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894B1 - 일체형 행거 클램프 - Google Patents

일체형 행거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894B1
KR101699894B1 KR1020160056209A KR20160056209A KR101699894B1 KR 101699894 B1 KR101699894 B1 KR 101699894B1 KR 1020160056209 A KR1020160056209 A KR 1020160056209A KR 20160056209 A KR20160056209 A KR 20160056209A KR 101699894 B1 KR101699894 B1 KR 101699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able duct
anchor bolt
bent
right ang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수
Original Assignee
김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수 filed Critical 김봉수
Priority to KR1020160056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체형 행거 클램프는 천정에 설치되는 앵커볼트(1)에 체결되며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덕트(4)가 상부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채널(5)의 단부를 마감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로서, 상기 채널(5) 단부를 커버하는 전면 덮개부(10); 상기 전면 덮개부(10)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 덮개부(10)와 직각되게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중앙부위에 상기 앵커볼트(1)가 통과되는 앵커볼트 통과부(21)가 형성된 상면 덮개부(20);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채널(5)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기 케이블 덕트(4)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케이블 덕트(4)를 상기 채널(5)과 수직되게 정렬하는 스토퍼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체형 행거 클램프{Unified Hanger Clamp}
본 발명은 일체형 행거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덕트를 고정하기 위한 채널의 단부에 부착되어 채널의 단부를 마감하며 채널의 상부에 고정되는 케이블 덕트를 정렬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은 통행 등의 편의 및 미관을 위하여 천정 슬래브 하부에 근접하도록 설치되고 천정 패널로 마감하고 있다.
천정 슬래브 하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천정 슬래브에 고정설치되는 다수의 앵커볼트에 각각의 채널을 고정하고 상기 채널의 상부에 케이블 덕트를 고정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 채널을 앵커볼트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부 너트를 앵커볼트에 결합시킨 후에, 채널의 상부는 개구되어 있으므로 채널의 상부에 사각 와셔를 거치시키고, 채널의 하부에 하부너트를 결합시켜 상부너트와 하부너트를 조임으로써 앵커볼트에 채널을 고정시키게 된다.
종래에는 케이블 덕트 고정용 채널의 단부가 미관상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사출품으로 된 채널 마개를 끼워넣는 형태로 결합시켜 채널의 단부를 마감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채널 마개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130476호(발명의 명칭: 케이블 덕트 고정용 채널의 채널 단부 덮개)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도 1과 도 2에 도시하였다.
상기 케이블 덕트 고정용 채널의 채널 단부 덮개는 채널 단부를 덮는 전면 덮개부(110)와, 상기 전면 덮개부(110)의 양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와 후방으로 절곡된 날개부(150)와, 상기 전면 덮개부(110)의 상측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채널(10)의 상부 일정길이를 덮으며 가운데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130a)이 형성된 상부 덮개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블 덕트 고정용 채널의 채널 단부 덮개는 채널 단부의 외관상 미관을 향상시키며, 채널과 케이블 덕트 간의 결합성을 좋게 하여 구조적인 안정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하지만, 상기 케이블 덕트 고정용 채널의 채널 단부 덮개는 케이블 덕트(30)를 채널(10) 단부 쪽에 고정시키기 위해 보조 고정구(70)와 함께 볼트(80)로 고정할 때 케이블 덕트(30)를 육안으로 정렬시킨 후에 고정하게 되므로, 케이블 덕트(30)가 채널(10)과 수직되게 정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 덕트(30)가 채널(10)과 수직되게 정렬되지 않으면 미관을 해치게 되며 인접한 채널(10)에 케이블 덕트(30)를 고정시킬 때 삐딱하게 고정되게 되므로 케이블 덕트(30)에 비틀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케이블 덕트(30)에 수용된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케이블 덕트(30)로부터 케이블을 인출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케이블 덕트로부터 직접 인출시키거나 채널(10)을 거쳐 인출시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케이블을 인출시켜 사용할 때 케이블 덕트로(30)부터 직접 인출시키는 경우에는 케이블이 인출되는 위치의 확인이 어려워 케이블의 단선 등의 문제 발생시에 케이블의 교체 및 보수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채널의 단부부위에 고정될 케이블 덕트를 정렬시켜 채널과 수직상태를 이루어 고정되도록 하며 케이블 덕트에 비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행거 클램프는, 천정에 설치되는 앵커볼트(1)에 체결되며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덕트(4)가 상부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채널(5)의 단부를 마감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로서, 상기 채널(5) 단부를 커버하는 전면 덮개부(10); 상기 전면 덮개부(10)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 덮개부(10)와 직각되게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중앙부위에 상기 앵커볼트(1)가 통과되는 앵커볼트 통과부(21)가 형성된 상면 덮개부(20);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채널(5)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기 케이블 덕트(4)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케이블 덕트(4)를 상기 채널(5)과 수직되게 정렬하는 스토퍼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는 상기 채널(5)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21a)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30)는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양쪽이 후방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위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 상기 스토퍼부(30)는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양쪽이 측면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위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스토퍼부(30) 양측 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스토퍼부(30) 및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절곡되고, 하단부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스토퍼부(30)의 후방을 지지하는 스토퍼부 후방 지지부(4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면 덮개부(10)는 양측면이 각각 일정길이 연장되어 후방으로 직각 절곡된 측면 날개부(1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각각의 상기 스토퍼부(30)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스토퍼부(30) 및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케이블 덕트(4)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스토퍼부(30)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 덕트 측면 지지부(5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면 덮개부(20)는 양측면이 각각 일정길이 연장되어 하방으로 직각 절곡된 하면 날개부(22)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측면 날개부(11)의 상단부는 예각을 이루는 제 1 경사면(11a)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날개부(11)와 근접하는 상기 하면 날개부(22)의 전단부는, 예각을 이루는 제 2 경사면(22a)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경사면(11a)과 상기 제 2 경사면(22a)은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면 날개부(22)는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수직되게 일정간격으로 2개 내지 5개의 홈(2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덮개부(10)는 상기 케이블 덕트(4)로부터 채널을 통해 케이블이 인출되도록 하는 케이블 통과공(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면 덮개부(20)는 상기 일체형 행거 클램프의 도금시 와이어가 통과되도록 하여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와이어 통과공(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는, 상기 채널(5)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부위로 절개된 장홈(21b)으로 되며, 상기 스토퍼부(30)는,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양쪽이 후방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위가 상기 장홈(21b)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는, 상기 채널(5)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부위로 절개된 장홈(21b)으로 되며, 상기 스토퍼부(30)는,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양쪽이 측면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위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앵커볼트에 체결되며 케이블 덕트를 지지하는 채널의 단부를 설치되어 채널 단부의 내측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마개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채널의 단부부위에 고정될 케이블 덕트를 정렬시켜 채널과 수직상태를 이루어 고정되게 되므로, 채널에 케이블 덕트를 고정시킬 때 삐뚤어지지 않게 고정되게 되어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되며, 케이블 덕트 고정시에 비틀림이 발생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토퍼부에 의해 채널에 고정되는 케이블 덕트의 측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케이블 덕트를 채널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케이블을 인출시켜 사용할 때 일체형 행거 클램프로 인출되게 되므로 케이블이 인출되는 위치의 확인이 용이하여 케이블의 단선 등의 문제 발생시에 케이블의 교체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케이블 덕트 고정용 채널의 채널 단부 덮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행거 클램프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행거 클램프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행거 클램프의 설치를 위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체형 행거 클램프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행거 클램프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행거 클램프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행거 클램프의 설치를 위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체형 행거 클램프는, 천정에 설치되는 앵커볼트(1)에 체결되며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덕트(4)가 상부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채널(5)의 단부를 마감하는 역할을 한다.
일체형 행거 클램프 설치시에는 앵커볼트(1)에 상부 너트(2)를 체결하고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를 상부 너트(2)의 하부로 위치시키며 채널(5)을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의 하부로 위치시킨 후에 채널(5)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하부 너트(3)를 체결시켜 상부 너트(2)와 하부 너트(3)에 의해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가 채널(5)의 단부를 마감하도록 채널(5) 및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를 앵커볼트(1)에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는, 전면 덮개부(10), 상면 덮개부(20) 및 스토퍼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 덮개부(10)는 상기 채널(5) 단부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면 덮개부(20)는 상기 전면 덮개부(10)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 덮개부(10)와 직각되게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중앙부위에 상기 앵커볼트(1)가 통과되는 앵커볼트 통과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는 도 4에서와 같이 장공(21a)형태로 될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19에서와 같이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부위로 절개된 장홈(21b) 형태로 될 수 있다.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가 장공(21a) 형태 또는 장홈(21b) 형태로 되는 이유는 앵커볼트(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채널(5)의 고정위치를 좌우로 가변고정시켜 상기 채널(5)의 상부에 고정될 케이블 덕트(4)를 직선형태로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가 장공(21a) 형태로 되게 되면, 시공시에 앵커볼트(1)에 상부 너트(2)를 체결시키고, 앵커볼트(1)를 본 발명의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의 장공(21a)에 통과시킨 다음에, 본 발명의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의 하부에 채널(5)에 형성된 앵커볼트 통과공(미도시됨)에 앵커볼트(1)를 통과시켜 채널(5)을 위치시키고 채널(5)의 하부를 고정할 하부 너트(3)를 체결시켜 채널(5) 및 본 발명의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를 고정시키게 된다.
반면에,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가 장홈(21b) 형태로 되게 되면, 시공시에 앵커볼트(1)에 상부 너트(2)를 체결시키고, 채널(5)에 형성된 앵커볼트 통과공(미도시됨)에 앵커볼트(1)를 통과시킨 다음, 채널(5)의 하부를 고정할 하부 너트(3)를 체결시킨 후에 본 발명의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를 고정시켜도 된다.
따라서,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가 장공(21a) 형태로 된 경우에는 상부 너트(2)의 위치를 정하고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와 채널(5)을 고정위치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부 너트(3)를 체결하는 것에 반하여,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가 장홈(21b) 형태로 되게 되면 앵커볼트(1)에 채널(5)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하부 너트(3)의 위치를 정하고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의 고정위치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부 너트(2)를 체결하면 되므로 시공하는데 더 편리하게 된다.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가 장공(21a)형태로 된 것에 비해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부위로 절개된 장홈(21b) 형태로 된 것이 시공하는데 편리하기 때문에 도면에서는 도 4에 장공(21a) 형태로 된 것을 도시하였고, 도 5 내지 도 19에서는 장홈(21b) 형태를 도시하였다. 도 5 내지 도 19에서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가 도 4에서와 같은 장공(21a) 형태로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가 상기 채널(5)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부위로 절개된 장홈(21b)으로 된 경우, 상기 스토퍼부(30)는,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양쪽이 후방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위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거나(도 5 참조),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양쪽이 측면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위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된 것(도 6 참조)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앵커볼트(1)에 채널(5)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하부 너트(3)의 위치를 정하고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의 고정위치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부 너트(2)를 체결하여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를 고정되도록 하는 시공의 편리함을 위해서이다.
상기 스토퍼(30)의 형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스토퍼부(30)는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가 연장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채널(5)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기 케이블 덕트(4)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케이블 덕트(4)를 상기 채널(5)과 수직되게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는 스토퍼부(30)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블 덕트(4)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케이블 덕트(4)를 상기 채널(5)과 수직되게 정렬하게 되므로, 채널에 케이블 덕트를 고정시킬 때 삐뚤어지지 않게 고정되게 되어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되며, 케이블 덕트 고정시에 비틀림이 발생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토퍼부(30)에 의해 채널(5)에 고정되는 케이블 덕트(4)의 측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케이블 덕트(4)를 채널(5)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구는 케이블 덕트를 채널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특허등록 제10-1449580호(발명의 명칭: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개시된 바와 같은 부품으로 공지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토퍼부(30)에 의해 채널(5)에 고정되는 케이블 덕트(4)의 측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케이블 덕트(4)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케이블 덕트(4)를 채널(5)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에서는 상기 스토퍼부(30)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양쪽이 후방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위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스토퍼부(30)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폭과 동일하게 후방 단부로 연장되어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스토퍼부(30)는 두가지 형태로 될 수 있다.
첫 번째 형태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양쪽이 후방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위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30)가 채널(5)에 고정되는 케이블 덕트(4)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력 향상을 위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스토퍼부 후방 지지부(40)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부 후방 지지부(40)는 각각의 상기 스토퍼부(30) 양측 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스토퍼부(30) 및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절곡되고, 하단부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스토퍼부(30)의 후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두 번째 형태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양쪽이 측면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위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30)가 채널(5)에 고정되는 케이블 덕트(4)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적을 넓도록 하기 위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케이블 덕트 측면 지지부(50)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 덕트 측면 지지부(50)는 각각의 상기 스토퍼부(30)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스토퍼부(30) 및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케이블 덕트(4)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스토퍼부(30)에 의해 지지된다.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가 장홈(21b) 형태로 된 경우에 첫 번째 형태는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에는 상부 너트(2)가 통과되지 않게 되므로 앵커볼트(1)를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에 통과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부 너트(2)를 스토퍼부(30)의 높이보다 높게 위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를 결합시켜야 한다. 따라서, 상부 너트(2)를 스토퍼부(30)의 높이보다 높게 위로 위치시키게 되므로 상부 너트(2)를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의 상면 덮개부(20) 상부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부 너트(2)를 돌려 체결시켜야 한다.
반면에, 도 19에서와 같이, 두 번째 형태는 상기 스토퍼부(30)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양쪽이 측면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위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 너트(2)와 간섭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너트(2)를 상면 덮개부(20)의 두께 보다 약간 높게 위치한 상태에서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의 고정위치로 위치시키고 상부 너트(2)를 돌려 체결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두 번째 형태의 스토퍼부(30)는 상부 너트(2)의 회전량을 첫 번째 형태의 스토퍼부(30)보다 적게 할 수 있어 시공을 더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채널(5)에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를 결합시킬 때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가 채널(5)의 단부에 안착되어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전면 덮개부(10)에 측면 날개부(11)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날개부(11)는 상기 전면 덮개부(10)의 양측면이 각각 일정길이 연장되어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채널(5)에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를 결합시킬 때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가 채널(5)의 단부에 안착되어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상면 덮개부(20)에 하면 날개부(22)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면 날개부(22)는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양측면이 각각 일정길이 연장되어 하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에, 도 13, 도 14 및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측면 날개부(11)와 상기 하면 날개부(22)를 모두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측면 날개부(11)와 상기 하면 날개부(22)가 만나는 지점을 마감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 날개부(11)의 상단부는 예각을 이루는 제 1 경사면(11a)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측면 날개부(11)와 근접하는 상기 하면 날개부(22)의 전단부는 예각을 이루는 제 2 경사면(22a)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경사면(11a)과 상기 제 2 경사면(22a)은 서로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면 날개부(22)는,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수직되게 일정간격으로 2개 내지 5개의 홈(22b)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면 덮개부(10)는 상기 케이블 덕트(4)로부터 채널을 통해 케이블이 인출되도록 하는 케이블 통과공(12)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도 17 참조).
상기 전면 덮개부(10)에 케이블 통과공(12)을 형성하게 되면, 케이블을 인출시켜 사용할 때 일체형 행거 클램프로 인출되게 되므로 케이블이 인출되는 위치의 확인이 용이하여 케이블의 단선 등의 문제 발생시에 케이블의 교체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는 부식을 고려하여 도금을 하게 되는데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를 도금하기 위해서는 이를 고정시켜 도금하여야 한다.
일체형 행거 클램프(100)를 고정시켜 도금하기 위하여, 상기 상면 덮개부(20)에 상기 일체형 행거 클램프의 도금시 와이어가 통과되도록 하여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와이어 통과공(23)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도 17 참조). 또한, 상기 상면 덮개부(20)에 와이어 통과공(23)이 형성되게 되면 와이어에 다수개의 채널 덮개를 고정시켜 동시에 도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앵커볼트 4 : 케이블 덕트
5 : 채널 10 : 전면 덮개부
11 : 측면 날개부 11a: 제 1 경사면
12 : 케이블 통과공 20 : 상면 덮개부
21 : 앵커볼트 통과부 21a: 장공
21b: 장홈 22 : 하면 날개부
22a: 제 2 경사면 22b: 홈
23 : 와이어 통과공 30 : 스토퍼부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천정에 설치되는 앵커볼트(1)에 체결되며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덕트(4)가 상부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채널(5)의 단부를 마감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로서,
    상기 채널(5) 단부를 커버하는 전면 덮개부(10);
    상기 전면 덮개부(10)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 덮개부(10)와 직각되게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중앙부위에 상기 앵커볼트(1)가 통과되는 앵커볼트 통과부(21)가 형성된 상면 덮개부(20);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가 연장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채널(5)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기 케이블 덕트(4)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케이블 덕트(4)를 상기 채널(5)과 수직되게 정렬하는 스토퍼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 덮개부(10)는 양측면이 각각 일정길이 연장되어 후방으로 직각 절곡된 측면 날개부(11)가 더 형성되고,
    상기 상면 덮개부(20)는 양측면이 각각 일정길이 연장되어 하방으로 직각 절곡된 하면 날개부(22)가 더 형성되며,
    상기 하면 날개부(22)는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수직되게 일정간격으로 2개 내지 5개의 홈(2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
  11. 천정에 설치되는 앵커볼트(1)에 체결되며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덕트(4)가 상부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채널(5)의 단부를 마감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로서,
    상기 채널(5) 단부를 커버하는 전면 덮개부(10);
    상기 전면 덮개부(10)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 덮개부(10)와 직각되게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중앙부위에 상기 앵커볼트(1)가 통과되는 앵커볼트 통과부(21)가 형성된 상면 덮개부(20);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가 연장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채널(5)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기 케이블 덕트(4)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케이블 덕트(4)를 상기 채널(5)과 수직되게 정렬하는 스토퍼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 덮개부(10)는 상기 케이블 덕트(4)로부터 채널을 통해 케이블이 인출되도록 하는 케이블 통과공(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
  12. 천정에 설치되는 앵커볼트(1)에 체결되며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덕트(4)가 상부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채널(5)의 단부를 마감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로서,
    상기 채널(5) 단부를 커버하는 전면 덮개부(10);
    상기 전면 덮개부(10)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 덮개부(10)와 직각되게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중앙부위에 상기 앵커볼트(1)가 통과되는 앵커볼트 통과부(21)가 형성된 상면 덮개부(20);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가 연장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채널(5)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기 케이블 덕트(4)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케이블 덕트(4)를 상기 채널(5)과 수직되게 정렬하는 스토퍼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면 덮개부(20)는 상기 일체형 행거 클램프의 도금시 와이어가 통과되도록 하여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와이어 통과공(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천정에 설치되는 앵커볼트(1)에 체결되며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덕트(4)가 상부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채널(5)의 단부를 마감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로서,
    상기 채널(5) 단부를 커버하는 전면 덮개부(10);
    상기 전면 덮개부(10)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 덮개부(10)와 직각되게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중앙부위에 상기 앵커볼트(1)가 통과되는 앵커볼트 통과부(21)가 형성된 상면 덮개부(20);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가 연장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채널(5)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기 케이블 덕트(4)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케이블 덕트(4)를 상기 채널(5)과 수직되게 정렬하는 스토퍼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는, 상기 채널(5)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부위로 절개된 장홈(21b)으로 되며,
    상기 스토퍼부(30)는,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양쪽이 측면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위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전면 덮개부(10)는 양측면이 각각 일정길이 연장되어 후방으로 직각 절곡된 측면 날개부(11)가 더 형성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는 양측면이 각각 일정길이 연장되어 하방으로 직각 절곡된 하면 날개부(22)가 더 형성되고,
    상기 측면 날개부(11)의 상단부는 예각을 이루는 제 1 경사면(11a)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날개부(11)와 근접하는 상기 하면 날개부(22)의 전단부는, 예각을 이루는 제 2 경사면(22a)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경사면(11a)과 상기 제 2 경사면(22a)은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
  18. 천정에 설치되는 앵커볼트(1)에 체결되며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덕트(4)가 상부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채널(5)의 단부를 마감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로서,
    상기 채널(5) 단부를 커버하는 전면 덮개부(10);
    상기 전면 덮개부(10)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 덮개부(10)와 직각되게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중앙부위에 상기 앵커볼트(1)가 통과되는 앵커볼트 통과부(21)가 형성된 상면 덮개부(20);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가 연장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채널(5)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기 케이블 덕트(4)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케이블 덕트(4)를 상기 채널(5)과 수직되게 정렬하는 스토퍼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는, 상기 채널(5)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부위로 절개된 장홈(21b)으로 되며,
    상기 스토퍼부(30)는,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양쪽이 측면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위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전면 덮개부(10)는 양측면이 각각 일정길이 연장되어 후방으로 직각 절곡된 측면 날개부(11)가 더 형성되고,
    상기 상면 덮개부(20)는 양측면이 각각 일정길이 연장되어 하방으로 직각 절곡된 하면 날개부(22)가 더 형성되며,
    상기 하면 날개부(22)는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수직되게 일정간격으로 2개 내지 5개의 홈(2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
  19. 천정에 설치되는 앵커볼트(1)에 체결되며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덕트(4)가 상부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채널(5)의 단부를 마감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로서,
    상기 채널(5) 단부를 커버하는 전면 덮개부(10);
    상기 전면 덮개부(10)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 덮개부(10)와 직각되게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중앙부위에 상기 앵커볼트(1)가 통과되는 앵커볼트 통과부(21)가 형성된 상면 덮개부(20);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가 연장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채널(5)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기 케이블 덕트(4)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케이블 덕트(4)를 상기 채널(5)과 수직되게 정렬하는 스토퍼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는, 상기 채널(5)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부위로 절개된 장홈(21b)으로 되며,
    상기 스토퍼부(30)는,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양쪽이 측면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위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전면 덮개부(10)는 상기 케이블 덕트(4)로부터 채널을 통해 케이블이 인출되도록 하는 케이블 통과공(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
  20. 천정에 설치되는 앵커볼트(1)에 체결되며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덕트(4)가 상부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채널(5)의 단부를 마감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로서,
    상기 채널(5) 단부를 커버하는 전면 덮개부(10);
    상기 전면 덮개부(10)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 덮개부(10)와 직각되게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중앙부위에 상기 앵커볼트(1)가 통과되는 앵커볼트 통과부(21)가 형성된 상면 덮개부(20);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가 연장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채널(5)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기 케이블 덕트(4)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케이블 덕트(4)를 상기 채널(5)과 수직되게 정렬하는 스토퍼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앵커볼트 통과부(21)는, 상기 채널(5)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부위로 절개된 장홈(21b)으로 되며,
    상기 스토퍼부(30)는, 상기 상면 덮개부(20)의 후방 단부 양쪽이 측면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위가 상기 상면 덮개부(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상면 덮개부(20)는 상기 일체형 행거 클램프의 도금시 와이어가 통과되도록 하여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와이어 통과공(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행거 클램프.
KR1020160056209A 2016-05-09 2016-05-09 일체형 행거 클램프 KR101699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209A KR101699894B1 (ko) 2016-05-09 2016-05-09 일체형 행거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209A KR101699894B1 (ko) 2016-05-09 2016-05-09 일체형 행거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894B1 true KR101699894B1 (ko) 2017-01-25

Family

ID=5799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209A KR101699894B1 (ko) 2016-05-09 2016-05-09 일체형 행거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8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761Y1 (ko) * 2003-12-10 2004-03-22 (주)무진기업 마감패널 부착용 고정바의 체결구
KR20070006086A (ko) * 2005-07-07 2007-01-11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 트레이 행거
KR20120020998A (ko) * 2010-08-31 2012-03-08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용 채널의 채널 단부 덮개
KR20120048317A (ko) * 2010-11-05 2012-05-15 상명엔프라(주) 캐링 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761Y1 (ko) * 2003-12-10 2004-03-22 (주)무진기업 마감패널 부착용 고정바의 체결구
KR20070006086A (ko) * 2005-07-07 2007-01-11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 트레이 행거
KR20120020998A (ko) * 2010-08-31 2012-03-08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용 채널의 채널 단부 덮개
KR20120048317A (ko) * 2010-11-05 2012-05-15 상명엔프라(주) 캐링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8482B2 (en) Linear surface covering system
US8297579B1 (en) Electrical box hanger assembly for a suspended ceiling
RU2321934C1 (ru) Аксессуар для повышения уровня и стык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проволочных кабель-каналов
US9447917B1 (en) Adjustable hanger bars with detachment stop
US7735794B1 (en) Adjustable fixture mounting bracket for suspended ceiling
KR20150020325A (ko) 투피스 모듈식 요크
KR101170293B1 (ko) 목재고정용 히든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패널 체결구조
CN101906857B (zh) 用于组装护栏横梁和护栏立柱的连接件
KR20110122935A (ko) 본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랙 행거
KR101699894B1 (ko) 일체형 행거 클램프
KR101286775B1 (ko) 천정패널 고정 및 캐링찬넬 유동방지를 위한 클립바 조립구조
KR101613490B1 (ko) 무볼트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20100010501U (ko) 케이블 트레이의 분전반 배선용 연결 트레이
CN110344701B (zh) 一种玻璃升降器塑料滑块
US20150146438A1 (en) Luminaire having a clamping member
KR20200107897A (ko) 데크 체결용 클립
KR20170090310A (ko) 케이블 트레이의 전선 분리구 결합구조
KR20100010500U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용 엘보우 트레이
KR20180095761A (ko) 클립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장치
KR100538280B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CN113605691A (zh) 模板连接件及模板系统
KR101197645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분전함
KR20180040040A (ko) 건물 외벽 마감용 마감패널 고정장치
KR101895974B1 (ko) 씨오에스 브라켓 개선 장치
KR20160147684A (ko) 케이블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