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298B1 - 파이프 - Google Patents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298B1
KR101700298B1 KR1020160064802A KR20160064802A KR101700298B1 KR 101700298 B1 KR101700298 B1 KR 101700298B1 KR 1020160064802 A KR1020160064802 A KR 1020160064802A KR 20160064802 A KR20160064802 A KR 20160064802A KR 101700298 B1 KR101700298 B1 KR 101700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joint
cut surface
pai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득진
신동준
강효명
윤석환
Original Assignee
송우산업(주)
주식회사 세지솔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우산업(주), 주식회사 세지솔로텍 filed Critical 송우산업(주)
Priority to KR102016006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4Manufacturing and assembling intake systems
    • F02M35/10354Joining multiple sections together
    • F02M35/1036Joining multiple sections together by welding, bonding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 형상의 본체부의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된 한 쌍의 관 형상의 벤딩부를 포함하는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측 및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하측 및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나머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에서 상기 제2 부재와 접하는 부위인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부재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접하는 부위인 제2 접합부 중 일측에는 볼록 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의 타측에는 오목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 부재 및 상기 오목 부재 간의 융착(welding)에 의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하나는 복수의 언더컷(undercut)이 형성되는, 파이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이프{PI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이용 하여 터빈을 돌리고, 상기한 터빈은 흡기 매니 폴드와 에어 클리너 사이에 위치해 있는 컴프레셔와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컴프레셔를 회전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콤프레셔는 강제적으로 흡입공기를 엔진 실린더로 보낸다. 이에 따라 연소기간 동안 유효압력을 높이고 출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다시말해 엔진의 배기가스를 에너지로 이용하여 공기를 보다 많이 공급하므로서 엔진 출력의 증대, 연료소비의 절감, 엔진 소음의 저감등과 같은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터보 차저에 사용되는 내연기관용 파이프는 자동차의 출력, 토크를 높이면서 연비 향상에 도움을 주는 엔진보조장치 로서, 배기가스를 이용해 터빈을 돌리고 혼합 기체를 실린더 밸브 안으로 보내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내연기관용 압축공기가 이송되는 파이프는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금속으로 형성될 경우 중량이 무겁고 가격이 비싸며, 형상이 복잡한 경우에는 주조시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합성수지를 포함한 부재를 사출하여 파이프가 제조될 수 있다. 그런데, 사출의 경우에는 단일 구조로 사출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복수 구조로 사출하여, 복수의 구조를 서로 융착 시켜야 한다. 이때, 융착 가능한 구조를 설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4622호 (2010. 04. 16)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는 플라스틱 소재로 된 부재를 융착시켜 제조하여, 중량과 가격을 줄일 수 있는 내연기관용 파이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출한 플라스틱 부재에 진동을 가하여 효율적으로 융착 시킬 수 있는 파이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 형상의 본체부의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된 한 쌍의 관 형상의 벤딩부를 포함하는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측 및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하측 및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나머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에서 상기 제2 부재와 접하는 부위인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부재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접하는 부위인 제2 접합부 중 일측에는 볼록 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의 타측에는 오목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 부재 및 상기 오목 부재 간의 융착(welding)에 의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하나는 복수의 언더컷(undercut)이 형성되는, 파이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사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는 진동 융착에 의해 융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의 진동 융착 전,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가 예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는 열 융착에 의해 융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록 부재와 상기 오목 부재 간의 진동 융착에 의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융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록 부재와 상기 오목 부재의 진동 융착 전, 상기 볼록 부재와 상기 오목 부재가 예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록 부재와 상기 오목 부재의 열 융착에 의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융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본체부 내측방향으로 기 결정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하나의 제1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다른 하나의 제2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x축으로 하면, 상기 한 쌍의 벤딩부가 벤딩되는 방향은, y축의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z축의 제3 방향 및 제4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하나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벤딩되고,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4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으로 각각 벤딩된 한 쌍의 벤딩부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로 추가로 벤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하나는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제3 방향으로 동시에 벤딩되고,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4 방향으로 동시에 벤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합부에는, 상기 제1 벤딩부에 형성되는 제1 벤딩부 절단면 및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형성되는 제1 본체부 절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합부에는, 상기 제2 벤딩부에 형성되는 제2 벤딩부 절단면 및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형성되는 제2 본체부 절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벤딩부 절단면과 상기 제1 본체부 절단면 사이의 각도는 40도 이상 70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벤딩부 절단면과 상기 제2 본체부 절단면 사이의 각도는 40도 이상 70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벤딩부 절단면의 수선과 상기 진동의 진동방향의 각도가 80도 이상 90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벤딩부 절단면의 수선과 상기 진동의 진동방향의 각도가 80도 이상 90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합부에는 상기 제2 벤딩부 절단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 대응 절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합부에는 상기 제1 벤딩부 절단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대응 절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더컷은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적어도 하나에 둘레를 따라 외측에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와 실린더 밸브(cylinder valve)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벤딩부의 소재는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는 플라스틱 소재로 된 부재를 융착시켜 제조하여, 중량과 가격을 줄일 수 있는 내연기관용 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출한 플라스틱 부재에 진동을 가하여 효율적으로 융착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분해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접합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컷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파이프는 합성수지를 포함한 부재를 사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사출의 경우에는 단일 구조로 사출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복수 구조로 사출하여 융착시켜야 한다. 종래에, 융착 가능한 구조를 설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파이프는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한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합성 수지로 사출된 부재로 이뤄질 수 있다. 파이프를 이룰 수 있는 구성들을 사출하고, 각각의 구성들을 빠른 진동을 가하여 마찰에 의해 서로 융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는 관 형상의 본체부(100) 및 본체부(100)의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된 한 쌍의 관 형상의 벤딩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관 형상이며,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에서 벤딩부(11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일 수 있다. 본체부(100)는 직선의 관 형상 부분을 가리키는 것 일 수 있다. 본체부(100)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200)가 배치될 수 있다.
벤딩부(110)는 본체부(100)의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된 한 쌍의 관 형상일 수 있다. 한 쌍의 벤딩부(110)는 제1 벤딩부(110a) 및 제2 벤딩부(110b)로 구분할 수 있다.
벤딩부(110)는 관 형상의 본체부(100)의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 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할 경우, 한 쌍의 벤딩부(110)가 각각 벤딩될 수 있는 방향은, y축에 따른 제1 방향(1) 및 제2 방향(2)과 z축에 따른 제3 방향(3) 및 제4 방향(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1)과 제2 방향(2)은 y축에 대해 서로 반대방향이며, 제3 방향(3)과 제4 방향(4)은 z축에 대해 서로 반대방향일 수 있다. 다만, 한 쌍의 벤딩부(110)는 각각 z축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되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는 3차원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벤딩부(110) 중 하나는 제3 방향(3)으로 벤딩되고, 한 쌍의 벤딩부(110) 중 나머지는 제4 방향(4)으로 벤딩될 수 있다. 또한, 제3 방향(3)과 제4 방향(4)으로 각각 벤딩된 한 쌍의 벤딩부(110)는 제1 방향(1) 및 제2 방향(2) 중 적어도 하나로 추가로 벤딩될 수 있다.
다만, 제1 벤딩부(110a)가 벤딩되는 방향과 제2 벤딩부(110b)가 벤딩되는 방향이 서로 꼬여있을 수 있다. 따라서, 3차원 형상의 파이프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벤딩부(110a)가 제4 방향(4)으로 벤딩되고, 제2 벤딩부(110b)기 제3 방향(3)으로 벤딩되어, 서로 다른 z축의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4 방향(4)으로 벤딩된 제1 벤딩부(110a)는 y축의 제1 방향(1)으로 더 벤딩될 수 있고, 제3 방향(3)으로 벤딩된 제2 벤딩부(110b)는 y축의 제2 방향(2)으로 더 벤딩될 수 있다.
또한, 벤딩부(110)에는 다른 고무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언더컷(undercut)(140)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언더컷(140)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추가로, 본체부(100)에는 실린더 밸브(cylinder valve)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0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에는 다른 부품 또는 밸브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를 제1 부재 및 제2 부재로 분해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정면측과 배면측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는 상측의 제1 부재(120) 및 하측의 제2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120)와 제2 부재(130)가 융착 되어 하나의 파이프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1 부재(120)와 제2 부재(130)는 진동 융착 또는 열 융착에 의해 융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재(120) 및 제2 부재(130)의 소재는 고온에 강한 합성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재(120)와 제2 부재(130)에 빠른 진동을 가하게 되면 상호 마찰에 의해 열이 발생하여 플라스틱이 녹으면서 융착 될 수 있다. 또는 진동을 가하지 않고, 바로 열을 가해서 플라스틱이 녹으면서 융착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부재(120)와 제2 부재(130)를 진동 융착 시킬 경우, 진동 융착 전에 예열을 가할 수 있다. 주변 온도 조건에 따라서, 융착의 품질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예열을 통해 주변 온도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융착 품질을 균일하게 맞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과 겨울의 주변 온도 조건이 다르므로, 여름과 겨울의 융착 품질이 달라질 수 있는데, 예열을 통해 진동 융착을 가하기 전의 온도 조건을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재(120)와 제2 부재(130)를 예열을 통해 진동을 가하기 전의 온도를 균일하게 설정하고, 진동 융착을 시킬 수 있다.
제1 부재(120)는 본체부(100)의 상측 및 한 쌍의 벤딩부(110)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재(130)는 본체부(100)의 하측 및 한 쌍의 벤딩부(110) 중 나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벤딩부(110a)는 제1 부재(120)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벤딩부(110b)는 제2 부재(130)에 형성될 수 있다(이하에서는, 제1 부재(120)에 형성된 하나의 벤딩부(110)를 제1 벤딩부(110a)라 하고, 제2 부재(120)에 형성된 나머지 벤딩부(110)를 제2 벤딩부(110b)라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벤딩부(110a)가 제2 부재(130)에 형성되고, 제2 벤딩부(110b)가 제1 부재(12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120)에는 제2 부재(130)와 접합하는 부위인 제1 접합부(121)가 형성되고, 제2 부재(130)에는 제1 부재(120)와 접합하는 부위인 제2 접합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부재(120)와 제2 부재(130)에는 각각 제1 접합부(121)와 제2 접합부(131)가 형성되어, 서로 융착(welding)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121)는 제1 부재(120)에서 제2 부재(130)와 접하는 부위이며, 제2 접합부(131)는 제2 부재(130)에서 제1 부재(120)와 접하는 부위일 수 있다.
제1 접합부(121)에는 제1 벤딩부 절단면(11), 제1 본체부 절단면(12) 및 제1 대응 절단면(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접합부(131)에는 제2 벤딩부 절단면(21), 제2 본체부 절단면(22) 및 제2 대응 절단면(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a는 제1 접합부(12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제2 접합부(131)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벤딩부 절단면(11)은 제1 벤딩부(110a)에 형성되는 절단면일 수 있다. 제1 본체부 절단면(12)은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제1 접합부(121)에 형성되는 절단면일 수 있다. 제1 대응 절단면(13)은 제2 접합부(131)의 제2 벤딩부 절단면(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절단면일 수 있다.
제2 벤딩부 절단면(21)은 제2 벤딩부(110b)에 형성되는 절단면일 수 있다. 제2 본체부 절단면(22)은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제2 접합부(131)에 형성되는 절단면일 수 있다. 제2 대응 절단면(23)은 제1 접합부(121)의 제1 벤딩부 절단면(1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절단면일 수 있다.
제1 벤딩부 절단면(11)과 제1 본체부 절단면(12) 사이의 각도는 40도 이상 70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1 벤딩부 절단면(11)의 수선과 진동의 진동 방향의 각도가 80도 이상 90도 이하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벤딩부 절단면(21)과 제2 본체부 절단면(22) 사이의 각도는 40도 이상 70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2 벤딩부 절단면(22)의 수선과 진동의 진동 방향의 각도가 80도 이상 90도 이하일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부재(120)와 제2 부재(130)가 마찰에 의해 융착 되기 위해서는, 제1 부재(120)와 제2 부재(130)에 진동을 가했을 시, 제1 접합부(121)와 제2 접합부(131)가 진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운동 하며 마찰을 일으켜야 한다. 따라서, 제1 접합부(121)와 제2 접합부(131)가 맞닿아 마찰을 일으키는 방향과 진동 방향이 최대한 평행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제1 벤딩부 절단면(11) 및 제2 벤딩부 절단면(21) 각각의 수선은 진동 방향과 80도 이상 90도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 벤딩부 절단면(11)의 수선 및 제2 벤딩부 절단면(21)의 수선은 진동 방향과 90도일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20) 와 제2 부재(130)가 각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나눠질 경우, 진동을 가하게 되면 상호 지지가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진동을 가하더라도 제1 부재(120)와 제2 부재(130)가 빗겨나가지 않고, 제1 접합부(121)와 제2 접합부(131)가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한 쌍의 벤딩부(110)가 40도 이상 7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지고 절단된 상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벤딩부(110a)에 형성되는, 제1 벤딩부 절단면(11)과 제1 본체부 절단면(12) 사이의 각도가 40도 이상 7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40도 이상 7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지고 절단된 제1 벤딩부(110a)는 제1 벤딩부(110a)에 대응되는 제2 대응 절단면(23)과 상호 지지되어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 제2 벤딩부(120a)도 마찬가지로 40도 이상 70도 이하의 각도로 절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접합부(121)와 제2 접합부(1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 융착 및 열 융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융착 될 수 있다.
제1 접합부(121)와 제2 접합부(131)가 진동에 의해 마찰될 때, 진동 방향으로 서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볼록 부재 및 오목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합부(121) 및 제2 접합부(131) 중 일측에는 볼록 부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오목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접합부(121)에 오목 부재가 형성되고, 제2 접합부(131)에 볼록 부재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접합부(121)에 볼록 부재가 형성되고 제2 접합부(131)에 오목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제1 접합부(121) 및 제2 접합부(131)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오목 부재가 볼록 부재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진동을 가하여 제1 접합부(121)와 제2 접합부(131)가 미끄러지지 않고 마찰을 일으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목 부재의 두께는 볼록 부재 내측에서 소정의 움직임이 가능하여 마찰에 의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오목 부재가 볼록 부재와 완전히 일치될 경우, 진동을 가하더라도 마찰이 일어나지 않아 마찰에 의한 열이 발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4b는 제1 접합부(121)의 오목 부재에 경사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접합부(121)에 형성된 오목 부재 또는 볼록 부재는 본체부(100) 내측방향으로 기 결정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제1 부재(120)와 제2 부재(13)가 마찰에 의해 녹아 융착이 되면서, 제1 접합부(121)와 제2 접합부(131) 내외측으로 녹아서 흐른 플라스틱 잔여물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00) 내측으로 버(burr) 잔여물이 형성되어 연료와 압축공기가 지나가는 유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제1 접합부(121) 또는 제2접합부(131)는 기 결정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 결정된 경사에 버 잔여물이 기 결정된 경사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컷을 나타낸 도면이다.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파이프는 실린더 밸브(cylinder valve) 및 레조네이트(resonator) 등의 부품들과 연결될 수 있다. 그 중 파이프의 일단이 고무부재로 형성된 부품과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일반적으로 클램프(clamp)를 사용하여 고무부재를 고정시켰다. 그러나, 클램프를 사용할 경우, 고무와 파이프의 강도차이 및 클램프의 압박에 의해 고무부재가 찢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는 한 쌍의 벤딩부(110) 중 하나에 2 중으로 형성된 언더컷(140)을 포함할 수 있다. 언더컷(140)은 벤딩부(110)의 둘레를 따라 외측에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벤딩부(110b)에 언더컷(140)이 2 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언더컷(140)이 얇은 띠 형상으로 2 중으로 배치되어, 고무부재가 제2 벤딩부(110b)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본체부
110 : 벤딩부
120 : 제1 부재
121 : 제1 접합부
130 : 제2 부재
131 : 제2 접합부
140 : 언더컷
200 : 연결부재
210 : 제1 연결부재
220 : 제2 연결부재
230 : 제3 연결부재
11 : 제1 벤딩부 절단면
12 : 제2 벤딩부 절단면
21 : 제1 본체부 절단면
22 : 제2 본체부 절단면
31 : 제1 대응 절단면
32 : 제2 대응 절단면
1 : 제1 방향
2 : 제2 방향
3 : 제3 방향
4 : 제4 방향

Claims (23)

  1. 관 형상의 본체부의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된 한 쌍의 관 형상의 벤딩부를 포함하는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측 및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하측 및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나머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에서 상기 제2 부재와 접하는 부위인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부재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접하는 부위인 제2 접합부 중 일측에는 볼록 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의 타측에는 오목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 부재 및 상기 오목 부재 간의 융착(welding)에 의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하나는 복수의 언더컷(undercut)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하나의 제1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다른 하나의 제2 벤딩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사출되는, 파이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는 진동 융착에 의해 융착되는, 파이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의 진동 융착 전,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가 예열되는, 파이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는 열 융착에 의해 융착되는, 파이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록 부재와 상기 오목 부재 간의 진동 융착에 의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융착되는, 파이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록 부재와 상기 오목 부재의 진동 융착 전, 상기 볼록 부재와 상기 오목 부재가 예열되는, 파이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록 부재와 상기 오목 부재의 열 융착에 의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융착되는, 파이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본체부 내측방향으로 기 결정된 경사가 형성되는, 파이프.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x축으로 하면,
    상기 한 쌍의 벤딩부가 벤딩되는 방향은, y축의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z축의 제3 방향 및 제4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파이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하나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벤딩되고,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4 방향으로 벤딩되는, 파이프.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으로 각각 벤딩된 한 쌍의 벤딩부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로 추가로 벤딩되는, 파이프.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하나는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제3 방향으로 동시에 벤딩되고,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4 방향으로 동시에 벤딩되는, 파이프.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에는, 상기 제1 벤딩부에 형성되는 제1 벤딩부 절단면 및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형성되는 제1 본체부 절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합부에는, 상기 제2 벤딩부에 형성되는 제2 벤딩부 절단면 및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형성되는 제2 본체부 절단면이 형성되는, 파이프.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부 절단면과 상기 제1 본체부 절단면 사이의 각도는 40도 이상 70도 이하인, 파이프.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벤딩부 절단면과 상기 제2 본체부 절단면 사이의 각도는 40도 이상 70도 이하인, 파이프.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부 절단면의 수선과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에 가해지는 진동의 진동방향의 각도가 80도 이상 90도 이하인, 파이프.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벤딩부 절단면의 수선과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에 가해지는 진동의 진동방향의 각도가 80도 이상 90도 이하인, 파이프.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에는 상기 제2 벤딩부 절단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 대응 절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합부에는 상기 제1 벤딩부 절단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대응 절단면이 형성되는, 파이프.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은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적어도 하나에 둘레를 따라 외측에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와 실린더 밸브(cylinder valve)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형성되는, 파이프.
  23. 청구항 1 내지 9 및 청구항 11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벤딩부의 소재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파이프.
KR1020160064802A 2016-05-26 2016-05-26 파이프 KR101700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802A KR101700298B1 (ko) 2016-05-26 2016-05-26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802A KR101700298B1 (ko) 2016-05-26 2016-05-26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298B1 true KR101700298B1 (ko) 2017-01-26

Family

ID=5799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802A KR101700298B1 (ko) 2016-05-26 2016-05-26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43Y1 (ko) * 2019-05-24 2020-09-04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터보차저-인터쿨러 연결 파이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622B1 (ko) 2004-07-15 2010-04-27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배기가스 터보차저
KR101029254B1 (ko) * 2010-10-12 2011-04-18 김금팔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머플러 및 그의 열용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622B1 (ko) 2004-07-15 2010-04-27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배기가스 터보차저
KR101029254B1 (ko) * 2010-10-12 2011-04-18 김금팔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머플러 및 그의 열용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43Y1 (ko) * 2019-05-24 2020-09-04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터보차저-인터쿨러 연결 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5842B2 (en) Ultrasound welding of plastics components
JP6228917B2 (ja) 可撓性トラスフレーム
CN104994987B (zh) 利用搅拌摩擦焊接的混合驱动轴及其制造方法
KR20000022767A (ko) 다기통 내연기관에 있어서의 관성과급식 흡기매니폴드의 구조및 이 흡기매니폴드에 있어서의 브랜치파이프의 접합방법
KR101700298B1 (ko) 파이프
US7191750B2 (en) Laser welded manifold
US8631994B2 (en) Friction-weld interface for an assembly
US7879178B2 (en) Method of producing hollow plastic components
JP2008155587A (ja) 中空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US7407338B2 (en) Taper-lock laser weld for an air induction component
CN105583516A (zh) 长玻璃纤维增强热塑性进气歧管的振动摩擦焊接工艺
JP2000071335A (ja) 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接合方法
JPH0427382B2 (ko)
JP4032537B2 (ja) 樹脂製燃料デリバリパイプ
US6578537B2 (en) Welded intake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4870170B (zh) 用于车辆的通风道和用于制造通风道的方法
US7523838B2 (en) Housing
JP2007239966A (ja) 圧力容器用ライナ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1145167A1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KR101846648B1 (ko) 접합구조를 갖는 복합재 부품
CN110394993A (zh) 纤维复合材料层合板无孔冲压胶铆连接方法及连接装置
JP2585255B2 (ja) 自動車用給油管
Lippmann et al. Potential of a novel integration technology for high-strength welding of metal-FRP hybrid structures with the help of welding inserts (WI)
JP2003193920A (ja) 樹脂製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962070A (zh) 一种可快速重构模块化的火箭发动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