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570B1 - 링 기어가 형성된 터빈과 이를 이용한 유체에너지 수집 및 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링 기어가 형성된 터빈과 이를 이용한 유체에너지 수집 및 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570B1
KR101700570B1 KR1020140047222A KR20140047222A KR101700570B1 KR 101700570 B1 KR101700570 B1 KR 101700570B1 KR 1020140047222 A KR1020140047222 A KR 1020140047222A KR 20140047222 A KR20140047222 A KR 20140047222A KR 101700570 B1 KR101700570 B1 KR 101700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energy
fluid
turbines
rota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1417A (ko
Inventor
최한식
최한웅
Original Assignee
최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한식 filed Critical 최한식
Priority to KR1020140047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570B1/ko
Priority to PCT/KR2015/003971 priority patent/WO2015163673A1/ko
Publication of KR20150121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7/00Wate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1/00Pumps using positively or negatively pressurised fluid medium acting directly on the liquid to be pum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4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동액체나 공기 등의 분산된 유동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회전에너지를 쉽게 결합하여 회전력을 증폭하기 위해 터빈 회전체 외곽에 기어를 장착한 터빈과 이를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터빈 블레이드 끝을 외곽에 기어가 있는 원통을 결합한 형상의 기어가 있는 터빈과 개개의 터빈이 기어끼리 직접 결합하여 개개의 터빈 회전에너지를 모을 수 있도록 조립하여 분산된 유체의 유동 에너지를 모으는 에너지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력발전기와 무동력 펌프를 제공하는 것으로 얕고 넓게 흐르는 하천이나 강의 물의 유동에너지를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작은 회전력을 갖는 터빈을 간결하게 결합하여 큰 회전에너지로 모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링 기어가 형성된 터빈과 이를 이용한 유체에너지 수집 및 이용 시스템{turbine with ring gear and, systems of gathering or appling hydro dynamic energy by fluid in using it}
본 발명은 터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나 기체 등 유동체의 분산된 운동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회전에너지의 회전력을 모아서 증폭하기 위해 여러 개의 터빈 회전체를 통하여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회전체의 블레이드를 외곽에 기어가 형성된 원통형 기어가 결합 된 터빈과 이를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빈은 블레이드를 통하여 유체가 흐르는 직선 운동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고 이 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한 기구인데 블레이드가 중심축에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고 회전하는 중심축을 통하여 회전에너지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대부분 개별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유체의 이동 속도가 느려 단위 단면적당 작은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블레이드가 커져야 한다. 그런데 강이나 하천과 같이 물이 얕고 넓게 분산되며 흐름이 완만한데 수위의 변화가 많은 경우 블레이드의 크기가 제한되어 회전력을 크게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하천에 흐르는 유체의 유동 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작은 터빈을 통해 발생 되는 작은 단위의 회전력을 결합하여야하는데 중심축의 회전력을 이용하는 기존의 터빈은 결합하기가 어렵다.
종래의 터빈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작은 터빈의 회전 중심축에 기어를 달고 서로 연결하여 여러 개의 터빈을 결합하여 회전력을 키워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특허 공개번호 10-2005-0003976호와 같이 터빈의 회전 중심축에 기어를 달고 기어를 체인 등으로 서로 연결하여야한다. 그런데 도 1과 같이 터빈 사이의 연결 수단인 체인 등에 작용하는 인장력 등의 부하와 물속에서 사용하는 수중식 터빈의 경우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저항이 발생 되어 에너지 결합 효율이 떨어지며 유지보수를 위해 많은 비용이 발생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중식 터빈을 결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터빈은 회전 중심축에서 회전에너지를 사용하도록 되어있는 터빈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회전력이 부족할 경우 여러 개의 터빈을 결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종래의 터빈 중심축에 있는 기어를 서로 체인 등으로 연결하여 분산된 회전력을 모아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체인 등을 통하여 회전에너지를 모으기 때문에 체인 등의 인장력에 의한 마찰력으로 모은 결합에너지에 손실이 발생 된다.
둘째, 체인과 중심축 및 축 기어가 유체 흐름을 방해하여 터빈들의 회전력을 감소시킨다.
셋째, 터빈의 중심축을 통해 회전력을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중심축이 일정 강도 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중심축의 두께가 두꺼워져 유체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블레이드의 유효면적이 줄어들어 유동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유효에너지가 감소한다.
넷째, 여러 개의 터빈의 회전력을 결합하기 위한 복잡한 구동형태로 인하여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어 유지보수비용이 증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빈 블레이드 끝을 외곽에 기어가 있는 원통을 결합한 형상의 기어가 있는 터빈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블레이드를 제작한 도 2와 도 3의 2종류 터빈과 2종류 각각의 터빈을 [대표도]와 같이 서로 교차하여 원통기어끼리 직접 결합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개개의 터빈 회전에너지를 모을 수 있도록 조립하여 강이나 하천과 같이 넓게 분산된 유체의 유동 에너지를 모으는 에너지 수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력발전기와 무동력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터빈은 터빈 각각의 외측 회전력을 간편하게 결합하여 회전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터빈으로 이를 위해서 터빈의 블레이드 끝선이 외곽에 기어가 형성된 원통의 내면에 고정되고 중심은 각각의 터빈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중심축(고정)과 이 축을 베어링으로 블레이드가 결합한 형상의 터빈이다. 따라서 종래의 터빈은 중심축이 회전하나 본 발명은 중심축이 고정되고 블레이드와 결합 된 외부에 기어가 있는 원통이 블레이드와 함께 회전하는 터빈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터빈을 이용하여 분산된 유체의 운동에너지에 의한 작은 터빈의 작은 회전에너지를 결합하기 위하여 블레이드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 동일 방향의 유체의 흐름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작된 상기 터빈의 회전체의 외곽에 있는 원통기어가 서로 맞물리게 사방으로 연속적으로 중심축을 배치하여 설치함으로써 분산된 회전에너지를 수집(집중)하는 에너지 수집 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에너지 수집장치의 에너지 수집 원리는 [대표도]에서 일정 방향으로 동일 유속으로 흐르는 유체에 대하여는 각각의 터빈의 기어가 맞물려 모든 터빈이 거의 구속력이 없이 자유롭게 회전하나 특정의 터빈에 회전을 구속하는 부하가 연결되면 부하가 연결된 특정 터빈에 터빈의 회전을 억제하는 부하가 작용하며 이 부하가 직접 결합 된 터빈에 결합 된 이와 같은 2, 3 ... n의 터빈은 부하가 직접결합된 터빈으로부터 멀리 있을수록 부하 토크를 작게 분담되어 작용한다. 즉, 모든 터빈이 기어로 결합 되어 있고 동일 속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부하에 의해 특정 회전체를 구속하면 구속된 회전체는 회전속력이 주위 회전체보다 느리게 되어 주위 회전체가 구속된 느리게 회전하는 회전체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구속된 터빈으로 회전력이 집중되는 에너지 수집장치가 되는 것이다. [대표도]에서는 수집된 에너지를 부하로 전달할 수 있도록 에너지 방향 전환 및 속도 변환 구성으로 설치한 중앙의 터빈 회전체 기어에 베벨기어가 추가된 에너지 수집장치를 나타낸 일실시 예이며 부하 및 주변 여건에 따라 터빈은 좌우 및 상하로 연접한 터빈의 회전 방향이 반대로 회전하도록 고안된 더 많은 터빈을 결합하여 더 많은 에너지를 수집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에너지 수집장치는 상기 터빈의 블레이드를 크게 하고 많이 결합할수록 수집하는 에너지 량이 많아지나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적정한 크기의 터빈을 적정한 수량으로 제작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매우 넓고 유속이 빠른 환경에 적용할 때는 수집된 에너지가 매우 커져 터빈이 매우 견고하여야하기 때문에 에너지 수집 효율이 낮아질 수 있어 에너지 수집 량을 적정량으로 제작된 상기 에너지 수집장치 단위로 모듈화하여 이 모듈을 기계적으로 서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에너지 수집장치에 발전기를 결합하여 수집된 회전에너지로 발전기의 회전자를 동작시켜 전기를 생성하는 수력발전기와 펌프를 연결하여 외부에서 전기와 같은 인위적인 에너지 공급 없이 작동할 수 있는 무동력 펌프 등의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이때 적정 수준의 회전속도를 얻기 위하여 에너지 수집 장치와 발전기 및 펌프 등의 부하와의 사이에는 변속기를 결합하여 부하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어가 있는 터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넓은 범위에 분포된 속도가 완만한 유체의 유동에 의한 운동에너지에서 변환한 개별 터빈의 작은 회전력을 쉽게 결합하여 회전력(토크)을 증가시킬 수 있는 터빈을 제공한다.
둘째, 단위 단면적당 작은 유체의 유동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여 쉽게 결합함으로써 강이나 하천과 같이 얕고 넓게 분포된 유체의 유동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쉽게 수집하여 큰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셋째, 유속이 느리고 넓게 분산된 강이나 하천과 같은 곳의 물의 운동에너지를 에너지 수집장치로 큰 회전력을 생성하여 발전기의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수력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다.
넷째, 에너지 수집장치에 의해 수집된 회전 에너지로 펌프를 작동시켜 외부에서 제공되는 에너지 없이 유체의 유동에 따른 운동에너지만을 사용하여 작동하는 무동력 펌프로 사용할 수 있다.
[대표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에너지 수집 장치의 사시도.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터빈을 사용한 회전에너지 수집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어가 있는 중심축 고정 터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기어가 있는 중심축 고정 터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2와 도 3의 원통기어에 베벨기어가 추가된 기어가 있는 중심축 고정 터빈의 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2와 도 3의 기어가 있는 중심축 회전 터빈의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기어가 있는 중심축 고정 터빈만으로 배열하여 회전에너지를 결합하는 에너지 수집장치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어가 있는 중심축 고정 터빈으로 구성된 에너지 수집장치의 특정 부위의 1개 터빈을 블레이드 외곽 원통기어에 베벨기어가 있는 중심축 고정 터빈으로 대체한 에너지 수집장치 일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수집장치의 블레이드 외곽 원통기어에 베벨기어가 있는 중심축 고정 터빈에 발전기를 결합한 수력발전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수집장치의 블레이드 외곽 원통기어에 베벨기어가 있는 중심축 고정 터빈에 펌프를 결합한 무동력 펌프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어가 있는 터빈과 이를 이용한 에너지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력발전기 및 무동력 펌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중용 터빈을 사용한 회전에너지 수집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어가 있는 터빈의 사시도 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어가 있는 터빈은 터빈몸체, 중심축(21), 베어링(22), 블레이드(23) 그리고 링 기어(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터빈몸체는 중심축을 고정하는 지지대(25)와 상기 지지대를 유지하는 터빈 결속 기구(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25)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터빈을 충분이 지지할 수 있도록 중심축(21) 방향인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얇으며 견고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빈 결속 기구(26)는 제2의 터빈의 회전체 기어와 결합할 때 결합이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축(21)은 지지대(25)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레이드(23)는 외부 링 기어(24)와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어야하고 상기 베어링(22)은 중심축(21)에 대하여 블레이드(23)가 잘 회전하도록 최대한 회전마찰이 적고 수중에서 녹 등이 발생되지 않는 재질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유체의 흐름 방향이 같을 때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터빈과 회전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도 2의 블레이드(23)의 방향과 반대로 블레이드(33)를 형성한 기어가 있는 터빈의 사시도 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어가 있는 터빈은 도 2의 터빈과 같이 터빈몸체, 중심축(31), 베어링(32), 블레이드(33) 그리고 원통기어(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터빈은 도 2의 터빈과 반대방향으로 동일 속력으로 회전하도록 도 2의 블레이드(23)와 반대방향으로 블레이드(33)를 제작하고 다른 구성요소는 도 2의 터빈과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2 와 도 3의 기어가 있는 터빈의 원통기어 부분에 베벨기어가 추가로 형성된 기어가 있는 중심축 고정 터빈의 사시도 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벨기어가 포함된 기어가 있는 터빈은 터빈몸체, 중심축(41), 베어링(42), 블레이드(43) 그리고 원통기어(44), 베벨기어(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벨기어가 포함된 기어가 있는 터빈은 도 2나 도 3의 터빈과 같은 터빈몸체, 중심축(41), 베어링(42), 블레이드(43) 그리고 원통기어(44)와 베벨기어(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터빈은 도 2나 도 3의 터빈의 구성요소에 베벨기어(47)가 추가된 형상으로 도 2와 도 3의 터빈이 결합되어 증폭된 회전 에너지를 사용하고자하는 부하로 직접 또는 변속기로 전달하기 위한 터빈으로 모든 구성요소가 다른 터빈보다 견고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2 와 도 3의 기어가 있는 터빈의 중심축에 기어를 추가한 중심축 회전 터빈의 사시도 이다.
도 5a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어가 있는 터빈은 터빈몸체, 중심축(51), 베어링(52), 블레이드(53) 그리고 원통기어(54), 중심축기어(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나 중심축기어(57)는 수면 밖에 있는 부하에 쉽게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베벨기어로 하여도 된다.
여기서, 상기 터빈은 도 2와 도 3의 터빈의 구성요소의 중심축에 기어가 추가되고 블레이드와 중심축 사이에는 베어링이 없고 중심축(51)과 지지대(55) 사이에 베어링(52)을 삽입해 블레이드와 중심축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형상이며 도 2와 도 3의 터빈이 조합되어 증폭된 회전 에너지를 사용하고자하는 부하로 직접 또는 변속기로 전달하기 위한 터빈으로 모든 구성요소가 다른 터빈보다 견고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기의 기어가 있는 터빈을 이용한 에너지 수집 장치의 사시도 이다.
도 6a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체의 유동에너지 수집 장치(이하 수집장치)는 수집장치 몸체와 상기 도 2의 기어가 있는 터빈(이하 터빈(2))과 도 3의 기어가 있는 터빈(이하 터빈(3))과 도 4 또는 도 5a와 도 5b의 기어가 있는 터빈(이하 터빈(4) 또는 터빈(5)), 베어링(62), 부력장치(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집장치 몸체는 수집장치가 유체의 흐름에 흘러가지 않게 고정할 기둥(64)과 수집된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부하가 결합될 베이스(65)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둥(64)은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수집장치를 충분이 지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집장치의 베이스(65)가 상기 부력장치(63)에 의하여 유체의 수위 변화와 상관없이 에너지 수집을 위한 터빈이 수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위치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위의 변화가 많은 하천에서는 유체의 유동에너지를 최대한 많이 수집하기 위해서 상기 수집장치 또는 수집장치의 터빈 열을 수직 방향으로 여러 조합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수위가 높을 때의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최대한 변환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기의 에너지 수집장치를 이용한 수력발전기의 사시도 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력발전기는 발전기 몸체와 상기 도 6b의 유체의 유동에너지 수집장치, 변속기(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예이다.
여기서, 상기 발전기 몸체는 상기 에너지 수집장치에서 수집된 회전 에너지가 집중된 곳의 베이스에 발전기를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베이스(72)와 상기 에너지 수집장치에서 수집된 에너지를 발전기로 전달하고 상기 발전기의 규격에 적정한 회전속도로 에너지를 전달하게 할 수 있는 변속기(71)로 이루어진다. 상기 변속기(71)는 상기 에너지 수집장치에서 출력된 에너지가 발전기의 발전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변속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기 유체의 유동에너지 수집장치를 이용한 무동력 펌프의 사시도 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무동력 펌프는 펌프 몸체와 상기 도 6b의 유체의 유동에너지 수집장치, 변속기(8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예이다.
여기서, 상기 펌프 몸체는 상기 에너지 수집장치의 수집된 회전 에너지가 집중된 곳의 베이스에 펌프를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베이스(82)와 상기 에너지 수집장치에서 수집된 에너지를 펌프로 전달하고 상기 펌프의 규격에 적정한 회전속도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변속기(81)로 이루어진다. 상기 변속기(81)는 상기 에너지 수집장치에서 출력된 에너지가 펌프의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변속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얕고 넓게 완만이 흐르는 강이나 하천의 운동(유동)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발생하는 수력발전이나 펌프 등의 동력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21 : 중심축 22 : 베어링 23 : 블레이드 24 : 원통기어 25 : 회전체지지대 26 : 터빈 결속 기구
31 : 중심축 32 : 베어링 33 : 블레이드 34 : 원통기어 35 : 회전체지지대 36 : 터빈 결속 기구
41 : 중심축 42 : 베어링 43 : 블레이드 44 : 원통기어 45 : 회전체지지대 46 : 터빈 결속 기구 47 : 베벨기어
51 : 중심축 52 : 베어링 53 : 블레이드 54 : 원통기어 55 : 회전체지지대 56 : 터빈 결속 기구 57 : 중심축기어
62 : 베벨기어가 있는 터빈 63 : 부력장치 64 : 기둥 65 : 베이스
71 : 변속기 72 : 베이스 73 : 발전기
81 : 변속기 82 : 베이스 83 : 펌프 84 : 펌프흡입구 85 : 펌프토출구

Claims (7)

  1. 유체의 역학에너지에서 생성되는 에너지를 수집하기 위해 복수 개의 터빈이 결합될 수 있도록 원통형 링 기어가 형성된 터빈에 있어서,
    상기 터빈은
    유체의 역학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는 블레이드(23); 및
    상기 블레이드들의 외측에 고정되어 상기 터빈을 다른 터빈들과 직접 결속하기 위해 원통 형태를 가지며 외측에 기어 이가 형성된 링 기어(24);를
    포함하며,
    상기 터빈은 상기 링 기어를 통하여 직접 결합하는 인접 터빈들은 각각의 블레이드 기울기 방향을 유체의 운동에너지 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로 형성하여 인접한 각각의 터빈의 링 기어는 회전방향이 반대로 되고 결합 점에서는 동일한 접선운동 방향으로 링 기어가 회전하여 회전에너지를 서로 보강하여 주고받는 것이 특징인 원통형 링 기어가 형성된 터빈.
  2. 제1항의 원통형 링 기어가 형성된 터빈이 N×I(N≥1, I≥1)개 결합된 유체에너지 수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체에너지 수집 시스템은
    메트릭스 형상으로 상기 터빈의 링 기어가 서로 체결되는 N×I(N≥1, I≥1)개의 터빈;
    상기 N×I 개의 터빈 중에 수집된 회전에너지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소정의 n×i(1≤n≤N, 1≤i≤I)번째 터빈에 형성된 에너지 방향전환 및 속도변환 구성; 및
    상기 N×I개의 터빈들을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N×I개의 터빈들에 있어서, 링 기어를 통하여 서로 직접 결합하는 인접한 터빈은 상기 블레이드들의 기울기 방향이 유체에너지 방향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어 동일 방향의 유체에너지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각각의 터빈의 링 기어가 결합하는 접속점에서의 접선운동 방향이 동일하여 회전에너지가 보강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에너지 수집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n×i번째 터빈에 형성된 에너지 방향전환 및 속도변환 구성은,
    회전력 또는 회전속도 또는 회전에너지 전달 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환할 수 있게 링 기어의 측면에 베벨기어(47) 또는 터빈의 중심축의 연장선에 중심축 기어(57)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에너지 수집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유체에너지 수집 시스템은,
    수위 변화 또는 결빙된 수면 또는 부유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황에도 일정한 유체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도록 터빈들이 수면에서 일정한 수심에 위치하게 하기 위해 부력장치(63)를 더 포함하는 유체에너지 수집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유체에너지 수집 시스템은,
    수위 변화 또는 결빙된 수면 또는 부유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황에도 일정한 유체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도록 터빈들이 수면에서 일정한 수심에 위치하게 하기 위해 부력장치(63)를 더 포함하는 유체에너지 수집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유체에너지 수집 시스템의;
    n×i번째 터빈의 에너지 방향 전환 및 속도변환 구성과 체결되는 변속기; 및
    상기 변속기에 발전기 또는 펌프의 어느 하나를 체결하는 유체에너지 수집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유체에너지 수집 시스템의;
    n×i번째 터빈의 에너지 방향 전환 및 속도변환 구성과 체결되는 변속기; 및
    상기 변속기에 발전기 또는 펌프의 어느 하나를 체결하는 유체에너지 수집 시스템.
KR1020140047222A 2014-04-21 2014-04-21 링 기어가 형성된 터빈과 이를 이용한 유체에너지 수집 및 이용 시스템 KR101700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222A KR101700570B1 (ko) 2014-04-21 2014-04-21 링 기어가 형성된 터빈과 이를 이용한 유체에너지 수집 및 이용 시스템
PCT/KR2015/003971 WO2015163673A1 (ko) 2014-04-21 2015-04-21 유체의 유동에너지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력발전기와 무동력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222A KR101700570B1 (ko) 2014-04-21 2014-04-21 링 기어가 형성된 터빈과 이를 이용한 유체에너지 수집 및 이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417A KR20150121417A (ko) 2015-10-29
KR101700570B1 true KR101700570B1 (ko) 2017-02-13

Family

ID=5433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222A KR101700570B1 (ko) 2014-04-21 2014-04-21 링 기어가 형성된 터빈과 이를 이용한 유체에너지 수집 및 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0570B1 (ko)
WO (1) WO20151636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214A (ko) * 2017-05-11 2018-11-21 최한웅 터빈 유닛 및 그 결합체를 이용한 유체에너지 이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205B1 (ko) * 2018-10-25 2020-02-17 주식회사 태양전기 자체 냉각 기능을 갖는 수력 터빈
RO134451B1 (ro) * 2020-03-23 2022-07-29 Pitt-Codruţ Tudorache Sistem de captare a energiei valurilor şi transformarea acesteia în energie electrică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0414A (ja) * 2007-03-06 2010-06-10 セント ルイス ユニバーシティ ハブレス風車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1443B1 (en) * 2000-09-08 2005-10-04 General Electric Company Wind turbine ring/shroud drive system
KR100472744B1 (ko) * 2002-01-17 2005-03-08 최진영 자연 에너지를 이용한 동력 발전 및 저장시스템
KR200335762Y1 (ko) * 2003-09-23 2003-12-11 정경균 맞바람을 이용한 전기발생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KR20120034865A (ko) * 2010-10-04 2012-04-13 문광호 풍력발전기용 풍차의 구조 및 동력전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0414A (ja) * 2007-03-06 2010-06-10 セント ルイス ユニバーシティ ハブレス風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214A (ko) * 2017-05-11 2018-11-21 최한웅 터빈 유닛 및 그 결합체를 이용한 유체에너지 이용 시스템
KR102087088B1 (ko) * 2017-05-11 2020-03-10 최한웅 원통형 링기어 또는 링기어 옆면에 베벨기어가 형성된 터빈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유체에너지 이용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417A (ko) 2015-10-29
WO2015163673A1 (ko)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2351C1 (ru) Гидроэлектрическая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без обустройства плотины
US20090224552A1 (en) Multiple Turbine Energy Collector and System
CN103168168A (zh) 用于传输能量的摆动水翼、涡轮机、推进系统和方法
AU2009287351B2 (en) Improvements in ocean wave energy extraction
US8102068B1 (en) Buoyant in-stream hydro turbine
WO2014196921A1 (en) A water based modular power plant
JP2014511964A (ja) サボニウス式風力タービン
KR101700570B1 (ko) 링 기어가 형성된 터빈과 이를 이용한 유체에너지 수집 및 이용 시스템
KR20180087243A (ko) 재생가능 에너지원으로부터 에너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80019833A1 (en) Cylindrical wind turbine
KR101503727B1 (ko) 소수력발전장치
GB2459447A (en) Tidal power generating unit
US11549480B2 (en) Floating drum turbine for electricity generation
GB2445413A (en) Fluid turbine with secondary turbine driven by induced flow
BG110063A (bg) Понтонна водноелектрическа централа
US11384726B2 (en) Hydroelectric energy systems and methods
RU2362905C2 (ru) Гидропривод
CN101435411B (zh) 自控三功能动桨式风轮机
JP2006183648A (ja) 流体力発電装置
CN202220710U (zh) 一种船载式水车发电装置
KR101763802B1 (ko) 하이브리드 풍력-파력 발전기
JP2013137012A (ja) 水力発電用増速装置
CN2921349Y (zh) 可利用不定向风力海浪潮力的单向转动叶轮组
WO2020142045A2 (en) Renewable mechanical energy generation unit capable of efficiently regulating low, medium, and very high kinetic energies with unstable direction
US20140097620A1 (en) Fluid power conver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