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870B1 - (-)-피니디논 합성방법 - Google Patents

(-)-피니디논 합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870B1
KR101702870B1 KR1020150122391A KR20150122391A KR101702870B1 KR 101702870 B1 KR101702870 B1 KR 101702870B1 KR 1020150122391 A KR1020150122391 A KR 1020150122391A KR 20150122391 A KR20150122391 A KR 20150122391A KR 101702870 B1 KR101702870 B1 KR 101702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benzyl
formula
dithiolan
carbam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갑
다모다르 콩가라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2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2,6 위치의 작용기가 치환된 피페리딘 알칼로이드인 (-)-피니디논의 신속한 입체선택적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를 출발물질로 하며 알데하이드와 (S)-tert-부탄설핀아마이드, 알릴 브로마이드, 인듐의 입체선택적 α-아미노알릴화 및 그럽스 올레핀 교차치환반응을 주요 단계로 한다.

Description

(-)-피니디논 합성방법 {Synthetic method for (-)-pinidinone}
본 발명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2,6 위치의 작용기가 치환된 피페리딘 알칼로이드인 (-)-피니디논의 신속한 입체선택적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를 출발물질로 하며 알데하이드와 (S)-tert-부탄설핀아마이드, 알릴 브로마이드, 인듐의 입체선택적 α-아미노알릴화 및 그럽스 올레핀 교차치환반응을 주요 단계로 한다.
피페리딘 중심골격은 다양한 천연 알칼로이드와 수많은 약학적 활성 유도체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구조 중 하나이다.1 특히, C-2 및/또는 C-6 위치에 키랄 중심을 갖는 것들은 과학계의 특별한 관심의 대상인데, 그 이유는 이들이 폭넓은 생물학적 활성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몇몇 알칼로이드와 천연산물들에서 보이기 때문이다.2 이 화합물들을 입체선택적으로 합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하였는데, 여전히 좀 더 간단하고 효율적인 접근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키랄 보조물 기반 방법은 자주 i) “키랄 풀 (chiral pool)” 방법, ⅱ) 비대칭적 촉매작용 및 ⅲ) 라세믹 혼합물 분리방법 중에서 선택되는데, 왜냐하면 광학적으로 순수한 아민과 유도체의 합성방법은 그들의 기질 범위가 폭넓고, 비대칭 유도를 예측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하기 때문이다. 이 반응의 생성물이 거울상 이성질체 (enantiomer)라기 보다는 부분입체 이성질체 (diastereomer)이기 때문에, 이들의 비율은 표준 NMR과 아키랄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Ellman과 그의 동료들에 의해 개발된 tert-부탄설핀아마이드의 거울상 이성질체는 i) 규모를 키우거나 줄인 공정에도 쉽게 적용 가능하고, ⅱ) 거울상 이성질체로서 순수한 형태로 기질과 쉽게 부착되며, ⅲ) 높은 부분입체이성질체 선택적 변형을 매개하고, ⅳ) 산성 조건 하에서 새로이 만들어진 입체성 중심을 라세미화하지 않고 쉽게 탈보호기화되며, ⅴ) 키랄 보조제 재활용을 위한 실용적 절차의 관점에서 볼 때 아민의 비대칭적 합성에 이용되는 여타 키랄 보조제 중에서 표준으로 입증되고 있다.3
(-)-피니디논 {(-)-Pinidinone} (화합물 1), (+)-다이하이드로피니딘 {(+)-dihydropinidine} (화합물 2) 및 (-)-피니디놀 {(-)-pinidinol} (화합물 3)은 2,6기가 치환된 대표적인 피페리딘이다 (도 1). (-)-피니디논은 Stermiz와 동료들에 의해 블루 가문비 (Colorado blue spruce, 학명은 Picea pungens Engelm)에서 분리되었다.4 이 화합물은 또한 호주 가루깍지벌레 (Australian mealybug ladybird, 학명 Cryptolaemus montrouzieri Mulsant)뿐만 아니라 멕시코 콩 딱정벌레 (Mexican bean beetle, 학명 Epilachna varivestis Mulsant)의 혈림프에서도 발견되었다.5 이것은 벌레 (가문비나무), 개미와 거미 (딱정벌레)에 대한 섭식장애활성을 나타내었다. 지금까지는 이 화합물의 거울상 이성질체인 (+)-피니디논6 e과 함께 이 흥미로운 화합물6 a-6d에 관해서는 단지 네 가지의 합성방법만 발견되었다. 생물학적 중요성과 희소성의 관점에서 이 화합물을 제조하는 좀 더 효과적인 다른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a) M. J. Schneider, in ‘Alkaloids: Chemical and Biological Perspectives’, S. W. Pelletier, Ed. Pergamon, Oxford, U.K., 1996, Vol. 10, pp 155. b) S. Kallstrom, R. Leino, Bioorg. Med. Chem. 2008, 16, 601. a) J. W. Daly, T. F. Spande, H. M. Garraffo, J. Nat. Prod. 2005, 68, 1556. b) F. -X. Felpin, J. Lebreton, Tetrahedron 2004, 60, 10127. a) G. Liu, D. A. Cogan, J. A. Ellman, J. Am. Chem. Soc. 1997, 119, 9913. b) M. T. Robak, M. A. Herbage, J. A. Ellman, Chem. Rev. 2010, 110, 3600. J. N. Tawara, A. Blokhin, T. A. Foderaro, F. R. Stermitz, H. Hope, J. Org. Chem. 1993, 58, 4813. a) W. V. Brown, B. P. Moore, Aust. J. Chem. 1982, 35, 1255. B) A. B. Attygalle, S.- C. Xu, K. D. McCormick, J. Meinwald, C. L. Blankespoor, T. Eisner, Tetrahedron 1993, 49, 9333. a) S. Freville, P. Delbecq, V. M. Thuy, H. Petit, J. P. Celerier, G. Lhommet, Tetrahedron Lett. 2001, 42, 4609. b) K. Csatayova, I. panik, V. uriova, P. Szolcsanyi, Tetrahedron Lett. 2010, 51, 6611. c) M. Kavala, F. Mathia, J. Koiek, P. Szolcsanyi, J. Nat. Prod. 2011, 74, 803. d) G. Shankaraiah, T. V. Kumar, G. V. Reddy, J. M. Rao, K. S. Babu, Helv. Chim. Acta 2013, 90, 990. e) M. J. Munchhof, A. I. Meyers, J. Am. Chem. Soc. 1995, 117, 5399. a) S. -J. Kim, C. G. Kim, S. -R. Yun, J. -K. Kim, J. -G. Jun, Bioorg. Med. Chem. Lett. 2014, 24, 181. b) Y. H. Seo, J. -K. Kim, J. -G. Jun, Bioorg. Med. Chem. Lett. 2014, 24, 5727. c) K. Damodar, J. -G. Jun, Bull. Korean Chem. Soc. 2014, 35, 3618. J. C. Gonzalez-Gomez, M. Medjahdi, F. Foubelo, M. Yus, J. Org. Chem. 2010, 75, 6308. U. V. Desai, D. M. Pore, B. V. Tamhankar, S. A. Jadhav, P. P. Wadgaonkar, Tetrahedron Lett. 2006, 47, 8559. Q. Zhang, Y. Wu, Tetrahedron 2007, 63, 10189. K. Jones, K. -C. Woo, Tetrahedron 1991, 47, 7179. S. Fustero, C. Baez, M. Sanchez-Rosello, A. Asensio, J. Miro, C. del Pozo, Synthesis 2012, 44, 1863.
본 발명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2,6 위치의 작용기가 치환된 피페리딘 알칼로이드인 (-)-피니디논을 좀 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은 알데하이드와 (S)-tert-부탄설핀아마이드, 알릴 브로마이드 및 인듐의 입체선택적 α-아미노알릴화 및 그럽스 올레핀 교차치환반응을 주요 단계로 하여 입체선택적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로부터 (-)-피니디논을 합성하는 신속한 입체선택적 합성방법을 제공한다. 생물활성을 지닌 천연산물인 (-)-피니디논과 그 유도체 합성에 관한 연구를 지속하면서, 본 발명자들은 (-)-피니디논이 화합물 4로부터 합성될 수 있으며, 화합물 4는 교차치환반응으로 Cbz에 의해 보호되는 호모알릴릭 아민 화합물 5로부터 유래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나아가, 화합물 5는 화합물 6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데, 화합물 6은 알데하이드 화합물 7,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화합물 8)와 (S)-tert-부탄설핀아마이드 및 알릴 브로마이드의 입체선택적 알릴화에 의해 얻어진다.
역합성 분석으로 화합물 8을 BF3.OEt3 존재 하에서 1,2-에탄다이티올 (1,2-ethanedithiol)의 CH2Cl2 용액으로 처리하면 화합물 9가 96% 수율로 얻어진다. 화합물 9의 에스테르기를 LAH (lithium aluminium hydride)로 환원하고, 얻어진 알콜 화합물 10을 IBX (2-iodoxybenzoic acid)의 DMSO 용액으로 산화하여 알데하이드 화합물 7을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 문헌8 상의 방법에 따라 화합물 7은 (S)-tert-부탄설핀아마이드, 알릴 브로마이드 및 인듐으로 원팟 입체선택적 α-아미노알릴화하여 탁월한 부분입체이성질체 선택성을 가진 호모알릴 아민 화합물 6으로 높은 수율로 전환되었다 (dr 97:3; 1H-NMR 및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이후의 분리 수율에 기초함). 화합물 6은 이후 Cbz (carbobenzyloxy) 기로 보호되는 화합물 11로 전환되었다. 화합물 6을 무수 MeOH 내에서 4N HCl의 1,4-다이옥산 용액으로 한 시간 처리한 후 50% 수용성 Na2CO3 하에서 벤질 클로로포메이트를 가하여 82% 수율로 화합물 11을 얻었다. 1,3-다이티올란을 분할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탈보호기화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독성 있는 수은 시약을 피하기 위해 옥손 (Oxone)-KBr 및 I2-NaHCO3 시스템9 ,10을 시험하였다. 불행하게도 화합물 5를 각각 30% 및 33% 수율로 얻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상온에서 한 시간 동안 80% 수용성 CH3CN 내에서 화합물 11을 NCS-AgNO3-2,6-루티딘 시스템으로 처리하였다.11 다행히도 이 방법으로 화합물 5를 78% 수율로 얻을 수 있었다.
화합물 1 합성을 완결하기 위한 다음 단계는 교차치환반응으로 시작하였다. 환류 조건 하에서 2세대 그럽스 촉매와 Ti(O i Pr)4 보조촉매를 이용하여 화합물 5를 CH2Cl2 내에서 5당량의 3-부텐-2-온과 여섯 시간 이상 반응시키고 완결하여 교차치환 화합물 4를 92% 수율로 얻었다.12 최종적으로, 화합물 4에 대하여 10% Pd/C의 EtOAc 용액을 이용하여 수소 분위기 하에서 Cbz 기의 원팟 수소화 분해, 이중결합 환원 및 환원 아미노화를 수행하여 연황색 오일 (-)-피니디논을 분리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의 데이터 (1H- 및 13C-NMR, MS 스펙트럼 및 [α]D)는 보고된 문헌상의 데이터6a-6d와 일치하였다. 모든 중간산물은 NMR (1H 및 13C)과 MS 데이터13로 규명하였다.
본 발명은
화학식 8로 표시되는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를 BF3.OEt3 존재 하에서 1,2-에탄다이티올 (1,2-ethanedithiol)의 CH2Cl2 용액으로 처리하여 화학식 9로 표시되는 에틸 2-(2-메틸-1,3-다이티올란-2-일)아세테이트 {Ethyl 2-(2-methyl-1,3-dithiolan-2-yl)acetate}를 얻는 단계;
에틸 2-(2-메틸-1,3-다이티올란-2-일)아세테이트 에스테르기를 LAH (lithium aluminium hydride)로 환원하여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2-(2-메틸-1,3-다이티올란-2-일)에탄올 {2-(2-Methyl-1,3-dithiolan-2-yl)ethanol}을 얻는 단계;
얻어진 2-(2-메틸-1,3-다이티올란-2-일)에탄올을 IBX (2-iodoxybenzoic acid)의 DMSO 용액으로 산화하여 화학식 7로 표시되는 2-(2-메틸-1,3-다이티올란-2-일)아세트알데하이드 {2-(2-Methyl-1,3-dithiolan-2-yl)acetaldehyde}를 얻는 단계;
2-(2-메틸-1,3-다이티올란-2-일)아세트알데하이드를 (S)-tert-부탄설핀아마이드, 알릴 브로마이드 및 인듐으로 원팟 입체선택적 α-아미노알릴화하여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S)-2-메틸-N-((R)-1-(2-메틸-1,3-다이티올란-2-일)펜트-4-엔-2-일)프로판-2-설핀아마이드 {(S)-2-Methyl-N-((R)-1-(2-methyl-1,3-dithiolan-2-yl)pent-4-en-2-yl)propane-2-sulfinamide}를 얻는 단계;
(S)-2-메틸-N-((R)-1-(2-메틸-1,3-다이티올란-2-일)펜트-4-엔-2-일)프로판-2-설핀아마이드를 무수 MeOH 내에서 4N HCl의 1,4-다이옥산 용액으로 처리한 후 50% 수용성 Na2CO3 하에서 벤질 클로로포메이트를 가하여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R)-벤질 (1-(2-메틸-1,3-다이티올란-2-일)펜트-4-엔-2-일)카바메이트 {(R)-Benzyl (1-(2-methyl-1,3-dithiolan-2-yl)pent-4-en-2-yl)carbamate}를 얻는 단계;
(R)-벤질 (1-(2-메틸-1,3-다이티올란-2-일)펜트-4-엔-2-일)카바메이트를 상온에서 80% 수용성 CH3CN 내에서 N-클로로석신이미드, AgNO3, 2,6-루티딘을 가하고 교반하여 화학식 5로 표시되는 (R)-벤질 (6-옥소헵트-1-엔-4-일)카바메이트 {(R)-Benzyl (6-oxohept-1-en-4-yl)carbamate}를 얻는 단계;
환류 조건 하에서 2세대 그럽스 촉매와 Ti(O i Pr)4 보조촉매를 이용하여 (R)-벤질 (6-옥소헵트-1-엔-4-일)카바메이트를 CH2Cl2 내에서 3-부텐-2-온과 여섯 시간 이상 반응시키고 완결하여 화학식 4로 표시되는 (R,E)-벤질 (2,8-다이옥소논-6-엔-4-일)카바메이트 {(R,E)-Benzyl (2,8-dioxonon-6-en-4-yl)carbamate}를 얻는 단계; 및
(R,E)-벤질 (2,8-다이옥소논-6-엔-4-일)카바메이트에 대하여 10% Pd/C의 EtOAc 용액을 이용하여 수소 분위기 하에서 Cbz 기의 원팟 수소화 분해, 이중결합 환원 및 환원 아미노화를 수행하여 (-)-피니디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니디논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2,6 위치의 작용기가 치환된 피페리딘 알칼로이드인 (-)-피니디논의 신속한 입체선택적 합성방법을 발명하였다. 이 방법은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를 출발물질로 하며 알데하이드와 (S)-tert-부탄설핀아마이드, 알릴 브로마이드, 인듐의 입체선택적 α-아미노알릴화 및 그럽스 올레핀 교차치환반응을 주요 단계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2,6 위치의 작용기가 치환된 피페리딘 알칼로이드인 (-)-피니디논을 좀 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합성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천연의 2,6기가 치환된 피페리딘 (화합물 1-3)의 구조를 나타낸 화학식이다.
도 2는 화합물 1의 역합성을 나타내는 화학반응식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피니디논 합성방법을 도시한 화학반응식이다. 시약과 반응조건: a) 1,2-다이티오에탄 (1,2-dithioethane), BF3.OEt2, CH2Cl2 , 상온, 20분, 96%; b) LiAlH4, 무수 THF, 0 ℃-상온, 3h, 92%; c) IBX, 무수 DMSO, 상온, 2h, 96%; d)(S)-N-tert-부탄설핀아마이드, In, Ti(OEt)4, THF, 25 ℃, 1h, 이후 알릴 브로마이드, 60 ℃, 5h, 84%, dr 97:3; e) i) 4N HCl 1,4-다이옥산 용액, MeOH, 0 ℃-상온, 1h, ⅱ) 50% 수용성 K2CO3, 벤질 클로로포메이트, 1,4-다이옥산, 상온, 30분, 82% f) N-클로로석신이미드, AgNO3, CH3CN/H2O (4/1), 상온, 1h, 78%; g) 3-부텐-2-온, 그럽스 2세대 촉매 (Grubbs second generation catalyst) (10 mmol%), Ti(O i Pr)4(10 mmol%), CH2Cl2, 환류, 6h, 92%; (h) 10% Pd/C, EtOAc, 상온, 오버나잇, 74%.
에틸 2-(2- 메틸 -1,3- 다이티올란 -2-일)아세테이트 {Ethyl 2-(2-methyl-1,3-dithiolan-2-yl)acetate} (화합물 9)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1.3g,10.0mmol)와 1,2-다이티오에탄 (0.88mL,10.5mmol)을 CH2Cl2 (15mL)에 넣어 교반한 용액에 상온, 질소 분위기 하에서 BF3·OEt2 (1.4mL,11.0mmol)를 가하였다. 반응 과정은 TLC로 모니터하고 20분 후, 반응 혼합물은 에테르 (50mL)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30mL)를 천천히 가하고, 2상 혼합물은 끓어오르는 것이 멈출 때까지 상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유기용매층은 식염수 (2 x 40 mL)와 물 (2 x 4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한 후 진공농축하였다. 조화합물은 짧은 컬럼 (EtOAc/hexane = 1/15 - 1/10) 상에서 정제하여 무색 오일상 화합물 9를 얻었다 (1.96 g, 96%). R f = 0.65 (EtOAc/hexane = 1/5); 1H NMR (300 MHz, CDCl3) δ 4.17 (2H, q, J = 7.0 Hz), 3.37-3.32 (4H, m), 3.02 (2H, s), 1.92 (3H, s), 1.28 (3H, t, J = 7.0 Hz); 13C NMR (75 MHz, CDCl3) δ 169.9, 62.4, 60.7, 50.5, 40.1, 31.9, 31.8, 14.6; EI-MS m/z 206 (M+), 147, 119 (base).
2-(2- 메틸 -1,3- 다이티올란 -2-일)에탄올 {2-(2-Methyl-1,3- dithiolan -2-yl)ethanol} (화합물 10)
화합물 9 (1.5 g, 7.35 mmol)를 THF (Tetrahydrofuran) (12 mL)에 넣고 교반한 용액에 2.0 M LAH (LAH)의 THF (4.41 mL) 용액을 0 ℃, 질소 분위기에서 주사기로 한 방울씩 가했다. 혼합물은 상온으로 가온하고 반응 과정은 TLC로 모니터하였다. 세 시간 후, 혼합물은 0 ℃로 식힌 다음 물 (0.08 mL) (한 방울씩 가함, H2 기체 제거함), 15% 수용성 NaOH (w/v;0.8mL) 및 물 (1.0mL)을 순서대로 가하고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냉각조를 제거하고 화색 현탁액은 한 시간 이상 두어 백색으로 변하였다. 혼합물은 Na2SO4 및 셀라이트의 짧은 패드를 통과하여 여과하고 에틸아세테이트 (75mL)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은 농축하여 연황색 오일상 화합물 10을 얻었다 (1.108g,92%). R f = 0.17 (EtOAc/hexane = 1/5); 1H NMR (300 MHz, CDCl3) δ 3.89 (2H, q, J = 5.7 Hz), 3.41-3.33 (4H, m), 2.47 (1H, br t, J = 5.7 Hz), 2.22 (2H, t, J = 5.7 Hz), 1.81 (3H, s); 13C NMR (75MHz, CDCl3) δ 65.1, 61.1, 47.0, 40.3, 33.7; EI-MS m/z 164 (M+), 146, 119 (base).
2-(2- 메틸 -1,3- 다이티올란 -2-일) 아세트알데하이드 {2-(2-Methyl-1,3-dithiolan-2-yl)acetaldehyde} (화합물 7)
화합물 10 (1.05 g, 6.39 mmol)을 무수 DMSO (30 mL)에 넣고 교반한 용액에 IBX (2-iodooxy benzoic acid) (2.684 g, 9.59 mmol)를 상온에서 가하였다. 반응 진행은 TLC로 모니터하고, 두 시간 후 혼합물을 EtOAc (200 mL)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3x70mL), 물 (3x70mL) 및 식염수 (3x70mL)로 순서대로 세척하였다. 유기용매층은 무수 Na2SO4 로 건조하여 진공농축하였다. 조화합물은 짧은 컬럼 (EtOAc/hexane = 3/17)으로 정제하여 맑은 오일상의 화합물 7을 얻었다 (0.995 g, 96%). R f = 0.49 (EtOAc/hexane = 1/5); 1H NMR (300 MHz, CDCl3) δ 9.76 (1H, s), 3.47-3.32 (4H, m), 2.97 (2H, d, J = 1.8 Hz), 1.86 (3H, s); 13C NMR (75MHz, CDCl3) δ 200.5, 61.4, 56.8, 40.7, 33.8.
( S )-2- 메틸 - N -(( R )-1-(2- 메틸 -1,3- 다이티올란 -2-일) 펜트 -4-엔-2-일)프로판-2-설핀아마이드 {( S )-2-Methyl- N -(( R )-1-(2-methyl-1,3- dithiolan -2-yl)pent-4-en-2-yl)propane-2-sulfinamide} (화합물 6)
인듐 분말 (0.207 g, 1.8 mmol), (S)-N-tert-부탄설핀아마이드 (0.145 g, 1.2 mmol), 알데하이드 화합물 7 (0.214 g, 1.32 mmol) 및 Ti(OEt)4(710μL, 2.4 mmol) 혼합물을 THF (4 mL)에 넣고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25 ℃로 한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때 알릴릭 브로마이드 (156μL, 1.80 mmol)를 가하고 반응 혼합물은 60 ℃로 다섯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은 상온까지 식히고, 식염수 (5mL)를 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EtOAc (10 mL)로 희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현탁액은 셀라이트 짧은 패드를 통과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EtOAc (2 x 40 mL)로 추출하였다. 혼합 유기용매층은 식염수 (2 x 3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한 후 진공농축하였다. 잔여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EtOAc/hexane = 1/3 - 1/2)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상의 화합물 6을 얻었다 (0.31 g, 84%). R f = 0.14 (EtOAc/hexane = 1/4); [α]D 22 = +38.5 (c=0.2, CHCl3); 1H NMR (300 MHz, CDCl3) δ 5.86-5.72 (1H, m), 5.18 (1H, d, J = 5.4 Hz), 5.14 (1H, s), 3.64 (1H, d, J = 7.8 Hz), 3.60-3.52 (1H, m), 3.38-3.28 (4H, m), 2.60-2.46 (2H, m), 2.21 (2H, d, J = 5.7 Hz), 1.77 (3H, s), 1.24 (9H, s); 13C NMR (75 MHz, CDCl3) δ 133.9, 119.5, 65.3, 56.3, 55.0, 49.7, 42.1, 40.5, 39.3, 32.8, 23.1; EI-MS m/z 307 (M+), 251, 119 (base).
( R )-벤질 (1-(2- 메틸 -1,3- 다이티올란 -2-일) 펜트 -4-엔-2-일) 카바메이트 {( R )-Benzyl (1-(2-methyl-1,3- dithiolan -2- yl )pent-4-en-2- yl ) carbamate } (화합물 11)
화합물 6 (0.246 g, 0.8 mmol)을 MeOH (5 mL)에 넣고 교반한 용액에 4M HCl 다이옥산 (0.8 mL) 용액을 0-5 ℃에서 가하고 반응 혼합물은 한 시간 이상 교반하고 온도를 25 ℃로 올렸다. 진공에서 용매를 증발시킨 후 잔여물은 1,4-다이옥산 (8 mL)에 현탁하고 50% 수용성 K2CO3 용액 (44μL, 1.6 mmol)을 상온에서 가하였다. 5분간 교반한 후, 벤질 클로로포메이트 (138 μL, 0.96 mmol)를 한 방울씩 가하고 30분간 상온에서 교반한 다음 진공농축하였다. H2O (10mL)를 가하고 CH2Cl2 (3x25mL)로 추출하였다. 혼합 유기용매층은 식염수 (2x30mL)로 세척한 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진공농축하였다. 잔여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EtOAc/hexane = 1/7 - 1/6)로 정제하여 무색 액상의 화합물 11을 얻었다 (0.221 g, 82%). R f = 0.64 (EtOAc/hexane = 1/4); [α]D 22 = -24.9 (c=0.2, CHCl3); 1H NMR (300 MHz, CDCl3) δ 7.40-7.26 (5H, m), 5.83-5.69 (1H, m), 5.20-5.05 (4H, m), 4.91 (1H, br d, J = 8.1 Hz), 4.06-3.92 (1H, singlet-like m), 3.37 (4H, m), 2.29 (2H, br t, J = 6.6 Hz), 2.24-2.18 (1H, m), 2.08-2.00 (1H, m), 1.78 (3H, s); 13C NMR (75MHz, CDCl3) δ 155.8, 137.0, 134.1, 128.6, 128.1, 118.5, 66.8, 65.0, 49.6, 49.0, 41.4, 40.7, 39.3, 33.0; EI-MS m/z 337 (M+), 296, 160, 119 (base).
( R )-벤질 (6- 옥소헵트 -1-엔-4-일) 카바메이트 {( R )-Benzyl (6- oxohept -1-en-4-yl)carbamate} (화합물 5)
N-클로로석신이미드 (0.095 g, 0.71 mmol)와 질산은 (0.136 g, 0.8 mmol)을 CH3CN/H2O (4/1;6mL)에 넣고 교반한 용액에 화합물 11 (0.06 g, 0.178 mmol)과 2,6-루티딘 (23 μL, 0.209 mmol)을 CH3CN/H2O (4/1; 6mL)에 넣고 교반한 용액을 상온에서 가하고, 혼합물은 한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후, 혼합물은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EtOAc (30mL)로 충분히 씻어주었다. 여과액은 진공농축하였다. 조화합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EtOAc/hexane = 1/4 - 1/3)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화합물 5를 얻었다 (0.036 g, 78%). 녹는점: 74-75 ℃ (문헌상6 d 66-68 ℃); R f = 0.23 (EtOAc/hexane = 1/4); [α]D 22 = +7.7 (c=0.1, CHCl3); 1H NMR (300 MHz, CDCl3)δ 7.34-7.27 (5H, m), 5.78-5.65 (1H, m), 5.20 (1H, br s), 5.09-5.02 (4H, m), 4.08-3.96 (1H, m), 2.76-2.59 (2H, m), 2.32 (2H, d, J = 6.6 Hz), 2.13 (3H, s); 13C NMR (75MHz, CDCl3) δ 207.6, 155.9, 136.6, 134.3, 128.7, 128.3, 128.2, 118.5, 66.9, 47.7, 46.9, 39.0, 30.9; EI-MS m/z 261 (M+), 220 (base), 176.
( R , E )-벤질 (2,8- 다이옥소논 -6-엔-4-일) 카바메이트 {( R , E )-Benzyl (2,8-dioxonon-6-en-4-yl)carbamate} (화합물 4)
화합물 5 (0.06 g, 0.234 mmol)와 Ti(O i Pr)4(7μL, 0.023 mmol)을 무수 CH2Cl2(2.3mL)에 용해한 후 가스를 2분간 제거하였다. 3-부텐-2-온 (98μL, 1.165 mmol)과 그럽스 2세대 촉매 (Grubb’s second-generation catalyst) (0.02 g, 0.023 mmol)를 계속하여 가하였다. 혼합물은 여섯 시간 동안 환류하고 상온으로 식힌 다음 진공농축하였다. 조화합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EtOAc/hexane = 2/3 - 1/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화합물 4를 얻었다 (0.065 g, 92%). 녹는점: 76-78 ℃(문헌상6 d 갈색 고체. 녹는점: 73-75 ℃); R f = 0.29 (EtOAc/hexane = 1/1); [α]D 22 = +1.3 (c=0.1, CHCl3); 1H NMR (300 MHz, CDCl3) δ 7.34-7.23 (5H, m), 6.73-6.63 (1H, m), 6.06 (1H, d, J = 15.6 Hz), 5.30 (1H, br d, J = 8.7 Hz), 5.09 (1H, d, J = 12.3 Hz), 5.03 (1H, d, J = 12.3 Hz), 4.18-4.12 (1H, m), 2.80-2.63 (2H, m), 2.60-2.42 (2H, m), 2.20 (3H, s), 2.14 (3H, s); 13C NMR (75MHz, CDCl3) δ 207.1, 198.3, 155.9, 143.5, 136.5, 133.8, 128.7, 128.4, 128.2, 67.0, 47.2, 47.1, 37.7, 30.9, 27.3; EI-MS 303 (M+), 220 (base), 196.
1-((2 R ,6 R )-6- 메틸피페리딘 -2-일)프로판-2-온 {1-((2 R ,6 R )-6-Methylpiperidin-2-yl)propan-2-one} [(-)- 피니디논 ] (화합물 1)
화합물 4 (0.06 g, 0.198 mmol)를 EtOAc (6 ml)에 넣고 교반한 용액에 10% Pd/C를 가하고 1기압의 수소 하, 상온에서 수소화 반응을 밤새 수행하였다. 혼합물은 와트만 여과지를 사용하여 유리 깔대기로 여과하고 여과액은 진공농축하였다. 조화합물은 짧은 컬럼 (중성 Al2O3 (WN-6 type, Aldrich); MeOH/CH2Cl2 = 1/99-2/98)으로 정제하고 연황색 오일의 (-)-피니디논을 얻었다 (0.022g, 74%). R f = 0.77 (Al2O3; MeOH/CH2Cl2 = 1/20); [α]D 22 = -23.1 (c=0.15, CH2Cl2; lit.6c-25.0 (c=0.15, CH2Cl2)); 1H NMR (300 MHz, CDCl3) δ 3.01 (1H, dtd, J = 13.5, 6.3, 2.7 Hz), 2.68 (1H, dtd, J = 17.1, 6.3, 2.4 Hz), 2.13 (3H, s), 1.99 (2H, br s), 1.79-1.70 (1H, m), 1.63-1.47 (2H, m), 1.37 (1H, qt, J = 13.2, 3.9 Hz), 1.04 (3H, d, J = 6.3 Hz), 1.03 (1H, qt, J = 13.2, 3.9 Hz); 13C NMR (75MHz, CDCl3) δ 208.2, 52.7, 52.3, 50.9, 34.2, 32.2, 30.9, 24.9, 23.3; EI-MS m/z 155 (M+), 140, 98 (base).

Claims (1)

  1. 화학식 8로 표시되는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를 BF3.OEt3 존재 하에서 1,2-에탄다이티올 (1,2-ethanedithiol)의 CH2Cl2 용액으로 처리하여 화학식 9로 표시되는 에틸 2-(2-메틸-1,3-다이티올란-2-일)아세테이트 {Ethyl 2-(2-methyl-1,3-dithiolan-2-yl)acetate}를 얻는 단계;
    에틸 2-(2-메틸-1,3-다이티올란-2-일)아세테이트 에스테르기를 LAH (lithium aluminium hydride)로 환원하여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2-(2-메틸-1,3-다이티올란-2-일)에탄올 {2-(2-Methyl-1,3-dithiolan-2-yl)ethanol}을 얻는 단계;
    얻어진 2-(2-메틸-1,3-다이티올란-2-일)에탄올을 IBX (2-iodoxybenzoic acid)의 DMSO 용액으로 산화하여 화학식 7로 표시되는 2-(2-메틸-1,3-다이티올란-2-일)아세트알데하이드 {2-(2-Methyl-1,3-dithiolan-2-yl)acetaldehyde}를 얻는 단계;
    2-(2-메틸-1,3-다이티올란-2-일)아세트알데하이드를 (S)-tert-부탄설핀아마이드, 알릴 브로마이드 및 인듐으로 원팟 입체선택적 α-아미노알릴화하여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S)-2-메틸-N-((R)-1-(2-메틸-1,3-다이티올란-2-일)펜트-4-엔-2-일)프로판-2-설핀아마이드 {(S)-2-Methyl-N-((R)-1-(2-methyl-1,3-dithiolan-2-yl)pent-4-en-2-yl)propane-2-sulfinamide}를 얻는 단계;
    (S)-2-메틸-N-((R)-1-(2-메틸-1,3-다이티올란-2-일)펜트-4-엔-2-일)프로판-2-설핀아마이드를 무수 MeOH 내에서 4N HCl의 1,4-다이옥산 용액으로 처리한 후 50% 수용성 Na2CO3 하에서 벤질 클로로포메이트를 가하여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R)-벤질 (1-(2-메틸-1,3-다이티올란-2-일)펜트-4-엔-2-일)카바메이트 {(R)-Benzyl (1-(2-methyl-1,3-dithiolan-2-yl)pent-4-en-2-yl)carbamate}를 얻는 단계;
    (R)-벤질 (1-(2-메틸-1,3-다이티올란-2-일)펜트-4-엔-2-일)카바메이트를 상온에서 80% 수용성 CH3CN 내에서 N-클로로석신이미드, AgNO3, 2,6-루티딘을 가하고 교반하여 화학식 5로 표시되는 (R)-벤질 (6-옥소헵트-1-엔-4-일)카바메이트 {(R)-Benzyl (6-oxohept-1-en-4-yl)carbamate}를 얻는 단계;
    환류 조건 하에서 2세대 그럽스 촉매와 Ti(O i Pr)4 보조촉매를 이용하여 (R)-벤질 (6-옥소헵트-1-엔-4-일)카바메이트를 CH2Cl2 내에서 3-부텐-2-온과 여섯 시간 이상 반응시키고 완결하여 화학식 4로 표시되는 (R,E)-벤질 (2,8-다이옥소논-6-엔-4-일)카바메이트 {(R,E)-Benzyl (2,8-dioxonon-6-en-4-yl)carbamate}를 얻는 단계; 및
    (R,E)-벤질 (2,8-다이옥소논-6-엔-4-일)카바메이트에 대하여 10% Pd/C의 EtOAc 용액을 이용하여 수소 분위기 하에서 Cbz 기의 원팟 수소화 분해, 이중결합 환원 및 환원 아미노화를 수행하여 (-)-피니디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니디논 합성방법.
    <화학식 8>
    Figure 112015084126012-pat00001

    <화학식 9>
    Figure 112015084126012-pat00002

    <화학식 10>
    Figure 112015084126012-pat00003

    <화학식 7>
    Figure 112015084126012-pat00004

    <화학식 6>
    Figure 112015084126012-pat00005

    <화학식 11>
    Figure 112015084126012-pat00006

    <화학식 5>
    Figure 112015084126012-pat00007

    <화학식 4>
    Figure 112015084126012-pat00008

    <화학식 1>
    Figure 112015084126012-pat00009
KR1020150122391A 2015-08-31 2015-08-31 (-)-피니디논 합성방법 KR101702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391A KR101702870B1 (ko) 2015-08-31 2015-08-31 (-)-피니디논 합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391A KR101702870B1 (ko) 2015-08-31 2015-08-31 (-)-피니디논 합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870B1 true KR101702870B1 (ko) 2017-02-06

Family

ID=5810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391A KR101702870B1 (ko) 2015-08-31 2015-08-31 (-)-피니디논 합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8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9564A2 (de) * 2002-07-18 2004-01-29 Basf Aktiengesellschaft Co-tenside auf basis von aldehyden
WO2009077154A1 (en) * 2007-12-14 2009-06-25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Hydroxyalkyl starch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9564A2 (de) * 2002-07-18 2004-01-29 Basf Aktiengesellschaft Co-tenside auf basis von aldehyden
WO2009077154A1 (en) * 2007-12-14 2009-06-25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Hydroxyalkyl starch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Non-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G. Liu, D. A. Cogan, J. A. Ellman, J. Am. Chem. Soc. 1997, 119, 9913. b) M. T. Robak, M. A. Herbage, J. A. Ellman, Chem. Rev. 2010, 110, 3600.
a) J. W. Daly, T. F. Spande, H. M. Garraffo, J. Nat. Prod. 2005, 68, 1556. b) F. -X. Felpin, J. Lebreton, Tetrahedron 2004, 60, 10127.
a) M. J. Schneider, in ‘Alkaloids: Chemical and Biological Perspectives’, S. W. Pelletier, Ed. Pergamon, Oxford, U.K., 1996, Vol. 10, pp 155. b) S. Kallstrom, R. Leino, Bioorg. Med. Chem. 2008, 16, 601.
a) S. Freville, P. Delbecq, V. M. Thuy, H. Petit, J. P. Celerier, G. Lhommet, Tetrahedron Lett. 2001, 42, 4609. b) K. Csatayova, I. panik, V. uriova, P. Szolcsanyi, Tetrahedron Lett. 2010, 51, 6611. c) M. Kavala, F. Mathia, J. Koiek, P. Szolcsanyi, J. Nat. Prod. 2011, 74, 803. d) G. Shankaraiah, T. V. Kumar, G. V. Reddy, J. M. Rao, K. S. Babu, Helv. Chim. Acta 2013, 90, 990. e) M. J. Munchhof, A. I. Meyers, J. Am. Chem. Soc. 1995, 117, 5399.
a) S. -J. Kim, C. G. Kim, S. -R. Yun, J. -K. Kim, J. -G. Jun, Bioorg. Med. Chem. Lett. 2014, 24, 181. b) Y. H. Seo, J. -K. Kim, J. -G. Jun, Bioorg. Med. Chem. Lett. 2014, 24, 5727. c) K. Damodar, J. -G. Jun, Bull. Korean Chem. Soc. 2014, 35, 3618.
a) W. V. Brown, B. P. Moore, Aust. J. Chem. 1982, 35, 1255. B) A. B. Attygalle, S.- C. Xu, K. D. McCormick, J. Meinwald, C. L. Blankespoor, T. Eisner, Tetrahedron 1993, 49, 9333.
Gundeti Shankaraiah et al.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Pinidinone. Helvetica Chimica Acta. May 2013, Vol 96, Issue 5, pp. 990-996 *
J. C. Gonzalez-Gomez, M. Medjahdi, F. Foubelo, M. Yus, J. Org. Chem. 2010, 75, 6308.
J. N. Tawara, A. Blokhin, T. A. Foderaro, F. R. Stermitz, H. Hope, J. Org. Chem. 1993, 58, 4813.
K. Jones, K. -C. Woo, Tetrahedron 1991, 47, 7179.
Q. Zhang, Y. Wu, Tetrahedron 2007, 63, 10189.
S. Fustero, C. Baez, M. Sanchez-Rosello, A. Asensio, J. Miro, C. del Pozo, Synthesis 2012, 44, 1863.
U. V. Desai, D. M. Pore, B. V. Tamhankar, S. A. Jadhav, P. P. Wadgaonkar, Tetrahedron Lett. 2006, 47, 855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uan et al. The synthesis of chiral β-aryl-α, β-unsaturated amino alcohols via a Pd-catalyzed asymmetric allylic amination
JP2019504041A (ja) キラルスピロビインダン骨格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5399722A (en) Process for preparing tert-butyl (3R,5S)-6-hydroxy-3,5--O--isopropylidene-3,5-dihydroxyhexanoate
EP0538080A1 (fr) Dérivés de l&#39;aminométhyl-4 pipéridine, leur pré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érapeutique
CA2994830A1 (en) Stereospecific process for 3-heterocyclylcycloaliphatic-1,2-diols
KR101130818B1 (ko) 이작용성 비스 신코나 알칼로이드 티오우레아 유기 키랄 촉매 화합물을 이용한 아즈락톤으로부터의 키랄 아미노산 제조방법
KR101702870B1 (ko) (-)-피니디논 합성방법
Enders et al. First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dendrobatid alkaloids indolizidine (-)-209I and (-)-223J
Damodar et al. An expeditious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pinidinone from ethyl acetoacetate
KR20190103933A (ko) 입체 선택성이 우수한 이 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나이트로 화합물로부터의 비천연 감마-아미노산의 제조 방법
JPWO2005085204A1 (ja) 含窒素5員環化合物の製造方法
Mandai et al. An Efficient Petasis Boronic–Mannich Reaction of Chiral Lactol Derivatives Prepared from D-Araboascorbic Acid
EP1153023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aroxetine
Shankaraiah et al.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Pinidinone
Mujahid et al. A new and efficient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both enantiomers of the calcium channel blocker bepridil
JP2008007457A (ja) β−ヒドロキシカルボニル化合物の後処理方法
Wang et al. A Flexible Common Approach to α‐Substituted Serines and Alanines: Diastereoconvergent Syntheses of Sphingofungins E and F
Komatsu et al. Aminohydroxyacetone synthons: versatile intermediates for the organocatalytic asymmetric aldol reaction
Koyata et al. Convenient preparation of optically active cibenzoline and analogues from 3, 3-diaryl-2-propen-1-ols
Kamimura et al. Total synthesis of ent-calystegine B4 via nitro-Michael/aldol reaction
Shao et al. College of Chemistry and Molecular Engineering, Zhengzhou University, No. 75, Daxue Road, Zhengzhou City, Henan Province 450052, PR China
US6593489B1 (en) Substituted cyclopentene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for chiral scaffolds
Breuning et al. Convenient multigram synthesis of (R)-homopipecolic acid methyl ester
Miao et al. Enantiopure inherently chiral calix [4] arene derivatives containing quinolin-2-yl-methanol moiety: Synthesis and application in the catalytic asymmetric addition of diethylzinc to benzaldehyde
JP6906227B2 (ja) ハロゲン結合ドナー/有機塩基複合型化合物及び酸塩基複合触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