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766B1 - 병충해 진단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병충해 진단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766B1
KR101702766B1 KR1020150115301A KR20150115301A KR101702766B1 KR 101702766 B1 KR101702766 B1 KR 101702766B1 KR 1020150115301 A KR1020150115301 A KR 1020150115301A KR 20150115301 A KR20150115301 A KR 20150115301A KR 101702766 B1 KR101702766 B1 KR 101702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image
information
pest control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우
최윤성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5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병충해 진단 방법은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구축된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병충해 정보 서버에서, 카메라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작물에 대한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병충해 정보 서버에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병충해 정보 서버에서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병충해 진단 방법 및 시스템{BLIGHT DIAGNOSIS METHOD AND SYSTEM}
아래의 실시예들은 병충해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는 병충해 진단 기술이다.
종래의 병충해 진단 기술은 항공기와 같은 대형 장비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병충해 관찰포를 설치함으로써, 작물의 병충해를 진단한다.
따라서, 종래의 병충해 진단 기술은 작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병충해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대형 장비를 이용하거나 병충해 관찰포를 설치하는데 추가적인 비용이 부담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병충해 진단 기술은 외국으로부터 유입되는 신규 병충해에 대해 원활하게 대응할 수 없는 한계가 있고, 기상 변화에 따른 병충해를 지역적으로 집계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장비를 운용하는데 소모되는 비용없이 작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병충해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고, 신규 병충해에 대해 재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며, 기상 변화에 따른 병충해를 지역적으로 집계하기 수월한 병충해 진단 기술을 제안한다.
일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는 병충해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들은 병충해 정보 서버에서 이미지-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생성됨-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함으로써,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병충해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일실시예들은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병충해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병충해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일실시예들은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이용하는 병충해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병충해 진단 방법은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구축된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병충해 정보 서버에서, 카메라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작물에 대한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병충해 정보 서버에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병충해 정보 서버에서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병충해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미지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이미지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병충해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미지가 분석되어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병충해 진단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병충해 정보 서버는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구축된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병충해 정보 서버는 카메라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작물에 대한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상기 병충해 정보 서버는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병충해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병충해 정보 서버는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미지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이미지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며, 상기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병충해 정보 서버는 상기 이미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병충해 진단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병충해 정보 서버는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구축된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병충해 정보 서버는 사용자 카메라 단말 및 상기 병충해 정보 서버와 연결되도록 통신 모듈이 탑재되는 사용자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카메라 단말에 의해 생성된 작물에 대한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로 제공한다.
일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는 병충해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들은 병충해 정보 서버에서 이미지-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생성됨-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함으로써,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병충해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들은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병충해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병충해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들은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이용하는 병충해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일실시예들은 추가적인 장비를 운용하는데 소모되는 비용없이 작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병충해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고, 신규 병충해에 대해 재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며, 기상 변화에 따른 병충해를 지역적으로 집계하기 수월한 병충해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병충해 진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병충해 진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병충해 정보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병충해 진단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병충해 진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병충해 진단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0), 병충해 정보 서버(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10)은 카메라(111)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로 카메라(111) 및 통신 모듈을 동시에 포함하는 단말이 이용되는 대신에, 카메라를 포함하는 단말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과 같이 두 개의 단말들이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병충해 진단을 위하여, 작물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어, 카메라(111)를 이용하여 작물을 촬영함으로써, 작물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은 후술되는 병충해 정보 서버(120)와 통신 모듈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구축된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병충해 정보 서버(120) 역시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함). 따라서,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병충해 진단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에서 생성된 작물에 대한 이미지 및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가 병충해 정보 서버(120)로 전송됨에 따라,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는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이 각각의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과 비교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한 판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한 판독을 위한, 추가적인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과 비교된다는 것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가 판독된 이미지 정보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들과 비교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는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들이 각각의 방역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 중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와 관련된 이미지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을 비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 중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와 관련된 이미지(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와 같은 계절 또는 같은 월에 생성되는 이미지)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을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에서 작물에 대한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함께 수신되거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가 병충해 정보 서버(120)에 의해 판독되는 과정에서 분석되어 추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만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를 더 이용함으로써,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이미지를 분류한 후(예컨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단말(110)과 인접한 위치의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들 사이의 유사점 또는 차이점 등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분류함), 분류된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의 이미지들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이미지들 사이의 공통점을 비교함으로써, 지역적(이미지들 각각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들의 위치에 따른 지역)으로 기준값 보다 높은 상관도의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되는 경우에만, 해당 이미지를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국적으로 기준값 보다 높은 상관도의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되는 경우에만, 해당 이미지를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즉,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의 이미지들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그룹화한 후, 그룹 별로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적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그룹 별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빅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10)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수신되는 이미지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임의로 추출되어 수신되는 모든 이미지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은 병충해에 대한 이미지를 판독하거나, 현장 방문을 통해 병충해임을 판단하는 병충해에 대한 전문가들에 의해 운용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병충해 정보 서버(120)가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는다는 것은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을 운용하는 전문가들이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로 직접 방문하여 현장 조사를 하거나, 이미지에 대해 전문가들의 심층 조사를 거친 후, 조사 결과에 따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병충해 정보 서버(120)로 보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은 병충해 정보 서버(120)와 구별되는 독립 서버로 구비되거나, 병충해 정보 서버(120)에 내재되는 서버로 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가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무조건적으로 전달되는 대신에,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이 수행한 결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병충해 정보 서버(120)에 포함되는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는 지역적으로 집계된 병충해와 관련된 정보인 병충해 지도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 병충해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병충해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병충해 지도 정보의 지역들 중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에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업데이트되는 병충해 지도 정보는 다음 번 병충해 진단 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상술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병충해 지도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병충해 정보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저장하여 유지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병충해 진단 서비스를 제공받았음을 나타내는 이력을 저장/유지할 수도 있다.
병충해 정보 서버(120)에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한다는 것은 사용자 단말(110)로 하여금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병충해 진단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병충해 정보 서버(120)에 포함되는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함으로써, 추가적인 장비를 운용하는데 소모되는 비용없이 작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병충해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고, 신규 병충해에 대해 재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병충해 진단 시스템은 추출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병충해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기상 변화에 따른 병충해를 지역적으로 집계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병충해 진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병충해 진단 시스템은 사용자 카메라 단말(210), 사용자 통신 단말(220) 및 병충해 정보 서버(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카메라 단말(210)은 카메라가 구비된 단말로서,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되는 스마트 카메라 등의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 통신 단말(220)은 사용자 카메라 단말(210)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고, 후술되는 병충해 정보 서버(230)와 연결되는 단말로서, 근거리 통신 및 원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이 탑재되어 있는 단말(카메라는 구비되지 않은 단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카메라 단말(210) 및 사용자 통신 단말(220)은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고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 카메라 단말(210)은 병충해 진단을 위하여, 작물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생성된 이미지를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카메라 단말(210)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어, 카메라를 이용하여 작물을 촬영함으로써, 작물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생성된 이미지를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통신 단말(220)은 사용자 카메라 단말(210)로부터 수신되는 작물에 대한 이미지를 병충해 정보 서버(230)로 전달한다.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구축된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병충해 정보 서버(230) 역시 사용자 통신 단말(220)과 연결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함). 따라서,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 병충해 진단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카메라 단말(210)에서 생성된 작물에 대한 이미지가 사용자 통신 단말(220)을 통하여, 병충해 정보 서버(230)로 전달됨에 따라(사용자 통신 단말(220)의 위치 정보도 함께 전송됨),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통신 단말(22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는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이 각각의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과 비교하기 이전에,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한 판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한 판독을 위한, 추가적인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과 비교된다는 것은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가 판독된 이미지 정보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들과 비교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는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들이 각각의 방역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통신 단말(22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 중 사용자 통신 단말(220)의 위치 정보와 관련된 이미지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을 비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통신 단말(220)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사용자 카메라 단말(210)에서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를 의미함)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 중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와 관련된 이미지(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와 같은 계절 또는 같은 월에 생성되는 이미지)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을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카메라 단말(210)에서 작물에 대한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는 사용자 카메라 단말(210)에서 작물에 대한 이미지를 사용자 통신 단말(220)을 통하여 병충해 정보 서버(230)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함께 전달되거나,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가 병충해 정보 서버(230)에 의해 판독되는 과정에서 분석되어 추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만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통신 단말(220)의 위치 정보 및/또는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를 더 이용함으로써,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이미지를 분류한 후(예컨대,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통신 단말(220)과 인접한 위치의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들 사이의 유사점 또는 차이점 등을 비교하여,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분류함), 분류된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의 이미지들을 이미지들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이미지들 사이의 공통점을 비교함으로써, 지역적(이미지들 각각을 전송하는 사용자 통신 단말들의 위치에 따른 지역)으로 기준값 보다 높은 상관도의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되는 경우에만, 해당 이미지를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국적으로 기준값 보다 높은 상관도의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되는 경우에만, 해당 이미지를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즉,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의 이미지들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그룹화한 후, 그룹 별로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적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그룹 별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빅데이터는 사용자 통신 단말(220)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통신 단말들로부터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수신되는 이미지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사용자 통신 단말들로부터 임의로 추출되어 수신되는 모든 이미지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은 병충해에 대한 이미지를 판독하거나, 현장 방문을 통해 병충해임을 판단하는 병충해에 대한 전문가들에 의해 운용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병충해 정보 서버(230)가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는다는 것은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을 운용하는 전문가들이 사용자 통신 단말(220)의 위치로 직접 방문하여 현장 조사를 하거나, 이미지에 대해 전문가들의 심층 조사를 거친 후, 조사 결과에 따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병충해 정보 서버(230)로 보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은 병충해 정보 서버(230)와 구별되는 독립 서버로 구비되거나, 병충해 정보 서버(230)에 내재되는 서버로 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가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무조건적으로 전달되는 대신에,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이 수행한 결과,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병충해 정보 서버(230)에 포함되는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는 지역적으로 집계된 병충해와 관련된 정보인 병충해 지도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 병충해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통신 단말(22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병충해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통신 단말(22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병충해 지도 정보의 지역들 중 사용자 통신 단말(22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에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업데이트되는 병충해 지도 정보는 다음 번 병충해 진단 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상술한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통신 단말(22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병충해 지도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병충해 정보 서버(230)는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통신 단말(220)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저장하여 유지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통신 단말(220)의 사용자가 병충해 진단 서비스를 제공받았음을 나타내는 이력을 저장/유지할 수도 있다.
병충해 정보 서버(230)에서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 제공한다는 것은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 하여금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통신 단말(22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 통신 단말(220)의 사용자는 사용자 통신 단말(22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병충해 진단 시스템은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통신 단말(22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병충해 정보 서버(230)에 포함되는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 제공함으로써, 추가적인 장비를 운용하는데 소모되는 비용없이 작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병충해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고, 신규 병충해에 대해 재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병충해 진단 시스템은 추출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통신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통신 단말(22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병충해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기상 변화에 따른 병충해를 지역적으로 집계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병충해 정보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병충해 정보 서버(300)는 통신 모듈(310), 병충해 데이터베이스(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310)은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도록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이하, 사용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 사용자 카메라 단말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통신 단말과 같이 두 개의 단말들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통신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 사용자 카메라 단말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통신 단말과 같이 두 개의 단말들로 구성되는 경우, 통신 모듈(310)은 사용자 통신 단말과 연결되도록 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병충해 데이터베이스(320)에는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병충해 데이터베이스(320)에는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들이 각각의 방역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거나,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이 각각의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병충해 데이터베이스(320)에는 지역적으로 집계된 병충해와 관련된 정보인 병충해 지도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병충해 지도 정보는 병충해 데이터베이스(320)와 구별되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예컨대, 병충해 지도 데이터베이스)로 운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330)는 통신 모듈(31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병충해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한 후(예컨대,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을 비교하거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가 판독된 이미지 정보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들을 비교함으로써,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함), 추출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통신 모듈(31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병충해 정보 서버(300)에 더 포함되는 이미지 판독부(340)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한 판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330)는 병충해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또는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를 더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32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병충해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 병충해 정보 서버(300)에 더 포함되는 빅데이터 분석부(350) 및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360)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이미지를 분류한 후, 분류된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360)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360)으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30)는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360)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병충해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의 이미지들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부(350)를 이용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한 후, 이미지들 사이의 공통점을 비교함으로써, 지역적(이미지들 각각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들의 위치에 따른 지역)으로 기준값 보다 높은 상관도의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되는 경우에만, 해당 이미지를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360)으로 전달하여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국적으로 기준값 보다 높은 상관도의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되는 경우에만, 해당 이미지를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360)으로 전달하여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즉, 제어부(330)는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360)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병충해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의 이미지들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부(350)를 통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그룹화한 후, 그룹 별로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360)으로 전달함으로써, 그룹 별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 때, 빅데이터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수신되는 이미지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사용자 통신 단말들로부터 임의로 추출되어 수신되는 모든 이미지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360)이 병충해 정보 서버(300)에 내재되는 서버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병충해에 대한 이미지를 판독하거나, 현장 방문을 통해 병충해임을 판단하는 병충해에 대한 전문가들에 의해 운용되는 서버로, 병충해 정보 서버(300)와 구별되는 별도의 독립 서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병충해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병충해 지도 정보의 지역들 중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병충해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병충해 정보 서버(300)는 병충해 진단에 실패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진단 실패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병충해 정보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저장하여 유지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30)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병충해 진단 서비스를 제공받았음을 나타내는 이력을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80)에 저장/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병충해 진단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병충해 진단 시스템에서 카메라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은 작물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한다(410). 여기서, 사용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 사용자 카메라 단말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통신 단말과 같이 두 개의 단말들로 구성되는 경우, 410 단계는 사용자 카메라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예컨대, 사용자 카메라 단말이 작물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함).
이에,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구축된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병충해 정보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420). 이하, 사용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 사용자 카메라 단말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통신 단말과 같이 두 개의 단말들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통신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20 단계는 병충해 정보 서버가 사용자 카메라 단말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사용자 통신 단말을 통하여 전달받고, 사용자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병충해 정보 서버에 포함되는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는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들이 각각의 방역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거나,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이 각각의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는 지역적으로 집계된 병충해와 관련된 정보인 병충해 지도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다.
그 다음, 병충해 정보 서버는 병충해 정보 서버에서 이미지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한다(430).
구체적으로, 병충해 정보 서버는 43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의 이미지들을 비교하거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가 판독된 이미지 정보와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들을 비교함으로써,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특히, 병충해 정보 서버는 43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또는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에 더 기초하여,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거나, 병충해 정보 서버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가 분석되어 추출될 수 있다.
또한, 병충해 정보 서버는 430 단계에서,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병충해 지도 정보의 지역들 중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병충해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만약,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병충해 정보 서버는 이미지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이미지를 분류한 후, 분류된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전달함으로써,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병충해 정보 서버는 이와 같이 제공받은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기초로, 이미지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병충해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 후, 병충해 정보 서버는 병충해 정보 서버에서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440). 예를 들어, 병충해 정보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구축된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병충해 정보 서버에서, 카메라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작물에 대한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병충해 정보 서버에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병충해 정보 서버에서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미지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이미지와 다른 이미지들-상기 다른 이미지들은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들임- 사이의 공통점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이미지와 상기 다른 이미지들 사이의 상관도가 기준값 보다 높은 경우, 상기 이미지와 상기 다른 이미지들이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미지와 상기 다른 이미지들이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된 경우, 상기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병충해 진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병충해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병충해 진단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병충해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병충해 진단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병충해 진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미지가 분석되어 추출되는, 병충해 진단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병충해 진단 방법.
  8. 병충해 진단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병충해 정보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구축된 병충해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병충해 정보 서버는
    카메라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작물에 대한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미지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이미지와 다른 이미지들-상기 다른 이미지들은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들임- 사이의 공통점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이미지와 상기 다른 이미지들 사이의 상관도가 기준값 보다 높은 경우, 상기 이미지와 상기 다른 이미지들이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미지와 상기 다른 이미지들이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된 경우, 상기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상기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는, 병충해 정보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병충해 정보 서버는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병충해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병충해 정보 서버.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병충해 정보 서버는
    상기 이미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미지가 생성된 일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병충해 정보 서버.
  12. 병충해 진단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병충해 정보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작물들에 대한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구축된 병충해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병충해 정보 서버는
    사용자 카메라 단말 및 상기 병충해 정보 서버와 연결되도록 통신 모듈이 탑재되는 사용자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카메라 단말에 의해 생성된 작물에 대한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미지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이미지와 다른 이미지들-상기 다른 이미지들은 상기 병충해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들임- 사이의 공통점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이미지와 상기 다른 이미지들 사이의 상관도가 기준값 보다 높은 경우, 상기 이미지와 상기 다른 이미지들이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미지와 상기 다른 이미지들이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된 경우, 상기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상기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병충해 정보 및 방역 정보를 제공받는, 병충해 정보 서버.
KR1020150115301A 2015-08-17 2015-08-17 병충해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101702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301A KR101702766B1 (ko) 2015-08-17 2015-08-17 병충해 진단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301A KR101702766B1 (ko) 2015-08-17 2015-08-17 병충해 진단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766B1 true KR101702766B1 (ko) 2017-02-03

Family

ID=5815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301A KR101702766B1 (ko) 2015-08-17 2015-08-17 병충해 진단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76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056B1 (ko) * 2017-07-05 2018-02-19 (주)이지팜 딥러닝 기반의 병해 진단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2035814B1 (ko) * 2019-01-07 2019-10-23 조정윤 잔디 관리 중개 서버 및 이에 의한 잔디 관리 중개 방법
CN110415133A (zh) * 2019-07-30 2019-11-05 四川大学 一种智慧农业医生管理系统及方法
KR20200068052A (ko) * 2018-11-26 2020-06-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병해충 진단 및 방제 방법
KR20210028966A (ko) 2019-09-05 2021-03-1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작물 이미지의 병해충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210088835A (ko) * 2020-01-07 2021-07-15 배철민 작물의 병충해 진단 및 치료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1581A (ko) * 2020-11-24 2022-05-31 손정혁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농작물의 단계별 장애요인 확인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7624A (ko) * 2006-12-20 2008-06-25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무선 단말 장치를 이용한 방제현장 관제시스템
KR20110067791A (ko) * 2009-12-15 2011-06-2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작물의 병해충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31955A (ko) * 2011-06-08 2014-03-1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원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위치 특정 이미지들의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7624A (ko) * 2006-12-20 2008-06-25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무선 단말 장치를 이용한 방제현장 관제시스템
KR20110067791A (ko) * 2009-12-15 2011-06-2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작물의 병해충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31955A (ko) * 2011-06-08 2014-03-1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원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위치 특정 이미지들의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농진청, 국가 농작물병해충 관리시스템 구축 가동’, 네이버 블로그(2011.01.20. 게재)* *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056B1 (ko) * 2017-07-05 2018-02-19 (주)이지팜 딥러닝 기반의 병해 진단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20200068052A (ko) * 2018-11-26 2020-06-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병해충 진단 및 방제 방법
KR102226157B1 (ko) * 2018-11-26 2021-03-10 대한민국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병해충 진단 및 방제 방법
KR102035814B1 (ko) * 2019-01-07 2019-10-23 조정윤 잔디 관리 중개 서버 및 이에 의한 잔디 관리 중개 방법
CN110415133A (zh) * 2019-07-30 2019-11-05 四川大学 一种智慧农业医生管理系统及方法
KR20210028966A (ko) 2019-09-05 2021-03-1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작물 이미지의 병해충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210088835A (ko) * 2020-01-07 2021-07-15 배철민 작물의 병충해 진단 및 치료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
KR102401393B1 (ko) * 2020-01-07 2022-05-23 배철민 작물의 병충해 진단 및 치료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1581A (ko) * 2020-11-24 2022-05-31 손정혁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농작물의 단계별 장애요인 확인시스템
KR102543893B1 (ko) * 2020-11-24 2023-06-20 손정혁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농작물의 단계별 장애요인 확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766B1 (ko) 병충해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101822404B1 (ko) Dnn 학습을 이용한 세포이상 여부 진단시스템
Picon et al.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mobile capture device-based crop disease classification in the wild
WO2018198319A1 (ja) ウェアラブル端末表示システム、ウェアラブル端末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98259B1 (ko)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산림병해충 의심목 선별 시스템
CN112823229B (zh) 诊断辅助系统及其方法
KR101984047B1 (ko)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작물 생육 진단 방법 및 장치
US11250951B2 (en) Feature engineer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1303154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KR101986418B1 (ko) 병해충 검색을 위한 통합 시스템
US1122768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electronic images for health monitoring and forecasting
KR20200031884A (ko) 병충해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323228B1 (ko) 드론을 이용하는 구조물 안전점검 유지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3099171A (zh) 分发服务器、方法和记录介质
KR20210088835A (ko) 작물의 병충해 진단 및 치료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
Wallhead et al. A workflow for extracting plot-level biophysical indicators from aerially acquired multispectral imagery
WO2021132276A1 (ja) 農業支援システム
KR102496834B1 (ko) 정신 질환 진단 프로토콜 자동 탐색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방법
CN114417047A (zh) 一种政务信息资源普查方法、系统以及存储介质
Mirka et al. Evaluation of thermal infrared imaging from uninhabited aerial vehicles for arboreal wildlife surveillance
JP7415848B2 (ja) 装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412498A (zh) 自动移动田地勘察传感器数据和图像分类设备
Kalinzi Using Multispectral Drone Imaging and Machine Learning to Monitor Soybean Cyst Nematodes
Di Lorenzo et al. A web-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onitoring wildlife diseases in Abruzzo and Molise regions, Southern Italy
JP2019216695A (ja) 植物病原性糸状菌による空気伝染性病害の発生時期を予測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