심과 동심원상을 이루는 오링(140)이 삽입되어 있어, 제1몸체(110) 측으로 가스가 흐르게 되면, 스틸볼(130)이 제1몸체(110)의 단턱(113) 측으로 이동하여 오링(140)을 압착하게 됨으로써 기밀이 유지되는 것이며,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중 오링(140)이 삽입되어 있는 단턱(113, 123)에는 오링(14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내부중심과 동심원상을 이루는 안착홈(114)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압력배기밸브(100) 내에는 스틸볼(130)이 정확하게 직진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27)를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127)는 한 쌍의 원판링(127-1)과 상기 원판링(127-1) 사이에 복수의 가이드축(127-2)이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어, 가이드부재(127) 내에 스틸볼(130)이 위치하게 되면 스틸볼(130)은 직진운동을 하게 되고, 복수의 가이드축(127-2) 간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유체가 흐름에도 방해가 되지 않게 되며,
    상기 제2몸체(120)의 끝단부 측에 원형 형상의 삽입홈(125)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125)에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재질의 패킹(126)을 삽입하되, 상기 제1몸체(110)의 끝단부 측에도 전방으로 돌출된 삽입돌기(115)를 형성함으로써 더욱 기밀이 유지되는 것이 특징인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
  2. 삭제
  3. 삭제
KR1020160049005A 2016-04-21 2016-04-21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 KR101703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005A KR101703518B1 (ko) 2016-04-21 2016-04-21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005A KR101703518B1 (ko) 2016-04-21 2016-04-21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518B1 true KR101703518B1 (ko) 2017-02-22

Family

ID=5831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005A KR101703518B1 (ko) 2016-04-21 2016-04-21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490A (ko) 2020-09-02 2022-03-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습분분리 재열기의 파열판 홀더부 분해조립용 인양공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1036U (ko) * 1978-08-21 1980-02-28
JPH035174Y2 (ko) * 1985-07-25 1991-02-08
JP2004298502A (ja) * 2003-03-31 2004-10-28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および逆止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1036U (ko) * 1978-08-21 1980-02-28
JPH035174Y2 (ko) * 1985-07-25 1991-02-08
JP2004298502A (ja) * 2003-03-31 2004-10-28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および逆止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490A (ko) 2020-09-02 2022-03-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습분분리 재열기의 파열판 홀더부 분해조립용 인양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483B2 (en) Backflow preventer
US8602052B2 (en) Clamp ring for welded diaphragms
US11649899B2 (en) Ball valve
SG171950A1 (en) Valve having high pressure and low pressure seals
US20090146096A1 (en) Apparatus and methods to align a closure member and a valve stem
KR101948740B1 (ko) 베이스 플레이트
KR20160042792A (ko) 밸브 장치
US10161529B2 (en) Gasket seal for a gate valve
US8820704B2 (en) Guide member for use in a valve actuator assembly
EP0029732B1 (en) Ceramic ball valve
US20120241033A1 (en) Bonnet apparatus for use with fluid regulators
US20070144595A1 (en) Hollow piston valve
KR101703518B1 (ko) 파열판 장치의 압력배기밸브
KR20140011156A (ko) 조립식 고압유량제어밸브
US4630629A (en) Valve with compressible valve stem and valve body seals
US3561472A (en) Check valve with restricted backflow
KR101703522B1 (ko) 파열판장치의 파열판 체결방법
US10001221B2 (en) Gas valve with rubber seal packing on the closing member
WO2018143040A1 (ja) 分流弁
KR20210004880A (ko) 불소수지 성형체
US9488290B2 (en) Disc check valve system and method
RU2705172C1 (ru) Шаровой кран
CN111819381B (zh) 用于阀门的密封系统
US3542334A (en) High pressure valve assembly
GB2179121A (en) A non-return and/or anti- vacuum spring loaded valv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