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630B1 - Double-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 Google Patents

Double-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630B1
KR101698630B1 KR1020127004841A KR20127004841A KR101698630B1 KR 101698630 B1 KR101698630 B1 KR 101698630B1 KR 1020127004841 A KR1020127004841 A KR 1020127004841A KR 20127004841 A KR20127004841 A KR 20127004841A KR 101698630 B1 KR101698630 B1 KR 101698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ceiling
outle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8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41228A (en
Inventor
후미아키 나카무라
다다노리 오야마
고우 마키
고헤이 야나기하라
Original Assignee
산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2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6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 E04B2009/02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the supporting ceiling grid acting as air diffu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with conduits
    • E04F2019/0445Ventilating plin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6Air flow forming a vort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실내에 공조 공기를 도입하는 공조 구조에 관한 것으로, 실내공간에 균일한 온도 환경을 유지하고, 실내의 미관에도 기여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바닥아래 공간부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취출구를 통해 실내에 내뿜는 공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아래 공간부와 연이어 통하는 이중벽의 벽부에,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의 공조 공기가 상방을 향해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5)를 형성하고, 바닥부의 근방에 상기 벽부 유통로(5)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의 바닥측 취출구(24)를, 또한 천정부의 근방에 천정측 취출구(64)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바닥측 취출구(24)의 근방의 벽 기초면에, 공조 공기의 흐름을 바꾸는 난류 발생판(40)을 배치하고, 상기 난류 발생판에 상기 공조 공기를 닿게 하여 난류를 발생시켜, 이 난류에 의해 공조 공기를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상측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하여,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구성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onditioning structure for introducing air-conditioning air into a roo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uble-wall structure for air-conditioning that maintains a uniform temperature environment in an indoor space and contributes to the beauty of the interior of the room. (5) through which air ventilating air from the space below the floor flows upward is formed in the wall portion of the double wall which communicates with the space below the floor in the air-conditioning structure, Side outlet 24 of the air-conditioning air flowing through the wall-side communication passage 5 in the vicinity of the ceiling portion and the ceiling-side outlet 64 in the vicinity of the ceiling portion, A turbulence generating plate (40) for changing the flow of the air conditioning air is disposed on the wall base surface, and the turbulence is generated by bringing the airflow generating plate into contact with the turbulence generating plate, Group is configured to be classified in two directions of the direction of the upper direction and the ceiling air outlet side of the bottom side air outlet, introduced to the indoor air-conditioning air from both the ceiling side of the air outlet and the bottom side air outlet.

Description

공조용 이중벽 구조{DOUBLE-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DOUBLE-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본 발명은, 실내에 공조 공기를 도입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onditioning double wall structure for introducing air-conditioning air into a room.

종래, 바닥 아래로부터 공조를 행하는 냉난상(冷暖床)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이는, 공조기기로부터 보내지는 공조 공기를 덕트내에 유통시켜, 이 덕트에 부착된 분류(噴流) 노즐로부터 상방의 바닥판을 향해 내뿜고, 또한 바닥아래 공간의 공조 공기를 바닥면에 설치한 취출구(吹出口)로부터 내뿜어 실내에 도입하여 실내의 공조를 행한다. 상기 취출구는, 바닥 주변의 바닥면에 복수 개소 설치된다. 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a cooling / heating system for performing air conditioning from below a floor has been developed. This is because the air conditioning air sent from the air conditioner is flown in the duct to blow out the air from the jet (jet flow) nozzle attached to the duct toward the upper floor plate, and air- Outlet) and introduced into the room to perform air conditioning in the room. The air outlet is provided at a plurality of places on the bottom surface around the floor.

또한 종래, 냉난기(冷暖氣)를 벽면에 접한 실내측의 굽도리널(skirting board)부분의 취출구, 및 둘레가장자리부분의 취출구로부터 주택의 실내공간에 도입함으로써, 실내공간을 균일한 온도 환경에 유지하는 주택용의 공조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Conventionally, the indoor space is maintained in a uniform temperature environment by introducing cooling / heating air into the indoor space of the house from the air outlet of the skirting board portion of the indoor side contacting the wall surface and the air outlet of the peripheral edge portion The air conditioning structure for residential use is disclosed.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난방 공조 설비기(100)를 1층 바닥아래와 1층 천정 뒤쪽과 2층 천정 뒤쪽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냉난방 공조 설비기(100)로부터 내뿜어진 냉방기를 외부 벽면에 접한 실내측의 굽도리널부분의 취출구(102) 및 둘레가장자리부분의 취출구(104)로부터 주택 실내공간에 도입하는 주택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주택의 실내공간은 균일한 온도 환경과 습도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as shown in Fig. 5, a cooling / heating air conditioner equipment 100 is installed below the floor of the first floor, behind the first floor of the ceiling and behind the second floor of the ceiling, Discloses a housing for introducing the blown cooler into the indoor space of the housing from the blow-out opening 102 of the sub-folding board portion on the indoor side contacting with the outer wall surface and the blow-out opening 104 of the peripheral edge portion. Thus, the indoor space of the house can maintain a uniform temperature environment and a humidity environment.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공조 대상 공간의 벽의 굽도리널에 취출방향이 비스듬한 상향인 취출구를, 또는 둘레 가장자리에 취출방향이 비스듬한 하향인 취출구를 설치하고, 공조 대상 공간의 공기를 빨아들여 바닥아래 공간에 조화(調和) 공기로서 내뿜는 실내기, 공조 대상 공간에서 실내기에 이르는 환기 통로, 및 바닥아래 공간과 공조 대상 공간의 벽내에 위치시킨 조화 공기의 취출통로로 구성된 바닥아래 공조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blow-out port whose upward direction is oblique to the take-out direction or a blow-out port whose downwardly directed blow-out direction is oblique to the peripheral edge is provided on the sub- And a ventilation passage extending from the space to be air-conditioned to the indoor unit, and a ventilation passage for ventilating air positioned in the wall of the space to be air-conditioned and the space below the floor.

일본 공개특허 2002-139241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139241 일본 공개특허 2006-78128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78128

그렇지만, 상기 냉난상 시스템은, 방의 바닥 주변부에 바닥위 취출구가 설치되기 때문에, 방의 주변부에 가구 등의 물건이 놓여진 경우에는, 이들 가구 등에 의해 바닥위 취출구가 막힐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cold / hot air system,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furniture or the like is placed i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room, the floor outlet is clogged by these furniture or the like because the floor outlet is provided in the floor periphery of the room.

또한, 특허문헌 1의 주택은, 주택 실내공간에 기압차를 발생시켜 공기를 유동시키는데, 이 공기가 유동함으로써 각 취출구로부터 실내공간에 냉난기를 도입하는 것이지만, 각 취출구에 어떻게 냉난기를 분산시키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기재가 없어, 균일한 분산을 행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In the housing of Patent Document 1, a pressure difference is generated in the indoor space of the house to cause air to flow. As the air flows, the cold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from each air outlet. However, There is no clear description, and it is doubtful that uniform dispersion can be performed.

또한, 특허문헌 2의 바닥아래 공조 시스템은, 공조 공기의 취출을 굽도리널의 취출구를 대신하여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하고, 바닥아래 공조기로부터의 조화 공기를 바닥아래 공간으로부터 벽내의 통기로를 통해 각 방에 내뿜는 구조이지만, 이는 취출구를 굽도리널과 둘레 가장자리 중 어느 한 쪽에 설치하는 것으로, 실내공간에 균일하게 온도 환경이 형성되는지에 대해서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under-floor air conditioning system of Patent Document 2, the air-conditioning air is taken out at the periphery instead of the outlet of the skirting board, and the conditioned air from the under- However, this is a problem in that a temperature environment is uniformly formed in the indoor space by providing the air outlet on one of the skirting board and the peripheral edg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공간에 균일한 온도 환경을 유지하고, 실내의 미관에도 기여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that maintains a uniform temperature environment in an indoor space and contributes to the beauty of the interior of the room.

이상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조기기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바닥아래 공간부에 보내어, 이 바닥아래 공간부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취출구를 통해서 실내에 내뿜는 공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아래 공간부와 연이어 통하는 이중벽의 벽부에,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의 공조 공기가 상방을 향해서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5)를 형성하고, 바닥부의 근방에 상기 벽부 유통로(5)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의 바닥측 취출구(24)를, 또한 천정부의 근방에 천정측 취출구(64)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바닥측 취출구(24)의 근방의 벽 기초면에, 공조 공기의 흐름을 바꾸는 난류(亂流) 발생판(40)을 배치하고, 상기 난류 발생판에 상기 공조 공기를 닿게 하여 난류를 발생시켜, 이 난류에 의해 공조 공기를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상측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分流)하여,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쪽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구성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s shown in Fig. 1, the air-conditioning double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ir-conditioning air from an air- A wall portion communication passage 5 through which air ventilation air from the space below the floor flows upward is formed in the wall portion of the double wall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under the floor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portion Side outlet 24 of the air-conditioning air flowing through the wall-side flow passage 5 and a ceiling-side outlet 64 in the vicinity of the ceiling portion are provided in the wall- Turbulent flow generating plate 40 for changing the flow of the air conditioning air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turbulent flow generating plate so that turbulence is generated by contacting the air turbulence generating plate with the turbulence generating plate, The air is divided (divided) into two directions, that is, an upper direction of the bottom-side air outlet and a direction of the ceiling-side air outlet, so that the air-conditioning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from both the ceiling-side air outlet and the bottom-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상기 난류 발생판(40)으로서 단면 L자 형상의 장척재(長尺材)를 이용하여, 이를 상기 바닥측 취출구(24) 근방의 벽 기초면에 횡방향으로 배치하고 공조 공기를 닿게 하여, 난류를 발생시킨 구성이다. The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longated member having an L-shaped cross section is used as the turbulent flow generation plate 40, and it is horizontally arranged on the wall foundation surface near the bottom side air outlet 24 And air is supplied to the air to generate turbulence.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조기기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바닥아래 공간부에 보내어, 이 바닥아래 공간부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취출구를 통해서 실내에 내뿜는 공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아래 공간부와 연이어 통하는 이중벽의 벽부에,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의 공조 공기가 상방을 향해서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5)를 형성하고, 바닥부의 근방에 상기 벽부 유통로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의 바닥측 취출구(24)를, 또한 천정부의 근방에 천정측 취출구(64)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근방의 상기 벽부 유통로(5)에, 이 벽부 유통로를 폐색하는 유체 유도재(102)를 횡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유체 유도재(102)에 상기 공조 공기를 닿게 하여 공조 공기를 바닥측 취출구(24)에 유도하는 한편, 상기 유체 유도재를 배치하지 않은 개소에 대해서는, 상기 벽부 유통로(5)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를 그대로 상방으로 유통시켜, 이에 의해 공조 공기를 상기 바닥측 취출구(24)의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64)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하고,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구성이다. As shown in Fig. 6, the air-conditioning double-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ir-conditioning air from an air-conditioning equipment is sent to a space under the floor and air-conditioning air circulating through the space below the floor is blown into the room through a blow- , A wall portion flow passage (5) through which air ventilation air from the space below the floor flows upward is formed in the wall portion of the double wall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below the floor portion, and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Side air outlet 24 of the air conditioning air and a ceiling outlet 64 in the vicinity of the ceiling portion and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5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The fluid inductive member 102 is intermittently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to bring the air conditioning air into contact with the fluid inductance member 102 to guide the air conditioning air to the bottom side outlet 24, The air conditioning air passing through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5 is directly flowed upward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air can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ide air outlet 24 and the ceiling side air outlet 64, and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from both the ceiling side outlet and the bottom side outlet.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조기기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바닥아래 공간부에 보내어, 이 바닥아래 공간부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취출구를 통해서 실내에 내뿜는 공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아래 공간부와 연이어 통하는 이중벽의 벽부에,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의 공조 공기가 상방을 향해서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5)를 형성하고, 바닥부의 근방에 상기 벽부 유통로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의 바닥측 취출구(24)를, 또한 천정부의 근방에 천정측 취출구(64)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바닥측 취출구(24)의 근방의 상기 벽부 유통로(5)에, 공조 공기의 통과구멍(118)을 갖고 상기 벽부 유통로의 일부를 폐색하는 유체 분배재(112)를 횡방향으로 배치하며, 상기 유체 분배재(112)에 상기 공조 공기를 닿게 하여 일부의 공조 공기를 바닥측 취출구(24)에 유도하는 한편, 상기 유체 분배재의 통과구멍(118)을 통과하는 공조 공기를 상방으로 유통시켜, 이에 의해 공조 공기를 상기 바닥측 취출구(24)의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64)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하여,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쪽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구성이다. As shown in FIG. 8, the air-conditioning double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air-conditioning air from an air-conditioning equipment is sent to a space under the floor and air-conditioning air flowing through the space under the floor is blown out to the room through a blow- , A wall portion flow passage (5) through which air ventilation air from the space below the floor flows upward is formed in the wall portion of the double wall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below the floor portion, and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Side air outlet 24 of the air conditioning air and a ceiling outlet 64 in the vicinity of the ceiling portion and the air passage air passage 5 is provided in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5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outlet 24, A fluid distribution material (112) having holes (118) and closing a part of the wall part flow path is dis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air distribution air (112) Side air outlet 24 and the air ventilation ai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8 of the fluid distribution material is directed upward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air is guided to the ceiling side Out port 64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from both the ceiling side outlet and the bottom side outlet.

상기 유체 분배재(112)는, 벽부 유통로(5)를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해도 좋고, 또한, 소정 길이의 유체 분배재(112)를 횡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배치하고, 인접하는 유체 분배재(112)끼리의 사이에 적당한 간극을 형성하여, 이 간극으로부터 공조 공기의 일부를 상방으로 유통시키도록 해도 좋다. The fluid distribution material 112 may be disposed continuous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5 and may be disposed intermittent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fluid distribution material 112 of a predetermined length, A suitable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air-conditioning holes 112 to allow a part of the air-conditioning air to flow upward from the gap.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상기 천정측 취출구(64)로서, 상기 천정부의 벽 가까운 부분에 하방을 향해서 개구되는 취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천정부의 벽 가까이에, 상기 벽부 유통로(5)를 유통하여 상기 벽부의 천정 가까이에 마련한 간극으로부터 내뿜어지는 공조 공기를 하향으로 바꾸는 풍향 변경판(74)을 배치하여, 상기 취출구로부터 공조 공기를 하방을 향해 내뿜는 구성이다.The air outlet double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iling side air outlet 64 is provided with an air outlet opening downwardly near the wall of the ceiling portion, And a direction changing plate (74)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air-conditioning air blown out from the gap provided near the ceiling of the wall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blow the air-conditioning air downward from the blow-out opening.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상기 천정측 취출구(64)로서, 상기 벽부의 천정 가까운 부분에 횡방향을 향해서 개구되는 취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벽부 유통로(5)의 천정 가까이에, 이 벽부 유통로(5)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횡방향으로 바꾸는 풍향 변경판(75)을 배치하여, 상기 취출구로부터 공조 공기를 횡방향으로 내뿜는 구성이다. The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iling side outlet 64 is provided with a blowout opening which opens laterally in the vicinity of the ceiling of the wall portion, A wind direction changing plate 75 for horizontally changing the air-conditioning air circulating through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5 is disposed, and the air-conditioning air is blown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blow-out opening.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상기 벽부 유통로(5)를 형성하는 벽 기초면에 단열재(7)를 부설한 구성이다. The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heat insulating material (7) is laid on the wall base surface forming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5).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상기 벽부 유통로(5)에, 긴 형상의 가이드판(132)을 이 벽부 유통로내를 가로로 뻗는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벽부 유통로를 상승하는 공조 공기의 흐름을 상기 내장재(10)의 이면부에 유도하고 여기에 닿게 하여, 온도가 조정된 상기 내장재(10)에 의한 벽면으로부터의 복사 효과에 의해 실내의 공조를 행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가이드판(132)의 상부를 상기 벽부 유통로(5)의 실내측의 벽면을 형성하는 내장재(10)의 이면부측에 비스듬히 배치하면 효과적이다.The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long guide plate 132 is disposed on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5 in a state of extending in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in a lateral direction, Air flow is guid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interior material 10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terior of the interior material 10 to perform indoor air conditioning by radiation effect from the wall surface by the interior material 10 whose temperature is adjusted. In this case, for example, it is effective to dispose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late 132 obliquely on the side of the back side of the interior material 10 forming the wall surface on the indoor side of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5.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 벽부 유통로에 이르는 벽부에 난류 발생판을 배치하고, 공조 공기를 바닥측 취출구의 방향과 천정측 취출구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하여,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구성을 채용했기 때문에, 공조 공기의 흐름이 바닥측 취출구와 천정측 취출구로 양호하게 분할되어, 양 취출구로부터 똑같이 공조 공기가 내뿜어지기 때문에, 실내공간은 균일하고 소프트한 공조 환경(온도 환경 및 습도 환경)이 얻어지고, 또한 실내에 가구 등을 두어 공조에 지장이 없고 미관성도 향상되며, 아울러 벽부에 형성된 벽부 유통로를 공조 공기가 통과함으로써, 벽면으로부터도 복사열의 작용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According to the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urbulence generating plate is disposed in the wall portion from the space below the floor to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and the air conditioning air is divided into two directions of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ide outlet and the direction of the ceiling side outlet And the air conditioning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from both the ceiling side outlet and the bottom side outlet. Therefore, the airflow of the air-conditioned air is well divided into the bottom side outlet and the ceiling side outlet,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can be obtained in the indoor space, and the furniture and the like are placed in the room, so that the air conditioner is not adversely affected and the aesthetics are improved. In addition, the wall- The effect of radiant heat can be obtained even from the wall surface.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난류 발생판으로서 단면 L자 형상의 장척재를 이용하여 난류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간단한 설비로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어 공조 공기의 분할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urbulence is generated by using the elongated member having an L-shaped cross section as the turbulence generating plate, turbulence can be generated by a simple facility, So that it has an effect of being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바닥측 취출구의 근방의 벽부 유통로에, 이 벽부 유통로를 폐색하는 유체 유도재를 횡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배치하고, 유체 유도재에 공조 공기를 닿게 하여 공조 공기를 바닥측 취출구에 유도하는 한편, 유체 유도재를 배치하지 않은 개소에 대해서는, 벽부 유통로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를 그대로 상방으로 유통시켜, 공조 공기를 두 방향으로 분류해서,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구성을 채용했기 때문에, 상기 공조용 이중벽 구조와 마찬가지로, 실내공간은 균일하면서 소프트한 공조 환경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실내에 가구 등을 두어도 공조에 지장이 없고 미관성도 향상되며, 또한 유체 유도재의 단속적인 배치에 의해 정확하면서 효과적으로 공조 공기가 바닥측과 천정측으로 분산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side air outlet is intermittently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block the wall portion communication passage and the air- The air conditioning air passing through the wall portion flow path is directly caused to flow upward so as to divide the air conditioning air into two directions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air is guided to the ceiling side outlet Side air outlets are introduced into the room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side air outlets. Therefore, as in the case of the air-conditioning double-wall structure, the indoor space can have a uniform and soft air conditioning environment, And also by the intermittent arrangement of the fluid conduction material, There is an effect in that the bottom side and the distribution side of the ceiling.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바닥측 취출구의 근방의 벽부 유통로에, 공조 공기의 통과 구멍을 갖고 벽부 유통로의 일부를 폐색하는 유체 분배재를 횡방향으로 배치하며, 공조 공기를 두 방향으로 분류하여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구성을 채용했기 때문에, 상기 공조용 이중벽 구조와 마찬가지로, 실내공간은 균일하면서 소프트한 공조 환경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실내에 가구 등을 두어도 공조에 지장이 없고 미관성도 향상되며, 또한 유체 분배재에 의해 정확하면서 효과적으로 공조 공기가 바닥측과 천정측으로 분산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uid distribution material having a passage hole for air-conditioned air and closing a part of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is disposed laterally in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And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from both the ceiling side outlet and the bottom side outlet by adop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ndoor space is divided into two directions and introduced into the room from both the ceiling side outlet and the bottom side outle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esthetics and the beauty of the air conditioner even if the furniture or the like is provided, and the air distribution air can be accurately and effectively dispersed to the floor side and the ceiling side by the fluid distribution material.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천정측 취출구로서, 천정부의 벽 가까운 부분에 하방을 향해서 개구되는 취출구를 설치하고, 천정부의 벽 가까이에 풍향 변경판을 배치하여 취출구로부터 공조 공기를 하방을 향해서 내뿜는 구성을 채용했기 때문에, 특히 난방시에는 실내 하방의 공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double 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eiling side air outlet, there is provided an air outlet opening downwardly near the wall of the ceiling portion, arranging the air direction changing plate near the ceiling portion wall,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ir conditioning in the lower part of the room, especially in heating.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천정측 취출구로서, 벽부 유통로의 천정 가까이에, 이 벽부 유통로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횡방향으로 바꾸는 풍향 변경판을 배치하고 취출구로부터 공조 공기를 횡방향으로 내뿜는 구성을 채용했기 때문에, 특히 냉방시에는 실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공조 공기를 흐르게 할 수 있어, 양호한 공조를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eiling side outlet, a wind direction changing plate for horizontally changing the air conditioning air flowing through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is disposed near the ceiling of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The air conditioning air can be uniformly flown throughout the room, especially when cooling, so that there is an effect that good air conditioning can be performed.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벽부 유통로를 형성하는 벽 기초면에 단열재를 부설했기 때문에, 벽부 유통로의 공조 공기의 보온성이 좋아져, 더불어 실내 공조의 효율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ouble-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laid on the wall base surface forming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the effect that the warm air of the air-conditioning air of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is improved and the efficiency of the indoor air- have.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벽부 유통로에, 긴 형상의 가이드판을 배치해서, 공조 공기를 내장재의 이면부에 유도하여, 온도가 조정된 내장재에 의한 벽면으로부터의 복사 효과에 의해 실내의 공조를 행하는 구성을 채용했기 때문에, 벽면으로부터의 복사열의 작용을 더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ng guide plate is disposed in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and the air conditioning air is guided to the back portion of the interior material. By the radiation effect from the wall surfa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ction of radiant heat from the wall surface can be further enhanced because the structure for performing indoor air conditioning is adop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해, 공조용 이중벽 구조의 바닥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해, 공조용 이중벽 구조의 천정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형태에 관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의 천정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해, 방 주변의 공조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예에 관해, 균일한 온도 환경을 유지하는 주택의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해, (a)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 (b)는 유체 유도재, (c)는 벽뒤 공간부의 A-A선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해, 스터드재에 고정구를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해, (a)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의 바닥 근방, (b)는 유체 분배재, (c)는 벽뒤 공간부의 B-B선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형태에 의한 천정 근방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천정측 취출구의 천정 가장자리재에 풍향 변경판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스터드재의 중간부에 가이드판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the vicinity of the bottom of an air conditioning double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the vicinity of the ceiling of the air-conditioning double wall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 Fig.
3 is a view showing a vicinity of a ceiling of an air conditioning double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4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conditioned air around a room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whole house which maintains a uniform temperature environment with respect to the conventional example. Fig.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double-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b) a fluid conduction material, and (c) an AA line cross-section of a space after the wall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stener is attached to a stud materi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Fig. 8 is a view showing a bottom portion of a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b) a fluid distribution material, and (c) a BB front end section of a space after a wall in the third embodiment.
Fig. 9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the vicinity of a cei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d direction changing plate is attached to the ceiling edge member of the ceiling side outlet.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plate is attach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tud material.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 실시 형태의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주택 등의 실내의 공조를 행하는 것으로, 방의 바닥부(2), 벽부(3) 및 천정부(4)에 걸쳐 공조 공기가 유통한다. The air-conditioning double wall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performs air-conditioning in a room such as a house, and air-conditioning air flows through the floor portion 2, the wall portion 3 and the ceiling portion 4 of the room.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ir conditioning double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은, 벽부(3)의 하부의 바닥 근방의 이중벽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이중벽의 내부에는 공조 공기가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5)가 형성되어 있다. 1 shows a double wall structure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all portion 3. Inside the double wall, a wall portion flow passage 5 through which the air-conditioning air flows is formed.

상기 이중벽 구조는, 공조 공기가 통과하는 벽 기초면(6)에는 단열재(7)가 부설되고, 또한 벽 기초면(6)에는 상하 방향이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종동연(縱胴緣,8)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종동연(8)에 걸쳐서 보드 형상의 내장재(10)가 부설되어, 벽면(1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종동연(8)에 의해 형성되어, 벽 기초면(6)과 내장재(10) 사이의 벽뒤 공간부(9)가, 공조 공기가 통과하는 벽부 유통로(5)로 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벽부 유통로(5)의 바닥부(2)측에는 바닥측 취출구(24)가, 또한 천정측에는 천정측 취출구(6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In the double wall structure, a heat insulating material 7 is attached to the wall foundation surface 6 through which the air conditioning air passes, and the wall foundation surface 6 is provided with a vertically- 8) are installed. A board-shaped inner material 10 is laid over each of these longitudinal coils 8 to form a wall surface 12. The wall rear space portion 9 formed by the longitudinal edge 8 and between the wall surface 6 and the interior material 10 serves as a wall portion flow passage 5 through which the air conditioning air passes. As described later, a bottom side air outlet 24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ottom portion 2 of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5, and a ceiling side air outlet 64 is formed on the ceiling side.

방의 바닥부(2)에는, 바닥 슬라브(14)에 배치된 바닥 지지각(支持脚,16)의 상부의 받이부(15)에 바닥판(17)을 부설하여 바닥면(18)을 형성한다. 이 바닥부(2)에는, 바닥 슬라브(14)와 바닥판(17) 사이에 바닥아래 공간부(20)가 형성되어, 공조 공기가 유통하는 바닥아래 유통로(22)로서 이용된다. A bottom plate 17 is laid on the bottom 15 of the bottom support angle 16 of the floor slab 14 to form a bottom surface 18 on the floor 2 of the room . A bottom floor space 20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lab 14 and the bottom plate 17 and is used as a bottom flow passage 22 through which the air conditioning air flows.

상기 바닥면(18)의 단부(19)와 벽 기초면(6) 사이에는 간극을 형성하여, 바닥아래 공간부(20)로부터 벽뒤 공간부(9)를 향해서 공조 공기를 자유롭게 유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중벽의 벽부 유통로(5)에는, 상기 바닥아래 유통로(22)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가 보내진다. A gap is formed between the end portion 19 of the bottom surface 18 and the wall foundation surface 6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air can freely flow from the bottom floor space portion 20 toward the rear wall space portion 9 . Then, air-conditioning air that flows through the bottom-side flow-through passage 22 is sent to the double wall wall-side flow passage 5.

또한, 벽부(3) 하부의 굽도리널 부분(바닥부의 근방)에, 방의 일단(一端)으로부터 타단(他端)까지 대략 전체에 걸쳐 공조 공기의 바닥측 취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바닥측 취출구(24)는, 벽부(3)의 내장재(10)의 하단부(11)와 바닥면(18)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벽부(3)의 내장재(10)의 하단부(11)로부터 약간 뒤쪽 가까운 위치에, 바닥면(18)의 단부(19)로부터 상방을 향해 굽도리널재(26)가 세워 설치되어 배치된다.The bottom side outlet 24 of the air conditioning air is formed in substantially the entirety from the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room on the undercut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all portion 3. The bottom side outlet 24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end 11 of the interior member 10 of the wall 3 and the bottom surface 18. A shroud plate member 26 is erected upward from the end portion 19 of the bottom surface 18 at a position slightly rearward from the lower end portion 11 of the inner wall 10 of the wall portion 3. [

상기 굽도리널재(26)는, 바닥면(18)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상방으로 굴곡 형성되는 표측(表側) 판재(28)와, 이 표측 판재(28)의 이면측에 비스 등으로 고정되어, 표측 판재(28)의 상단부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수하(垂下)되는 이측(裏側) 판재(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굽도리널재(26)의 상단부(27)에는 단면 ⊃자 형상의 알루미늄제의 보호재(32)가 비스(34)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The skirting board member 26 is provided with a front side plate 28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face 18 and bent upwardly and a back side plate 28 fixed to the back side of the side plate member 28 with screws or the like, (Back side) plate 30 which is downwardly moved downward from the position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plate 28. [ A protective material 32 made of aluminum and having an ractical cross section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portion 27 of the shroud plate member 26 by a screw 34 or the like.

또한, 내장재(10)의 하단부(11)에는 보드용의 조인트 재(3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내장재(10)의 이면부로부터 하단부(11)에 걸쳐, 조인트 재(36)를 덮는 상태로 단면 L자 형상의 알루미늄제의 앵글재(38)가 배치되고, 비스(34)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 앵글재(38)는, 내장재(10)의 하단부 근방의 이면부를 보호한다. A joint material 36 for boards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portion 11 of the lining material 10. An aluminum angle member 38 made of aluminum having a L-shaped cross section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joint material 36 from the back surface portion of the interior material 10 to the lower end portion 11 and is fixed by screws 34 or the like . The angle material 38 protects the back surface of the inner material 10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상기 굽도리널재(26)는, 벽 기초면(6)과 내장재(10) 사이의 간격의 대략 중앙부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굽도리널재(26)의 상단부(27)는 내장재(10)의 하단부(11)보다 조금 높거나 대략 같은 정도이다.The skirting board member 26 is disposed at a position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the gap between the wall foundation surface 6 and the interior material 10. [ The upper end portion 27 of the skirting board member 26 is slightly higher or about the same as the lower end portion 11 of the lining member 10.

그리고, 내장재(10)의 하단부(11)와 이 후방의 굽도리널재(26)와의 사이(여기서는 25mm정도)에는, 실내를 향해 하향으로 개구되는 바닥측 취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바닥측 취출구(24)는, 하향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에서는 눈에 띄지 않아 미관이 좋다.Between the lower end 11 of the interior member 10 and the backboard member 26 at the back (about 25 mm in this case), a bottom side outlet 24 is formed which opens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room. Since the bottom side air outlet 24 is opened downward, it is not visible in the room and the aesthetic appearance is good.

또한 벽 기초면(6)에는, 상기 굽도리널재(26)의 상단부(27)(바닥측 취출구(24)의 위치)보다 조금 상방(여기서는 15mm 정도)의 위치(벽부 유통로(5)의 하부 근방)에, 난류 발생판(40)이 그 돌출판부(44)가 위치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The wall base surface 6 is also provided with a position slightly higher than the upper end portion 27 (the position of the bottom side discharge port 24) (about 15 mm in this case) of the above- , The turbulent flow generating plate 40 is disposed in a state where the projecting portion 44 is located.

이 난류 발생판(40)은, 기판부(42)와 돌출판부(44)로 이루어지는 단면 L형상(부등변 앵글재)의 알루미늄제의 장척재이다. 상기 난류 발생판(40)은, 바닥측 취출구(24) 근방의 약간 상방의 벽 기초면(6)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비스 등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부(42)를 벽 기초면(6)에 고정한다.This turbulent flow generating plate 40 is a long member made of aluminum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L (uniaxial angle) made of a substrate portion 42 and a projection portion 44. The turbulent flow generating plate 40 is disposed transversely to the wall base surface 6 slightly above the vicinity of the bottom side outlet 24 so that the substrate portion 42 is connected to the wall base surface 6 ).

상기 난류 발생판(40)은, 벽 기초면(6)으로부터 돌출판부(44)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형태이다. 이 난류 발생판(40)은, 바닥아래 유통로(22)로부터 보내지는 공조 공기(25)를 돌출판부(44)에 닿게 하여 난류를 발생시킨다. 이 공조 공기에 난류를 일으킴으로써,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64)가 설치된 상측 방향과, 바닥측 취출구(24)가 설치된 표측을 향해 방향을 바꾸는 두 방향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상향으로 분류된 공조 공기는 그대로 벽부 유통로(5)를 상승하고, 표측으로 방향을 바꾼 분류 공기는 바닥측 취출구(24)를 통과하여 실내에 유입된다.The turbulent flow generating plate 40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rojecting portion 44 protrudes from the wall foundation surface 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is turbulence generating plate 40 generates turbulence by bringing the air-conditioning air 25 sent from the bottom-side flow passage 22 into contact with the projecting portion 44. By causing turbulence in the air-conditioning air, the air-conditioning air is divided into two directions, that is, an upward direction in which the ceiling-side air-blowing out port 64 is provided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air- Then, the upwardly-directed air bundle ascends on the wall-side flow passage 5, and the divided air, which has changed its direction to the front side, flows into the room through the bottom side outlet 24.

도 2는, 공조 공기가 유통하는 이중벽의 상부의 천정 근방을 나타내는 것이다. Fig. 2 shows the vicinity of the ceiling on the upper part of the double wall through which the air conditioning air flows.

천정부(4)는, 야연(野緣, furring strip) 받이(46)에 클립(47)을 걸어 부착하고, 이 클립(47)에 부착한 야연(48)에 천정판(49)을 부설하여 천정면(50)을 형성한다. 또한 천정부(4)의 구석에는, 천정판(49)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런너재(활차재(滑車材)라고도 함, 52)가 배치되어, 비스(34) 등에 의해 벽 기초면(6)에 고정된다.The ceiling 4 is attached to the furring strip receiver 46 with a clip 47 attached thereto and a ceiling plate 49 is laid on the edge 48 attached to the clip 47, Thereby forming the front face 50. A runner material (also referred to as a shear member) 52 is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eiling plate 4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ceiling plate 4. The wall base surface 6 is formed by a screw 34, Respectively.

이 런너재(52)는, 좌우의 측판부(51,53)와 상판부로 이루어지는 단면 ⊃자 형상의 장척재로서, 각 종동연(8)의 상단부는 런너재(52)의 홈내에 돌입(突入)된 상태로 비스(34)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런너재(52)는, 종동연(8)의 상단부를 덮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중벽의 벽부 유통로(5)의 상단부를 폐색한다. This runner material 52 is a long member made of left and right side plate portions 51 and 53 and an upper plate portion and has an upper end portion of each longitudinal edge 8 protruding into the groove of the runner material 52 And is fixed by a screw 34 or the like. Since the runner material 52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ongitudinal coils 8,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wall portion flow path 5 of the double wall is closed.

또한, 런너재(52)의 측판부(53)의 하단부(54)와 내장재(10)의 상단부(13)와의 사이에는 간극(55)(여기서는 35mm 정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장재(10)의 상단부(13)에는 조인트 재(36)가, 또한 내장재(10)의 내측 및 상단부(13)의 조인트 재(36)를 덮는 상태에서 앵글재(38)가 부착되어 있다.A gap 55 (about 35 mm in this cas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54 of the side plate portion 53 of the runner material 52 and the upper end portion 13 of the interior material 10. An angle material 38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portion 13 of the inner material 10 in a state of covering the joint material 36 and the joint material 36 of the inner side and the upper end portion 13 of the inner material 10. [

상기 런너재(52)의 실내측에는, 상기 간극(55)의 전방을 덮는 형태에서 천정 가장자리재(56)가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천정 가장자리재(56)는, 단면 직사각형상의 기부(基部,58) 및 이 앞쪽에 형성되어 하방을 향해 수하되는 종편부(縱片部,60)로 이루어지는 단면 L자 형상의 부재이다. 이 천정 가장자리재(56)의 종편부(60)의 전면(前面)으로부터 하면에 걸쳐, 화장용의 알루미늄제의 굽힘물(62)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천정 가장자리재(56) 내측의 입우부(入隅部)에, 알루미늄제의 단면 L자 형상의 앵글재(63)가 부착되어, 공조 공기가 닿는 이 부위를 보호하고 있다. The ceiling edge material 56 is dis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indoor side of the runner material 52 so as to cover the front of the gap 55. The ceiling edge material 56 is a L-shaped cross section member having a base portion 58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a longitudinal piece 60 formed on the front side to be downwardly received. A bend 62 made of aluminum for cosmetics is attached from the front surfa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piece 60 of the ceiling edge material 56. An angled material 63 made of aluminum and having an L-shaped cross section is attached to the mouth corner on the inside of the ceiling edge material 56 to protect this portion where the air to be humidified.

상기 천정 가장자리재(56)에 의해, 내장재(10)의 상단부(13)와 이 천정 가장자리재(56)의 종편부(60)와의 사이(여기에서는 35mm)에는, 하방을 향해 개구되는 천정측 취출구(6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천정측 취출구(64)는, 방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대략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The ceiling edge member 56 is provided at a position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13 of the interior material 10 and the longitudinal piece portion 60 of the ceiling edge material 56 (64) are formed. The ceiling side outlet 64 is formed substantially entirely from one end of the room to the other end.

그리고, 내장재(10)의 상단부(13)와 런너재(52) 사이의 간극(55)으로부터 내뿜어지는 공조 공기는, 천정 가장자리재(56)에 의해 흐름이 하향으로 바뀌어져, 상기 천정측 취출구(64)로부터 실내에 내뿜어진다. 이 천정 가장자리재(56)는, 천정부(4)의 구석부를 장식하는 동시에, 공조 공기를 하향으로 바꾸어 실내의 공조 효율을 높이고 있다.The air ventilation air blown out from the gap 55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13 of the inner material 10 and the runner material 52 is changed to a downward flow by the ceiling edge material 56, 64). The ceiling edge material 56 decorates the corner portion of the ceiling portion 4 and changes the air conditioning air downward to improve air conditioning efficiency in the room.

도 3은, 다른 형태에 의한 이중벽의 상부의 천정 근방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내장재(10)의 상부에 설치한 공조 공기를 취출하는 간극(66)의 하부(67)와 천정면(50)을 대략 동일한 정도로 하여, 간극(66)을 보이지 않도록 한 형태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형태에서는 상기 천정 가장자리재(56)를 사용하지 않는다.Fig. 3 shows the vicinity of the ceiling on the upper part of the double w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ere, the lower portion 67 of the gap 66 for taking out the air-conditioning ai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ior material 10 and the ceiling surface 50 are made substantially equal to each other so that the gap 66 is not seen.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ceiling edge material 56 is not used.

천정부(4)는, 야연 받이(46)에 클립(47)을 걸어 부착하고, 이에 부착된 야연 (48)에 천정판(49)을 부설하여 천정면(50)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천정면(50)의 높이에서 약간 높은 위치로부터 상부에 걸쳐, 내장재(10)의 상단부(13)가 형성되고, 이 상부에 공조 공기가 유출되는 상기 간극(66)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66)의 상부에는 가로재(70)가 배치되고, 또한 종동연(8)의 상부에는 런너재 등이 배치되어 벽부 유통로(5)의 상부가 폐색된다.A ceiling plate 4 is attached to the ceiling 4 by attaching a clip 47 to the ceiling plate 46 and the ceiling plate 49 is attached to the ceiling plate 48 attached thereto. An upper end portion 13 of the interior material 10 is formed at a position slight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eiling face 50 and the gap 66 through which the air conditioning air flows out is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 A horizontal member 7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ap 66 and a runner material or the like is disposed on the vertical edge 8 to block the upper portion of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5. [

또한, 천정면(50)의 단부(端部,72)는, 내장재(1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극(여기에서는 35mm 정도)을 둔 위치에 설치되어, 이 간극에 의해 하방을 향해 개구되는 천정측 취출구(64)가 형성된다. The end portion 72 of the ceiling face 50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interior material 10 by a predetermined gap (about 35 mm in this case) Out port 64 is formed.

또한, 상기 내장재(10) 상부의 간극(66) 전방에는, 공조 공기류를 하측 방향으로 바꾸는 풍향 변경판(74)이 고정구(76)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풍향 변경판(74)은, 단면 원호 형상의 알루미늄제의 장척재이다.A windshield changing plate 74 for changing the air conditioning air flow downward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gap 66 above the interior material 10 by a fixture 76. The wind direction changing plate 74 is a long piece made of aluminum having an arc-shaped section.

상기 고정구(76)는, 좌측면부(78), 상면부(79) 및 우측면부(80)로 이루어지는 단면 ⊃자 형상의 금구(金具)이다. 이 고정구(76)의 좌측면부(78)의 상부 근방에는, 안쪽으로 돌출된 걸림 볼록부(82)가 횡방향 스트립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면부(78)의 양측에는 각각 외측을 향해 고정편부(84,84)가 굴곡 형성되고, 이들 양 고정편부(84,84)에는 각각 중앙부에 나사구멍(86)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구(76)의 우측면부(80)의 하단부에는, 내측에 예각 형상으로 굴곡된 걸림부(88)가 형성되어 있다. The fixture 76 is a metal fixture having a left side face portion 78, an upper face portion 79 and a right side face portion 80 in a U-shaped cross s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eft side face portion 78 of the fixture 76, the engaging convex portion 82 protruding inwar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ransverse strip. On both sides of the left side face portion 78, fixing piece portions 84, 84 are bent outwardly. Screw holes 86 ar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s of the two fixing piece portions 84, 84, respectively. At the lower end of the right side face portion 80 of the fixture 76, a latching portion 88 bent in a sharp angular shape is formed inside.

상기 고정구(76)는 상기 간극(66)의 전부(前部)에 배치되고, 좌측면부(78)의 양 고정편부(84,84)를 각각 이중벽의 하지재(下地材)인 종동연(8)의 측부에 끼워 나사구멍(86)으로부터 비스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각 고정 금구(76)는, 횡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The fastener 76 is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gap 66 and the fastening piece portions 84 and 84 of the left side surface portion 78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joints 8 And is fixed from the screw hole 86 using a screw or the like. Each of the fixing brackets 76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각 고정 금구(76)의 걸림부(88)와 걸림 볼록부(82) 사이에, 풍향 변경판(74)의 양측 단부를 각각 걸어서 고정한다. 이 풍향 변경판(74)에 의해, 간극(66)으로부터 내뿜어지는 공조 공기의 흐름이 하측 방향으로 변경되어, 천정측 취출구(64)로부터 실내에 내뿜어진다.The opposite ends of the airflow direction changing plate 74 are fixed by hooking between the engaging portions 88 of the fixing brackets 76 and the engaging convex portions 82, respectively. The flow of the air conditioning air blown out from the gap 66 is changed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the airflow direction changing plate 74 and is blown out from the ceiling side air outlet 64 into the room.

도 4는, 방 주변의 바닥부(2)의 바닥아래 공간부(20), 벽부(3)의 벽뒤 공간부(9), 천정부(4)의 천정뒤 공간부(92)에서의 공조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천정뒤 공간부(92)에는 공조기기(94)가 배치되어, 난방, 냉방 혹은 제습용 등의 공조 공기를 송출한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ttom air space 20 in the bottom part 2 around the room, the wall space part 9 in the wall part 3 and the air space air in the ceiling space part 92 in the ceiling part 4 Respectively. The air conditioner 94 is disposed in the ceiling back space 92 to send air conditioning air such as for heating, cooling, or dehumidification.

상기 공조기기(94)로부터 내뿜어진 공조 공기는, 천정뒤 공간부(92)로부터 벽외(93)에 배치된 덕트(96)내를 유통하여 바닥아래 공간부(20)까지 보내진다. 이 바닥아래 공간부(20)에는, 바닥아래 덕트(98)가 바닥아래에 종횡 혹은 고리 형상으로 배치되고, 이 바닥아래 덕트(98) 상부의 곳곳에는 공조 공기의 분출 노즐(97)이 배치되어 있다. The air conditioning air blown out from the air conditioning equipment 94 flows through the duct 96 disposed at the outside of the ceiling 93 from the ceiling back space 92 to the bottom space 20. In the space portion 20 under the floor, a bottom floor duct 98 is arrang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below the floor, and air jet nozzles 97 for air conditioning air are disposed in various places above the bottom floor ducts 98 have.

이 분출 노즐(97)은, 공조 공기를 바닥판(17)의 이면을 향해 내뿜어 바닥면을 통하여 실내의 공조를 행한다. 또한 바닥아래 공간부(20)로 내뿜어진 공조 공기는, 상술한 벽부(3)에 형성된 이중벽 구조에 의한 벽부 유통로(5)를 유통하여 바닥면(18) 근방의 바닥측 취출구(24)로부터 실내에 내뿜어지고, 벽부 유통로(5)를 상승하여 천정면(50)의 근방의 천정측 취출구(64)로부터 실내로 향해서 더 내뿜어진다. 실내의 공기는, 천정면(50)에 설치한 흡기구(99)로부터 흡인되고, 상기 공조기기(94)에 보내져 재차 공조에 이용된다.The jet nozzle 97 blows the air-conditioning air toward the back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7 to perform indoor air conditioning through the bottom surface. The air conditioning air blown into the space under the floor 20 flows through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5 formed by the double wall structure formed in the wall portion 3 and flows from the bottom side air outlet 24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surface 18 And is further blown out from the ceiling side outlet 64 in the vicinity of the ceiling front surface 50 toward the room. The air in the room is sucked from the intake port 99 provided on the ceiling surface 50 and sent to the air conditioning equipment 94 to be used again for air conditioning.

따라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공조 공기를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 실내로 안내하기 위해, 벽부에 공기류 통로를 형성하고 바닥측 취출구와 천정측 취출구를 설치함으로써, 실내공간은 균일한 온도 환경과 습도 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벽부 유통로에 공조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벽면으로부터도 복사열의 작용에 의한 공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y forming the air flow passage in the wall portion and providing the bottom side air outlet and the ceiling side air outlet for guiding the air conditioning air from the space below the floor to the room, And the humidity environment can be maintained. Also, by passing the air-conditioning air through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the air conditioning effect by the action of radiant heat can be obtained from the wall surface.

또한, 벽부 유통로에 난류 발생판을 설치함으로써, 공조 공기의 흐름이 바닥측 취출구와 천정측 취출구로 분할되어, 양 취출구로부터 원하는 양의 공조 공기가 내뿜어지기 때문에, 균일한 실내 온도 및 습도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Further, by providing the turbulent flow generation plate in the wall portion flow path, the air-conditioning air flow is divided into the bottom side outlet and the ceiling side outlet, and a desired amount of air-conditioned air is blown out from both outlets so that a uniform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Can be adjusted.

또한, 종래의 바닥부 혹은 천정부에 루버(louver)(공기 취출구)를 부분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에 비해, 상기 바닥측 취출구와 천정측 취출구는 방의 벽 한면의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므로, 내뿜어지는 공조 공기의 풍속이 느려서(풍속 0.3m/sec 이하로 풍속 조정이 가능), 공기의 흐름(드래프트감)이 느껴지지 않는 소프트하고 쾌적한 공조 환경이 얻어진다.Further,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of partially installing a louver (air blow-out port) on the bottom portion or the ceiling portion, since the bottom-side blow out port and the ceiling blow out port are provided over the entire one wall of the room, (Wind speed can be adjusted to 0.3 m / sec or less), so that a soft and comfortable air conditioning environment in which the flow of air (draft feeling) is not felt can be obtained.

또한, 바닥 위의 취출구를 없애, 상기 바닥측 취출구 및 천정측 취출구로부터 내뿜어지도록 했기 때문에, 실내에 가구 등의 물건을 두어도 이들 취출구로부터의 취출은 가능하여, 실내공간의 공조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실내의 미관성도 향상되었다. In addition, since the outlet on the floor is removed and the air is blown out from the bottom side outlet and the ceiling outlet, it is possible to take out from the outlet even if a piece of furniture or the like is placed in the room, And the aesthetics of the.

도 6(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한 난류 발생판(40)으로 바꾸고, 유체 유도재(102)를 이용한 구성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기 종동연(8)으로 바꾸어 단면 □자 형상(각통(角筒) 형상)의 강철제의 스터드재(108)를 2개 묶은 것을 이용한다.Fig. 6 (a) shows an air conditioning double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is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is replaced with the turbulent flow generating plate 40 of the air-conditioning double wall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tructure using the fluidic guidance material 102 is used. Here, in place of the above-mentioned longitudinal coils 8, two studs 108 made of steel having a cross-sectional 자 shape (square shape) are used.

또한, 벽 기초면(6)측에는 단열 조직(10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열 조직(105)은, 대향하게 배치된 2장의 보드재(109)(파티클 보드 등)끼리의 사이에 단열재(7)가 배치된 형태이다. 이 단열재(7)로서는, 글래스울, 암면 등의 무기섬유계 단열재, 압출법 폴리스티렌폼, 페놀폼 등 발포 플라스틱계 단열재, 천연목질 섬유의 셀룰로오스 섬유, 양모 단열재, 탄화 발포 코르크 등의 천연소재계의 단열재(7)가 이용된다. Further, a heat insulation structure 105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wall foundation surface 6. This heat insulating structure 105 has a form in which a heat insulating material 7 is disposed between two oppositely disposed board materials 109 (particle boards, etc.). Example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include inorganic fiber-based heat insulating materials such as glass wool and rock wool, extruded foamed plastic-based insulating materials such as polystyrene foam and phenol foam, cellulosic fibers of natural wood fiber, natural wool insulation materials, A heat insulating material 7 is used.

상기 단열 조직(105)과 내장재(10) 사이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스터드재(108)가 세워 설치되고, 또한 단열 조직(105)과 내장재(10) 사이의 벽뒤 공간부(9)에는 공조 공기(25)가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5)가 형성되어 있다. A stud material 108 is installed uprigh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heat insulating structure 105 and the interior material 10 and air is introduced into the wall space 9 between the heat insulating structure 105 and the interior material 10 25) is formed in the wall portion 5a.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고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유체 유도재(102)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혹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의 원호부(106)를 갖는 장척재이다. 또한, 상기 원호부(106)의 한쪽 단부(端部)에는 평판 형상의 부착판부(104)가 연장 설치되고, 이 부착판부(104)의 좌우의 2개소에 부착용의 구멍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b), the fluid inductance member 102 is a long material having a circular arc portion 106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having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ross section. A flat plate-like attachment plate portion 104 is extended to one end of the arc portion 106 and a hole portion 103 for attachment is formed at two right and left portions of the attachment plate portion 104 .

상기 유체 유도재(102)는, 상기 벽뒤 공간부(9)의 폭 전체에 걸쳐, 또한 횡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 배치된다. 도 6(c)의 벽뒤 공간부(9)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 유도재(102)는, 인접하는 유체 유도재(102)와는 소정(일정)의 간격을 두고 단속적으로 배치된다.The fluid inductance member 102 is disposed in a predetermined range across the entire width of the rear wall space 9 and transversely.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ace 9 after the wall in Fig. 6 (c), the fluid inductive member 102 is intermittently arranged at a predetermined (constant) interval from the adjacent fluidic inductive member 102.

여기서는, 병설되는 스터드재(108) 사이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스터드재 (108)끼리의 사이에 유체 유도재(102)를 배치하고, 그리고 이 옆의 스터드재(108)끼리의 사이에는 유체 유도재(102)를 배치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스터드재(108)사이에 단속적으로 유체 유도재(102)를 배치하는 형태로 한다.Here, the fluid guide member 102 is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stud members 108 using the adjacent stud members 108, and the fluid guide member 108 is interposed between the adjacent stud members 108 The fluid guide member 102 may be intermittently arranged between the stud members 108. In this case,

상기 유체 유도재(102)는, 가로 일렬로 단속적으로 배치해도 좋고, 또한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하로 교대로 나누어 배치해도 좋다. The fluid inductance members 102 may be disposed intermittently in a row, or alternately arranged in a zigzag fashion.

또한 유체 유도재(102)는, 원호부(106)의 중앙이 정부(頂部)로 되도록 배치되고, 그 부착판부(104)의 구멍부(103)를 비스 등의 부착구(110)를 이용하여 단열 조직(105)(또는 벽 기초면(6))에 고정한다.The fluid guide member 102 is disposed such that the center of the arcuate portion 106 is the top portion and the hole portion 103 of the mounting plate portion 104 is fixed to the heat insulating member And fixed to the tissue 105 (or the wall base surface 6).

상기 유체 유도재(102)에 의하면, 아래로부터 상승하는 공조 공기(25)는 이 유체 유도재(102)에 의해 바닥측 취출구(24)로 유도된다. 이 경우, 단열 조직(105)의 근방을 상승하는 공조 공기(25)가 유체 유도체(102)의 한쪽 절반부분(단열 조직(105)측)에 닿아, 그 흐름이 외향으로부터 하향으로 바뀌어지고, 이것이 내장재(10)의 하단부(11)와 표측 판재(28)의 상단부와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바닥측 취출구(24)로 유도되어, 이 바닥측 취출구(24)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진다. 이때, 유체 유도재(102)의 원호부(106)의 가이드에 의해 원활하게 공조 공기의 유도가 행하여진다.According to the fluid inductive member 102, the air conditioning air 25 ascending from below is guided to the bottom side outlet 24 by the fluid inductive member 102. In this case, the air-conditioning air 25 rising in the vicinity of the heat insulating structure 10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half portion (on the side of the heat insulating structure 105) of the fluid derivative 102 and the flow thereof is changed from the outward direction to the downward direction Is guided from the gap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11 of the inner material 10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plate 28 to the bottom side air outlet 24 and blown out from the bottom side air outlet 24 to the room. At this time, the air conditioning air is guided smoothly by the guide of the arc portion 106 of the fluid inductive member 102.

이에 의해 벽부 유통로(5)에서, 유체 유도재(102)를 배치한 개소에 도달한 공조 공기(25)는, 유체 유도재(102)에 의해 바닥측 취출구(24)로부터 실내로 유도되고, 또한 유체 유도재(102)를 배치하지 않은 개소의 공조 공기는, 그대로 벽부 유통로(5)를 상방으로 이동한다.The air conditioning air 25 reaching the position where the fluid inductive member 102 is disposed in the wall portion communication passage 5 is guided to the room from the bottom side air outlet 24 by the fluid inductive member 102, The air conditioning air in a portion where the inductive member 102 is not disposed moves upwardly through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5 as it is.

이와 같이 벽부 유통로(5)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25)는, 바닥측 취출구(24)의 상측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64)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되어,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64)와 바닥측 취출구(24)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된다.The air conditioning air 25 passing through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5 is divided into two directions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side air outlet 24 and the direction of the ceiling side air outlet 64 so that the air- 64 and the bottom-side air blow-out port 24, respectively.

공조 공기가 유통하는 이중벽의 상부의 천정 근방(천정측 취출구)의 구조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 3에 나타내는 구조와 대략 동일하다. 여기에서는, 천정측 취출구(64)에 상기 고정구(76) 및 긴 형상의 풍향 변경판(74)을 부착한다. 이 풍향 변경판(74)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요성(可撓性)이 있는 긴 형상의 판재이다.The structure of the vicinity of the ceiling (ceiling side outlet) in the upper part of the double wall through which the air conditioning air flows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ructure shown in Fig. 3 related to the first embodiment. Here, the fixture 76 and the elongated wind deflector plate 74 are attached to the ceiling outlet 64. The wind direction changing plate 74 is a long plate member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having flexibility.

상기 고정구(76)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터드재(108)의 측부에 양 고정편부(84,84)의 나사구멍(86)에 비스(107)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7, the fixing member 76 is fixed to the side of the stud member 108 by means of screws 107 to the screw holes 86 of the both fixing pieces 84, 84.

또한, 이 스터드재(108)는, 함께 묶인 한쪽의 내장재(10)측의 것은 상방으로부터 내장재(10)의 하단부(11) 근방까지 배치되고, 다른 쪽의 단열 조직(105)측의 것은 또한, 바닥 슬라브(14)까지 연장 설치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내장재(10)의 하단부(11) 근방으로부터 상방의 벽뒤 공간부(9)의 폭은 스터드재(9)의 2개분의 폭의 치수를 확보하고, 내장재(10)의 하단부(11) 근방으로부터 하방의 벽뒤 공간부(9)의 폭은 스터드재(9)의 1개의 폭의 치수를 확보한다.The stud material 108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ner material 10 which is tied togeth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portion 11 of the inner material 10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05, And is disposed so as to extend to the bottom slab 14. As a result, the width of the wall rear space 9 above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11 of the lining material 10 is secured to the width of the lower end 11 of the lining material 10, The width of the wall rear space 9 downward from the vicinity secures the dimension of one width of the stud material 9.

그리고, 풍향 변경판(74)을 볼록 형상으로 굽힌 상태에서 그 상하 단부를, 각각 고정구(76)의 걸림 볼록부(82)의 상부와 걸림부(88) 사이에 걸리게 하여 그 복원력을 이용해서 고정한다. 이 풍향 변경판(74)은, 벽면(12)의 대략 전체 범위에 걸쳐 배치한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ind deflector plate 74 are bent in a convex shape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ind deflector plate 74 are fix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engaging protrusion 82 of the fixture 76 and the engaging portion 88, do. The wind direction changing plate (74) is disposed over a substantially entire range of the wall surface (12).

상기 풍향 변경판(74)에 의해 공조 공기의 흐름이 하향으로 바뀌어져, 상기 천정측 취출구(64)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진다. 공조 공기를 하향으로 바꿈으로써, 특히 난방시에는 실내의 공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flow of conditioned air is changed downward by the airflow direction changing plate 74 and blown out to the room from the ceiling side air blow-out port 64. By changing the air conditioning air downward,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air conditioning efficiency of the room, especially in heating.

이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서는, 유체 유도재(102)가 배치된 벽부 유통로(5)(스터드재(108)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는 모두 바닥측 취출구(24)로부터 실내로 유도되고, 또한 유체 유도재(102)가 배치되지 않은 벽부 유통로(5)(스터드재(108)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는 전부 상방의 천정측 취출구(64)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진다. In this double wall construction for air conditioning, air-conditioned air passing through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5 (between the stud materials 108) where the fluid inductive member 102 is disposed is guided from the bottom side outlet 24 to the room, All of the air-conditioned air passing through the wall portion flow path 5 (between the studs 108) where the fluid inductive member 102 is not disposed is blown out from the ceiling side outlet 64 in the upper direction.

따라서, 이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유체 유도재(102)의 단속적인 배치에 의해 정확하면서 효과적으로 공조 공기가 바닥측과 천정측으로 분산되고, 또한 유체 유도재(102)의 배치 개소의 증감으로 간단하게 바닥측과 천정측으로의 공조 공기의 분산 비율을 바꿀 수 있어 편리성도 뛰어나다. Therefore, the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can achieve the same effect as the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air conditioning air can be accurately and efficiently guided by the intermittent arrangement of the fluidic guiding material 102 The dispersion ratio of the air-conditioning air to the bottom side and the ceiling side can be easily chang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location of the fluid inductive material 102, which is also convenient.

도 8(a)는,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유체 유도재(102)로 바꾸어 유체 분배재(112)를 이용한 형태이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고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Fig. 8 (a) shows an air conditioning double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is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is a form using the fluid distribution material 112 instead of the fluidic guidance material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한 이중벽의 상부의 천정 근방의 구조는, 제2 실시 형태 등과 동일하며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tructur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ouble wall in the vicinity of the ceiling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or the lik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유체 분배재(112)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혹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의 원호부(116)를 갖는 장척재이다. 또한, 상기 원호부(116)의 한쪽 단부에는 평판 형상의 부착판부(104)가 연장 설치되고, 이 부착판부(104)의 좌우의 2개소에 부착용의 구멍부(103)가 형성되어 있다.8 (b), the fluid distributor 112 is a long material having a circular portion 116 of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which is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 plate-like attachment plate portion 104 is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arc portion 116 and a hole portion 103 for attachment is formed at two right and left portions of the attachment plate portion 104.

그리고, 상기 유체 분배재(112)의 원호부(116)의 상부에는 긴 방향으로 소정(일체(一體)) 간격을 두고 장방 형상의 통과구멍(1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과구멍(118)은, 원호부(116)의 판면을 ⊃자 형상으로 절취하고, 이를 상방으로 절곡하여 설치한 것으로, 그 일단부에는 절곡편(119)이 상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A rectangular passage hole 118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ircular arc portion 116 of the fluid distributor 11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through hole 118 is formed by cutting the plate surface of the circular arc portion 116 in a ractical shape and bending it upward. A bending piece 119 is formed at one end of the through hole 118 in the upward direction.

상기 유체 분배재(112)는, 상기 벽뒤 공간부(9)의 폭전체에 걸쳐, 또한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8(c)의 벽뒤 공간부(9)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 분배재(112)는, 벽뒤 공간부(9)에 스터드재(108)의 개소를 제외하고 연속적으로 배치한다. 이 때문에, 유체 분배재(112)의 통과구멍(118)을 통과하는 공조 공기만이 벽부 유통로(5)를 상방으로 이동한다.The fluid distribution material 112 is disposed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rear wall space 9 and laterally.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ll rear space portion 9 of Fig. 8 (c), the fluid distribution material 112 is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space 9 after the portion of the stud material 108 except for the portion of the wall material. Therefore, only air-conditioned air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118 of the fluid distribution member 112 moves upwardly through the wall-side flow passage 5.

유체 분배재(112)는, 원호부(116)를 상측으로 하여 배치하고, 그 부착판부(104)의 구멍부(103)를 고정구(34)를 이용하여 단열(斷熱) 조직(105)(또는 벽 기초면(6))에 고정한다.The fluid distribution member 112 is disposed with the arcuate portion 116 as the upper side and the hole portion 103 of the mounting plate portion 104 is fixed to the heat insulation structure 105 Or the wall foundation surface 6).

상기 유체 분배재(112)에 의하면, 하방으로부터의 공조 공기(25)의 일부는, 유체 분배재(112)에 의해 그 흐름을 외향 및 하향으로 바꾸어 바닥측 취출구(24)로 유도하고, 이 바닥측 취출구(24)로부터 실내에 내뿜는다. 또한, 공조 공기(25)의 나머지는 상기 통과구멍(118)을 통과해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천정측 취출구(64)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진다. According to the fluid distribution material 112, a part of the air conditioning air 25 from the lower side is guided to the bottom side outlet 24 by changing the flow outwardly and downwardly by the fluid distributor 112, Out port (24). Further, the rest of the air conditioning air 25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118 and moves upward, and is blown out into the room from the ceiling outlet 64. [

이와 같이 벽부 유통로(5)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25)는, 바닥측 취출구(24)의 상측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64)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되어,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64)와 바닥측 취출구(24)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된다.The air conditioning air 25 passing through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5 is divided into two directions, that is, the upward direction of the bottom side air outlet 24 and the direction of the ceiling side air outlet 64, And is introduced into the room from both the air outlet 64 and the bottom side air outlet 24.

따라서, 이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유체 분배재(112)에 의해 정확하면서 효과적으로 공조 공기가 바닥측과 천정측으로 분산되고, 또한 유체 분배재(112)의 통과구멍(118)의 크기(혹은 단위간격당의 수)의 증감에 의해 간단하게 바닥측과 천정측으로의 공조 공기의 분산 비율을 바꿀 수 있어 편리성도 뛰어나다.Therefore, with this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double 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and the air distribution air can be accurately and efficiently distributed to the bottom side and the ceiling side And the dispersion ratio of the air-conditioning air to the bottom side and the ceiling side can be easily chang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ize (or the number per unit interval) of the through holes 118 of the fluid distribution material 112,

도 9는, 다른 형태에 의한 천정 근방(천정측 취출구)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이 구조는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Fig. 9 shows the structure of the vicinity of the ceiling (ceiling out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this structure is also applicable to the air-conditioning double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embodiments.

이는, 천정측 취출구(64)로서 벽부에 해당하는 내장재(10)의 천정 가까운 부분에 횡방향으로 개구되는 간극을 형성하여 취출구(123)로 하고, 또한 천정면(50)의 근방에 위치하는 스터드재(108)의 상단부에 걸림 고정구(120)를 부착하고, 이것에 상기 풍향 변경판(75)을 걸리도록 한 형태이다.This is because a gap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ceiling of the interior material 10 corresponding to the wall as the ceiling outlet 64 to be opene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as to serve as the air outlet 123, And the catching fixture 120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ash material 108 and the wind deflector plate 75 is hooked on the catching fixture 120. [

상기 걸림 고정구(120)는, 상면부(122), 측면부(124), 및 하면부(126)를 갖는 단면 대략 ⊃자 형상의 금구이며, 상면부(122)의 선단부에는, 내측에 예각 형상으로 굴곡된 걸림부(128)가 형성되고, 또한 하면부(126)에는 걸림 볼록부(129)가 횡방향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부(126)의 좌우부는 일부가 각각 하방으로 굴곡 형성된 고정편(1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구(76)는, 양 고정편(127)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비스(107)를 이용하여 고정된다.The stopper 120 is a metal bracket having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 section having an upper surface portion 122, a side surface portion 124 and a lower surface portion 126. The tip en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22 has an acute angle inward And the engaging convex portion 129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ransverse strip on the lower surface portion 126. The right and left portions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126 are partly bent downwardly, (127) are formed. The fixture 76 is fixed to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both fixing pieces 127 using a screw 107.

상기 풍향 변경판(75)의 부착시에는, 상기 고정구(76)의 걸림부(128)와, 걸림 볼록부(129)의 측면부(124) 가까이의 부위와의 사이에, 풍향 변경판(75)을 볼록 형상으로 굽힌 상태에서, 그 상하 단부를 각각 걸리게 하여 그 복원력을 이용해서 고정한다. 이 풍향 변경판(75)은, 벽뒤 공간부(9)의 횡방향의 대략 전체 범위에 걸쳐 배치한다.The wind direction changing plate 75 is provid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128 of the fixture 76 and a portion near the side surface portion 124 of the engaging convex portion 129, In the state of being bent in a convex shape,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held and fixed by using the restoring force. The wind direction changing plate 75 is disposed over a substantially entire rang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pace 9 after the wall.

이 천정측 취출구의 구조에 의하면, 벽뒤 공간부(9)를 상승하는 공조 공기(25)는, 풍향 변경판(75)에 의해 흐름이 횡방향으로 바뀌어져, 내장재(10)의 상부에 형성된 취출구(123)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진다. 이 때문에, 취출구(123)로부터 공조 공기를 천정면(50)에 나란한 방향으로 내뿜기 때문에, 특히 냉방시에는 실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공조 공기(냉기)를 흐르게 할 수 있어, 양호한 공조를 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of the ceiling side outlet, the air conditioning air 25 rising up the space 9 after the wall is ch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the airflow direction changing plate 75, (123). Therefore, since the air conditioning air is blown out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ceiling surface 50 from the air outlet 123, air conditioning air (cold air) can flow uniformly throughout the room, and good air conditioning can be performed .

도 10에 나타내는 이중벽의 천정 근방(천정측 취출구)의 구조는,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와 대략 동일하지만, 여기에서는 천정 가장자리재(56)에 의해 형성되는 천정측 취출구(64)에, 상기 고정구(76) 및 상기 풍향 변경판(74)을 부착한 형태이다. The structure of the vicinity of the ceiling (ceiling side outlet) of the double wall shown in Fig. 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but here, the ceiling side outlet 64 formed by the ceiling edge material 56, 76 and the wind direction changing plate 74 are attached.

상기 고정구(76)는 종동연(8)의 측부에 고정하고, 이 고정구(76)의 걸림부 (88)와 걸림 볼록부(82)의 상부와의 사이에, 풍향 변경판(74)을 볼록 형상으로 굽힌 상태에서 그 상하 단부를 각각 걸리게 하여 고정한다. 이 풍향 변경판(74)은, 내장재(10)의 횡방향의 대략 전체 범위에 걸쳐 배치한다.The fixture 76 is fixed to the side of the longitudinal edge 8 and is provided between the retaining portion 88 of the fixture 76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engaging convex portion 82,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ending portion are respectively held and fixed. The wind direction changing plate (74) is disposed over a substantially whole range of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interior material (10).

상기 풍향 변경판(74)에 의해 공조 공기의 흐름이 효과적으로 하향으로 바뀌어져, 천정측 취출구(64)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진다. 공조 공기를 하향으로 바꿈으로써, 특히 난방시에는 실내 하방의 공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 flow of the air conditioning air is effectively changed downward by the airflow direction changing plate 74 and is blown out from the ceiling side air outlet 64 into the room. By changing the air conditioning air downwar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ir conditioning efficiency under the room, especially in heating.

도 11은, 상기 스터드재(108)(혹은 상기 종동연(8))의 중간부에 부착된 가이드판(132)을 나타낸 것이다. 이 가이드판(132)은, 상기 종동연(8) 혹은 상기 스터드재(108)의 측부에 설치한 부착구멍부(130)에 삽입통과시켜 배치한다. 이 때문에 가이드판(132)은, 보드재(109)와 내장재(10) 사이의 상기 벽뒤 공간부(9)내를 가로로 뻗는 형태로 된다. 11 shows the guide plate 132 attach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stud material 108 (or the longitudinal edge 8). The guide plate 132 is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hole 13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longitudinal edge 8 or the stud member 108. The guide plate 132 is formed so as to extend horizontally in the wall rear space 9 between the board material 109 and the interior material 10. [

상기 가이드판(132)은, 강철제 혹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단면 원호 형상의 장척재이다. 또한, 상기 부착구멍부(130)에는 예각 형상의 걸림부(124)가 형성되고, 또한 부착구멍부(130)의 하부는 내장재(10)측을 향하여 상승하는 원호 형상의 경사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The guide plate 132 is an elongated member made of steel or synthetic resin and having a circular arc shape. An acute angled engagement portion 124 is formed in the attachment hole portion 130 and an arcuate inclined portion 134 rising upward toward the interior material 1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ttachment hole portion 130 Respectively.

상기 가이드판(132)은, 부착구멍부(130)의 경사부(134)에 배치하는 동시에, 그 하단부를 걸림부(138)에 걸리게 하여, 한쪽의 상단부를 고정핀(136)으로 눌러 고정한다. The guide plate 132 is disposed on the inclined portion 134 of the attaching hole portion 130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guide plate 132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138 so that one upper end portion of the guide plate 132 is fixed by the fixing pin 136 .

상기 가이드판(132)에 의하면, 벽부 유통로(5)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25)의 일부를 내장재(10) 방향으로 분기시켜, 실내의 벽면(12)을 형성하는 내장재(10)에 공조 공기를 적극적으로 닿게 함으로써, 벽면(12)을 따뜻하게 하여 벽면으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한 공조 효과를 얻을 수 있다.A part of the air conditioning air 25 passing through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5 is branched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ior material 10 so that the interior material 10 forming the interior wall surface 12 is divided into the air conditioning air 25, By positively contacting the air, the wall surface 12 is warmed to obtain the air conditioning effect by radiant heat from the wall surface.

또한, 상기 가이드판(132)은, 종동연(8) 혹은 스터드재(108)의 흔들림 방지재로서도 기능한다.The guide plate 132 also functions as an anti-shake material for the longitudinal coils 8 or the stud material 108.

5 : 벽부 유통로
24 : 바닥측 취출구
40 : 난류 발생판
64 : 천정측 취출구
5: Wall distribution channel
24:
40: turbulent plate
64: ceiling outlet

Claims (8)

공조기기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바닥아래 공간부에 보내, 이 바닥아래 공간부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취출구를 통해 실내에 내뿜는 공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아래 공간부와 연이어 통하는 이중벽의 벽부로서 벽 기초면과 내장재의 사이에,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의 공조 공기가 상방을 향해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를 형성하고, 바닥부의 근방에 상기 벽부 유통로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의 바닥측 취출구를, 또한 천정부의 근방에 천정측 취출구를 각각 설치하고,
난류 발생판으로서 단면 L자 형상의 장척재를 이용하고,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근방의 벽 기초면에, 공조 공기의 흐름을 바꾸는 상기 난류 발생판을 횡방향으로 배치하며,
상기 벽 기초면과 상기 내장재의 사이에,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되는 굽도리널재를 배치하고,
상기 난류 발생판의 수평 방향의 돌출판부에 상기 공조 공기를 닿게 하여 난류를 발생시켜, 이 난류에 의해 공조 공기를 상기 내장재와 상기 굽도리널재의 사이에 마련되는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하여,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
An air conditioning structure for sending air-conditioned air from an air-conditioning device to a space under the floor, and for ventilating the air-conditioning air flowing through the space under the floor to the room through a take-out port,
And a wall portion communica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loor bottom space portion and communicating air from the space below the floor portion upward is formed between the wall base surface and the interior material and the wall portion communication passage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floor portion, Side air outlets for air circulating the air-conditioning air and the ceiling-side air outlets in the vicinity of the ceiling portion,
As a turbulent flow generation plate, a longitudinal member having an L-shaped cross section is used,
The turbulent flow generating plate for changing the flow of the air-conditioned air is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wall base surface near the bottom-side outlet,
A skirting board member provided upright from a bottom surface is disposed between the wall base surface and the interior material,
And a turbulent flow is generated by contacting the air circulation air to a horizontal projection portion of the turbulent flow generation plate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air is guided by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ide air outlet provided between the interior material and the sub- And the air conditioning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from both of the ceiling side outlet and the bottom side outlet.
공조기기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바닥아래 공간부에 보내, 이 바닥아래 공간부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취출구를 통해 실내에 내뿜는 공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아래 공간부와 연이어 통하는 이중벽의 벽부로서 벽 기초면과 내장재의 사이에,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의 공조 공기가 상방을 향해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를 형성하고, 바닥부의 근방에 상기 벽부 유통로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의 바닥측 취출구를, 또한 천정부의 근방에 천정측 취출구를 각각 설치하고,
유체 유도재로서, 단면이 반원 형상의 원호부를 가지는 장척재를 이용하고,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근방의 상기 벽부 유통로에, 이 벽부 유통로를 폐색하는 상기 유체 유도재를 횡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배치하며,
상기 벽 기초면과 상기 내장재의 사이에,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되는 굽도리널재를 배치하고, 상승하는 공조 공기를 상기 유체 유도재의 한쪽 절반부분에 닿게 하여 공조 공기의 흐름을 외향으로부터 하향으로 변경하고, 이 공조 공기를 상기 내장재와 상기 굽도리널재의 상단부의 사이에서 상기 바닥측 취출구로 유도하는 한편,
상기 유체 유도재를 배치하지 않은 개소에 대해서는, 상기 벽부 유통로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를 그대로 상방으로 유통시켜, 이에 의해 공조 공기를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하여,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
An air conditioning structure for sending air-conditioned air from an air-conditioning device to a space under the floor, and for ventilating the air-conditioning air flowing through the space under the floor to the room through a take-out port,
And a wall portion communica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loor bottom space portion and communicating air from the space below the floor portion upward is formed between the wall base surface and the interior material and the wall portion communication passage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floor portion, Side air outlets for air circulating the air-conditioning air and the ceiling-side air outlets in the vicinity of the ceiling portion,
As the fluidic inductive material, a long material having an arc portion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is used,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side air outlet is intermittently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as to block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Wherein a curved board member provided upright from a bottom surface is disposed between the wall base surface and the interior material and the ascending air-conditioned air is applied to one half of the fluid inductive member to change the flow of the air-conditioned air from the outward direction to the downward direction, The air conditioning air is guided to the bottom side outlet between the interior material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kirting board,
The air conditioning air passing through the wall portion flow path is directly flowed upward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air is divided into two directions of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ide air outlet and the direction of the ceiling side air outlet And the air conditioning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from both the ceiling side outlet and the bottom side outlet.
공조기기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바닥아래 공간부에 보내, 이 바닥아래 공간부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취출구를 통해 실내에 내뿜는 공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아래 공간부와 연이어 통하는 이중벽의 벽부로서 벽 기초재와 내장재의 사이에,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의 공조 공기가 상방을 향해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를 형성하고, 바닥부의 근방에 상기 벽부 유통로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의 바닥측 취출구를, 또한 천정부의 근방에 천정측 취출구를 각각 설치하고,
유체 분배재로서,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의 원호부를 가지는 장척재를 이용하고, 이 원호부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통과 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근방의 상기 벽부 유통로에, 상기 벽부 유통로의 일부를 폐색하는 상기 유체 분배재를 횡방향으로 배치하며,
상기 벽 기초면과 상기 내장재의 사이에,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되는 굽도리널재를 배치하고, 상승하는 공조 공기를 상기 유체 분배재에 닿게 하여 일부의 공조 공기의 흐름을 외향으로부터 하향으로 변경하고, 이 공조 공기를 상기 내장재와 상기 굽도리널재의 상단부의 사이에서 상기 바닥측 취출구로 유도하는 한편,
상기 유체 분배재의 상기 통과 구멍을 통과하는 공조 공기를 상방으로 유통시켜, 이에 의해 공조 공기를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하여,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
An air conditioning structure for sending air-conditioned air from an air-conditioning device to a space under the floor, and for ventilating the air-conditioning air flowing through the space under the floor to the room through a take-out port,
A wall portion communica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bottom space portion and communicating air from the space below the floor portion upward is formed between the wall foundation material and the interior material as a double wall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bottom portion space portion, Side air outlets for air circulating the air-conditioning air and the ceiling-side air outlets in the vicinity of the ceiling portion,
As a fluid distribution material, a long material having a circular part having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ross section is used, and a through hole is provided at an upper part of the circular 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side delivery port is provided with the fluid distribution member for closing part of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in the lateral direction,
Wherein a curved plate member provided upright from the bottom surface is disposed between the wall base surface and the interior material and the ascending air-conditioned air is applied to the fluid distribution material to change the flow of some air-conditioned air from the outward direction to the downward direction, The air conditioning air is led to the bottom side outlet between the interior material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kirting board,
The air conditioning ai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luid distribution material is caused to flow upward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air is divided into two directions,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ide air outlet and the direction of the ceiling side air outlet, Side air outlet is introduced into the room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side air outle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측 취출구로서, 상기 천정부의 벽 가까운 부분에 하방을 향해 개구되는 취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천정부의 벽 가까이에, 상기 벽부 유통로를 유통하여 상기 벽부의 천정 가까이에 마련한 간극으로부터 내뿜어지는 공조 공기를 하측 방향으로 바꾸는 풍향 변경판을 배치하고, 상기 취출구로부터 공조 공기를 하방을 향해 내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eiling side air outlet is provided with a blowout opening which opens downward near the wall of the ceiling portion, Wherein the air conditioning air is blown outward from the air outlet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air blown out from the gap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eiling of the wall portion is changed in the downward direc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측 취출구로서, 상기 벽부의 천정 가까운 부분에 횡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취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벽부 유통로의 천정 가까이에, 이 벽부 유통로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횡방향으로 바꾸는 풍향 변경판을 배치하며, 상기 취출구로부터 공조 공기를 횡방향으로 내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s the ceiling side air outlet, there is provided an air outlet opening in the vicinity of the ceiling of the wall portion that opens in the lateral direction, Wherein the air conditioning air is flowed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air outlet, and a wind direction changing plate for horizontally changing the air conditioning air flowing through the air outlet is arrang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 유통로를 형성하는 벽 기초면에 단열재를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The air-conditioning double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laid on a wall base surface forming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 유통로에, 긴 형상의 가이드판을 이 벽부 유통로내를 가로로 뻗도록 한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벽부 유통로를 상승하는 공조 공기의 흐름을 상기 내장재의 이면부로 유도하고 여기에 닿게 하여, 온도가 조정된 상기 내장재에 의한 벽면으로부터의 복사 효과에 의해 실내의 공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4.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long guide plate is disposed on the wall portion flow passage so as to extend laterally in the wall portion communication passage, Wherein a flow of air is guided to the rear face of the interior material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terior of the interior material to perform air conditioning in the room by radiating effect from the wall surface by the interior material whose temperature is adjusted. 삭제delete
KR1020127004841A 2009-07-27 2010-07-23 Double-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KR10169863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74340 2009-07-27
JP2009174340 2009-07-27
PCT/JP2010/062408 WO2011013582A1 (en) 2009-07-27 2010-07-23 Double-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228A KR20120041228A (en) 2012-04-30
KR101698630B1 true KR101698630B1 (en) 2017-01-20

Family

ID=4352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841A KR101698630B1 (en) 2009-07-27 2010-07-23 Double-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47982B2 (en)
KR (1) KR101698630B1 (en)
WO (1) WO201101358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5377A (en) * 2019-10-23 2020-01-14 扬州大学 Heat preservation ventilation wall structure suitable for paper build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0044B2 (en) * 2016-10-17 2021-08-18 株式会社メックecoライフ Air conditioning system
CN111395673A (en) * 2020-03-09 2020-07-10 安徽未来饰界实业有限公司 Cloth-coated wallboard structure for five-constant ecological air conditioning system
JP7288104B1 (en) 2022-01-31 2023-06-06 大建工業株式会社 Temperature control air circulation device for cooling and heat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241A (en) * 2000-10-31 2002-05-17 Ul House:Kk Housing
JP2002273139A (en) * 2001-03-21 2002-09-24 Asai Kogyo:Kk Air cleaner
JP2004505229A (en) * 2000-07-28 2004-02-19 ノーマン,コニー Equipment for ventil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3546U (en) * 1976-02-04 1977-08-06
JPS62228831A (en) * 1986-03-31 1987-10-07 Kojima Press Co Ltd Air flow deflecting device of air conditioning duct
JPH03191249A (en) * 1989-12-20 1991-08-21 Misawa Homes Co Ltd Vane for air-conditioner
JPH04203833A (en) * 1990-11-30 1992-07-24 Toshiba Corp Air conditioning system
JPH06229034A (en) * 1993-02-05 1994-08-16 Iida Kenchiku Sekkei Jimusho:Kk Building frame structure
JP2905417B2 (en) * 1995-04-14 1999-06-14 英晴 相澤 Air circulation building
JPH10140684A (en) * 1996-11-12 1998-05-26 Daikin Ind Ltd Building material with passage for air conditioning and building material for connection thereof
JP2955263B2 (en) * 1998-02-02 1999-10-04 信秀 前田 Building with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unctions
JP2002257402A (en) * 2001-02-28 2002-09-11 Nippon Sound Techno:Kk Gas distributor
JP2004076285A (en) * 2002-08-09 2004-03-11 Isao Okawa Building
JP2006078128A (en) 2004-09-13 2006-03-23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Underfloor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6112764A (en) * 2004-10-12 2006-04-27 Inter Central:Kk Entire air type improved radiation air-conditioning system
CH695326A5 (en) * 2004-11-26 2006-03-31 Lk Luftqualitaet Ag Flaechenelement for thermal adjustment of indoor air.
JP2006220325A (en) * 2005-02-08 2006-08-24 Kenchiku Planner Kk Air conditioning structure of building
JP2007333312A (en) * 2006-06-15 2007-12-27 Denso Corp Air conditioning device
JP3133187U (en) * 2007-04-17 2007-07-05 宏 山村 Ventilation ho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5229A (en) * 2000-07-28 2004-02-19 ノーマン,コニー Equipment for ventilation systems
JP2002139241A (en) * 2000-10-31 2002-05-17 Ul House:Kk Housing
JP2002273139A (en) * 2001-03-21 2002-09-24 Asai Kogyo:Kk Air clea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5377A (en) * 2019-10-23 2020-01-14 扬州大学 Heat preservation ventilation wall structure suitable for paper bui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3582A1 (en) 2011-02-03
KR20120041228A (en) 2012-04-30
JP5647982B2 (en) 2015-01-07
JPWO2011013582A1 (en) 201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0229B2 (en) Hanger profile and ceiling assembly
KR101698630B1 (en) Double-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JP2007271250A (en) Radiation air conditioning unit
CZ20011566A3 (en) Air-conditioner
JP2017534045A (en) Air conditioner with wind blocker
US2627800A (en) Heat dispersing apparatus
JP7032828B2 (en) Air conditioning equipment
JP4672800B1 (en) Cold / warm air diffuser for air conditioner
CN103883059B (en) Hidden dress functional module Integral ceiling
JP2010223538A (en) Heating and cooling system
JP6806366B2 (en) Air conditioning equipment and buildings equipped with it
JP7468870B2 (en) Floor radiant convection heating and cooling system
JP5335376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7347733B2 (en) Air conditioning air outlet structure
JP5348996B2 (en) Air conditioning structure for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JP2017072281A (en) Fluid channel restrict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5627379B2 (en) Heat exchange ventilator
CN203924447U (en) Hidden dress functional module Integral ceiling
JP7049105B2 (en) Blower structure
US20220373217A1 (en) Linear air diffuser of a suspended ceiling
CN212930247U (en)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US9513025B2 (en) Decorative air conduit
JP6046176B2 (en) Underfloor chamber for floor-mounted indoor air conditioner connection
JP7033486B2 (en) Personal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429007Y1 (en) air-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