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367B1 - 다부분 유체 시스템 및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부분 유체 시스템 및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367B1
KR101703367B1 KR1020117025380A KR20117025380A KR101703367B1 KR 101703367 B1 KR101703367 B1 KR 101703367B1 KR 1020117025380 A KR1020117025380 A KR 1020117025380A KR 20117025380 A KR20117025380 A KR 20117025380A KR 101703367 B1 KR101703367 B1 KR 101703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itrate
blood
line
calc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451A (ko
Inventor
얀 스테른비
Original Assignee
감브로 룬디아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감브로 룬디아 아베 filed Critical 감브로 룬디아 아베
Publication of KR20120058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72Means preventing 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gluc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4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carboxyl groups, e.g. succinic, maleic or phtha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61K33/10Carbonates; Bicarbo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0Elemental chlorine; Inorganic compounds releasing chl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2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03Regulation parameters
    • A61M1/341Regulation parameters by measuring the filtrate rate or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13Dia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01Extra-corporeal circuits in which the blood fluid passes more than once through the treatment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13Reperfusion, e.g. of the coronary vessels, e.g. retroper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8Plasma substitutes; Perfusion solutions; Dialytics or haemodialytics; Drugs for electrolytic or acid-base disorders, e.g. hypovolemic sho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RRT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부분 유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다부분 유체 시스템은 항응고 유체와, 투석 유체와 주입 유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응고 유체는 적어도 8 mM의 구연산염을 포함하고, 투석 유체 및/또는 주입 유체는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5 mM의 칼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체외 혈액 처리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부분 유체 시스템 및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A MULTIPART FLUID SYSTEM AND A SYSTEM FOR REGIONAL CITRATE ANTICOAGULATION IN AN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본 발명은 CRRT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부분 유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응고 유체와, 투석 유체 및 주입 유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체외 혈액 처리에서의 국소적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투석은 신부전 환자에게 권장되는 치료이다. 혈액으로부터의 폐기 물질 및 과량의 유체를 제거하는 것은 외부 유체로의 전달 또는 혈장액을 외부 유체로 교체하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관련 투석 유체를 이용한 다양한 투석 기술이 차별화될 수 있다. 어느 투석 기술을 사용할 것인가 하는 것은 환자의 유형에 좌우된다.
급성 신부전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수주 동안의 전일 연속 치료, 즉 지속적 신대체 요법(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이 권장되는 치료이다.
지속적 신대체 요법(CRRT)은 또한, 만성 신부전증 환자가 착용 가능한 인공 신장 시스템을 이용할 때의 처리 모드이며, 그러한 시스템은 예컨대 US 2008/058696에 개시되어 있다.
CRRT 치료에서, 환자의 혈액 스트림의 일부는 반투과성막을 포함하는 체외 혈액 회로로 안내되며, 상기 반투과성막에서 폐기 물질과 과량의 유체의 제거가 이루어지며, 그 후 정화된 혈액이 다시 환자에게로 안내된다. 반투과성막은 혈액측과 투석액측을 갖는다.
폐기 물질과 과량의 유체의 제거가 외부 유체에 대한 전달에 의해 실시될 때, 폐기 물질과 과량의 유체는 반투과성막의 투석액측 상에서 흐르는 투석 유체로의 확산에 의해 전달된다. 이러한 기법은 혈액 투석이라고 불린다.
폐기 물질과 과량의 액체의 제거가 혈장액을 외부 유체로 교체함으로써 실시될 때, 혈장액의 일부는 반투과성막을 통한 대류 흐름에 의해 혈액으로부터 제거되며, 외부 유체(교체 유체 또는 주입 유체라고도 함)가 혈액 스트림에 첨가된다. 이러한 기법은 혈액 투석이라고 불린다.
마지막으로, 폐기 물질과 과량의 유체의 제거는 또한 혈액 투석 및 혈액 여과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폐기 물질과 과량의 유체의 제거는 반투과성막을 통한 확산 및 대류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법은 혈액 여과라고 불린다.
앞서 개시된 기법 모두에 대해 통상적인 것은, 혈액이 환자로부터, 제거가 이루어지는 체외 혈액 회로로 계속해서 인출되고, "정화"된 혈액이 환자에게 복귀된다는 것이다. 혈액이 혈액 용기 내에서 그 정상 환경으로부터 제거될 때, 혈액 응고 캐스케이드가 개시되며, 응고된 혈액으로 체외 혈액 회로가 막히지 않도록, 항응고 수단이 제공되어야만 한다.
중환자를 위한 항응고제로서의 구연산염의 사용은 증가하고 있다. 구연산나트륨 및/또는 구연산 함유 유체는 그 후 혈액 액세스에 근접하게 주입되며, 혈액 액세스에서 혈액이 환자로부터 빠져나가 체외 혈액 회로로 진입한다. 구연산염은 구연산칼슘 복합물의 형성을 통해 혈장 내의 이온화 칼슘 농도를 낮춤으로써 항응고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온화 칼슘은 혈액 응고 캐스케이드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이온화 칼슘 레벨이 0.5 mM 미만으로 낮으면, 혈액 응고 캐스케이드가 방지된다. 혈액 내에 남아 있는 구연산염은 간 내에서 급속하게 신진 대사되어, 구연산염 이온당 3개의 중탄산염 이온을 형성한다. 구연산염 농도가 신진 대사에 있어서 낮을 때, 칼슘 결합 구연산염 복합물이 릴리즈되어 이온화 칼슘으로 돌아간다.
오늘날, 항응고제로서의 구연산염의 사용은 통상 칼슘을 전혀 함유하지 않는 투석 유체 또는 주입 유체의 사용과 조합되는데, 이는 상당량의 칼슘이 반투과성막에서 제거된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칼슘은, 환자의 혈액 중의 이온화 칼슘이 위험한 수준으로 낮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교체되어야만 한다. 제거된 칼슘의 대체는 통상적으로 상당히 농축된 칼슘 유체, 염화칼슘 또는 다수의 경우에 글루콘산칼슘의 직접 주입에 의해 행해진다. 이러한 주입은 환자에 대한 혈액 복귀부에 근접한, 체외 혈액 회로에 대한 라인 세트로 행해질 수 있거나, 또는 환자의 정맥으로 직접 행해질 수 있다.
반투과성막에서의 제거를 대체하기 위해 혈액 내에서의 칼슘의 정확한 양의 밸런싱은 까다로운 문제이다. 혈액 내의 너무 많은 칼슘 그리고 너무 적은 칼슘 양자는 심각한 환자의 피해를 초래할 수 잇으며, 올바르게 처리하지 않으면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이온화 칼슘 레벨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투석 유체 및/또는 주입 유체에 칼슘이 함유되는 것으로 인한 칼슘 주입을 방지하기 위한 많은 시도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응고 문제를 유발하는 일 없이 이들 유체에 충분한 칼슘을 함유시키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응고 위험을 증가시키는 일 없이 투석 프로세스 내에서의 칼슘의 제거를 줄이거나 또는 방지하는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다부분 유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CRRT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부분 유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다부분 유체 시스템은 항응고 유체와, 투석 유체 및 주입 유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응고 유체는 적어도 8 mM의 구연산염을 포함하고, 투석 유체 및/또는 주입 유체는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총 1.5 내지 4 mM의 칼슘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총 2 내지 3 mM의 칼슘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총 2.2 내지 2.6 mM의 칼슘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총 2.4 mM의 칼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총 8 내지 50 mM의 구연산염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총 10 내지 50 mM의 구연산염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총 17 내지 50 mM의 구연산염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총 18 내지 50 mM의 구연산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0 내지 1.5 mM의 마그네슘, 0 내지 5.0 mM의 칼륨, 0 내지 11 mM 포도당, 130 내지 150 mM 나트륨 및 0 내지 140 mM의 염화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투석 유체 및/또는 주입 유체는 2.0 내지 7.0 mM의 구연산염 및 총 1.8 내지 2.4 mM의 칼슘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투석 유체 및/또는 주입 유체는 3.0 내지 5.0 mM의 구연산염 및 총 1.8 내지 2.4 mM의 칼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투석 유체 및/또는 주입 유체는 0 내지 1.5 mM의 마그네슘, 0 내지 5.0 mM의 칼륨, 0 내지 11 mM의 포도당, 130 내지 150 mM 나트륨, 80 내지 150 mM의 염화물 및 0 내지 2.8 mM 인산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투석 유체 및/또는 주입 유체는 생리적 완충제를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생리적 완충제는 중탄산염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투석 유체 및/또는 주입 유체는 25 mM 미만의 중탄산염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투석 유체 및/또는 주입 유체는 0.1 내지 3.0 mM의 글루콘산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투석 유체 및/또는 주입 유체는 0.5 내지 2.9 mM의 글루콘산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주입 유체는 사후 주입 유체로서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다부분 유체 시스템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단지 항응고 유체와 투석 유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다부분 유체 시스템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단지 항응고 유체와 적어도 하나의 주입 유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다부분 유체 시스템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단지 항응고 유체와 적어도 하나의 주입 유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다부분 유체 시스템은 총 6 mM보다 많은 칼슘을 포함하는 사후 주입 유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환자로부터 혈액을 인출하기 위해 혈관 액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동맥혈 라인과, 환자에게 혈액을 복귀시키기 위해 혈관 액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정맥혈 라인을 포함하는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투석액측과 동맥혈 라인 및 정맥혈 라인과 유체 연통되는 혈액측을 지닌 필터(반투과성막); 필터 상류에서 동맥혈 라인에 연결되고 동맥혈 라인의 혈액 스트림에 주입되는 적어도 8 mM의 구연산염을 함유하는 항응고 유체 소스에 연결되는 사전 필터 주입 라인; 및 필터 하류에서 정맥혈 라인에 연결되고 정맥혈 라인의 혈액 스트림에 주입되는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주입 유체 소스에 연결되는 사후 필터 주입 라인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전 필터 주입 라인은 적어도 8 mM의 구연산염을 함유하는 항응고 유체 소스와 유체 연통되고, 사후 필터 주입 라인은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주입 유체 소스와 유체 연통된다.
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필터의 투석액측은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투석 유체 소스와 유체 연통된다.
이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 시스템은 총 6 mM보다 많은 칼슘을 포함하는 임의의 주입 유체 소스와 유체 연통되는 임의의 사후 필터 주입 라인을 포함하지 않는다. 사후 필터 주입 라인은, 필터 하류에서 정맥혈 라인에 연결되는 주입 라인이다. 이에 따라, 어떠한 사후 필터 주입 라인도 총 6 mM보다 많은 칼슘을 포함하는 주입 유체 소스에 연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환자로부터 혈액을 인출하기 위해 혈관 액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동맥혈 라인과, 환자에게 혈액을 복귀시키기 위해 혈관 액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정맥혈 라인을 포함하는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2 내지 8 mM 구연산염 및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투석 유체 소스와 유체 연통되는 투석액측과 동맥혈 라인 및 정맥혈 라인과 유체 연통되는 혈액측을 지닌 필터; 및 필터 상류에서 동맥혈 라인에 연결되고 동맥혈 라인의 혈액 스트림에 주입되는 적어도 8 mM의 구연산염을 함유하는 항응고 유체 소스에 연결되는 사전 필터 주입 라인을 포함한다.
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 시스템은 총 6 mM보다 많은 칼슘을 포함하는 임의의 주입 유체 소스에 연결되는 임의의 사후 필터 주입 라인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전 필터 주입 라인은 적어도 8 mM의 구연산염을 함유하는 항응고 유체 소스와 유체 연통되고, 사후 필터 주입 라인은 총 6 mM보다 많은 칼슘을 포함하는 임의의 주입 유체 소스에 연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환자로부터 혈액을 인출하기 위해 혈관 액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동맥혈 라인과, 환자에게 혈액을 복귀시키기 위해 혈관 액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정맥혈 라인을 포함하는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투석액측과, 동맥혈 라인 및 동맥혈 라인과 유체 연통되는 혈액측을 지닌 필터; 필터 상류에서 동맥혈 라인에 연결되고 동맥혈 라인의 혈액 스트림에 주입되는 적어도 8 mM의 구연산염을 함유하는 항응고 유체 소스에 연결되는 제1 사전 필터 주입 라인; 및 필터 상류에서 동맥혈 라인에 연결되고 동맥혈 라인의 혈액 스트림에 주입되는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주입 유체 소스에 연결되는 제2 사전 필터 주입 라인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사전 필터 주입 라인은 적어도 8 mM의 구연산염을 함유하는 항응고 유체 소스와 유체 연통되고, 제2 사전 필터 주입 라인은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주입 유체 소스와 유체 연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시스템은 필터 하류에서 정맥혈 라인에 연결되고 정맥혈 라인의 혈액 스트림에 주입되는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 및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주입 유체 소스에 연결되는 사후 필터 주입 라인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후 주입 라인은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 및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주입 유체 소스와 유체 연통된다.
이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필터의 투석액측은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투석 유체로 유체 연통된다.
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 시스템은 총 6 mM보다 많은 칼슘을 포함하는 임의의 주입 유체 소스에 연결되는 임의의 사후 필터 주입 라인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총 1.5 내지 4 mM의 칼슘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는 혈액 유량에 대해 항응고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한다. 그러한 제어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은, 혈액 내의 구연산염의 양이 체외 혈액 회로 내에서의 응고를 방지하는 데 충분한지를 모니터링하고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부분 유체 시스템과 본 발명에 따른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놀랍게도 별도의 칼슘 주입을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고 위험을 증가시키는 일 없이 투석 프로세스 내에서의 칼슘의 제거를 줄이거나 또는 방지하는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다부분 유체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8은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응고를 위한 시스템의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정의
"CRRT"라는 용어는 지속적 신대체 요법을 의미하며, 급성 신부전의 경우 또는 만성 신부전의 경우에 이러한 유형의 치료 모드는 착용 가능한 인공 신장 시스템을 사용할 때 사용된다.
"항응고 유체"라는 용어는, 체외 혈액 회로 내에 항응고 효과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고 체외 혈액 회로 내에 주입되도록 되어 있는 유체를 의미한다.
"투석 유체"라는 용어는 필터의 투석액측에 대한 필터(반투과성막, 투석기, 투석 필터 또는 투석막이라고도 함)의 관류를 위한 유체를 의미한다.
"주입 유체"라는 용어는, 사전 희석을 위해 체외 혈액 회로에 주입되거나, 즉 혈액이 투석기에 진입하기 전에 체외 혈액 흐름으로 주입되거나, 사후 희석을 위해 체외 혈액 회로에 주입되는, 즉 혈액이 투석기를 빠져나간 후, 혈액이 환자에게 복귀되기 전에 체외 혈액 흐름에 주입되는 유체를 의미한다. 주입 유체는 또한 통상적으로 교체 유체, 대체 유체 또는 혈액 여과 유체라고도 명명된다.
"총 칼슘 농도"라는 용어는 유체에 존재하는 칼슘의 총량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이온화 복합물 결합 칼슘 및 단백질 결합 칼슘으로서 존재하는 칼슘의 합을 나타낸다.
"글루콘산"이라는 용어는, 준비된 투석 용액에 글루콘산, 글루코노 감마 락톤으로서, 또는 나트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또는 칼륨염, 즉 글루콘산염과 같은 성분이 추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구연산"이라는 용어는, 준비된 투석 용액에 구연산 또는 나트륨염, 마그네슘염 또는 칼륨염, 즉 글루콘산염과 같은 성분이 추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신규한 치료 방식이 제안되었고, 자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CitRRT(Rada 20051)을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상기 프로그램은 평형 상수를 사용하여 투석에 사용되는 유체와 혈장에 존재하는 견본의 평형 농도를 계산한다(SCD base 20012). 고려되는 견본(전해질, 알부빈 및 형성된 복합물)이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견본 정상 혈장 총 농도(mM)
(Kras 19983)
Ca2 + 및Mg2 +를 지닌 복합물 형성
Ca2 + 2.1 내지 2.6(1.1 내지 1.3 이온화)
Mg2 + 0.7 내지 1.0
Na+ 135 내지 145
Cl- 100 내지 108
HCO3 -, 중탄산염, bic 22 내지 26 CaHCO3 +, MgHCO3 +
C6H5O7 3 -, 구연산염, cit 0.1 내지 0.3(유아, Ames 19504) Ca-cit-, Ca-cit2 4 -, Mg-cit-, Mg-cit2 4 -
알부민, alb 0.5 내지 0.6 Alb-Can, Alb-Mgn, n = 1 내지 10
복합물이 Ca2+ 및 Mg2+로 형성되는 것으로 고려하는 경우, 전해질 및 알부민의 정상 혈장 농도
치료 요건은 다음과 같다.
1. 적절한 투석 치료
2. 충분한 항응고 효과, 즉 필터(투석기)의 혈액측을 통과하는 이온화 칼슘은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0.2 내지 0.5 mM,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4이어야만 한다.
3. 환자에게 복귀될 때의 칼슘의 총 혈장 농도는 통상적인 수준, 즉 약 2.5 mM이어야만 한다. 다른 전해질 농도 레벨도 또한 충분해야만 한다.
4개의 상이한 치료 방식을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치료 방식은 표 2에 제시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다.
1. 현재와 같이, 항응고 유체 내의 구연산염 및 NaCl, Ca2+ 를 제외한 투석 유체 내의 모든 통상의 이온 함유, 및 칼슘 시린지로부터 Ca2 + 의 주입
2. 항응고 유체 내의 구연산염 및 NaCl, Ca2 + 를 포함하여 투석 유체 내의 모든 통상의 이온. 칼슘 시린지로부터의 Ca2 +의 추가를 방지할 수 있는지를 조사.
3. 항응고 유체 내의 구연산염 및 NaCl, Ca2 + 를 포함하여 투석 유체 내의 구연산염과 모든 통상의 이온. 칼슘 시린지로부터의 Ca2 +의 추가를 방지할 수 있는지를 조사.
4. 항응고 유체 내의 구연산염 및 Ca2 + 를 포함하는 모든 통상의 이온, 투석 유체 내의 구연산염과 모든 통상의 이온. 칼슘 시린지로부터의 Ca2 +의 추가를 방지할 수 있는지를 조사.
방식 항응고 유체 투석 유체 칼슘 주입 의무?
1. Cit3-, Na+, Cl- Na+, Mg2+, K+, HCO3 -, Cl-
2. Cit3-, Na+, Cl- Ca2+, Na+, Mg2+, K+, HCO3 -, Cl- ?
3. Cit3-, Na+, Cl- Cit3-, Ca2+, Na+, Mg2+, HCO3 -, Cl- ?
4. Cit3-, Ca2+, Na+, Mg2+, K+, HCO3 -, Cl- Cit3-, Ca2+, Na+, Mg2+, K+, HCO3 -, Cl- ?
평가된 치료 방식
적당한 혈액 유량(125 mL/min) 및 투석 유체 유량(2500 mL/h)(적절한 조건에 따라 변함)과, 상시 정상 상태(normal steady state)의 칼슘 농도(2.5 mM) 및 마그네슘 농도(0.9 mM), 그리고 항응고 유체 및 투석 유체 내의 적절한 이온 농도(변함)와, 30%의 헤마토크릿(Hct), 40 g/L의 알부민 혈장 농도, 및 40 mmHg의 CO2 분압을 가정한다. 420의 요소를 위한 KoA를 지닌 투석기를 구비하는 일회용 세트를 가정한다. 이것은 클리어런스가 단지 유체 유량에 의해서만 결정되도록 하는 데 충분하다.
다음의 표준 유체(또는 염기로서만), 즉 투석 유체 PrismaSate® B22GK4/0 (PS) (0.75 mM Mg2+, 140 mM Na+, 4 mM K+, 120.5 mM Cl-, 3 mM 젖산, 22 mM HCO3 -, 110 mM 포도당); 항응고 유체 Prismocitrate® 10/2 (PC) [12 mM 구연산염 (Na3cit로부터 10 mM 및 H3cit로부터 2 mM), 136 mM Na+, 106 mM Cl-]; 및 항응고 유체 ACD-A (113 mM 구연산염(Na3cit로부터 75 mM 및 H3cit로부터 38 mM), 225 mM Na+, 136 mM D-glucose)를 이용하여 계산을 행하였다. 칼슘 시린지를 위한 칼슘 주입 유체는 225 mM의 글루콘산 칼슘을 함유하였다.
결과
방식 1
표 3에 예가 제시되어 있다.
투석기 내로 투석기 이후
유체 총 Ca2+ 이온화 Ca2+ 총 구연산염 총 Ca2+ 이온화 Ca2+ 주입 Ca2+ 클리어런스 총 구연산염
PS
PC
1.9 0.40 3.1 1.3 0.36 6.2 mM/h 2955 mL/h 2.0
PS
ACD-A
2.4 0.40 4.3 1.4 0.36 5.7 mM/h 2536 mL/h 2.3
방식 1. 투석 유체 PrismaSate® B22GK4/0 (PS)를 사용하고, 이 투석 유체를 항응고 유체 Prismocitrate® 10/2 (PC) 또는 항응고 유체 ACD-A와 조합한 경우의 예
항응고 유체 ACD-A 유체가 투석 유체, PrismaSate®보다 훨씬 더 농축되어 있기 때문에, 혈액 흐름은 덜 희석되고, 이에 따라 투석기로 들어가는 총 칼슘 농도는 보다 높다. 그 결과, 환자에게 주입되는 총 구연산염은 이 경우에 약간 더 많고, 칼슘을 주입해야 할 필요성은 약간 적다. 환자에게 주입되는 중탄산염 농도는 약간 더 높다. 투석기로 흐르는 유량이 더 낮기 때문에, 치료의 클리어런스는 보다 낮아진다.
방식 2
이 경우, 칼슘이 표준 투석 유체에 첨가된다. 혈액 유량은 125 ml/min로 설정되고, 구연산염 및 칼슘 농도와 투석 유체의 유량은 변할 수 있다. 칼슘 유체의 주입 없이 정확한 이온화 칼슘(≤0.4 mM)과 정확한 총 칼슘(2.5 mM)을 받아들이는 임의의 기회를 갖도록 하기 위해, 투석기로 주입되는 이온화 칼슘은 0.25 내지 0.4 mM의 상이한 값으로 설정되었다. 투석 유체 유량과 투석 유체의 칼슘 농도가 어떻게 변하는지와는 관계 없이, 이온화 칼슘 농도가 0.4 mM 이하인 경우에 투석기에서 나오는(환자에게 들어가는) 충분히 높은 총 혈장 칼슘 농도를 얻기란 불가능하다. 표 4에 예가 제시되어 있다. 항응고 유체가 ACD-A인 경우, 중탄산염 농도가 너무 높은데, 즉 중탄산염 농도는 투석 유체에 있어서 22 mM 미만(투석 유체 PrismaSate® B22GK4/0에서의 농도임)이어야만 한다.
투석기 내로 투석기 이후
유체 총 Ca2 + 이온화 Ca2 + 총 구연산염 총 Ca2 + 이온화 Ca2 + 주입 Ca2 + 클리어런스 총 구연산염
PS + Ca2+, PC 1.7 0.25 4.0 (2.1) 0.4 - (2544) (3.4)
충분한 효과 없음
PS + Ca2+, ACD-A 2.4 0.25 6.0 (2.0) 0.4 - (2556) (3.3)
충분한 효과 없음
방식 2. 투석 유체 PrismaSate® B22GK4/0 (PS)를 사용하고, 투석 유체에 Ca2+를 첨가하며, 이 투석 유체를 항응고 유체 Prismocitrate® 10/2 (PC) 또는 항응고 유체 ACD-A와 조합한 경우의 예
이러한 방식은 이론적으로나 임상적으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임상 테스트에서, 칼슘의 주입할 필요 없이 또는 환자의 혈액의 응고 없이 이러한 유형의 투석을 실시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Gupta 20045, Cointault 20046).
방식 3
이 경우, 칼슘과 구연산염이 개질된 표준 투석 유체에 첨가된다. 포함되는 전해질의 농도는, 투석기로부터의 정확한 값이 달성될 때까지 변한다(대안으로서, 투석 유체 유량이 변함). 항응고 유체 Prismocitrate® 10/12 (PC)를 사용할 때, 투석 유체 내에 있어서의 농도는 3.35 mM Ca2 +, 7.0 mM 구연산염, 1.2 mM Mg2+, 142 mM Na+, 5.9 mM K+, 107 mM Cl-, 29 mM 중탄산염 및 투석 유체 유량 2500 mL/h(표 5의 결과 참고)일 수 있다. 항응고 유체 ACD-A를 사용할 때, 투석 유체 내에 있어서의 농도는 2.4 mM Ca2 +, 4.8 mM 구연산염, 0.9 mM Mg2 +, 136 mM Na+, 4.2 mM K+, 112 mM Cl-, 20 mM 중탄산염 및 투석 유체 유량 2500 mL/h (표 5의 결과 참고)일 수 있다.
투석기 내로 투석기 이후
유체 총 Ca2 + 이온화 Ca2 + 총 구연산염 총 Ca2 + 이온화 Ca2 + 주입 Ca2 + 클리어런스 총 구연산염
PS + Ca2 +
및 cit PC
1.9 0.40 3.1 2.5 0.40 - 2962 4.5
PS + Ca2 +
및 cit ACD-A
2.4 0.40 4.3 2.5 0.40 - 2538 4.5
방식 3. 투석 유체 PrismaSate® B22GK4/0 (PS)를 사용하고, 투석 유체에 Ca2+ 및 구연산염을 첨가하며, 이 투석 유체를 항응고 유체 Prismocitrate® 10/2 (PC) 또는 항응고 유체 ACD-A와 조합한 경우의 예
항응고 유체 Prismocitrate® 10/12의 경우, 투석 유체 유량이 2000(또는 3000) mL/h로 변하면, 투석기로부터의 농도는 (상기 표 5의 농도와 비교했을 때) 약간 변하며, 예컨대 총 Ca2+ 2.4(2.6) mM, 총 Mg2+ 0.8(0.9) mM 및 총 K+ 3.6(4.4)이고, 클리어런스는 2666(3253) mL/h가 된다. 항응고 유체가 ACD-A인 예에서 투석 유체 유량에 변할 때에도 역시 농도가 영향을 받기는 하지만 그 정도는 보다 적다.
방식 4
이 경우, 목표는 포함되는 전해질의 농도를 투석기 전반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었다. 가능한 경우, 항응고 유체와 투석 유체 모두는 Ca2 +, Na+, K+, Mg2 + 및 Cl-의 통상의 총 혈장값을 포함하였다. 그러나, 투석 유체에서의 Ca2 + 및 Mg2 +의 농도는. 투석기를 통과하는 혈장 흐름이 항응고 유체에 의해 희석되기 때문에 농축될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인해 통상의 것보다 약간 낮다. 항응고 유체에서의 상이한 구연산염 농도를 조사하였고, 이 유체에서의 Cl-의 농도는 선택된 구연산염 농도에 좌우된다. 투석 유체에서의 구연산염의 농도는 이온화 칼슘 농도를 투석기 전반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선택되었다.
항응고 유체 Prismocitrate® 10/12에 기초하는 것, 항응고 유체 ACD-A에 기초하는 것, 및 전자의 사이의 구연산염 농도를 갖는 항응고 유체인 3개의 상이한 항응고 유체를 조사하였다.
표 6에 예가 제시되어 있다.
변형예 1: 항응고 유체 Prismocitrate® 10/12에 2.5 mM Ca2 +, 0.9 mM Mg2 + 및 4.0 mM K+를 첨가하였다. 이와 함께, 투석 유체는 2.1 mM Ca2 +, 4.1 mM 구연산염, 0.8 mM Mg2 +, 144 mM Na+, 4.0 mM K+, 122 mM Cl-, 20 mM 중탄산염을 함유하였고, 투석 유체 유량은 2500 mL/h이었다.
변형예 2: 유체에 있는 구연산염은 Na3cit 또는 H3cit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가능한 한 높은 pH(약, 6.4), 즉 가능한 한 정상 혈장의 pH 7.4에 가까운 pH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모든 구연산염은 Na3cit로부터 얻어야만 한다. 항응고 유체에서의 바람직한 Na+ 농도는 140 mM이고, 이 경우에 구연산염 농도는 140/3 = 67.6 mM일 것이다. 이 항응고 유체에, 2.5 mM Ca2 +, 0.9 mM Mg2+ 및 4.0 mM K+를 첨가하였다. 이와 함께, 투석 유체는 2.25 mM Ca2 +, 4.5 mM 구연산염, 0.85 mM Mg2 +, 140 mM Na+, 4.0 mM K+, 122 mM Cl-, 15 mM 중탄산염을 함유하였고, 투석 유체 유량은 2500 mL/h이었다.
변형예 3: 항응고 유체 ACD-A에 2.5 mM Ca2 +, 0.9 mM Mg2 + 및 4.0 mM K+를 첨가하였다. 이와 함께, 투석 유체는 2.25 mM Ca2 +, 4.5 mM 구연산염, 0.85 mM Mg2+, 140 mM Na+, 4.0 mM K+, 122 mM Cl-, 15 mM 중탄산염을 함유하였고, 투석 유체 유량은 2500 mL/h이었다.
투석기 내로 투석기 이후
유체 총 Ca2 + 이온화 Ca2 + 총 구연산염 총 Ca2 + 이온화 Ca2 + 주입 Ca2 + 클리어런스 총 구연산염
PS + Ca2 +
및 cit PC 10/2 + Ca2 +


2.5


0.40


4.8


2.5


0.40


-


3409


4.6
PS + Ca2 +
및 cit
67.6 구연산염 + Ca2 +


2.5


0.40


4.6


2.5


0.40


-


2622


4.5
PS + Ca2 +
및 cit
ACD-A + Ca2 +


2.5


0.40


4.5


2.5


0.40


-


2539


4.5
방식 4. 투석 유체 PrismaSate® B22GK4/0 (PS)를 사용하고, 투석 유체에 Ca2+ 및 구연산염을 첨가하며, 이 투석 유체를 항응고 유체 Prismocitrate® 10/12 (PC), 항응고 유체 ACD-A 또는 이들 사이의 구연산염 농도를 갖는 항응고 유체에 기초한 3개의 상이한 항응고 유체와 조합한 경우의 예
투석 유체의 유량(1000 내지 4500 mL/h, 혈액 유량은 125 mL/min로 일정함)과 혈액의 유량(50 내지 200 mL/min, 투석 유체의 유량은 2500 mL/h로 일정함)은, 중탄산염을 제외한 전해질 농도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폭넓게 변할 수 있다.
평가
방식 1은 구연산염 투석을 실시할 때 현재 사용되는 처리 기법이다. 이러한 치료에 필요한 칼슘 주입을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것은 방식 2에 의해서는 달성될 수 없지만, 방식 3 및 방식 4에 의해서는 달성될 수 있다. 방식 3 및 방식 4는 환자에게 투여되는 총 구연산염 농도에 관하여 비교할 수 있지만, 방식 4는 혈액, 투석 유체 및 항응고 유체의 유량의 변화에 대해서 훨씬 더 둔감한데, 그 이유는 방식 4에서는 시스템이 투석기에 걸쳐 평형에 가깝기때문이다.
도면의 상세한 설명
도 1에는 환자로부터 혈액을 인출하기 위해 혈관 액세스(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동맥혈 라인(1)과, 환자에게 혈액을 복귀시키기 위해 혈관 액세스(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정맥혈 라인(2)을 포함하는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투석액측과 동맥혈 라인 및 동맥혈 라인과 유체 연통되는 혈액측을 지닌 필터(3); 동맥혈 라인(1)에 구연산염을 함유하는 항응고 유체(5)를 주입하기 위해 필터(3)의 상류에서 동맥혈 라인(1)에 연결되는 사전 필터 주입 라인(4); 및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주입 유체(7)를 주입하기 위해 필터(3)의 하류에서 정맥혈 라인(2)에 연결되는 사후 필터 주입 라인(6)을 포함한다. 배출 백(8)은 필터(3)의 투석액측과 유체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필터(3)를 통과한 혈액로부터 인출된 혈장 워터(한외여과액)을 수집한다.
도 2에는, 필터(3)의 투석액측은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투석 유체(9)와 유체 연통되는 것이 추가된 도 1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다른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환자로부터 혈액을 인출하기 위해 혈관 액세스(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동맥혈 라인(1)과, 환자에게 혈액을 복귀시키기 위해 혈관 액세스(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정맥혈 라인(2)을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또한, 2 내지 8 mM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투석 유체(9)와 유체 연통되는 투석액측과 동맥혈 라인 및 정맥혈 라인과 유체 연통되는 혈액측을 지닌 필터(3)와, 필터(3)를 통과한 혈액으로부터 인출된 소비된 투석 유체와 혈장 워터(한외여과액)을 위한 배출 백(8)을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구연산염을 함유하는 항응고 유체(5)를 동맥혈 라인에 있는 혈액에 주입하기 위해 필터(3) 상류에서 동맥혈 라인(1)에 연결되는 사전 필터 주입 라인(4)을 포함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응고를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환자로부터 혈액을 인출하기 위해 혈관 액세스(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동맥혈 라인(1)과, 환자에게 혈액을 복귀시키기 위해 혈관 액세스(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정맥혈 라인(2)을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투석액측과, 동맥혈 라인 및 정맥혈 라인과 유체 연통되도록 구성된 혈액측을 지닌 필터(3)를 더 포함한다. 사전 필터 주입 라인(4)은 구연산염을 함유하는 항응고 유체(5)를 동맥혈 라인(1)에 있는 혈액에 주입하기 위해 필터(3) 상류에서 동맥혈 라인(1)에 연결된다. 제2 사전 필터 주입 라인(10)이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주입 유체(11)를 동맥혈 라인(1)에 있는 혈액에 주입하기 위해 필터(3) 상류에서 동맥혈 라인(1)에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배출 백(8)은 필터(3)의 투석액측과 유체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필터(3)를 통과한 혈액으로부터 인출된 혈장 워터(한외여과액)을 받아들인다.
도 5에는,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주입 유체(7)를 정맥혈 라인(2)에 있는 혈액에 주입하기 위해 필터(3)의 하류에서 정맥혈 라인(2)에 연결되는 사후 필터 주입 라인(6)을 더 포함하는, 도 4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필터(3)의 투석액측은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투석 유체(9)와 유체 연통되는, 도 4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도 6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주입 유체(7)를 정맥혈 라인(2)에 있는 혈액에 주입하기 위해 필터(3)의 하류에서 정맥혈 라인(2)에 연결되는 사후 필터 주입 라인(6)을 더 포함한다.
도 8에는, 혈액 유량에 관하여 항응고 유체 흐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제어 유닛(12)을 더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도 1 내지 도 7의 상이한 실시예에 도시된 모든 시스템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한 제어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은, 혈액 내의 구연산염의 양이 체외 혈액 회로 내에서의 항응고를 유지하는 데 충분한지를 모니터링하고 보장한다.
상기 모든 도면으로부터 자명한 바와 같이, 시스템은 총 6 mM가 넘는 칼슘을 포함하는 유체의 주입을 위해 필터(3)의 하류에서 정맥혈 라인(2)에 연결되는 사후 필터 주입 라인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펌프들이 체외 혈액 회로를 통과하도록 혈액을 펌핑하고[펌프(13)], 체외 혈액 회로로 항응고 유체를 펌핑하며[펌프(14)], 체외 혈액 회로로 주입 유체를 펌핑하고[펌프(15a, 15b)], 필터(3)의 투석액측으로 투석 유체를 펌핑하며[펌프(16)], 필터(3)의 투석액측으로부터 배출 백(8)으로 혈장액(한외여과액)과 소비된 선택적 투석 유체를 펌핑[펌프(17)]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현재로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변화는 당업자에게 명확함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변경 및 변화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수반하는 장점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 및 변화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하도록 의도된다.
참고 문헌:
1 Rada H; CitRRT(Internal report, GAMBRO)
2 2001년, SCDbase, Stability Constants Database IUPAC, Academic Software
3 Kratz A 등 저술; 1998년 New Engl J Med 339:1063-1067
4 Ames R 등 저술; 1950년, Pediatrics 6:361-370
5 Gupta M 등 저술; 2004년, Am J Kidney Dis 43:67-73
6 Cointault O 등 저술; 2004년, Nephrol Dial Transplant 19: 171-178
1 : 동맥혈 라인
2 : 정맥혈 라인
3 : 필터
4 : 사전 필터 주입 라인
5 : 항응고 유체
6 : 사후 필터 주입 라인
7 : 주입 유체
8 : 배출 백
9 : 투석 유체
12 : 제어 유닛

Claims (25)

  1. CRRT에 사용하기 위한 다부분 유체 시스템(multipart fluid system)으로서, 상기 다부분 유체 시스템은 항응고 유체와, 투석 유체 및 주입 유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를 포함하는 것인 다부분 유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적어도 8 mM의 구연산염을 포함하고,
    상기 투석 유체와 주입 유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부분 유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총 1.5 내지 4 mM의 칼슘을 더 포함하는 것인 다부분 유체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8 내지 50 mM의 구연산염을 포함하는 것인 다부분 유체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10 내지 50 mM의 구연산염을 포함하는 것인 다부분 유체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17 내지 50 mM의 구연산염을 포함하는 것인 다부분 유체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총 2 내지 3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것인 다부분 유체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총 2.2 내지 2.6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것인 다부분 유체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0 내지 1.5 mM의 마그네슘, 0 내지 5.0 mM의 칼륨, 0 내지 11 mM의 포도당, 130 내지 150 mM의 나트륨 및 0 내지 140 mM의 염화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다부분 유체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석 유체와 주입 유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2.0 내지 7.0 mM 구연산염과 총 1.8 내지 2.4 mM 칼슘을 더 포함하는 것인 다부분 유체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석 유체와 주입 유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3.0 내지 5.0 mM의 구연산염과 총 1.8 내지 2.4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것인 다부분 유체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석 유체와 주입 유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0 내지 1.5 mM의 마그네슘, 0 내지 5.0 mM의 칼륨, 0 내지 11 mM의 포도당, 130 내지 150 mM의 나트륨 및 80 내지 150 mM의 염화물 및 0 내지 2.8 mM의 인산염을 더 포함하는 것인 다부분 유체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석 유체와 주입 유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생리적 완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다부분 유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적 완충제는 중탄산염인 것인 다부분 유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투석 유체와 주입 유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25 mM 미만의 중탄산염을 포함하는 것인 다부분 유체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석 유체와 주입 유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0.1 내지 3.0 mM의 글루콘산을 더 포함하는 것인 다부분 유체 시스템.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유체는 사후 주입 유체로서 사용되는 것인 다부분 유체 시스템.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부분 유체 시스템은 총 0.6 mM보다 많은 칼슘을 포함하는 사후 주입 유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다부분 유체 시스템.
  18. 환자로부터 혈액을 인출하기 위해 혈관 액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동맥혈 라인과, 환자에게 혈액을 복귀시키기 위해 혈관 액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정맥혈 라인을 포함하는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투석액측과, 동맥혈 라인 및 정맥혈 라인과 유체 연통되는 혈액측을 지닌 필터,
    필터 상류에서 동맥혈 라인에 연결되고, 동맥혈 라인에서 혈액 스트림에 주입되는 적어도 8 mM의 구연산염을 함유하는 항응고 유체 소스에 연결되는 사전 필터 주입 라인, 및
    필터 하류에서 정맥혈 라인에 연결되고, 정맥혈 라인에서 혈액 스트림에 주입되는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 및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주입 유체 소스에 연결되는 사후 필터 주입 라인
    을 포함하는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
  19. 환자로부터 혈액을 인출하기 위해 혈관 액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동맥혈 라인과, 환자에게 혈액을 복귀시키기 위해 혈관 액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정맥혈 라인을 포함하는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투석 유체 소스와 유체 연통되는 투석액측과, 동맥혈 라인 및 정맥혈 라인과 유체 연통되는 혈액측을 지닌 필터와,
    필터 상류에서 동맥혈 라인에 연결되고, 동맥혈 라인에서 혈액 스트림에 주입되는 적어도 8 mM의 구연산염을 함유하는 항응고 유체 소스에 연결되는 사전 필터 주입 라인
    을 포함하는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
  20. 환자로부터 혈액을 인출하기 위해 혈관 액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동맥혈 라인과, 환자에게 혈액을 복귀시키기 위해 혈관 액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정맥혈 라인을 포함하는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투석액측과, 동맥혈 라인 및 정맥혈 라인과 유체 연통되는 혈액측을 지닌 필터,
    필터 상류에서 동맥혈 라인에 연결되고, 동맥혈 라인에서 혈액 스트림에 주입되는 적어도 8 mM의 구연산염을 함유하는 항응고 유체 소스에 연결되는 제1 사전 필터 주입 라인, 및
    필터 상류에서 동맥혈 라인에 연결되고, 동맥혈 라인에서 혈액 스트림에 주입되는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주입 유체 소스에 연결되는 제2 사전 필터 주입 라인
    을 포함하는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필터 하류에서 정맥혈 라인에 연결되고, 정맥혈 라인에서 혈액 스트림에 주입되는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주입 유체 소스에 연결되는 사후 필터 주입 라인을 더 포함하는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
  22. 제18항, 제20항 또는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투석액측은 2 내지 8 mM의 구연산염과 총 1 내지 5 mM의 칼슘을 포함하는 투석 유체 소스와 유체 연통되는 것인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
  23.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총 6 mM가 넘는 칼슘을 포함하는 임의의 주입 유체 소스에 연결되는 임의의 사후 필터 주입 라인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
  24.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응고 유체는 총 1.5 내지 4 mM의 칼슘을 더 포함하는 것인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
  25.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혈액 유량에 대하여 항응고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인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


KR1020117025380A 2009-03-31 2010-03-31 다부분 유체 시스템 및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 KR101703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92209P 2009-03-31 2009-03-31
US61/164,922 2009-03-31
SE0900422-7 2009-03-31
SE0900422 2009-03-31
PCT/EP2010/054267 WO2010112538A1 (en) 2009-03-31 2010-03-31 A multipart fluid system and a system for regional citrate anticoagulation in an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451A KR20120058451A (ko) 2012-06-07
KR101703367B1 true KR101703367B1 (ko) 2017-02-06

Family

ID=42237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380A KR101703367B1 (ko) 2009-03-31 2010-03-31 다부분 유체 시스템 및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8911390B2 (ko)
EP (1) EP2413944B1 (ko)
JP (1) JP5694290B2 (ko)
KR (1) KR101703367B1 (ko)
CN (1) CN102378631B (ko)
AU (1) AU2010230239B2 (ko)
CA (1) CA2757082C (ko)
WO (1) WO20101125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8631B (zh) * 2009-03-31 2015-08-19 甘布罗伦迪亚股份公司 多部分式流体系统和用于在体外血液回路中局部柠檬酸盐抗凝的系统
CA2764838C (en) * 2009-06-17 2018-05-01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Methods of regional citrate anticoagulation dialysis
CA2897426A1 (en) * 2012-01-09 2013-07-18 Somerset Group Enterprises, Inc. Modular extracorporeal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blood-borne diseases
US10743804B2 (en) * 2013-04-17 2020-08-18 Fluisense Aps Fluid sampling system
US10369266B2 (en) * 2013-04-30 2019-08-06 Gambro Lundia Ab Multipart fluid system and a system for citrate anticoagulation in an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WO2014177629A1 (en) * 2013-04-30 2014-11-06 Gambro Lundia Ab A multipart fluid system and a system for regional citrate anticoagulation with a phosphate comprising anticoagulation fluid
CN111317744A (zh) 2013-04-30 2020-06-23 甘布罗伦迪亚股份公司 包含柠檬酸盐和磷酸盐的抗凝流体
US10004762B2 (en) 2013-05-08 2018-06-26 Gambro Lundia Ab Dialysis formulation
AU2016249994B2 (en) * 2015-04-15 2020-04-02 Gambro Lundia Ab Treatment system with infusion apparatus pressure priming
CN110100283B (zh) 2016-12-21 2023-07-04 甘布罗伦迪亚股份公司 包括具有支持外域的安全集群域的信息技术基础架构的医疗设备系统
TWI765069B (zh) 2017-07-18 2022-05-21 德商費森尤斯醫療護理德國有限責任公司 廢液袋、廢液袋之排液方法、排放軟管系統及血液處理設備
CN107617132B (zh) * 2017-07-31 2020-07-24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适用于cvvhd过程中的枸橼酸抗凝控制系统及其装置和其应用
CN109675139A (zh) * 2019-01-29 2019-04-26 刘静 医用流体输注组件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2861A1 (en) 1999-04-26 2007-03-22 Jean-Michel Lannoy Citrate anticoagulation system for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s
US20080015487A1 (en) 2006-02-22 2008-01-17 Henry Ford Health System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Regional Citrate Anticoagulation to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1565A (en) 1970-12-08 1976-03-02 Schwartz Henry D Clinical testing means and methods
JPS5225197B2 (ko) 1973-09-19 1977-07-06
US5437864A (en) 1987-03-31 1995-08-01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inhibiting blood coagulation in extracorporeal circulation by inhibiting human tissue factor
US5252213A (en) 1989-06-20 1993-10-12 University Of Washington Dry dialysate composition
ES2056497T3 (es) 1990-01-12 1994-10-01 Nephro Medica Pharma Solucion para infusion y dialisis que contiene bicarbonato y calcio.
US5437861A (en) 1993-03-16 1995-08-01 Applied Immune Sciences, Inc. Removal of selected factors from whole blood or its components; and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eptic shock syndrome
CA2292595A1 (en) 1997-06-05 1998-12-10 Global Hemostasis Institute Mgr Anti-coagulation of blood, blood plasma or synovial fluid products
US6200287B1 (en) 1997-09-05 2001-03-13 Gambro, Inc. Extracorporeal blood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
US6610206B1 (en) 1998-10-20 2003-08-26 Advanced Renal Technologies Buffered compositions for dialysis
US7670491B2 (en) * 1998-10-20 2010-03-02 Advanced Renal Technologies Buffered compositions for dialysis
EP1218039B1 (en) 1999-09-22 2009-02-18 Advanced Renal Technologies Use of high citrate dialysate
ATE523217T1 (de) 2000-03-09 2011-09-15 Caridianbct Inc Extrakorporale vorrichtung zur blutverarbeitung
DE10114283C2 (de) * 2000-12-22 2003-04-24 Fresenius Medical Care De Gmbh Verfahren zur Ermittlung der Ionenkonzentration des Blutes eines Patienten bei der citrat-antikoagulierten Hämodialyse und/oder Hämofiltration; Dialysegerät
US7309323B2 (en) 2001-11-16 2007-12-18 National Quality Care, Inc. Wearable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device
US20040048837A1 (en) 2002-09-06 2004-03-11 Lazarus J. Michael Method for treatment of renal disease
FR2848857B1 (fr) 2002-12-20 2005-09-16 Gambro Lundia Ab Dispositif et ligne a usage unique pour le traitement extracorporel du sang par anticoagulation au citrate
US7351218B2 (en) 2002-12-20 2008-04-01 Gambro Lundia Ab Device and process for extracorporeal treatment by citrate anticoagulant
US20070293441A1 (en) 2003-09-22 2007-12-20 Baxter International Inc. High-pressure sterilization to terminally sterilize pharmaceutical preparations and medical products
US20050276868A1 (en) 2004-06-10 2005-12-15 Bart Degreve Bicarbonate-based peritoneal dialysis solutions
US20070270341A1 (en) 2005-09-06 2007-11-22 Paul Morley Parathyroid hormone analogues and methods of use
US8372025B2 (en) * 2005-09-22 2013-02-12 Baxter International Inc. Automation and optimization of CRRT treatment using regional citrate anticoagulation
EP1931805A2 (en) 2005-09-30 2008-06-18 Perlegen Scien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creening and treatment of disorders of blood glucose regulation
CA2643140C (en) * 2006-02-22 2014-12-09 Henry Ford Health System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regional citrate anticoagulation to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AT505690B1 (de) 2007-08-31 2012-09-15 Zentrum Fuer Biomedizinische Technologie Der Donau Uni Krems Verfahren zum erfassen der ionenkonzentration bei citrat-antikoagulierter extrakorporaler blutreinigung
WO2010029401A2 (en) 2008-09-09 2010-03-18 Gambro Lundia Ab A procedure and a device for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using citrate anticoagulation
CN102378631B (zh) * 2009-03-31 2015-08-19 甘布罗伦迪亚股份公司 多部分式流体系统和用于在体外血液回路中局部柠檬酸盐抗凝的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2861A1 (en) 1999-04-26 2007-03-22 Jean-Michel Lannoy Citrate anticoagulation system for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s
US20080015487A1 (en) 2006-02-22 2008-01-17 Henry Ford Health System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Regional Citrate Anticoagulation to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86570B2 (en) 2016-11-08
AU2010230239B2 (en) 2014-08-07
CN102378631A (zh) 2012-03-14
CA2757082A1 (en) 2010-10-07
US20170049948A1 (en) 2017-02-23
US20120022423A1 (en) 2012-01-26
JP2012521823A (ja) 2012-09-20
CN102378631B (zh) 2015-08-19
WO2010112538A1 (en) 2010-10-07
EP2413944B1 (en) 2017-11-08
AU2010230239A1 (en) 2011-11-17
US20150080849A1 (en) 2015-03-19
JP5694290B2 (ja) 2015-04-01
CA2757082C (en) 2017-06-20
US20200306441A1 (en) 2020-10-01
US8911390B2 (en) 2014-12-16
EP2413944A1 (en) 2012-02-08
KR20120058451A (ko) 2012-06-07
US10709833B2 (en)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367B1 (ko) 다부분 유체 시스템 및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국소적 구연산염 항응고를 위한 시스템
EP1218039B1 (en) Use of high citrate dialysate
US6743191B1 (en) Substitution infusion fluid and citrate anticoagulation
US8158157B2 (en) Multi-part substitution infusion fluids and matching anticoagulants
US11026968B2 (en) Anticoagulation fluid comprising citrate and phosphate
EP2991640B1 (en) A multipart fluid system and a system for citrate anticoagualation in an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Kindgen-Milles et al. Treatment of metabolic alkalosis during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with regional citrate anticoagulation
EP2991623B1 (en) Multipart fluid system and system for regional citrate anticoagulation with a phosphate comprising anticoagulation fluid
EP1897535A1 (en) Substitution fluid for haemofiltration
Tang et al. Double Pump Sequential Constant Citrate Anticoagulation in General Hemodialysis
EP2826476B1 (en) Calcium-free dialysis fluid
Schneider et al. Clinical observations of the polyamide hollow-fiber hemofilter in hemofiltration systems
Capodicasa et al. CAPD+ Hemoperfusion once a week for end stage renal disease
Davenport The techniques of haemofiltration and haemodiafilt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