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334B1 - 필터의 프라이밍 방법 - Google Patents

필터의 프라이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334B1
KR101703334B1 KR1020117029379A KR20117029379A KR101703334B1 KR 101703334 B1 KR101703334 B1 KR 101703334B1 KR 1020117029379 A KR1020117029379 A KR 1020117029379A KR 20117029379 A KR20117029379 A KR 20117029379A KR 101703334 B1 KR101703334 B1 KR 101703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racket
new
spent
can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0084A (ko
Inventor
마이클 디. 클로젠
Original Assignee
파커-한니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커-한니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파커-한니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30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1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gas, air purg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23Means for connecting filter housings to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84Snap or Seeger ring connecting means

Abstract

필터를 위한 프라이밍 방법으로서, 소모된 필터의 출구는 새로운 필터의 입구에 연결되고, 소모된 필터는 뒤집힌다. 그 다음, 소모된 필터 내의 드레인이 개방되어 공기가 소모된 필터에 들어가게 하고 유체가 소모된 필터의 깨끗한 측부로부터 새로운 필터 내로 드레인되게 한다.

Description

필터의 프라이밍 방법{PRIMING METHOD FOR FILT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체 필터, 및 이러한 필터를 프라이밍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유체 필터는 브래킷(또는 다른 지지 장치) 상에 지지되며, 필터가 이와 같은 브래킷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가능하도록 신속-해제 특징부(quick-release feature)를 갖는다. 예컨대, 차량에서는, 엔진 구획부 또는 차량에서의 다른 적절한 지지 위치에 엔진 상에 브래킷을 갖고, 필터를 브래킷에 장착하기 위한 그리고 예컨대, 소모된 요소의 보수 또는 교체를 위해 이격된 필터에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필터를 제거하기 위한 신속 부착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용을 위한 부착(또는 연결)의 유형은 견고하고 안전해야 하고, 사용 동안에 브래킷으로부터 필터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해야 한다. 그럼에도, 소망하는 경우에 브래킷으로부터 필터를 탈착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해야 한다. 물론, 일반적으로, 이러한 연결은 비교적 경량이고, 콤팩트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제조하기에 비용 효율적이어야 한다.
브래킷 내의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필터의 후방측에 T-슬롯을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필터는 부착을 위한 슬롯 상에서 축방향 하측으로만 슬라이딩되며, 분리를 위해 브래킷으로부터 축방향 상측으로 차단된다. 이는 이와 같은 운동을 성취하기에 충분한 축방향 공간이 있는 경우에 그리고 호스가 이러한 운동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길거나 또는 적절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적절할 수 있거나, 혹은 이와 같은 축방향 운동 전에 요소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슬롯 및 개구를 갖는 브래킷과, 포스트 및 스프링 클립을 구비하는 필터의 후방 상에 장착 피스를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 피스는 필터가 브래킷 상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에 슬롯과 개구와 결합한다. 필터가 설치되면, 스프링 클립은 브래킷과 결합하여, 클립이 눌러지고 필터가 브래킷을 축방향으로 차단할 때까지 브래킷 상에 필터를 보유한다. 또한, 이러한 기술은 충분한 축방향 공간을 필요로 하고, 필터의 후방 상에서 스프링 클립으로의 접근을 필요로 하며, 호스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신속 부착 특징부를 갖는 필터"라는 명칭의 미국특허출원 12/472,668호는 이와 같은 종래기술과 관련된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 필터, 및 브래킷 또는 다른 지지 장치에 이와 같은 필터를 연결부를 제공하며, 탈착을 위한 브래킷에 대한 필터의 전체 축방향 운동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게 요소를 피봇시킴으로써 필터가 주로 제거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연결부 및 기술은 필터 위에 적은 자유 공간을 필요로 하고, 필터의 후방으로의 접근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임의 부착된 호스 및 다른 구성요소에 덜 지장을 준다.
이러한 필터가 브래킷 또는 다른 지지부로부터 제거된 후에, 그리고 새로운 요소를 갖는 새로운 필터가 브래킷에 장착된 후에, 새로운 필터는 그 사용 전에 프라이밍될 필요가 있는 것은 공통의 문제점이다. 즉, 새로운 필터는 공기로 충진되고, 공기 포켓이 여과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매체 중 일부를 차단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유체 시스템 내의 문제점(예컨대, 엔진을 시동하기 보다 어려워질 수 있음)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전에 필터로부터 공기를 제거(블리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종 기술이 필터를 프라이밍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클로센의 미국특허 5,643,446호에서와 같이 매체 내로 유체를 강제하는 블리드 밸브 및 프라이밍 펌프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몇몇 기술이 시장에서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지만, 산업에서는 또 다른 기술, 특히 단순하고 복잡하지 않은 기술에 대한 요구가 있으며, 펌프 또는 특정의 밸브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 그 사용 전에 요소로부터 모든 공기가 제거되지 않더라도 대부분이 제거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단순하고 복잡하지 않은 필터를 프라이밍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그 사용 전에 필터로부터 모든 공기가 제거되지 않더라도 대부분이 제거된다. 이러한 기술은 추가적인 펌프 또는 특정한 밸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는 캐니스터 내에 봉입된 여과 매체의 링과, 상기 캐니스터의 개방 상단부에 고정되는 단부 캡을 구비한다. 캐니스터 내외부로 유체를 지향시키도록 단부 캡 내에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가 제공된다. 필터는, 필터가 브래킷 또는 다른 지지 표면에 부착가능하게 하는 부착 구조체(attachment structure)를 더 구비한다. 부착 구조체는, 그 하단부를 향해 캐니스터의 대향 측부 상에 위치된 한 쌍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피봇부를 구비한다. 피봇부는 베이스 및 확장형 헤드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립(lip)을 형성하는 하면으로 테이퍼진 표면을 구비한다. 베이스부는 스탠드-오프(stand-off)를 형성하며, 상기 스탠드-오프는 브래킷의 측벽 내에 근접하게 수용되도록 치수 설정된다.
부착 구조체는 캐니스터의 대향 측부 상에 있지만, 그 상단부를 향해 위치되는 한 쌍의 리테이닝 클립(retaining clips)을 더 구비한다. 각각의 클립은 각각의 피봇부와 함께 하우징의 측부를 따라 실질적인 축방향 정렬을 하며, 반경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는 축방향 바디부와, 리테이닝 클립의 자유 단부에 있는 일체형 탭부를 갖는다. 또한, 리테이닝 클립의 탭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스탠드-오프가 인접하게 제공되며, 상기 클립의 스탠드-오프는 클립의 탭 단부가 브래킷의 측부들에 대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다시 말하면, 본원에서 충분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브래킷으로부터 필터를 제거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탭이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캐니스터와 클립의 탭 단부 사이에 몇몇의 자유 공간을 허용한다.
필터용 브래킷은 바디와, 한 쌍의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은 필터가 이들 사이에 근접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이격된 관계로 바디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한다. 측벽 각각은, i) 필터 상에 각각의 피봇부를 수용하며, 필터가 비스듬한 배향으로부터 브래킷의 종축, 즉 필터가 브래킷에 대해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지지되는 배향으로 피봇가능하게 하도록 치수 설정된 후크 형상의 슬롯; 및 ii) 필터가 브래킷과 정렬되는 경우에 각각의 리테이닝 클립과 결합하여 유지하도록 치수 설정된 캐치부(catch)를 구비한다. 각각의 피봇부의 헤드 상에 있는 내측 테이퍼진 립 표면은 후크 형상의 슬롯 내에 피봇부를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따라 브래킷 상에 필터를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 해진다. 피봇부의 베이스부 상의 스탠드-오프는 브래킷과 함께 필터의 배향에 도움을 주며, 안전하고 견고한 연결을 보장한다.
각각의 클립 상의 탭은 브래킷 내의 작은 슬롯 또는 구멍 내에 수용되며 필터를 브래킷에 고정하는 반경방향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캐니스터를 향해 탭을 내측으로 가압하면, 그들 각각의 슬롯으로부터 돌출부를 해제하며, 필터의 상단부가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게 피봇가능하게 한다. 그 다음, 필터가 브래킷으로부터 약간 상측 및 외측으로 멀어지게 들어 올려짐으로써, 피봇부는 그들 각각의 후크 형상의 슬롯으로부터 제거되고, 필터는 검사, 보수 및/또는 교체될 수 있다.
필터가 새로운 요소를 갖는 필터로 교체되어야 하는 경우에, 소모된 필터에 대한 입구 위에 캡이 위치되고, 소모된 필터의 출구는 짧은 커넥터 튜브를 거쳐 새로운 필터의 입구에 연결된다. 그 다음, 소모된 필터는 뒤집히고, 소모된 필터를 위한 드레인이 개방되고, 유체가 새로운 필터를 충진하고 새로운 필터의 출구 포트를 통해 모든 공기가 배출될 때까지 소모된 필터 내의 유체는 중력 하에서 새로운 필터 내로 드레인하도록 허용된다. 유체가 소모된 필터의 "깨끗한(clean)" 측부로부터 새로운 필터 내로 통과하기 때문에, 새로운 필터는 사용 전에 미립자로 채워지지 않을 것이다. 그 다음, 소모된 필터는 새로운 필터로부터 분리되어, 적절하게 폐기될 수 있다. 추가적인 이점으로서, 소모된 필터에는 실질적으로 유체가 전혀 없어서, 쓰레기 매립지 또는 다른 폐기물 시설에 필터를 처분하는 것이 용이 해진다. 그 다음, 새로운 필터는 시스템 내의 호스에 연결되어, 예컨대 상술한 지지 브래킷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체용 필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필터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필터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1의 조립체용 브래킷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필터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브래킷과 함께 부분적으로 조립된 필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프라이밍 방법을 도시한 새로운 필터에 연결된 소모된 필터의 사시도.
도면,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체는 참조부호(10)로 나타낸다. 필터 조립체(10)는 필터(12)와, 측벽(16)을 갖는 지지 브래킷(14)을 구비한다. 필터(12)와 브래킷(1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신속 부착 특징부를 갖는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필터(12)는 개방 상단부(20)와 폐쇄 하단부(22)를 갖는 외측의 컵 형상의 캐니스터 또는 하우징(18)을 구비한다. 필터로부터의 물을 주기적으로 제거가능하도록 하우징의 하단부에 있는 나사산형 개구(24) 내에는 드레인(23)(도 3)이 위치될 수 있다. 캐니스터는 대체로 원통형 형상이지만, 다른 형상일 수 있고, 특정한 적용에 적절한 소재, 예컨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부 캡 또는 덮개(28)는, 예컨대 접착제, 용접 또는 캐니스터의 상단부에 대한 다른 접착 수단에 의해 부착된다. 단부 캡(28)은 캐니스터 내로 여과되는 유체를 지향시키도록 내측 개구(31)를 갖는 입구 포트 또는 튜브(30); 및 캐니스터 외부로 여과된 유체를 지향시키도록 내측 개구(33)를 갖는 출구 포트 또는 튜브(32)를 구비한다. 캐니스터의 중앙에는 필터 요소(34)가 위치되며, 이는 중앙 캐비티(35)의 경계를 제한하는 링 형상의 구성을 갖는다. 요소(34)는 매체 링의 하단부에 밀봉식으로 접착되는 하측의 원형 단부 캡(36)을 구비하는 한편, 요소의 상단부는 단부 캡(28)에 바로 밀봉식으로 접착된다. 필터 요소(34)는 구조체(예컨대, 주름형, 섬유형 등)를 가지며, 특정 적용을 위해 적절한 물질(예컨대, 셀룰로오스,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마찬가지로, 소망한다면 링 형상 이외의 기하학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요소가 소모된 경우에 캐니스터로부터 제거될 수 없는 것으로 도시 및 기술되어 있지만, 또는 달리 말하면 요소가 소모된 경우에 전체의 캐니스터가 폐기되어야 하지만, 교체를 가능하게 하도록 캐니스터가 하우징 내의 요소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제거가능한 상측 단부 캡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요소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이와 같은 구조(예컨대, 나사산)는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야 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입구 포트(30)에 도입되는 유체는 하우징의 내부면과 요소 사이의 환형의 주변 영역(38) 내로 흐르며, 그 다음 미립자 및 다른 오염물이 제거되는 요소를 통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중앙 캐비티(35) 내로 유체가 흐른다. 요소가 소수성 특성을 가지면, 요소의 외부면 상에 수집되는 물이 뭉쳐질 수 있고, 드레인 개구(24)를 통해 제거될 수 있는 하우징의 하부 내로 하측으로 낙하할 수 있다.
그 다음, 유체는 유체 시스템으로 복귀하도록 출구 포트(32)를 통해 축방향 상측 및 외측으로 흐른다. 또한, 요소를 통한 흐름은 반대방향일 수 있고, 즉 포트(32) 내로 그리고 포트(30) 외부로 흐를 수 있고, 매체를 통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고 기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12)는, 필터를 브래킷(14)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착가능하게 하는 구조체를 구비한다. 이로써, 캐니스터의 하단부와 대략 중간 지점 사이에서 캐니스터의 외부면 상, 즉 그 대향 측부 상에는 한 쌍의 동일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견고한 피봇부(40)가 제공된다. 피봇부(40) 각각은, 짧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41),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부 쪽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확장된 원형 헤드(42)를 포함한다. 헤드(42)는, 평탄한 외부면(46)과, 헤드 둘레에 립을 형성하고 헤드(42)를 베이스부(41)에 상호연결하는 내측으로 테이퍼진 또는 각을 이룬 하부면(48)을 구비한다. 피봇부(40) 각각은, 헤드(42)에 상호연결되며 표면(42)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표면 연장부(50)를 가지며, 즉, 표면 연장부(50)는 참조부호(51)로서 테이퍼지거나 또는 각을 이루며, 각각의 표면 연장부는 헤드(42)로부터 캐니스터의 개방 단부를 향해 캐니스터의 측면을 따라 짧은 거리로 축방향 연장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41)의 표면 연장부(50)는 필터가 브래킷에 장착되는 경우에 브래킷(14)의 측벽(16)에 대한 스탠드-오프를 제공한다.
베이스부(41)의 양측부 상에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관계에 있고 원주방향, 즉 캐니스터의 축방향 범위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일련의 각을 이루거나 또는 테이퍼진 릿지(54)가 제공되므로, 브래킷(14) 내에 필터를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 해진다. 릿지(54)는, 릿지가 브래킷의 측벽의 내부면과 결합할 수 있도록 외측 치수를 가지며, 필터가 브래킷에 장착됨에 따라 측벽들 사이에서 필터를 지향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릿지(55) 중 하나는 보다 큰 반경방향 돌출부를 가지며, 달리 말하면, 다른 것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욱 돌출하며,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브래킷 내에 필터를 위한 릿지를 위치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부(41), 헤드(42) 및 릿지(54) 모두는 캐니스터의 형성 동안에 캐니스터와 원피스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변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별개의 피스로 형성되어 접착제 또는 다른 접착 기술에 의해 서로에 대해 및/또는 캐니스터에 대해 부착될 수도 있다.
부착 구조체는 캐니스터의 하단부와 대략 중간 지점 사이에서 캐니스터의 외부면 상, 즉 그 대향 측부 상에는 한 쌍의 가요성 리테이닝 클립(58)을 더 구비한다. 클립(58) 각각은, 각각의 피봇부(40)와 대체로 축방향 정렬을 하며, 피봇부(40)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리테이닝 클립은 캐니스터의 외부면에 대한 대체로 평행한 관계로 캐니스터로의 베이스 단부(62)에 연결되며 캐니스터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헤드 자유 단부(64)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얇고 가요성을 가지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60)를 구비한다. 클립의 자유 단부(64)는 클립의 적절한 수동 조작에 의해 캐니스터를 향해 가요성으로 만곡될 수 있다. 평탄한 외부면을 갖는 해제 탭(66)은 이러한 조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클립의 헤드 단부에 제공되며, 바디부(60)의 크기에 대체로 수직하게 돌출한다.
각각의 탭(66)의 대체로 중간에는 반경방향 돌출부(68)가 제공되며, 이는 클립의 축을 따라 짧은 거리로 대체로 연장된다. 반경방향 돌출부(68)는 리테이닝 클립이 브래킷의 각각의 측벽에 고정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를 브래킷 상에 보유한다.
마지막으로, 캐니스터의 상단부와 탭 사이에서 각각의 탭(66)에 축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반경방향 스탠드-오프(72)가 제공되며, 이는 탭(66)(돌출부 제외)과 대략 동일한 반경방향 거리만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탠드-오프(72)는 브래킷(14)의 측벽(16)이 캐니스터의 표면에 대해 클립(60)을 완전히 만곡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즉 필터가 브래킷에 장착된 후에도 클립의 자유 단부가 캐니스터의 외부면으로부터 다소 이격 유지됨으로써, 보다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브래킷과 함께 고정된 위치로부터 필터를 해제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클립이 조작될 수 있다.
또한, 클립(58), 탭(66) 및 스탠드-오프(72) 모두는 캐니스터의 형성 동안에 캐니스터와 원피스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변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별개의 피스로 형성되어, 예컨대 접착제 또는 다른 접착 기술에 의해 서로에 대해 및/또는 캐니스터에 대해 부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브래킷(14)은 개구부(80)를 갖는 평탄형 바디(79) 또는 엔진 블록 또는 엔진 구획실 등의 적절한 지지면에 브래킷을 부착하는 다른 수단을 구비한다. 브래킷의 측벽(16) 각각은, 바디(79)의 대향 측부를 따라 서로 이격되며, 서로에 대체로 평행하며 바디(79)에 수직하도록 형성된다. 측벽(16)의 이격거리는 측벽과 캐니스터 사이에 근접하게 필터 캐니스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측벽(16) 각각은, 측벽의 측면 에지를 따라 그리고 그 하단부를 향해 그리고 브래킷의 상단부를 향해 개방하는 후크 형상의 슬롯(84)을 구비한다. 측벽은 각각의 슬롯의 하측 에지 둘레에 테이퍼지거나 또는 둥근 표면(86)과, 각각의 슬롯의 상측 에지 둘레에 테이퍼지거나 또는 둥근 표면(87)을 가지며, 상기 개구는 헤드(42) 아래의 영역에서 피봇부(도 4)의 베이스부(41)를 수용하도록 치수 설정된다.
개구(84)로부터 축방향 상측으로 얇은 슬롯(88)이 제공되며, 이는 측벽의 측면 에지로부터 바디(79)를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는, 즉 바디의 종축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슬롯(88)은 필터가 브래킷에 장착됨에 따라 측벽이 필터를 만곡하여 근접하게 수용가능하게 하는 얼마의 가요성을 제공한다. 측벽은 릿지(54), 특히 위치설정 릿지(55)와 대체로 맞춰지며, 이는 필터가 브래킷과 조립된 위치에서 피봇됨에 따라 측벽들 사이에 수용된다.
다음으로, 측벽 상의 슬롯(88)으로부터 브래킷 측벽의 상단부 쪽으로 축방향 상측으로, 축방향 슬롯(90) 또는 릿지와 같은 적절한 기하학적 형상이 제공되며, 슬롯(90)은 클립의 탭 상의 돌출부(68)(도 4)를 수용하도록 치수 설정된다. 슬롯(90) 또는 다른 기하학적 형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가 브래킷에 장착되는 경우에 필터의 상단부를 브래킷에 보유하는 캐치부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측벽은 필터가 필터 헤드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측 단부 캡의 입구 포트(30)와 출구 포트(31)(도 1)를 수용하도록 치수 설정되어 위치된 만곡형 절결 숄더부(92)를 구비한다.
필터를 브래킷에 연결하는 동안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가 브래킷 내로 초기에 삽입됨으로써, 각각의 피봇부(40)는 각각의 슬롯(84) 내에 수용된다. 슬롯(84)은 피봇부의 베이스부를 수용하고, 필터는 브래킷에 장착되는, 즉 필터가 브래킷의 바디에 대해 축방향 정렬하고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음에 따라 필터는 브래킷에 장착되는 동안에, 필터는 이러한 지지부 둘레에서 피봇할 수 있다. 각각의 헤드(42)의 테이퍼진 내측 립 표면 및 대응하는 슬롯(84)의 테이퍼지거나 또는 둥근 하부면은, 슬롯과 함께 피봇부를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필터가 피봇됨에 따라, 각각의 피봇부의 베이스부 상의 연장된 위치설정 릿지(55)는 측벽(16)들 사이에서 필터를 안내한다. 그 다음, 베이스 돌출부(50)는, (측벽을 외측으로 미는 효과로서) 돌출부의 테이퍼진 측부(51)가 슬롯(84)의 둥근 상부면(87)에 대해 내측으로 통과함에 따라 측벽의 내부면과 결합하고, (측벽을 내측으로 당기는 효과로서) 슬롯(84)의 하부 상의 만곡형 에지(86)에 의해 근접하게 수용되어 지지되는 헤드(42)와 함께, 필터의 하단부는 필터가 브래킷에 완전히 장착될 때 브래킷 상에 안전하게 보유된다(예컨대, 도 1에 도시함).
필터가 브래킷과 정렬함에 따라, 필터 상의 리테이닝 클립(58)은 측벽들 사이에 수용되고, 돌출부(68)는 측벽과 결합하고, 돌출부가 측벽 내의 대응하는 슬롯(90) 내로 통과할 때까지 클립을 약간 내측으로 강제한다. 탭(66)은 접근가능하게 유지되며 브래킷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클립에 인접한 스탠드-오프(72)는 필터의 상단부를 측벽들 사이에서 적절하게 유지하며, 측벽이 캐니스터에 대해 각각의 클립을 만곡하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부(68)가 각각의 슬롯(90)에 들어가면, 클립은 외측으로 신축하며, 필터는 브래킷에 대한 수평방향 장착 배향으로 고정된다. 필터는 브래킷의 바디에 대해 지지될 수 있지만, 위치설정 릿지(55)를 포함하는 피봇부(40)와의 연결부로서 그로부터 외측으로 짧은 거리로 유지될 수도 있으며, 리테이닝 클립(58)과 함께, 필터가 바디에 대해 지지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브래킷에 필터를 확고하게 보유할 수 있다. 그 다음, 필터를 유체 시스템에 유체식으로 연결하도록 필터의 입구 포트(30)와 출구 포트(32)에 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
필터를 유체 시스템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호스가 제거될 수 있고, 클립의 탭(66)은 슬롯(90)과의 결합을 벗어나 돌출부(68)를 이동시키도록 접근되어 내측으로 눌러질 수 있으며, 필터를 도 6의 위치로 피봇가능하게 하며, 그 다음 브래킷으로부터 상측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들어 올려질 수 있다. 피봇부(40)는 필터 캐니스터 상에 위치됨으로써, 필터는 브래킷 또는 인접한 지지면에 대한 캐니스터 바닥의 단부로부터의 간섭 없이 충분히 피봇될 수 있다. 다시, 리테이닝 클립의 스탠드-오프(72)는 캐니스터로부터 떨어지게 클립을 유지함으로써, 브래킷으로부터 필터를 분리가능하도록 클립이 이후에 눌러질 수 있다.
필터가 독립형 브래킷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술 되었고, 그 다음 브래킷이 엔진 블록 또는 엔진 구획실 등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되지만, 이러한 브래킷은 엔진 또는 구획실, 혹은 다른 지지면의 일체부로서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브래킷의 바디는 엔진, 엔진 구획실 또는 다른 지지면의 일부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부착 구조체가 립(48)을 갖는 확장형 헤드(42), 연장부(50), 릿지(54) 및 위치설정 릿지(55)를 구비하는 피봇부(40); 및 탭(66)과 돌출부(68)를 구비하는 리테이닝 클립(58)의 조합을 구비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피봇부 및/또는 리테이닝 클립에 대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필터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 상에 없을 수 있고, 필터(12)는 브래킷(14)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소모된 필터(12')가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된 후 그리고 소모된 필터를 새로운 필터(12")로 교체하는 것이 요구된 후에, 소모된 필터의 입구 포트(30) 상에는 캡(100)이 위치된다. 그 다음, 소모된 필터(12')의 출구 포트(32) 상에는 짧은 커넥터 튜브(102)가 위치되며, 이는 새로운 필터(12")의 입구 포트(30)에 연결된다. 그 다음, 소모된 필터(12')는 도시한 바와 같이 뒤집히고, 소모된 필터(그 상단부에서) 내의 드레인(23)은 공기가 소모된 필터에 들어가도록 개방된다. 공기가 소모된 필터(12')에 들어감에 따라, 소모된 필터 내의 유체는 중력 하에서 드레인하여 새로운 필터(12") 내로 통과한다. 소모된 필터의 깨끗한 측부 상의 유체는 출구 포트를 통해 직접 드레인하는 한편, 요소의 "더러운(dirty)" 측부 상의 유체는 매체를 통한 다음 출구 포트를 통해 드레인 한다. 유체는 새로운 필터를 실질적으로 충진하며, 필터를 완전히 프라이밍하도록 출구 포트(32)를 통해 필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양자의 필터의 용적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유체는 새로운 필터의 출구 포트(32) 외부로 통과하지 않아야 한다.
소모된 필터(12')가 완전히 드레인되면, 커넥터(102)는 새로운 필터로부터 제거되며, 새로운 필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에 장착될 수 있다. 그 다음, 소모된 필터는 쓰레기 매립지 또는 다른 폐기물 시설에 폐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작동 모드를 전술한 설명에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원에서 보호되도록 의도된 발명은 기술한 특정 형태에 제한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수정 및 변경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3)

  1. 새로운 필터(12")를 프라이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필터(12")는 하단부(22)에 드레인(23)을 갖는 하우징(18) 내에 봉입된 필터 요소(34)를 갖고, 상기 하우징(18)은, 상기 하우징(18) 내외로 유체를 지향시키도록 상단부(20)에 입구 포트(30)와 출구 포트(32)를 구비하며, 상기 새로운 필터 내의 상기 필터 요소(34)는 상기 필터가 상기 필터 요소를 통과하는 유체 흐름 내에 미립자 및 다른 오염물을 제거함에 따라 시간 경과적으로 소모되며,
    상기 방법은,
    i) 소모된 필터(12')의 입구 포트(30)를 폐쇄하여, 상기 소모된 필터(12')의 출구 포트(32)를 상기 새로운 필터(12")의 입구 포트(30)에 연결하는 단계;
    ii) 상기 소모된 필터(12')를 뒤집는 단계;
    iii) 상기 드레인(23)을 통해 상기 소모된 필터(12')에 공기가 들어가게 하고, 상기 소모된 필터(12') 내의 유체가 중력 하에서 상기 새로운 필터(12") 내로 드레인 가능하도록 상기 소모된 필터(12') 내의 드레인(23)을 뒤집힌 위치에서 개방함으로써, 상기 새로운 필터(12")의 출구 포트(32)를 통해 상기 새로운 필터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단계; 및
    iv) 상기 새로운 필터(12")로부터 상기 소모된 필터(12')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터의 프라이밍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된 필터(12')는, 상기 유체가 중력 하에서 상기 새로운 필터로 드레인될 때 튜브(102)를 거쳐 상기 새로운 필터에 연결되는
    필터의 프라이밍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상기 새로운 필터로 드레인됨에 따라, 상기 소모된 필터(12')의 입구 포트(30)를 폐쇄하도록 캡(100)이 초기에 위치되는
    필터의 프라이밍 방법.
KR1020117029379A 2009-05-27 2010-04-22 필터의 프라이밍 방법 KR101703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143609P 2009-05-27 2009-05-27
US61/181,436 2009-05-27
PCT/US2010/031969 WO2010138261A1 (en) 2009-05-27 2010-04-22 Priming method for fi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084A KR20120030084A (ko) 2012-03-27
KR101703334B1 true KR101703334B1 (ko) 2017-02-06

Family

ID=4228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379A KR101703334B1 (ko) 2009-05-27 2010-04-22 필터의 프라이밍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40088B2 (ko)
EP (1) EP2435107B1 (ko)
JP (1) JP5642775B2 (ko)
KR (1) KR101703334B1 (ko)
CN (1) CN102448509B (ko)
BR (1) BRPI1010539B8 (ko)
WO (1) WO2010138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15334B (zh) * 2011-03-11 2015-11-25 汾沃有限公司 膜分离装置、利用该装置的系统和方法以及数据管理系统和方法
GB2491246B (en) * 2012-05-21 2013-05-15 Adey Holdings 2008 Ltd Separator device
KR101688069B1 (ko) 2015-10-26 2016-12-20 이옥재 바이러스검사에 이용되는 필터모듈을 지지하는 스탠드
CN106267425A (zh) * 2016-07-01 2017-01-04 翁炳焕 Aids免疫吸附治疗仪
CN106267424B (zh) * 2016-07-01 2019-01-22 翁炳焕 艾滋病免疫细胞治疗仪
CN106267410B (zh) * 2016-07-01 2019-03-08 翁炳焕 艾滋病感染细胞分离器
CN114917679B (zh) * 2022-06-06 2023-05-26 福建大丰收灌溉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灌溉管道用过滤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4017A1 (en) 2003-02-26 2004-08-26 Knight Steven R. Filter element with vent orifice and assembly therefore
KR200383765Y1 (ko) * 2005-01-31 2005-05-09 주식회사 피코그램 필터 카트리지
US20070187317A1 (en) * 2004-03-31 2007-08-16 Hyclone Laboratories, Inc. Mobile filtration facility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8358A (en) * 1979-01-11 1981-11-03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Gas separating and venting filter
US5643446A (en) * 1985-05-14 1997-07-01 Parker Hannifin Corporation Fuel filter and priming pump
US4997555A (en) * 1985-05-14 1991-03-05 Parker Hannifin Corporation Fuel filter assembly with heater
US4954251A (en) * 1989-01-31 1990-09-04 Miles Inc. Concentric microaggregate blood filter
JPH08338218A (ja) * 1995-06-09 1996-12-24 Nissan Diesel Motor Co Ltd 内燃機関の並列式オイルフィルタ装置
US5868931A (en) * 1997-11-20 1999-02-09 Stanadyne Automotive Corp. Primer system for filter assembly
US20050178734A1 (en) * 2004-02-12 2005-08-18 Kilmer Michael C. Filter for use in closed vessels allowing the use of filter media which can be renewed without opening the vessel,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50178374A1 (en) * 2004-02-13 2005-08-18 Jui-Tsun TSENG Control device for a ball-hurling machine
US8043503B2 (en) 2009-05-27 2011-10-25 Parker-Hannifin Corporation Filter with quick attachment featur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4017A1 (en) 2003-02-26 2004-08-26 Knight Steven R. Filter element with vent orifice and assembly therefore
US20070187317A1 (en) * 2004-03-31 2007-08-16 Hyclone Laboratories, Inc. Mobile filtration facility and methods of use
KR200383765Y1 (ko) * 2005-01-31 2005-05-09 주식회사 피코그램 필터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42775B2 (ja) 2014-12-17
BRPI1010539B1 (pt) 2020-06-16
BRPI1010539B8 (pt) 2021-06-22
JP2012528276A (ja) 2012-11-12
US20100300988A1 (en) 2010-12-02
WO2010138261A1 (en) 2010-12-02
CN102448509B (zh) 2014-11-26
BRPI1010539A2 (pt) 2016-03-15
US8440088B2 (en) 2013-05-14
EP2435107A1 (en) 2012-04-04
KR20120030084A (ko) 2012-03-27
EP2435107B1 (en) 2013-05-15
CN102448509A (zh)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962B1 (ko) 필터 및 필터 조립체
KR101703334B1 (ko) 필터의 프라이밍 방법
US11007462B2 (en) Air cleaner; replaceable filter cartridges; and, methods
KR101768835B1 (ko) 가스상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유닛
EP1743684B1 (en) Filter element and filter comprising said filter element
US8999163B2 (en) Top load liquid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s
US7837875B2 (en) Fluid filter
EP1031371A1 (en) Filtering unit having separately attachable filter cassette and method of filtering
JP2009297714A (ja) 係止機構を有するフィルタエレメントおよびフィルタ組立体
WO2006049702A1 (en) Filter apparatus with separable seal support frame
US10765977B2 (en) Fuel filter insert, and fuel filter comprising a prefilter element and a main filter element and comprising a water separating unit
RU2638386C1 (ru) Фильтр
US20170283281A1 (en) Reversible Filtration System
JP4875270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組立体
JP4373504B2 (ja) タンク内用の小型の燃料フィルタ及びモジュール
RU2787980C2 (ru) Водяной фильтр для аквариу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