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295B1 -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 Google Patents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295B1
KR101700295B1 KR1020160009621A KR20160009621A KR101700295B1 KR 101700295 B1 KR101700295 B1 KR 101700295B1 KR 1020160009621 A KR1020160009621 A KR 1020160009621A KR 20160009621 A KR20160009621 A KR 20160009621A KR 101700295 B1 KR101700295 B1 KR 101700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end portion
curved surface
suction
suction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160009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C17/04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유체가 환자의 구강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부의 표면을 타고 계속 흐르게 함으로써 환자의 구강 피부를 보호하면서 구강 내의 적출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석션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MEDICAL SUCTION TIP PROTECTING MOUTH SKIN}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구강 피부를 손상시키기 않으면서도 구강 내의 적출물의 흡입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치과용 석션팁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치과용 석션팁은 석션장치에 연결된 흡입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적정의 흡입력으로 치과 치료시 발생된 적출물을 안정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치과치료용 기자재의 일종이다.
도 1은 종래의 치과용 석션팁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치과용 석션팁(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79530호)은 내부에 흡입공(12)이 형성된 바디(11)를 구비한다. 상기 바디(11)의 일 측영역에는 석션장치(미도시)에 연결된 흡입관(21)이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공(12)에 비해 확장된 크기를 가지는 결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관(21)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관(21)을 원하는 형태로 구부릴 수 있도록 소성 변형이 가능한 와이어(22)가 구비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치과용 석션팁에 있어서는, 치과 치료시 바디(11)의 후단부(12)가 구강 내부에 접촉되어 구강 내 조직(30)이 후단부(12)에 흡입되며, 구강 내 조직(30)의 손상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슬릿 형태의 개구부를 마련하여 구강 피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치과용 석션팁이 개발되었지만, 이는 흡입력을 약화시켜 구강의 적출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구강 피부를 손상시키기 않으면서도 구강 내의 적출물의 흡입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석션팁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이동시키는 공급유로; 상기 공급유로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를 토출시키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로부터 토출된 유체의 일부가 타고 흐르도록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끝단부; 및
상기 끝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끝단부를 타고 흘러 회수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유로;를 가지는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곡면은 상기 노즐부의 일부를 구성하되, 상기 노즐부로부터 상기 공급유로 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유로의 외벽과 내벽을 연결하는 고정용 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유로의 외벽 끝단은 상기 끝단부 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의 테두리는 라운드 처리되어 구강의 적출물을 적출시 구강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끝단부의 상기 곡면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면서 곡률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끝단부를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부는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상기 끝단부를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유로를 이동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 또는 유량은 상기 노즐부로부터 토출된 유체의 일부가 상기 끝단부를 타고 흐르고, 나머지는 구강 피부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분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유체는 가압수 또는 압축 공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끝단부의 상기 곡면은 상기 끝단부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구강 내부의 적출물을 배출시키는 유체 배출관; 상기 배출관을 둘러싸며 형성되고,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 상기 유체 공급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를 토출시키는 유체 토출부; 및
일측은 상기 유체 토출부를 구성하고, 타측은 상기 유체 배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을 연결하는 연결면은 상기 토출되는 유체의 일부가 타고 흐르면서 상기 적출물을 이송하도록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끝단부;를 포함하는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유체 배출관과 상기 유체 공급부와 상기 유체 토출부는 동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구강 내부의 적출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제공되고, 끝단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석션팁을 사용하는 석션 방법에 있어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단계; 코안다 효과를 통하여 상기 유체의 일부는 상기 곡면에 부착되어 흐르고, 나머지는 상기 구강 피부를 밀어 내기 위해서 외부로 분출되도록 상기 유체를 토출하는 유체 토출단계; 및
상기 곡면에 부착되어 흐르는 유체와 상기 적출물을 함께 배출시키는 유체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끝단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석션팁을 사용한 석션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유체가 환자의 구강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부의 표면을 타고 계속 흐르게 함으로써 환자의 구강 피부를 보호하면서 구강 내의 적출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석션팁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팁은 노즐부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환자의 구강 피부 측으로 분출되어 구강 피부를 밀어내도록 구성됨으로써 석션시 구강 피부가 흡입되지 않도록 하여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치과용 석션팁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코안다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팁에서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끝단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석션팁을 사용하는 석션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100)은 공급유로(110), 노즐부(120), 끝단부(130) 및 배출유로(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급유로(110)는 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급유로(11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유로(110)의 일측은 유체 공급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노즐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 공급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석션팁(100)으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구성으로써 예컨대 진공 펌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는 실시예에 따라서 가압수 또는 압축 공기일 수 있다.
끝단부(130)는 환자의 구강 피부에 직접 접촉할 수 있는 부분으로써 노즐부(120)로부터 토출된 유체의 일부가 타고 흐르도록 곡면(131)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12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는 즉시 끝단부(130)의 곡면(131)에 접촉하게 되고,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하여 해당 곡면(131)을 타고 흐르게 된다. 끝단부(130)의 상기 곡면(131)은 끝단부(130)의 축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140)는 상기 끝단부(130)를 타고 흘러 회수되는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배출유로(14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유로(140)의 일측은 상기 끝단부(13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외부와 연통되어 외부로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되는 유체는 끝단부(130)의 곡면(131)을 타고 흐르면서 흡입력을 얻고 이 흡입력을 통하여 구강 내부의 적출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킨다.
실시예에 따라서 끝단부(130)의 곡면(131)은 상기 노즐부(120)의 일부를 구성하되, 상기 노즐부(120)로부터 상기 공급유로(110) 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공급유로(110)로부터 공급되어 노즐부(120)를 통하여 토출되는 유체가 노즐부(120)를 통과하기 직전에 이미 곡면(131)에 접촉하게 하여 노즐부(120)를 통과한 뒤에도 계속해서 곡면(131)에 부착되어 곡면(131)을 타고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준다. 즉, 코안다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100)은 고정용 브릿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용 브릿지(150)는 상기 공급유로(110)의 외벽(A)과 내벽(B)을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석션팁(100)에 있어서 고정용 브릿지(150)의 위치는 제약에 없지만, 석션팁(100)의 끝단부(130) 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는 것이 공급유로(110)의 외벽(A)을 구성하는 외측 원통부와 공급유로(110)의 내벽(B)을 구성하는 내측 원통부를 서로 견고하게 고정하여 노즐부(120)의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브릿지(150)는 끝단부(130)의 곡면(131)이 끝나는 지점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공급유로(110)의 외벽(A) 끝단은 상기 끝단부(130) 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60)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노즐부(120)가 가는 유체의 토출 방향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토출되는 유체가 바로 끝단부(130)의 곡면(131)에 부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절곡부(160)의 테두리(161)는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절곡부(160)의 테두리(161)는 환자의 구강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라운드 처리되는 구조를 통하여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끝단부(130)의 상기 곡면(131)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면서 곡률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급유로(110)를 통과한 뒤에 노즐부(120)를 통과하는 유체는 먼저 곡면(131)의 외측 테두리 부분부터 접촉되어 곡면(131)을 따라서 흐르게 되므로, 끝단부(130)에서 최초로 유체가 접촉하게 되는 곡면(131)의 외측 테두리 부분을 가급적 적은 곡률로 플랫하게 형성시켜 유체가 끝단부(130)의 곡면(131)에 부착되는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노즐부(120)는 상기 끝단부(130)를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이 구조를 통하여 공급유로(110)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는 외측 테두리로부터 내측의 중심부로 곡면(131)에 부착되어 곡면(131)을 타고 흘러 배출유로(140)로 향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120)는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상기 끝단부(130)를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막힌 부분은 공급유로(110) 또는 노즐부(120)의 형태를 유지 고정시키는 브릿지(150)의 역할을 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4는 코안다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수도꼭지(40)로부터 토출되어 흐르는 물 옆에 숟가락(50)이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b)는 수도꼭지(40)로부터 토출되어 흐르는 물에 숟가락(50)을 접근시킨 모습을 나타낸다.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는 벽면이나 천장면에 접근하여 분출된 기류가 그 면에 빨려서 부착하여 흐르는 경향을 갖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한쪽만 확산하므로 자유 분류에 비해 속도의 감쇠가 작고, 면이 곡선인 경우 그 면을 타고 흐르며, 도달 거리가 길어진다. 도 4(a)와 같이 수도꼭지로부터 물이 내려오고 그 옆에 숟가락(5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숟가락(50)을 흐르는 물에 접근시킨 경우 수도꼭지(40)로부터 토출되어 흐르는 물은 숟가락(50)의 외측 곡면을 타고 방향을 바꾸어 흐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효과를 이용하여 석션시 공급되는 유체의 방향을 바꾸고, 유체에 흡입력을 생성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팁에서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공급유로(110)를 이동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 또는 유량은 상기 노즐부(120)로부터 토출된 유체의 일부가 상기 끝단부(130)를 타고 흐르고, 나머지는 구강 피부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분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급유로(110)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P)는 노즐부(120)를 통하여 토출되고, 노즐부(120)를 통하여 토출되는 유체(F1)의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하여 끝단부(130)의 곡면(131)을 타고 흘러 배출유로(140)로 회수된다. 여기서 회수되는 유체(F3)는 끝단부(130)의 곡면(131)을 타고 흐르면서 흡입력을 생성하고, 이 흡입력을 통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의 적출물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함께 배출유로(140)로 이동한다. 최종적으로 배출유로(140)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Q)는 적출물 또는 이물질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과 함께 배출된다.
한편, 노즐부(120)를 통하여 토출되는 유체(F1)의 나머지 일부는 구강 피부 측으로 분출되도록 설정된다. 분출되는 유체(F2)는 구강 피부를 밀어내어 석션시 구강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100)은 구강 내부의 적출물을 배출시키는 유체 배출관; 상기 배출관을 둘러싸며 형성되고,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 상기 유체 공급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를 토출시키는 유체 토출부; 및
일측은 상기 유체 토출부를 구성하고, 타측은 상기 유체 배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을 연결하는 연결면은 상기 토출되는 유체의 일부가 타고 흐르면서 상기 적출물을 이송하도록 곡면(131)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끝단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 배출관과 상기 유체 공급부와 상기 유체 토출부는 동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끝단이 곡면(131)으로 형성되는 석션팁(100)을 사용하는 석션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끝단이 곡면(131)으로 형성되는 석션팁(100)을 사용하는 석션 방법은 구강 내부의 적출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제공되고, 끝단이 곡면(131)으로 형성되는 석션팁(100)을 사용하는 석션 방법에 있어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단계(S100); 코안다 효과를 통하여 상기 유체의 일부는 상기 곡면(131)에 부착되어 흐르고, 나머지는 상기 구강 피부를 밀어 내기 위해서 외부로 분출되도록 상기 유체를 토출하는 유체 토출단계(S110); 및
상기 곡면(131)에 부착되어 흐르는 유체와 상기 적출물을 함께 배출시키는 유체 배출단계(S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석션팁
110: 공급유로
120: 노즐부
130: 끝단부
131: 곡면
140: 배출유로
150: 브릿지
160: 절곡부
161: 테두리

Claims (14)

  1. 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이동시키는 공급유로;
    상기 공급유로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를 토출시키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로부터 토출된 유체의 일부가 타고 흐르도록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끝단부; 및
    상기 끝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끝단부를 타고 흘러 회수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유로;
    를 가지는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은 상기 노즐부의 일부를 구성하되, 상기 노즐부로부터 상기 공급유로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로의 외벽과 내벽을 연결하는 고정용 브릿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로의 외벽 끝단은 상기 끝단부 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테두리는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부의 상기 곡면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면서 곡률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끝단부를 둘러싸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상기 끝단부를 둘러싸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로를 이동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 또는 유량은 상기 노즐부로부터 토출된 유체의 일부가 상기 끝단부를 타고 흐르고, 나머지는 구강 피부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분출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가압수 또는 압축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부의 상기 곡면은 상기 끝단부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12. 구강 내부의 적출물을 배출시키는 유체 배출관;
    상기 배출관을 둘러싸며 형성되고,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
    상기 유체 공급관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를 토출시키는 유체 토출부; 및
    일측은 상기 유체 토출부를 구성하고, 타측은 상기 유체 배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을 연결하는 연결면은 상기 토출되는 유체의 일부가 타고 흐르면서 상기 적출물을 이송하도록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끝단부;
    를 포함하는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배출관과 상기 유체 공급부와 상기 유체 토출부는 동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14. 구강 내부의 적출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제공되고, 끝단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석션팁을 사용하는 석션 방법에 있어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단계;
    코안다 효과를 통하여 상기 유체의 일부는 상기 곡면에 부착되어 흐르고, 나머지는 상기 구강 피부를 밀어 내기 위해서 외부로 분출되도록 상기 유체를 토출하는 유체 토출단계; 및
    상기 곡면에 부착되어 흐르는 유체와 상기 적출물을 함께 배출시키는 유체 배출단계;
    를 포함하는 끝단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석션팁을 사용한 석션 방법.
KR1020160009621A 2016-01-26 2016-01-26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KR101700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621A KR101700295B1 (ko) 2016-01-26 2016-01-26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621A KR101700295B1 (ko) 2016-01-26 2016-01-26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295B1 true KR101700295B1 (ko) 2017-01-26

Family

ID=5799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621A KR101700295B1 (ko) 2016-01-26 2016-01-26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2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8800A1 (en) * 2004-10-23 2006-04-27 Andreas Neff Saliva ejector
KR20080079530A (ko) * 2007-02-27 2008-09-01 주식회사 다이아덴트 치과용 석션팁
WO2010116213A1 (en) * 2009-04-10 2010-10-14 Franco Galiotto A tip attachable to a cannula for suctioning fluids from the oral cavity
US20150164624A1 (en) * 2013-12-12 2015-06-18 Jonathan Sebastian White Aspirator ti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8800A1 (en) * 2004-10-23 2006-04-27 Andreas Neff Saliva ejector
KR20080079530A (ko) * 2007-02-27 2008-09-01 주식회사 다이아덴트 치과용 석션팁
WO2010116213A1 (en) * 2009-04-10 2010-10-14 Franco Galiotto A tip attachable to a cannula for suctioning fluids from the oral cavity
US20150164624A1 (en) * 2013-12-12 2015-06-18 Jonathan Sebastian White Aspirator t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0667B1 (en) Nasal aspirator
JP2019513452A5 (ko)
JP5554153B2 (ja) 内視鏡
CN107072486B (zh) 用于具有抽吸装置的内窥镜的协调定位的远侧前端
US5356292A (en) Dental sandblasting confiner
DE502005010284D1 (de) Speichelsauger
ES2125091T3 (es) Aparato de separacion de polvo
KR101981324B1 (ko) 석션팁
AU2003245646A1 (en) Catheter assembly with side wall exit lumen and method therefor
KR101700295B1 (ko) 구강 피부를 보호하는 석션팁
EP3142595B1 (en) Nozzle for oral irrigator device including a nozzle spacer assembly
JP3919132B2 (ja) 塵埃吸引式除塵装置
US11317933B1 (en) Nasal cleaning tool
WO2003013348A1 (en) Endoscope device
CN112770663A (zh) 内窥镜
JP2021503989A5 (ko)
USD973838S1 (en) Shroud of an aspirating spray nozzle
JP7312262B2 (ja) カテーテル装置
EP3067119A1 (en) Long-distance fluid ejection apparatus
JP4323420B2 (ja) スケーラ用チップ
CN211132526U (zh) 雾化器
CN211132525U (zh) 雾化器
JP2017108820A (ja) 鼻水吸引器
JP5722490B2 (ja) 内視鏡
JP5639234B2 (ja) 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