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095B1 - Refrigerator with hidden type dispense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with hidden type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095B1
KR101698095B1 KR1020100097498A KR20100097498A KR101698095B1 KR 101698095 B1 KR101698095 B1 KR 101698095B1 KR 1020100097498 A KR1020100097498 A KR 1020100097498A KR 20100097498 A KR20100097498 A KR 20100097498A KR 101698095 B1 KR101698095 B1 KR 101698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efrigerator
dispenser
cove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4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5773A (en
Inventor
박주원
정일욱
강병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7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095B1/en
Publication of KR20120035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7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0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폐형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저장공간을 갖는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냉장고 본체에 설치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함몰부에 구비되는 디스펜서; 상기 함몰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의 개폐와 연동되어 냉장고 도어의 전면 내외측으로 이동하며, 저면에 적어도 한 쌍의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안내돌기와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안내홈이 형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로서, 상기 한 쌍의 안내홈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안내홈에 비해서 큰 폭을 갖는 냉장고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 concealed dispens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refrigerator body having a storage space; A refrigerator doo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 dispenser provided in a depression formed concavely in the refrigerator door;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epression; A support portion which is interlocked with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and moves towar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at least a pair of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guide portion coupled to the guide protrus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t least a pair of guide grooves extending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guide grooves is connected to the other guide groove A refrigerator having a relatively large width is provided.

Description

은폐형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WITH HIDDEN TYPE DISPENS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 hermetic dispenser,

본 발명은 은폐형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가 필요시에만 노출되도록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 concealed disp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dispenser provided in a door of a refrigerator is exposed only when necessary.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를 작동유체로 하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이용하여 식품이나 음료와 같은 저장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로 개발된 이래 오랫동안 생활필수품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들어 냉장고에는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이 새롭게 추가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적인 기능 추가가 예상된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 refrigerator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living necessities for a long time since it was developed as a device for storing food such as food or beverage freshly for a long time using fresh air generated by a refrigeration cycle using a refrigerant as a working fluid. Recently, various functions have been added to the refrigerator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refrigerator.

일 예로, 냉장고 내부에서 제조되는 얼음 등의 인출을 위해 매번 도어를 개방해야하는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냉장고의 외부에서 그 내부에서 제조된 얼음 등의 인출을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의 출시를 들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냉장고 도어 일부가 그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의 일 측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해 얼음 등을 인출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함몰부에 용기를 집어넣어 인출되는 얼음 등을 받게 된다.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opening the door each time for taking out ice and the like manufactured in the refrigerator, there has been proposed a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for taking out ice, etc., have. The dispenser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refrigerator door is drawn out through an outlet formed at one side of a depression formed by being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th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depression to receive ice and the like drawn out.

그러나, 종래의 디스펜서는 냉장고의 외부로 상기 함몰부 및 인출구가 노출되어 있어 이들 함몰부 및 인출구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끼이거나 점착될 수 있어 위생상으로 좋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ispenser, the depressed portion and the outlet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may be caught or adhered to the depressed portion and the outlet portion, which is a bad hygienic problem.

또한, 사용시에 상기 함몰부 내부에 컵과 같은 용기를 투입하여야 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수납하기 위해서는 상기 함몰부가 상당한 부피를 가져야 하므로 냉장고 고 내의 저장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함몰부와 인출구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디자인을 제약하는 요소가 된다.In addition, since a container such as a cup must be inserted into the depression at the time of use, the depressed portion must have a considerable volume in order to accommodate containers of various sizes, so that the storage space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is reduced. In addition, the depressed portion and the outlet portion constrain the design of the refrigerator door.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별도의 커버를 구비하여 미사용시에는 상기 커버에 의해 상기 함몰부를 밀폐하고 디스펜서 사용시에만 커버가 개방되도록 하는 은폐형 디스펜서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 은폐형 디스펜서는 특히 상기 커버의 개폐와 연동되어 냉장고 도어 내에서 슬라이드되는 받침부를 구비하여, 커버가 개방되면 받침부가 도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커버가 닫히면 받침부가 도어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개선한 구조를 갖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ncealed type dispenser has been proposed, which has a separate cover and which closes the depression with the cover when the dispenser is not in use, and opens the cover only when the dispenser is used. The concealed type dispenser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to slide i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When the cover is opened, the receiving portion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When the cover is closed, .

이때, 상기 받침부는 일측에 구비되는 액추에이터가 받침부의 일측 단부를 도어 내외측으로 밀어서 슬라이드되는 구조를 갖는데, 액추에이터가 받침부의 양단이 아닌 일측단부에만 위치하므로 액추에이터에 의해 힘을 받는 단부측이 그렇지 않은 단부에 비해서 우선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받침부가 슬라이드 이동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져서 이동하게 되므로 슬라이드 동작이 원활하게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At this time, the support part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ctuator provided at one side slides while sliding one side end of the support part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oor. Since the actuator is located only at one end of the support p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lide operation can not be smoothly implemented because the support portion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and is moved.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액추에이터를 양단부에 구비하거나, 하나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동력을 받침부의 양단부로 전달하기 위한 링크 구조를 필요로 하지만 이는 구조를 복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actuator at both ends or a link structure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by a single actuator to both ends of the receiver, but this complicates the structure and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면서도 받침부가 원활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는 은폐형 디스펜서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concealed dispenser capable of smoothly sliding a receiving part while minimizing structural changes.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저장공간을 갖는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냉장고 본체에 설치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함몰부에 구비되는 디스펜서; 상기 함몰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의 개폐와 연동되어 냉장고 도어의 전면 내외측으로 이동하며, 저면에 적어도 한 쌍의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안내돌기와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안내홈이 형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로서, 상기 한 쌍의 안내홈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안내홈에 비해서 큰 폭을 갖는 냉장고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refrigerator body having a storage space; A refrigerator doo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 dispenser provided in a depression formed concavely in the refrigerator door;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epression; A support portion which is interlocked with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and moves towar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at least a pair of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guide portion coupled to the guide protrus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t least a pair of guide grooves extending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guide grooves is connected to the other guide groove A refrigerator having a relatively large width is provided.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상기 받침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와 안내홈을 형성함에 있어서 안내홈의 폭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액추에이터에 의한 구동력이 받침부의 일측으로만 전달되어 받침부가 회전된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안내홈은 상기 안내돌기와 보다 밀착되도록 결합되게 되므로 슬라이드 이동 과정에서 받침부의 유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안내홈은 받침부의 회전으로 인한 안내돌기와 안내홈 사이의 마찰력 증가를 경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rming the guide protrusions and the guide grooves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ortion, the widths of the guide groov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is transmitted only to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Make slide movement possible. That is, the guide groove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is engaged with the guide protrusion so as to be in closer contact with the guide protrusion. Therefore, the guide groove plays a role of suppressing the flow of the support portion during the slide movement. Thereby reducing the increase in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grooves.

여기서, 폭이 넓은 안내홈은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대적으로 먼 쪽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와 가까운 쪽은 액추에이터에 의한 구동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동되므로 안내홈과 안내돌기 사이의 마찰력이 강하더라도 원활하게 슬라이드 될 수 있으므로 폭을 좁게 하여도 문제가 생기지 않는 반면, 액추에이터와 먼 쪽은 액추에이터에 의한 구동력이 상대적으로 적게 작용하므로 안내홈과 안내돌기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하여 마찰력의 증가를 경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wide guide groove may be located farther away from the actuator. Since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is relatively large in the vicinity of the actuator, even if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protrusion is strong, the driving force can be smoothly slid so that the problem does not occur even if the width is narrow. On the other hand, The gap between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protrusion can be increased to reduce the increase in frictional force.

한편,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커버부도 함께 개폐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may be opened and closed together with the actuator.

아울러, 상기 받침부에 상기 디스펜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취출버튼을 구비하여, 조작패널에 취출버튼이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take-out button for operating the dispenser, so that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ake-out button is provided on the operation panel.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저장공간을 갖는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냉장고 본체에 설치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함몰부에 구비되는 디스펜서; 상기 함몰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의 개폐와 연동되어 냉장고 도어의 전면 내외측으로 이동하며, 저면에 적어도 한 쌍의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레일이 구비되는 안내부; 및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와 결합되어 받침부와 함께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냉장고로서, 상기 레일 삽입홀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레일 삽입홀 비해서 큰 폭을 갖는 냉장고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refrigerator body having a storage space; A refrigerator doo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 dispenser provided in a depression formed concavely in the refrigerator door;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epression; A support portion which is interlocked with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and moves towar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at least a pair of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 guide portion having at least a pair of rails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a slider formed with a rail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rail is inserted and which is coupled with the support portion and moves together with the support por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rail insertion holes has a larger width than the other rail insertion holes A refrigerator is provided.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받침부가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이동하고, 레일이 구비되는 점에서 상술한 측면과는 차이를 갖는다.In the abov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above-described aspect in that the support portion moves in association with the slider and is provided with a rail.

여기서, 상기 레일 삽입홀 중 다른 레일 삽입홀에 비해서 큰 폭을 갖는다는 의미는 상기 레일과 레일 삽입홀 사이의 간격이 더 크게 설정된다는 의미로서, 이를 위해서 상기 레일 삽입홀의 직경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거나 큰 폭을 갖는 쪽의 레일 삽입홀을 장공 형상으로 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Here, the larger width of the rail insertion holes than the other rail insertion holes mean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rails and the rail insertion holes is set larger. For this purpose, the diameter of the rail insertion holes may b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an example in which the rail insertion hole on the side having the width is formed into a long hole shape.

이때,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레일 삽입홀 중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대적으로 먼 쪽에 위치하는 레일 삽입홀이 큰 직경을 갖거나 장공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mong the at least one pair of rail insertion holes, the rail insertion holes located farther from the actuator may have a large diameter or a long hole shap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단순히 레일 삽입홀 또는 안내홈의 폭 또는 직경만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만으로도 받침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 공정 변화로 인한 단가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moothly move the slide of the receiving portion by simply setting different widths or diameters of the rail insertion holes or the guide groove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crease in the unit price due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chang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디스펜서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I-I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취출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받침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2에서 받침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2에서 구동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구동부의 조립상태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수납위치 상태에서 구동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취출위치 상태에서 구동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11은 상기 받침부가 슬라이드 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슬라이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ispenser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II in Fig. 1,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ake-out unit shown in Fig. 2,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ceiving unit shown in Fig. 2,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ceiving portion in Fig. 2,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unit shown in Fig. 2,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driving unit in FIG. 7,
FIG. 9 is a side view of the driving unit in a storage position state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driving unit viewed from the side in the take-out position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sliding the receiving part,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lider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디스펜서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I-I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ispenser in FIG. 1, and FIG. 3 is a cross- Sectional view.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식료품 등이 저장되는 냉각실(12)과 상기 냉각실(12)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도어(13)를 포함한다.1 to 3,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cooling chamber 12 for storing food and the like, and a door 13 for shielding the cooling chamber 12 from the outside .

상기 냉각실(12)은 냉장고(10)의 와관을 형성하는 본체(11)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냉각실(12)의 내면과 상기 본체(11)의 외면은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며 그 사이에는 단열재가 삽입된다.The cooling chamber 12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1 forming a tube of the refrigerator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oling chamber 1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inserted.

상기 단열재에 의해 상기 냉각실(12)의 내부는 상기 본체(11)의 외부와 단열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The inside of the cooling chamber 12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insulat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 b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또한, 상기 냉각실(12)은 저장물의 수납 및 인출을 위해 일 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개방된 일 면은 상기 본체(11)에 힌지결합된 도어(13)에 의해 개방 또는 차폐되게 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cooling chamber 12 is opened to accommodate and draw out the stored product, and the opened side is opened or shielded by the door 13 hinged to the main body 11. [

한편, 상기 도어(13)의 내부에도 단열재가 삽입되게 되므로 상기 도어(13)를 통해 상기 냉각실(12)의 내부로 열전달이 방지되게 된다.Sinc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door 13, the heat transfer to the inside of the cooling chamber 12 is prevented through the door 13.

또한, 상기 도어(13)의 전면 한쪽에는 소비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도어손잡이(14)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도어(13)의 개폐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Further, a door knob 14, which can be gripped by a consumer,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3,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3 more easily.

한편, 상기 본체(11)의 한쪽에는 상기 냉각실(12)의 냉각을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사이클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not show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 to generate cool air for cooling the cooling chamber 12.

한편, 상기 냉동사이클장치에 의해 생성된 냉기는 상기 본체(11)의 내부에 형성된 냉기공급덕트(미도시)를 통해 상기 냉각실(12)로 공급되어 그 내부를 냉각하게 된다.Meanwhile, the cool air generated by th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s supplied to the cooling chamber 12 through a cool air supply duct (not shown)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1 to cool the inside thereof.

더불어, 상기 냉기공급덕트로 냉기의 공급이 원활히 일어나도록 송풍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blow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to smoothly supply cool air to the cool air supply duct.

한편, 상기 냉각실(12)은, 저장물을 얼리지 않고 신선하게 유지 보관하기 위한 냉장실(12a)과 저장물은 얼린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12b)로 구분되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oling chamber 12 may be divided into a refrigerating chamber 12a for keeping the stored product fresh and fresh, and a freezing chamber 12b for storing the stored product in a frozen state fo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상기 냉장실(12a)과 상기 냉동실(12b)은, 소비자가 사용 패턴 및 저장물의 종류 또는 양에 맞추어 선택가능하도록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a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2b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o that they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and the kind or amount of the stored product.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12a)이 상측에, 냉동실(12b)이 하측에 형성되도록 하여, 냉동실(12b)에 비해 냉장실(12a)의 사용 빈도가 많은 소비자에게 냉장실(12a)의 개폐 및 저장시 편리함을 안겨 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냉동실(12b)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13b)는 힌지결합이 아닌 서랍식으로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소비자가 냉동실(12b)에 저장된 저장물을 상측으로 인출하게 함으로써, 하측에 위치되는 냉동실(12b)로부터 저장물의 인출시 자세를 낮춰야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2b is formed on the lower side, so that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a is provided to the user who frequently use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a as compared with the freezing compartment 12b. ) Can be opened and stored conveniently. In this case, the freezing chamber door 13b that opens and closes the freezing chamber 12b is formed so as to be pulled out in a drawer style instead of being hinged to allow the consumer to draw the stored product stored in the freezing chamber 12b upwar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lowering the posture at the time of withdrawing the stored product from the storage containers 12a and 12b.

이와 다르게, 냉동실(12b)을 상측에, 냉장실(12a)을 하측에 형성하거나, 냉장실(12a)과 냉동실(12b)을 좌우측으로 나란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ernatively, the freezing compartment 12b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a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a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2b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는 도어(13)의 개방 없이도 외부에서 냉각실(12)에서 제조된 얼음 등을 취출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100)가 구비된다.The dispenser 100 is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o as to take out the ice produced in the cooling chamber 12 from the outside without opening the door 13. [

도 1에서는 상기 디스펜서(100)가 냉장실도어(13a)에 구비되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이와 다르게 냉동실도어(13b)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1, the dispenser 100 is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3a. Alternatively, the dispenser 100 may be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3b.

또한, 상기 냉각실(12)의 내부에는 상기 디스펜서(100)를 통해 인출되는 얼음 등의 제조를 위한 제빙장치(15)가 마련되며, 이들은 서로 연통되게 설치된다.An ice maker 15 for manufacturing ice and the like drawn out through the dispenser 100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cooling chamber 12, and they are install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를 위해, 상기 제빙장치(15)와 상기 디스펜서(100)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빙장치(15)로부터 제조된 얼음 등을 이송하는 이송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transfer unit 140 may be provided for communicating the ice maker 15 with the dispenser 100 and transferring the ice produced from the ice maker 15.

상기 제빙장치(15)는, 상기 냉각실(12)의 내부 또는 상기 도어(13)의 배면 즉, 상기 냉각실(12)을 향하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ice maker 15 may be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cooling chamber 12 or on a rear surface of the door 13, that is, a surface facing the cooling chamber 12.

상기 제빙장치(15)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공지된 구성을 가진 제빙장치 중 어느 것으로 구비되어도 무난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ice maker 15 may be any of the ice makers having a known construction,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100)는, 상기 도어(13)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수납되게 구비되며, 얼음 등의 취출시 도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취출부(110)와 받침부(120)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받침부(120)를 서로 연동시키는 구동부(130)를 포함한다.2 and 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enser 100 is provided so as to be housed in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3, and has a take- And a driving unit 130 including a receiving unit 110 and a receiving unit 120 and coupling the receiving unit 110 and the receiving unit 120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받침부(12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13)의 전면 한쪽에는 도어(13)의 두께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되며, 전면 일측이 개방된 디스펜서 수납부(101)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면 일 측에는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받침부(120) 그리고 상기 구동부(130) 등이 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door 13 is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13 so that the take-out unit 110 and the receiving unit 120 can be accommodated. The discharge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and the drive part 130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ispenser storage part 101 .

이와 다르게,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를 별도의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전면 일측이 개구된 부재로 구비하여 상기 도어에 설치하고,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받침부(120) 및 상기 구동부(130)의 고정 및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the dispenser receiving portion 101 may be provided on the door with a separate depressed shape and open at one side of the front thereof, and the take-out portion 110, the receiving portion 120, 130 can be fixed and accommodated.

또한,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상측에는 그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는 이송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부(140)는 도시되지 않은 아이스 뱅크 등과 연통되는 것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을 공급하는 급수노즐 등이 구비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Further,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enser receiving portion 101, there is provided a conveying portion 140 passing through the outside and inside thereof. The transfer unit 140 is in communication with an unillustrated ice bank or the like. However, the transfer unit 14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include a water supply nozzle for supplying water.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40)의 내측에는 상기 이송부(140)를 통한 얼음 등의 이송이 필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상기 이송부(140)를 개방시키는 개폐부재(1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재(141)는 일 측이 상기 이송부(140) 또는 디스펜서 수납부(101)에 힌지결합되며 별도로 구비된 솔레노이드(142) 등과 같은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an opening / closing member 141 for selectively opening the conveying unit 140 is provided inside the conveying unit 140 when it is necessary to convey ice or the like through the conveying unit 140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1 may be hinged to one side of the conveyance unit 140 or the dispenser receiving unit 101 and may be rotated by a drive unit such as a solenoid 142 or the like.

한편, 상기 취출부(110)는, 상기 이송부(140)를 통해 이송된 얼음 등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3)와,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며, 상기 가이드부(113)가 그 배면에 결합되는 커버부(111)를 포함한다.The take-out part 110 includes a guide part 113 for guiding ice and the like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part 140 to be taken out to the outside, and an open front part of the dispenser receiving part 101, And a cover portion 111 to which the guide portion 113 i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또한, 상기 취출부(110)는, 그 상측 양단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면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take-out portion 110 is hing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ispenser receiving portion 101 at both upper ends thereof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자세하게는, 상기 취출부(110)는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도어(13)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취출위치로 이동되며, 하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로 수납되는 수납위치로 이동되게 된다.Specifically, the take-out unit 110 is rotated upward to a take-out position protruding forward of the door 13, and is rotated downward to be moved to a storage position stored in the dispenser storage unit 101 .

상기 취출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113)는 상기 이송부(140)의 말단과 연결되어 이송부(140)를 통해 이송된 얼음 등이 외부로 취출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The guide part 113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veying part 140 to guide the ice conveyed through the conveying part 140 to be taken out to the outside.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113)는 상기 이송부(140)와 상기 도어(13)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수납위치에서 상기 취출부(110)가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시키게 된다.3, the guide part 113 is positioned in the storage position so as to be overlapped with the conveying part 140 and the door 13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fore, the space occupied by the take-out unit 110 at the storage position is reduced.

또한, 수납위치에서 상기 커버부(111)는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111 is provided to shield the opened front face of the dispenser receiving portion 101 at the receiving position.

여기서,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개구된 전면은, 위쪽으로 상기 취출부(110)의 상단부터 아래쪽으로는 상기 취출부(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받침부(120)가 전방으로 수평이동 가능한 위치까지의 높이(h2)가 개구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pen front of the dispenser storage portion 101 is formed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120 provided below the take-out portion 110 from the upper end of the take-out portion 110 upward to the upper side of the tak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h2 to the movable position is opened.

따라서, 상기 이송부(140)가 위치되는 부분, 즉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상면에서 상기 취출부(110)의 상측까지(h1)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 차폐되게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enser receiving portion 101 is shielded by a separate memb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enser receiving portion 101 to the upper side of the extracting portion 110, .

또한, 상기 취출부(110)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115)는 상기 취출부(110)의 상단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inge coupling part 115 to which the take-out part 110 is hinged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take-out part 110 by a predetermined length

이에 의해, 상기 커버부(111)의 높이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상기 취출부(110)의 회전반경을 늘리게 되어 상기 취출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113)의 말단이 돌출되는 길이를 증가시키게 된다. Accordingly, the rotation radius of the take-out part 110 is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cover part 111, thereb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end of the guide part 113 protruding from the take-out position.

따라서, 보다 안전하게 얼음 등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취출부(110)의 회전각을 줄일 수 있으므로, 과도하게 회전되어 취출동작시 외관미를 저해시킬 수 있는 염려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ce can be taken out more safely. Further, since the rotation angle of the take-out unit 110 can be redu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cern that the appearance may be deteriorated during the take-out operation due to excessive rotation.

본 실시예에서, 취출위치에서 외관미의 손상 방지를 위해서는 상기 커버부(111)와 상기 도어(13)의 전면이 이루는 각(α)는 45도에서 60도의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cover portion 111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3 is kept within a range of 45 degrees to 60 degrees,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appearance at the take-out position.

또한, 수납위칙에서 상기 커버부(111)는 상기 도어 전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part 111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이에 대한 자세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구동부(130)에 의해 상기 취출부(110)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외측으로 수평이동되는 프레임부(123)와 상기 프레임부(123)에 탄성지지되어 취출동작을 개시시키는 버튼부(121)를 포함한다. The receiving unit 120 includes a frame unit 123 that moves horizontally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ispenser receiving unit 101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takeout unit 110 by the driving unit 130, And a button portion 121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guide portion 123 to start the take-out operation.

또한,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취출부(110)의 아래에 위치된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portion 120 is positioned below the take-out portion 110.

따라서, 소비자가 용기를 이용해 상기 버튼부(121)를 누르면, 그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113)의 말단부와 상기 용기의 입구가 대향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portion 121 using the container,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13 and the inlet of the container face each other at the same time.

한편, 상기 구동부(130)는, 각각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받침부에 연결된 복수의 기어(gear)가 서로 맞물린 기어부(131)와 상기 기어부(131)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33)로 구비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30 includes a gear part 131 engaged with a plurality of gears connected to the take-out part 110 and the receiving part, and a motor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gear part 131 133).

이에 의해 상기 모터(133)의 회전으로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받침부(120)의 이동을 연동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take-out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133. [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11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ake-out unit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도 2에서 취출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이다.FIG.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take-out part in FIG. 2;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110)는, 앞서 설명한 커버부(111)와 그 배면에 결합되어 취출되는 얼음 등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ake-out part 110 includes the cover part 111 described above and a guide part 113 for guiding ice, etc.,

또한, 상기 취출부(110)는 디스펜서(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버튼부(11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버튼부(118)는, 소비자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PCB(118b,printed circuit board)와 상기 커버부(111)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PCB(118b)에 누름력을 전달하는 버튼수용부(118a) 및 상기 버튼PCB(118b)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PCB수용부(118c)를 포함한다.The takeout unit 110 may include a control button unit 118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100. The control button unit 118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A button PCB 118b and a button receiving portion 118a formed on the cover portion 111 for transmitting a pressing force to the button PCB 118b and a PCB receiving portion 118a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button PCB 118b. Receiving portion 118c.

이 경우, 상기 제어버튼부(118)는 상기 커버부(111)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113)는 상기 제어버튼부(118)의 배면에 결합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control button unit 118 i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unit 111, and the guide unit 113 i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ontrol button unit 118.

한편, 상기 가이드부(113)는 취출되는 얼음 등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어버튼부(118)의 배면과 결합에 의해 하나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가이드(113a)와 상기 가이드(113a)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버튼부(118)와의 체결부(113c)가 구비된 가이드고정부(113b)를 포함한다.The guide part 113 includes a guide 113a which forms one moving path by engaging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control button part 118 to guide the ice or the like to be taken out, And a guide fixing part 113b having a fastening part 113c with the control button part 118. [

또한, 상기 취출부(110)의 측면, 즉 커버부(111)의 배면 양단 또는 상기 제어버튼부(118)의 양 측면 또는 상기 가이드고정부(113b)의 측면에는 상기 취출부(110)를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에 힌지결합시키는 힌지결합부재(116)의 일단이 고정되며, 타 단은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에 힌지결합된다.The take-out part 110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ake-out part 110, that is, both sides of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part 111, both sides of the control button part 118, One end of a hinge engaging member 116 hinged to the dispenser receiving portion 101 is fixed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dispenser receiving portion 101. [

상기 힌지결합부재(116)는, 상기 구동부(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취출부(110)를 회전시키게 된다.The hinge engaging member 116 receives the power from the driving unit 130 and rotates the take-out unit 110.

상기 힌지결합부재(116)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hinge coupling member 116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20)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eiving portion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도 2에서 받침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base unit in FIG. 2; FIG.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구동부(130)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외측으로 수평이동하는 프레임부(123)와 상기 프레임부(123)에 탄성지지되는 버튼부(121)를 포함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5, the receiving unit 120 includes a frame unit 123 horizontally mov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ispenser receiving unit 101 by the driving unit 130, And the button portion 121 is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button portion 123 as described above.

이와 함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프레임부(123)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프레임부(123)의 좌우유동을 방지하는 프레임안내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eiving portion 120 further includes a frame guide portion 125 for guid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rame portion 123 and preventing the frame portion 123 from being sideways can do.

상기 버튼부(121)는, 상기 프레임부(123)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전방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탄성지지된다.The button portion 121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rame portion 123 so that a restoring force acts forward of the dispenser receiving portion 101.

따라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버튼부(12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버튼부(121)의 측면 후단에는 걸림단(121b)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123)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단(121b)에 대응되게 버튼부걸림홈(123a)이 형성된다.Therefore, a locking end 121b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utton portion 121 to prevent the button portion 121, which is moved forward of the dispenser receiving portion 101, On the side surface of the part 123, a button engagement groove 123a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engagement end 121b.

여기서, 상기 걸림단(121b)과 버튼부걸림홈(123a)은 그 위치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함.)에 의해 측면에 한정되지 않고 상면 또는 하면 어디에라도 설치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Here, the positions of the latching end 121b and the button latching groove 123a are not limited to the side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Needless to say, the installation can be chang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한편, 버튼부(121)의 측면 후단이 지나는 이동경로 상에는 상기 버튼부(121)의 이동에 의해 눌려져 상기 디스펜서(100)의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칭부재(126)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a switching member 126, which is pressed by the movement of the button part 121 and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of the dispenser 100, is provid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side rear end of the button part 121.

이 경우, 상기 스위칭부재(126)는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 측면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In this case, the switching member 126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ispenser receiving portion 101.

이와 다르게, 상기 스위칭부재(126)는 상기 프레임안내부(125)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안내부(125)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123)의 좌우유동이 방지되므로 상기 버튼부(121)와 상기 스위칭부재(126)의 접촉 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Alternatively, the switching member 126 may be fixed to the frame guide 125. Since the frame guide part 125 prevents the frame part 123 from being sideways, the contact reliability between the button part 121 and the switching part 126 is improved.

상기 프레임안내부(125)는 상기 프레임부(123)의 하면에 위치되며,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측 저면에 고정된다. 또한, 둘이 서로 접촉되는 면에는 상기 프레임부(123)의 이동방향으로 한 쌍의 안내돌기(123c)와 제1 및 제2 안내홈(125a, 125b)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The frame guiding part 125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part 123 and fix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ispenser receiving part 101.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123c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125a and 125b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123c and 125b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rame part 123, respectively.

또한, 상기 프레임부(123)는 내측에 상기 버튼부(121)가 삽입되어 탄성지지되며, 외측의 측면에는 상기 구동부(130)에 결합되어 미끄럼운동하며 상기 프레임부(123)의 수평이동을 구동하는 미끄럼돌기(123b)가 형성된다.The frame part 123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utton part 121 to be elastically supported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rame part 123 is engaged with the driving part 130 to slide, A sliding protrusion 123b is formed.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안내돌기(123c)가 상기 제1 및 제2 안내홈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123)가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돌기(123b)와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한 제1 안내홈(125a)의 폭은 제2 안내홈(124b)의 폭에 비해서 작게 설정된다. 다시 말해서, 제2 안내홈(124b) 측에서 상기 안내돌기(123c)와 안내홈의 내벽 사이의 간격이 더욱 크게 형성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6, when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123c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the frame portion 123 is slid. As shown in FIG. 6, The width of the first guide groove 125a located relatively close to the second guide groove 124b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guide groove 124b. In other words, the gap between the guide protrusion 123c and the inner wall of the guide groove on the side of the second guide groove 124b is made larg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0)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도 7은 도 2에서 구동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구동부의 조립상태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view of the driving unit in FIG. 2,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unit in the assembled state of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받침부(120)에 연결된 복수의 기어(gear)가 서로 맞물린 기어부(131)와 상기 기어부(131)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33)를 포함한다.7 and 8,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gears connected to the take-out unit 110 and the receiving unit 120, And includes a gear portion 131 and a motor 133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gear portion 131.

상기 기어부(131)는, 상기 모터(133)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구동기어(131b)와, 상기 구동기어(131b)와 치합되어 상기 취출부(110)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기어(131a)와, 상기 구동기어(131b)와 치합되며 상기 받침부(120)를 이동시키는 제2종동기어(131c)를 포함한다.The gear 131 includes a driving gear 131b coupled to and driven by the motor 133 and a first driven gear 131a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131b to rotate the take- And a second driven gear 131c which is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131b and moves the receiving unit 120.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131b)와 제1종동기어(131a) 및 제2종동기어(131c)는 그 회전면이 상기 커버부(111)와 직교하도록 설치된다.The driving gear 131b and the first driven gear 131a and the second driven gear 131c are installed such that their rotating surfaces are orthogonal to the cover portion 111. [

또한, 상기 제1종동기어(131a)의 직경(D1)은 상기 제2종동기어(131c)의 직경(D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D1 of the first driven gear 131a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second driven gear 131c.

이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131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종동기어(131a)의 각속도가 상기 제2종동기어(131c)의 각속도가 더 크게 되므로 상기 취출부(110)와 받침부(120)의 돌출속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돌출시 상기 받침부(120)가 상기 커버부(111)에 의해 이동이 간섭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angular velocity of the first driven gear 131a is greater tha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second driven gear 131c due to the rotation of the drive gear 131b so that the tak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that the support part 120 interferes with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art 111 by the cover part 111 when the projecting part protrudes.

한편, 상기 구동기어(131b)의 직경(D3)은 상기 제1종동기어(131a) 및 제2종동기어(131c)의 직경(D1,D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ameter D3 of the driving gear 131b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diameters D1 and D2 of the first driven gear 131a and the second driven gear 131c.

상기 구동기어(131b)는 모터(133)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받침부(120)의 소음이 덜한 부드러운 돌출을 위해서는 저속으로 돌출되는 것을 요하는데 상기 모터(133)를 회전속도가 저속인 것을 구비하는 것은 비용면에서 상당한 부담이다. The driving gear 131b is rotated by a motor 133 and protrudes at a low speed for smooth protrusion with less noise of the take-out part 110 and the receiving part 120. The motor 133 It is a considerable burden in terms of cost to provide the rotating speed at a low speed.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131b)의 직경을 작게 구비함으로써 회전속도비를 이용하여 상기 취출부(110) 및 받침부(120)의 돌출속도를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driving gear 131b, the protruding speed of the take-out portion 110 and the receiving portion 120 can be reduced by using the rotational speed ratio.

한편, 상기 구동기어(131b), 상기 제2종동기어(131c), 모터(133)는 서로 형합되는 제1커버부(134a)와 제2커버부(134b)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131b)의 일부분이 상기 제1커버부(134a)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이곳에 상기 제1종동기어(131a)가 치합되게 된다.The driving gear 131b, the second driven gear 131c and the motor 133 are installed inside the first cover part 134a and the second cover part 134b, A part of the first driven gear 131b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one side of the first cover part 134a and the first driven gear 131a is engaged with the exposed part.

상기 제1종동기어(131a)는 힌지결합부(115)와 고정부(114)와 결합되어 상기 힌지결합부재(116)를 구성하는 것으로,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圓弧)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은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에 힌지결합되는 상기 힌지결합부(115)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취출부(110)에 고정되는 고정부(114)와 결합된다.The first driven gear 131a is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part 115 and the fixing part 114 to form the hinge coupling member 116 and is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entral angle And one end thereof is engaged with the hinge coupling part 115 hinged to the dispenser storage part 101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with the fixing part 114 fixed to the extraction part 110.

상기 소정의 중심각은, 상기 커버부(111)가 이동하는 각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The predetermined center angle should be larger than an angle at which the cover portion 111 moves.

또한, 상기 힌지결합부(115)와 상기 제1종동기어(131a)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부채꼴 모양의 내부 공간은, 상기 취출부(110)의 회전 돌출시 상기 커버부(111)의 상단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전면부(101a) 하단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fan-shaped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coupling of the hinge coupling part 115 and the first driven gear 131a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end of the cover part 111, when the take- Is prevented from being interfered with by the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101a) of the dispenser receiving portion (101).

한편, 상기 취출부(110)의 양 측부 중 상기 구동기어(131b)와 결합되지 않는 측부에 구비된 상기 제1종동기어(131a)는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종동기어(131a)와 맞물려 회전되는 아이들기어(135)에 의해 지지된다.The first driven gear 131a provided on a side portion of the take-out portion 110 which is not engaged with the drive gear 131b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ispenser receiving portion 101, And is supported by an idle gear 135 which is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driven gear 131a.

한편, 상기 제2종동기어(131c)는, 그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123)의 수평이동을 구동하는 미끄럼레버부(132)가 형성된다.Meanwhile, the second driven gear 131c is formed to extend in the radial direction thereof, and a sliding lever portion 132 for driv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rame portion 123 is formed.

상기 미끄럼레버부(132)는 그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슬롯(132a)이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슬롯(132a)에는 상기 프레임부(123)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미끄럼돌기(123b)가 끼워진다.The sliding lever portion 132 is formed with a sliding slot 132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sliding protrusion 123b protruding from the side face of the frame portion 123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slot 132a.

이에 의해, 상기 제2종동기어(131c)의 회전에 의해 상기 미끄럼레버부(132)가 상기 미끄럼돌기(123b)를 밀게 되며 상기 미끄럼돌기(123b)는 미끄럼슬롯(132a)을 미끄러지면서 수평이동을 하게 된다.As a result, the sliding lever portion 132 pushes the sliding protrusion 123b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driven gear 131c, and the sliding protrusion 123b slides on the sliding slot 132a to move horizontally .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100)의 동작과정을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100 in the refrigerator having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FIG.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수납위치 상태에서 구동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취출위치 상태에서 구동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11은 상기 받침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9 is a side view of the driving unit viewed from the side in the storage position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driving unit viewed from the side in the state of taking out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slide movement of the receiving portion.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100)는, 상기 도어(13)의 내측으로 수납된 수납위치에서 커버부(111)에 의해 냉장고(10)의 외측에서 볼 때 완전히 은폐된 상태로 유지된다.9 to 11,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enser 100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10 by the cover part 111 at a storage position stored inside the door 13,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가이드부(113)는 상기 이송부(140)와 상기 도어(13)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미끄럼레버부(132)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측으로 수납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guide part 113 is positioned so as to overlap with the conveying part 140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13, and the support part 120 is supported by the slide lever part 132, As shown in Fig.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111)에 구비된 제어버튼부(118)를 통해 소비자의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모터(133)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131b)가 도 8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구동기어(131b)에 치합된 제1종동기어(131a) 및 제2종동기어(131c)는 각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a consumer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button unit 118 provided in the cover unit 111, the driving gear 131b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motor 133 And the first driven gear 131a and the second driven gear 131c engaged with the drive gear 131b are respectively rotated clockwise.

이에 의해 상기 커버부(111)와 가이드부(113)는 상기 힌지결합부(115)를 중심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전방으로 돌출된다.The cover portion 111 and the guide portion 113 are rotated about the hinge engaging portion 115 as a center axis and protrude forward of the dispenser receiving portion 101.

또한, 상기 프레임부(123)는 그에 형성된 미끄럼돌기(123b)가 상기 미끄럼레버부(132)에 형성된 미끄럼슬롯(132a)을 타고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전방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미끄럼돌기(123b)가 상기 프레임부(123)의 일단부에만 존재하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돌기(123b)가 위치한 단부가 그렇지 않은 단부에 비해서 보다 전진되어 프레임부(123)가 약간 회전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The sliding part 123b formed on the frame part 123 is horizontally moved to the front of the dispenser receiving part 101 through the sliding slot 132a formed in the sliding lever part 132. [ 11, since the slidable protrusion 123b is located only at one end of the frame part 123, the end where the slidable protrusion 123b is positioned is advanced relative to the other end part of the frame part 123, Is moved in a slightly rotated state.

따라서, 상기 프레임부(123)의 저면에 형성된 안내돌기(123c)는 상기 제1 및 제2 안내홈의 내벽과 접촉하게 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안내홈의 폭이 제1 안내홈의 폭에 비해서 넓게 형성되므로, 안내돌기(123c)는 제1 안내홈(125a)의 내벽에 보다 강하게 밀착되고, 제2 안내홈(125b)의 내벽과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밀착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접촉되지 않게 된다.Accordingly, the guide protrusion 123c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art 12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width of the second guide groove The guide protrusion 123c is more tightly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guide groove 125a and relatively weakly contacted with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guide groove 125b, .

여기서, 상기 제1 안내홈(125a)은 상기 미끄럼돌기(123b)와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상술한 모터(133)에 의한 구동력이 제2 안내홈측에 비해서 강하게 전달되므로 안내돌기(123c)가 안내홈의 내벽과 강하게 밀착된다 하더라도 원활하게 이동할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안내홈의 폭을 좁게 하면 이동과정에서 상기 프레임부(123)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제2 안내홈의 폭을 넓게 하면 안내홈의 내벽과 안내돌기와의 마찰로 인한 작동 불량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first guide groove 125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liding protrusion 123b,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33 is transmitted more strongly than the second guide groove, It is possible to smoothly move even if it strongly adheres to the inner wall. Therefore, if the width of the first guide groove is narrow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ame part 123 from moving in the movement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if the width of the second guide groove is widened, the friction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protrus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lfunction due to the defective operation.

이후, 소비자에 의해 상기 버튼부(121)가 눌려지면 상기 버튼부(121)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된 스위칭부재(126)가 상기 버튼부(121)에 의해 눌려지며 얼음 등의 취출신호가 발생된다. 이에 의해, 상기 이송부(140)를 통해 얼음 등이 이송되고 상기 가이드부(113)를 통해 외부로 취출되게 된다. 상기 취출위치에서 수납위치로의 이동은 상술한 취출동작의 반대이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reafter, when the button part 121 is pressed by the consumer, the switching part 126 position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button part 121 is pressed by the button part 121, do. As a result, ice or the like i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unit 140 and is take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unit 113. Since the movement from the take-out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is the reverse of the above-described take-out ope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프레임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반드시 도시된 것에 한하지 않으며, 일 예로서 레일을 이용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이러한 레일을 이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for slidingly moving the frame portion is not necessarily illustrated, and an example using a rail may be considered as an example. 12 and 13 illustrate examples using such a r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실시예에서의 프레임안내부(125)에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127)이 구비된다. 상기 레일(127)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의 안내홈과 대비되는 것으로서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부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2, the frame guide 125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rails 127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rail 127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s compared with the guide groov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is arranged to extend along the slide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상기 레일(127)에는 슬라이더(128)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128)는 양단부에 제1 및 제2 레일 삽입홀(128ㅁ, 128b)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 삽입홀의 내부에 상기 레일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레일 삽입홀(128ㅁ)은 상기 미끄럼돌기(123b)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레일(127)의 직경과 거의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레일 삽입홀(128b)은 타원형의 장공 형태로 형성되며, 긴쪽의 직경은 상기 제1 레일 삽입홀(128ㅁ)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rail 127 is provided with a slider 128. The slider 128 has first and second rail insertion holes 128 and 128b at both ends thereof, and the rail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rail insertion hole. The first rail insertion holes 128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sliding protrusions 123b and are formed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ails 127. The second rail insertion hole 128b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elliptical long hole, and the diameter of the long rail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rail insertion hole 128.

상기 슬라이더(128)의 상부에는 상기 프레임부(123)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28)와 상기 프레임부(123)가 함께 이동하면서 도어의 전후측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frame portion 123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er 128. Therefore, the slider 128 and the frame part 123 move together to move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oor.

상기 제2 실시예에서도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단부와 인접한 제1 레일 삽입홀을 통해서 상기 슬라이더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2 레일 삽입홀을 장공형태로 형성하여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lider is stably supported through the first rail insertion hole adjacent to the end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motor, and the second rail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to facilitate smooth sliding movement .

Claims (9)

저장공간을 갖는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냉장고 본체에 설치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함몰부에 구비되는 디스펜서;
상기 함몰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의 개폐와 연동되어 냉장고 도어의 전면 내외측으로 이동하며, 저면에 적어도 한 쌍의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안내돌기와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안내홈이 형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로서,
상기 받침부의 일 단부는 상기 받침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동력을 전달하는 액추에이터에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안내홈 중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쪽에 위치하는 안내홈이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안내홈에 비해서 큰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refrigerator body having a storage space;
A refrigerator doo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 dispenser provided in a depression formed concavely in the refrigerator door;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epression;
A support portion which is interlocked with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and moves towar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at least a pair of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nd a guide portion coupled to the guide protrus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t least a pair of guide grooves extending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One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is coupled to an actuator that transmits power to move the receiving por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pair of guide grooves has a larger width than a guide groove located relatively far from the actuator, the guide groove being located closer to the actuator than the guide groov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커버부도 함께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over portion is also opened and closed by the actu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디스펜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취출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take-out button for operating the dispenser.
저장공간을 갖는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냉장고 본체에 설치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함몰부에 구비되는 디스펜서;
상기 함몰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의 개폐와 연동되어 냉장고 도어의 전면 내외측으로 이동하며, 저면에 적어도 한 쌍의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레일이 구비되는 안내부; 및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와 결합되어 받침부와 함께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냉장고로서,
상기 받침부의 일 단부는 상기 받침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동력을 전달하는 액추에이터에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레일 삽입홀 중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쪽에 위치하는 레일 삽입홀이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레일 삽입홀에 비해서 큰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refrigerator body having a storage space;
A refrigerator doo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 dispenser provided in a depression formed concavely in the refrigerator door;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epression;
A support portion which is interlocked with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and moves towar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at least a pair of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 guide portion having at least a pair of rails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And a slider formed with a rail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rail is inserted and which is coupled with the support portion and moves together with the support portion,
One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is coupled to an actuator that transmits power to move the receiving portion,
Wherein a rail insertion hole located relatively far from the actuator among the at least one pair of rail insertion holes has a larger width than a rail insertion hole located relatively closer to the actua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삽입홀 중 다른 레일 삽입홀에 비해서 큰 폭을 갖는 레일 삽입홀은 장공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rail insertion hole having a larger width than other rail insertion holes of the rail insertion holes has an elongated shape.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커버부도 함께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cover portion is also opened and closed by the actua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디스펜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취출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take-out button for operating the dispenser.
KR1020100097498A 2010-10-06 2010-10-06 Refrigerator with hidden type dispenser KR1016980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498A KR101698095B1 (en) 2010-10-06 2010-10-06 Refrigerator with hidden type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498A KR101698095B1 (en) 2010-10-06 2010-10-06 Refrigerator with hidden type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773A KR20120035773A (en) 2012-04-16
KR101698095B1 true KR101698095B1 (en) 2017-01-19

Family

ID=4613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498A KR101698095B1 (en) 2010-10-06 2010-10-06 Refrigerator with hidden type disp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09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796B1 (en) * 2008-04-07 2010-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6051B2 (en) * 2006-05-25 2012-06-20 天馬株式会社 Storage conta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796B1 (en) * 2008-04-07 2010-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773A (en)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628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US8104304B2 (en)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0951288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101504214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US8141748B2 (en) Dispenser related technology
KR20100122230A (en) Refrigerator
US8881951B2 (en) Refrigerator
KR20090036016A (en) Dispenser for refrigerator
US20090007585A1 (en) Dispenser related technology
KR101698095B1 (en) Refrigerator with hidden type dispenser
KR101817255B1 (en) Locking device of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US20130118203A1 (en) Refrigerator with dispenser
US8146783B2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KR20170119864A (en) Dispens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0981821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101611609B1 (en)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100969796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100957441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101000687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100957424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CN113074490B (en) A kind of refrigerator
KR100978364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20230108488A (en) Refrigerator
KR20240104972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