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591B1 - Handle of cart for stairs - Google Patents

Handle of cart for stai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591B1
KR101701591B1 KR1020150017130A KR20150017130A KR101701591B1 KR 101701591 B1 KR101701591 B1 KR 101701591B1 KR 1020150017130 A KR1020150017130 A KR 1020150017130A KR 20150017130 A KR20150017130 A KR 20150017130A KR 101701591 B1 KR101701591 B1 KR 101701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knob
coupled
wedge membe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6382A (en
Inventor
백민선
김효진
Original Assignee
백민선
김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민선, 김효진 filed Critical 백민선
Publication of KR20150116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3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5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1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both ends or periphery of cart fitted with handl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카트의 손잡이는 상부에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의 좌우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바퀴와,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 전면부에 구비되는 적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바디부와 결합하는 손잡이 바디와, 상기 손잡이 바디와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연결부와, 상기 손잡이 연결부의 상부와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 연결부와 함께 회전되는 상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연결부의 하부와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 연결부와 함께 회전되는 하부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 연결부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하거나 고정된 상태로 하기 위한 손잡이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 연결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손잡이보다 아래에 있던 상기 하부 손잡이가 상기 상부 손잡이보다 위로 갈 수 있게 구성된다.The handle of the step-by-step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to which a handle portion is coupled at an upper portion, a pair of wheels rotatably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load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handle includes a handle body to be engaged with the body, a handle connection part which is coupled to the handle body so as to be capable of hinge movement and is rotatable up and down and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lower knob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knob connection portion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knob connection portion, and a lower knob connected to the knob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knob connection portion can be rotated or fixed And a handle fixing part , That the lower handle by the rotation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that is below the upper handle is configured such that it can not go above the upper handle.

Figure 112015011872818-pat00001
Figure 112015011872818-pat00001

Description

계단용 카트의 손잡이 {HANDLE OF CART FOR STAIRS} [0001] HANDLE OF CART FOR STAIRS [0002]

본 발명은 계단용 카트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계단으로 이루어진 곳에서는 물건이 적재된 일반적인 핸드 카트로는 안전하게 운송하는 것이 힘이 들고 어려움이 많으며, 계단 특성상 높은 곳으로 올라가는 것과 낮은 곳으로 내려올 때 매우 위험한바, 이와 같은 어려움을 없애고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계단용 카트의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of a stair cart, and in a conventional staircase, it is difficult and difficult to carry it safely to a general hand cart loaded with goods, This is about the handle of a stair cart which is very dangerous and can be safely moved away from such difficulties.

일반적인 핸드 카트는 물품을 적재하고 굴곡이 적고 단이 없는 곳에서 바퀴를 통해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운반 장치이다.A typical handcart is a carrying device that allows the article to be loaded and easily moved through the wheel where there is little curvature and no end.

그러나 계단을 오르내리는 경우에는 계단의 단차로 인해 핸드 카트 바퀴로는 이동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경우 핸드 카트를 사용자가 들어서 한 칸씩 이동시키거나 한 칸씩 내리면서 멈추는 힘을 가하는 것을 반복하는데, 이러한 작업에는 많은 힘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물건 추락 및 사용자 추락의 위험이 있고, 계단을 내려가는 경우에는 심한 요동에 의해 물품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moving up and down the stairs, it is difficult to move with the hand cart wheels due to the stepped steps. In such a case, the user repeatedly moves the handcarts by moving one space at a time or by decreasing the space by one space. This operation requires a lot of power and time, and there is a risk of falling objects and use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rticle may be damaged due to a severe fluctuation.

또한, 계단을 내려가거나 올라갈 때에는 평지에서 카트를 잡고 움직일 때와는 카트가 기울어지는 정도가 다른데도 불구하고 손잡이의 각도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카트를 끌어올리거나 끌어내릴 때 적절한 자세를 취하기가 어려워서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Also, when descending or climbing the stairs, the angle of the handle is fixed, even though the cart tilts at a different angle than when the cart is gripped on the flat ground. Therefore, when the user lifts or pulls the cart,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difficulties occur due to difficult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980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798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단 운반 시 사용자의 편리함과 안전함을 주기 위해서 핸드 카트의 손잡이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적재된 물건의 부피와 중량에 따라 손잡이의 길이와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계단용 카트의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handle structure of a handcart so as to provide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user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stairs, and accordingly, the length and angle of the handle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le of a stair cart which can be easily adjusted and u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단용 카트의 손잡이는 상부에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의 좌우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바퀴와,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 전면부에 구비되는 적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바디부와 결합하는 손잡이 바디와, 상기 손잡이 바디와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연결부와, 상기 손잡이 연결부의 상부와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 연결부와 함께 회전되는 상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연결부의 하부와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 연결부와 함께 회전되는 하부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 연결부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하거나 고정된 상태로 하기 위한 손잡이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 연결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손잡이보다 아래에 있던 상기 하부 손잡이가 상기 상부 손잡이보다 위로 갈 수 있게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dle of a stepping cart, comprising: a body portion having a handle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thereof; a pair of wheels rotatably provid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handle may include a handle body coupled to the body and a handle coupled to the handle body such that the handle may be hinged to be rotatable up and down and forward and backward, A lower handl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and a lower handle coupled to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the upper handle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A handle for turning the motor into a rotatable state or a fixed state Comprising: a fixed part, 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handle by rotating that are below the upper handle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is able to go above the upper handle.

또한, 상기 손잡이 연결부는 측면에서 볼 때 직각으로 구부러져서 일부는 앞쪽으로 뻗고 나머지 일부는 아래쪽으로 뻗으며, 상기 상부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 연결부의 앞쪽으로 뻗은 부분의 전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하부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 연결부의 아래쪽으로 뻗은 부분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is bent at a right angle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a part of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extends forward and a part of the handle extends downward. The upper handle engages with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And is coupled to a lower end portion of a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또한, 상기 상부 손잡이 및 상기 하부 손잡이는 좌우 방향으로 뻗은 봉 형태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upper handle and the lower handle are bar-shaped members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또한, 상기 손잡이 바디의 말단부에는 결합 핀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돌릴 수 있는 손잡이 고정부 레버와, 상기 손잡이 고정부 레버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빗면을 가진 쐐기와 같은 형태의 쐐기부재A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빗면을 가진 쐐기와 같은 형태의 쐐기부재B와, 상기 쐐기부재B와 결합되는 결합핀 및 상기 쐐기부재B와 상기 손잡이 바디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손잡이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결합핀 구멍이 형성된 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쐐기부재A의 빗면과 상기 쐐기부재B의 빗면이 서로 포개지면서 맞닿아 있게 되면 상기 스프링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쐐기부재B가 상기 손잡이 고정부 레버가 있는 쪽으로 밀려나며 상기 결합핀이 상기 손잡이 바디의 결합핀 구멍 및 상기 힌지부의 결합핀 구멍에서 빠진 상태가 되어 상기 손잡이 연결부를 돌릴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손잡이 고정부 레버를 돌리면 상기 쐐기부재A가 상기 쐐기부재B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결합핀이 상기 손잡이 바디의 결합핀 구멍 및 상기 힌지부의 결합핀 구멍에 끼워진 상태가 되어 상기 손잡이 연결부가 상기 손잡이 바디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ndle fixing unit includes a handle fixing lever which can be turned up and down and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wedge having a beveled surface coupled with the handle fixing lever and rotating together, A wedge member B in the form of a wedge member A of the same shape, a wedge member in the form of a wedge that is resiliently supported by a spring and has an oblique surface, a coupling pin to be engaged with the wedge member B, And a hinge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connection portion and formed with an engagement pin hole. When the beveled surface of the wedge member A and the beveled surface of the wedge member B overlap each other and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wedge member B is pushed to the side where the handle fixing lever is provided and the engagement pin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of the handle body The wedge member A pushes the wedge member B so that the engaging pin can be rotated in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handle body B by pushing the wedge member A by turning the handle fixing unit lever, And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is fixed to the handle body by being engaged with the engaging pin hole of the hinge portion and the engaging pin hole of the hinge portion.

또한, 상기 바디부에는 계단에서의 자동 주행을 위한 계단 구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손잡이 및 상기 하부 손잡이 각각에는 상기 계단 구동부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step driving portion for automatic running at the step, and each of the upper and lower knobs includes an operation button for operating the operation of the step driv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카트의 손잡이는 손잡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카트를 계단에서 움직이기에 편리하도록 손잡이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인 자세로 카트를 밀거나 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handle of the stair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position of the handl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user can push or pull the cart in a stable posture with the position of the handle fixed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cart from the stai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카트 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카트 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부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재부의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부의 측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 구동부의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 구동부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의 측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ircase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aircase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through 4D are perspective views of a loading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G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hand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moto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perspective views of a step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C are side views of a step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of a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적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카트는 도 1에서 적재되는 적재부(100), 손잡이부(200), 바디부(300), 좌측 바퀴부(400L), 우측 바퀴부(400R), 계단 구동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step-like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unit 100, a knob unit 200, a body unit 300, a left wheel unit 400L, a right wheel unit 400R, and a step-driving unit 500. As shown in FIG.

계단용 카트의 적재부(100)는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관이나 운송을 하는 데 있어서 편리하도록 적재부 펼침 상태(100B) 또는 적재부 접이 상태(100A)가 될 수 있도록 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 운동함으로써 접거나 펼 수 있게 접이식으로 구성되고, 손잡이부(200)는 손잡이 C 상태(200C)에서 90˚ 회전시켜 손잡이 B 상태(200B)와 같이 되게 하거나, 손잡이A 상태(200A) 위치로 내려서 전체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The loading unit 100 of the stair cart may be hinged about the hinge axis so as to be in the loading unit unfolding state 100B or the loading unit folding state 100A for convenience in storage or transportation as shown in Fig. The handle 200 is rotated by 90 degrees in the handle C state 200C to be in the handle B state 200B or to the handle A state 200A, So that the volume can be minimized.

적재부(100)는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펼쳐서 적재부 펼침 상태(100B)로 하거나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하게 되도록 접어 올려서 적재부 접이 상태(100A)로 만들어서 보관에 편리하도록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The loading unit 100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so as to unfold the article so as to be stacked as shown in FIG. 4A and to fold it up into the unfolded state 100B or vertically as shown in FIGS. 4C and 4D, (100A) so as to minimize the volume for convenient storage.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재판 경첩(104)이 적재바디(102)에 부착되어 있고 적재판 경첩(104)에 적재판(101)이 결합되어 있어서 적재판 경첩(104)을 축으로 하여 적재판(101)을 올려서 접거나 내려가 펼 수 있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4B and 4C, when the redemption hinge 104 is attached to the loading body 102 and the redemption plate 101 is coupled to the redemption hinge 104, And can be folded up or down by raising the dropping plate 101 as an axis.

적재판(101)을 수평하게 되도록 펼친 상태에서는 적재판(101)의 후단부가 적재바디(102)의 하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적재판 고정턱(103)과 맞닿음으로써 적재판(101)이 적재바디(102)에 대해 일정각도 이상을 펼쳐지지 않게 구성된다.The rear end of the redistral plate 10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distribution plate 103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end of the loading body 102 so that the redistribution plate 101 It is configured not to spread over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loading body 102. [

적재판(101)의 밑에는 적재판(101)을 펼친 상태에서 적재판(101)의 앞뒤 중간을 좌우로 가로지르는 적재판 바퀴 A(105)와, 적재판(101)을 펼친 상태에서 적재판(101)의 후단을 좌우로 가로지르는 적재판 바퀴 B(106)가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며 적재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적재판(101)이 수평하게 되도록 계단용 카트를 세워놓으면 적재판 바퀴 A(105)와 적재판 바퀴 B(106)가 동시에 지면에 닿게 되어 판금 구조의 적재판(101)의 바닥이 긁히는 것이 방지되며, 적재판 바퀴 A(105)와 적재판 바퀴 B(106)의 구르는 작용에 의해 계단용 카트를 세운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대로 카트를 이동시키기에 용이하기 때문에 마치 지게차가 화물의 밑에 포크를 집어 넣은 다음 물건을 들어올리는 것과 유사하게, 적재판(101)을 화물 밑에 넣은 다음 카트를 기울여서 물건을 적재판(101) 위에 싣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다.Below the loading plate 101, there are provided a red loading plate A 105 which horizontally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loading plate 101 in a state in which the loading plate 101 is opened, And a redistributing wheel B 106 which is disposed laterally across the rear end of the stacker 10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tacker 100 so that the stacker 101 is leveled, The enemy trial wheel A 105 and the red wheel B 106 are simultaneous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bottom of the enemy court 101 of the sheet metal structure is prevented from being scratched and the enemy trial wheel A 105 and the red wheel B It is easy to move the cart as it is while maintaining the stair trolley standing by the rolling action of the loader 106, so that the loading plate 101 can be moved in a similar manner as if the forklift puts the fork under the load, To the bottom of the cargo, then tilt the It can be easily loaded on the loading plate 101.

적재판 바퀴 A(105)와 적재판 바퀴 B(106)는 탄성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red wheel A (105) and the red wheel B (106)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또한, 적재판(101)의 좌우측 말단에는 적재판 고정블럭(107)이 구비된다. 적재부 펼침 상태(100B)를 기준으로 할 때, 적재판 고정블럭(107)의 하부는 적재판(101)의 상면 아래쪽 부위에 위치하고 적재판 고정블럭(107)의 상부는 적재판(101)의 상면 위로 돌출되며 걸고리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red-plate fixing block 107 is provided at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redirecting plate 101. The lower portion of the redistricting block 107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redistral plate 10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edistribution block 107 is positioned above the redistribution plate 101 And is configured to have a hook shape.

적재판 고정 가이드(108)는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고 적재판 고정블럭(107)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적재판 고정 가이드(108)를 위에서 아래로 눌러서 적재판 고정블럭(107)이 적재판 고정 가이드(108)의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적재판(101)을 위로 들어올려 접으면 적재판 고정블럭(107)의 돌출된 부분이 적재판 고정 가이드(108)의 구멍을 통과하며, 적재판 고정 가이드(108)를 누른 힘을 제거하면 적재판 고정 가이드(108)의 위치를 처음으로 되돌리는 스프링에 의해 적재판 고정 가이드(108)가 올라가서 적재판 고정블럭(107)의 걸고리 형태를 가진 부분이 적재판 고정 가이드(108)의 구멍 아래쪽 부분에 걸리게 되어 적재판(101)이 접힌 상태로 빠지지 않게 고정된다. 적재판(101)을 펼 때는 적재판 고정블럭(107)이 적재판 고정 가이드(108)의 구멍에서 빠질 수 있게 하면 되므로 적재판 고정 가이드(108)를 위에서 누르고 적재판(101)을 밀면 된다.The holding plate guide 108 is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nd has a hole through which the plate-holding block 107 can pass. When the target plate fixing guide 108 is pushed from the top down so that the target plate fixing block 107 can pass through the hole of the target plate fixing guide 108 and then the target plate 101 is lifted up and folded, When the protruded portion of the fixed block 107 passes through the hole of the red-plate fixing guide 108 and the force pressing the red-plate fixing guide 108 is removed, the position of the red-plate fixing guide 108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he portion of the red-plate fixing block 107 having the hook-shaped portion is caught by the lower portion of the hole of the red-plate fixing guide 108 by the spring so that the red-emitting plate 101 is folded It is fixed. When the redistribution plate 101 is opened, the redistribution plate 107 can be released from the hole of the redistribution guide 108. Therefore, the redistribution plate 101 can be pushed by pressing the redistribution guide 108 from above.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부(2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5A and 5B show the structure of the hand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부(200)는 적재된 물건 및 이동 상태에 따라 손잡이(201) 및 손잡이(201)와 연결되는 손잡이 연결부(204)를 손잡이 바디(202)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다음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The grip portion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otated in a desired direction with the grip body 202 as a rotational center by moving the grip 201 and the grip connection portion 204 connected to the grip 201 according to the loaded object and the moving state And then fixed.

손잡이 연결부(204)는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측면에서 보면 직각으로 구부러져서 일부는 앞쪽으로 뻗고 나머지 일부는 아래쪽으로 뻗는다. 손잡이(201)는 손잡이 연결부(204)와 일체로 형성되어 좌우 일직선 방향으로 뻗는 것으로서 ㅅ서로 평행하게 위아래로 두 개가 구비된다. 손잡이 연결부(204) 중 직각으로 구부러진 부분의 바로 아래쪽 부분이 손잡이 바디(202)와 힌지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로부터 손잡이(201) 및 손잡이 연결부(204)를 180°만큼 회전시키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손잡이(201) 및 손잡이 연결부(204)의 전방으로 뻗어있던 부분이 후방으로 뻗고 손잡이(201) 및 손잡이 연결부(204)의 하방으로 뻗어있던 부분이 상방으로 뻗게 된다.As shown in Fig. 5D,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204 is bent at a right angle in a side view, a part of which extends toward the front and the other part extends downward. The knob 20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knob connection portion 204 and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straight lines, and is provided with two upward and downward parallel to each other. A portion directly below the bent portion of the knob connection portion 204 is hinged to the knob body 202 to be rotat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n the handle 201 and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204 are rotated by 180 degrees from the state as shown in Fig. 5D, the front portion of the handle 201 and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204, as shown in Fig. 1, And a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andle 201 and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204 extends upward.

계단용 카트를 밀거나 끌어서 이동시킬 때 사용자는 계단용 카트를 비스듬하게 되도록 약간 눕혀야 한다. 계단용 카트를 평지에서 운행하거나 계단을 타고 내려올 때 사용자는 손잡이부(200)를 손잡이 B 상태(200B)로 하여 조작버튼A(205)와 조작버튼B(206)가 구비된 손잡이(201)를 잡고서 미는 것이 편리하다. 이렇게 하면 계단용 카트를 많이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하면서도 잡는 부위가 위쪽으로 돌출해 있어서 사용자가 몸을 굽히지 않고도 손잡이(201)를 편하게 붙든 상태에서 밀 수 있기 때문이다. 계단용 카트가 조금만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계단용 카트를 평지에서 미는 것이 힘들고, 계단을 타고 내려올 때는 손잡이(201)의 위치가 너무 낮게 되면 계단용 카트가 너무 많이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에 이와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pushing or moving a stair cart, the user must lay down the stair cart slightly to make it oblique. When the stair cart is operated on a flat surface or descended by a staircase, the user holds the handle 201 having the operation button A 205 and the operation button B 206 with the handle 200 as the state 200B It is convenient to hold and push. This is because the straddle cart is kept tilted and the gripping portion protrudes upward so that the user can push the gripping portion 201 while holding the grip 201 without bending the body. When the cart for the stairs is tilted slightly, it is difficult to push the cart for the stairs from the flat surface. When the position of the handle 201 is too low when the cart is descended by the stairs, the stair cart tilts too much. desirable.

한편, 계단용 카트를 계단에서 끌어올릴 때는 계단용 카트가 너무 많이 기울어지면 카트의 몸체가 계단이 이루는 턱에 닿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손잡이부(200)를 손잡이 C 상태(200C)로 하여 조작버튼C(207)와 조작버튼D(208)가 구비된 손잡이(201)를 잡고서 미는 것이 편리하다.Meanwhile, when the stair cart is pulled up from the stairs, when the stair cart tilts too much, the body of the cart tends to touch the jaw formed by the stair. In this case, the handle 200 is set in the handle C state 200C It is convenient to hold and push the handle 201 provided with the operation button C (207) and the operation button D (208).

손잡이 연결부(204)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하거나 회전되지 않게 고정된 상태로 하는 것은 손잡이 바디(202)의 양 말단부에 구비된 좌우 한 쌍의 손잡이 고정부(203)를 이용한다. 도 5f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손잡이 고정부 레버(203A)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빗면을 가진 쐐기와 같은 형태의 쐐기부재A(203C)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빗면을 가진 쐐기와 같은 형태의 쐐기부재B(203E)의 두 빗면이 서로 포개지면서 맞닿아 있게 되면 스프링의 미는 힘에 의해 쐐기부재B(203E)가 손잡이 고정부 레버(203A)가 있는 쪽으로 밀려나는데, 이 상태에서는 쐐기부재B(203E)와 결합되어 있는 결합핀들이 손잡이 바디(202)의 양 말단부에 형성된 결합핀 구멍 및 쐐기부재B(203E)와 손잡이 바디(202) 사이에 위치하는 손잡이 연결부(204)와 일체로 형성된 힌지부(204A)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핀 구멍들로부터 빠진 상태가 되어 손잡이부(200)를 손잡이 바디(202)에 대해 돌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The pair of left and right handle fastening portions 203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body 202 are used to turn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204 in a rotatable state or in a non-rotatably fixed state. As shown in FIG. 5F, a wedge member A (203C) in the form of a wedge having a beveled surface coupled with the handle fixing lever 203A and rotating together, and a wedge-shaped The wedge member B 203E is pushed to the side of the handle holding member 203A by the pushing force of the spring. In this state, the wedge member B (203E) The engaging pins coupled to the handle 203E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engaging pin hole form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body 202 and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204 located between the wedge member B 203E and the handle body 202. [ The grip portion 200 is in a state of being disengaged from the engaging pin holes provided in the grip portion 204A so that the grip portion 20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grip body 202. [

한편, 손잡이 고정부 레버(203A)를 잡고 반바퀴 돌리면 도 5g에 도시된 것과 같이, 쐐기부재A(203C)와 쐐기부재B(203E)의 뾰족한 끝부분들이 서로 닿게 되면서 쐐기부재A(203C)가 쐐기부재B(203E)를 밀어냄으로써 쐐기부재B(203E)와 결합되어 있는 결합핀들이 손잡이 바디(202)의 양 말단부에 형성된 결합핀 구멍 및 힌지부(204a)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핀 구멍에 끼워진 상태가 됨으로써 손잡이부(200)를 손잡이 바디(202)에 대해 돌릴 수 없게 됨으로써 손잡이부(200)가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olding lever 203A is held and rotated half a turn, as shown in Fig. 5G, the wedge members A (203C) and the wedge members B (203E) The engagement pins engaged with the wedge member B 203E by pushing the wedge member B 203E are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pin holes formed at the both end portions of the handle body 202 and the engagement pin holes provided in the hinge portion 204a The grip portion 200 can not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grip body 202, so that the grip portion 200 is fixed.

손잡이(201)의 상측에는 조작버튼A(205), 조작버튼B(206)를 구비하여 사용하고 사용상 편리를 위하여 손잡이 위치를 손잡이 C 상태(200C)가 되도록 변경할 경우를 대비하여 손잡이(201)의 하측에는 조작버튼C(207), 조작버튼D(208)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버튼A(205) 및 조작버튼B(206)와 조작버튼C(207) 및 조작버튼D(208)는 기능은 동일한 것으로서 손잡이의 위치 변경에 따라 쉽게 작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조작버튼A(205) 대신 조작버튼C(207)를 사용할 수 있고, 조작버튼B(206) 대신 조작버튼D(208)를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 handle 201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A 205 and an operation button B 206 on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201. In order to change the handle position to the handle C state 200C for convenience of use, And an operation button C (207) and an operation button D (208)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The operation buttons A 205 and the operation buttons B 206 and the operation buttons C 207 and the operation buttons D 208 are the same in function and operate the operation buttons A 205 The operation button C 207 can be used instead of the operation button B 206, and the operation button D 208 can be used instead of the operation button B 206.

각각의 조작버튼의 기능은 다양한 조합으로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버튼 A(205)는 상승 버튼으로 하고, 조작버튼 B(205)는 하강 버튼으로 할 수 있다.상승 버튼을 누르면 계단 구동부(500)가 상승 운동을 하고 하강 버튼을 누르면 계단 구동부(500)가 하강 운동을 한다. 또는 조작버튼 A(205)는 상승 또는 하강을 선택하는 버튼으로 하고, 조작버튼 B(205)는 자동 운동 또는 수동 운동을 선택 및 작동하는 버튼으로 할 수 있다. 조작버튼의 개수를 필요에 따라 늘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operation buttons can be produced in various combinations. For example, the operation button A 205 may be an up button and the operation button B 205 may be a down button. When the up button is depressed, the up and down button is pressed, 500) moves downward. Alternatively, the operation button A 205 may be a button for selecting an upward or downward movement, and the operation button B 205 may be a button for selecting and operating an automatic movement or a manual movemen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number of operation buttons can be increased as needed.

손잡이 바디(202)를 밑에서 지지하며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는 좌측 손잡이 프레임(209)과 우측 손잡이 프레임(210)이 좌우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며, 좌측 손잡이 프레임(209)의 우측면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좌측 손잡이 프레임 홀(209A)가 형성되고, 우측 손잡이 프레임(210)의 좌측면에는 좌측 손잡이 프레임 홀(209A)가 마주 보는 위치에 다수 개의 우측 손잡이 프레임 홀(210A)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된다. 좌측 손잡이 프레임 홀(209A)과 우측 손잡이 프레임 홀(210A)은 손잡이부(2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A left knob frame 209 and a right knob frame 210 which are extended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ich support the knob body 202 from below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left and right sides, A plurality of right knob frame holes 209A are formed at intervals so that a plurality of right knob frame holes 210A are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right knob frame 210 at positions facing the left knob frame holes 209A, A plurality of spacers are formed at intervals. The left knob frame hole 209A and the right knob frame hole 210A are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knob 200.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디부(30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으며 바디부(300)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하측바디(301)와, 하측바디(301)의 좌측단부와 결합하여 상방으로 길게 뻗는 좌측 바디프레임(302)과, 하측바디(301)의 우측단부와 결합하여 상방으로 길게 뻗는 우측 바디프레임(303)과, 좌측 바디프레임(302)의 상단부와 우측 바디프레임(303)의 상단부와 연결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뻗는 상측바디(304)로 구성된다. 상측바디(304)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 각각에는 상측 바디홀(304A)이 구비되어 있어서 왼쪽 상측 바디홀(304A)에는 좌측 손잡이 프레임(209)이 들어가고 오른쪽 상측 바디홀(304B)에는 우측 손잡이 프레임(210)이 들어가도록 구성된다.2 and 3, the body 300 includes a lower body 301 which ext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forms a lower end of the body 300, and a lower body 301 which is coupled to the left end of the lower body 301 A right body frame 303 extending upwardly in engagement with the right end of the lower body 301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left body frame 302 and a right body frame 303 And an upper body 304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body. The left body frame 304A is provided with a left handle frame 209 and the right upper body hole 304B is provided with a right body frame 304A. (210).

또한 바디부(3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측바디(304)의 상면에 구비되는 핸들 손잡이(307)를 회전시키면, 바디부(300) 내의 핸들(306)이 좌측 핸들핀(308)과 우측 핸들핀(309)을 동시에 안쪽으로 모이게 하여 좌측 핸들핀(308)과 우측 핸들핀(309)과 핸들(306)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부분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좌측 핸들핀(308)과 우측 핸들핀(309)이 안쪽으로 움직이게 되면 좌측 핸들핀(308)은 좌측 손잡이 프레임 홀(209A)에서 빠지고 우측 핸들핀(309)은 우측 손잡이 프레임 홀(210A)에서 빠져서 좌측 바디프레임(302)과 우측 바디프레임(303)을 상하로 움직일 수 있고, 핸들 손잡이(307)를 반대로 회전시켜서 좌측 핸들핀(308)과 우측 핸들핀(309)이 모두 바깥쪽으로 이동하면 좌측 핸들핀(308)은 좌측 손잡이 프레임 홀(209A)에 삽입되고 우측 핸들핀(309)은 우측 손잡이 프레임 홀(210a)에 삽입됨으로써 손잡이부(200)가 바디부(300)에 대하여 고정된다.When the handle 307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304 is rotated so as to be operable externally on the body 300, the handle 306 in the body 300 is moved to the left handle pin 308 and the right handle pin 309 are concurrently gathered inward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left handle pin 308 and the right handle pin 309 are connected to the handle 306. In this way, The left handle pin 308 is disengaged from the left handle frame hole 209A and the right handle pin 309 is disengaged from the right handle frame hole 210A so that the left handle frame 308 and the right handle pin 309, When the left handle pin 308 and the right handle pin 309 are moved outward by turning the handle knob 307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rotating the handle 307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left handle pin 308 Is inserted into the left knob frame hole 209A, The side handle pin 309 is inserted into the right knob frame hole 210a so that the knob portion 200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300. [

또한, 상측바디(304)에는 배터리가 내장되는데, 내장된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바꾸기 위해서 상측바디(304)의 뒤쪽에는 배터리 덮개(305)가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battery is incorporated in the upper body 304. A battery cover 305 is disposed behind the upper body 304 to replace or replace the built-in battery.

도 7a 및 도 7b와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의한 계단 구동부(500)를 나타낸다.Figs. 7A and 7B and Figs. 8A to 8C show a step driving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계단 구동부(500)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퀴(400)의 영역 내에 있다가 계단 주행시에는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행암(502)의 후단부와 결합된 계단구동바퀴(501)가 부채꼴을 그리면서 움직여 바퀴(400)의 영역 바깥까지 나갔다가 들어오게 된다.The step drive unit 500 is located within the region of the wheel 400 as shown in FIG. 8A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is engaged with the rear end of the travel arm 502 as shown in FIGS. 8B and 8C The stepped driving wheel 501 moves in a fan shape to the outside of the area of the wheel 400 and then comes in.

계단을 올라갈 때는 계단구동바퀴(501)가 도 8c에 도시된 계단 상승 방향(500I)을 따라 움직이며, 계단을 내려갈 때는 계단구동바퀴(501)가 도 8c에 도시된 계단 하강 방향(500J)을 따라 움직인다.When the stairs are to be climbed, the stair driving wheel 501 moves along the stair climbing direction 500I shown in Fig. 8C and the stair driving wheel 501 moves down the stair climbing direction 500J shown in Fig. 8C Move along.

계단구동바퀴(501)의 중심이 500A, 500B, 500C, 500D에 위치할 때는 제1 계단구동바디(503)가 바깥으로 펼쳐져서 계단구동바퀴(501)가 바퀴(401)의 영역 밖으로 돌출하여 호를 그리는 선을 따라 이동하고, 계단구동바퀴(501)의 중심이 500E, 500F, 500G, 500H에 위치할 때는 바퀴(401) 영역 내에 들어오도록 접혀져서 바퀴축 중심의 오른편에 위치하면서 이동된 후 다시 계단 상승 또는 계단 하강을 위해서 계단을 지지하고 주행하기 위해 바깥으로 펼쳐지는 동작을 준비하도록 구성된다.When the center of the step-driving wheel 501 is positioned at 500A, 500B, 500C, and 500D, the first-step driving body 503 is unfolded outward so that the step-driving wheel 501 protrudes out of the region of the wheel 401, When the center of the step-driving wheel 501 is located at 500E, 500F, 500G, 500H, it is folded so as to enter the area of the wheel 401, moved to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of the wheel axis, And is configured to prepare for an outward deployment to support and run the stairs for stair climbing or stair climbing.

또한, 이러한 부채꼴 궤적을 만들기 위하여 제2 계단구동바디(504)의 주행암(502)과의 결합지점이 그리는 궤적(500L)과 제1 계단구동바디(503)의 주행암(502)과의 결합지점이 그리는 궤적(500K)이 한쪽 끝에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make such a fan-shaped trajectory, a combination of a trajectory 500L drawn by a point of engagement of the second stepped driving body 504 with the traveling arm 502 and a coupling between the traveling arm 502 of the first stepped driving body 503 The trajectory drawn by the point (500K) is configured to engage at one end.

동력원인 모터(600)와 연결된 주행 동력축(503A)의 양 말단에 한 쌍의 제1 계단구동바디(503)가 결합하여 제1 계단구동바디(503)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구동축(503B)이 제1 계단구동바디(503)와 주행암(502)을 서로 연결하며, 보조구동축(504B)이 주행암(502)과 제2 계단구동바디(504)를 서로 연결한다. 회전축(504A)의 양 말단에는 한 쌍의 제2 계단구동바디(504)가 결합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계단구동바퀴(501)와 주행암(502), 제1 계단구동바디(503)와 제2 계단구동바디(504)로 구성된 조합체가 좌우로 한 쌍이 평형을 이루며 설치되며, 구동축(503B)과 회전축(504A)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설치된다.A pair of first stepped driving bodies 503 are coupled to both ends of a driving power shaft 503A connected to a motor 600 as a power source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stepped driving body 503, The first step driving body 503 and the driving arm 50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auxiliary driving shaft 504B connects the driving arm 502 and the second step driving body 504 to each other. A pair of second step driving bodies 504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504A. As shown in FIGS. 7A and 7B, a combination of a step drive wheel 501 and a traveling arm 502, a first stepped drive body 503, and a second stepped drive body 504, And is installed symmetrically with the driving shaft 503B and the rotating shaft 504A interposed therebetween.

제2 구동바디(504)의 양 말단부 각각에는 돌출구(504C)가 형성되며, 제1 계단구동바디(503)의 양 말단부 각각에는 상기 돌출구(504C)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구홈(503C)이 형성된다.A protrusion 504C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driving body 504 and protrusion grooves 503C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tep driving body 503 so that the protrusion 504C can be inserted do.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계단구동바디(503)와 제2 계단구동바디(504)의 한쪽 끝이 서로 맞물리면서 일렬로 연달아 길게 위치한 상태일 때, 돌출구(504C)가 돌출구홈(503C)에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주행 동력축(503A)의 구동에 의하여 돌출구홈(503C)이 위쪽으로 돌면 이와 맞물려있는 돌출구(504C) 역시 위쪽으로 돌고, 구동축(503B)의 구동에 의하여 돌출구홈(503C)이 아래쪽으로 돌면 이와 맞물려있는 돌출구(504C) 역시 아래쪽으로 돌게 됨으로써 제2 계단구동바디(504)의 회전 방향이 정해지게 된다. 도 8c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 계단구동바디(503)와 제2 계단구동바디(504)는 측면 방향에서 볼 때 항상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8A, when one end of the first step-driving body 50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ep-driving body 504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a line, the protrusion 504C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groove 503C The protrusion 504C engaging with the protrusion 503C is also upwardly moved and the protrusion 503C is driven by the drive shaft 503B. The projecting portion 504C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also rotates downward so tha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step driving body 504 is determined. As shown in FIG. 8C, the first stepped driving body 503 and the second stepped driving body 504 are always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viewed from the side direction.

도 8a와 같은 상태로부터 구동축(503B)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계단구동바디(50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계단구동바디(504)는 돌출구(504C)의 작용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축(503B)과 회전축(504A)은 계단구동부(500)의 모터케이스(60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모터케이스(603) 상에서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자전 운동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계단구동바디(503)는 구동축(503B)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제2 계단구동바디(504)는 회전축(504B)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8A, when the driving shaft 503B rotates clockwise and the first step-driving body 503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step-driving body 504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the action of the protrusion 504C . Since the driving shaft 503B and the rotating shaft 504A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motor case 603 of the step driving part 500 so that the position on the motor case 603 can be rotated only in a fixed state, The driving body 503 rotates about the driving shaft 503B and the second step driving body 504 rotates around the rotating shaft 504B.

이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행암(502)의 중심부는 구동축(503B)의 상승에 의해 올라가고 주행암(502)의 전단부는 보조구동축(504B)의 하강에 의해 내려감으로써 주행암(502)은 계단구동바퀴(501)의 중심이 상승시 원점(500A)에 도달할 때까지 급작스럽게 세워지게 된다. 그런 다음 제1 계단구동바디(503)가 바깥으로 펼쳐져서 계단상승방향(500I)을 따라 움직이면서 계단구동바퀴(501)가 윗 계단을 짚은 상태에서 카트 전체를 위로 들어올리는 힘을 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이 주행암(502)의 중심부를 내려주면서 주행암의 전단부는 올려주는 힘이 주행암(502)의 두 군데에서 동시에 가해지기 때문에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만 회전하면서 계단을 오르는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비해 월등하게 힘의 사용이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다.The center of the travel arm 502 is raised by the rise of the drive shaft 503B and the front end of the travel arm 502 is lowered by the descent of the auxiliary drive shaft 504B, When the center of the step-driving wheel 501 reaches the home position 500A, it is suddenly erected. Then, the first stepped driving body 503 is unfolded outward and moves along the step-up direction 500I, so that the step-driving wheel 501 applies a force to lift the entire cart upward while straddling the upper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orce for raising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traveling arm is applied simultaneously to two portions of the traveling arm 502 while lower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traveling arm 502, It is advantageous that the use of the force is superior to that of the apparatus configured to apply the force.

계단구동바퀴(501)의 중심이 500C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제2 계단구동바디(504)가 반바퀴 회전하여 다시 제2 계단구동바디(504)의 돌출구(504C)가 제1 계단구동바디(503)의 돌출구홈(503C)에 삽입되며 계단구동바퀴(501)의 진행 방향은 계속적으로 유지된다.When the center of the step drive wheel 501 is positioned at 500C, the second step driving body 504 rotates a half turn so that the protrusion 504C of the second step driving body 504 is moved to the first step driving body 503, And the proceeding direction of the step-driving wheel 501 is continuously maintained.

계단구동바퀴(501)가 가장 밑인 500E까지 내려온 다음에는 계단구동바퀴(501)가 바퀴(400)의 영역 내에서 급격하게 올라가는 운동을 한다. The step-driving wheel 501 moves downward to the lowest position 500E, and the step-driving wheel 501 moves in the area of the wheel 400 rapidly.

계단을 내려가는 경우에는 주행 동력축(503A)이 위의 경우와 반대쪽 방향으로 회전되며, 계단구동바퀴(500)는 계단하강방향(500J)을 따라 이동한다.When descending the step, the driving power shaft 503A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bove, and the step-driving wheel 500 moves along the step-down direction 500J.

계단을 주행할 때 계단구동바퀴(501)가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채꼴 모양으로 궤적을 이루면서 계단을 주행함으로써 비교적 좁은 계단을 주행하는 데 있어서 계단구동바퀴(501)의 구동 폭이 최적화되어 있다.The driving width of the step-driving wheels 501 is optimized in driving the step-driving wheels 501 in relatively narrow steps by running the steps in a staggered path as shown in Fig. 8C .

계단구동바퀴(501)의 원점 설정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계단구동바퀴(501)의 원점은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상승시 원점(500A)이고 다른 하나는 하강시 원점(500C)이다. 상승시 원점(500A)은 계단을 올라갈 때 계단을 딛으려고 움직일 필요가 없을 때 계단구동바퀴(501)가 멈춰있는 지점을 말하며, 계단구동바퀴(501)는 이 상태에 멈춰있으면서 다음 구동을 기다리게 된다. 또한, 하강시 원점(500D)은 계단을 내려갈 때 계단을 딛으려고 움직일 필요가 없을 때 계단구동바퀴(501)가 멈춰있는 지점을 말하며, 계단구동바퀴(501)는 이 상태에 멈춰있으면서 다음 구동을 기다리게 된다The setting of the origin of the step drive wheel 501 is as follows. There are two origin points of the step-driving wheel 501, one of which is the origin 500A and the other of the origin is the origin 500C when descending. The home position 500A is a point at which the step drive wheel 501 stops when the step 500A does not need to move to step up when the step is ascended and the step drive wheel 501 stops in this state and waits for the next drive . The origin 500D is a point where the stair driving wheel 501 stops when the stair driving wheel 501 does not need to move to step up when the stair is descending. The stair driving wheel 501 stops in this state, I will wait.

회전축(504A)이 회전하면 회전축(504A)에 고정되어 있고,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상승원점디스크(505A)와 하강원점디스크(505B)가 같이 회전되는데, 상승원점디스크(505A)와 하강원점디스크(505B) 각각에는 슬릿(slit)이 형성되어 있어서 슬릿이 지날 때 센서가 슬릿이 지나는 순간을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승원점디스크(505A)의 운동을 감지하는 센서는 상승원점센서(505C)이고, 하강원점디스크(505B)의 운동을 감지하는 센서는 하강원점센서(505D)로서, 계단 상승모드에서는 상승원점센서(505C)가 회전하는 상승원점디스크(505A)의 슬릿을 감지하면 신호를 보냄으로써 계단구동바퀴(501)를 계단상승 원점부(500A)에 위치시키며, 계단 하강모드에서는 하강원점센서(505D)가 회전하는 하강원점디스크(505B)의 슬릿을 감지하면 신호를 보냄으로써 계단구동바퀴(501)를 계단하강 원점부(500D)에 위치시킨다.When the rotating shaft 504A is rotated, the rising home disk 505A and the falling home disk 505B, which are fixed to the rotating shaft 504A and arranged in paralle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re rotated together. And the descending origin disc 505B are each formed with a slit so that the sensor can detect the moment when the slit passes when the slit passes. The sensor for sensing the motion of the ascending origin disk 505A is the ascending origin sensor 505C and the sensor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descending origin disk 505B is the descending origin sensor 505D, The descending origin sensor 505D is rotated in the step descending mode by placing the step driving wheel 501 in the step rising descent part 500A by sending a signal when detecting the slit of the ascending origin disk 505A, When the slit of the descending origin disk 505B is sensed, a signal is sent to place the step driving wheel 501 at the step descending origin 500D.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계단 구동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모터축(601)이 구비된 모터(600)는 수직한 모터축(601)의 회전을 웜기어세트(602)가 수평 회전으로 전환하며, 이 회전력이 주행 동력축(503A)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6, the motor 600 having the motor shaft 601 used as a step-driving power source converts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motor shaft 601 to the horizontal rotation of the worm gear set 602, The rotational force is configured to rotate the driving power shaft 503A.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퀴(400)는 좌측 바퀴(400L)와 우측 바퀴(400R) 한 쌍이 구비되며, 좌측 바퀴(400L)와 우측 바퀴(400R)는 동일하게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wheel 400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wheels 400L and 400R, and the left and right wheels 400L and 400R are constructed as follows.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퀴(400)는 계단(412)의 모서리를 바퀴(400)가 넘어서면 바퀴(400)에 제동이 가해지는 구성을 가진다. 바퀴(400)가 계단(412)의 모서리를 넘어서 바퀴(400)가 떨어지려고 할 때 바퀴(400)가 계속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바퀴(400)가 계단을 내려오면서 계속적으로 굴러서 카트 전체가 계단에서 굴러 떨어지는 상황을 막을 수가 없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계단 모서리나 높은 턱에서 바퀴가 내려올 때 자동으로 바퀴(400)의 회전을 멈추게 하면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wheel 40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heel 400 is braked when the wheel 400 is over the edge of the step 412. When the wheel 400 keeps the state in which the wheel 400 can continue to rotate when the wheel 400 tries to fall off the edge of the step 412 and the wheel 400 is about to fall, the wheel 400 continuously rolls down the step, It is dangerous to prevent the wheel 400 from falling off the stairs.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by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wheel 400 automatically when the wheel comes down from a corner of a staircase or a tall as in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에 따른 바퀴(400)의 구성에 따르면, 회전하지 않는 브레이크 바퀴(402)가 계단(412)의 모서리 위에 거치되면서 브레이크 바퀴(402)가 계단(412)을 디디는 힘이 발생하고, 바퀴축(401)을 중심으로 브레이크 감지 바디(404)가 도 10를 기준으로 할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축(406)은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wheel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rotating brake wheel 402 is mounted on the edge of the step 412 to generate a force for the brake wheel 402 to depress the step 412, When the brake detection body 404 is rotated about the axis 401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As a result, the brake shaft 406 descends downward.

브레이크 축(406)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브레이크 바디(407)는 브레이크 축(406)과 결합된 앞쪽 부위는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받게 되고, 브레이크 관절 고정축(410)에 의해 브레이크 감지 바디(404)와 연결된 브레이크 관절 바디(409)도 브레이크 바디(407)의 뒤쪽 부분의 하단부를 붙잡고 있는데, 바퀴축(401)을 중심으로 볼 때 브레이크 축(406)이 하강하면 브레이크 관절 축(408)은 상승하게 되므로 브레이크 바디(407)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브레이크 바디(407)의 앞쪽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바퀴의 외면과 약간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어있던 브레이크 디스크(411)가 바퀴(400) 외주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바퀴에 제동을 가하게 된다. 바퀴(400)가 다음 계단으로 완전히 내려가서 브레이크 바퀴(402)가 계단 모서리에 의해 간섭을 받는 것이 해소되면 브레이크 바퀴(402)는 바퀴축(401)에 감겨있는 브레이크 원점유지 스프링(405)의 탄성에 의해 원상복귀되어 지면에 가까이 되도록 내려간다.The brake body 407 rotatably connected to the brake shaft 406 is subjected to a pulling force of the front side coupled with the brake shaft 406 and is pulled downward by the brake joint fixing shaft 410, The brake joint body 409 connected to the brake shaft 407 catche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brake body 407. When the brake shaft 406 descends as viewed from the wheel axis 401, The brake body 407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ccordingly, the brake disc 407 is fixed to the front upper end of the brake body 407 and ext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a slight distan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411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400 to apply braking to the wheel. When the wheel 400 is completely lowered to the next step so that the brake wheel 402 is prevented from being interfered by the edge of the step, the brake wheel 402 is restrained by the elasticity of the brake origin point holding spring 405 wound on the wheel shaft 401 And then descends so as to be close to the ground surface.

브레이크 장치와 관련하여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브레이크 감지 바디(404)가 바퀴축(401)으로부터 앞쪽으로 뻗어있으며, 평지를 갈 때는 회전하지 않는 브레이크 바퀴(402)가 지면에 닿아서 지면에 의해 위쪽으로 힘을 받고 있다가 브레이크 바퀴(402)가 계단의 모서리를 넘으면 바퀴축(401)에 감긴 브레이크 원점유지 스프링(405)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여서 내려가게 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not shown in relation to the brake apparatus, the brake sensing body 404 extends forward from the wheel axle 401 and the brake wheel 402, which does not rotate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on a flat surface, And when the brake wheel 402 passes over the edge of the step, it is mov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the brake origin point holding spring 405 wound on the wheel shaft 401. As a result,

이로 인해 브레이크 감지 바디(404)의 상단부와 결합된 브레이크 축(406)은 올라가게 되어 브레이크 축(406)과 결합된 브레이크 바디(407A)는 아래쪽 후단부가 위로 밀어올려지는 한편, 브레이크 관절축(408)과 결합된 브레이크 바디(407A)의 아래쪽 전단부는 브레이크 관절 바디(409)의 상단부에 있는 브레이크 관절축(408)이 내려가기 때문에 함께 내려감으로써 브레이크 바디(407A)가 전체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브레이크 바디(407A)의 후단부의 상단부에 결합된 브레이크 디스크(411)가 상승하다가 턱이 져서 돌출되어 있는 바퀴(400)의 내주면과 닿게 되면 마찰을 일으켜서 바퀴(400)를 제동하게 된다.As a result, the brake shaft 406 coupled with the upper end of the brake sensing body 404 is raised so that the lower rear end of the brake body 407A coupled with the brake shaft 406 is pushed up, while the brake shaft 408 The lower front end of the brake body 407A coupled to the brake body 407A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brake joint shaft 408 at the upper end of the brake joint body 409 downward so that the brake body 407A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s a whole, When the brake disc 411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body 407A rises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ed wheel 400, the wheel 400 is braked by friction.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적재부 100A : 적재부 접이 상태
100B : 적재부 펼침 상태 101 : 적재판
102 : 적재바디 103 : 적재판 고정턱
104 : 적재판 경첩 105 : 적재판 바퀴A
106 : 적재판 바퀴B 107 : 적재판 고정블럭
108 : 적재판 고정 가이드 200 : 손잡이부
200A : 손잡이 A 상태 200B : 손잡이 B 상태
200C : 손잡이 C 상태 201 : 손잡이
202 : 손잡이 바디 203 : 손잡이 고정부
203a : 손잡이 고정부 레버 203c : 쐐기부재 A
203e : 쐐기부재 B 204 : 손잡이 연결부
204A : 힌지부 205 : 조작버튼A
206 : 조작버튼B 207 : 조작버튼C
208 : 조작버튼D 209 : 좌측 손잡이 프레임
209A : 좌측 손잡이 프레임 홀 210 : 우측 손잡이 프레임
210A : 우측 손잡이 프레임 홀 300 : 바디부
301 : 하측바디 302 : 좌측 바디프레임
303 : 우측 바디프레임 304 : 상측바디
304A : 왼쪽 상측바디홀 304B : 오른쪽 상측바디홀
305 : 배터리 덥개 306 : 핸들
307 : 핸들 손잡이 308 : 좌측 핸들 핀
309 : 우측 핸들 핀 310 : 배터리 덮개 경첩
311 : 배터리 400 : 바퀴
400L : 좌측 바퀴 400R : 우측 바퀴
401 : 바퀴 축 402 : 브레이크 바퀴
404 : 브레이크 감지 바디 405 : 브레이크 원점유지 스프링
406 : 브레이크 축 407, 407A : 브레이크 바디
408 : 브레이크 관절 축 409 : 브레이크 관절 바디
410 : 브레이크 관절 고정축 411 : 브레이크 디스크
412 : 계단 500 : 계단 구동부
500A : 상승시 원점 500C : 하강시 원점
500I : 계단 상승 방향 500J : 계단 하강 방향
500K : 제1 계단구동바디 반시계방향
500L : 제2 계단구동바디 시계방향
501 : 계단 구동 바퀴 502 : 주행암
503 : 제1 계단 구동 바디 503A : 주행 동력축
503B : 구동축 503C : 돌출홈
504 : 제2 계단 구동 바디 504A : 회전축
504B : 보조 구동축 504C : 돌출구
505A : 상승 원점 디스크 505B : 하강 원점 디스크
505C : 상승 원점 센서 505D : 하강 원점 센서
600 : 모터 601 : 모터축
602 : 웜기어 세트 603 : 모터 케이스
100: stacking part 100A: stacking part folding state
100B: Loading part spread state 101: Reduction trial
102: Loading body 103:
104: Reduction plate hinge 105: Reduction plate wheel A
106: Redistribution wheel B 107: Redistribution block
108: Redirecting plate guide 200: Handle
200A: Handle A state 200B: Handle B state
200C: Handle C state 201: Handle
202: Handle body 203: Handle fixing part
203a: Handle fixing lever 203c: Wedge member A
203e: Wedge member B 204: Handle connection
204A: Hinge section 205: Operation button A
206: Operation button B 207: Operation button C
208: Operation button D 209: Left handle frame
209A: Left knob frame hole 210: Right knob frame
210A: right knob frame hole 300: body part
301: lower body 302: left body frame
303: right body frame 304: upper body
304A: upper left body hole 304B: upper right body hole
305: Battery compartment cover 306: Handle
307: handle handle 308: left handle pin
309: Right handle pin 310: Battery cover hinge
311: Battery 400: Wheel
400L: left wheel 400R: right wheel
401: Wheel axis 402: Brake wheel
404: Brake detection body 405: Brake origin retention spring
406: Brake shaft 407, 407A: Brake body
408: Brake joint shaft 409: Brake joint body
410: Brake joint fixed shaft 411: Brake disk
412: step 500: step driving part
500A: Origin when rising 500C: Origin when descending
500I: Up direction of stairs 500J: Down direction of stairs
500K: 1st step driving body counterclockwise
500L: 2nd stair drive body clockwise
501: Stair drive wheel 502: Running arm
503: first-step driving body 503A: driving power shaft
503B: drive shaft 503C: projecting groove
504: second step driving body 504A:
504B: auxiliary drive shaft 504C:
505A: rising origin disk 505B: falling origin disk
505C: Increasing origin sensor 505D: Decreasing origin sensor
600: motor 601: motor shaft
602: Worm gear set 603: Motor case

Claims (5)

삭제delete 상부에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의 좌우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바퀴와,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 전면부에 구비되는 적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바디부와 결합하는 손잡이 바디;
상기 손잡이 바디와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연결부;
상기 손잡이 연결부의 상부와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 연결부와 함께 회전되는 상부 손잡이;
상기 손잡이 연결부의 하부와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 연결부와 함께 회전되는 하부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 연결부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하거나 고정된 상태로 하기 위한 손잡이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 연결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손잡이보다 아래에 있던 상기 하부 손잡이가 상기 상부 손잡이보다 위로 갈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 연결부는 측면에서 볼 때 직각으로 구부러져서 일부는 앞쪽으로 뻗고 나머지 일부는 아래쪽으로 뻗으며,
상기 상부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 연결부의 앞쪽으로 뻗은 부분의 전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하부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 연결부의 아래쪽으로 뻗은 부분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카트의 손잡이.
A pair of wheels rotatably provid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loading portion provided on a front portion of a lowe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handle portion
A handle bod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 handle connecting part which is coupled to the handle body so as to be hinge-movable so as to be rotatable in an up-and-down direction and a back-and-forth direction;
An upper handl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connection portion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handle connection portion;
A lower handl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connection portion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handle connection portion; And
And a handle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knob connection part to turn the knob connection part into a rotatable state or a fixed state,
The lower knob which is lower than the upper knob by the rotation of the knob connection portion is configured to go above the upper knob,
The handle connection portion is bent at a right angle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a part of the handle connection portion extends to the front side,
Wherein the upper handle is coupled to a front end portion of a portion extending forward of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And the lower knob engages with a lower end portion of a portion extending downward of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손잡이 및 상기 하부 손잡이는 좌우 방향으로 뻗은 봉 형태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카트의 손잡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pper handle and the lower handle are rod-shaped members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상부에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의 좌우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바퀴와,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 전면부에 구비되는 적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바디부와 결합하는 손잡이 바디;
상기 손잡이 바디와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연결부;
상기 손잡이 연결부의 상부와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 연결부와 함께 회전되는 상부 손잡이;
상기 손잡이 연결부의 하부와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 연결부와 함께 회전되는 하부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 연결부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하거나 고정된 상태로 하기 위한 손잡이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 연결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손잡이보다 아래에 있던 상기 하부 손잡이가 상기 상부 손잡이보다 위로 갈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 바디의 말단부에는 결합 핀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돌릴 수 있는 손잡이 고정부 레버;
상기 손잡이 고정부 레버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빗면을 가진 쐐기와 같은 형태의 쐐기부재A;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빗면을 가진 쐐기와 같은 형태의 쐐기부재B;
상기 쐐기부재B와 결합되는 결합핀; 및
상기 쐐기부재B와 상기 손잡이 바디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손잡이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결합핀 구멍이 형성된 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쐐기부재A의 빗면과 상기 쐐기부재B의 빗면이 서로 포개지면서 맞닿아 있게 되면 상기 스프링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쐐기부재B가 상기 손잡이 고정부 레버가 있는 쪽으로 밀려나며 상기 결합핀이 상기 손잡이 바디의 결합핀 구멍 및 상기 힌지부의 결합핀 구멍에서 빠진 상태가 되어 상기 손잡이 연결부를 돌릴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손잡이 고정부 레버를 돌리면 상기 쐐기부재A가 상기 쐐기부재B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결합핀이 상기 손잡이 바디의 결합핀 구멍 및 상기 힌지부의 결합핀 구멍에 끼워진 상태가 되어 상기 손잡이 연결부가 상기 손잡이 바디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카트의 손잡이.
A pair of wheels rotatably provid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loading portion provided on a front portion of a lowe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handle portion
A handle bod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 handle connecting part which is coupled to the handle body so as to be hinge-movable so as to be rotatable in an up-and-down direction and a back-and-forth direction;
An upper handl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connection portion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handle connection portion;
A lower handl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connection portion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handle connection portion; And
And a handle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knob connection part to turn the knob connection part into a rotatable state or a fixed state,
The lower knob which is lower than the upper knob by the rotation of the knob connection portion is configured to go above the upper knob,
An engaging pin hole is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handle body,
Wherein the handle-
A handle fixing lever which can be turn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the back-and-forth direction;
A wedge member A in the form of a wedge having an oblique surface rotated together with the handle fixing lever;
A wedge member B shaped like a wedge,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and having an oblique surface;
An engaging pin engaging with the wedge member B; And
And a hinge unit rotatably fitted between the wedge member B and the handle body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le connection unit and having a coupling pin hole,
When the beveled surface of the wedge member A and the beveled surface of the wedge member B overlap each other and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wedge member B is pushed to the side of the handle holding member lever by the pushing force of the spring, The engaging pin hole of the hinge portion and the engaging pin hole of the hinge portion are missing,
The wedge member A pushes the wedge member B so that the engaging pi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in hole of the handle body and the engaging pin hole of the hinge portion so that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handle body Wherein the handle of the stair cart is configured to be fix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계단에서의 자동 주행을 위한 계단 구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손잡이 및 상기 하부 손잡이 각각에는 상기 계단 구동부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카트의 손잡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dy part is provided with a step-driving part for automatic running at the step,
Wherein each of the upper handle and the lower handle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for operating the operation of the step driving unit.
KR1020150017130A 2014-04-07 2015-02-04 Handle of cart for stairs KR1017015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0972 2014-04-07
KR1020140040969 2014-04-07
KR20140040969 2014-04-07
KR1020140040972 2014-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382A KR20150116382A (en) 2015-10-15
KR101701591B1 true KR101701591B1 (en) 2017-02-01

Family

ID=5435696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184A KR101581157B1 (en) 2014-04-07 2015-01-15 Cart for stairs
KR1020150015862A KR101701590B1 (en) 2014-04-07 2015-02-02 Braking system of cart for stairs
KR1020150017132A KR101701592B1 (en) 2014-04-07 2015-02-04 Cargo base of cart for stairs
KR1020150017130A KR101701591B1 (en) 2014-04-07 2015-02-04 Handle of cart for stairs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184A KR101581157B1 (en) 2014-04-07 2015-01-15 Cart for stairs
KR1020150015862A KR101701590B1 (en) 2014-04-07 2015-02-02 Braking system of cart for stairs
KR1020150017132A KR101701592B1 (en) 2014-04-07 2015-02-04 Cargo base of cart for stai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15811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1894B (en) * 2017-10-31 2020-06-19 巢湖市鑫宇良种农民专业合作社 Equipment that hamster was placed temporarily
KR101995181B1 (en) * 2018-12-27 2019-07-02 송재호 Folding hand car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2482A (en) 2002-04-19 2003-11-06 Atex Co Ltd Operation device for carriage provided with function for taking-in and lifting
KR101179804B1 (en) 2012-02-03 2012-09-04 오희균 Automated hand cart
KR101309226B1 (en) 2012-05-15 2013-09-16 주식회사 에스엔씨케어 Hand car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0A (en) * 1995-06-20 1997-01-07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Braking device for dolly
DE19614319A1 (en) * 1996-04-11 1997-10-16 Alber Antriebstechnik Gmbh Transport device
DE19951914A1 (en) * 1999-10-28 2001-05-03 Richter Rehabilitationstechnol Wheel arrangement, in particular for handicapped stair climbing devices
KR100395144B1 (en) * 2001-06-04 2003-08-21 유코 요시자키 Cart for carrying a luggage
KR200313845Y1 (en) * 2002-12-23 2003-05-22 고춘산 Hand car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2482A (en) 2002-04-19 2003-11-06 Atex Co Ltd Operation device for carriage provided with function for taking-in and lifting
KR101179804B1 (en) 2012-02-03 2012-09-04 오희균 Automated hand cart
KR101309226B1 (en) 2012-05-15 2013-09-16 주식회사 에스엔씨케어 Hand c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592B1 (en) 2017-02-01
KR20150116383A (en) 2015-10-15
KR20150116382A (en) 2015-10-15
KR101701590B1 (en) 2017-02-01
KR20150116379A (en) 2015-10-15
KR101581157B1 (en) 2016-01-11
KR20150116381A (en)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7406B1 (en) Wheel skate
EP2102092B1 (en) Lift for skids and pallets
US8967628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load-bearing cart
JP2009528951A (en) Stair lift cart
US20110049823A1 (en) Device for moving large containers
KR101701591B1 (en) Handle of cart for stairs
WO2017191591A1 (en) Shopping trolley equipped with a liftable basket
EP3285707B1 (en) Nestable transport device
WO2006017637A2 (en) Patient lift with three-point vertical stance
US2497440A (en) Hand truck
JP6893675B2 (en) Two-stage bicycle parking device
US7841603B2 (en) Hand truck
JP2021062764A (en) Carriage
KR100954493B1 (en) A fork lift
DK178115B1 (en) Sack Truck
JP2018203092A (en) Handcart and front wheel lifting unit for use in handcart
EP2659825A1 (en) Apparatus for cleaning a floor surface
KR20090000250U (en) Vertical loading hand cart that center of gravity axis is improved
JP2975595B1 (en) Slide device for motorcycle
US11014590B2 (en) Rolling lever dumbbell handcart method
JP2003327130A (en) Running device
KR101700602B1 (en) A cart equipped with driving aids
US936309A (en) Lifting-jack.
JP3010438U (en) Hand cart that can climb up and down stairs
US1279182A (en) Lifting-j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