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925A -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925A
KR20120134925A KR1020110054150A KR20110054150A KR20120134925A KR 20120134925 A KR20120134925 A KR 20120134925A KR 1020110054150 A KR1020110054150 A KR 1020110054150A KR 20110054150 A KR20110054150 A KR 20110054150A KR 20120134925 A KR20120134925 A KR 20120134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wired
communication network
central control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용
오정희
Original Assignee
김동용
오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용, 오정희 filed Critical 김동용
Priority to KR1020110054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4925A/ko
Publication of KR2012013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04L41/5051Service on demand, e.g. definition and deployment of services in real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은 각 가정에 구비된 온도 조절기, 밸브 제어기 및 보일러를 포함하는 난방기기의 제어를 사용자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제어 단말을 통해 직접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난방 기기의 정상 동작, 오류 등에 관한 상태 정보를 분류하여 후속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ing system using a combined wire-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민 생활이나 경제 활동의 기반을 이루는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은 중요한 과제이며, 현재 이러한 에너지의 안정 수급을 도모하기 위해 석유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의 검토와 도입 그리고 에너지 절약의 추진 등 여러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화석 연료로 인한 이산화탄소(CO2) 등의 온실 가스 효과에 의한 지구 온난화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친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에너지 절약 대책이 중요하다고 지적되고 있다.
최근 민생 부문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과 지구 온난화의 대책 기술로서 업무용 빌딩의 에너지관리 시스템(BEMS)이나, 가정용의 HEMS(Home Energy Management System)는 건물 전체의 에너지 공급이나 수요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기기나 설비의 운전을 효율적으로 실시해 에너지 절약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로 최근 지구 온난화 대책으로 가정 내의 주요 기기를 최적 제어할 수 있는 HEMS의 개발과 보급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HEMS의 대상 기기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에어컨이나 조명 등의 가전제품으로 한정되고 있고, 가정 내 기기 전체의 에너지 절약성을 고려해 통합 제어하는 시스템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가전 제품뿐만이 아니라 에너지 부하의 비율이 큰 가스나 등유에 의한 난방 기기를 HEMS의 대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며,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에너지인 난방 에너지이지만, 난방 에너지를 관리하기 위한 기술들 및 이를 통합 관리하는 기술들에 대한 개발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각 가정에 구비된 온도 조절기, 밸브 제어기 및 보일러를 포함하는 난방 기기의 제어를 사용자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제어 단말을 통해 직접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난방 기기의 정상 동작, 오류 등에 관한 상태 정보를 분류하여 후속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은 댁내에 구비된 중앙 제어 장치;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난방 제어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 조절기;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일러; 및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조절기, 상기 보일러, 상기 밸브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미리 설정된 사용자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 PC 및 TV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온도 조절기, 상기 보일러 및 상기 밸브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난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온도 조절기, 상기 보일러 및 상기 밸브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전송받은 이벤트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 결과에 따라 AS 요청 여부를 판단하고, AS가 필요한 경우, AS 업체 단말에 통보하고,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에 AS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WiFi, 블루투스, RF 및 지그비 중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과, RS-485 및 인터넷망 중 하나를 포함하는 유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실내 온도에 관한 정보와, 상기 온도 조절기, 상기 보일러 및 상기 밸브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방법은 댁내에 구비된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온도 조절기, 밸브 제어기 및 보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조절기, 상기 보일러, 상기 밸브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전송받은 이벤트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이벤트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 결과에 따라 AS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AS가 필요한 경우, AS 업체 단말기에 통보하고, 미리 설정된 사용자 휴대 단말기에 AS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방 제어 시스템은 각 가정에 구비된 온도 조절기, 밸브 제어기 및 보일러를 포함하는 난방 기기의 제어를 사용자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제어 단말을 통해 직접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난방 기기의 정상 동작, 오류 등에 관한 상태 정보를 분류하여 후속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앙 제어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1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난방 제어 시스템은 댁내에 구비된 중앙 제어 장치(100),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와 유무선망(120)을 통해 접속된 관리 서버(110), 댁내에 구비된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와 유무선망(130)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온도 센서(131), 온도 조절기(132), 보일러(133), 밸브 제어기(134) 및 기타 난방 기기(135)가 도시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140) 및 사용자 휴대 단말기(150)는 유무선망(120)을 통해 중앙 제어 장치(100)에 접속하여 온도 조절기(132), 보일러(133), 밸브 제어기(134) 및 난방 기기(135)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휴대 단말기(150)는 핸드폰, 또는 스마트 폰일 수 있으며, 난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댁내의 난방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퍼스널 컴퓨터(140) 및 사용자 휴대 단말기(150)는 현재 온도, 온도 조절기(132) 상태 또는 온도 조절기(132)의 이상 신호, 보일러(133) 상태 또는 보일러(133)의 이상 신호, 에너지 사용량, 난방비 계산 등의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40) 및 사용자 휴대 단말기(150)에 탑재된 난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 온도, 온도조절기 제어, 보일러 제어, 환기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정보 확인 및 제어, 예를 들면 CO2, 조명, 방범, 가스, 외기 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댁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예를 들면 지그비, wifi, 블루투스, RF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온도 조절기(132), 보일러(133) 또는 밸브 제어기(134) 등을 직접 제어하거나, 이상신호 알람 기능 및 내용 수신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집안에 있는 TV의 리모컨 또는 사용자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중앙 제어 장치(100)에 접속하여 중앙 제어 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는 난방기기들의 상태 신호를 수신하거나 난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온도 센서(131)는 가정의 각각의 위치, 예를 들면 방, 거실, 주방 등에 설치되며, 해당 장소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실내 온도를 유무선망(130)을 통해 중앙 제어 장치(100)에 전송한다.
온도 조절기(132)는 가정의 각각의 위치, 예를 들면 방, 거실, 주방 등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해당 장소의 실내 온도를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온도 조절기(132)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중앙 제어 장치(100)와 무선으로 제어 명령을 송수신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모은 Wifi, 지그비, 블루투스 등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중앙 제어 장치(100)와의 통신 거리가 긴 경우에는 리피터 또는 중계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정의 각각의 위치에 배치된 온도 조절기(132)와 중앙 제어 장치(100)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온도 조절기(132)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현재 온도, 설정 온도 값 송신 및 수신, 코일길이 값 입력, 예약, 타이머, 현재시간, 방 개수 설정, 무선 코드값 입력, 예를 들면 온도 조절기 또는 해당 온도 조절기에 부착된 무선 통신 모듈의 ID, 채널, 무선 송수신 파워 등을 설정될 수 있다.
밸브 제어기(134)는 개별 난방인 경우, 보일러 난방 신호를 보일러(133)로 전송한다. 또한, 분배기(도시되지 않음)의 구동부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전송하고, 이러한 밸브 제어기(134)는 열동기, 솔레노이드, 전동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가능하며, 지역난방인 경우, 메인 유량 제어 값을 비례 제어 구동기(미도시)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밸브 제어기(134)는 온도 조절기(132)와 마찬가지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중앙 제어 장치(100)와 무선으로 제어 명령을 송수신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Wifi, 지그비, 블루투스 등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밸브 제어기(134)는 코일 길이, 유량 값 입력을 받아 각방의 코일길이 값 기억, 제어를 수행하며, 밸브 제어기(134) 또는 밸브 제어기(134)에 포함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의 ID, CH, 파워 값 기억,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밸브 제어기(134)는 각방 현재 온도, 설정 온도 비교, 예약, 타이머, 현재시간, 방 개수 값 기억,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보일러(133)의 이상신호 및 온도 조절기(132)의 이상신호 감지하고, 중앙 제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보일러(133)는 밸브 제어기(134)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보일러 온 또는 오프시키고, 유량, 난방수 온도, 온수 온도 제어 등을 수행한다. 또한, 보일러(133)의 이상 신호, 에러 코드, 온수 온도 등의 보일러 내부 신호를 중앙 제어 장치(100)에 전송한다. 보일러(133)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중앙 제어 장치(100)와 무선으로 제어 명령을 송수신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Wifi, 지그비, 블루투스 등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기타 난방 기기(135)는 조명 제어, 환기 제어, 분배기, 표준 제어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타 난방 기기(135)는 중앙 제어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다. 예를 들면 중앙 제어 장치(100)는 RS 485 케이블을 통해 조명 제어기 또는 환기 제어기와 접속된다.
중앙 제어 장치(100)는 온도 센서(131), 온도 조절기(132), 보일러(133) 또는 밸브 제어기(134)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 서버(110)에 전송한다. 또한, 이벤트 정보를 미리 설정된 사용자 휴대 단말기에 전송한다. 즉, 중앙 제어 장치(100)는 가정의 난방 기기들로부터 이벤트 정보, 예를 들면 온도 센서(131)로부터 감지된 실내 온도에 관한 정보, 온도 조절기(132), 보일러(133) 및 밸브 제어기(134)의 이상 상태에 관한 정보, 에러 코드 등에 관한 정보를 관리 서버(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들(140 및 150)에 전송한다. 또한, 중앙 제어 장치(100)는, 가정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와 PC 및 TV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온도 조절기(132), 보일러(133) 및 밸브 제어기(134)를 제어하는 난방 제어 명령에 따라 이러한 난방 기기들을 제어한다.
관리 서버(110)는 고객정보, 보일러 및 온도조절기 이상신호 분류, 사용량, 지역분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관리 서버(110)는 사용자의 정보, 예를 들면 사용자의 지역, 전화번호, 주소, 설치환경, 난방방식, 사용량, 이상신호, 설치된 제품 수량 등을 관리하고, 중앙 제어 장치(100)와 통신하여 가정의 난방 기기들을 관리한다. 예를 들면 보일러 및 이상상태를 해당 A/S 업체 단말 또는 AS 기사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보일러 및 이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중앙 제어 장치(100)의 자세한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앙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101), 무선 통신 모듈(102), 유선 통신 모듈(103) 및 모니터링부(104)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모듈(102)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wifi, 블루투스, RF, 지그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중앙 제어 장치(100)와 접속되어 있는 가정의 난방 기기들(131 내지 135), 또는 가정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와 무선 통신한다.
유선 통신 모듈(103)은 RS-485, 인터넷 등을 포함하며, 가정의 난방 기기들(131 내지 135), 가정의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110), 사용자 단말기(140)와 통신한다.
모니터링부(104)는 유무선망(130)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가정의 난방 기기들(131 내지 135)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즉, 가정의 난방 기기들(131 내지 135)로부터 유무선망(130)을 통해 각각의 이벤트 정보들을 전송받는다.
제어부(101)는 중앙 제어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CPU 역할을 수행하며, 가정의 난방 기기들(131 내지 135)로부터 유무선망(130)을 통해 각각의 이벤트 정보들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이벤트 정보들을 관리 서버(11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1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10)는 유무선 접속 인터페이스(111), 이벤트 분류부(112), 통지부(113) 및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4)를 포함한다.
유무선 접속 인터페이스(111)는 중앙 제어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140)와의 유무선망(120), 예를 들면 인터넷망을 통한 접속, 및 사용자 휴대 단말기(150)와의 무선 통신망을 통한 접속을 담당한다.
이벤트 분류부(112)는 중앙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가정의 난방 기기들(131 내지 135)에 관한 이벤트 정보를 분류한다. 예를 들면 보일러(133)로부터 전송된 에러 코드가 A/S가 필요한 사항인지, 아니면 사용자에게 단순히 수리 방법 내지는 조치 방법을 통보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사항인지를 분류한다.
통지부(113)는 분류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들(140 및 150)에 통지하거나 또는 A/S가 필요한 경우에는 A/S 업체 단말 또는 A/S 기사의 단말기에 A/S를 요청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들(140 및 150)에 알려준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4)는 사용자의 정보, 예를 들면 사용자의 지역, 전화번호, 주소, 설치환경, 난방방식, 사용량, 이상신호, 설치된 제품 수량 등을 저장 및 관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00에서, 가정의 난방 시스템에서 이벤트가 발생한다. 여기서, 이벤트는 난방 시스템의 상태 정보로서, 예를 들면 고장 또는 에러 발생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가정의 난방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온도 조절기, 보일러 또는 밸브 제어기들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중앙 제어 장치와 접속되어, 실시간으로 해당 구성요소들의 상태 정보가 모니터링된다.
단계 402에서, 중앙 제어 장치에서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고, 단계 404에서, 관리 서버에 이벤트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406에서, 관리 서버는 전송받은 이벤트 정보를 분류한다. 단계 408에서, AS가 필요한 경우에는 단계 410에서 AS를 요청하고, 단계 412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통보한다.
단계 408에서, AS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단계 412에서, 해당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 조치 사항과 관련한 알림 메시지 또는 해당 이벤트를 무시하여도 된다는 알림 메시지를 통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0에서, 휴대 단말기의 난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탑재된 난방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각각의 가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에너지인 난방 에너지를 관리하기 위한 실시간 난방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해당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지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난방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중앙 제어 장치와 무선 통신 모듈로 접속된 온도 조절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각 방의 온도 및 셋팅 값을 볼 수 있다. 또한, 각 방의 온도 조절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열량 계량기 값을 읽거나 전원 대비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하여 에너지를 능동적으로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UI를 제공한다. 또한, 난방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보일러, 가스 밸브 등의 이상 상태가 발생한 경우 이를 알려줄 수 있으며, 가정에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과도 연계하여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단계 502에서, 사용자는 난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난방 시스템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온도 조절기의 제어를 선택한다.
단계 504에서, 사용자가 온도 조절기를 제어하기 위해, 실내 온도를 20도에서 24도로 설정하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계 506에서, 사용자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한 제어 명령 메시지를 가정의 중앙 제어 장치에 전송한다.
단계 508에서, 중앙 제어 장치는 제어 명령 메시지에 따라 난방 시스템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실내 온도를 24도 설정하고, 이와 연동되어 있는 보일러를 가동시켜 실내 온도를 높인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댁내에 구비된 중앙 제어 장치;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난방 제어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 조절기;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일러; 및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조절기, 상기 보일러, 상기 밸브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미리 설정된 사용자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 PC 및 TV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온도 조절기, 상기 보일러 및 상기 밸브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난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온도 조절기, 상기 보일러 및 상기 밸브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전송받은 이벤트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 결과에 따라 AS 요청 여부를 판단하고, AS가 필요한 경우, AS 업체 단말에 통보하고,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에 AS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WiFi, 블루투스, RF 및 지그비 중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과, RS-485 및 인터넷망 중 하나를 포함하는 유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실내 온도에 관한 정보와, 상기 온도 조절기, 상기 보일러 및 상기 밸브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7.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댁내에 구비된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온도 조절기, 밸브 제어기 및 보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조절기, 상기 보일러, 상기 밸브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전송받은 이벤트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이벤트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 결과에 따라 AS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AS가 필요한 경우, AS 업체 단말기에 통보하고, 미리 설정된 사용자 휴대 단말기에 AS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방법.
KR1020110054150A 2011-06-03 2011-06-03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4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150A KR20120134925A (ko) 2011-06-03 2011-06-03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150A KR20120134925A (ko) 2011-06-03 2011-06-03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925A true KR20120134925A (ko) 2012-12-12

Family

ID=4790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150A KR20120134925A (ko) 2011-06-03 2011-06-03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49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9986A (en) * 2013-11-04 2015-05-13 Ideal Boilers Ltd Wireless boiler control system
KR20170009307A (ko) * 2015-07-16 2017-01-25 이관형 냉온풍가습장치를 이용한 실내공간 제어방법
KR20190095688A (ko) 2018-02-07 2019-08-16 한국전력공사 양방향 전력 통신망을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이의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의 작동 이력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9986A (en) * 2013-11-04 2015-05-13 Ideal Boilers Ltd Wireless boiler control system
KR20170009307A (ko) * 2015-07-16 2017-01-25 이관형 냉온풍가습장치를 이용한 실내공간 제어방법
KR20190095688A (ko) 2018-02-07 2019-08-16 한국전력공사 양방향 전력 통신망을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이의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의 작동 이력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8434B2 (en) Intelligent temperature management based on energy usage profiles and outside weather conditions
US11098913B2 (en) Method to control a communication rate between a thermostat and a cloud based server
US10655876B1 (en) Dynamically programmable thermostat
EP2792958B1 (en) Remote maintenance
EP2793097B1 (en) Thermostat for a HVAC
US201703367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rolling energy consuming devices within a building
US11074797B2 (en) Building health analysis and management system
KR101986753B1 (ko) 공동 주택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
US20200003448A1 (en) Facility management portal
KR101659301B1 (ko) 난방비를 고려한 난방 제어 시스템
US20120041603A1 (en) System for the central control of operational devices
US20170254546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t least one thermal control device, and associated control unit and control system
US20190293313A1 (en) System of hvac fault detection using thermostat data
US20180337838A1 (en) Cloud metering and analyzing system
KR20120134925A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3213166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temperature control
KR101668630B1 (ko) Gps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US20190293316A1 (en) System and method of hvac health monitoring for connected homes
JP2017530638A (ja) 接続された気候システム
US20200309400A1 (en) Hvac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90376813A1 (en) Cloud metering and analyzing system
WO20140153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energy monitoring and control
KR102618117B1 (ko) 스마트 에너지 절감형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