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997B1 - 방송 프로그램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프로그램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997B1
KR101701997B1 KR1020150063653A KR20150063653A KR101701997B1 KR 101701997 B1 KR101701997 B1 KR 101701997B1 KR 1020150063653 A KR1020150063653 A KR 1020150063653A KR 20150063653 A KR20150063653 A KR 20150063653A KR 101701997 B1 KR101701997 B1 KR 101701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receiv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382A (ko
Inventor
남영진
류내원
김용태
Original Assignee
네오컨버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컨버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오컨버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3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997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4454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83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associating distribution time parameters to content, e.g. to generate electronic program guid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005/44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송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담당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의 주파수 채널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과,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로부터 수신받은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재구성하여 생성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고객측 방송 수신단말에 송출하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은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신규한 정보인지 변경된 정보인지 중복수신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에 전달함으로써,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가 변경되어도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 프로그램 제공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ING PROGRAM INFORMATION}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은 출력매체에 따라 디지털 지상 방송, 디지털 위성 방송, 케이블 디지털 방송, 및 IP 네트워크 디지털 방송 등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국(System Operator, SO)들이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디지털 방송 컨텐츠(Contents), 기타 데이터들을 제작하거나 제작자로부터 공급받아 이를 가입자에게 제공하게 되고, 가입자는 디지털 방송국에서 전달되는 프로그램 정보나 기타 데이터들을 보고 자신이 원하는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지상파 방송을 재전송하는 케이블방송 및 IPTV, 모바일 방송사에서 지상파 방송을 재전송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방송 프로그램 제공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받아서 이용한다. 지상파를 재전송하는 방송사는 이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만드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 Electronic Program Guide)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가공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방송 프로그램 제공사에서 정보 오류 및 각 지역 지상파 방송사별 다른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비정확성, 지상파 방송사에서 임의 변경 등으로 인해 방송 시청자에게 정확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는 지상파 재전송 방송사들이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담당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의 주파수 채널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과,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로부터 수신받은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재구성하여 생성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고객측 방송 수신단말에 송출하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은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신규한 정보인지 변경된 정보인지 중복수신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지상파 재전송 방송사측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은, 미리 정해진 담당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의 주파수 채널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신규한 정보인지 변경된 정보인지 중복수신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지상파 재전송 방송사측 방송 프로그램 제공 방법은,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이 미리 정해진 담당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의 주파수 채널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이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이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신규한 정보인지 변경된 정보인지 중복수신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이 판단결과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로부터 수신받은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재구성하고 고객측 방송 수신단말에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지상파 재전송 방송사측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의 방송 프로그램 제공 방법은, 미리 정해진 담당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의 주파수 채널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신규한 정보인지 변경된 정보인지 중복수신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결과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가 변경되어도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상파 재전송 방송사측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이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신규한지, 중복된 것인지, 변경된 것인지에 따라 다른 시점에 전송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지상파 재전송 방송사측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상파 재전송 방송사측 방송 프로그램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단결과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G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방송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은 지상파 방송을 재전송하는 방송사 측에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방송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20)은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100) 및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상파 방송사는 방송 신호 안에 방송 영상 신호 외에 방송 프로그램 정보도 같이 송출한다. 방송사들은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주기적으로 계속 반복 송출한다. 반복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는 방송사가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송출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100)은 미리 정해진 담당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200)에 전달한다.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100)은 원격지, 예컨대 담당 지역에 위치할 수도 있고, 지상파 방송을 재전송하는 방송사의 시스템 내에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200)와 함께 위치할 수도 있다.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100)은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기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고,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변경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 정보는 지역 코드, 방송사 코드, 방송프로그램 식별자, 상태구분코드, 방송 프로그램명, 방송 시간, 방송 프로그램명, 기타 방송 관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방송 관련 정보는 HD, 재방송, 수화방송, 자막방송, 시청연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10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또한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200) 및 그 외에 방송 프로그램 제공자 측 서버(1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재구성하여 방송 프로그램 일정표인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생성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200)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재구성한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고객측 방송 수신단말(30)에 제공한다.
고객측 방송 수신단말(30)은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20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자 측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100)은 수신부(110), 제어부(120), 전송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미리 정해진 담당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부(110)는 담당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의 해당 주파수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방송신호는 다양한 데이터가 함께 다중화되어 포함되어 있다. 방송신호에 포함된 정보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프로그램 정보, 프로그램 정보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20)는 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부에 기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비교하여 신규하거나 변경된 정보인 경우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도 1의 200)에 전달한다.
제어부(120)는 추출모듈(122)과 판단모듈(124)을 포함할 수 있다.
추출모듈(122)은 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한다. 이를 위해 추출모듈(122)은 수신된 방송신호를 역다중화한다.
추출모듈(122)은 역다중화된 방송 신호 중에서 방송 프로그램 정보 만을 추출하여 판단모듈(124)에 전달한다.
판단모듈(124)은 추출모듈(122)에 의해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기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규한 데이터인지 변경된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판단모듈(124)은 판단 결과를 방송 프로그램 정보 제공시 함께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판단모듈(124)은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신규한 정보인지 변경된 정보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상태구분코드를 부여한다.
전송부(130)는 제어부(120)의 지시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도 1의 200)에 전달한다. 전송부(130)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도 1의 200)에 전달할 때 상태구분코드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상태구분코드는 추후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200)가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재구성하여 EPG를 생성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200)는 상태구분코드에 방송 프로그램 변경이 표시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EPG를 수정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제어부(120)가 방송신호에서 분리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변경되었다고 제어부(120)에서 판단된 경우, 상태구분코드를 부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저장부(140)에 저장되며, 제어부(120)가 생성한 정보는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100)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가 발생할지라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 방법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상파 재전송 방송사측 방송 프로그램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단결과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이 미리 정해진 담당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의 주파수 채널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한다(S100).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은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한다(S110). 이를 위해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은 단계 100에서 수신된 방송신호에는 오디오, 비디오 신호 외에 방송 프로그램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 등의 다양한 데이터가 함께 다중화되어 있으므로, 다중화되어 있는 방송신호를 역다중화하여 다양한 데이터로 분리한다.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이 분리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후,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은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신규한 정보인지, 변경된 정보인지, 또는 중복수신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은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프로그램 식별자를 통해서 기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프로그램 식별자와 동일한 것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프로그램 정보의 신규성 여부를 확인하다. 만약, 추출된 프로그램 식별자와 동일한 프로그램 식별자가 없는 경우에는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는 신규한 정보인 것으로 확인한다. 반면, 추출된 프로그램 식별자와 동일한 프로그램 식별자가 있는 경우에는 신규한 정보가 아니라고 판단한 후, 기 저장된 동일한 프로그램 식별자를 갖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비교하여 변경사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변경사항이 없다고 판단되면 중복전송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인 것으로 확인하고, 변경사항이 있다고 판단되면 변경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인 것으로 확인한다.
이후,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신규한 정보인지, 변경된 정보인지, 또는 중복 수신된 정보인지를 구분하는 상태구분코드를 부여한다(S130). 즉, 프로그램 식별자를 통해서 확인된 사항에 따라 신규한 정보, 변경된 정보, 또는 중복 수신된 정보인지에 대응하는 각기 다른 상태구분코드를 부여한다.
이후,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은 상기 판단 결과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로 전달한다(S140).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의 상기 판단 결과에 포함된 상태구분 코드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에 전달하는 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은 상태구분코드를 확인하여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신규한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42).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은 단계 S142에서 신규한 정보라고 확인되면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전송주기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 전송한다(S143).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은 단계 S142에서 신규한 정보가 아니라고 확인되면 변경된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44).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은 단계 S144에서 변경된 정보라고 확인되면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주기와 관계 없이 즉시 전송한다(S145).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은 단계 S144에서 변경된 정보가 아니라고 확인되면 중복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이므로 전송하지 않는다(S146).
이후, 도 3의 단계로 되돌아 와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로부터 수신받은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재구성하여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생성한다(S150).
이후,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는 재구성된 EPG를 고객측 방송 수신단말에 송출한다(S160).
그리고, 고객측 방송 수신단말은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G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EPG는 현재 방송되고 있거나 앞으로 방송될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저장된 테이블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이러한 EPG를 확인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예약하거나 녹화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방송시간, 방송프로그램명, 방송관련정보로서, 시청연령이 표시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서버
20 : 방송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30 : 고객측 방송 수신단말
100 : 수신단말
110 : 수신부
120 : 제어부
122 : 추출모듈
124 : 판단모듈
130 : 전송부
140 : 저장부
200 :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

Claims (9)

  1. 미리 정해진 담당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의 주파수 채널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로부터 수신받은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재구성하여 생성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고객측 방송 수신단말에 송출하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은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신규한 정보인지, 변경된 정보인지, 또는 중복수신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에 전송하되, 부여된 상태구분코드를 확인하여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기 전송된 정보와 중복된 정보인 경우 전송하지 않고, 신규 정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전송주기에 따라 전송하고, 변경된 정보인 경우 바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2. 지상파 재전송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담당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의 주파수 채널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신규한 정보인지, 변경된 정보인지, 또는 중복수신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에 전송하되, 부여된 상태구분코드를 확인하여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기 전송된 정보와 중복된 정보인 경우 전송하지 않고, 신규 정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전송주기에 따라 전송하고, 변경된 정보인 경우 바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에 상응하여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신규한 정보인지, 변경된 정보인지, 또는 중복수신된 정보인지를 구분하는 상태구분코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정보는 지역 코드, 방송사 코드, 방송프로그램 식별자, 상태구분코드, 방송 시간, 방송 프로그램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
  6. 지상파 재전송 방송 프로그램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이 미리 정해진 담당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의 주파수 채널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이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이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신규한 정보인지, 변경된 정보인지, 또는 중복수신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이 판단결과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에 전송하되, 부여된 상태구분코드를 확인하여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기 전송된 정보와 중복된 정보인 경우 전송하지 않고, 신규 정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전송주기에 따라 전송하고, 변경된 정보인 경우 바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가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로부터 수신받은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재구성하고 고객측 방송 수신단말에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방법.
  7. 지상파 재전송 방송 프로그램 수신단말의 방송 프로그램 제공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담당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의 주파수 채널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신규한 정보인지, 변경된 정보인지, 또는 중복 수신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에 전송하되, 부여된 상태구분코드를 확인하여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기 전송된 정보와 중복된 정보인 경우 전송하지 않고, 신규 정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전송주기에 따라 전송하고, 변경된 정보인 경우 바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한 정보인지, 변경된 정보인지, 또는 중복수신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신규한 정보인지, 변경된 정보인지, 또는 중복 수신된 정보인지 여부를 구분하는 상태구분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방법.
  9. 삭제
KR1020150063653A 2015-05-07 2015-05-07 방송 프로그램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01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653A KR101701997B1 (ko) 2015-05-07 2015-05-07 방송 프로그램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653A KR101701997B1 (ko) 2015-05-07 2015-05-07 방송 프로그램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382A KR20160131382A (ko) 2016-11-16
KR101701997B1 true KR101701997B1 (ko) 2017-02-02

Family

ID=5754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653A KR101701997B1 (ko) 2015-05-07 2015-05-07 방송 프로그램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9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570A (ko) * 2016-12-20 2018-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0602A (ja) * 2013-08-30 2015-03-16 富士通株式会社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8580A (ko) * 2008-03-14 2009-09-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방송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
KR101252366B1 (ko) * 2011-03-28 2013-04-08 인포뱅크 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과 연계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0602A (ja) * 2013-08-30 2015-03-16 富士通株式会社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382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0160B2 (ja)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ベースの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放送チャンネル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4388031B2 (ja)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チャネルの管理方法、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を受信可能な端末機
CN102119528B (zh) 用于跨越多个数字广播信道的多个服务的数据更新的信道跳跃方案
CN100527679C (zh) 数字广播系统、广播信号接收设备及其软件下载方法
JP6294503B2 (ja) 放送信号送信装置、放送信号受信装置、放送信号送信方法、及び放送信号受信方法
EP1109400A1 (en) Transmission of a command to a receiver or to a decoder
CN1988616B (zh) 接收线缆广播数据的设备和发送/接收线缆广播软件的方法
EP1819075A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onfinement service
KR101797497B1 (ko) 방송 신호로 전송되는 비실시간 방송 서비스 및 콘텐트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09512318A (ja) デジタルビデオブロードキャストシステムにおける電子サービスガイド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US96354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allback proxy for a set top box of with support of ISM-band wide area network access
KR20160132831A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KR20190068477A (ko) 지상파 초고화질 방송을 위한 통합신호 발생장치
CN102833588A (zh) 发送装置、接收装置、广播系统、发送方法、接收方法及其程序
KR101701997B1 (ko) 방송 프로그램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66246B1 (ko) 메타데이터 우선제공 증강방송 장치 및 방법
CN101267262A (zh) 使用保留频道发送和接收广播信息的方法和设备
CN104602107A (zh) 一种节目更新方法及终端、服务器
JP2002271286A (ja) デジタル放送の視聴データ収集システムおよび視聴データ収集方法
KR102200827B1 (ko) 자막을 포함하는 재송출용 방송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서버
KR100883264B1 (ko)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JPH11284963A (ja) 放送波に関する情報供給方法と放送波を受信する受信装置
US87874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dditional data in digital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KR20100073344A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900153B1 (ko) 방송망을 이용한 dmb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dmb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