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276B1 - Multi-function sectional chair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 sectional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276B1
KR101699276B1 KR1020160073594A KR20160073594A KR101699276B1 KR 101699276 B1 KR101699276 B1 KR 101699276B1 KR 1020160073594 A KR1020160073594 A KR 1020160073594A KR 20160073594 A KR20160073594 A KR 20160073594A KR 101699276 B1 KR101699276 B1 KR 101699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eat
assembled
locking
s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5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준석
Original Assignee
서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준석 filed Critical 서준석
Priority to KR1020160073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2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2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47C4/022Dismountable chairs connected by bar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47C4/021Dismountable chairs connected by slotted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6Supports for the arms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assembly chair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assembly chair, wherein one assembly chair is separated and reassembled to select a large sitting seat, a stool chair, a rotation chair, and a small sitting chair to be used.

Description

다기능 조립식 의자{Multi-function sectional chair}Multi-function sectional chair

본 발명은 다기능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조립식 의자를 분리 및 재조립함으로써 대형 좌식 의자, 스툴 의자, 회전 의자 및 소형 좌식 의자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prefabricated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prefabricated chair that can be selected as a large left-footed chair, a stool chair, a rotating chair, and a small left-handed chair by separating and reassembling a single prefabricated chair.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리부와, 시트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 및 시트부의 양측에 설치된 팔걸이로 이루어진다.Generally, the chair comprises a seat portion for supporting the user's hip, a leg portion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portion, and a backrest provided on the back of the seat portion to support the back of the user and an armres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시트부의 저부에 락킹(lokcing) 및 조절 레버를 설치하고, 락킹에 다리부의 지지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Further, if necessary, a loking and an adjusting lever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eat portion, and the support frame of the leg portion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locking port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hair and freely rotate.

그러나, 사용자는 다리부 없이 시트부를 직접 바닥면에 놓고 사용하는 좌식 의자와, 등받이 없이 사용하는 스툴 의자 및 다리부와 등받이부를 모두 갖는 일반적인 회전 의자를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한다.However, the user uses the left-hand chair for directly using the seat portion directly on the floor surface without the leg portion, the stool chair for use without the backrest, and a general rotating chair having both the leg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separately.

따라서, 최초 공장에서부터 의자를 제작시 그 목적에 따라 좌식 의자, 스툴 의자 및 회전 의자로 분류하여 제작하고, 소비자 역시 사용 목적에 따라 좌식 의자, 스툴 의자 및 회전 의자를 각각 개별적으로 구매하여 사용해야 했다.Therefore, when manufacturing chairs from the first factory, the chairs were classified into left-seat chairs, stool chairs and swivel chair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consumers also had to purchase and use seated chairs, stool chairs, and swivel chairs respectively.

한편, 공개실용신안 제2012-0002824호,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5209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0437271호 등에서는 다양한 목적으로 조립식 의자 또는 다기능 의자를 제공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public utility model 2012-0002824, public utility model 2010-0005209, and Korean Patent No. 10-0437271 provide prefabricated chairs or multifunctional chairs for various purposes.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의자의 등받이나 시트 등을 변형하여 샴푸용 의자, 유아용 변기, 물품 보관함 및 발판 등의 기능을 추가하거나 혹은 높낮이의 조절을 자유롭게 하여 의자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수준에 불과하였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are merely a modification of the chair's backrest or seat to improve functions of the chair by adding functions such as a chair for shampoo, a toilet seat for a child, a storage unit for a child, .

즉, 종래기술은 하나의 의자에 보조적인 기능을 부가할 수 있을 뿐, 각각 고유한 사용 목적을 갖는 좌식 의자, 스툴 의자 및 회전 의자를 그 종류별로 동시에 제공하는 조립식 의자를 제공하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다.That is,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sole-type chair that provides supplementary functions to a single chair, but also provides a chair, a stool chair, and a rotating chair, .

KR1 공개실용신안 제2012-0002824호KR1 public utility model 2012-0002824 KR2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5209호KR2 Public utility model 2010-0005209 KR3 등록특허 제10-0437271호KR3 Patent No. 10-043727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조립식 의자를 분리 및 재조립함으로써 대형 좌식 의자, 스툴 의자, 회전 의자 및 소형 좌식 의자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조립식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ly assembled chair capable of selecting and using a large sitting chair, a stool chair, a rotating chair and a small sitting chair by separating and reassembling a single standing chair .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립식 의자는 메인 시트 및 상기 메인 시트의 후방부에 조립된 등받이를 포함한 대형 좌식 의자; 및 높낮이 조절 레버가 설치된 락킹(locking)과, 상기 락킹의 상부에 고정된 서브 시트 및 상기 락킹의 하부에 조립되며 회전 및 승하강 기능을 구비한 다리부를 포함한 스툴 의자;를 포함하되, 상기 스툴 의자 위에 상기 대형 좌식 의자가 조립되거나 상기 스툴 의자 위에 조립된 상기 대형 좌식 의자가 상기 스툴 의자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multifunctional prefabricate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arge left-handed chair including a main seat and a backrest assembled to a rear portion of the main seat; And a stool chair including a sub seat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and a le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and having a function of rotating and raising and lowering the stool, The large sitting chair is assembled on the stool chair or the large sitting chair built on the stool chair is detached from the stool chair.

이때, 상기 메인 시트의 저면 중심부에는 상기 스툴 의자의 서브 시트 및 락킹이 끼워지는 시트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킹의 후방측 단부에는 시트 잠금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시트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시트 안착홈에 끼워진 락킹의 시트 잠금홈에 걸림 동작이 이루어지거나 걸림 해제되는 조립 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sub seat of the stool chair and a seat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locking is inserted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main seat, a seat locking groove is formed at the rear side end of the locking, It is preferable that an assembling button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lock locking groove of the locking seat inserted in the seat locking groove is provided.

또한, 좌식 시트부 및 상기 좌식 시트부의 후방부에 일체로 연결된 좌식 등받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락킹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소형 좌식 의자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chair further includes a small left-hand chair including a left-type seat part and a left-type backrest integrally connected to a rear part of the left-type seat part, the small-

또한, 상기 락킹의 저면에는 상기 다리부의 지지 프레임이 끼워지는 봉 끼움구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봉 끼움구의 외면 양측부에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끼움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형 좌식 의자의 좌식 시트부에는 전방측 중심부에서 후방측을 향해 일정 길이로 절개되되 상기 끼움 안내홈에 끼워지는 폭을 갖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locking protrudes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a fitting guide groove is forme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r-fitting opening. The small- It is preferable that a cutout portion having a width that is cut in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center portion on the front side toward the rear side and is fitted into the fitting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seat portion of the seat.

또한, 상기 높낮이 조절 레버는 상기 락킹의 전방부를 향해 돌출 설치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 레버는 작동봉 및 상기 작동봉의 전방 단부에 구비된 조절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봉은 상기 소형 좌식 의자의 절개부를 통과하여 조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height adjusting lever is protruded toward the front portion of the locking, and the height adjusting lever includes an adjusting rod provided on the working rod and the front end of the working rod, the working rod passing through the cut portion of the small sitting chair So that they are assembled.

또한, 상기 소형 좌식 시트의 좌식 시트부는 전방부가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들리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 portion of the seat of the small-size seat type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uch that the front portion thereof is heard upward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또한, 상기 대형 좌식 의자는 후방부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시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시트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된 쿠션부를 포함하는 메인 시트와; 상기 메인 시트 프레임의 슬라이딩 가이드에 각각 끼워진 후 전방으로 이동하여 조립되는 한 쌍의 팔걸이; 및 상기 한 쌍의 팔걸이 사이에 조립되는 등받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seat includes a main seat frame having sliding guid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portion thereof and a cushion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seat frame; A pair of armrests which are respectively fitted in the sliding guides of the main seat frame and moved forward and assembled; And a backrest assembled between the pair of armrest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의자에 대형 좌식 의자, 스툴 의자, 회전 의자 및 소형 좌식 의자가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식 의자를 분리 및 재조립함으로써 대형 좌식 의자, 스툴 의자, 회전 의자 및 소형 좌식 의자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large sitting chair, a stool chair, a rotating chair, and a small sitting chair are assembled in one chair. Thus, by separating and reassembling the assembled chair,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use it as a large sitting chair, a stool chair, a rotating chair and a small chair.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립식 의자의 종류별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립식 의자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립식 의자의 대형 좌식 의자를 나타낸 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립식 의자의 스툴 의자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립식 의자의 소형 좌식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s. 1A to 1D are exploded views of various types of multifunctional assembly type chai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assembled state diagram of a multi-function prefabricate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3C illustrate a large left-hand chair of a multi-function prefabricate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illustrate stool chairs of a multifunctional prefabricate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niature chair of a multi-function prefabricate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조립식 의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ulti-function prefabricated 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내지 도 1d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립식 의자는 대형 좌식 의자(Ch1)와, 스툴 의자(Ch2)와, 회전 의자(Ch3) 및 소형 좌식 의자(Ch4)를 포함한 4 종류의 의자를 제공하며, 이들 모두가 하나의 조립식 의자를 통해 제공된다.1A to 1D, the multifunctional prefabricate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ur types of chairs including a large left-hand chair Ch1, a stool chair Ch2, a rotating chair Ch3, and a small left- All of which are provided through a single prefabricated chair.

도 1a는 대형 좌식 의자(Ch1)를 나타낸 것으로 좌식 의자는 다리부(160) 없이 바닥에 바로 놓아 사용하는 것이고, 도 1b는 스툴(stool) 의자를 나타낸 것으로 등받이 없이 사용하는 것이다.FIG. 1A shows a large left-hand chair Ch1. The left-hand chair is placed on the floor without the legs 160, and FIG. 1B shows a stool chair without backrests.

도 1c는 회전 의자(Ch3)를 나타낸 것으로 학생용이나 사무용으로 흔히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의자로써 대형 좌식 의자(Ch1)와 스툴 의자(Ch2)를 상하에 결합한 것이다. 도 1d는 소형 좌식 의자(Ch4)로써 상기 대형보다 사이즈가 다소 작으며 락킹(140)에 끼워 보관한다.FIG. 1C shows a rotating chair Ch3, which is a common chair commonly seen for students and offices, and is a combination of a large sitting chair Ch1 and a stool chair Ch2 up and down. 1D is a small chair (Ch4), which is slightly smaller in size than the above-mentioned large size, and is held in the locking portion 140. FIG.

도 2와 같이,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대형 좌식 의자(Ch1)와, 스툴 의자(Ch2)와, 회전 의자(Ch3) 및 소형 좌식 의자(Ch4)를 모두 조립한 상태로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조립식 의자로써 소비자에게 판매된다.As shown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state in which both of the above-mentioned large sitting chair Ch1, the stool chair Ch2, the rotating chair Ch3 and the small sitting chair Ch4 are assembled, It is sold as a prefabricated chair to consumers.

따라서, 소비자는 하나의 다기능 조립식 의자를 분리 및 재조립함으로써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형 좌식 의자(Ch1), 스툴 의자(Ch2), 회전 의자(Ch3) 및 소형 좌식 의자(Ch4)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the consumer can select and use a large left-hand chair Ch1, a stool chair Ch2, a rotating chair Ch3, and a small left-hand chair Ch4 as shown in FIG. 1 by separating and reassembling a multifunctional assembly- I will.

이를 위해, 상술한 대형 좌식 의자(Ch1)는 메인 시트(110) 및 상기 메인 시트(110)의 후방부에 조립된 등받이(120)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메인 시트(110)의 후방부에 한 쌍의 팔걸이(13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above-mentioned large left-hand chair Ch1 includes a main seat 110 and a backrest 120 assemb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seat 110. [ And preferably includes a pair of armrests 130 at the rear of the main seat 110.

도 3a와 같이 메인 시트(110)는 일 예로 메인 시트 프레임(111) 및 쿠션부(112)로 구성된다. 이때 사각 프레임 형상의 메인 시트 프레임(111)의 후방부 양측에는 각각 슬라이딩 가이드(111a)가 형성되어 있고, 쿠션부(112)는 메인 시트 프레임(111)의 상면에 결합된다.3A, the main seat 110 is composed of a main seat frame 111 and a cushion portion 112, for example. At this time, a sliding guide 111a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portion of the rectangular main frame 111, and the cushion portion 112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seat frame 111. [

도 3b와 같이 팔걸이(130)의 하부 내측에는 슬라이딩 가이드(111a)에 끼워지는 끼움홈(131)이 형성되어 있어서, 한 쌍의 팔걸이(130)는 메인 시트 프레임(111)의 슬라이딩 가이드(111a)에 각각 끼워진 후 전방으로 이동하여 조립된다.A pair of armrests 130 are inserted into the sliding guide 111a of the main seat frame 111 and the pair of armrests 130 are inserted into the sliding guide 111a of the main seat frame 111, Respectively, and then moved forward and assembled.

따라서, 팔걸이(1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팔걸이(130)를 의자의 후방으로 잡아당겨 제거하고, 팔걸이(13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팔걸이(130)를 슬라이딩 가이드(111a)에 끼운 후 전방으로 밀어 조립한다.Therefore, when the armrest 130 is not used, the armrest 130 is pulled out to the rear of the chair. When the armrest 130 is used, the armrest 130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uide 111a, Push and assemble.

등받이(120)는 이상과 같은 한 쌍의 팔걸이(130) 사이에 조립된다. 일 예로 등받이(120)에는 미감을 위해 유선형의 패턴을 좌우 대칭되게 형성할 수 있다. 유선형 패턴은 등받이(120)를 절개하여 형성하되, 패턴 중간에 옷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채움부를 갖는다.The backrest 120 is assembled between the pair of armrests 130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n the backrest 120, a streamlined pattern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to the left. The streamlined pattern is formed by cutting the back 120, and has a filling portion for preventing clothes or the like from being caught in the middle of the pattern.

이러한 등받이(120)는 일 예로 한 쌍의 팔걸이(130) 사이에 구비된 가로 프레임(130a)이 조립되는데, 등받이(120)는 가로 프레임(130a)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조립된다.The backrest 120 is assembled with a horizontal frame 130a provided between a pair of armrests 130. The backrest 120 is assembled to the horizontal frame 130a by a screw fastening method.

구체적으로 등받이(120)의 후면이 가로 프레임(130a)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등받이(120)의 후면에 돌출된 볼트 조립구와 가로 프레임(130a)에 관통 형성된 볼트공을 일치시킨 후 가로 프레임(130a)의 후면에서 볼트를 체결한다. 볼트를 체결한 후에는 가로 프레임(130a)의 후면에 프레임 커버를 덮어 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Specifically, when the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30a, the bolt assembly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120 is aligned with the bolt hole formed through the horizontal frame 130a, 130a. After the bolts are fastened, the frame cover is cover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30a to prevent the bolt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도 3c의 (a) 및 (b)와 같이 메인 시트(110)의 저면 중심부에는 스툴 의자(Ch2)의 서브 시트(150) 및 락킹(140)이 끼워지는 시트 안착홈(111b)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정확히 시트 안착홈(111b)은 메인 시트 프레임(111)의 저면에 형성된다.3C and FIG. 3C, a seat seating groove 111b in which the sub seat 150 of the stool chair Ch2 and the locking 140 are inserte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seat 110 . The seat seating groove 111b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seat frame 111 more accurately.

시트 안착홈(111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브 시트(150) 및 락킹(140)의 상측 일부가 끼워져 조립되는 공간부로써, 스툴 의자(Ch2) 위에 대형 좌식 의자(Ch1)를 조립하여 회전 의자(Ch3)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The seat seating groove 111b is a space part in which an upper part of the sub seat 150 and the lock 140 is fitted and assembled as described later so that a large seat 141 is assembled on the stool chair Ch2, Ch3).

또한, 메인 시트(110)의 후방 단부에는 조립 버튼(113)이 설치되어 있어서 조립 버튼(113)의 조작에 따라 대형 좌식 의자(Ch1)와 스툴 의자(Ch2)를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게 한다.An assembly button 113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seat 110 so that the large sitting chair Ch1 and the stool chair Ch2 can be separated or combi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ssembling button 113. [

조립 버튼(113)으로는 손잡이부(113a) 및 걸림부(113b)를 포함한 인출식 손잡이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손잡이부(113a)는 메인 시트(110)의 후방에 노출 설치되고, 걸림부(113b)는 시트 안착홈(111b) 내측까지 관통 설치된다. The pull-out handle including the handle 113a and the hook 113b may be used as the assembly button 113. At this time, the handle 113a is ex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seat 110, 113b are penetrated to the inside of the seat receiving groove 111b.

따라서, 손잡이부(113a)를 잡고 인출식 손잡이를 후방으로 당기면 걸림부(113b)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잠금 해제 동작을 하고, 반대로 전방으로 밀면 걸림부(113b)가 시트 안착홈(111b) 내측에 위치하여 잠금 동작을 한다.Accordingly, when the pull-out handle is pulled back by holding the handle 113a, the latch 113b is moved backward to perform the unlocking operation, and when the latch 113b is pushed forward, the latch 113b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seat seat 111b And lock operation is performed.

물론, 위와 같은 인출식 손잡이 이외에 조립 버튼(113)으로써 메인 시트(110)의 후방에 노출된 상하 회동 손잡이 및 걸림부로 구성된 회동식 손잡이(미도시)를 사용하는 등 그 외 다양한 방식의 조립 버튼도 사용될 수 있다.Of cours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ull-out type knob, there are also various types of assembly buttons such as a rotary knob (not shown) composed of an upper and a lower turning knob and a hook portion exposed at the rear of the main seat 110 with an assembly button 113 Can be used.

조립 버튼(113)을 바라보는 반대측에는 시트 안착홈(111b)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된 지지턱(114)이 돌출되어 있어서 지지턱(114)과 시트 안착홈(111b)의 바닥면 사이에 서브 시트(150)를 삽입하여 끼울 수 있다.A supporting protrusion 114 protruded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seating groove 111b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ssembly button 113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ing protrusion 114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seating recess 111b The sub seat 150 can be inserted and inserted.

다음, 스툴 의자(Ch2)는 도 4a와 같이 높낮이 조절 레버(H-L)가 설치된 락킹(locking)(140)과, 락킹(140)의 상부에 고정된 서브 시트(150) 및 락킹(140)의 하부에 조립되며 회전 및 승하강 기능을 구비한 다리부(160)를 포함한다.4A, the stool chair Ch2 includes a locking 140 having a height adjusting lever HL, a sub seat 150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140, And a leg 160 having a function of rotating and lifting and lowering.

락킹(140) 그 자체는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의 높이를 조작하고, 조절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높낮이 조절 레버(H-L)를 이용하여 이를 가능하게 한다.The locking 140 itself is used to manipulate the height of the chair which is adjustable in height, as is well known, and to fix the adjusted state, which is made possible by means of a height adjusting lever (H-L).

서브 시트(150)는 스툴 의자(Ch2)의 시트 커버를 구성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이나 천연/합성 목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쿠션 재질의 커버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sub seat 150 constitutes a seat cover of the stool chair Ch2, and preferably, plastic or natural / synthetic wood can be used. Needless to say, a cover made of a cushion material may be used if necessary.

이러한 서브 시트(150)를 갖춘 스툴 의자(Ch2)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등받이(120)가 없는 의자로 사용됨은 물론, 서브 시트(150) 위에서 간단한 다과를 즐기거나 물건을 올려놓는 테이블로도 사용할 수 있다.The stool chair Ch2 with such a sub seat 150 can be used as a chair without the backrest 120 as well as a table for enjoying simple refreshments on the sub seat 150 or for placing objects have.

다리부(160)는 지지 프레임(161) 및 상기 지지 프레임(161)의 저면에 설치된 바퀴부(162)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 프레임(161) 내부에는 공압 실린더 등이 설치되어 있어서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며, 공압 실린더의 조작부는 상술한 높낮이 조절 레버(H-L)에 연결된다.The leg portion 160 includes a support frame 161 and a wheel portion 162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61. At this time, a pneumatic cylinder or the like is provided inside the support frame 161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hair, and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pneumatic cylinder is connected to the height control lever H-L.

한편, 락킹(140)의 후방부에는 시트 잠금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 시트(110) 저면의 시트 안착홈(111b)에 서브 시트(150) 및 락킹(140)을 끼운 후 메인 시트(110)의 조립 버튼(113)을 조작하면 조립 버튼(113)이 시트 잠금홈(141)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된다.On the other hand, a seat lock groove 141 is formed in a rear portion of the lock 140. When the sub seat 150 and locking 140 are inserted into the seat seating groove 111b at the bottom of the main seat 110 and then the assembling button 113 of the main seat 110 is operated, The lock groove 141 is engaged or released.

또한, 락킹(140)의 저면에는 다리부(160)의 지지 프레임(161)이 끼워지는 봉 끼움구(142)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봉 끼움구(142)의 내부에는 부싱(bushing)이 삽입되어 있어서 다리부(16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A bushing hole 142 in which the support frame 161 of the leg portion 160 is inserted is projected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ck 140. A bushing is formed inside the bushing hole 142, So that the leg portion 160 is rotatably fitted.

또한, 봉 끼움구(142)의 외면 양측부에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끼움 안내홈(142a)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 안내홈(142a)은 소형 좌식 의자(Ch4)의 조립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형 좌식 의자(Ch4)에 형성된 절개부(171a) 사이에 봉 끼움구(142)가 삽입되도록 소형 좌식 의자(Ch4)를 조립한다.In addition,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od-fitting member 142, fitting guide grooves 142a are formed horizontally. The fitting guide groove 142a is for guiding the assembly of the small-sized chair Ch4. As described later, the fitting guide groove 142a is formed in the small-sized chair Ch4 so that the rod- Assemble the chair (Ch4).

또한, 도 4b와 같이 락킹(140)에는 봉 끼움구(142)의 중공부가 상면까지 노출되어 있고, 그 전방부 중심측에는 길이가 긴 장공(143)이 형성되어 있어서, 높낮이 조절 레버(H-L)를 락킹(140)의 전방부를 향해 돌출하여 설치될 수 있게 한다.4 (b), the hollow portion of the barrel member 142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140, and a long hole 14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140, So that it can be install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portion of the locking 140.

높낮이 조절 레버(H-L)는 일 예로 작동봉 및 상기 작동봉의 전방 단부에 구비된 조절 손잡이를 포함하는데, 작동봉의 일측 단부는 봉 끼움구(142)를 통해 상측으로 노출된 공압 실린더의 작동간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부는 상술한 장공(143)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된다.The height adjusting lever HL includes, for example, a working rod and an adjusting handle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working rod, wherein one end of the working rod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of the pneumatic cylinder exposed upward through the bar- At the same time, the other end is exposed forward through the long hole 143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방식으로 높낮이 조절 레버(H-L)를 의자의 전방으로 설치하면 종래에는 레버가 측부에 설치된 것과 비교하여 조작을 쉽게 한다. 또한, 작동봉은 소형 좌식 의자(Ch4)의 절개부(171a)를 통과하여 조립되기 때문에 소형 좌식 의자(Ch4)가 조립된 상태에서도 의자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height adjusting lever H-L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chair in this manner, the lever is easily operated in comparison with the case where the lever is provided on the side portion.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ng rod is assembled through the cutout 171a of the small left-hand chair Ch4, the height of the chair can be freely adjusted even when the small left-hand chair Ch4 is assembled.

다음, 회전 의자(Ch3)는 학생용이나 사무용 등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등받이(120), 팔걸이(130) 및 다리부(160)를 모두 포함하는 일반적인 타입의 회전 의자(Ch3)를 의미한다. 의자의 회전은 다리부(160)가 락킹(14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가능하다.Next, the rotating chair Ch3 is used for a student or a business office, and refers to a general type rotating chair Ch3 including the backrest 120, the armrest 130, and the legs 160. [ The rotation of the chair is possible because the legs 160 are rotatably assembled to the locking 140.

이러한 회전 의자(Ch3)는 스툴 의자(Ch2)의 상면에 대형 좌식 의자(Ch1)가 조립된 것으로, 스툴 의자(Ch2)와 대형 좌식 의자(Ch1)의 조합이 회전 의자(Ch3)로 사용된다. 이를 위해 스툴 의자(Ch2)의 서브 시트(150) 위에 대형 좌식 의자(Ch1)의 메인 시트(110)가 조립된다.The rotating chair Ch3 is formed by assembling a large left-hand chair Ch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ol chair Ch2 and a combination of the stool chair Ch2 and the large left-hand chair Ch1 is used as the rotating chair Ch3. To this end, the main seat 110 of the large left-hand chair Ch1 is assembled on the sub seat 150 of the stool chair Ch2.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시트(1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시트 안착홈(111b)에 스툴 의자(Ch2)의 서브 시트(150) 및 락킹(140)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메인 시트(110)의 조립 버튼(113)를 이용하여 잠금동작을 수행하면 스툴 의자(Ch2)와 대형 좌식 의자(Ch1)가 조립됨으로써 회전 의자(Ch3)가 된다.The sub seat 150 of the stool chair Ch2 and the locking 140 are inserted into the seat seating groove 111b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seat 11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assembling button 113, the stool chairs Ch2 and the large sitting chairs Ch1 are assembled to become the rotating chair Ch3.

다음, 소형 좌식 의자(Ch4)는 대형 좌식 의자(Ch1)와 마찬가지로 다리부(160) 없이 바닥에 바로 놓아 사용하는 것으로 대형 좌식 의자(Ch1)에 비해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조립식 의자에서 2개의 좌식 의자를 제공한다.Next, the small chair Ch4 is placed on the floor without the leg 160 as in the case of the large chair Ch1, and its size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large chair Ch1. Thus, we provide two left-handed chairs in one prefabricated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와 같이, 소형 좌식 의자(Ch4)는 좌식 시트부(171) 및 상기 좌식 시트부(171)의 후방부에 일체로 연결된 좌식 등받이부(172)를 포함하며, 스툴 의자(Ch2)의 락킹(140)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된다.5, the small-size chair Ch4 includes a left-type seat portion 171 and a left-type backrest portion 172 integrally connected to a rear portion of the left-sitting seat portion 171, (Not shown).

이를 위해 소형 좌식 의자(Ch4)의 좌식 시트부(171)에는 전방측 중심부에서 후방측을 향해 일정 길이로 절개된 절개부(171a)를 가지며, 절개부(171a)는 봉 끼움구(142)의 끼움 안내홈(142a)에 끼워지는 폭을 갖는다.To this end, the seat portion 171 of the small sitting chair Ch4 has a cutout portion 171a cut out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front side toward the rear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cutout portion 171a has a cut- And has a width fit into the fitting guide groove 142a.

따라서, 소형 좌식 의자(Ch4)의 좌식 시트부(171)를 락킹(140)의 봉 끼움구(142)에 끼우면, 좌식 시트부(171)는 대형 좌식 의자(Ch1)의 메인 시트(110) 저면에 밀착되고, 좌식 등받이부(172)는 대형 좌식 의자(Ch1)의 등받이(120)에 밀착 조립된다.Therefore, when the seat portion 171 of the small-sized chair Ch4 is inserted into the bar-fitting portion 142 of the locking portion 140, the seat portion 171 of the seat is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seat 110 of the large- And the left type back portion 172 is closely attached to the backrest 120 of the large left-hand chair Ch1.

또한, 본 발명은 소형 좌식 의자(Ch4)를 바닥에 놓고 사용시 좌식 등받이부(172)가 착석자의 등(혹은 척추)을 가압 지지하도록 좌식 시트부(171)의 전방부가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들리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mall-size chair (Ch4) is placed on the floor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seat back portion (171) is suppor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so that the seat back portion (172) It has a curved shape to be heard.

이와 같이 좌식 시트부(171)가 굴곡진 형상으로 구성되면 소형 좌식 의자(Ch4)에 사용자가 착석하면 그 착석자가 좌식 시트부(171)를 누르고 좌식 등받이부(172)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착석자의 등을 탄성 가압한다.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small left-hand chair Ch4, the seated person pushes the left-sitting type seat portion 171 and the left-type backrest portion 172 moves forward, And the like.

특히, 좌식 시트부(171)의 전방부 중심측에는 절개부(171a)가 구비되어 있어서 착석자의 양측 다리의 사이점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의 좌식 시트부로 분리되고 각 부 별로 착석자의 체중이 실린다.Particularly, the cut-away portion 171a is provided on the center of the front portion of the seat portion 171 so as to be separated into left and right seat por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a point between both legs of the seat occupant, and weight of the seat occupant is loaded.

따라서, 착석자의 앉은 자세에 따라 절개부(171a)를 기준으로 일측의 좌식 시트부(171)를 누르면 그에 대각선 방향의 타측 좌식 등받이부(172)가 착석자의 등을 눌러 탄성 가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eat back portion 171 is pressed against the cutout portion 171a in accordance with the seating position of the seated person, the other seat back portion 172 in the diagonal direction can be elastically pressed by the seated person.

또한, 절개부(171a)의 길이는 봉 끼움구(142)의 직경보다 길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 레버(H-L)가 전방으로 설치되더라도, 당해 높낮이 조절 레버(H-L)가 절개부(171a) 내에서 상하로 회동하므로 그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게 한다.Since the length of the cutout portion 171a is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rrel fitting portion 142, even if the height adjustment lever HL is installed forward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adjustment lever HL is not inserted into the cutout portion 171a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its operation.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have,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Ch1: 대형 좌식 의자
Ch2: 스툴 의자
Ch3: 회전 의자
Ch4: 소형 좌식 의자
110: 메인 시트
120: 등받이
130: 팔걸이
140: 락킹(locking)
150: 서브 시트
160: 다리부
171: 좌식 시트부
172: 좌식 등받이부
H-L: 높낮이 조절 레버
Ch1: Large sitting chair
Ch2: stool chair
Ch3: Swivel chair
Ch4: Small sitting chair
110: main sheet
120: Backrest
130: Armrest
140: locking
150: sub sheet
160: leg
171:
172:
HL: Height adjustment lever

Claims (7)

메인 시트(110) 및 상기 메인 시트(110)의 후방부에 조립된 등받이(120)를 포함한 대형 좌식 의자(Ch1); 및
높낮이 조절 레버(H-L)가 설치된 락킹(locking)(140)과, 상기 락킹(140)의 상부에 고정된 서브 시트(150) 및 상기 락킹(140)의 하부에 조립되며 회전 및 승하강 기능을 구비한 다리부(160)를 포함한 스툴 의자(Ch2)를 포함하되;
상기 스툴 의자(Ch2) 위에 상기 대형 좌식 의자(Ch1)가 조립되거나 상기 스툴 의자(Ch2) 위에 조립된 상기 대형 좌식 의자(Ch1)가 상기 스툴 의자(Ch2)로부터 탈착되며;
좌식 시트부(171) 및 상기 좌식 시트부(171)의 후방부에 일체로 연결된 좌식 등받이부(172)를 포함하되, 상기 락킹(140)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소형 좌식 의자(Ch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140)의 저면에는 상기 다리부(160)의 지지 프레임(161)이 끼워지는 봉 끼움구(142)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봉 끼움구(142)의 외면 양측부에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끼움 안내홈(14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형 좌식 의자(Ch4)의 좌식 시트부에는 전방측 중심부에서 후방측을 향해 일정 길이로 절개되되 상기 끼움 안내홈(142a)에 끼워지는 폭을 갖는 절개부(171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의자.
A large seat (Ch1) including a main seat (110) and a backrest (120) assemb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seat (110); And
A sub seat 150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 140 and a lower portion 140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 140 and having a function of rotating and raising and lowering And a stool chair (Ch2) including one leg portion (160);
The large sitting chair Ch1 assembled on the stool chair Ch2 or the large sitting chair Ch1 assembled on the stool chair Ch2 is detached from the stool chair Ch2;
Type chair 4 which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locking part 140 and includes a left type seat part 171 and a left type back part 172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ear part of the left type seat part 171, Include;
The lock 140 has a bottom surface on which a bar-like member 142 for supporting the support frame 161 of the leg portion 160 is projected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r- And a guide groove 142a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ront center portion toward the rear side of the seat portion of the small sitting chair Ch4, And a cutout portion (171a) having a cut-out portion (171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트(110)의 저면 중심부에는 상기 스툴 의자(Ch2)의 서브 시트(150) 및 락킹(140)이 끼워지는 시트 안착홈(11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킹(140)의 후방부에는 시트 잠금홈(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시트(110)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시트 안착홈(111b)에 끼워진 락킹(140)의 시트 잠금홈(141)에 걸림 동작이 이루어지거나 걸림 해제되는 조립 버튼(113)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ating seat groove 111b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seat 110 to seat the sub seat 150 of the stool chair Ch2 and the locking seat 140,
A seat lock groove 141 is formed in a rear portion of the lock 140,
An assembling button 113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seat 110 to engage or disengage the seat locking groove 141 of the locking 140 inserted into the seat seating groove 111b Multi-functional prefabricated chai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 레버(H-L)는 상기 락킹(140)의 전방부를 향해 돌출 설치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 레버(H-L)는 작동봉 및 상기 작동봉의 전방 단부에 구비된 조절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봉은 상기 소형 좌식 의자(Ch4)의 절개부(171a)를 통과하여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adjusting lever HL is protruded toward the front portion of the locking 140,
The height adjusting lever (HL) includes an operating rod and an adjusting handle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operating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rod is assembled by passing through a cutout (171a) of the small chair (Ch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좌식 시트의 좌식 시트부(171)는 전방부가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들리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 portion (171) of the seat (171) of the small sitting type seat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uch that the front portion thereof is heard upward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 좌식 의자(Ch1)는,
후방부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가이드(111a)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시트 프레임(111) 및 상기 메인 시트 프레임(111)의 상면에 설치된 쿠션부(112)를 포함하는 메인 시트(110)와;
상기 메인 시트 프레임(111)의 슬라이딩 가이드(111a)에 각각 끼워진 후 전방으로 이동하여 조립되는 한 쌍의 팔걸이(130); 및
상기 한 쌍의 팔걸이(130) 사이에 조립되는 등받이(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rge left-hand chair (Ch1)
A main seat 110 including a sliding guide 111a on both sides of a rear portion thereof and a cushion portion 112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seat frame 111;
A pair of armrests (130) fitted in the sliding guides (111a) of the main seat frame (111) and moved forward and assembled; And
And a backrest (120) assembled between the pair of armrests (130).
KR1020160073594A 2016-06-14 2016-06-14 Multi-function sectional chair KR1016992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594A KR101699276B1 (en) 2016-06-14 2016-06-14 Multi-function sectional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594A KR101699276B1 (en) 2016-06-14 2016-06-14 Multi-function sectional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276B1 true KR101699276B1 (en) 2017-01-24

Family

ID=5799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594A KR101699276B1 (en) 2016-06-14 2016-06-14 Multi-function sectional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27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271B1 (en) 2003-11-14 2004-06-24 (주)코윈아이앤티 Multi-use Chair
JP2005118110A (en) * 2003-10-14 2005-05-12 Uchie Kk Seat replaceable type care chair
KR20100005209A (en) 2007-05-09 2010-01-14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System and method for analyte measurement using a nonlinear sample response
KR20120002824A (en) 2010-07-01 2012-01-09 이교석 Flash games integrated data system and provide method thereof
KR20150009835A (en) * 2013-07-17 2015-01-27 (주)하루엘에이치 Chair
US20150130230A1 (en) * 2006-10-23 2015-05-14 Anthony J. Warncke Chair with coupling companion stool bas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8110A (en) * 2003-10-14 2005-05-12 Uchie Kk Seat replaceable type care chair
KR100437271B1 (en) 2003-11-14 2004-06-24 (주)코윈아이앤티 Multi-use Chair
US20150130230A1 (en) * 2006-10-23 2015-05-14 Anthony J. Warncke Chair with coupling companion stool base
KR20100005209A (en) 2007-05-09 2010-01-14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System and method for analyte measurement using a nonlinear sample response
KR20120002824A (en) 2010-07-01 2012-01-09 이교석 Flash games integrated data system and provide method thereof
KR20150009835A (en) * 2013-07-17 2015-01-27 (주)하루엘에이치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6161B2 (en) Foldable child booster seat
CN105361488B (en) Chair and furniture
US6733071B2 (en) Self-locking rocker recliner chair
KR101398686B1 (en) Tilting type chair
KR20190079955A (en) The slide structure of the seat for the chair
EP3854264A1 (en) Armchair
JP3843431B2 (en) Chair
KR101209211B1 (en) Chair
KR101699276B1 (en) Multi-function sectional chair
AU621324B2 (en) Folding watertight outside seat of the box-bench type
GB2483056A (en) Furniture reclining mechanism with ratchet override
KR200465611Y1 (en) Sliding structure of seat for chair
US5947553A (en) Folding chair
US6705678B1 (en) Height-adjustable chair back
KR102072935B1 (en) Chair seat with backrest and seat fixing function
JP2004049717A (en) Device for inclining backrest or the like for chair
KR102072327B1 (en) a chair with double tilt
US597581A (en) Convertible chair
KR101753786B1 (en) Chair with adjustable chair arm
KR200431465Y1 (en) Chair
KR200427731Y1 (en) Armrest structure for a collapsible chair
JP4491317B2 (en) Chair seat structure
KR200377422Y1 (en) Head supporter for chair
JP4384003B2 (en) Gas spring operating device for chair
KR200395899Y1 (en) Arm rest structure for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