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399B1 -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399B1
KR101697399B1 KR1020140054703A KR20140054703A KR101697399B1 KR 101697399 B1 KR101697399 B1 KR 101697399B1 KR 1020140054703 A KR1020140054703 A KR 1020140054703A KR 20140054703 A KR20140054703 A KR 20140054703A KR 101697399 B1 KR101697399 B1 KR 101697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voice
voice call
user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8023A (ko
Inventor
서승렬
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4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399B1/ko
Publication of KR20150128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단말기는 무선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음성 통화 중 사용자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통화 품질 측정 여부를 결정하고, 통화 품질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로그 정보를 인출하고, 상기 로그 정보를 바탕으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산출하며, 산출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단말기 간에 음성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환경, 예컨대 단말기 오동작, 네트워크 결함 또는 주변 환경에 의해 단말기의 통화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을 모르는 경우, 사용자의 통화에 대한불안감이 가중되며 나아가 사용자가 전화 받기가 두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효율적으로 통화 품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화 품질의 측정을 통해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단말기는, 적어도 음성 통화를 포함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로그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음성 통화 중 사용자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통화 품질 측정 여부를 결정하고, 통화 품질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로그 정보를 인출하고, 상기 로그 정보를 바탕으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산출하며, 산출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통화 품질 측정에 앞서 통화 품질을 측정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도록 하여 막역한 통화 품질에 따른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통화 품질 측정을 위한 동기화시 비 가청 영역을 이용하여 동기화를 진행함으로써, 음성 통화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선 통신부에 기록되어 있는 로그 정보를 바탕으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경 방안을 찾도록 하여 사용자의 통화 품질 저하에 따른 불안감을 해소하여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찾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찾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는 동기화 과정에서 비 가청 영역에 동기화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도 5는 음성 통화의 녹음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신호의 생성 방법을 보여준다.
도 6a 및 도 6b는 기본 음성 통화 데이터와 수신된 음성 통화 데이터를 바탕으로 음성 통화 품질을 측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7은 로그 정보가 기록되는 모습을 모습을 보여준다.
도 8a 내지 도 8d는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품질 관리 서버와의 연동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찾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품질 관리 서버와의 연동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찾는 절차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통화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 (Node B 혹은 Evolved Node B로 명칭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를 포함할 수 있다. MSC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및 BSCs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 및 적어도 하나의 BS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 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이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위성(300)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찾는 절차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시예에 따르면, 제1 이동 단말기(이하, 사용자 이동 단말기라 함)(100A)가 제2 이동 단말기(이하, 상대방 이동 단말기라 함)(100B)와 음성 통화 중에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통화 품질 측정을 통해 음성 통화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상 음성 통화로 한정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영상 통화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와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 사이에 음성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S210). 음성 통화는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가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에 음성 호를 요청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가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에 음성 호를 요청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음성 통화 중에 다양한 환경, 예컨대 단말기 오동작, 네트워크 결함 또는 주변 환경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음성 통화 품질을 측정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를 대하는 사용자의 음성 패턴 및/또는 행동 패턴이 정상 통화 품질일 경우에 비해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의 특정 음성 패턴이나 행동 패턴 각각은 표 1과 같이 가중치가 부여되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패턴 가중치

사용자 음성 패턴
"여보세요" 20
"잘 안 들립니다" 20
"통화 상태가 안 좋은 것 같습니다" 30

사용자 행동 패턴
귀에서 멀어지는 동작 10
단말기를 귀에서 아래로 내리는 동작 10
단말기의 화면을 위로 향하게 하는 동작 1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음성 패턴으로는 예컨대, "여보세요", "잘 안 들립니다" 또는 "통화 상태가 안 좋은 것 같습니다"가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여보세요"는 여러 번 반복하여 외치는 경우가 해당될 수 있다. 사용자 행동 패턴으로는 예컨대, 귀에서 멀어지는 동작, 단말기를 귀에서 아래로 내리는 동작 또는 단말기의 화면을 위로 향하게 하는 동작 등이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사용자 음성 패턴은 음성 인식 기능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사용자 행동 패턴 중에서 귀에서 멀어지는 동작은 근접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단말기를 귀에서 아래로 내리는 동작이나 단말기의 화면을 위로 향하게 하는 동작은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근접 센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전원이 켜지는 순간부터 항상 동작되거나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가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와 통화 중일 때 동작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음성 패턴이나 음성 패턴을 바탕으로 음성 통화 품질을 측정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S220). 즉,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음성 패턴이나 각 행동 패턴에는 가중치가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통화 품질이 저하되었을 때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각 행동 패턴이나 각 음성 패턴을 바탕으로 그 패턴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사용자의 행동 패턴이나 음성 패턴의 가중치 총합을 산출하여 그 산출된 총합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음성 통화 품질을 측정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 패턴과 행동 패턴의 추출은 정해진 시간 구간 동안 수행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사용자의 음성 패턴과 행동 패턴의 추출은 사용자의 음성 패턴이나 행동 패턴 중 어느 하나라도 처음 발생될 때부터 예컨대 30초의 구간 동안 수행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음성 통화 품질을 측정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음성 통화 측정을 위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S230). 이 동기화는 정확한 음성 통화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동기화에 의해 후속 과정에서 수행되는 음성 통화 데이터 녹음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동기화에 의해 음성 통화 데이터 녹음의 시작과 끝이 정해질 수 있다.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와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는 서로 간에 동기화가 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이 동기화를 통해 음성 통화 데이터 녹음이 정해진 구간 동안 수행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동기화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동기화가 이루어지면,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는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로부터 수신된 상대방의 음성 통화 데이터를 녹음한다(S240). 이와 동시에,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는 상대방의 음성 통화 데이터를 녹음한다(S250).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는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로부터 녹음된 상대방의 음성 통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260).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에서 녹음된 상대방의 음성 통화 데이터는 기본 음성 통화 데이터로 설정되고,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에서 녹음된 상대방의 음성 통화 데이터는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로부터 송신되어 여러 가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아 통화 품질이 기본 음성 통화 데이터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저하될 수 있다.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로부터 수신된 기본 음성 통화 데이터와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에서 녹음된 상대방의 음성 통화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화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S270).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통화 품질 측정 결과, 통화 품질이 임계값 이하가 되는 경우 무선 통신부(110)의 데이터 베이스(미도시)를 트리거(trigger)할 수 있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무선 통신부(110)에 구비된 다양한 모듈들의 동작 상태, 동작 불량 또는 동작 에러 등에 대한 로그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들 모듈들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 정보 모듈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음성 통화에 대한 것이므로, 이동통신 모듈에 관한 로그 정보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이벤트 신호가 데이터 베이스를 트리거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로그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S280).
로그 정보는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로그 정보를 바탕으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산출하고, 산출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은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290).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찾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a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현재 음성 통화 중인지 확인한다(S311).
확인 결과 현재 음성 통화 중인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13).
사용자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음성 패턴 및/또는 행동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음성 패턴 및/또는 행동 패턴 각각 가중치가 부여되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 패턴 및/또는 행동 패턴은 음성 통화 중에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확인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음성 패턴은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바탕으로 확인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근접 센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이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행동은 제어부로 제공되어,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의 특정 행동 패턴이 확인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 패턴 및/또는 행동 패턴이 확인되면, 제어부는 이들 음성 패턴 및/또는 행동 패턴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한다(S315).
예컨대, 음성 패턴이 "여보세요"인 경우, 이러한 음성 패턴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의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예컨대, 행동 패턴이 '단말기를 귀에서 아래로 내리는 동작'인 경우, 이러한 행동 패턴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의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제어부는 각 음성 패턴 및/또는 각 행동 패턴에 부여된 가중치의 총합을 산출하고, 산출된 가중치 총합을 임계값과 비교한다(S317). 임계값은 제조사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임계값은 60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산출된 가중치 총합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는 음성 통화 품질을 측정하기로 결정한다(S319).
이어서, 제어부는 동기화를 실행한다(S321). 동기화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또는 상대방의 음성은 시분할 영역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시분할 영역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분할 영역으로 변환될 수 있다. 주파수 분할 영역은 음성이 포함되는 가청 영역과 음성이 포함되지 않는 제1 및 제2 비 가청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 가청 영역은 가청 영역의 하한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 영역이고, 제2 비 가청 영역은 가청 영역의 상한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 가청 영역에 동기화 신호가 삽입될 수 있다. 즉, 동기화 신호는 각각 일정 진폭을 갖는 제1 및 제2 동기화 주파수를 포함하는 합성 주파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동기화 주파수는 제1 비 가청 영역에 위치되고 제2 동기화 주파수는 제2 비 가청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동기화 신호는 제1 동기화 주파수와 제2 동기화 주파수 각각에 일정 진폭이 설정된 합성 주파수일 수 있다. 제1 동기화 주파수에서의 진폭과 제2 동기화 주파수에서의 진폭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기화 신호가 반영된 주파수 영역은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 다시 시분할 영역으로 변환되고, 시분할 영역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는 동기화 신호를 반영한 시분할 영역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신호를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는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반영하는 음성 데이터 신호를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동기화 신호 및 응답 신호와 별도로 음성 통화 녹음 시작을 알리는 제1 알림 신호와 음성 통화 데이터 녹음 종료를 알리는 제2 알림 신호 또한 도 4에 도시한 방식을 이용한 음성 데이터 신호에 반영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저 주파수는 5Hz 및 8Hz를 가지고, 예컨대 고 주파수는 20kHz 및 28kHz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동기화 신호 및 응답 신호는 5Hz의 저 주파수와 20kHz의 고 주파수의 합성 주파수로 구성될 수 있다. 5Hz의 저 주파수는 도 4의 제1 비 가청 영역에 위치되고 20kHz의 고 주파수는 제2 비 가청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알림 신호는 5Hz의 저 주파수와 28kHz의 고 주파수의 합성 주파수로 구성될 수 있다. 5Hz의 저 주파수는 도 4의 제1 비 가청 영역에 위치되고 28kHz의 고 주파수는 제2 비 가청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알림 신호는 8Hz의 저 주파수와 20kHz의 고 주파수의 합성 주파수로 구성될 수 있다 8Hz의 저 주파수는 도 4의 제1 비 가청 영역에 위치되고 20kHz의 고 주파수는 제2 비 가청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 통화 데이터(이하 제2 음성 통화 데이터라 함)를 녹음한다(S323).
이와 함께, 제어부는 제1 및 제2 알림 신호를 이용하여 상대방 음성 데이터(이하 제1 음성 통화 데이터라 함)가 녹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는 제1 알림 신호를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는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로부터 수신되는 제2 음성 통화 데이터를 녹음하기 시작한다. 제1 알림 신호에 응답하여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는 제1 음성 통화 데이터를 녹음하기 시작한다.
제어부는 제2 알림 신호를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는 현재 녹음 중인 제2 음성 통화 데이터를 종료한다. 제2 알림 신호에 응답하여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는 현재 녹음 중인 제1 음성 통화 데이터를 종료한다.
한편,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에서의 제2 음성 통화 데이터와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에서의 제1 음성 통화 데이터는 정해진 시간 동안 녹음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알림 신호가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로 전송될 필요가 없다. 예컨대,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에서의 제2 음성 통화 데이터와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에서의 제1 음성 통화 데이터는 10초 동안 녹음될 수 있다.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녹음된 음성 통화 데이터를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신된 제2 음성 통화 데이터와 제1 음성 통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MOS(Mean Opinion Score) 값을 산출한다(S325).
MOS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에서 음성 품질의 척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이러한 MOS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5단계로 나누어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MOS 음성 품질 판단
5 매우 우수
4 우수
3 적당
2 나쁨
1 매우 나쁨
제어부는 산출된 MOS 값을 임계값과 비교한다(S327). 임계값은 제조사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임계값은 3.8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에서 녹음된 제1 음성 통화 데이터는 기본 음성 통화 데이터일 수 있다.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에서 녹음된 제2 음성 데이터는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로부터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로 수신되어 녹음되는 동안 주변 환경에 의해 음성 데이터의 파형이 변형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음성 통화 데이터와 제2 음성 통화 데이터가 비교될 때, 제2 음성 통화 데이터의 파형과 제1 음성 통화 데이터의 파형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비 정상 구간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비 정상 구간에서의 MOS 값이 산출될 수 있다. 예컨대, 비 정상 구간에서 MOS 값이 3.8 이하이고, 정상 구간에서 MOS 값이 3.8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비정상 구간에서 음성 통화 품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비교 결과 산출된 MOS 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한다(S329). 이벤트 신호는 무선 통신부(110)의 데이터 베이스를 트리거할 수 있는 신호이다. 무선 통신부(110)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무선 통신부(110)에 구비된 다양한 모듈들의 동작 상태, 동작 불량 또는 동작 에러 등에 대한 로그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이벤트 신호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가 트리거되어 데이터 베이스 에 기록되어 있는 로그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S331).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10)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로그 정보가 항상 실시간으로 기록될 수 있다.
이벤트 신호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가 트리거되면, MOS 값이 임계값 이하인 구간 동안의 로그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는 획득된 로그 정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제어부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음성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산출하고, 산출된 음성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S335).
도 8a 내지 도 8d는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 품질 저하 문제가 소프트웨어의 미 업데이트에 기인함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 품질 저하 문제가 수신 상태 불량에 기인하고 그 해결책으로서 서비스 센터 방문을 권장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 품질 저하 문제가 급격한 사용자 수 증가에 기인함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 품질 저하 문제가 기지국과의 원활하지 않은데 기인함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품질 관리 서버와의 연동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찾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품질 관리 서버(400)가 더 추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 예와 유사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에서 수행되었던 음성 통화 품질을 측정하고 음성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산출 과정이 품질 관리 서버(4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와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 사이에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음성 통화 중에 음성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와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 사이에 동기화가 수행된다.
이어서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에서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로부터 수신된 음성 통화 데이터가 녹음되고 녹음된 상대방의 음성 통화 데이터(이하 제2 음성 통화 데이터라 함)가 품질 관리 서버(400)로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에서 상대방의 음성 통화 데이터가 녹음되고 녹음된 상대방의 음성 통화 데이터(이하 제1 음성 통화 데이터라 함)가 품질 관리 서버(400)로 전송된다.
만일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에서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로부터 수신된 상대방의 음성 통화 데이터의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제2 음성 통화 데이터는 제1 음성 통화 데이터와 동일한 음성 파형을 갖지 않게 된다. 대신에 제2 음성 통화 데이터는 제1 음성 통화 데이터의 음성 파형과 상이한 음성 파형, 예컨대 변형된 음성 파형 또는 진폭이 감소된 음성 파형을 가질 수 있다.
품질 관리 서버(400)는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로부터 수신된 제1 음성 통화 데이터와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로부터 수신된 제2 음성 통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MOS 값의 산출을 통해 품질 측정을 수행하고, 그 품질 측정 결과를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로 전송할 수 있다. 품질 측정 결과는 MOS값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는 수신된 음성 측정 결과, 즉 MOS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이러한 이벤트 신호에 의해 무선 통신부(110)의 데이터 베이스를 트리거하여 해당 로그 정보를 인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로그 정보는 품질 관리 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다.
품질 관리 서버(400)는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음성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찾아 그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는 품질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음성 통화 물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디스플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품질 관리 서버와의 연동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찾는 절차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의 데이터 처리의 증가로 인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 대신에 품질 관리 서버(400)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는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와 음성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S511).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는 사용자의 음성 패턴 및/또는 행동 패턴을 포함하는 사용자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음성 통화 측정 여부를 결정한다(S513).
음성 통화을 측정하기로 결정되는 경우,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는 동기화 신호를 이용하여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S515).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와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 사이에 동기화가 이루어지면,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는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로부터 수신되는 제2 음성 통화 데이터를 녹음한다(S517). 아울러,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는 제1 음성 통화 데이터를 녹음한다(S519).
여기서, 제1 음성 통화 데이터와 제2 음성 통화 데이터 모두 상대방의 음성 통화 데이터를 의미한다. 다만, 제1 음성 통화 데이터는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에서 사용자의 아날로그 음성 통화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음성 통화 데이터를 의미하는데 반해, 제2 음성 통화 데이터는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로부터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로 수신되는 디지털 음성 통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성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제2 음성 통화 데이터는 다양한 환경, 예컨대 단말기 오동작, 네트워크 결함 또는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제1 음성 통화 데이터와 상이한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는 제2 음성 통화 데이터를 품질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고(S521), 상대방 이동 단말기(100B)는 제1 음성 통화 데이터를 품질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S523).
품질 관리 서버(400)는 제1 음성 통화 데이터와 제2 음성 통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통화 품질을 측정한다(S525). 이러한 통화 품질의 측정을 통해 MOS 값이 산출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MOS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에서 음성 품질의 척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는 품질 관리 서버(400)로부터 통화 품질 측정 결과, 즉 MOS 값을 수신한다(S527).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는 수신된 MOS 값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로그 정보를 획득한다(S529). 즉, MOS 값이 임계값보다 작을 때 이벤트 신호가 생성되고, 이러한 이벤트 신호를 이용하여 로그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로그 정보는 무선 통신부(110)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될 수 있다.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는 획득된 로그 정보를 품질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S531).
품질 관리 서버(400)는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산출한다(S533).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A)는 품질 관리 서버(400)로부터 산출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수신하고(S535), 수신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537).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동 단말기(100, 도 1)뿐만 아니라, 플렉서블 이동 단말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Claims (5)

  1. 적어도 음성 통화를 포함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로그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음성 통화 중 사용자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통화 품질 측정 여부를 결정하고, 통화 품질이 측정되면 통화 품질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로그 정보를 인출하고, 상기 로그 정보를 바탕으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통화 품질 저하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통화 품질을 측정하기로 결정되는 경우, 동기화 신호를 이용하여 상대방 이동 단말기와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동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상대방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2 음성 통화 데이터를 녹음하며 상기 상대방 이동 단말기로부터 녹음된 제1 음성 통화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녹음된 제2 음성 통화 데이터와 상기 제1 음성 통화 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통화 품질을 측정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음성 패턴 및 행동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패턴 및 행동 패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그 가중치의 총합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통화 품질을 측정하기로 결정하는 이동 단말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는 음성 통화에 대한 주파수 영역이 가청 영역과 비 가청 영역으로 정의될 때, 상기 비 가청 영역에 삽입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품질 측정 결과는 MOS(Mean Opinion Score) 값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MOS 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이벤트 신호에 의해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로그 정보가 인출되는 이동 단말기.
KR1020140054703A 2014-05-08 2014-05-08 이동단말기 KR101697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703A KR101697399B1 (ko) 2014-05-08 2014-05-08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703A KR101697399B1 (ko) 2014-05-08 2014-05-08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023A KR20150128023A (ko) 2015-11-18
KR101697399B1 true KR101697399B1 (ko) 2017-01-17

Family

ID=54838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703A KR101697399B1 (ko) 2014-05-08 2014-05-08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3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416B1 (ko) * 2002-03-27 2005-03-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품질측정데이터 분석 방법
US7843991B2 (en) * 2005-04-21 2010-11-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voice quality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80044030A (ko) * 2006-11-15 2008-05-20 엘지노텔 주식회사 통화품질 측정 기능이 포함된 이동통신 단말
JP5568193B2 (ja) * 2011-03-30 2014-08-06 エンパイア テクノロジー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ルエルシー 体感品質の推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023A (ko)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1949B2 (en) Bullet screen pos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EP3908032B1 (en)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and terminal
CN107342801B (zh) 一种波束处理方法、用户设备及基站
KR20170048990A (ko)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01173A (ko)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9982228B (zh) 一种麦克风故障检测方法及移动终端
CN109240785B (zh) 一种设置语言的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06940997B (zh) 一种向语音识别系统发送语音信号的方法和装置
KR2019005738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로밍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
KR2016014744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6157970A (zh) 一种音频识别方法以及终端
CN105827638A (zh) 数据传输方法、装置和系统
KR2016007313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630833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2068912A (zh) 系统语言类型切换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05955474B (zh) 应用评价的提示方法及移动终端
CN109194998B (zh) 数据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EP3480707A1 (en) Audi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1697399B1 (ko) 이동단말기
KR20160041233A (ko) 이동 단말기
CN109889665A (zh) 一种音量调节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9451438A (zh) 一种智能终端的寻找方法、智能终端和存储介质
CN106210325B (zh) 一种设置社交应用来电铃声的方法、装置及终端
KR2016006940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9542227B (zh) 一种握持手势标记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