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761B1 - 냉온풍가습장치를 이용한 실내공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온풍가습장치를 이용한 실내공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761B1
KR101702761B1 KR1020150101124A KR20150101124A KR101702761B1 KR 101702761 B1 KR101702761 B1 KR 101702761B1 KR 1020150101124 A KR1020150101124 A KR 1020150101124A KR 20150101124 A KR20150101124 A KR 20150101124A KR 101702761 B1 KR101702761 B1 KR 101702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temperature
indoor space
hot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307A (ko
Inventor
이관형
Original Assignee
이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형 filed Critical 이관형
Priority to KR102015010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7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24F11/0012
    • F24F11/0015
    • F24F11/05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온풍가습장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부를 포함하고, 서버를 포함하는 실내공간을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실내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상기 냉온풍가습장치는 송신부, 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공간의 온도와 습도 정보를,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상기 온도와 습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수신하고, 상기 냉온풍가습장치의 작동정보를,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냉온풍가습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부로 발신하는 발신단계 및 상기 수신부가 수신받은 정보에 따라 상기 냉온풍가습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실내공간 제어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는 전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방식을 이용하므로,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이는 직접적으로 전력요금을 줄일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별도의 보일러실이 불필요하고, 전기 배선만 마련되면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크기가 작아 공간사용 측면에서 유리하며,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필요에 따라 냉방, 가습기능도 사용할 수 있어, 하나의 장치로 실내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단말기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또는 무선으로 실내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어 결로방지에도 유리하다.

Description

냉온풍가습장치를 이용한 실내공간 제어방법{Interior space control methods by Cold-hot-air and humid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냉온풍가습장치, 실내공간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온풍가습장치를 포함하는 실내공간을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풍기는 공기 온도를 인위적으로 상승시켜서 동절기에 상온이 유지 되도록 한 것으로, 그 원리는 여러 가지 종류의 열원에 의해 고온의 열이 주변 공기로 전도되면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승온된 공기를 실내로 확산시킴으로써 난방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온풍기의 열원은 기름, 가스, 화목, 전기 히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기름을 이용한 온풍기는 기름이 고가여서 경제적인 부담이 클 뿐 아니라, 기름 구입처가 주유소 등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기름을 구입하는 것이 대단히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가스를 이용한 온풍기는 기름 온풍기에 비하여 경제적 부담이 덜 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가스통을 사용하는 온풍기의 경우 가스 소모시 가스통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도시가스가 공급 되지 않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화목을 이용한 온풍기는 열원인 화목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과 연소 후 발생한 재를 처리하는 것 등의 취급이 번거롭고 어려울 뿐 아니라,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해 대기 오염을 유발한다는 단점이 있다.
전기를 이용한 온풍기는 열원의 가격이 타 열원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어디서나 쉽게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과 취급이 용이하며 대기오염원 발생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온풍기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발열부는 코일 형태로 된 열선에 전기를 인가하여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발열부는 열 효율이 좋지 않기 때문에 전력소비량이 과다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발열부의 전기적 저항을 이용하여 생기는 열을 팬을 통해 송풍하는 것으로서, 열효율이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기유도를 이용하여 높은 효율로 온풍이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439490호(2014.9.12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를 이용하는 냉온풍가습장치로서, 전자기유도 코일을 이용한 가열방식을 도입하여 높은 에너지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냉온풍가습장치를 제공하고, 이를 포함하는 실내공간을 단말기를 통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장치는, 물이 담기고, 물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공급구와 연결되고, 상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챔버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챔버 내부의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고, 상기 챔버 내부에 발생한 기포를 제거하는 초음파진동발생기, 원형관에 전선이 권선되어 형성된 유도코일로 이루어진 가열기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주파 유도가열기, 상기 유도코일을 형성하는 전선에 전류를 흘려,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기로 전력을 전달하는 고주파 발진기, 상기 챔버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유입구와 상기 챔버 내부로 물이 빠져나가는 유출구를 연결하는 순환배관, 상기 순환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순환배관을 흐르는 물의 수압을 높여주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순환배관을 흐르는 물의 열이 발산되는 라디에이터 및 상기 라디에이터 앞에 위치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팬의 후류를 이용하여 상기 라디에이터로부터 발산하는 열을 외부로 송풍하는 냉온풍장치로서, 상기 챔버의 일측면에는, 상기 챔버 내부를 향해 형성된 만입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기는 각각 상기 만입부에 투입되며, 상기 고주파 가열기를 통해 상기 만입부가 가열되고, 상기 가열된 만입부를 통해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장치는, 상기 공급부는 수통인 것으로, 수통을 통해 상기 챔버로 물이 공급되고, 챔버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장치는, 상기 공급부는 수도관인 것으로, 수도관을 통해 상기 챔버로 물이 공급되고, 챔버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장치는, 상기 냉온풍장치의 작동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냉온풍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로부터 받은 제어신호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 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온풍장치를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상기 냉온풍장치의 작동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단계, 상기 수신부가 상기 냉온풍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따라 상기 냉온풍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냉온풍장치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송신부는 상기 냉온풍장치의 전원 작동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냉온풍장치의 전원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냉온풍장치의 전원을 켜거나 끄도록 제어하는 냉온풍장치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에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설정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현재온도가 상기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냉온풍장치의 온풍출력을 높이는 냉온풍장치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에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설정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현재온도가 상기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온풍장치의 냉풍출력을 높이는 냉온풍장치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에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설정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현재온도가 상기 설정온도와 같은 경우 상기 냉온풍장치의 전원을 끄는 냉온풍장치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에 특정시간에 대한 설정온도, 설정습도 또는 전원 작동정보를 예약하여 입력하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예약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시간이 되면 상기 예약된 정보에 따라 상기 냉온풍가습장치를 조절하는 냉온풍가습장치 제어방법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가습장치는, 물이 담기고, 물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공급구와 연결되고, 상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챔버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챔버 내부의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고, 상기 챔버 내부에 발생한 기포를 제거하는 초음파진동발생기, 원형관에 전선이 권선되어 형성된 유도코일로 이루어진 가열기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주파 유도가열기, 상기 유도코일을 형성하는 전선에 전류를 흘려,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기로 전력을 전달하는 고주파 발진기, 상기 챔버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유입구와 상기 챔버 내부로 물이 빠져나가는 유출구를 연결하는 순환배관, 상기 순환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순환배관을 흐르는 물의 수압을 높여주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순환배관을 흐르는 물의 열이 발산되는 라디에이터 및 상기 라디에이터 앞에 위치하는 팬,
상기 챔버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챔버 내부의 물분자를 초음파로 진동시켜 분무를 생성하는 초음파진동자, 상기 초음파진동자로부터 생성된 분무가 이동하는 관으로서, 상기 챔버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분무관, 상기 분무관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분무관을 통해 이동한 분무가 외부로 분사되는 분무노즐, 상기 냉온풍가습장치의 작동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냉온풍가습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로부터 받은 제어신호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팬의 후류를 이용하여 상기 라디에이터로부터 발산하는 열을 외부로 송풍하는냉온풍가습장치로서, 상기 챔버의 일측면에는, 상기 챔버 내부를 향해 형성된 만입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기는 각각 상기 만입부에 투입되며, 상기 고주파 가열기를 통해 상기 만입부가 가열되고, 상기 가열된 만입부를 통해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가습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장치는, 상기 공급부는 수통인 것으로, 수통을 통해 상기 챔버로 물이 공급되고, 챔버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가습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장치는, 상기 공급부는 수도관인 것으로, 수도관을 통해 상기 챔버로 물이 공급되고, 챔버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가습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 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온풍가습장치를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상기 냉온풍가습장치의 작동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단계, 상기 수신부가 상기 냉온풍가습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따라 상기 냉온풍가습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냉온풍가습장치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송신부는 상기 냉온풍장치의 전원 작동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냉온풍장치의 전원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냉온풍장치의 전원을 켜거나 끄도록 제어하는 냉온풍가습장치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에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설정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현재온도가 상기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냉온풍가습장치의 온풍출력을 높이는 냉온풍가습장치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에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설정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현재온도가 상기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온풍가습장치의 냉풍출력을 높이는 냉온풍가습장치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에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설정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현재온도가 상기 설정온도와 같은 경우 상기 냉온풍가습장치의 전원을 끄는 냉온풍가습장치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에 설정습도를 입력하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설정습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습도와 현재습도를 비교하여, 현재습도가 상기 설정습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냉온풍가습장치의 분무출력을 높이는 냉온풍가습장치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에 특정시간에 대한 설정온도 또는 전원 작동정보를 예약하여 입력하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예약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시간이 되면 상기 예약된 정보에 따라 상기 냉온풍장치를 조절하는 냉온풍장치 제어방법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온풍가습장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부를 포함하고, 서버를 포함하는 실내공간을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실내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상기 냉온풍가습장치는 송신부, 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공간의 온도와 습도 정보를,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상기 온도와 습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수신하고, 상기 냉온풍가습장치의 작동정보를,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냉온풍가습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부로 발신하는 발신단계 및 상기 수신부가 수신받은 정보에 따라 상기 냉온풍가습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실내공간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감지부는 상기 실내공간에 대해 높이에 따라 평면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측정된 온도와 습도 정보를 서버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에 수신된 정보는, 상기 실내공간의 위치에 따른 온도와 습도 정보를 입체적으로 나타내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두 개 이상의 냉온풍가습장치는 상기 실내공간의 지면에 가깝게 설치된 것과 상기 실내공간의 지면에서 높이 설치된 것이 있고,
상기 입체적으로 나타내어 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실내공간의 높이에 따라 온도와 습도를 다르게 조절하는 실내공간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두 개 이상의 냉온풍가습장치는 상기 실내공간의 지면에 가깝게 설치된 것과 상기 실내공간의 지면에서 높이 설치된 것이 있고, 상기 단말기를 통해 설정온도가 입력되면, 상기 지면에 가깝게 설치된 냉온풍가습장치는 상기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온풍을 출력하고, 상기 지면에서 높이 설치된 냉온풍가습장치는 상기 설정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온풍을 출력하여, 온풍의 온도 차이로 인해 실내공기를 대류시켜, 실내공간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조절하는 실내공간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발신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특정 작물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작물에 대해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와 설정습도 정보가 상기 수신부로 발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냉온풍가습장치와 감지부는 각각 두 개 이상이고, 각각의 감지부는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냉온풍가습장치와 그룹지어지는 그룹지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공간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를 통해 실내공간의 설정온도가 입력되면, 상기 감지부가 측정한 현재온도를 서버를 통해 수신받고, 현재온도와 설정온도 차이가 큰 부분의 감지부와 그룹지어진 냉온풍가습장치의 온풍 또는 냉풍출력을 높이고, 현재온도와 설정온도 차이가 작은 부분의 감지부와 그룹지어진 냉온풍가습장치의 온풍 또는 냉풍출력을 낮추는 실내공간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를 통해 실내공간의 설정습도가 입력되면, 상기 감지부가 측정한 현재습도를 서버를 통해 수신받고, 현재습도와 설정습도 차이가 큰 부분의 감지부와 그룹지어진 냉온풍가습장치의 분무출력을 높이고, 현재습도와 설정습도 차이가 작은 부분의 감지부와 그룹지어진 냉온풍가습장치의 분무출력을 낮추는 실내공간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실내공간을 둘 이상의 가상의 구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구역에 속하는 상기 그룹지어진 냉온풍가습장치를 이용하여 구역별로 온도와 습도를 다르게 조절하는 실내공간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각의 구역마다 두 개 이상의 냉온풍가습장치가 있고, 상기 두 개 이상의 냉온풍가습장치에는 상기 실내공간의 지면에 가깝게 설치된 것과 상기 실내공간의 지면에서 높이 설치된 것이 있고,
상기 단말기를 통해 설정온도가 입력되면, 상기 지면에 가깝게 설치된 냉온풍가습장치는 상기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온풍을 출력하고, 상기 지면에서 높이 설치된 냉온풍가습장치는 상기 설정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온풍을 출력하여,
온풍의 온도 차이로 인해 실내공기를 대류시켜, 실내공간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조절하는 실내공간 제어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는 전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방식을 이용하므로,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이는 직접적으로 전력요금을 줄일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별도의 보일러실이 불필요하고, 전기 배선만 마련되면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크기가 작아 공간사용 측면에서 유리하며,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필요에 따라 냉방, 가습기능도 사용할 수 있어, 하나의 장치로 실내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단말기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또는 무선으로 실내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어 결로방지에도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가습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 제어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으로서, 비닐하우스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장치로서, 냉풍기능과 온풍기능이 가능한 냉온풍장치(100)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능과 냉풍기능을 차례로 설명한다.
챔버(110)에는 물이 담겨있고, 물은 열을 전달하는 열매체유의 역할을 한다. 고주파 유도가열기(180)로 인해 챔버(110)의 물은 데워지고 이는 순환배관(130)을 따라 순환하게 된다. 챔버(110)에는 만입부(114)가 형성된다. 만입부(114)는 고주파 유도가열기(18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으로, 챔버(110)의 일측면에서 형성되어 챔버(110)의 내부로 움푹 들어가있는 형상이다. 만입부(114)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수가 제한되지 않는다.
고주파 유도가열기(180)는 원통형상에 유도코일(181)이 나선형태로 감겨진 것으로, 챔버(110)의 만입부(114)로 투입 내지는 삽입된다. 고주파 발진기(190)에서 유도코일(181)로 전력이 전달되어, 유도코일(181)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고주파 유도가열기(180)를 감싸고 있는 만입부(114)가 가열된다. 고주파 발진기(190)는 유도코일(181)로 전력을 전달하는 전원역할을 한다. 고주파 발진기(190)는 필요에 따라 변압기를 구비하여 필요한 만큼 전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 유도가열기(180)를 감싸는 만입부(114)는 전자기로 인해 가열이 될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고주파 유도가열기(180)를 감싸는 만입부(114)가 가열되면 만입부(114)와 접하는 챔버(110) 내부의 물로 열이 이동하여, 물이 가열되어 온수가 발생한다. 만입부(114)는 고주파 유도가열기(18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열이 발생하는 부분이므로, 고주파 유도가열기(180)의 유도 코일을 보호하기 위해 유도코일(181)을 단열재로 피복하거나, 고주파 유도가열기(180)를 단열재로 마감처리할 수 있다. 고주파 유도가열기(180)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수가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고주파 유도가열기(180)는 챔버(110)의 만입부(114)로 투입되는 구성이므로, 만입부(114)의 개수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고주파 유도가열기(180)를 통해 만입부(114)가 가열되고, 챔버(110) 내부의 물이 순차적으로 가열되면, 챔버(110)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기포는 챔버(110) 내부의 만입부(114) 표면에 달라붙게 된다. 기포는 만입부(114) 표면에 붙어서, 만입부(114)로부터 물에 대한 열전도를 방해하게 되므로, 이를 적절히 제거해야 열효율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챔버(110) 내부에 초음파진동발생기(120)를 구비하여, 물을 진동시켜 기포를 털어내도록 해야한다. 초음파진동발생기(120)는 챔버(110) 내부의 물에 잠기기만 하면 어느 위치에 부착되더라도 무방하다.
챔버(110)의 물은 유출구(112)를 따라 챔버(110)에서 유출되고, 순환펌프(140), 라디에이터(150)를 지나 유입구(111)를 따라 챔버(110)로 되돌아오는 순환과정을 거친다. 순환펌프(140)는 챔버(110)에서 유출된 물이 다시 챔버(110)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압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챔버(110)에서 유출된 물은 라디에이터(150)를 지나며 열을 방출시키고 온도가 떨어진 상태로 챔버(110)로 되돌아온다.
라디에이터(150)는 물의 열발산을 최대화하기 위해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추가로 방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장치(100)는 팬(160)을 구비하여, 라디에이터(150)를 향해 송풍할 수 있다. 팬(160)으로부터 송풍된 유동은 라디에이터(150)를 지나며 온도가 올라 온풍이 되어 외부를 향해 나간다.
상술한 온풍기능에 따르면, 챔버(110) 속의 물은 냉온풍장치(100)의 폐쇄된 시스템 내부를 순환하는 것으로, 외부로 유출, 누출되는 것이 없다. 그러나 일정량의 미량은 감소할 수 있으므로, 물을 공급받는 것이 필요하다. 챔버(110)의 일측면에는 공급구(113)가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챔버(110) 내부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된다. 공급구(113)에는 공급부(170)가 연결되는데, 공급부(170)에는 수통(171)과 수도관(172)이 연결될 수 있다. 수통(171)은 그 내부를 수동으로 물을 채워주어야 하며, 수도관(172)은 호스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필요한 만큼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급구(113)에 연결된 공급부(170)는 챔버(110) 내부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물을 공급한다.
다음은 냉풍기능을 설명한다. 냉풍기능은 특별한 에너지원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외부의 온도보다 지하수의 온도가 낮은 경우 지하수를 챔버(110)로 공급받아 이를 라디에이터(150)를 통과시키고 팬(160)을 통해 송품함으로써 얻는 기능이다. 이는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냉풍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공급부(170)로는 수통(171)보다는 수도관(172)을 이용하여 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가습장치(200)가 나타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장치로서, 냉풍기능, 온풍기능 및 가습기능이 가능한 냉온풍가습장치(200)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능, 냉풍기능 및 가습기능을 차례로 설명한다. 습도에는 절대습도와 상대습도가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한 명시가 없으면, 상대습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며, 상대습도는 편의상 습도라고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능과 냉풍기능은 도 1에서 서술된 냉온풍장치(100)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 도 1에 나타난 냉온풍장치(100)의 구성과 기능을 유지하면서, 추가로 가습기능을 더 구비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가습장치(200)의 가습기능을 설명한다.
챔버(110) 내부에 초음파진동자가 마련된다. 초음파진동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 분자를 진동시킴으로써, 분무를 생성한다. 초음파 진동으로 분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초음파진동자가 수중에 잠겨있으면 안되므로, 챔버(110) 내부의 수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챔버(110) 내부의 수위는 공급부(170)를 통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초음파진동자의 위치를 이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다.
초음파진동자로부터 생성된 분무는 분무관을 따라 이용하고, 분무노즐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분무관은 챔버(110)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은 챔버(110)의 외부를 향해 개구되고, 타단은 초음파진동자를 향해 개구된다. 분무관은 챔버(11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분무가 이동하는 통로이다. 수면 부근에서 생성된 분무는 분무관을 따라 상승해서 분무노즐을 통해 빠져나간다.
도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장치(100)는 송신부, 수신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는 냉온풍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고, 수신부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신부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냉온풍장치(100)의 출력 및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외부의 기기를 통해 원격 내지는 무선으로 냉온풍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외부의 기기는 유선으로 컨트롤러일 수도 있고, 무선의 컨트롤러, 단말기 등일 수 있다. 특히, 외부의 기기가 휴대용 단말기인 경우, 냉온풍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냉온풍장치(100)와 연동될 수 있다.
냉온풍장치(100)의 제어장치가 단말기인 경우, 냉온풍장치(100)의 송신부를 통해 냉온풍장치(100)의 작동정보를 단말기로 전송받을 수 있다. 전송받은 정보는 기본적으로, 냉온풍장치(100)의 전원이 켜져있는지 꺼져있는지 여부이며, 이 경우, 단말기를 통해 냉온풍장치(100)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다. 나아가, 단말기에 시간정보를 입력하여, 냉온풍장치(100)의 전원을 예약하여 켜거나 끌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에 냉온풍장치(100)의 출력을 예약하여 지정할 수도 있다.
단말기를 통해 설정온도를 입력하여 냉온풍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냉온풍장치(100)의 수신부를 통해 설정온도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냉온풍장치(100)의 제어부는 현재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작동을 제어한다.
설정온도가 현재온도보다 높은 경우, 냉온풍장치(100)의 온수 온도를 높이도록 제어되거나, 팬(160)의 풍속이 높아지게 된다. 이로써, 냉온풍장치(100)로부터 송풍되는 온풍의 출력을 높일 수 있다.
설정온도가 현재온도보다 낮은 경우, 냉온풍장치(100)의 냉풍을 높이기 위해 팬(160)의 풍속이 높아지게 된다. 또는 냉온풍장치(100)의 가동을 멈출 수도 있다. 설정온도와 현재온도가 같은 경우, 미리 냉온풍장치(100)를 설정하기에 따라 온풍장치를 작동시키거나, 냉풍장치를 작동시키거나, 혹은 전원을 끌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감지부(300)는 상기 실내공간에 대해 높이에 따라 평면적으로 배치되고, 감지부(300)로부터 측정된 온도 정보를 서버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수신하고, 단말기에 수신된 정보는, 실내공간의 위치에 따른 온도 정보를 입체적으로 나타내어 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냉온풍장치(100)를 실내공간에 높이를 차이를 두어 배치하게 되면, 단말기로 수신한 입체적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통해 실내공간의 높이에 따라 온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가습장치(200)는 송신부, 수신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는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고, 수신부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신부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출력 및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외부의 기기를 통해 원격 내지는 무선으로 냉온풍가습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외부의 기기는 유선으로 컨트롤러일 수도 있고, 무선의 컨트롤러, 단말기 등일 수 있다. 특히, 외부의 기기가 휴대용 단말기인 경우, 냉온풍가습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냉온풍가습장치(200)와 연동될 수 있다.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제어장치가 단말기인 경우,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송신부를 통해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작동정보를 단말기로 전송받을 수 있다. 전송받은 정보는 기본적으로,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전원이 켜져있는지 꺼져있는지 여부이며, 이 경우, 단말기를 통해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다. 나아가, 단말기에 시간정보를 입력하여,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전원을 예약하여 켜거나 끌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에 냉온풍장치(100)의 출력을 예약하여 지정할 수도 있다.
단말기를 통해 설정온도를 입력하여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수신부를 통해 설정온도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제어부는 현재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작동을 제어한다.
설정온도가 현재온도보다 높은 경우,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온수 온도를 높이도록 제어되거나, 팬(160)의 풍속이 높아지게 된다. 이로써, 냉온풍가습장치(200)로부터 송풍되는 온풍의 출력을 높일 수 있다.
설정온도가 현재온도보다 낮은 경우, 냉온풍가습장치(200)의 냉풍을 높이기 위해 팬(160)의 풍속이 높아지게 된다. 또는 냉온풍가습장치(200)의 가동을 멈출 수도 있다. 설정온도와 현재온도가 같은 경우, 미리 냉온풍가습장치(200)를 설정하기에 따라 온풍장치를 작동시키거나, 냉풍장치를 작동시키거나, 혹은 전원을 끌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수신부를 통해 설정습도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제어부는 현재습도와 설정습도를 비교하여 작동을 제어한다.
설정습도가 현재습도보다 높은 경우,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초음파진동자의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여, 더 많은 분무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설정습도가 현재습도보다 낮은 경우 미리 냉온풍가습장치(200)를 설정하기에 따라 온풍장치를 작동시킴으로서, 습도를 낮추거나 전원을 끌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설정습도와 현재습도가 같은 경우, 미리 냉온풍가습장치(200)를 설정하기에 따라 온풍장치를 작동시키거나, 냉풍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초음파진동자를 작동시키거나 혹은 전원을 끌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가습장치(200)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실내공간이란, 냉방, 난방, 가습이 필요한 공간을 일컫는 말로서 사용한다. 실내공간의 예를 들면, 1) 시설하우스, 원예, 화훼, 버섯, 특수작물 등을 재배할 수 있는 농업시설과, 2) 체육시설을 갖추는 실내체육관과 3) 학교, 교회, 연수원, 기도원, 학원, 유치원 등과 같은 교육, 종교시설, 4) 콩나물, 숙주나물, 새싹과 같은 나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실내공간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열거한 실내공간은 예시적으로 나열한 것이고,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가습장치(200)의 활용은 냉방, 난방, 가습이 필요한 공간에 모두 적용가능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특정 실내공간의 온도,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실내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온풍가습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공간의 크기나 위치 조건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냉온풍가습장치(200)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으며, 개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온도, 습도 제어를 위해서 실내공간에는 감지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감지부(300)는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구성으로, 실내공간 곳곳에 배치되어 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정보를 얻는데 사용된다. 공간의 크기나 위치 조건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감지부(300)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으며, 개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내공간 제어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냉온풍가습장치(200)는 송신부, 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송신부는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고, 수신부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신부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출력 및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외부의 기기를 통해 원격 내지는 무선으로 냉온풍가습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외부의 기기는 유선으로 컨트롤러일 수도 있고, 무선의 컨트롤러, 단말기 등일 수 있다. 특히, 외부의 기기가 단말기인 경우, 냉온풍가습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냉온풍가습장치(200)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앞선 언급된 감지부(300)로부터 실내공간의 온도와 습도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받을 수 있다.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제어장치가 단말기인 경우,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송신부를 통해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작동정보를 단말기로 전송받을 수 있다. 전송받은 정보는 기본적으로,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전원이 켜져있는지 꺼져있는지 여부이며, 이 경우, 단말기를 통해 실내공간에 설치된 모든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다. 나아가, 단말기에 시간정보를 입력하여, 실내공간에 설치된 모든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전원을 예약하여 켜거나 끌 수도 있다.
단말기를 통해 설정온도를 입력하여 실내공간에 설치된 모든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수신부를 통해 설정온도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제어부는 현재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작동을 제어한다.
설정온도가 현재온도보다 높은 경우,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온수 온도를 높이도록 제어되거나, 팬(160)의 풍속이 높아지게 된다. 이로써, 냉온풍가습장치(200)로부터 송풍되는 온풍의 출력을 높일 수 있다.
설정온도가 현재온도보다 낮은 경우, 냉온풍가습장치(200)의 냉풍을 높이기 위해 팬(160)의 풍속이 높아지게 된다. 또는 냉온풍가습장치(200)의 가동을 멈출 수도 있다. 설정온도와 현재온도가 같은 경우, 미리 냉온풍가습장치(200)를 설정하기에 따라 온풍장치를 작동시키거나, 냉풍장치를 작동시키거나, 혹은 전원을 끌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수신부를 통해 설정습도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실내공간에 설치된 모든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제어부는 현재습도와 설정습도를 비교하여 작동을 제어한다.
설정습도가 현재습도보다 높은 경우,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초음파진동자의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여, 더 많은 분무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설정습도가 현재습도보다 낮은 경우 미리 냉온풍가습장치(200)를 설정하기에 따라 온풍장치를 작동시킴으로서, 습도를 낮추거나 전원을 끌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설정습도와 현재습도가 같은 경우, 미리 냉온풍가습장치(200)를 설정하기에 따라 온풍장치를 작동시키거나, 냉풍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초음파진동자를 작동시키거나 혹은 전원을 끌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실내공간에 복수개의 냉온풍가습장치(200)와 복수개의 감지부(300)가 배치된 경우, 특정 냉온풍가습장치(200)와 그 냉온풍가습장치(200)에 가깝게 배치된 감지부(300)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하나의 그룹에는 한개의 냉온풍가습장치(2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부(300)가 그룹으로 지정된다. 지정된 그룹을 통해 모든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출력제어를 일괄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그룹만을 지정하여 그룹별 제어를 할 수 있다. 실내공간의 모든 냉온풍가습장치(200)를 동시에 출력을 동일하게 조절하는 것에 비해, 그룹별 제어를 하게 되면, 실내공간의 국지적 부분에 대해 온도, 습도 조절이 가능하여, 에너지측면에서 효율적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단말기에는 단순히 실내공간 전체에 대한 온도,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실내공간의 입체적, 또는 평면적 이미지를 화면에 나타내고, 공간의 특정 구역마다 온도, 습도 정보를 수신하여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출력제어가 필요한 특정의 냉온풍가습장치(200)만 별도로 지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를 통해 실내공간의 설정온도, 설정습도를 입력하면, 실내공간의 각 국지적 부분에 해당하는 냉온풍가습장치(200)와 감지부(300)별로 출력이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이로서, 출력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게 되어, 실내공간을 에너지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실내공간을 제어하는 실시예로서, 실내공간이 농업시설 또는 재배시설인 경우,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작물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하게 되면,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 밖에 단말기에 날씨 정보를 입력하여, 날씨에 따른 온도정보와 습도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출력을 제어하는데 활용할 수도 있다.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이 활용됨으로써, 다양한 기능이 냉온풍가습장치(200)와 연동되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실내공간에 다수개의 냉온풍가습장치(200)를 설치하고, 냉온풍가습장치(200)는 실내공간의 지면에 가깝게 설치하는 것과 상기 실내공간의 지면에서 높이 설치하는 것을 이용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단말기를 통해 설정온도가 입력되면, 지면에 가깝게 설치된 냉온풍가습장치(200)는 설정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온풍을 출력하고, 지면에서 높이 설치된 냉온풍가습장치(200)는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온풍을 출력하여, 온풍의 온도 차이로 인해 실내공기를 대류시켜, 실내공간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를 통해 실내공간의 설정온도가 입력되면, 감지부(300)가 측정한 현재온도를 서버를 통해 수신받고, 현재온도와 설정온도 차이가 큰 부분의 감지부(300)와 그룹지어진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온풍 또는 냉풍출력을 높이고, 현재온도와 설정온도 차이가 작은 부분의 감지부(300)와 그룹지어진 냉온풍가습장치(200)의 온풍 또는 냉풍출력을 낮추도록 실내공간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를 통해 실내공간의 설정습도가 입력되면, 감지부(300)가 측정한 현재습도를 서버를 통해 수신받고, 현재습도와 설정습도 차이가 큰 부분의 감지부(300)와 그룹지어진 냉온풍가습장치(200)의 분무출력을 높이고, 현재습도와 설정습도 차이가 작은 부분의 감지부(300)와 그룹지어진 냉온풍가습장치(200)의 분무출력을 낮추도록 실내공간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감지부(300)는 상기 실내공간에 대해 높이에 따라 평면적으로 배치되고, 감지부(300)로부터 측정된 온도와 습도 정보를 서버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수신하고, 단말기에 수신된 정보는, 실내공간의 위치에 따른 온도와 습도 정보를 입체적으로 나타내어 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냉온풍가습장치(200)를 실내공간에 높이를 차이를 두어 배치하게 되면, 단말기로 수신한 입체적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통해 실내공간의 높이에 따라 온도와 습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는 실내공간에서 가상의 구역을 나누어 각각 온도 및 습도제어를 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 나타난 실내 공간은 삼각형이 그려진 가상의 구역과 원이 그려진 가상의 구역으로 나뉜다. 편의상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감지부(300)는 생략하였다.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실내공간을 둘 이상의 가상의 구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구역에 속하는 그룹지어진 냉온풍가습장치(200)를 이용하여 구역별로 온도와 습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구역마다 두 개 이상의 냉온풍가습장치(200)가 있고, 두 개 이상의 냉온풍가습장치(200)에는 실내공간의 지면에 가깝게 설치된 것과 실내공간의 지면에서 높이 설치된 것이 있고, 단말기를 통해 설정온도가 입력되면, 지면에 가깝게 설치된 냉온풍가습장치(200)는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온풍을 출력하고, 지면에서 높이 설치된 냉온풍가습장치(200)는 설정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온풍을 출력하여, 온풍의 온도 차이로 인해 실내공기를 대류시켜, 실내공간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제어방법이 실내공간이 비닐하우스 농업시설에 적용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앞서 언급된 제어방법을 이용하여, 하나의 비닐하우스 내에서 가상의 구역을 나누어 온도와 습도를 다르게 제어하여, 다른 종류의 작물 또는 곡물을 동시에 재배할 수 있다. 또한 구역별로 냉온풍가습장치(200)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대류를 이용하여 온도조절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냉온풍장치
110 : 챔버
111 : 유입구
112 : 유출구
113 : 공급구
114 : 만입부
120 : 초음파진동발생기
130 : 순환배관
140 : 순환펌프
150 : 라디에이터
160 : 팬
170 : 공급부
171 : 수통
172 : 수도관
180 : 고주파 유도가열기
181 : 유도코일
190 : 고주파 발진기
200 : 냉온풍가습장치
300 : 감지부

Claims (10)

  1.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냉온풍가습장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부를 포함하고, 서버를 포함하는 실내공간을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온풍가습장치는
    지하수가 공급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의 지하수를 가열하는 고주파 유도가열기와;
    상기 챔버 내부의 지하수가 순환되는 라디에이터와;
    상기 라디에이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공간에는
    상기 실내공간의 지면에 가깝게 설치된 냉온풍가습장치와 상기 실내공간의 지면에서 높이 설치된 냉온풍가습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실내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상기 냉온풍가습장치는 송신부, 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공간의 온도와 습도 정보를,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상기 온도와 습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수신하고,
    상기 냉온풍가습장치의 작동정보를,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냉온풍가습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부로 발신하는 발신단계; 및
    상기 수신부가 수신받은 정보에 따라 상기 냉온풍가습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냉온풍가습장치로 난방작동 신호를 발신하면,
    상기 실내공간의 지면에 가깝게 설치된 냉온풍가습장치는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기와 상기 송풍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실내공간의 지면에서 높이 설치된 냉온풍가습장치는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기를 작동시키지 않고 송풍팬을 작동시켜 실내공기를 대류시키는 난방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냉온풍가습장치로 냉방작동 신호를 발신하면,
    상기 실내공간의 지면에 가깝게 설치된 냉온풍가습장치는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실내공간의 지면에서 높이 설치된 냉온풍가습장치는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기를 작동시키지 않고 송풍팬을 작동시켜 실내공기를 대류시키는 냉방단계를 포함하는
    실내공간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실내공간에 대해 높이에 따라 평면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측정된 온도와 습도 정보를 서버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에 수신된 정보는, 상기 실내공간의 위치에 따른 온도와 습도 정보를 입체적으로 나타내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제어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특정 작물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작물에 대해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와 설정습도 정보가 상기 수신부로 발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제어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통해 실내공간의 설정온도가 입력되면, 상기 감지부가 측정한 현재온도를 서버를 통해 수신받고, 현재온도와 설정온도 차이가 큰 부분의 감지부와 그룹지어진 냉온풍가습장치의 온풍 또는 냉풍출력을 높이고, 현재온도와 설정온도 차이가 작은 부분의 감지부와 그룹지어진 냉온풍가습장치의 온풍 또는 냉풍출력을 낮추는 실내공간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통해 실내공간의 설정습도가 입력되면, 상기 감지부가 측정한 현재습도를 서버를 통해 수신받고, 현재습도와 설정습도 차이가 큰 부분의 감지부와 그룹지어진 냉온풍가습장치의 분무출력을 높이고, 현재습도와 설정습도 차이가 작은 부분의 감지부와 그룹지어진 냉온풍가습장치의 분무출력을 낮추는 실내공간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실내공간을 둘 이상의 가상의 구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구역에 속하는 상기 그룹지어진 냉온풍가습장치를 이용하여 구역별로 온도와 습도를 다르게 조절하는 실내공간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구역마다 두 개 이상의 냉온풍가습장치가 있고, 상기 두 개 이상의 냉온풍가습장치에는 상기 실내공간의 지면에 가깝게 설치된 것과 상기 실내공간의 지면에서 높이 설치된 것이 있고,
    상기 단말기를 통해 설정온도가 입력되면, 상기 지면에 가깝게 설치된 냉온풍가습장치는 상기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온풍을 출력하고, 상기 지면에서 높이 설치된 냉온풍가습장치는 상기 설정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온풍을 출력하여,
    온풍의 온도 차이로 인해 실내공기를 대류시켜, 실내공간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조절하는 실내공간 제어방법.
KR1020150101124A 2015-07-16 2015-07-16 냉온풍가습장치를 이용한 실내공간 제어방법 KR101702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124A KR101702761B1 (ko) 2015-07-16 2015-07-16 냉온풍가습장치를 이용한 실내공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124A KR101702761B1 (ko) 2015-07-16 2015-07-16 냉온풍가습장치를 이용한 실내공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307A KR20170009307A (ko) 2017-01-25
KR101702761B1 true KR101702761B1 (ko) 2017-02-22

Family

ID=5799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124A KR101702761B1 (ko) 2015-07-16 2015-07-16 냉온풍가습장치를 이용한 실내공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7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393A (ko) 2020-08-24 2022-03-03 방성민 발열체를 이용한 휴대용 가습 온풍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256B1 (ko) 2005-03-15 2006-09-20 박은석 비닐 하우스 원격 관리장치
JP2007024417A (ja) * 2005-07-19 2007-02-01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223B1 (ko) * 2007-01-22 2008-12-26 이현수 온도 감지 및 제어 시스템
KR20120134925A (ko) * 2011-06-03 2012-12-12 김동용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439490B1 (ko) 2013-05-28 2014-09-12 이형영 전기 온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256B1 (ko) 2005-03-15 2006-09-20 박은석 비닐 하우스 원격 관리장치
JP2007024417A (ja) * 2005-07-19 2007-02-01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393A (ko) 2020-08-24 2022-03-03 방성민 발열체를 이용한 휴대용 가습 온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307A (ko)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5423B (zh) 一种机柜散热方法及装置
CN106662352A (zh) 调节室内环境
US20130149956A1 (en) Cold/hot air radial and circulatory delivery device
KR101833594B1 (ko) 냉온풍가습장치의 그룹 제어 방법
CN107726562A (zh) 一种用于控制温度的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空调
CN104728990A (zh) 一种空调送风风速控制装置、方法及空调
KR20130049790A (ko) 흡입 배출식 전기 냉 온풍 장치
KR101745112B1 (ko) 냉온풍장치 및 제어방법
KR101702761B1 (ko) 냉온풍가습장치를 이용한 실내공간 제어방법
CN204962926U (zh) 一种低温热水地板辐射采暖与低温散热器联合供暖系统
CN205505175U (zh) 一种壁挂炉
KR101863622B1 (ko) 가습형 온풍기
JP2010268772A (ja) 誘導加熱による加温方法及び加温装置
CN106642273A (zh) 一种智能化地暖系统
JP2017138009A (ja) 人工気候室複合型放射式試験装置
CN104359171A (zh) 一种自动控温手掌垫
CN212618777U (zh) 一种空调装置
CN204254797U (zh) 自动控温手掌垫
JP5152914B2 (ja) 施設園芸用暖房装置
CN111912029A (zh) 一种空调装置及其控制方法
KR200480314Y1 (ko) 열매체를 이용한 순환식 전기 열풍기
KR20170004320A (ko) 가변형 냉난방용 사방향 팬코일 유니트
CN109362601A (zh) 温度调节系统
CN220776987U (zh) 蛋鸡养殖用智能化温湿调控鸡舍
CN214791386U (zh) 一种集成式系统节能中央空调地暖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