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277B1 - 활용도 기반 교량 자산관리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 - Google Patents

활용도 기반 교량 자산관리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277B1
KR101703277B1 KR1020160052761A KR20160052761A KR101703277B1 KR 101703277 B1 KR101703277 B1 KR 101703277B1 KR 1020160052761 A KR1020160052761 A KR 1020160052761A KR 20160052761 A KR20160052761 A KR 20160052761A KR 101703277 B1 KR101703277 B1 KR 101703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terminal
beacon
bridge
as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연
임종권
Original Assignee
(주)승화기술정책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승화기술정책연구소 filed Critical (주)승화기술정책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05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4/003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수, 보수 또는 증설 등 교량 유지관리 업무에 있어서 투자 우선순위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우선순위 의사결정에 자산관리 기법을 적용하되, 교량 자산의 실질적 활용도를 기초로 피해도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사업상 위험도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실제 활용도를 기초로 교량 자산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자산관리상 위험도 산정의 정도(精度)를 획기적으로 제고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교량 자산에 대한 투자 우선순위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불필요한 지점에 대한 재원 투입을 방지하고, 가용 자원 및 재원을 효율적으로 배분 및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활용도 기반 교량 자산관리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PRIORITY DECISION SUPPORT METHOD USING UTILIZATION BASED BRIDGE ASSET MANAGEMENT}
본 발명은 개수, 보수 또는 증설 등 교량 유지관리 업무에 있어서 투자 우선순위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우선순위 의사결정에 자산관리 기법을 적용하되, 교량 자산의 실질적 활용도를 기초로 피해도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사업상 위험도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사회기반시설물에 대한 자산관리란 취득, 운영, 유지관리, 개수 및 보수로 구성된 사회기반시설물의 수명주기상 수행되는 의사결정의 최적화 체계라 할 수 있으며, 구축 내지 폐기에 이르는 사회기반시설물의 운영 전반에 있어서 자산관리 체계를 적용함으로써, 해당 시설물을 구성하는 개별 자산에 대한 효율적인 자원 배분은 물론 선제적 투자를 통한 서비스 수준 유지비용 절감 효과를 도모하는 것이다.
특히, 교량 시설의 경우 기초적 필수 교통 서비스인 동시에 자산의 파괴 또는 서비스의 중단시 인명피해는 물론 즉각적으로 산업 전반에 막대한 피해가 초래될 뿐 아니라, 사후 복구 내지 서비스 정상화에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특성이 있는 바, 교량 시설의 구축 및 관리에 자산관리 기법을 도입하여, 위험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고 가용 재원의 투입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효율적인 집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10-76708호를 들 수 있다.
공개특허 제2010-76708호를 비롯한 종래의 공공시설 자산관리 방법은 교량 등 해당 공공시설의 노후도를 수치화하고, 이를 기초로 개, 보수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사실상 전체 교량 자산에 획일적인 기준이 적용되어 노후도가 산출되고 그에 따라 투자여부가 단순 결정되는 수동적인 의사결정 지원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교량 자산관리를 통한 투자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에서는 사회적 요인 및 지리적 요건에 따라 변동되는 자산의 활용도가 무시된 상태에서 취득 시점 및 해당 자산의 제원에 따라 단순하게 산출되는 노후도만을 기초로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바, 자산관리 체계 도입 이전의 일반적인 시설물 관리기법에 있어서의 시설물 노후도 모형 및 그에 따른 가용 수명 추정과 유의(有意)한 차이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교량 자산관리 기법을 이용한 가용 자원의 배분 및 재원 투입 우선순위 결정을 통하여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특히, 교량 자산은 취득 비용 및 취득 시점에서의 가치 예측치보다는 사회, 경제적 요인에 의하여 수시로 변동될 수 있는 자산의 활용도(活用度)가 해당 자산의 실질적 가치 및 해당 자산 파괴의 피해도(被害度)를 설정함에 있어서 주요한 요소로 적용될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교량 자산관리 방법은 개별 자산정보의 체계적인 관리에 주안점이 두어졌을 뿐 전체 실제 활용도에 대한 고려는 극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교량 자산관리에 있어서 교량의 실제 활용도를 측정 및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주기적인 교통량 조사를 실시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대규모 인력 및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특정 교량에 대한 간헐적 조사만이 가능할 뿐, 방대한 교량 자산에 전체에 대한 상시 조사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교량 자산관리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교량 자산의 노후도를 단순 적용하여 투자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인 바, 활용도가 미미함에도 불구하고 노후도가 높다는 이유만으로 불필요한 조치가 수행되어 막대한 비용이 낭비될 뿐 아니라, 활용도가 급증하고 그에 따라 노후 속도 역시 급격하게 가속됨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선제 조치가 취해지지 않음으로 인하여 해당 자산의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서비스 수준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사회, 경제적으로 심대한 피해가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처리되는 교량 자산관리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에 있어서, 교량 자산의 식별정보, 제원정보 및 이력정보를 포함하는 자산정보가 수록된 관리데이터베이스(45)와 연결되고 인터넷을 통하여 무선망(30)과 연결된 관리서버(40)와, 교량 자산에 설치되어 식별정보를 송출하는 비콘(10)과, 비콘(10) 송출 신호의 수신 및 무선망(30)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단말(20)이 구성되고, 교량 자산에 설치된 비콘(10)이 식별정보를 송출하는 비콘송출단계(S10)와, 모바일단말(20)이 무선망(30)을 통하여 관리서버(4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요청하는 초도접속단계(S21)와, 관리서버(40)가 모바일단말(20)로 어플리케이션 설치정보를 전송하고, 모바일단말(20)이 이를 수신하여 모바일단말(20)의 운영체계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설치단계(S22)와, 모바일단말(20)이 비콘(10)에서 송출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신호감지단계(S31)와, 모바일단말(20)의 어플리케이션이 식별정보와 시각정보를 병합하여 이용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단계(S32)와, 모바일단말(20)이 무선망(30)을 통하여 관리서버(40)로 이용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S40)와, 관리서버(40)가 이용정보를 수신하여 관리데이터베이스(45)에 수록하는 정보수록단계(S50)와, 관리서버(40)가 관리데이터베이스(45)에서 자산정보 및 이용정보를 인출하여 이용정보에 따라 피해도를 설정하는 피해도설정단계(S61)와, 관리서버(40)가 교량 자산별 잔존수명에 따른 파괴확률을 설정하는 파괴확률설정단계(S62)와, 관리서버(40)가 피해도 및 파괴확률을 조합하여 위험도를 산정하고 관리데이터베이스(45)에 수록하는 위험도산정단계(S6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활용도 기반 교량 자산관리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이다.
또한, 상기 정보전송단계(S40)는 모바일단말(20)의 어플리케이션이 정보생성단계(S32)에서 생성된 이용정보를 모바일단말(20)의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41)와, 모바일단말(20)이 사전 지정된 무선망(30)에 진입하면 어플리케이션이 이용정보 목록 및 전송여부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는 의사확인단계(S42)와, 모바일단말(20)이 조작되어 전송이 수락되면 어플리케이션이 이용정보를 무선망(30)을 통하여 관리서버(40)로 전송하는 승인전송단계(S4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활용도 기반 교량 자산관리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실제 활용도를 기초로 교량 자산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자산관리상 위험도 산정의 정도(精度)를 획기적으로 제고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교량 자산에 대한 투자 우선순위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불필요한 지점에 대한 재원 투입을 방지하고, 가용 자원 및 재원을 효율적으로 배분 및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비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관리서버 프로그램의 화면 예시도
도 4는 자산정보가 표시된 본 발명 수행 관리서버 프로그램의 화면 예시도
도 5는 비콘이 표시된 본 발명 수행 관리서버 프로그램의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통신과정 시퀀스다이어그램
도 8은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 화면 예시도
도 9는 이용정보가 표시된 본 발명 수행 관리서버 프로그램의 화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위험도 산정방식 설명도
도 11은 위험도가 표시된 본 발명 수행 관리서버 프로그램의 화면 예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각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간 연결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리데이터베이스(45)와 연결되고 인터넷을 통하여 무선망(30)과 연결된 관리서버(40)와, 교량 자산에 설치되어 식별정보를 송출하는 비콘(beacon)(10)과, 비콘(10) 송출 신호의 수신 및 무선망(30)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단말(20)을 통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관리서버(40)는 후술할 본 발명 자산관리관련 처리 전반을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및 관리데이터베이스(45)와 연결되는데, 동 도면에서는 관리서버(40)와 관리데이터베이스(45)가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물리적인 분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기능을 구분하여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서버(40)의 기억장치에 관리데이터베이스(45)가 구축될 수도 있다.
관리서버(40)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무선망(30)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등의 전통적인 이동통신망과 TCP/IP(Transport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기반 통신을 수행하는 Wi-Fi(Wireless-Fidelity) 및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의 무선랜 및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망라하는 것이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무선망(30)을 구성하는 무선랜 및 이동통신망은 각각 게이트웨이서버(gateway server) 및 일종의 게이트웨이서버라 할 수 있는 통신사업자 서버 등을 통하여 인터넷 및 관리서버(40)와 연결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선망(30)은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을 운용하는 통신사업자의 서버 등을 망라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관리서버(40)가 인터넷을 통하여 무선망(30)과 연결된다는 의미는, 통신사업자의 서버와 본 발명의 관리서버(40)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다는 의미로서, 후술할 모바일단말(20)의 사용자는 무선망(30)을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한 후, 브라우저 등 모바일단말(20)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관리서버(40)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바일단말(20)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컴퓨터 등 휴대 가능한 정보기기로서, 상기 무선망(30) 접속이 가능한 네트워크어댑터가 장착된 것이며, 후술할 비콘(10)의 송출 신호 규격과 동일한 규격의 무선모듈 역시 장착된다.
현재 출시되는 대부분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컴퓨터 등의 모바일단말(20)은 무선망(30) 접속 네트워크어댑터는 물론 블루투스 등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용 무선모듈이 기본 장착되는 바, 본 발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스마트폰 등을 별도의 장치 추가 또는 개조 없이도 모바일단말(20)로서 적용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비콘(10)은 전력소모를 극소화한 소형 무선 송출장치로서 수센티미터 내외의 초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터리 교체 없이 수년 이상 작동될 수 있는 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표지판 또는 난간 등의 교량 시설물에 간편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 작업 없이 단순한 부착만으로 설치가 완료된다.
도 2 좌측 상단의 발췌부는 비콘(10)의 내부 구조를 모식화하여 도시한 블럭다이어그램(block diagram)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콘(10)은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등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모듈(11)이 내장된 소형 장치이며, 식별정보가 포함된 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진하는 무선모듈(11)과, 무선모듈(11)을 제어하는 MCU(microcontroller unit)(12) 및 전원(13)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콘(10)에 적용되는 전원(13)으로는 일반 전지는 물론 고용량 충전지 등이 적용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비콘(10)은 전력소모가 여타의 무선 장치에 비하여 미미하여 코인셀(Coin Cell) 등의 소형 전지로도 수년 이상 작동이 가능한 바, 교량 시설물에 비콘(10)을 설치함에 있어서 별도의 배선 작업 없이도 간단한 부착만으로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특히 최근 개발된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 무선모듈(11)은 전력소모가 극히 미미하여 전원(13)의 교체 없이도 5년 이상 작동이 가능하다.
비콘(10)에 내장되는 MCU(12)는 무선모듈(11)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제어연산을 수행하는 코어(Core)와 기억장치인 메모리(Memory) 및 입출력 경로인 시리얼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s) 기능이 복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비콘(10)에는 시리얼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비콘(10)이 설치되는 교량 자산의 식별정보가 입력되며, 따라서 비콘(10)의 작동이 개시되면 비콘(10)의 무선모듈(11)에서 식별정보가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송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별정보는 비콘(10)에서 송출되는 신호에 포함된 정보이자, 해당 비콘(10)이 설치된 교량 자산에 부여되는 유일무이한 고유정보로서, 본 발명의 수행에 있어서 식별정보를 통하여 해당 교량 자산의 자타 구분이 가능하게 된다.
비콘(10)에서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출되는 신호는 전술한 모바일단말(20)을 통하여 감지되어, 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가 수신되며, 모바일단말(2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 수신된 식별정보를 가공하게 된다.
즉, 비콘(10)의 무선모듈(11)로서 블루투스 기반 무선모듈(11)이 적용되고, 모바일단말(20)에도 블루투스 수신 기능이 탑재되는 것으로, 블루투스 통신상 신호를 송출하는 마스터(master)와 신호를 수신하는 슬레이브(slave)가 각각 비콘(10) 및 모바일단말(20)로 설정되는 것이다.
비콘(10)의 신호 송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처를 특정하지 않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출되며, 식별정보 자체 또는 식별정보가 포함된 극히 단순한 숫자열 또는 문자열 형식의 정보가 주기적으로 송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관리서버(40)에는 자산관리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교량 자산관리 전반을 수행하고 투자 우선순위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게 되는데, 도 1에서와 같이, 관리서버(40)에는 관리데이터베이스(45)가 연결되며, 관리데이터베이스(45)에는 교량 자산의 식별정보, 제원정보 및 이력정보를 포함하는 자산정보가 수록된다.
도 3 내지 도 5는 이러한 관리서버(40)의 자산관리 프로그램 실행상태의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관리서버(40)와 직접 연결된 출력장치를 통하여 출력되거나, 원격지에서 별도의 컴퓨터를 통하여 관리서버(40)에 접속한 후, 자산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한 경우에도 동일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우선 도 3은 자산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관리데이터베이스(45)에서 인출된 교량 자산이 지도 형식으로 출력된 것이며, 도 4는 관리데이터베이스(45)에서 인출된 자산정보 즉, 식별정보, 제원정보 및 이력정보가 목록 형식으로 출력된 것이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교량 자산에는 고유의 식별정보가 부여되고, 해당 교량 자산의 연장, 구조 형식 및 상부 도로폭 등의 제원정보 및 개통 연도 등의 이력정보가 자산정보로서 관리데이터베이스(45)에 수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산별로 부여된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트 송출하는 비콘(10)은 각각의 자산별로 설치되는데,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 관리서버(40)의 자산관리 프로그램에서 메뉴를 조작함에 따라, 지도상에서 비콘(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은 도 6의 흐름도에서와 같이, 교량 자산에 설치된 비콘(10)이 식별정보를 송출하는 비콘송출단계(S10)로 개시된다.
도 7에서와 같이, 비콘송출단계(S10)에서 송출되는 신호는 수신처를 특정하는 않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출되며, 주기적으로 반복 송출되는데, 이러한 비콘송출단계(S10)는 본 발명의 수행에 있어서 단발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할 초도접속단계(S21) 내지 위험도산정단계(S63)에 이르는 본 발명의 수행 전반과 무관하게, 비콘(10)의 가용 연한에 이르는 비콘(10) 수명 전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모바일단말(20)이 무선망(30)을 통하여 관리서버(4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요청하는 초도접속단계(S21)와, 관리서버(40)가 모바일단말(20)로 어플리케이션 설치정보를 전송하고, 모바일단말(20)이 이를 수신하여 모바일단말(20)의 운영체계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설치단계(S22)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은 비콘(10) 송출 신호를 감지하고 신호내 식별정보를 수신 및 가공하며, 이를 후술할 이용정보로 변환하여 관리서버(4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모바일단말(20) 운영체계의 응용프로그램 형식으로 탑재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의 모바일단말(20) 탑재는 모바일단말(20)의 사용자가 당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파일을 관리서버(40)로부터 제공받아 자신의 모바일단말(20)에 설치함으로써 완료되는 바, 모바일단말(20) 사용자의 능동적인 접속이 전제된다 할 수 있으나, 현재 대부분의 모바일단말(20)에서는 문자 메시지내 포함된 링크의 터치 등 비교적 간단한 조작만으로, 서버의 접속 내지 프로그램 다운로드에 이르는 제반 과정이 일괄 처리되는 바, 사용자의 복잡한 조작 없이도 상기 초도접속단계(S21) 및 설치단계(S22)의 수행이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초도접속단계(S21) 및 설치단계(S22)는 사용자의 동의를 전제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사용자 동의는 참여 사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보상 또는 혜택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모바일단말(20)은 교량 자산의 사용자인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등의 통신기기인 바, 상기 초도접속단계(S21) 및 설치단계(S22)에 참여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자신의 모바일단말(20)에 설치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교량 및 도로 통행료 감면 등의 경제적 대가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교량의 관리주체인 정부, 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기관에 의하여 수행되는 바, 상기와 같은 통행로 감면 등의 경제적 대가를 지급할 수 있으며, 이로써 교량의 사용자인 일반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설치단계(S22)를 완수한 모바일단말(20)은 비콘(10)의 송출 신호를 상시 감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로써,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모바일단말(20)이 비콘(10)에서 송출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신호감지단계(S31)와, 모바일단말(20)의 어플리케이션이 식별정보와 시각(時刻)정보를 병합하여 이용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단계(S32)와, 모바일단말(20)이 무선망(30)을 통하여 관리서버(40)로 이용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S40)가 수행된다.
신호감지단계(S31)는 모바일단말(20)의 소지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비콘(10)이 설치된 교량 구간을 통과함에 따라 수행되는 것으로, 당해 모바일단말(20)의 소지자는 비콘(10) 송출 신호의 감지 및 후속 처리 과정을 인지하지 못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비콘(10)에서 송출되는 식별정보는 단순한 문자열 또는 숫자열 형식으로서, 후속 수행되는 정보생성단계(S32)에서의 처리 역시 식별정보와 시각정보를 병합하여 역시 단순한 문자열 또는 숫자열 형식의 이용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바, 모바일단말(20)의 전산자원 잠식이 극히 미미하므로, 모바일단말(20)의 사용자가 체감하는 불편은 전혀 없게 된다.
또한, 모바일단말(20)과 비콘(10)간의 통신 역시 비콘(10)의 브로드캐스팅을 모바일단말(20)이 단발적으로 수신하는 것에 불과하고, 그 경로도 통상의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망(30)이 아닌 별도의 경로를 통하여 수행되는 바, 통신부하의 증가가 극히 미미할 뿐 아니라, 통화 및 인터넷 접속 등 모바일단말(20)의 일반적 사용상 사용자 불편도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다만, 모바일단말(20)이 무선망(30)을 통하여 관리서버(40)로 이용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S40)의 수행에 있어서, 무선망(30)의 일시적인 점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이용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저장단계(S41) 내지 승인전송단계(S43)를 수립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즉,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정보전송단계(S40)가 정보생성단계(S32) 직후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단말(20)의 어플리케이션이 정보생성단계(S32)에서 생성된 이용정보를 모바일단말(20)의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41)가 일단 수행된 후, 모바일단말(20)이 사전 지정된 무선망(30)에 진입하면 어플리케이션이 터치스크린에 이용정보 목록 및 전송여부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는 의사확인단계(S42)가 수행되고, 이어서 모바일단말(20)의 터치스크린이 조작되어 전송이 수락되면 어플리케이션이 이용정보를 무선망(30)을 통하여 관리서버(40)로 전송하는 승인전송단계(S43)가 수행됨으로써, 비로소 이용정보가 관리서버(40)로 제공되는 것이다.
의사확인단계(S42)에 있어서의 사전 지정된 무선망(30)이란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한 무선망(30)으로서, 통신료 과금(課金)이 발생되지 않는 무료 공개 무선망(30)이나, 사용자 가정 또는 직장의 무선망(30)을 사용자가 지정하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무선망(30) 점유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심야 시간 등 전송시간을 사전에 설정하여 저장된 이용정보를 일괄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의사확인단계(S42)에서는 전송 예정인 이용정보 목록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타진하게 되며, 만일 사용자가 전송을 원하지 않을 경우, 해당 이용정보의 전송이 철회됨과 동시에 해당 이용정보가 삭제되어, 사용자의 의사를 최대한 반영하고 개인정보를 보호하게 된다.
이렇듯,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이용정보가 관리서버(40)에 제공되면, 도 6에서와 같이, 관리서버(40)가 이용정보를 수신하여 관리데이터베이스(45)에 수록하는 정보수록단계(S50)가 수행되어, 이용정보가 관리데이터베이스(45)에 축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용정보는 교량 자산을 사용하는 전체 사용자의 이용정보가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본인의 의사에 따라 참여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자신의 모바일단말(20)에 설치한 일부 사용자의 이용정보인 바, 교량 자산의 전체 이용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는 없으나, 통계적으로 유의(有意)한 표본 사용자의 이용량이라 할 수 있으므로, 자산관리 대상 개별 교량 자산을 상호 대비함에 있어서 상대적인 활용도로는 충분히 채용(採用)될 수 있다.
도 9는 이렇듯 수집된 교량 자산의 이용정보가 관리데이터베이스(45)에 수록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동 도면에 목록 형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교량 자산별로 월별 이용량, 연간 이용량 및 누적 이용량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특정 교량 자산의 이용정보는 해당 자산의 파괴에 따른 피해도 산정에 활용되는데, 이는 관리서버(40)가 관리데이터베이스(45)에서 자산정보 및 이용정보를 인출하여 이용정보에 따라 피해도를 설정하는 피해도설정단계(S61)를 통하여 수행된다.
즉, 이용정보상 상대적 활용도가 높은 교량 자산의 경우 그 피해도 역시 높게 설정되고, 이용정보상 상대적 활용도가 낮은 교량 자산의 경우 그 피해도 역시 낮게 설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피해도설정단계(S21)는 후술할 위험도산정단계(S23)를 수행하기 위한 사전 조치이며, 역시 위험도산정단계(S23)에 선행되는 사전 조치로서 자산별 이력정보가 인출되어 임계시점 기준 잔존수명에 따른 파괴확률이 설정되는 파괴확률설정단계(S22)가 동반 수행된다.
파괴확률이란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현 시점에서 자산이 파괴될 확률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당 자산의 통상적 수명에 대비한 사용기간을 주요 요소로 파괴확률을 설정하게 된다.
이어서, 도 10에서와 같이, 관리서버(40)가 피해도 및 파괴확률을 조합하여 위험도를 산정하고 도 11에서와 같이, 관리데이터베이스(45)에 수록하는 위험도산정단계(S63)가 수행됨으로써, 실제 활용도가 고려된 자산관리 및 이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피해도설정단계(S21)에서의 피해도(Damage)와, 파괴확률설정단계(S22)에서의 파괴확률(Failure Probability)은 도 10에서와 같이 등급형식으로 부여되며, 이들 등급이 위험도산정단계(S63)에서 조합되어 L(낮은 위험도), M(중간 위험도), S(충분한 위험도) 및 H(높은 위험도)의 4단계로 위험도가 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피해도설정단계(S21)에서 피해도를 설정함에 있어서, 이용정보에 기반한 해당 교량 자산의 활용도를 반영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도 11에서와 같이, 활용도가 높은 자산은 피해도를 상향 조정하여, 위험도 역시 증대됨을 확인할 수 있다.
10 : 비콘
11 : 무선모듈
12 : MCU
13 : 전원
20 : 모바일단말
30 : 무선망
40 : 관리서버
45 : 관리데이터베이스
S10 : 비콘송출단계
S21 : 초도접속단계
S22 : 설치단계
S31 : 신호감지단계
S32 : 정보생성단계
S40 : 정보전송단계
S41 : 저장단계
S42 : 의사확인단계
S43 : 승인전송단계
S50 : 정보수록단계
S61 : 피해도설정단계
S62 : 파괴확률설정단계
S63 : 위험도산정단계

Claims (2)

  1.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처리되는 교량 자산관리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에 있어서,
    교량 자산의 식별정보, 제원정보 및 이력정보를 포함하는 자산정보가 수록된 관리데이터베이스(45)와 연결되고 인터넷을 통하여 무선망(30)과 연결된 관리서버(40)와, 교량 자산에 설치되어 식별정보를 송출하는 비콘(10)과, 비콘(10) 송출 신호의 수신 및 무선망(30)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단말(20)이 구성되고,
    교량 자산에 설치된 비콘(10)이 식별정보를 송출하는 비콘송출단계(S10)와;
    모바일단말(20)이 무선망(30)을 통하여 관리서버(4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요청하는 초도접속단계(S21)와;
    관리서버(40)가 모바일단말(20)로 어플리케이션 설치정보를 전송하고, 모바일단말(20)이 이를 수신하여 모바일단말(20)의 운영체계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설치단계(S22)와;
    교량자산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모바일단말(20)이 비콘(10)에서 송출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신호감지단계(S31)와;
    모바일단말(20)의 어플리케이션이 식별정보와 시각(時刻)정보를 병합하여 이용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단계(S32)와;
    모바일단말(20)이 무선망(30)을 통하여 관리서버(40)로 이용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S40)와;
    관리서버(40)가 이용정보를 수신하여 관리데이터베이스(45)에 수록하는 정보수록단계(S50)와;
    관리서버(40)가 관리데이터베이스(45)에서 자산정보 및 이용정보를 인출하여 이용정보에 따라 피해도를 설정하는 피해도설정단계(S61)와;
    관리서버(40)가 교량 자산별 잔존수명에 따른 파괴확률을 설정하는 파괴확률설정단계(S62)와;
    관리서버(40)가 피해도 및 파괴확률을 조합하여 위험도를 산정하고 관리데이터베이스(45)에 수록하는 위험도산정단계(S6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전송단계(S40)는, 모바일단말(20)의 어플리케이션이 정보생성단계(S32)에서 생성된 이용정보를 모바일단말(20)의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41)와; 모바일단말(20)이 사전 지정된 무선망(30)에 진입하면 어플리케이션이 이용정보 목록 및 전송여부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는 의사확인단계(S42)와; 모바일단말(20)이 조작되어 전송이 수락되면 어플리케이션이 이용정보를 무선망(30)을 통하여 사전에 설정된 심야시간동안 관리서버(40)로 일괄 전송하는 승인전송단계(S43)를 포함하고,
    전송이 수락되지 않을 경우 이용정보의 전송이 철회됨과 동시에 해당 이용정보가 삭제되고,

    상기 비콘송출단계(S10)에서, 비콘(1)의 작동이 개시되면 비콘(10)의 무선모듈에서 식별정보가 포함된 숫자열 또는 문자열 형식의 정보를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Bluetooth Low Energy)을 통해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출하고,

    상기 초도접속단계(S21) 및 상기 설치단계(S22)는, 사용자의 동의하에 수행되며 어플리케이션을 자신의 모바일단말(20)에 설치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교량 및 도로 통행료 감면의 경제적 대가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참여를 유도하고,

    상기 신호감지단계(S31) 및 상기 정보생성단계(S32)에서,
    모바일단말(20)은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Bluetooth Low Energy)을 통해 비콘(1)에서 송출되는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식별정보와 시각(時刻)정보를 병합하여 숫자열 또는 문자열 형식의 이용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피해도설정단계(S61)에서 이용정보상 상대적 활용도가 높은 교량 자산의 경우 그 피해도 높게 설정되고, 이용정보상 상대적 활용도가 낮은 교량 자산의 경우 그 피해도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용도 기반 교량 자산관리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
  2. 삭제
KR1020160052761A 2016-04-29 2016-04-29 활용도 기반 교량 자산관리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 KR101703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761A KR101703277B1 (ko) 2016-04-29 2016-04-29 활용도 기반 교량 자산관리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761A KR101703277B1 (ko) 2016-04-29 2016-04-29 활용도 기반 교량 자산관리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277B1 true KR101703277B1 (ko) 2017-02-06

Family

ID=58108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761A KR101703277B1 (ko) 2016-04-29 2016-04-29 활용도 기반 교량 자산관리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2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12067A (ja) * 2007-06-15 2008-12-25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483393B1 (ko) * 2014-05-26 2015-01-16 박광석 무선 통신 태그 커넥터를 이용한 시설물 유지 관리 및 사회 안전망 구축 시스템
KR101567540B1 (ko) * 2015-03-17 2015-11-10 (주)승화기술정책연구소 파괴확률 조정형 지아이에스 연계 하수도 자산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12067A (ja) * 2007-06-15 2008-12-25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483393B1 (ko) * 2014-05-26 2015-01-16 박광석 무선 통신 태그 커넥터를 이용한 시설물 유지 관리 및 사회 안전망 구축 시스템
KR101567540B1 (ko) * 2015-03-17 2015-11-10 (주)승화기술정책연구소 파괴확률 조정형 지아이에스 연계 하수도 자산관리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경훈 외 2인, "위험도평가기법의 교량 자산관리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제38회 대한토목학회 정기 학술대회, 2012년10월, pp. 2360 ~ 236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0286B1 (ko) 애플리케이션별 자원 사용량 정보의 제공 기법
US20180060989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digitally assisted personal mobility management
CN107301573B (zh) 自动获取电子发票的方法及系统
US112570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regional information
CN102982626B (zh) 一种pos终端移机告警的方法及装置
ATE454765T1 (de) Verfahren zur verringerung der tpf-last
CN103167604B (zh) 一种移动通信终端信息上报方法及系统
KR101698185B1 (ko) 활용도 기반 도로 자산관리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
US201502062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nting vehicle using reverse auction mechanism
US20180227270A1 (en) Router address type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30162734A1 (en) Voice command system and voice command method
US11244254B2 (en) Application-based commercial ground transportation clearinghouse system
WO2019082919A1 (ja) 充電課金システム及び充電課金方法
KR101703277B1 (ko) 활용도 기반 교량 자산관리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
CN104956420A (zh) 用于列车晚点的腕表通知
CN103440145A (zh) 一种应用程序更新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1656789B1 (ko) 활용도 기반 건물 자산관리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
CN105160556A (zh) 一种内容推广的绩效获取方法及系统
CN104517440A (zh) 交通数据处理方法及设备
KR20150083462A (ko) 모바일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CN105162814A (zh) 基于关注信息的提示方法及装置
CN110288853B (zh) 智慧停车管控联网联控方法及系统
JP5195634B2 (ja) Etc端末装置、etc路側機、及びetcシステム
CN112019585A (zh) 云存储管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705893B (zh) 充电调度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